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579B1 -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 - Google Patents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579B1
KR101406579B1 KR1020120151568A KR20120151568A KR101406579B1 KR 101406579 B1 KR101406579 B1 KR 101406579B1 KR 1020120151568 A KR1020120151568 A KR 1020120151568A KR 20120151568 A KR20120151568 A KR 20120151568A KR 101406579 B1 KR101406579 B1 KR 101406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rphous material
winding
air
apparatus body
devic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무림
이근화
정동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51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8Drums or other coil-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04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정질 소재를 권취하도록 제공되는 원통형의 장치몸체 및 비정질 소재와 상기 장치몸체 사이의 공간에 에어를 흡입하여, 상기 장치몸체의 둘레를 따라 비정질 소재가 흡착되도록, 상기 장치몸체에 설치되는 소재 흡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재 흡착부는, 상기 장치몸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원통형의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되며, 비정질 소재와 상기 흡착판 사이의 에어가 흡입되는 통공 및 상기 장치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통공과 에어를 흡입하는 에어흡입부간에 연결되며 배치되는 에어유로를 포함하는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비정질 소재가 권취롤의 표면에 흡착되어 권취롤의 둘레를 따라 안정적으로 권취됨은 물론, 냉각롤과 권취롤의 권취 레벨을 일치시켜 권취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Bobbin for coilling amorphous material}
본 발명은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권취롤 주변의 에어를 흡입하여 비정질 소재가 권취롤 표면에 흡착되며, 권취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권취되도록 구성된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정질 소재(amorphous material)란 비정질금속. 유리상태의 금속을 말한다. 보통 금속은 작은 결정 입자의 모임인데, 아모퍼스 금속은 원자의 배열이 무질서하고 결정상태로 되어 있지 않는 금속이다.
이는 용해된 금속을 급속 냉각시켜서 만드는데, 비정질 상태이므로 일반 결정금속과는 다른 특성을 갖는다. 즉 부식이 스텐리스의 1백만분의 1에 불과하며, 섭씨 400∼500℃ 의 열을 가하면 결정으로 돌아가는 특징도 있으며, 자기 특성을 지니면서도 단단하다.
테이프 레코더나 VTR의 자기헤드 재료로 사용되며 변압기의 철심으로 이용하면 자체소모전력이 크게 줄어들게 한다.
이러한 비정질 소재(통상 리본 형상)를 제조하기 위한 급냉 응고법에는 단롤법 및 쌍롤법 등이 있으나,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단롤법이다.
이 단롤법은 용융 금속을 고속 회전하고 있는 냉각롤 표면에 분출시켜, 이 냉각롤상에서 급냉 응고시켜 연속적으로 비정질 소재를 얻는 방법이다. 공업적 규모로 제조할 때는 통상 이 급냉 응고된 비정질 소재를 권취하거나 하여 회수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지금까지 비정질 소재를 주조 직후에 온라인으로 권취하는 권취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 및 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권취롤을 사용하여 권취롤의 회전에 의해 권취하는 방법 및 장치가 채용되어 있다.
여기서 종래의 비정질 소재의 권취 방식에는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방법, 양면 접착테이프를 사용하는 방법, 전자석 방식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런데 영구자석을 이용하는 방식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권취롤 근처에 고속의 기류층이 생성되는데, 이 기류층으로 인하여 비정질 소재가 권취롤의 표면에 붙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방식은 권취 성공 후 다시 리본을 재권취를 할 때, 자석의 흡인력에 의해 떼어내기 힘들고, 각종 부스러기 먼지의 영향 등에서 자유롭지 못하여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않은 방식이다.
그리고 종래 기술(출원번호 제 10-2010-0136039 호)로서, 도 1에 도시된 발명과 같이, 전기접촉자(140)를 통한 전자석을 사용하는 방식도 있는데, 전자석은 영구자석에 비해 전기를 인가하거나 하지 않는 방법으로 권취 후의 탈착 등이 용이한 반면, 전기를 이용하여 자기장을 구성하는 방법은 권취롤(120)의 관성모멘트를 크게하여 권취롤(120)의 회전속도의 동기화를 위한 속도제어를 힘들게 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도 1의 미설명 도면부호는 각각 턴디쉬(101), 냉각롤(102), 박리나이프(110), 가이드부재(131_133), 103(리본;비정질 소재)임)
또한 양면테이프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는데, 양면테이프의 방식은 잡기가 힘들고 부착될 때 비정질 소재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로 인해 부착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며, 잘못된 방향을 붙었을 때 비정질 소재의 진직도에 영향주어 리본 형상의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비정질 소재를 권취하게 되면 권취롤의 직경이 점점 커지게 되므로,냉각롤과 권취롤간의 일정한 간격을 두어 간섭을 피해야 하는데,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냉각롤(210)과 권취롤(220)간에 컨베이어 벨트(231,232) 방식을 이용하여 비정질 소재를 이송시키기도 하였다.
그런데 이 경우 컨베이어 벨트(231)와 컨베이어 벨트(232) 사이를 뛰어 넘도록 구현하기 어렵고, 또 컨베이어 벨트(231,232)의 진동으로 인해 비정질 소재가 손상되거나 권취롤(220)에 잘 감기기 않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비정질 소재가 권취롤의 표면에 흡착되어 권취롤의 둘레를 따라 안정적으로 권취됨은 물론, 냉각롤과 권취롤의 권취 레벨을 일치시켜 권취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비정질 소재를 권취하도록 제공되는 원통형의 장치몸체 및 비정질 소재와 상기 장치몸체 사이의 공간에 에어를 흡입하여, 상기 장치몸체의 둘레를 따라 비정질 소재가 흡착되도록, 상기 장치몸체에 설치되는 소재 흡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재 흡착부는, 상기 장치몸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원통형의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되며, 비정질 소재와 상기 흡착판 사이의 에어가 흡입되는 통공 및 상기 장치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통공과 에어를 흡입하는 에어흡입부간에 연결되며 배치되는 에어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공의 형상은 ∧ 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치몸체가 회전하며 비정질소재를 권취토록, 상기 장치몸체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장치몸체를 승강토록,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승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부는, 장치베이스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승강실린더 및 상부는 상기 구동모터가 배치되고 하부는 상기 승강실린더의 로드 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승강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장치몸체를 승강시키는 승강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의 일 실시예는 권취룰 주변부의 에어를 흡입하여 비정질 소재가 권취롤 표면에 흡착되도록 함으로써, 비정질 소재가 안정적으로 권취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권취롤을 승강시킴으로써, 냉각롤에서 나이프부재에 의해 박리되어 권출되는 비정질 소재에 대한 권취 높이를 비교적 수평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권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전기 접촉자를 이용하여 비정질 소재를 권취하는 방식이 도시된 개략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비정질 소재를 냉각롤에서 권취롤까지 이송하는 방식이 도시된 개략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에 의한 일 실시예가 비정질 소재의 권취장치에 배치된 상태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에 의한 일 실시예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발명에서 장치몸체 및 소재 흡착부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발명이 비정질 소재를 권취하는 상태가 도시된 부분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인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8a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에서 에어를 분사하여 이송층류를 형성하며 냉각롤에서 박리되어 나오는 비정질 소재를 권취롤까지 수평하게 이송시키는 상태가 도시된 작동상태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발명에서 진공 흡착을 진행하여 비정질 소재를 권취롤에 부착시키는 상태가 도시된 작동상태도이다.
도 8c는 도 8b에 도시된 발명에서 권취롤에 비정질 소재가 감김에 따라 냉각롤과 권취롤간의 비정질 소재의 이동 높이를 일치시키기 위해 승강부를 작동시킨 상태가 도시된 작동상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비정질 소재가 권취롤의 표면에 흡착되어 권취롤의 둘레를 따라 안정적으로 권취됨은 물론, 냉각롤과 권취롤의 권취 레벨을 일치시켜 권취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기초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인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에 의한 일 실시예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발명에서 장치몸체 및 소재 흡착부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정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발명이 비정질 소재를 권취하는 상태가 도시된 부분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의 일 실시예는 비정질 소재를 권취하도록 제공되는 원통형의 장치몸체(70) 및 비정질 소재와 상기 장치몸체(70) 사이의 공간에 에어를 흡입하여, 상기 장치몸체(70)의 둘레를 따라 비정질 소재가 흡착되도록, 상기 장치몸체(70)에 설치되는 소재 흡착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장치몸체(70)는 회전하여 비정질 소재를 권취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장치몸체(70)의 일측 중앙부에는 상기 장치몸체(7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75)에 연결되는 회전축(75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재 흡착부(50)는 상기 장치몸체(70)에 설치되며, 상기 장치몸체(70) 주변의 에어를 흡입하여 비정질 소재가 상기 장치몸체(70)의 표면에 흡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상기 소재 흡착부(50)는 흡착판(51), 통공(53), 에어유로(55), 에어흡입부(57) 및 로터리 조인트(5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흡착판(51)은 상기 장치몸체(7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비정질 소재가 흡착되어 접촉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통공(53)은 상기 흡착판(5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되며, 비정질 소재와 상기 흡착판(51) 사이의 에어가 흡입되는 구멍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유로(55)는 상기 장치몸체(70)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흡착판(51)상에 배치된 복수개의 통공(53)과 외부에 배치된 에어흡입부(57)를 연결하며 상기 통공(53)으로부터 흡입된 에어가 상기 에어흡입부(57)로 유동하는 통로일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공(53)으로부터 흡입된 에어는 상기 장치몸체(70)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에어유로(55)를 따라 상기 에어흡입부(57)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장치몸체(70)는 상기 구동모터(75)에 의해 회전되도록 제공되므로, 상기 에어흡입부(57)와의 연결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장치몸체(70)와 상기 에어흡입부(57)는 로터리 조인트(59)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조인트(59)에 의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장치몸체(7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에어흡입부(57)는 회전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통공(53)은 상기 장치몸체(7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된 흡착판(51)에 복수개의 ∧ 형상(쐐기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통공(53)은 원형이나 타원형으로도 제공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비정질 소재의 선단부가 상기 흡착판(51)의 표면에 안착되지 못할 수 있다.
즉 비정질 소재의 선단부가 상기 원형의 통공(53)과 통공(53)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에어를 흡입하더라도 비정질 소재의 선단부와 상기 흡착판(51) 사이의 공간의 에어가 완전히 흡입되지 못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권취가 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상기 통공(53)이 상기 장치몸체(70)의 폭 방향으로 일자 형상을 이루며 배치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이때 만약 상기 통공(53)이 ∧ 형상을 이루는 경우에는 상기 흡착판(51)상에서 복수개의 통공(53)이 서로 겹치게 배치되므로, 비정질 소재의 선단부가 상기 ∧ 형상의 통공(53)과 통공(53)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비정질 소재의 선단부 일부는 반드시 에어 흡입을 통해 상기 흡착판(51)의 표면에 흡착되게 된다. 그리고 비정질 소재의 나머지 부분도 비정질 소재의 일부가 흡착되며 감김에 따라, 연이어 상기 흡착판(51)의 둘레에 흡착되게 된다.
여기서 도 7a 및 도 7b에는 상기 통공(53)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즉 상기 통공(53)은 도 7a에서와 같이, 상기 흡착판(51)의 양측에 한 쌍의 V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도 7b에서와 같이, 상기 흡착판(51)에 W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복수개의 통공(53)은 서로 겹치며 지그재그로 배치되므로, 비정질 소재의 선단부 흡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의 일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롤(20)과 상기 장치몸체(70)간에 비정질 소재가 수평하게 권취되도록, 상기 장치몸체(70)에 연결되고 상기 장치몸체(70)를 승강토록 제공되는 승강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승강부(60)는 승강판(63) 및 승강실린더(6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승강판(63)의 상부에는 상기 장치몸체(7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75)와 베어링유닛(73)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판(63)의 승강에 대응하여 상기 장치몸체(70) 전체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승강판(63)의 하단에는 장치베이스(90)상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승강실린더(61)의 로드 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냉각롤(20)과 상기 장치몸체(70)간에 비정질 소재의 수평적인 권취를 위해 상기 승강판(63)을 상하이동토록 제공될 수 있다. 비정질 소재가 상기 냉각롤(20)과 상기 장치몸체(70)간에 수평하게 권취된다면, 권취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인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에 의한 일 실시예가 비정질 소재의 권취장치에 배치된 상태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8a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에서 에어를 분사하여 이송층류를 형성하며 냉각롤에서 박리되어 나오는 비정질 소재를 권취롤까지 수평하게 이송시키는 상태가 도시된 작동상태도이며,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발명에서 진공 흡착을 진행하여 비정질 소재를 권취롤에 부착시키는 상태가 도시된 작동상태도이고, 도 8c는 도 8b에 도시된 발명에서 권취롤에 비정질 소재가 감김에 따라 냉각롤과 권취롤간의 비정질 소재의 이동 높이를 일치시키기 위해 승강부를 작동시킨 상태가 도시된 작동상태도이다.
우선 도 3를 참고하여, 본 발명인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이 배치되는 비정질 소재의 권취장치의 구성도를 살펴보면, 상기 냉각롤(20)은 턴디쉬(8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턴디쉬(81)의 노즐(82)에서 배출되는 용강을 급냉시켜 비정질 소재로 변환시키며 권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상기 냉각롤(20)은 일반적인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이프부재(30)는 상기 냉각롤(20)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유압실린더(33)의 로드 단부에 장착되어 유압실린더(33)의 구동에 의해 상기 냉각롤(20)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장치몸체(70)는 상기 냉각롤(20)에서 소정 거리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장치몸체(70)는 비정질 소재를 용이하게 권취하도록 상기 냉각롤(2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나, 이 경우 상기 냉각롤(20)과 상기 장치몸체(70)간에 온도에 의한 상호 간섭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냉각롤(20)은 용강을 급냉시켜야 하므로 상당한 저온을 형성하고 있는데, 만약 상기 냉각롤(20)과 상기 장치몸체(70)간의 배치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상기 냉각롤(20)에서 상기 권취롤(50)로 이송 중인 비정질 소재의 온도를 변화시켜 비정질 소재의 연성 및 유동성을 균일하지 않게 하여, 결과적으로는 상기 장치몸체(70)에서 비정질 소재를 권취하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치몸체(70)는 상기 냉각롤(20)의 저온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거리까지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롤(20)에 감겨 있던 비정질 소재는 상기 냉각롤(2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냉각롤(2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냉각롤(20) 방향으로 전진된 상기 나이프부재(30)에 의해 박리되어 리본 형상으로 상기 장치몸체(70)에 감기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층류 형성부재(40)는 상기 냉각롤(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냉각롤(20)에서 상기 장치몸체(70) 방향으로 이송층류를 형성하여 비정질 소재가 이송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층류의 작동유체는 에어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송층류 형성부재(40)는 에어공급부(41) 및 상기 냉각롤(20)의 하부에서 상기 권취롤(5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배치된 에어노즐(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노즐(43)은 비정질 소재의 리본 형상의 폭에 대응하여 수평하게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층류 형성부재(40)에 의해 상기 장치몸체(70) 방향으로 이송된 비정질 소재는 상기 장치몸체(70)에 감기게 되는데, 이때 상기 장치몸체(70)는 비정질 소재를 흡착하여 권취하게 된다.
다음 도 8a 내지 도 8c를 참고하여, 본 발명인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이 비정질 소재의 권취장치에 배치되어 비정질 소재를 권취하는 전반적인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우선 작업자는 상기 턴디쉬(81)의 노즐(82)을 개방하여 상기 냉각롤(20)로 용강을 유입시킨다. 상기 냉각롤(20)에서는 급냉과정을 통해 용강을 비정질 소재로 변환시킨다.
다음 작업자는 유압실린더(33)를 구동하여 상기 나이프부재(30)를 상기 냉각롤(20) 방향으로 전진시킨다. 그리고 상기 냉각롤(20)을 회전시키며, 비정질 소재가 상기 나이프부재(30)에 의해 소정 두께로 박리되도록 한다. 이때 비정질 소재는 리본 형상을 이루게 될 것이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이송층류 형성부재(40)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공급부(41)를 통해 상기 에어노즐(43)로 압축된 고압의 에어가 공급되고, 상기 에어노즐(43)로 공급된 고압의 에어는 상기 냉각롤(20)에서 상기 장치몸체(70) 방향으로 분사되며 이송층류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나이프부재(30)에 의해 박리된 비정질 소재는 이송층류를 따라 상기 냉각롤(20)에서 상기 장치몸체(70)까지 수평하게 이송되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 에어흡입부(57)를 작동시켜 상기 흡착판(51)의 통공(53)을 통해 에어가 흡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장치몸체(70)의 주변부까지 이송층류에 의해 도달된 비정질 소재는 기압차로 인해 상기 흡착판(51)의 둘레에 부착되게 된다.
작업자는 이제 구동모터(75)를 구동하여 상기 장치몸체(70)를 회전시키며, 비정질 소재를 서서히 권취하도록 한다.
비정질 소재가 서서히 권취되는 동안, 상기 냉각롤(20)과 상기 장치몸체(70)간의 수평 위치가 맞지 않게 된다. 상기 장치몸체(70)에 리본 형상의 비정질 소재가 지속적으로 권취됨에 따라 감긴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이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승강실린더(61)를 작동시켜, 상기 장치몸체(70)의 위치를 상기 냉각롤(20)에서 박리되는 비정질 소재의 수평 위치에 대응하여 상향 조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냉각롤(20)과 상기 장치몸체(70) 사이에서 비정질 소재는 안정적으로 이송되며 권취되므로, 권취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동을 통해 비정질 소재가 권취롤의 표면에 흡착되어 권취롤의 둘레를 따라 안정적으로 권취됨은 물론, 냉각롤과 권취롤의 권취 레벨을 일치시켜 권취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사항은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20...냉각롤 30...나이프부재
33...유압실린더 40...이송층류 형성부재
41...에어공급부 43...에어노즐
50...소재 흡착부 51...흡착판
53...통공 55...에어유로
57...에어흡입부 59...로터리 조인트
60...승강부 61...승강실린더
63...승강판 70...장치몸체

Claims (6)

  1. 비정질 소재를 권취하도록 제공되는 원통형의 장치몸체; 및
    비정질 소재와 상기 장치몸체 사이의 공간에 에어를 흡입하여, 상기 장치몸체의 둘레를 따라 비정질 소재가 흡착되도록, 상기 장치몸체에 설치되는 소재 흡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재 흡착부는,
    상기 장치몸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원통형의 흡착판;
    상기 흡착판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되며, 비정질 소재와 상기 흡착판 사이의 에어가 흡입되는 통공; 및
    상기 장치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통공과 에어를 흡입하는 에어흡입부간에 연결되며 배치되는 에어유로;
    를 포함하는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의 형상은 ∧ 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몸체가 회전하며 비정질소재를 권취토록, 상기 장치몸체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장치몸체를 승강토록,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장치베이스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승강실린더; 및
    상부는 상기 구동모터가 배치되고 하부는 상기 승강실린더의 로드 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승강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장치몸체를 승강시키는 승강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
KR1020120151568A 2012-12-21 2012-12-21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 KR101406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568A KR101406579B1 (ko) 2012-12-21 2012-12-21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568A KR101406579B1 (ko) 2012-12-21 2012-12-21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6579B1 true KR101406579B1 (ko) 2014-06-13

Family

ID=51132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568A KR101406579B1 (ko) 2012-12-21 2012-12-21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5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759B1 (ko) 2014-12-15 2016-06-13 주식회사 포스코 보빈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제조설비
KR20160072647A (ko) 2014-12-15 2016-06-23 주식회사 포스코 이송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제조설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2952A (en) * 1980-12-01 1982-07-14 Hitachi Ltd Coil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2952A (en) * 1980-12-01 1982-07-14 Hitachi Ltd Coil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759B1 (ko) 2014-12-15 2016-06-13 주식회사 포스코 보빈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제조설비
KR20160072647A (ko) 2014-12-15 2016-06-23 주식회사 포스코 이송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제조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49462B (zh) 用于传送基板的装置
KR101406579B1 (ko)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
JP6918085B2 (ja) ウェブ状の材料を巻き取りかつ巻成体を交換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2015049356A (ja) 露光装置
TWI482673B (zh)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tal strip,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WO2019088149A1 (ja) 貼付用ラベル、ラベル貼付方法、トルクセンサシャフトの製造方法および同シャフトの製造設備
CN106735119A (zh) 用于铸件的清砂机构
KR101429971B1 (ko) 비정질 리본의 연속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JP2010224340A (ja) 機能液滴吐出ヘッドのワイピング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液滴吐出装置
KR101483515B1 (ko) 비정질 소재의 권취용 보빈
KR102525334B1 (ko) 스크라이빙 장치
KR101417515B1 (ko) 비정질 소재의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JP2012111078A (ja) ゴム部材の供給貼付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タイヤ用部材の成形方法
KR101483516B1 (ko) 비정질 리본 권취장치
CN109533848A (zh) 一种在线式多层线路板缓存设备
KR101518669B1 (ko) 비정질 소재의 연속 권취 장치 및 방법
KR101097042B1 (ko) 기판가공장치
KR20130077478A (ko) 비정질 스트립 제조용 스트립의 이송 장치
KR101579598B1 (ko) 스크라이브 장치 및 스크라이브 방법
CN102085567B (zh) 一种铁磁性急冷金属带材卷取装置
KR101890864B1 (ko) 패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권취설비
JP4479881B2 (ja) 基板スピン処理装置及び基板スピン処理方法
CN201900238U (zh) 一种铁磁性急冷金属带材卷取装置
KR101641592B1 (ko) 이송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제조설비
TWI565538B (zh) Fabrication system of metal strip and its convey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