KR101891109B1 - 건축용 난간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난간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109B1
KR101891109B1 KR1020180001461A KR20180001461A KR101891109B1 KR 101891109 B1 KR101891109 B1 KR 101891109B1 KR 1020180001461 A KR1020180001461 A KR 1020180001461A KR 20180001461 A KR20180001461 A KR 20180001461A KR 101891109 B1 KR101891109 B1 KR 101891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upport
support hole
cross bar
spring seats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만석
Original Assignee
신만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만석 filed Critical 신만석
Priority to KR1020180001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1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11/1834Connections therefor with adjustable angle, e.g. pivotal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65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rails being supported within blind or through hole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04F2011/1821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andrails
    • E04H2017/146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대와 지주를 결합하는데 이용하는 건축용 난간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플랫-바 형태의 지주(20)에 두께 방향으로 천공되는 파이프지지구멍(21); 가로대(22)를 삽입하기 위해 파이프지지구멍(21)의 일측에서 지주(20)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개방슬롯(23); 파이프지지구멍(21)으로 삽입되어 내주면에 선 접촉되고, 분할라인을 경계로 양측에 반원형의 암나사산(30t)(32t)이 형성되며, 반구형으로 분할되는 볼너트(30)(32); 파이프지지구멍(21)의 양쪽 모서리에 각각 끼워지고, 중심에 반원형의 관통구멍(42)(43)(52)(53)이 형성되며, 반원링 형태로 분할되는 스프링시트(40)(41)(50)(51); 볼너트(30)(32)의 양쪽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결합되고, 가로대(22)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반원홈(62)(63)(72)(73)을 갖는 분할볼트(60)(61)(70)(71); 분할볼트(60)(61)(70)(71)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만나면서 원형을 이루는 부채꼴 모양의 플랜지(64)(65)(74)(75); 스프링시트(40)(41)(50)(51)와 플랜지(64)(65)(74)(75)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서로 힘의 균형을 이루면서 볼너트(30)(32)를 파이프지지구멍(21)의 중앙에 위치시키는 한 쌍의 균형스프링(80)(8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축용 난간 체결장치{Handrail Fastening Device}
본 발명은 가로대와 지주를 결합하는데 이용하는 건축용 난간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로대를 자유롭게 기울일 수 있고 견고한 결합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난간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세워지는 다수의 지주와 상기한 지주 사이를 횡으로 연결하는 가로대로 구성되며 안전상의 이유로 통상 90~120cm 정도의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가로대는 상부 가로대, 중간 가로대 및 하부 가로대의 3개의 횡방향 바(bar)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2개 또는 4개의 횡방향 바로 구성된다.
종래에는 지주와 가로대를 용접하여 결합하였으나 이러한 용접은 절차가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용접부위의 품질이 균일하지 못한 문제가 있으며 특히, 용접에 의해서 한번 고정된 가로대는 더 이상 움직일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용접에 의한 난간 시공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종래에는 지주와 가로대를 기구적으로 결합하는 구조의 난간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수평면에 설치되는 난간에 주로 적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지면이 경사지거나 굴곡이 심한 경우 또는 계단에 설치되는 경우 설치에 어려움이 뒤따랐으며 미관상으로도 좋지 못한 결과를 낳게 되었다.
따라서 지주와 가로대를 연결하면서 가로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 종래기술들이 제안되었으며, 특허문헌을 참조해서 이들 종래기술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802500호(경사 지면에 시공되는 울타리를 위한 가로대 각도 조절장치)로 제안된 종래기술 1은, 지주에 고정브라켓을 결합하고 가로대의 단부에 결합링을 결합한 다음 고정브라켓과 결합링 사이에 스위블 커넥터를 개재해서 양자를 구체 관절 형태로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1은 복잡한 구조의 고정브라켓을 지주에 다수의 볼트로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고, 고정브라켓에 형성된 포켓에 볼을 삽입한 후 고정브라켓에 나사결합되는 홀더를 이용해서 스위블 커넥터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으며,결합링을 가로대의 단부에 삽입해서 볼트로 고정시켜야 하고, 볼트와 결합링을 서로 나사 결합해야 하므로, 조립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복잡해서 설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862894호(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로 제안된 종래기술 2는, 브라켓의 중심으로 회전축을 삽입한 다음 브라켓을 관통한 수나사부를 가로부재의 단부에 연결하고, 지주에 설치된 고정볼트에 브라켓을 나사결합해서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2는 종래기술 1과 마찬가지로 조립 및 설치가 까다롭고 복잡하며 설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09-0085188호(난간의 가로대 연결구)로 제안된 종래기술 3은, 지주의 4면에 슬라이드 홈을 수직으로 형성하고, 슬라이드 홈에 고정대를 삽입한 다음, 가로대의 단부에 설치된 구형의 결합봉의 구면을 반구형의 연결대로 감싼 후 고정대에 연결대를 고정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3은, 고정대를 연결대에 결합하기 전까지는 고정대를 잡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993547호(휀스접합 연결구)로 제안된 종래기술 4는, 브라켓에 고정축을 삽입한 다음 브라켓을 지주에 고정하고, 고정축은 가로대의 단부에 고정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4는 고정축의 끝에 형성된 볼 형태의 축헤드가 브라켓의 내부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세트스크류로 고정해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73157호(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의 가로대 결합장치)로 제안된 종래기술 5는, 지주에 형성된 관통공의 일측에 개구부를 형성해서 가로대를 개구부를 통해 관통공으로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관통공과 가로대의 사이에는 고무부싱과 같은 가로대 결합장치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5는 가로대 결합장치가 연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로대에 큰 하중이 실릴 때 가로대가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지주가 경사진 곳에 설치되어 가로대가 기울어지면, 가로대 결합장치의 중공홀이 타원형으로 변형되면서 가로대 결합장치와 가로대의 사이에 틈이 발생되고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802500호(2008.02.01. 등록)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862894호(2008.10.06. 등록)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5188호(2009.08.07. 공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93547호(2010.11.04. 등록)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73157호(2014.12.09.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가로대와 지주 간의 연결을 견고하게 하고, 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가로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난간 체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건축용 난간 체결장치는, 플랫-바 형태의 지주에 두께 방향으로 천공되는 파이프지지구멍; 가로대를 삽입하기 위해 파이프지지구멍의 일측에서 지주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개방슬롯; 파이프지지구멍으로 삽입되어 내주면에 선 접촉되고, 분할라인을 경계로 양측에 반원형의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반구형으로 분할되는 볼너트; 파이프지지구멍의 양쪽 모서리에 각각 끼워지고, 중심에 반원형의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반원링 형태로 분할되는 스프링시트; 볼너트 양쪽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결합되고, 가로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반원홈을 갖는 분할볼트; 분할볼트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만나면서 원형을 이루는 부채꼴 모양의 플랜지; 스프링시트와 플랜지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서로 힘의 균형을 이루면서 볼너트를 파이프지지구멍의 중앙에 위치시키는 한 쌍의 균형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시트는, 바깥쪽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원통형의 외벽; 관통구멍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한쪽 방향을 향해 서로 나란하게 절곡되어 파이프지지구멍으로 삽입되는 지지편; 지지편과 상반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균형스프링의 중심으로 삽입되는 걸림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스프링시트로부터 절곡되어 개방슬롯에 걸리는 절곡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파이프지지구멍(21)에 끼워진 볼너트(30)(32)와 가로대(22)에 밀착된 분할볼트(60)(61)(70)(71)에 의해 가로대(22)에 작용되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가로대(22)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가로대(22)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양측에 위치된 균형스프링(80)(82)이 힘의 균형을 이루는 지점에서 볼너트(30)(32)가 정지되기 때문에 볼너트(30)(32)가 파이프지지구멍(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로대(22)가 기울어지는 경우 볼너트(30)(32)가 가로대(22)를 따라 회전되면서 파이프지지구멍(21)에 선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가로대(22)를 견고하고 흔들림 없이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프링시트(40)(41)(50)(51)에 형성된 지지편(48h)(49h)(58h)(59h)이 파이프지지구멍(21)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시트(40)(41)(50)(51)에 형성된 관통구멍(42)(43)(52)(53)의 중심이 파이프지지구멍(21)의 중심에 항상 일치되도록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균형스프링(80)(82)의 외측을 감싸는 외벽(46)(47)(56)(57)이 스프링시트(40)(41)(50)(51)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균형스프링(80)(82)의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방지할 수 있고, 균형스프링(80)(82)의 오염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개방슬롯(23)에 걸리는 절곡편(44)(45)(54)(55)이 스프링시트(40)(41)(50)(51)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시트(40)(41)(50)(51)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일부의 지지편(48h)(49h)(58h)(59h)이 파이프지지구멍(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볼너트(30)(32), 스프링시트(40)(41)(50)(51) 및 분할볼트(60)(61)(70)(71)가 분할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가로대(22)를 지주(20)에 형성된 파이프지지구멍(21)에 끼운 상태에서 볼너트(30)(32), 스프링시트(40)(41)(50)(51) 및 분할볼트(60)(61)(70)(71)를 파이프지지구멍(21)과 가로대(22)에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상태로부터 가로대가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를 반대편에서 본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랫-바 형태의 지주(20)에 두께 방향으로 천공되는 파이프지지구멍(21); 가로대(22)를 삽입하기 위해 파이프지지구멍(21)의 일측에서 지주(20)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개방슬롯(23)을 포함한다.
파이프지지구멍(21)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자 모양으로 천공할 수 있고, 개방슬롯(23)은 일정한 폭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파이프지지구멍(21)과 개방슬롯(23)은 한 번에 성형될 수 있고, 예를 들면 프레스 가공에 의해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파이프지지구멍(21)으로 삽입되어 내주면에 선 접촉되고, 분할라인을 경계로 양측에 반원형의 암나사산(30t)(32t)이 형성되며, 반구형으로 분할되는 볼너트(30)(32); 파이프지지구멍(21)의 양쪽 모서리에 각각 끼워지고, 중심에 반원형의 관통구멍(42)(43)(52)(53)이 형성되며, 반원링 형태로 분할되는 스프링시트(40)(41)(50)(51)를 포함한다.
볼너트(30)(3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으로 형성해서 서로 만나서 결합될 때 온전한 구형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볼너트(30)(32)에 형성되는 반원형의 암나사산(30t)(32t)도 볼너트(30)(32)가 결합되면서 온전한 암나사산(30t)(32t)의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볼너트(30)(32)의 분할면에 돌출핀(33)(34)과 핀구멍(35)(36)을 형성해서 반구형으로 분할된 볼너트(30)(32)를 결합할 때 돌출핀(33)(34)을 핀구멍(35)(36)으로 삽입함으로써 볼너트(30)(32)가 구형으로 조립되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시트(40)(41)(50)(51)는, 바깥쪽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원통형의 외벽(46)(47)(56)(57); 관통구멍(42)(43)(52)(53)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한쪽 방향을 향해 서로 나란하게 절곡되어 파이프지지구멍(21)으로 삽입되는 지지편(48h)(49h)(58h)(59h); 지지편(48h)(49h)(58h)(59h)과 상반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균형스프링(80)(82)의 중심으로 삽입되는 걸림편(48s)(49s)(58s)(59s)을 포함한다.
스프링시트(40)(41)(50)(51)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이용해서 외벽(46)(47)(56)(57), 지지편(48h)(49h)(58h)(59h) 및 걸림편(48s)(49s)(58s)(59s)과 함께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20)의 양쪽면에 각각 밀착된다.
스프링시트(40)(41)(50)(5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만나면서 환형의 링 형태를 이룬다.
지지편(48h)(49h)(58h)(59h)은 파이프지지구멍(21)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스프링시트(40)(41)(50)(51)에 형성된 관통구멍(42)(43)(52)(53)의 중심이 파이프지지구멍(21)의 중심에 일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걸림편(48s)(49s)(58s)(59s)은 하기의 균형스프링(80)(82)의 중심으로 삽입되면서 균형스프링(80)(82)의 중심이 관통구멍(42)(43)(52)(53)의 중심으로부터 과도하게 어긋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스프링시트(40)(41)(50)(51)로부터 절곡되어 개방슬롯(23)에 걸리는 절곡편(44)(45)(54)(55)을 포함한다.
절곡편(44)(45)(54)(55)은 스프링시트(40)(41)(50)(51)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스프링시트(40)(41)(50)(51)에 형성된 모든 지지편(48h)(49h)(58h)(59h)이 파이프지지구멍(21)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스프링시트(40)(41)(50)(51)의 일부를 ㄷ자 형태로 부분 절개한 다음 직각방향으로 절곡해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볼너트(30)(32)의 양쪽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결합되고, 가로대(22)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반원홈(62)(63)(72)(73)을 갖는 분할볼트(60)(61)(70)(71); 분할볼트(60)(61)(70)(71)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만나면서 원형을 이루는 부채꼴 모양의 플랜지(64)(65)(74)(75)를 포함한다.
분할볼트(60)(61)(70)(71)의 분할면에 보스(66)(67)(76)(77)와 체결공(68)(69)(78)(79)을 형성해서 분할된 분할볼트(60)(61)(70)(71)를 결합할 때 보스(66)(67)(76)(77)를 체결공(68)(69)(78)(79)으로 삽입함으로써 분할볼트(60)(61)(70)(71)가 조립되도록 한다.
플랜지(64)(65)(74)(75)는 분할볼트(60)(61)(70)(71)에 일체로 형성되며, 체결공구를 결합하기 위한 핀홀(64h)(65h)(74h)(75h)을 플랜지(64)(65)(74)(75)에 형성해서 결합된 분할볼트(60)(61)(70)(71)를 돌릴 때 핀홀(64h)(65h)(74h)(75h)을 이용하도록 한다.
분할볼트(60)(61)(70)(71)는 서로 결합되면서 온전한 형태를 이루게 되며, 분할볼트(60)(61)(70)(71)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도 분할볼트(60)(61)(70)(71)가 결합될 때 연속해서 이어지도록 한다.
분할볼트(60)(61)(70)(71)에 형성된 반원홈(62)(63)(72)(73)을 가로대(22)의 외주면에 밀착시키기 전에 반원홈(62)(63)(72)(73)의 내주면에 혐기성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밀착시키면 가로대(22)가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프링시트(40)(41)(50)(51)와 플랜지(64)(65)(74)(75)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서로 힘의 균형을 이루면서 볼너트(30)(32)를 파이프지지구멍(21)의 중앙에 위치시키는 한 쌍의 균형스프링(80)(82)을 포함한다.
균형스프링(80)(82)은 강선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만든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양측 균형스프링(80)(82)이 힘의 균형을 이루는 지점에서 볼너트(30)(32)가 정지되면서 관통구멍(42)(43)(52)(53)의 중앙에 위치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20)에 형성된 개방슬롯(23)을 통해 가로대(22)를 파이프지지구멍(21)으로 삽입한 다음 가로대(22)를 사이에 두고 분할되어 있던 볼너트(30)(32)를 결합한 후 볼너트(30)(32)를 파이프지지구멍(21)으로 삽입하게 되면, 볼너트(30)(32)의 구면이 파이프지지구멍(21)의 내주면에 선 접촉되면서 지지된다.
이후 분할되어 있던 스프링시트(40)(41)(50)(51)를 가로대(22)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한 다음 지주(20)의 양면에 각각 밀착시키면서 동시에 스프링시트(40)(41)(50)(51)에 형성된 지지편(48h)(49h)(58h)(59h)을 파이프지지구멍(21)으로 삽입하게 되면, 스프링시트(40)(41)(50)(51)에 형성된 관통구멍(42)(43)(52)(53)의 중심과 파이프지지구멍(21)의 중심이 서로 일치된다.
그 다음 균형스프링(80)(82)을 가로대(22)의 양단으로 각각 삽입해서 스프링시트(40)(41)(50)(51)에 밀착시킨 후 분할되어 있던 분할볼트(60)(61)(70)(71)를 가로대(22)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해서 볼너트(30)(32)에 결합해서 돌리게 되면, 분할볼트(60)(61)(70)(71)에 형성된 플랜지(64)(65)(74)(75)에 의해 균형스프링(80)(82)이 압축된다.
이때 스프링시트(40)(41)(50)(51)에 형성된 걸림편(48s)(49s)(58s)(59s)은 균형스프링(80)(82)의 중심이 관통구멍(42)(43)(52)(53)의 중심으로부터 과도하게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스프링시트(40)(41)(50)(51)에 형성된 절곡편(44)(45)(54)(55)은 개방슬롯(23)에 걸리면서 스프링시트(40)(41)(50)(51)의 회전을 방지하고, 스프링시트(40)(41)(50)(51)에 형성된 일부의 지지편(48h)(49h)(58h)(59h)이 파이프지지구멍(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분할볼트(60)(61)(70)(71)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플랜지(64)(65)(74)(75)에 형성된 핀홀(64h)(65h)(74h)(75h)에 체결공구를 걸고 분할볼트(60)(61)(70)(71)를 돌리면 편리하게 분할볼트(60)(61)(70)(71)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20)가 경사로 또는 계단 등에 설치되면서 가로대(22)가 경사지게 기울어지면, 구형으로 된 볼너트(30)(32)가 가로대(22)를 따라 회전되면서 파이프지지구멍(21)의 내주면서 선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양측의 균형스프링(80)(82)은 한쪽으로 편중되게 좌굴 된 형태로 탄성 변형되면서 볼너트(30)(32)가 파이프지지구멍(21)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20 : 지주 21 : 파이프지지구멍
22 : 가로대 23 : 개방슬롯
30,32 : 볼너트 30t,32t : 암나사산
33,34 : 돌출핀 35,36 : 핀구멍
40,41,50,51 : 스프링시트 42,43,52,53 : 관통구멍
44,45,54,55 : 절곡편 46,47,56,57 : 외벽
48h,49h,58h,59h : 지지편 48s,49s,58s,59s : 걸림편
60,61,70,71 : 분할볼트 62,63,72,73 : 반원홈
64,65,74,75 : 플랜지 64h,65h,74h,75h : 핀홀
66,67,76,77 : 보스 68,69,78,79 : 체결공
80,82 : 균형스프링

Claims (3)

  1. 플랫-바 형태의 지주(20)에 두께 방향으로 천공되는 파이프지지구멍(21);
    가로대(22)를 삽입하기 위해 상기 파이프지지구멍(21)의 일측에서 상기 지주(20)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개방슬롯(23);
    상기 파이프지지구멍(21)으로 삽입되어 내주면에 선 접촉되고, 분할라인을 경계로 양측에 반원형의 암나사산(30t)(32t)이 형성되며, 반구형으로 분할되는 볼너트(30)(32);
    상기 파이프지지구멍(21)의 양쪽 모서리에 각각 끼워지고, 중심에 반원형의 관통구멍(42)(43)(52)(53)이 형성되며, 반원링 형태로 분할되는 스프링시트(40)(41)(50)(51);
    상기 볼너트(30)(32)의 양쪽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가로대(22)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반원홈(62)(63)(72)(73)을 갖는 분할볼트(60)(61)(70)(71);
    상기 분할볼트(60)(61)(70)(71)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만나면서 원형을 이루는 부채꼴 모양의 플랜지(64)(65)(74)(75);
    상기 스프링시트(40)(41)(50)(51)와 상기 플랜지(64)(65)(74)(75)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서로 힘의 균형을 이루면서 상기 볼너트(30)(32)를 상기 파이프지지구멍(21)의 중앙에 위치시키는 한 쌍의 균형스프링(80)(82);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난간 체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시트(40)(41)(50)(51)는,
    바깥쪽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원통형의 외벽(46)(47)(56)(57);
    상기 관통구멍(42)(43)(52)(53)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한쪽 방향을 향해 서로 나란하게 절곡되어 상기 파이프지지구멍(21)으로 삽입되는 지지편(48h)(49h)(58h)(59h);
    상기 지지편(48h)(49h)(58h)(59h)과 상반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균형스프링(80)(82)의 중심으로 삽입되는 걸림편(48s)(49s)(58s)(59s);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난간 체결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시트(40)(41)(50)(51)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개방슬롯(23)에 걸리는 절곡편(44)(45)(54)(55);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난간 체결장치.
KR1020180001461A 2018-01-05 2018-01-05 건축용 난간 체결장치 KR101891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461A KR101891109B1 (ko) 2018-01-05 2018-01-05 건축용 난간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461A KR101891109B1 (ko) 2018-01-05 2018-01-05 건축용 난간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109B1 true KR101891109B1 (ko) 2018-08-23

Family

ID=63454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461A KR101891109B1 (ko) 2018-01-05 2018-01-05 건축용 난간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10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500B1 (ko) 2007-01-17 2008-02-14 주식회사강산 경사 지면에 시공되는 울타리를 위한 가로대 각도 조절장치
KR100862894B1 (ko) 2008-04-18 2008-10-13 (주)중동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
KR20090085188A (ko) 2008-02-04 2009-08-07 형진랜드(주) 난간의 가로대 연결구
KR100993547B1 (ko) 2008-06-20 2010-11-10 (주)중동 휀스접합 연결구
KR101028334B1 (ko) * 2010-08-20 2011-04-11 (주)도경이앤씨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의 가로대 연결장치
KR20110067672A (ko) * 2009-12-15 2011-06-22 주식회사강산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
KR20110067671A (ko) * 2009-12-15 2011-06-22 주식회사강산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
KR101473157B1 (ko) 2014-09-18 2014-12-15 주식회사 대일휀스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의 가로대 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500B1 (ko) 2007-01-17 2008-02-14 주식회사강산 경사 지면에 시공되는 울타리를 위한 가로대 각도 조절장치
KR20090085188A (ko) 2008-02-04 2009-08-07 형진랜드(주) 난간의 가로대 연결구
KR100862894B1 (ko) 2008-04-18 2008-10-13 (주)중동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
KR100993547B1 (ko) 2008-06-20 2010-11-10 (주)중동 휀스접합 연결구
KR20110067672A (ko) * 2009-12-15 2011-06-22 주식회사강산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
KR20110067671A (ko) * 2009-12-15 2011-06-22 주식회사강산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
KR101028334B1 (ko) * 2010-08-20 2011-04-11 (주)도경이앤씨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의 가로대 연결장치
KR101473157B1 (ko) 2014-09-18 2014-12-15 주식회사 대일휀스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의 가로대 결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6707B2 (en) Structural members for forming various composite structures
CN111424818A (zh) 一种装配式轻装钢结构建筑梁柱连接结构
KR101891109B1 (ko) 건축용 난간 체결장치
JP2023147147A (ja) 仮設工事用サポート及び仮設工事用サポートの製造方法
CN115680722A (zh) 一种多向可调型装配式锁脚与支护钢架连接器及使用方法
KR20090050778A (ko)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
CN210254901U (zh) 重承载关节轴承安装用三角支架的双工位快捷焊接装置
JP3659401B2 (ja) 構造物における支柱と梁との連結構造
KR101429688B1 (ko) 난간지주 설치용 지지장치
KR102115733B1 (ko)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200487857Y1 (ko) 거푸집 및 철근용 버팀대 전도방지장치
KR20150053735A (ko) 조립식 가설재의 수직기둥 유닛
KR101806000B1 (ko) 서포트 길이 연장용 익스텐더
JP3510807B2 (ja) 柱の締結構造及び方法
JPH0219263B2 (ko)
KR200209567Y1 (ko) 건축용 동바리
JP3981371B2 (ja) トラス構造物とこれを用いた階段
JPH0738488Y2 (ja) 建屋の支持部構造
KR102316745B1 (ko) 수평재 일체형 스마트 h형 동바리 및 이를 이용한 설치방법
US11732481B2 (en) Cantilever stair assembly
KR102196115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가설물용 연결구
JPH076428U (ja) 柵用継手構造
CN116748778A (zh) 一种十字柱对接装置及其对接方法
JPH0410415Y2 (ko)
JP2023125924A (ja) 散気装置の架台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