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163B1 - 사출 금형 취출로봇의 무게에 의한 불량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사출 금형 취출로봇의 무게에 의한 불량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163B1
KR101641163B1 KR1020140164972A KR20140164972A KR101641163B1 KR 101641163 B1 KR101641163 B1 KR 101641163B1 KR 1020140164972 A KR1020140164972 A KR 1020140164972A KR 20140164972 A KR20140164972 A KR 20140164972A KR 101641163 B1 KR101641163 B1 KR 101641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injection
adsorption
mounting plate
load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2377A (ko
Inventor
송창동
박정호
Original Assignee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4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163B1/ko
Publication of KR20160062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암에 설치되는 흡착장치에 중량 센서를 내장하여 사출물의 취출 과정에서 무게를 미리 측정하거나 또는 컨베이어 이송단계 이전에 로봇 이동장치에서 무게를 미리 측정할 수 있게 구성하여 작업 공정을 단축하고 생산성과 효율을 크게 향상시킨 발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흡착구(11)를 갖추고 있어 사출물을 흡착 분리하여 무게 측정으로 사출물의 양,불량을 판단하는 사출 금형 취출로봇의 무게에 의한 불량 측정 장치에 있어서, 로봇암(1)과, 로봇암(1)의 하단에 설치하는 프레임(41)과, 프레임(41)에 형성하는 설치판(40)과, 설치판(40)에 설치하는 로드셀(50)과, 로드셀(50)과 연결 설치하는 흡착구가로대(42)와, 흡착구가로대(42) 양단에 설치하는 지주대(14)와, 지주대(14)에 설치하는 흡착구(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로드셀(50)은 설치판(40)의 좌우 2 곳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프레임(41)에 형성하는 설치판(40)은 수직으로 설치되고, 설치판(40)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로드셀(50)이 설치되고, 로드셀(50)에는 흡착구가로대(42)가 연결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흡착구(11)에는 성형물이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출 금형 취출로봇의 무게에 의한 불량측정장치{DEFECTIVE PRODUCT MEASURING APPARATUS OF INJECTION TAKEOUT ROBOT}
본 발명은 사출 금형 취출로봇에서 무게에 의한 사출물의 불량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출품의 불량을 중량에 의한 차이로 불량 여부를 검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헌1] 특허등록 10-0624119 (등록일 2006. 9. 7)
[문헌2] 특허공개번호 10-2007-0044513 (공개일 2007. 4. 30)
사출 성형 산업에서는 사출물의 중량을 측정하여 제품의 양,불량을 선별하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 경우, 사출성형기 주변에 전자 저울을 설치하여 사람이 손이나 기계를 이용하여 저울에 올려 놓거나 또는 로봇이 사출된 제품을 올려놓고 전자저울에서 제품의 양,불양을 선별하는 방법을 사용해 왔으나 이 방법은 협소한 공간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여 막대한 시설투자비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로봇을 이용한 무게 측정을 하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이 경우, 사출물을 수평으로 위치 시킨 후, 이송장치 예를 들어 컨베이어로 이송시켜 컨베이어 상에서 무게를 측정하여 소정의 표준무게와 차이가 나면 불량으로 감지하는데 이 경우, 사출물을 이동시키고 수평으로 위치시키고 그리고 컨베이어 장치에서 무게를 감지하여야 하므로 그 검사 공정상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 속도의 저하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로봇암에 설치되는 흡착장치에 중량 센서를 내장하여 사출물을 취출하는 과정에서 무게를 미리 측정하거나 또는 컨베이어 이송단계 이전에 로봇 이동장치에서 무게를 미리 측정할 수 있게 구성하여 작업 공정을 단축하고 생산성과 효율을 크게 향상시킨 발명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출 금형 취출로봇의 무게에 의한 불량측정장치는, 흡착구를 이용해 사출물을 흡착한 상태로 사출물을 금형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출물의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된 무게데이터를 기초로 사출물의 불량을 판단하는 사출 금형 취출로봇의 무게에 의한 불량 측정 장치에 있어서, 하향 연장된 로봇암(1)과, 상기 로봇암의 하단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일정두께를 갖는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며, 사출물에 대향 할 수 있도록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는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의 사출물을 향하는 전면(前面)에 고정되며, 설치판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서로에 대해 이격되며 지면에 대해 동일한 고도에 위치하는 두 개의 로드셀과, 상기 두 개의 로드셀에 얹혀지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판상부재로서, 외부로부터 가해진 하중을 두 개의 로드셀로 동시에 전달하여 로드셀로 하여금 하중을 측정하게 하는 흡착구가로대와, 상기 흡착구가로대의 양단부에 설치되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홀을 구비하고, 상기 흡착구가로대에 대해 직교하는 한 쌍의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의 상하단부에 설치되며, 사출물을 흡착한 상태로 흡착구가로대의 전방에 유지함으로써, 사출물의 무게가 지주대로 인가되도록 하는 다수의 흡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착구에 성형물 중 어느 하나가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로봇암에 설치되는 흡착장치에 중량 센서를 내장하여 사출물의 취출 과정에서 무게를 미리 측정하거나 또는 컨베이어 이송단계 이전에 로봇 이동장치에서 무게를 미리 측정할 수 있게 구성하여 작업 공정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2 곳 이상의 위치에서 측정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므로 더욱 정확한 무게 측정이 가능하여 불량판단에 있어 정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협소한 공간에서도 무게 측정이 가능하고 무게 측정을 위한 별도의 고가의 무게 측정장치의 시설이 불필요하여 시설비 절감에도 크게 기여한다
도 1 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한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사출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
도 3 및 도 4 는 흡착구(11)가 회전되기 전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는 도 1 의 실시 예에 대한 요부 단면도
도 6 은 온도센서(2)의 조절을 나타내는 도면
도 7 은 접촉방식 온도센서의 설치를 예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추가로 상술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로봇암(1)의 하단에 프레임(41) 및 설치판(40)이 설치된다.
설치판(40)에는 흡착구가로대(42)가 설치되고, 흡착구가로대(42) 양단에는 지주대(14)가 설치되며, 지주대(14) 상하 단부엔 흡착구(11)가 설치된다. 그리하여 흡착구(11)는 성형사출물이나 금형을 흡착할 수 있다. 그리고 설치판(40)과 흡착가로대(42) 사이에는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로드셀(미도시)가 설치된다.
로드셀은 바람직하기로는 좌우 2 곳 또는 2 곳 이상 여러 위치에 설치한다. 로드셀은 도면에서 예를 들어 "a" 및 "b" 위치에 설치한다. 즉 흡착구가로대(42)와 설치판(40) 사이에 설치하되, 로드셀이 설치판(40)에 설치되게 하여 로드셀 위에 흡착구가로대(42)가 올려져 하중을 측정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든다.
도 5 는 로드셀(50)이 설치되는 것을 요부 단면으로 예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셀(50)이 설치판(40)에 설치되게 하여 로드셀(50) 위에 흡착구가로대(42)가 올려져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로드셀을 1곳만 설치하면 측정하고자 하는 성형물의 무게 중심이 쏠리므로 정확한 측정이 어렵다. 따라서 적어도 좌우 양측에 2 곳 또는 그 이상 개소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로드셀은 결국 흡착가로대(42)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하는 바, 흡착가로대(42)의 하중은 흡착구(11)에 부착된 성형물의 무게를 포함하는 무게가 된다. 따라서 성형물의 무게가 미리 설정한 소정의 표준 무게 편차에서 벗어나면 불량으로 판단한다.
성형물의 무게 차이가 나는 것은 내부에 동공이 생기거나 기타 수지 성형물의 주입이나 흐름에 불량이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므로, 이를 감지하여 불량 성형물로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로드셀 설치 위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상기 로드셀(50)의 장착 위치는 다른 위치에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설치판(40)과 프레임(41) 사이 또는 프레임(41)과 로봇암(1)의 연결부 사이 등에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참고로 도 1 에서 적외선 온도센서가 장착된 로봇이동장치(10)도 함께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로봇이동장치(10)에는 흡착구(11)가 4 곳에 형성되어 사출물을 흡착한다. 그리고 사출물 흡착되는 위치에서 적외선 온도센서(2)가 장착된 온도센서이송장치(13)를 조절하여 적외선 레이저의 촛점을 맞춘다. 촛점은 온도센서(2)를 좌우 회전, 전후진 및 상하 및 가로로 이송시켜 레이저 포인트의 촛점이 맞도록 조절 설치 가능하다.
적외선 온도센서(2)의 좌우 회전은 브라켓(17)에 형성한 조절구(15)에 의하여 좌우 조절 가능하다. 조절구(15)에는 호형상의 호형홈(10)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 호형홈(10)에 볼트 등을 삽입하여 고정하면 온도센서(2)를 고정하고 있는 체결판(22)과 나사 결합하여 고정된다. 즉, 온도센서(2)의 위치를 좌우로 틀어지게 위치시키고자 할 경우엔 호형홈(20)의 홈 범위 내에서 좌우로 틀어서 고정하면 위치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조절구(15)는 브라켓(17)과 일체로 이루어지며, 브라켓(17)은 전후진축(18)과 연결된다. 그리하여 전후진축(18)에서 브라켓(17)을 이동시켜 레이저포인트의 촛점이 맺히도록 조절한다
또한 전후진축(18)은 가로대(30)에 설치되며, 가로대(30)는 좌우 이동 및 상하 승강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전후진축(18)이 설치되는 가로대(30)의 좌우 및 상하 이동을 이하 설명한다. 가로대(30)의 좌우 상하 이동은 가로대(30)에 형성한 가로홈(31)과 지주대(14)에 형성한 수직홈(33)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지주대(14)의 수직홈(33)에서 가로대(30)를 상하 이동 시키고 아울러 가로대(30) 위치를 지주대(14)에 대하여 좌우 가로로 이동 시켜, 수직홈(33) 및 가로홈(31)을 관통하는 고정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 고정하면 가로대(30)의 좌우 상하 위치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하면 도 6 에서 보듯이, 금형의 형태에 따라 온도센서(2)의 상하, 전후 및 비스듬한 경사 이동이 가능하다.
한가지 예를들어 비스듬한 경사지게 온도센서(2)를 위치시키고자 한다면, 도 2 의 도면에서, 브라켓(17)을 전후진축(18)에 대하여 회전시켜 위치시키고 아울러 온도센서(2)의 체결판(22)을 호형홈(20) 내에서 틀어주면 온도센서(2)가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한 설명은 적외선을 이용한 비접촉식 온도센서(2)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온도센서에 의한 온도 측정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7 은 다른 실시 예로 온도센서(2)가 적외선 감지 온도센서가 아니라 접촉식 온도센서(2)이다
상기 장치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제작되는 별도의 온도측정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작비와 제작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2)의 위치를 전후, 좌우, 상하 및 비틀어짐 등 모든 각도로 위치 변화 시킬 수 있어, 어떠한 검사 대상물인 금형에 대하여도 자유롭게 그리고 편리하게 온도 측정 가능하다. 그리고 온도 측정 결과 표준편차에서 벗어나는 온도가 측정되면, 사출물의 불량으로 판단되어 로봇이송장치(10)에 의하여 불량으로 구분이송 시킨다.
도 2 는 로드셀 장착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 예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로드셀(50)이 좌우 두 곳에 설치된 것을 예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사출물(3)(또는 사출물 제품, 이하에서는 사출물(3)으로 통일하여 표기한다)을 좌우 양쪽에서 잡아 주어 로드 측정이 더욱 정확하다.
도면에서는 사출물(3)을 하방으로 위치시켜 무게를 측정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 및 도 4 를 참고로 설명한다.
도 3 에서 보듯이, 도 1 과 같은 상태에서 흡착구(11)에 사출물(미도시)을 흡착시킨 후, 로봇암(1) 하단에 장착된 회전장치에서 도 4 에서 보듯이 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2 와 같이 사출물(3)이 하부로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로드셀에서 로드를 측정하게 구성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엔 로드셀(50)의 고정 구조가 도 1 과는 다소 상이하게 된다. 즉 하방에서 사출물(3)이 당기면 로드가 측정되게 로드셀(50)을 설치판(40)(도 1 및 도 5 참조)에 설치하여야 한다
도 1 의 실시예에서는 흡착구(11)에 사출물을 붙인 상태에서 바로 무게 측정이 가능하나 도 2 이 경우에는 사출물을 회전시킨후 무게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어떠한 방식을 택하여도 무관하나 공정상 신속성을 감안하면 흡착구(11)에 사출물(3)이 부착되어 분리하는 순간 바로 무게를 측정하는 것이 공정상 더욱 효율적이다. 그러면 도 2 와 같은 사출물(3)의 회전 공정 없이 다음 공정으로 이동 시킬 수 있어 공정 단축에 더욱 효율적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흡착구(11)의 흡착 공정 또는 그 후 공정에서 바로 무게 측정이 가능하여 무게 차이로 인한 성형물의 불량 검출 공정이 더욱 단축될 수 있어 생산성 향상에 더욱 기여 가능하다
또한 협소한 공간에서도 무게 측정이 가능하고, 무게 측정을 위한 별도의 무게 측정장치의 시설이 불필요하여 시설비 절감에도 크게 기여한다
1 로봇암 2 온도센서
3. 사출물 10 로봇이송장치
11 흡착구 13 온도센서 이송장치
14 지주대 15 조절구
17 브라켓 18 전후진축
20 호형홈 22 체결판
30 가로대 31 가로홈
33 수직홈 40 설치판
41 프레임 42 흡착구가로대
50 로드셀

Claims (6)

  1. 흡착구(11)를 이용해 사출물을 흡착한 상태로 사출물을 금형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출물의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된 무게데이터를 기초로 사출물의 불량을 판단하는 사출 금형 취출로봇의 무게에 의한 불량 측정 장치에 있어서,
    하향 연장된 로봇암(1)과,
    상기 로봇암(1)의 하단에 설치되는 프레임(41)과,
    상기 프레임(41)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일정두께를 갖는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며, 사출물에 대향 할 수 있도록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는 설치판(40)과,
    상기 설치판(40)의 사출물을 향하는 전면(前面)에 고정되며, 설치판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서로에 대해 이격되며 지면에 대해 동일한 고도에 위치하는 두 개의 로드셀(50)과,
    상기 두 개의 로드셀(50)에 얹혀지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판상부재로서, 외부로부터 가해진 하중을 두 개의 로드셀로 동시에 전달하여 로드셀로 하여금 하중을 측정하게 하는 흡착구가로대(42)와,
    상기 흡착구가로대(42)의 양단부에 설치되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홀(33)을 구비하고, 상기 흡착구가로대(42)에 대해 직교하는 한 쌍의 지주대(14)와,
    상기 지주대(14)의 상하단부에 설치되며, 사출물을 흡착한 상태로 흡착구가로대(42)의 전방에 유지함으로써, 사출물의 무게가 지주대(14)로 인가되도록 하는 다수의 흡착구(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 취출로봇의 무게에 의한 불량 측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구(11)에 성형물 중 어느 하나가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 취출로봇의 무게에 의한 불량측정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40164972A 2014-11-25 2014-11-25 사출 금형 취출로봇의 무게에 의한 불량측정장치 KR101641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972A KR101641163B1 (ko) 2014-11-25 2014-11-25 사출 금형 취출로봇의 무게에 의한 불량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972A KR101641163B1 (ko) 2014-11-25 2014-11-25 사출 금형 취출로봇의 무게에 의한 불량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377A KR20160062377A (ko) 2016-06-02
KR101641163B1 true KR101641163B1 (ko) 2016-07-20

Family

ID=56135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972A KR101641163B1 (ko) 2014-11-25 2014-11-25 사출 금형 취출로봇의 무게에 의한 불량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1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895B1 (ko) 2016-09-07 2017-02-15 이정삼 사출물 이송로봇을 포함하는 사출성형장치
KR102295531B1 (ko) * 2021-03-17 2021-09-01 주식회사 유일로보틱스 로드셀 및 온도센서를 가진 사출 성형기용 취출로봇
KR102295519B1 (ko) * 2021-03-17 2021-09-01 주식회사 유일로보틱스 로드셀을 가진 사출 성형기용 취출로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8961B (zh) * 2019-06-28 2020-07-31 南京天固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预制构件反打工艺用倾斜机械手及其倾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334U (ja) * 1993-07-29 1995-02-28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板状体の移載装置
JPH0894424A (ja) * 1994-09-26 1996-04-12 Tohoku Munekata Kk 重量測定装置
JPH08258093A (ja) * 1995-03-27 1996-10-08 Tohoku Munekata Kk プラスチック射出成形品自動取出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895B1 (ko) 2016-09-07 2017-02-15 이정삼 사출물 이송로봇을 포함하는 사출성형장치
KR102295531B1 (ko) * 2021-03-17 2021-09-01 주식회사 유일로보틱스 로드셀 및 온도센서를 가진 사출 성형기용 취출로봇
KR102295519B1 (ko) * 2021-03-17 2021-09-01 주식회사 유일로보틱스 로드셀을 가진 사출 성형기용 취출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377A (ko)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455B1 (ko) 사출 금형 취출로봇의 불량 측정 장치
KR101641164B1 (ko) 중량측정장치를 갖춘 다관절 로봇
KR101641163B1 (ko) 사출 금형 취출로봇의 무게에 의한 불량측정장치
US9688010B2 (en) Apparatus for measuring surface temperature of molded product
KR101517305B1 (ko) 볼트 휨 보정 장치
JP6865278B2 (ja) タイヤ搬送装置、これを備えるタイヤ試験システム、及びタイヤ搬送方法
KR101710424B1 (ko) 성형물 제품의 외관 검사방법
CN204622521U (zh) 一种测量注塑机械手不良产品的装置
KR101674472B1 (ko) 성형물 제품의 외관 검사장치
JPH01152306A (ja) 形状測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10895133A (zh) 汽车玻璃球面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KR101637188B1 (ko) 회전체용 측정센서 검사장치
KR101592338B1 (ko) 사출물의 무게감지기능을 구비한 취출로봇
KR100575159B1 (ko) 이송로봇의 티칭장치
CN105115604A (zh) 注塑模具表面温度测量及不良品的测定装置
KR101810554B1 (ko) 프레스텐덤 센터링 및 에어블로윙 장치
JP4024961B2 (ja) 研削装置における研削ユニットの原点位置セットアップ方法
KR101573345B1 (ko) 사출물의 무게감지기능을 구비한 취출로봇
CN204622456U (zh) 多关节机械手
CN104802381A (zh) 一种测量注塑机械手不良产品的装置
CN213737532U (zh) 一种砌块输送定位装置
KR200480807Y1 (ko) 정렬 피딩장치
TWI462798B (zh) Capability sensing module for axle trimming process of stone plate
CN104924524A (zh) 多关节机械手
CN204855024U (zh) 注塑模具表面温度测量及不良品的测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