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592B1 - 이송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제조설비 - Google Patents

이송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제조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592B1
KR101641592B1 KR1020140180566A KR20140180566A KR101641592B1 KR 101641592 B1 KR101641592 B1 KR 101641592B1 KR 1020140180566 A KR1020140180566 A KR 1020140180566A KR 20140180566 A KR20140180566 A KR 20140180566A KR 101641592 B1 KR101641592 B1 KR 101641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transfer
coil
win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0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2647A (ko
Inventor
박종배
박영택
이기호
박상윤
서만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80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592B1/ko
Publication of KR20160072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2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21C47/242Devices for swinging the coil from horizontal to vertical, or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6Special arrangements with regard to simultaneous or subsequent treatment of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송설비는, 보빈에 소재를 권취하여 코일을 생산하는 권취장치로 상기 보빈을 이송하고, 권취 완료된 상기 코일을 상기 권취장치로부터 배출시키는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코일을 상기 이송장치로부터 분리시켜 전달하는 전달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송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제조설비{Transporting apparatus and coil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thereof}
본 발명은 이송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제조설비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권취장치에 효과적으로 보빈을 공급하고, 권취장치로부터 효과적으로 코일을 배출시키는 이송설비 및 이를 포함하여 코일의 생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코일제조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극박제품으로는 비닐랩, 쿠킹호일, 접착테이프, 휴지, 필름 등이 있으며, 철강 소재로는 비정질 소재(amorphous material)라는 초극박 제품이 있다.
일반적으로 비정질 소재란 비정질 금속, 유리상태의 금속이다. 보통 금속은 작은 결정입자의 모임이지만, 비정질 금속은 원자의 배열이 무질서하고 결정상태로 되어있지 않는 금속을 의미한다.
비정질 극박소재 코일은, 소재공급장치에서 용융된 금속을 연속적으로 냉각장치에 공급하며, 냉각장치에서 급속 냉각된 비정질 극박소재 리본은 권취장치에서 보빈에 권취되어 코일로 제조된다. 보빈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상을 가지며, 좌, 우 방향이 구분되며, 일반적으로 급속 냉각된 비정질 극박소재 리본은 보빈에 흡착되어 권취가 개시된다. 보빈에 비정질 극박소재 리본을 흡착하는 방법으로는 영구자석을 이용하는 방법, 양면 접착테이프를 이용하는 방법, 전자석을 이용하는 방법 및 흡착 공기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6579호(2014.06.13.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권취장치에 효과적으로 보빈을 공급하고, 권취장치로부터 효과적으로 코일을 배출시키는 이송설비 및 이를 포함하여 코일의 생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코일제조설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송설비는, 보빈에 소재를 권취하여 코일을 생산하는 권취장치로 상기 보빈을 이송하고, 권취 완료된 상기 코일을 상기 권취장치로부터 배출시키는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코일을 상기 이송장치로부터 분리시켜 전달하는 전달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보빈이 공급되는 공급위치의 상부로부터 상기 보빈에 소재가 권취되는 권취위치의 상부로 연장되는 이송가이드부재; 상기 이송가이드부재 상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위치 및 상기 권취위치를 왕복이동 가능한 이송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공급위치에서 보빈을 탑재하여 상기 권취위치로 이송하고, 상기 권취위치에서 상기 코일을 탑재하여 상기 전달장치의 일측으로 이송하는 탑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재유닛은, 일단에 회전축을 구비하여 상기 이송유닛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탑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재부재는, 상기 보빈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보빈을 지지 가능한 탑재부가 타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탑재유닛은, 한 쌍의 탑재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탑재부재는, 상기 각각의 탑재부가 상기 보빈의 양쪽 단부측을 지지하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빈은, 길이방향으로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전달장치는, 상기 보빈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달가이드부재; 상기 전달가이드부재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보빈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한 전달유닛; 및 상기 전달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위치 및 상기 코일로부터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대기위치로 전환 가능한 삽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는, 일단은 상기 삽입홀에 삽입 가능하며, 타단은 전환회전축을 구비하여 수평회전 가능한 바 형상의 삽입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삽입바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균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상기 삽입바의 일면에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코일제조설비는, 보빈을 공급하는 보빈공급장치; 상기 보빈에 소재를 연속적으로 권취하여 코일을 생산하는 권취장치; 상기 보빈공급장치로부터 상기 권취장치로 상기 보빈을 이송하며, 상기 권취장치로부터 상기 코일을 배출시키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코일을 상기 이송장치로부터 분리하여 전달하는 전달장치; 및 상기 전달장치의 하부에 배치되며, 승강가능한 안착부를 구비하여 상기 안착부에 상기 코일이 안착되는 안착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송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제조설비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송설비는 보빈을 순차적으로 권취장치로 이송하고, 권취장치에서 권취 완료된 코일을 순차적으로 권취장치로부터 배출하는바, 권취장치는 연속적인 권취작업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일제조설비는 연속 권취에 의해 균일한 품질의 코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극대화 할 수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송설비는 이송장치가 보빈이송작업 및 코일이송작업을 모두 수행하는바, 이송설비의 집약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일제조설비는 그 설비규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코일 제조 공간의 공간활용성이 극대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송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제조설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송설비의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송설비의 이송장치가 보빈을 이송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일권취설비에서 코일이 권취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송설비의 이송장치가 코일을 이송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송설비의 전달장치가 코일을 전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제조설비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비정질 극박소재 리본을 보빈에 권취하여 코일을 제조하는 코일제조설비에 있어서, 비정질 극박소재의 소재 특성상 용융된 금속을 급속 냉각시킨 후 보빈에 권취하여 코일을 생산한다. 용융금속공급장치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용융금속은 냉각롤에 의해 급속 냉각되며, 냉각된 비정질 극박소재 리본은 권취장치에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권취장치는 비정질 극박소재 리본을 보빈에 권취하여 코일을 제조한다. 이하에서는 소재가 보빈에 권취 완료된 상태를 코일로 칭하기로 한다.
비정질 극박소재 리본은 권취장치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므로, 권취장치는 연속적으로 비정질 극박소재 리본을 권취해야 한다. 따라서 권취장치는 2 이상의 권취릴을 구비하여 교대로 권취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정질 극박소재는 소재 특성상 약 30 m/s의 권취속도로 권취장치에서 권취되어야 하는바, 권취장치로의 보빈 공급 및 권취장치로부터의 코일 배출이 신속하게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빈에는 길이방향으로 삽입홀이 형성된다. 권취장치의 권취릴이 삽입홀에 삽입되며, 권취릴의 회전에 따라 보빈이 권취릴과 함께 회전한다. 보빈 일단의 삽입홀은 권취릴의 형상에 대응하고, 타단의 삽입홀은 권취릴의 형상과 상이하게 제작 될 수 있으며, 권취릴의 형상에 대응하는 일단의 삽입홀에만 권취릴이 삽입된다. 권취릴의 형상에 대응하지 않는 타단의 삽입홀은 권취릴과의 결합 용도 외의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즉, 보빈은 방향성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9에서는 외주면에 표시선(M)이 형성된 보빈(5)의 일측이, 권취릴이 삽입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송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제조설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일제조설비(1)는 일측에 배치되어 연속적으로 용융금속을 공급하는 용융금속공급장치(도시 안함) 및 용융금속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용융금속을 금속 냉각하는 냉각롤(60)을 구비한다. 냉각롤(60)에서 냉각된 비정질 극박소재 리본(7)은 권취장치(40)에서 코일로 권취된다. 권취장치(40)는 2 이상의 권취릴(422, 424)을 구비하여 교대로 권취작업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제조설비(1)의 권취장치(40)에는 권취릴(422, 424)이 비정질 극박소재 리본(7)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보빈(5)은 보빈공급장치(10)로부터 공급되며, 보빈공급장치(10)와 권취장치(40) 사이에는 이송설비(3)가 배치된다. 이송설비(3)는 보빈공급장치(10) 상의 공급위치(A)로부터 권취장치(40) 상의 권취위치(B)로 보빈(5)을 이송하며, 코일을 권취위치(B)로부터 전달위치(C)로 이송하는 이송장치(20) 및 이송장치(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전달위치(C)로 이송된 코일을 이송장치(20)로부터 분리하여 코일카(50)로 전달하는 전달장치(30)를 포함한다. 공급위치(A)와 전달위치(C)는 동일한 위치(A=C)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송설비의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송장치(20)는 공급위치(A)의 상부로부터 권취위치(B)의 상부로 연장되는 이송가이드레일(200)을 구비하며, 이송유닛(210)은 이송가이드레일(200) 상에서 공급위치(A) 상부 및 권취위치(B)의 상부 사이를 왕복이동 한다. 이송유닛(210)은 이송가이드레일(200)에 대응하는 이송휠(212)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송유닛(210)에 이송구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도시 안함)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탑재유닛(220)은 이송유닛(2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이송유닛(210)의 왕복이동에 따라 이송유닛(210)과 함께 왕복이동 한다.
탑재유닛(220)은 일단에 회전축(224)을 구비하여 이송유닛(210)의 하부에서 상하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탑재부재(222)를 포함한다. 탑재부재(222)의 타단에는 보빈(5)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탑재부재(222)가 하강회전하여 보빈(5)을 탑재하는 탑재부(226)가 형성될 수 있다. 탑재부재(222)는 갈고리 형상일 수 있다. 탑재유닛(220)은 탑재부재(222)를 한 쌍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한 쌍의 탑재부재(222)는 서로 이격배치되어 보빈(5)의 양쪽 단부측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탑재유닛(220)은 탑재부재(222)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실린더(24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송설비의 이송장치가 보빈을 이송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유닛(210)은 보빈공급장치(10)측으로 이동하며, 그에 따라 이송유닛(210)에 설치된 탑재유닛(220)이 보빈공급장치(10)측으로 이동한다. 탑재유닛(220)이 공급위치(A)의 상부로 이동하면 이송유닛(210)은 이동을 정지하며, 회전실린더(240)의 구동에 따라 탑재부(226)가 공급위치(A)에 위치하도록 탑재부재(222)를 하강한다.
보빈공급장치(10)로부터 공급위치(A)로 공급된 보빈(5)은 탑재부재(222)의 탑재부(226)에 탑재되며, 이송유닛(210)이 권취장치(40)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탑재유닛(220)은 보빈(5)을 탑재한 상태로 권취장치(40)측으로 이동한다. 보빈(5)이 권취위치(B)로 이동하면, 회전실린더(240)에 의해 탑재부재(222)가 상승회전하며, 이에 따라 보빈(5)은 권취장치(40)로 이송된다. 권취장치(40)로 보빈(5)을 이송한 후, 탑재유닛(220)은 권취장치(40)에서 권취 완료된 코일을 탑재하여 전달위치(C)로 이송한다. 전달위치(C)로 코일을 이송한 탑재유닛(220)은 다시 공급위치(A)로 이동하며, 하강회전하여 새로운 보빈(5)을 탑재한다. 전달위치C)와 공급위치(A)가 동일한 경우 이송유닛(210)의 이동 없이 탑재부재(222)의 상승회전 및 하강회전만으로 새로운 보빈(5)을 탑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송설비(3)는 권취장치(40)에 순차적으로 신속하게 보빈(5)을 공급하므로, 권취장치(40)의 연속적인 권취작업이 가능하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일권취설비에서 코일이 권취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장치(40)는 경사면(432)과 지지면(434)이 형성된 가이드프레임(430)을 구하며, 권취위치(B)는 보빈도입위치(B1), 보빈대기위치(B2), 권취개시위치(B3) 및 권취완료위치(B4)로 구분된다. 보빈도입위치(B1)는 보빈(5)이 이송되어오는 경사면(432)측에 형성되며, 보빈대기위치(B2)는 경사면(432)과 지지면(434)이 만나는 지점에 형성된다. 권취개시위치(B3)는 보빈대기위치(B3)의 상부에 형성되며, 권취완료위치(B4)는 권취개시위치(B3)와 보빈도입위치(B1) 사이에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장치(40)는 권취위치(B)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권취유닛(412) 및 제2 권취유닛(414)을 구비하며, 제1 권취유닛(412)의 제1 권취릴(422)과 제2 권취유닛(414)의 제2 권취릴(424)이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제조설비(1)에서 코일이 권취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탑재부재(222)에 탑재되어 이송된 제1 보빈(5)은 보빈도입위치(B1)에서 탑재부재(222)로부터 분리된다. 보빈도입위치(B1)의 제1 보빈(5)은 자중에 의해 가이드프레임(430)의 경사면(432)을 따라 보빈대기위치(B2)로 이동한다. 보빈대기위치(B2)에서 제1 권취릴(422)이 제1 보빈(5)의 삽입홀에 삽입되며, 제1 권취릴(422)이 삽입된 제1 보빈(5)은 제1 권취릴(422)과 함께 권취개시위치(B3)로 이동한다. 권취개시위치(B3)에 도달한 제1 보빈(5)의 외주면에는 냉각롤(60)로부터 공급되는 비정질 극박소재 리본(7)이 흡착되며, 동시에 제1 권취릴(422)이 회전하여 제1 보빈(5)의 권취가 개시된다.
제1 보빈(5)이 보빈대기위치(B2)에서 권취개시위치(B3)로 이동하는 동안 제2 보빈(5')이 보빈도입위치(B1)로 공급되어 보빈대기위치(B2)로 이동하며, 보빈대기위치(B2)로 이동한 제2 보빈(5')에 제2 권취릴(424)이 삽입된다.
제1 권취릴(422)은 권취개시위치(B3)에서 권취완료위치(B4)로 이동하며 비정질 극박소재 리본(7)을 제1 보빈(5)에 권취하며, 권취완료위치(B4)에서 제1 보빈(5)의 권취를 완료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권취완료위치(B4)측에는 비정질 극박소재 리본(7)을 절단하는 커터유닛이 배치된다. 커터유닛은 제1 보빈(5)의 권취 완료 후, 제1 보빈(5)에 공급되는 비정질 극박소재 리본(7)을 절단한다.
제2 권취릴(424)은 제1 권취릴(422)이 권취개시위치(B3)에서 권취완료위치(B4)로 이동하는 동안 권취개시위치(B3)로 이동한다. 제1 보빈(5)으로부터 절단된 비정질 극박소재 리본(7)의 선단은 제2 보빈(5')에 흡착되며, 동시에 제2 권취릴(424)이 회전하여 제2 보빈(5')의 권취가 개시된다. 이후 전술한 과정들이 반복되며, 이에 따라 권취장치(40)는 냉각롤(60)로부터 공급되는 비정질 극박소재 리본(7)을 연속적으로 권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일제조설비(1)는 권취장치(40)에서 연속적인 권취작업을 수행하므로, 코일의 품질 균일성이 확보된다. 또한, 제1 권취릴(422)의 권취작업 중 제1 보빈(5)에 권취되는 비정질 극박소재 리본(7)이 끊어지는 경우, 신속히 대기하고 있는 제2 보빈(5')을 권취개시위치(B3)로 이동시켜서 권취작업을 계속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제조설비(1)의 생산성이 극대화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송설비의 이송장치가 코일을 이송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재유닛(220)은 권취완료위치(B4)의 상부에서 하강회전하여 코일을 탑재하며, 이동유닛(210)의 이동에 따라 전달위치(C)로 코일을 이송한다. 코일의 보빈이 탑재부(226)에 거치된 후 삽입홀에 삽입되었던 권취릴(422, 424)은 삽입홀로부터 분리된다. 전달위치(C)에서 전달장치(30)의 삽입부재(320)가 삽입홀에 삽입된 후, 탑재부재(222)는 상승회전하여 전달장치(30)로 코일을 전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송설비(3)는 권취장치(40)에서 권취 완료된 코일을 순차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권취장치(40)는 권취릴(422, 424)에 새로운 보빈(5, 5')을 신속히 체결하여 연속적인 권취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송설비의 전달장치가 코일을 전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달위치(C)에 대응하는 이송장치의 일측에는 전달장치(30)가 배치되며, 전달장치(30)의 일측 하부에는 안착장치가 배치된다. 안착장치는 코일카(50)일 수 있다.
전달장치(30)는 보빈(5)의 길이방향과 나란히 전달가이드부재(300) 및 전달가이드부재(300) 상에 배치되어 보빈(5)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전달유닛(310)을 포함한다. 전달가이드부재(300)는 레일일 수 있으며, 전달유닛(310)은 전달가이드부재(300)에 대응하는 전달휠(312)을 구비할 수 있다. 전달유닛(310)은 전달유닛(310)에 이동구동력 제공하는 전달모터(도시 안함)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전달장치(30)는 전달위치(C)에 위치하는 코일의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부재(320)를 구비한다. 삽입부재(320)는 일단이 삽입홀에 삽입되어 코일을 지지하는 삽입바(322), 삽입바(322)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며 균형추 역할을 수행하는 균형부재(324) 및 삽입바(322)와 균형바(324) 사이에 배치되는 전환회전축(326)을 구비한다. 전환회전축(326)은 전달유닛(31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균형부재(324)는 바 형상의 균형바일 수 있다.
전달유닛(310)은 전환회전축(326)에 수평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수평회전모터(도시 안함)를 더 구비하며, 이에 따라 삽입바(322) 및 균형바(324)는 전환회전축(326)을 중심으로 수평회전할 수 있다. 삽입부재(320)는 삽입홀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삽입바(322)의 일면에는 코일의 하중 및 전달작업에서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삽입바(322)를 보호하는 완충부재(도시 안함)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장치(20)에 의해 코일이 전달위치(C)로 이송되면, 전달유닛(310)은 코일측으로 이동한다. 전달유닛(310)의 이동에 따라 삽입부재(320)가 대기위치에서 삽입위치로 이동하며, 삽입위치에서 삽입부재(320)가 삽입홀에 삽입된다. 삽입부재(320)가 삽입홀에 삽입된 후 탑재부재(222)는 상승회전하며, 코일은 삽입부재(320)에 의해 지지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재(320)는 삽입홀에 삽입되어 코일을 지지하는 상태로 수평회전한다. 삽입부재(320)이 수평회전한 후, 전달유닛(310)은 코일카(50)측으로 이동한다. 삽입부재(320)의 수평회전 및 전달유닛(310)의 코일카(50)측으로의 이동의 선후관계는 주변 설비와의 간섭상황 등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달유닛(310)이 코일카(50)측으로 이동한 후에 삽입부재(320)가 수평회전 하는 것도 이에 포함된다.
삽입부재(320)의 수평회전 및 전달유닛(310)의 이동에 따라 삽입바(322)에 지지되는 코일은 코일카(50)의 상부에 위치한다. 코일카(50)의 안착부(510)는 상부의 코일을 향해 승강하여 코일을 밀착 지지한다. 코일카(50)의 안착부(510)에 코일이 지지된 후 전달유닛(310)은 이송장치(20)측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삽입홀로부터 삽입바(322)가 분리된다. 삽입바(322)의 분리 후, 코일카(50)는 코일을 적재하는 적재위치로 이동하며, 코일이 적재위치에 적재한다. 적재위치에 적재를 완료한 후 안착부(510)는 하강하며, 코일카(50)는 전달유닛(310)의 하부측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송설비(3)는 이송장치(20)가 왕복이동하여 보빈(5) 이송 및 코일을 이송을 모두 수행하므로, 권취장치(40)에서 권취 완료된 코일을 이송하는 추가적인 이송라인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코일제조설비(1)의 설비 집약도가 높아지며, 그에 따라 코일 제조 공장의 공간활용성이 극대화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코일제조설비 3: 이송설비 5, 5': 보빈
7: 비정질 극박소재 리본 10: 보빈공급장치 20: 이송장치
30: 전달장치 40: 권취장치 50: 코일카
60: 냉각롤 200: 이송가이드레일 210: 이송유닛
212: 이송휠 220: 탑재유닛 222: 탑재부재
224: 회전축 226: 탑재부 240: 회전실린더
300: 전달가이드부재 310: 전달유닛 312: 전달휠
320: 삽입부재 322: 삽입바 324: 균형부재
326: 전환회전축 412: 제1 권취유닛 414: 제2 권취유닛
422: 제1 권취릴 424: 제2 권취릴 430: 가이드프레임
432: 경사면 434: 지지면 510: 안착부

Claims (10)

  1. 보빈이 공급되는 공급위치 및 복수의 권취릴을 구비하여 교대로 상기 보빈에 소재를 권취하는 권취장치 사이를 왕복 이동 가능하며, 상기 공급위치로부터 상기 권취릴에 상기 보빈을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권취릴에서 권취 완료된 코일을 순차적으로 상기 공급위치측으로 전달하는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코일을 상기 이송장치로부터 분리시켜 전달하는 전달장치를 포함하는 이송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공급위치의 상부로부터 상기 보빈에 소재가 권취되는 권취위치의 상부로 연장되는 이송가이드부재;
    상기 이송가이드부재 상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위치 및 상기 권취위치를 왕복이동 가능한 이송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공급위치에서 보빈을 탑재하여 상기 권취위치로 이송하고, 상기 권취위치에서 상기 코일을 탑재하여 상기 전달장치의 일측으로 이송하는 탑재유닛을 포함하는, 이송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유닛은,
    일단에 회전축을 구비하여 상기 이송유닛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탑재부재를 포함하는, 이송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재는,
    상기 보빈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보빈을 지지 가능한 탑재부가 타단에 형성된, 이송설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유닛은,
    한 쌍의 탑재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탑재부재는,
    상기 각각의 탑재부가 상기 보빈의 양쪽 단부측을 지지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이송설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길이방향으로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전달장치는,
    상기 보빈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달가이드부재;
    상기 전달가이드부재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보빈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한 전달유닛; 및
    상기 전달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위치 및 상기 코일로부터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대기위치로 전환 가능한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이송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일단은 상기 삽입홀에 삽입 가능하며, 타단은 전환회전축을 구비하여 수평회전 가능한 바 형상의 삽입바를 포함하는, 이송설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삽입바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균형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송설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상기 삽입바의 일면에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송설비.
  10. 보빈을 공급하는 보빈공급장치;
    2 이상의 권취릴을 구비하여 상기 보빈에 소재를 연속적으로 권취하는 권취장치;
    상기 보빈공급장치 및 상기 권취장치 사이를 왕복 이동 가능하며, 상기 보빈공급장치로부터 상기 권취장치로 상기 보빈을 순차적으로 이송하며, 상기 권취장치로부터 권취 완료된 코일을 순차적으로 배출시키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코일을 상기 이송장치로부터 분리하여 전달하는 전달장치; 및
    상기 전달장치의 하부에 배치되며, 승강가능한 안착부를 구비하여 상기 안착부에 상기 코일이 안착되는 안착장치를 포함하는 코일제조설비.

KR1020140180566A 2014-12-15 2014-12-15 이송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제조설비 KR101641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566A KR101641592B1 (ko) 2014-12-15 2014-12-15 이송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제조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566A KR101641592B1 (ko) 2014-12-15 2014-12-15 이송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제조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647A KR20160072647A (ko) 2016-06-23
KR101641592B1 true KR101641592B1 (ko) 2016-07-21

Family

ID=56353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0566A KR101641592B1 (ko) 2014-12-15 2014-12-15 이송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제조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5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512B1 (ko) * 2018-01-25 2018-08-28 고완세 실링재 테이프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0209U (ko) * 1978-10-19 1980-04-24
JP3769744B2 (ja) * 1996-10-28 2006-04-26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コイル巻取装置およびコイル巻取・巻戻装置
KR20040096470A (ko) * 2004-09-18 2004-11-16 (주)대명티엠에스 슬리팅 머신의 권취 장치
KR101406579B1 (ko) 2012-12-21 2014-06-1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512B1 (ko) * 2018-01-25 2018-08-28 고완세 실링재 테이프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647A (ko)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42295B (zh) 多层铺布机和多层铺布系统
KR102098091B1 (ko)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
JP2010000692A (ja)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及び方法
CN1847486A (zh) 纤维机
JP2009039951A (ja)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自動化システム
CN104627711A (zh) 胎体切割和卷绕装置
JP2020097489A (ja) ウェブ状の材料を巻き取りかつ巻成体を交換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N109262727A (zh) 全自动分切机
KR101641592B1 (ko) 이송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제조설비
CN104071638A (zh) 络筒横动导纱装置
JPH08259108A (ja) 電線巻取装置
JP2009066917A (ja)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
JP4504551B2 (ja) 一括搬送巻線装置および一括搬送巻線方法
JPH06224063A (ja) 自動巻線機
JP2012111078A (ja) ゴム部材の供給貼付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タイヤ用部材の成形方法
US5799896A (en) Multiple dynamo-electric machine parts handling and winding methods and apparatus
JP3662375B2 (ja) 帯状材料の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CN108394112A (zh) 一种具有自动牵引、纠偏功能的钢丝圈缠绕制作装置
KR101629759B1 (ko) 보빈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제조설비
JP4136734B2 (ja) 線材コイルの結束方法および線材コイルの結束装置
KR20180110390A (ko) 반복 이송장치를 구비한 샤프트암과 편심캠을 이용한 잉곳 틸팅장치
CN221175960U (zh) 绕线装置
KR20060125121A (ko) 비드 스파이럴 랩핑장치
JP4391654B2 (ja) 溶接機用トランス巻線装置およびトランスの製造方法
KR101495150B1 (ko) 샤프트암과 편심캠을 이용한 잉곳 틸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