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492B1 - 실험용 아게이트볼 커버 - Google Patents

실험용 아게이트볼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492B1
KR101642492B1 KR1020150169917A KR20150169917A KR101642492B1 KR 101642492 B1 KR101642492 B1 KR 101642492B1 KR 1020150169917 A KR1020150169917 A KR 1020150169917A KR 20150169917 A KR20150169917 A KR 20150169917A KR 101642492 B1 KR101642492 B1 KR 101642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agate
agate ball
polymer resin
raw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경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69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08Pestle and mort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296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구공이를 이용하여 원석을 분말로 분쇄하는 아게이트볼에 씌워져서 원석분말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에 있어서,
신축성이 있는 고분자수지로 제작되고 상기 절구공이가 상하로 출입하면서 원석의 분쇄가 가능하도록 출입로를 제공하는 커버홀이 일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아게이트볼의 개구부에 대응하게 제작되고 상기 아게이트볼의 개구부를 덮어주어 원석의 분쇄작업시 원석분말의 유실을 방지하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에서 하방 직각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아게이트볼의 개구부 외측의 테두리를 감싸면서 탄성으로 상기 아게이트볼을 잡아주어 상기 덮개부를 상기 아게이트볼에 밀봉시키는 밀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밀봉부를 이용하여 아게이트볼 개구부의 외측 테두리를 덮어씌어서 아게이트볼을 이용하여 원석을 분쇄하는 경우에 원석의 비산을 방지하고, 덮개부를 투명한 재질의 고분자수지로 제작하여 아게이트볼에서 원석의 분쇄시 아게이트볼 내부의 시야확보가 가능하므로 이용자가 분쇄상황을 직접확인 하면서 분쇄하므로 정확한 원석의 분쇄가 가능하며, 덮개부를 신축성 소재로 제작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아게이트볼에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실험용 아게이트볼 커버{AGATE BALL COVER FOR LABORATORY}
본 발명은 실험용 아게이트볼의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쇄된 원석분말의 유실을 방지하는 실험용 아게이트볼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담기 위한 용기는 용기커버가 없거나, 용기의 상단을 덮거나 밀폐하기 위하여 각각의 용기마다 용기의 상단에 맞는 용기커버가 구비된다.
종래에는 용기의 상단을 덮으면서 밀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용기의 측면에 돌출된 고정부가 형성되고, 용기커버의 주연부에 힌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될 수 있는 다수개의 손잡이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용기커버는 각각의 용기의 크기에 맞도록 별도로 제작되어야 하고, 용기를 밀폐하기 위해서 용기의 측면에 별도의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청소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생산이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주지하다시피, 어떠한 형태의 용기든 식품 또는 물품을 수납한 상태에서 그 입구의 뚜껑을 통해 막아주어 식품의 누출 또는 발효를 방지하거나, 물품의 분실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용기를 기밀하게 막아줌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일반적인 용기들은 그 개개별로 자체의 형상에 따른 뚜껑을 가지고 있는 것이므로 하나의 뚜껑으로 다른 용기의 뚜껑을 맞아주지는 못하는 것이었으며, 특히 형상이 다른 용기에는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뚜껑이 존재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즉, 원형의 용기에 사용되는 뚜껑을 4각, 육각, 부정형 등의 용기에는 전혀 덮어주기 조차 어려운 것이었으므로 사용이 매우 제한적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일반적인 용기의 뚜껑은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합성수지 특유의 냄새가 나고, 합성수지로부터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배어나와 인체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예가 선행기술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05-0007601호 `가요성 범용 용기커버`에서 개시 되었다.
개시된 내용은 인체에 무해한 연질, 고신율을 가지는 실리콘 고무를 용기 뚜껑 형상으로 구성하여 용기의 형태에 상관없이 크기만 맞는 것이면 어떠한 용기든 커버할 수 있도록 한 가요성 범용 용기커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실리콘 고무를 원형의 용기뚜껑 형상으로 구성하되, 그 내측벽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밀착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하단부 외주에는 다수의 손잡이를 등간격으로 형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용기커버가 실리콘 재질로 구성된 것이어서 사용자가 늘이는 방향대로 그대로 늘어나게 되므로 원형, 사각형, 육각형, 부정형 등 어떠한 형태의 용기에도 그 크기만 맞으면 적용할 수 있어 사용상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내열성을 가지고 있어 -50℃∼250℃의 넓은 온도범위내에서 그 기능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하여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실험실에서 실험용 원석을 분쇄하여 분말을 만드는 아게이트볼을 사용하여 원석을 분쇄할 경우에 분쇄되는 원석들이 충격에 의해 아게이트볼 밖으로 비산하여 실험현장이 지저분해지거나, 한정된 시료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정량의 원석분말을 제조할 수 없어 다시 여러번 분쇄해서 정량을 맞추는 등의 번거러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386516호(발명의 명칭: 가요성 범용 용기커버)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아게이트볼을 이용하여 원석을 분쇄하는 경우에 원석의 비산을 방지하는 기능이 구비된 실험용 아게이트볼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아게이볼에서 원석의 분쇄시 아게이트볼 내부의 시야확보가 가능한 기능이 구비된 실험용 아게이트볼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커버를 신축성 소재로 제작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아게이트볼에 적용이 가능한 실험용 아게이트볼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험용 아게이트볼 커버는, 절구공이를 이용하여 원석을 분말로 분쇄하는 아게이트볼에 씌워져서 원석분말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에 있어서, 신축성이 있는 고분자수지로 제작되고 상기 절구공이가 상하로 출입하면서 원석의 분쇄가 가능하도록 출입로를 제공하는 커버홀이 일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아게이트볼의 개구부에 대응하게 제작되고 상기 아게이트볼의 개구부를 덮어주어 원석의 분쇄작업시 원석분말의 유실을 방지하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에서 하방 직각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아게이트볼의 개구부 외측의 테두리를 감싸면서 탄성으로 상기 아게이트볼을 잡아주어 상기 덮개부를 상기 아게이트볼에 밀봉시키는 밀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아게이트볼 내부의 시야를 제공하도록 투명한 재질의 고분자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신축성 고분자수지로 제작되며 상기 밀봉부와 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밀봉부의 외주면 둘레의 일부분에 삽입되고, 상기 아게이트볼의 외측 테두리를 잡아주어 상기 밀봉부를 밀착시키는 제1 탄성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분리가능하게 신축성 소재의 고분자수지로 제작되어 상기 밀봉부의 외주면을 따라 감싸면서,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밀봉부를 상기 아게이트볼의 외주면에 재결속시키는 고리모양의 제1 결속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와 일체로 신축성 소재의 고분자수지로 제작되며, 상기 절구공이의 크기에 대응하게 상기 커버홀의 둘레를 따라 상방향을 향해 설정된 길이로 돌출형성시켜서 상기 절구공이가 삽입되는 슬리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신축성 소재의 고분자수지로 제작되며 상기 슬리브와 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 둘레 일부분에 삽입되고, 상기 절구공이의 외주면을 잡아주어 상기 슬리브를 밀착시키는 제2 탄성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분리가능하게 신축성 소재의 고분자수지로 제작되어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을 따라 감싸면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리브를 상기 절구공이의 외주면에 재결속시키는 고리모양의 제2 결속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험용 아게이트볼 커버는, 밀봉부를 이용하여 아게이트볼 개구부의 외측 테두리를 덮어씌어서 아게이트볼을 이용하여 원석을 분쇄하는 경우에 원석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를 투명한 재질의 고분자수지로 제작하여 아게이트볼에서 원석의 분쇄시 아게이트볼 내부의 시야확보가 가능하므로 이용자가 분쇄상황을 직접 확인하면서 분쇄하므로 정확한 원석의 분쇄가 가능하다.
또한, 덮개부를 신축성 소재로 제작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아게이트볼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용 아게이트볼 커버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커버에 제1 결속밴드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상기 커버의 단면도.
도 4는 상기 커버에 슬리브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상기 커버에 제2 결속밴드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슬리브가 형성된 상기 커버의 단면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용 아게이트볼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커버에 제1 결속밴드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상기 커버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커버에 슬리브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상기 커버에 제2 결속밴드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슬리브가 형성된 상기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1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구공이를 이용하여 원석을 분말로 분쇄하는 아게이트볼에 씌워져서 원석분말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에 있어서, 본 발명은 덮개부(100), 밀봉부(200), 제1 탄성밴드(300), 제1 결속밴드(400), 슬리브(500), 제2 탄성밴드(600) 및 제2 결속밴드(7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아게이트볼(20)은 원석이나 약품시료 등을 실험에 적합한 상태로 분쇄하여 분말형태로 만들 수 있도록 그릇이나 사발 모양으로 제작된 것으로 실험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주로 아게이트 원석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상기 덮개부(100)는 신축성이 있는 고분자수지로 제작되고 절구공이(10)가 상하로 출입하면서 원석의 분쇄가 가능하도록 출입로를 제공하는 커버홀(110)이 일부분에 형성되며, 아게이트볼(20)의 개구부에 대응하게 제작되고 아게이트볼(20)의 개구부를 덮어주어 원석의 분쇄작업시 원석분말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덮개부(100)가 없이 원석 분쇄작업을 수행할 경우 원석의 비산으로 실험장소가 지저분해지고 또한 정량의 원석분말의 제조가 쉽지않아 여러번 분쇄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번거롭다.
상기 밀봉부(200)는 덮개부(100)에서 하방 직각으로 돌출형성되고, 아게이트볼(20)의 개구부 외측의 테두리를 감싸면서 탄성으로 아게이트볼(20)을 잡아주어 덮개부(100)를 아게이트볼(20)에 밀봉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밴드(300)는 신축성 고분자수지로 제작되며 밀봉부(200)와 일체를 이루면서 밀봉부(200)의 외주면 둘레의 일부분에 삽입되고, 아게이트볼(20)의 외측 테두리를 잡아주어 밀봉부(200)를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결속밴드(400)는 고리모양의 형상으로 분리가능하게 신축성 소재의 고분자수지로 제작되어 밀봉부(200)의 외주면을 따라 감싸면서, 탄성력에 의해 밀봉부(200)를 아게이트볼(20)의 외주면에 재결속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용자는 신축성 고분자소재의 밀봉부(200)가 아게이트볼(20)의 외측 테두리를 1차로 잡아서 고정해 주고, 2차로 밀봉부(200)와 일체로 삽입된 신축성의 고분자수지인 제1 탄성밴드(300)가 한번더 고정시키고, 마지막으로 또한, 신축성 고분자수지인 제1 결속밴드(400)를 밀봉부 둘레에 밴딩하므로써 완벽한 밀봉이 가능하다.
후술할 슬리브(500)의 고정이나 밀봉방법도 상기와 같이하여 절구공이(10)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슬리브(500)는 덮개부(100)와 일체로 신축성 소재의 고분자수지로 제작되며, 절구공이(10)의 크기에 대응하게 커버홀(110)의 둘레를 따라 상방향을 향해 설정된 길이로 돌출형성시켜서 절구공이(10)가 자유로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밴드(600)는 신축성 소재의 고분자수지로 제작되며 슬리브(500)와 일체를 이루면서 슬리브(500)의 외주면 둘레 일부분에 삽입되고, 절구공이(10)의 외주면을 잡아주어 슬리브(500)를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결속밴드(700)는 고리모양 형상으로 분리가능하게 신축성 소재의 고분자수지로 제작되어 슬리브(500)의 외주면을 따라 감싸면서, 탄성력에 의해 슬리브(500)를 절구공이(10)의 외주면에 재결속시킬 수 있다.
또한, 덮개부(100)는 아게이트볼(20) 내부의 시야를 제공하도록 투명한 재질의 고분자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고분자수지의 소재로는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부타디엔 고무(BR),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R), 폴리우레탄(PU),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4-비닐페놀(P4VP), 폴리스티렌-부타디엔-블록(SBS), 폴리이미드(PI), 폴리우레탄(PU),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카르보네이트/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PC/ABS),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카르보네이트(PC), 나일론,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가교 폴리에틸렌(XLPE), 테트라오르토실리케이트(TEOS),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 폴리이미드, 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SS), 폴리피롤, 폴리아세틸렌, 폴리p-페닐렌, 폴리p-페닐렌 설파이드, 폴리p-페닐렌 비닐렌, 폴리티오펜-폴리티에닐렌비닐렌,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및 폴리비닐알코올(PV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고분자수지들에 빛 투과율을 설정된 범위로 설정하여 투명한 소재의 고분자수지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100)는 부분적으로 투명한 창을 설치하여 아게이트볼(20)의 내부상황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 도 있다.
본 발명 실험용 아게이트볼 커버의 사용방법은, 이용자가 커버(50)의 밀봉부(200)를 신축하여 아게이트볼(20)의 외측 테두리를 에워싸면서 밀봉부(200)에 일체로 삽입된 제1 탄성밴드(300)를 이용하여 덮개부(100)로 아게이트볼(20)의 개구부를 덮어씌우면서 밀봉부(200)를 밀착시킨다.
또한, 이용자는 제1 결속밴드(400)를 이용하여 밀봉부(200)를 한번더 감싸면서 밀봉부(200)를 아게이트볼(20)의 외측 테두리에 견고하게 밀착시켜 원석분말의 비산을 막아 줄 수 있다.
또한, 이용자는 슬리브(500)에 절구공이(10)를 삽입하고 제2 탄성밴드(600)와 제2 결속밴드(700)를 이용하여 슬리브(500)로 절구공이(10)를 잡아주며 투명하고 신축성 소재의 고분자수지로 제작된 덮개부(100)를 통해 아게이트볼(20)의 내부를 관찰하면서, 덮개부(100)가 절구공이(10)의 상하 왕복운동을 따라서 같이 왕복운동 하도록하여 원석분말의 비산을 방지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원석을 분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절구공이
20 : 아게이트볼
50 : 커버
100 : 덮개부
110 : 커버홀
200 : 밀봉부
300 : 제1 탄성밴드
400 : 제1 결속밴드
500 : 슬리브
600 : 제2 탄성밴드
700 : 제2 결속밴드

Claims (7)

  1. 절구공이를 이용하여 원석을 분말로 분쇄하는 아게이트볼에 씌워져서 원석분말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에 있어서,
    신축성이 있는 고분자수지로 제작되고 상기 절구공이가 상하로 출입하면서 원석의 분쇄가 가능하도록 출입로를 제공하는 커버홀이 일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아게이트볼의 개구부에 대응하게 제작되고 상기 아게이트볼의 개구부를 덮어주어 원석의 분쇄작업시 원석분말의 유실을 방지하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에서 하방 직각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아게이트볼의 개구부 외측의 테두리를 감싸면서 탄성으로 상기 아게이트볼을 잡아주어 상기 덮개부를 상기 아게이트볼에 밀봉시키는 밀봉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와 일체로 신축성 소재의 고분자수지로 제작되며, 상기 절구공이의 크기에 대응하게 상기 커버홀의 둘레를 따라 상방향을 향해 설정된 길이로 돌출형성시켜서 상기 절구공이가 삽입되는 슬리브; 및
    신축성 소재의 고분자수지로 제작되며 상기 슬리브와 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 둘레 일부분에 삽입되고, 상기 절구공이의 외주면을 잡아주어 상기 슬리브를 밀착시키는 제2 탄성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아게이트볼의 내부를 관찰 가능하도록 부분적으로 투명한 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용 아게이트볼 커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신축성 고분자수지로 제작되며 상기 밀봉부와 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밀봉부의 외주면 둘레의 일부분에 삽입되고, 상기 아게이트볼의 외측 테두리를 잡아주어 상기 밀봉부를 밀착시키는 제1 탄성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용 아게이트볼 커버.
  4. 청구항 1에 있어서,
    분리가능하게 신축성 소재의 고분자수지로 제작되어 상기 밀봉부의 외주면을 따라 감싸면서,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밀봉부를 상기 아게이트볼의 외주면에 재결속시키는 고리모양의 제1 결속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용 아게이트볼 커버.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분리가능하게 신축성 소재의 고분자수지로 제작되어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을 따라 감싸면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리브를 상기 절구공이의 외주면에 재결속시키는 고리모양의 제2 결속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용 아게이트볼 커버.
KR1020150169917A 2015-12-01 2015-12-01 실험용 아게이트볼 커버 KR101642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917A KR101642492B1 (ko) 2015-12-01 2015-12-01 실험용 아게이트볼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917A KR101642492B1 (ko) 2015-12-01 2015-12-01 실험용 아게이트볼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2492B1 true KR101642492B1 (ko) 2016-07-26

Family

ID=56681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917A KR101642492B1 (ko) 2015-12-01 2015-12-01 실험용 아게이트볼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4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2428A (zh) * 2018-01-17 2018-06-29 杨玲 一种制作擂茶的陶瓷研磨装置
CN108525816A (zh) * 2018-05-29 2018-09-14 贵州大学 一种改造型研钵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8350A (ja) * 1995-10-26 1997-05-06 Shin Etsu Polymer Co Ltd 密封容器の封止具
KR200297873Y1 (ko) * 2002-09-12 2002-12-20 김효정 내용물 비산 방지용 절구
KR200386516Y1 (ko) 2005-03-21 2005-06-13 서우석 가요성 범용 용기커버
JP2014181054A (ja) * 2013-03-19 2014-09-29 Mitsuru Arai 容積可変密閉容器蓋
KR20150009797A (ko) * 2013-07-17 2015-01-27 박옥연 비산 방지용 커버를 구비하는 절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8350A (ja) * 1995-10-26 1997-05-06 Shin Etsu Polymer Co Ltd 密封容器の封止具
KR200297873Y1 (ko) * 2002-09-12 2002-12-20 김효정 내용물 비산 방지용 절구
KR200386516Y1 (ko) 2005-03-21 2005-06-13 서우석 가요성 범용 용기커버
JP2014181054A (ja) * 2013-03-19 2014-09-29 Mitsuru Arai 容積可変密閉容器蓋
KR20150009797A (ko) * 2013-07-17 2015-01-27 박옥연 비산 방지용 커버를 구비하는 절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2428A (zh) * 2018-01-17 2018-06-29 杨玲 一种制作擂茶的陶瓷研磨装置
CN108525816A (zh) * 2018-05-29 2018-09-14 贵州大学 一种改造型研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2492B1 (ko) 실험용 아게이트볼 커버
CN101536833B (zh) 用于封装尤其是化妆品的产品的系统的保护设备
TWI403440B (zh) 蓋子與插塞組合件,蓋子與容器組合件,及包含它們的容器系統
WO2009073290A3 (en) Molded sensor package and assembly method
RU2011129301A (ru) Крышечная часть для емкости
KR20150004424U (ko) 립스틱 화장품용기의 밀폐구조
PH12015501825A1 (en) Thermoformed container with lid
ATE510779T1 (de) Verschlussanordnung mit ventil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PL1971531T3 (pl) Urządzenie zamykające dla pojemnika i pojemnik wyposażony w takie urządzenie
JP2017538565A (ja) 上下部シーリングラバーを有する固定パッキン及び結合テンション凸輪を備えたコンパクト容器
CN1826270A (zh) 带有开启盖和弹性返回的闭锁器
MX365009B (es) Tapa para cerrar un contenedor que comprende un cuello delimitando una abertura y metodo de fabricacion de la misma.
RU2461503C2 (ru) Клапанное удерживающее кольц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787034B1 (ko) 외부를 녹인 함침부재를 더 갖는 화장품
RU2014147989A (ru) Выдачное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KR20140120492A (ko) 매니큐어 용기
US10526128B2 (en) Container comprising treatment mean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ame
CA2786595A1 (en) Combined lip and shoulder seal for threaded cap
KR20190023436A (ko) 화장품 용기
JP4802815B2 (ja) 乾燥樹脂内容器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容器
KR101719427B1 (ko) 화장용 도구
KR101513351B1 (ko)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101695272B1 (ko) 화장품 용기
KR101240030B1 (ko) 밀폐용기용 뚜껑
SE1150357A1 (sv) Plastbehållarstruktu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