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901B1 - 해상 풍력발전기 거치이동장치 및 그를 구비한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 - Google Patents

해상 풍력발전기 거치이동장치 및 그를 구비한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901B1
KR101640901B1 KR1020140002253A KR20140002253A KR101640901B1 KR 101640901 B1 KR101640901 B1 KR 101640901B1 KR 1020140002253 A KR1020140002253 A KR 1020140002253A KR 20140002253 A KR20140002253 A KR 20140002253A KR 101640901 B1 KR101640901 B1 KR 101640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offshore wind
mounting
power generator
win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2826A (ko
Inventor
조병호
Original Assignee
이레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레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레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2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901B1/ko
Publication of KR20150082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6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wind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 풍력발전기 거치이동장치 및 그를 구비한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품별로 분리된 해상 풍력발전기가 조립되는 조립부; 조립된 해상 풍력발전기가 해상에 설치되도록 하는 설치부; 해상 풍력발전기가 조립되어 안착되는 지그; 및 상기 조립부와 상기 설치부 사이에 위치하며, 해상 풍력발전기가 안착된 적어도 하나의 지그를 거치시키거나 상기 조립부에서부터 상기 설치부로 상기 지그를 이동시키는 거치이동장치; 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해상 풍력발전기 거치이동장치 및 그를 구비한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Sea Wind Turbine Cradling and Trsansferring Apparatus And Sea Wind Power Generator Installing Ship therof of it}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의 설치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용량의 해상 풍력발전기를 빠르고 안전하게 조립, 운반, 보관 및 설치할 수 있는 해상 풍력발전기 거치이동장치 및 그를 구비한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력발전기는 바람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를 말한다. 풍력발전기는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육상에 설치되는 육상 풍력발전기와, 해상에 설치되는 해상 풍력발전기로 분류될 수 있다.
해상 풍력발전기는 선박을 이용하여 설치될 장소로 운반된 후 시공이 이루어진다. 해상 풍력발전기는 크게 지주, 발전기몸체, 프로펠러의 3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해상 풍력발전기는 크기 및 적재 안정성에 따라서 부품들이 서로 조립되거나 분리된 상태로 해상으로 운반되어 설치가 이루어진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3013호 (2012.10.12. 공개)
그런데, 해상 풍력발전기의 용량이 점점 커질수록 너셀, 블레이드, 지주의 크기와 중량도 함께 커지게 되므로 블레이드, 지주 등은 다시 더 작은 부품으로 세분화된 상태로 선박으로 운반되어 시공되므로 해상 풍력발전기를 설치하는데 더 많은 인력과 장비, 시간 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해상 풍력발전기를 조립하여 세워진 상태로 안전하게 선박에 거치시킨 후 설치 위치까지 운반 이동할 수 있고, 정밀하고 안전한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해상 풍력발전기의 용량이 5 MW를 넘게 되는 경우나 해상의 기후 조건이 나쁜 환경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해상 풍력발전기 거치이동장치 및 그를 구비한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부품별로 분리된 해상 풍력발전기가 조립되는 조립부; 조립된 해상 풍력발전기가 해상에 설치되도록 하는 설치부; 해상 풍력발전기가 조립되어 안착되는 지그; 및 상기 조립부와 상기 설치부 사이에 위치하며, 해상 풍력발전기가 안착된 적어도 하나의 지그를 거치시키거나 상기 조립부에서부터 상기 설치부로 상기 지그를 이동시키는 거치이동장치;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을 제공한다.
상기 거치이동장치는 상기 조립부와 상기 설치부의 사이에 기립 배치되는 거치프레임; 및 상기 거치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그가 거치되거나 이동하도록 하는 상부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이동장치는 상기 거치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설치부에 위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그가 상기 조립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하부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레일은 상기 거치프레임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1레일; 및 상기 제1레일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프레임은 서로 마주보도록 적어도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레일 및 상기 하부레일은 상기 적어도 한 쌍의 거치프레임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립부는 상기 거치이동장치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서로 이격되는 적어도 한 쌍의 스탠드; 지그가 올려지며 상기 한 쌍의 스탠드 사이에서 승하강하는 승하강블록; 상기 한 쌍의 스탠드의 상부에 각각 위치하는 적어도 한 쌍의 리프트지지대; 및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리프트지지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블록을 승하강시키는 와이어리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부는 수직으로 설치되며 서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승강가이드; 상기 다수개의 승강가이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본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이동장치로부터 이동한 지그가 안착되는 탑재레일; 및 상기 다수개의 승강가이드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본체를 수평이 유지되도록 승하강시키는 다수개의 와이어리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해상 풍력발전기가 조립되는 조립부와 상기 해상 풍력발전기가 해상에 설치되는 설치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선박본체에 기립 배치되는 거치프레임; 상기 거치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해상 풍력발전기가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그가 거치되거나 이동할 수 있는 상부레일; 및 상기 거치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그가 이동할 수 있는 하부레일; 을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거치이동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 거치이동장치 및 그를 구비한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에 따르면, 해상 풍력발전기를 조립하여 세워진 상태로 안전하게 선박에 거치시킨 후 설치 위치까지 운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해상 풍력발전기의 조립, 거치 및 설치에 사용되는 지그를 순환 이동시켜 재사용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정밀하고 안전한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해상 풍력발전기의 용량이 5 MW를 넘게 되는 경우나 해상의 기후 조건이 나쁜 환경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부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설치부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1의 거치이동장치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우측면에서 바라본 해상 풍력발전기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측면도로서, 거치이동장치에 의한 지그의 이동 동작을 보여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은 선박본체(100), 조립부(200), 설치부(300), 지그(20), 거치이동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선박본체(100)는 작업선의 주된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선박몸체, 바지선본체, 리그선본체, 작업선본체, 선체 등으로 호칭될 수 있다. 선박본체(100)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진행방향을 따라 길이가 더 길게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표면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박본체(100)에는 해상파일, 해상 풍력발전기(10) 등이 설치되도록 하는 설치홀(11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치홀(110)은 선박본체(100)의 진행방향의 전방 영역이 내측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설치홀(110)은 선박의 진행방향 반대쪽이나 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선박본체(100)의 내측으로 함몰되지 않고 선박본체(100)의 일면에 인접 배치된 공간을 의미할 수도 있다.
조립부(200)는 부품별로 분리된 해상 풍력발전기(10)가 기립된 상태로 조립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조립부(200)는 선박본체(100)의 후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조립부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부(200)는 스탠드(210), 승하강블록(220), 리프트지지대(230), 와이어리프트(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탠드(210)는 거치이동장치(40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적어도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스탠드(210)는 해상 풍력발전기(10)의 수직 길이보다 더 큰 길이를 갖도록 수직으로 기립 설치될 수 있다. 스탠드(210)는 분리된 다수개의 스탠드셀을 조립하는 방법으로 선박본체(100)에 조립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탠드(210)는 두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되었으나 다양하게 변형실시 가능할 수 있다.
승하강블록(220)은 마주보는 적어도 한 쌍의 스탠드(210)들 사이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도록 동작한다. 승하강블록(220)은 적어도 한 쌍의 스탠드(210)들 사이에 한 쌍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승하강블록(220)은 각각 한 쌍의 스탠드(210)들 상부에 각각 위치한 와이어리프트(240)와 연결되면서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승하강블록(220)의 위에는 지그(20)가 놓여질 수 있다. 지그(20)는 해상 풍력발전기(10)의 너셀(11)이 올려지면서, 블레이드(12a)와 지주(13)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지그(20)에는 후술할 상부레일(420), 하부레일(430) 및 탑재레일(350)을 따라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리니어모터, 스키드(skid) 등 이동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리프트지지대(230)는 한 쌍의 스탠드(210)의 상부에 각각 위치한다. 리프트지지대(230)에는 와이어리프트(240)가 장착될 수 있다. 와이어리프트(240)는 한 쌍의 승하강블록(220)을 들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와이어리프트(240)는 와이어와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는 승하강블록(220)의 일측과 연결되고, 실린더는 와이어를 간헐적으로 이동시키거나 멈추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와이어리프트(240)는 승하강블록(220)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와이어리프트(240)는 리프트지지대(23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리프트(240)는 총 4개가 설치되며, 와이어리프트(240)의 개수는 변형실시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조립부(200)에 의해 해상 풍력발전기(10)는 조립될 수 있고, 지그(20)는 승하강블록(220)에 의해 상승하면서 해상 풍력발전기(10)를 지지한 상태로 스탠드(210)의 상부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설치부(300)는 조립된 해상 풍력발전기(10)가 해상에 설치되도록 한다. 설치부(300)는 선박본체(100)의 설치홀(110) 주변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설치부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부(300)는 승강가이드(310), 리프트본체(320), 탑재레일(350), 와이어리프트(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승강가이드(310)는 선박본체(100)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승강가이드(3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에 승강홈(331)이 형성되며, 리프트본체(320)는 승강홈(331)에 삽입되면서 승강가이드(310)를 따라 승하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가이드(310)는 내측에 승강홈(331)이 관통 형성되고 리프트본체(320)가 인접 배치되도록 일부 영역이 절개된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승강가이드(310)는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가이드(310) 내측에 리프트본체(320)가 위치할 수 있도록 적어도 4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물론, 승강가이드(310)는 필요에 따라 2개, 3개 또는 5개 이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리프트본체(320)는 다수개의 승강가이드(310)를 따라 적어도 하나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프트본체(320)는 승강가이드(310)에 1개가 설치될 수 있지만, 2개 이상의 다층 구조로 승강가이드(310)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탑재레일(350)은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본체(320)에 형성되어 거치이동장치(400)로부터 이동한 지그(20)가 안착되는 역할을 한다.
와이어리프트(330)는 다수개의 승강가이드(310)에 각각 결합되어 리프트본체(320)를 수평이 유지되도록 승하강시킨다.
예를 들어 와이어리프트(330)는 리프트본체(320)와 결합되는 와이어(331)와, 승강가이드(310)에 장착되어 와이어(331)를 승하강시키는 리프트(3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어리프트(330)는 리프트본체(320)와 와이어(331)를 결합시키는 연결부재(3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설치부(300)는 설치홀(11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한 쌍이 배치되고, 한 쌍의 리프트본체(320)들은 나란하게 승하강할 수 있다. 한 쌍의 리프트본체(320)의 탑재레일(350)들에는 거치이동장치(400)에 의해 이동한 지그(20)가 위치하며, 지그(20)가 탑재된 리프트본체(320)는 설치홀(110)을 향해 하강하면서 해상 풍력발전기(10)를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이동장치(400)는 상술한 조립부(200)와 상기 설치부(300) 사이에 위치하며 해상 풍력발전기(10)가 안착된 적어도 하나의 지그(20)를 거치시키거나 조립부(200)에서부터 설치부(300)로 지그(2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도 1의 거치이동장치에 대한 상세도이고, 도 5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이동장치(400)는 거치프레임(410), 상부레일(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거치프레임(410)은 조립부(200)와 설치부(300)의 사이에 기립 배치되며, 거치이동장치(400)의 주된 몸체를 형성한다. 거치프레임(41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프레임(410)은 서로 마주보도록 적어도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봉 형상의 기둥으로서, 선박본체(100)에 기립 설치될 수 있다.
상부레일(420)은 거치프레임(4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지그(20)가 거치되거나 이동하도록 한다. 지그(2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리니어모터, 스키드(skid) 등 이동수단을 구비하여 상부레일(420)을 따라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레일(420)은 거치프레임(41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1레일(421)과, 제1레일(421)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레일(4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부레일(420)은 이러한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와 개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부(200)의 승하강블록(220)으로부터 지그(20)는 거치이동장치(400)의 상부레일(4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설치부(300)의 탑재레일(350)을 통해 리프트본체(320)에 놓여지면서 해상 풍력발전기(10)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지그(20)는 해상 풍력발전기(10)가 설치된 이후에는 다시 설치부(300)로 이동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거치이동장치(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프레임(4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설치부(300)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지그(20)가 조립부(200)로 이동하도록 하는 하부레일(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레일(430) 역시 상부레일(420)처럼 한 쌍의 레일을 포함할 수도 있고, 다양한 형태와 개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해상 풍력발전기 거치이동장치 및 그를 구비한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의 동작에 관하여 좀 더 상술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우측면에서 바라본 해상 풍력발전기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측면도로서, 거치이동장치(400)에 의한 지그(20)의 이동 동작을 보여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부(200)에서는 지상에 가깝게 위치한 한 쌍의 승하강블록(220)에 놓여진 지그(20)에 너셀(11)이 올려질 수 있다. 이어서 지그(20)에 올려진 너셀(11)에는 2개의 블레이드(12a)가 먼저 장착될 수 있다. 블레이드(12a)는 통상 3개로 이루어지게 된다. 수직 아래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는 블레이드(미도시)를 제외하고, 상단을 향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위치하는 2개의 블레이드(12a)는 너셀(11)이 지상에 가깝게 위치하므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2개의 블레이드(12a)가 장착된 지그(20)는 일정높이 상승하게 되며, 지그(20)의 하부를 통해 지주(13)를 구성하는 지주셀(13a)이 장착될 수 있다. 하나의 지주셀(13a)이 장착된 후에는 승하강블록(220)은 더 상승하면서 지그(20)의 하부를 통해 지주셀(13a)들은 점차 상호 조립이 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3)는 너셀(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어서 너셀(11)에는 블레이드(미도시) 1개를 마지막으로 장착하면서 해상 풍력발전기(10)의 조립은 완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부(200)에 의해 조립이 완료된 해상 풍력발전기(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20)에 의해 거치이동장치(400)의 상부레일(420)에 다수개가 거치되거나, 화살표(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상에 설치를 위해 설치부(300)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설치부(300)에 위치한 해상 풍력발전기(10)는 화살표(3)과 같이 지그(20)가 하강하게 되면서 해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해상 풍력발전기(10)가 설치되고 난 후의 지그(20)는 화살표(4)에 도시된 방향처럼 하부레일(430)을 따라 조립부(200)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즉, 지그(20)는 화살표(1),(2),(3),(4) 방향으로 순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 거치이동장치 및 그를 구비한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에 따르면, 해상 풍력발전기를 조립하여 세워진 상태로 안전하게 선박에 거치시킨 후 설치 위치까지 운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해상 풍력발전기의 조립, 거치 및 설치에 사용되는 지그를 순환 이동시켜 재사용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정밀하고 안전한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해상 풍력발전기의 용량이 5 MW를 넘게 되는 경우나 해상의 기후 조건이 나쁜 환경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풍력발전기 11 : 너셀(발전기몸체)
12a : 블레이드(프로펠러) 13 : 지주
13a : 지주셀 20 : 지그
100 : 선박본체 110 : 설치홀
200 : 조립부 210 : 스탠드
220 : 승하강블록 230 : 리프트지지대
240 : 와이어리프트 300 : 설치부
310 : 승강가이드 320 : 리프트본체
330 : 와이어리프트 350 : 탑재레일
400 : 거치이동장치 410 : 거치프레임
420 : 상부레일 421 : 제1레일
423 : 제2레일 430 : 하부레일

Claims (8)

  1. 부품별로 분리된 해상 풍력발전기가 조립되는 조립부;
    조립된 해상 풍력발전기가 해상에 설치되도록 하는 설치부;
    해상 풍력발전기가 안착되는 지그; 및
    상기 조립부와 상기 설치부 사이에 위치하며, 해상 풍력발전기가 안착된 적어도 하나의 지그를 거치시키거나 상기 조립부에서부터 상기 설치부로 상기 지그를 이동시키는 거치이동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이동장치는, 상기 조립부와 상기 설치부의 사이에 기립 배치되는 거치프레임, 상기 거치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그가 거치되거나 이동하도록 하는 상부레일, 및 상기 거치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설치부에 위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그가 상기 조립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하부레일을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은
    상기 거치프레임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1레일; 및
    상기 제1레일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레일;을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프레임은 서로 마주보도록 적어도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레일 및 상기 하부레일은 상기 적어도 한 쌍의 거치프레임에 각각 구비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는
    상기 거치이동장치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는 적어도 한 쌍의 스탠드;
    지그가 올려지며 상기 한 쌍의 스탠드 사이에서 승하강하는 승하강블록;
    상기 한 쌍의 스탠드의 상부에 각각 위치하는 적어도 한 쌍의 리프트지지대;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리프트지지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블록을 승하강시키는 와이어리프트;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수직으로 설치되며 서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승강가이드;
    상기 다수개의 승강가이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본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이동장치로부터 이동한 지그가 안착되는 탑재레일; 및
    상기 다수개의 승강가이드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본체를 수평이 유지되도록 승하강시키는 다수개의 와이어리프트; 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
  8. 해상 풍력발전기가 조립되는 조립부와 상기 해상 풍력발전기가 해상에 설치되는 설치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선박본체에 기립 배치되는 거치프레임;
    상기 거치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해상 풍력발전기가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그가 거치되거나 이동할 수 있는 상부레일; 및
    상기 거치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그가 이동할 수 있는 하부레일; 을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거치이동장치.
KR1020140002253A 2014-01-08 2014-01-08 해상 풍력발전기 거치이동장치 및 그를 구비한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 KR101640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253A KR101640901B1 (ko) 2014-01-08 2014-01-08 해상 풍력발전기 거치이동장치 및 그를 구비한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253A KR101640901B1 (ko) 2014-01-08 2014-01-08 해상 풍력발전기 거치이동장치 및 그를 구비한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826A KR20150082826A (ko) 2015-07-16
KR101640901B1 true KR101640901B1 (ko) 2016-07-19

Family

ID=53884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253A KR101640901B1 (ko) 2014-01-08 2014-01-08 해상 풍력발전기 거치이동장치 및 그를 구비한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9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958B1 (ko) 2015-10-15 2017-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
KR101864166B1 (ko) 2015-10-29 2018-06-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지지장치
KR102239542B1 (ko) 2020-11-06 2021-04-14 주식회사 에이스이앤티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 방법
KR102325092B1 (ko) 2021-09-23 2021-11-11 주식회사 에이스이앤티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 전용 설치선을 이용한 풍력 발전기 조립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893B1 (ko) 2011-12-13 2012-07-19 극동건설주식회사 다중 부체식 해상 주상체 설치장치
JP2013063767A (ja) * 2011-09-01 2013-04-11 Penta Ocean Construction Co Ltd 洋上風力発電の風車設備の設置専用船、設置治具及び設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912B1 (ko) * 2010-12-24 2013-09-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 및 이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설치 방법
KR101281175B1 (ko) 2011-04-04 2013-07-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선박 및 이를 이용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63767A (ja) * 2011-09-01 2013-04-11 Penta Ocean Construction Co Ltd 洋上風力発電の風車設備の設置専用船、設置治具及び設置方法
KR101164893B1 (ko) 2011-12-13 2012-07-19 극동건설주식회사 다중 부체식 해상 주상체 설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826A (ko) 2015-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9520B1 (ko)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
KR101281175B1 (ko)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선박 및 이를 이용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방법
US10038400B2 (en) Floating structures for floating photovoltaic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floating structures
KR101640901B1 (ko) 해상 풍력발전기 거치이동장치 및 그를 구비한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
JP6041581B2 (ja) 洋上風力発電の風車設備の設置専用船及び風車設備の設置方法
KR101864145B1 (ko) 해양구조물 설치선박
JP6484078B2 (ja) 洋上風車の設置方法
KR20110100570A (ko) 갑판승강식 작업대선 및 이를 이용한 해상 풍력발전 시설의 시공방법
KR20100055053A (ko) 해상용 풍력발전기 설치방법 및 그 장치
US8573890B2 (en) Marine power generator deployment and retrieval system
KR101864149B1 (ko) 해양구조물 설치장비
KR20150018338A (ko) 이동가능한 해상 풍력발전기 고정유닛 및 그를 구비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
JP6577633B1 (ja) 浮体式風力発電装置及びその準備方法
US9988128B2 (en) System for transporting and installing wind turbines on the seafloor
KR101415932B1 (ko) 해상 풍력발전기 기초구조물 설치용 작업선
KR101635164B1 (ko) 해상파일 설치용 작업선
US11131073B2 (en) Method for foundation of a transformer platform and transformer platform with at least three piles
SE0950357A1 (sv) Metod för att installera en toppmodul på en offshore stödstruktur
KR20160022696A (ko) 해상파일 설치용 선박
KR20140107406A (ko) 수력 터빈 시스템을 수송하는 방법
KR20150011296A (ko) 해상 풍력발전기 고정유닛 및 그를 구비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
KR20160093863A (ko)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
KR101534672B1 (ko) 풍력발전기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설치방법
KR101379729B1 (ko) 선박의 스퍼드캔 설치공법
KR20150009414A (ko)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서 조립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