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437B1 -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437B1
KR101640437B1 KR1020140187053A KR20140187053A KR101640437B1 KR 101640437 B1 KR101640437 B1 KR 101640437B1 KR 1020140187053 A KR1020140187053 A KR 1020140187053A KR 20140187053 A KR20140187053 A KR 20140187053A KR 101640437 B1 KR101640437 B1 KR 101640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using
fixing
inspec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6691A (ko
Inventor
권승열
이문용
Original Assignee
(주)씨코전자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코전자,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씨코전자
Priority to KR1020140187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437B1/ko
Publication of KR20160076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2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the wheels of the vehicle co-operating with rotatable rolls
    • G01M17/0074Details, e.g. roller construction, vehicle restrain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일면에 복수의 개방부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작업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에 배치되며, 전방부에 검사대상이 되는 도어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하우징 내측에 검사할 도어의 외측 및 양측을 따라 배치되고, 도어의 품질상태의 검사를 수행하는 비전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검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INSPECTION DEVICE FOR VEHICLE DOOR}
본 발명은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용 도어 완제품의 외관, 미러 등 도어 외부에 장착되는 부속품고정을 위한 마운팅홀의 사이즈 및 위치와 엣지부와 헤밍부 같은 미세부분까지도 품질을 종합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완성된 자동차의 경우 많은 수의 부품으로 구성이 되고, 각각의 부품은 별도 생산을 통하여 일괄 조립라인에서 조립하여 완성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메이커에서 자동차를 생산하기까지는 모든 양산 공정 내에서 2만 내지 3만 여 개의 부품을 수차례의 조립공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차체는 자동차 제조과정의 첫 단계로서, 프레스 공정에서 차체 패널을 생산한 후, 차체 공장으로 옮겨와서 차체 각 부분이 조립되어 화이트 보디(B.I.W)상태의 차체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차체는 그 플로어에 벽면인 사이드, 루프, 리어 패널 등을 장착하는 메인 바디공정을 거치게 되고, 도장공정으로 이동하여 도색작업을 이룬 후, 의장공장에서 엔진, 트랜스미션, 내, 외장제의 조립을 통하여 완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차체에 장착되는 각 패널과 도어는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제작되며, 차체조립공장에서 패널 클램핑 장치에 안착되어 고정된 상태로 조립, 용접, 실러, 헤밍 등의 작업이 이루어지고, 도장공정에서는 도장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공정들을 거치면서 완성된 완성차는 외관품질이 차량의 첫 인상을 결정짓게 하는 인자로 작용하므로, 차체조립 파트에서 도어의 간격, 단차, 외판 굴곡 등이 차량의 외관품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들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차체 공정에서 차체 조립라인으로 공급되는 도어의 품질을 전수 확인하기에는 많은 인력과 공수가 투입되어야 함에 따라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한 샘플링 검사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작업자가 도어트림에 내장부품 조립 후, 상기 도어트림의 후면부에 화이트 마커로 별도의 마킹을 하여 검사공정에서 마킹의 유, 무를 확인함으로써 내장부품의 조립누락을 판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은 내장부품의 검출 정확도나 작업 능률 등의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트림 조립공정에서 작업자가 내장부품의 조립을 누락하였으나 내장부품 조립확인 마킹을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내장부품 조립확인 마킹을 하더라도 내장부품의 누락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도어 검사는 도어의 제작 후, 작업자가 수동으로 수행하게 되므로, 해당 공정으로 투입되는 모든 도어의 검사가 이루어지기에는 검사 및 해석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에지부 측정시 모서리가 둥근관계로 선명하게 선단부 치수 측정이 어렵고, 조명등 제품의 상태에 따라 측정오차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생산라인에서는 자동으로 전수검사를 못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동으로 램덤샘프링 방식을 적용하고 있으며, 측정포인트 또한 개수가 많아 측정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측정물을 측정실까지 이동해야하는 불편함과 측정결과가 제공될 때까지는 생산이 전체적으로 불안정한 문제가 있다.
또한, 외관품질이 불량인 도어의 후공정 투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없어 완성차의 도어 외관불량 발생이 필연적으로 발생되며, 이는 필드 클레임을 증가시킴으로써, 완성차에 대한 신뢰도 및 상품성이 저하되는 동시에, 기업 이미지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완성차의 품질의 불량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당 공정으로 도어의 투입 전에 도어의 외관 및 내관 품질을 평가하고 유지, 관리하여 통계적 품질관리가 가능하고, 불량품이 후공정으로 미연에 투입되지 않도록 공정라인 상에 자동화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는 도어 검사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삭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13282호 (2008.02.13.)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의 검사 공정상에서 도어의 외관, 미러 등 도어 외부에 장착되는 부속품고정을 위한 마운팅홀의 사이즈 및 위치와 에지부분 및 헤밍부분의 품질을 정밀한 검사는 물론, 치수를 신속하게 측정하고, 도어의 측정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불합격 또는 불량품질의 도어가 후공정으로 입고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완성차에 대한 신뢰도, 상품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작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필드 클레임을 최소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는 내측에 작업공간(1)이 구비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에 배치되며, 도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200)와 상기 고정부(200)에 고정된 도어의 엣지부에 대한 품질상태를 검사 및 측정하는 엣지검사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영상을 인식하여 도어의 외관을 검사하는 영상인식수단(5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를 제공하며, 차량도어의 외부에 장착되는 부속품고정을 위한 마운팅홀의 사이즈 및 위치를 검사할 수 있는 마운팅홀검사부(3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기 하우징(100)은 내측에 중공된 작업공간(1)에는 검사자가 출입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고, 적어도 일면에 복수의 개방부(102)가 형성된 사각형상을 이루도록 복수의 프레임에 의해 결합되며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동이 가능하도록 하단부의 모서리측에 복수의 바퀴(104)가 결합되고, 기 하우징(100)의 상측면에는 검사의 신뢰성 향상 및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클린장치(103)가 더 구비된다.
또한,상기 고정부(200)는 바닥에 안착되는 판상의 베이스(220)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서포트프레임(240)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고, 도어를 걸어서 고정시키는 지지프레임(260)과 상기 서포트프레임(240)의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한 개 이상의 리브(241)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고정부(200)의 하단면에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진장치(270)가 더 구비하게 되며, 상기 서포트프레임(240)은 도어의 위치를 조절하여 도어를 클램핑방식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조절수단 및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있다.
또한, 상기 엣지검사부(400)는 차량용 도어의 외측형상을 따라 배치되고, 도어의 검사영역을 분할하여 검사를 수행하는 레이저검사기(410)와 헤밍면검사기(420)를 구비하는 프레임(430)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430)의 상측일부에 개구부(440)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발산된 레이저광이 검사대상물의 미세한 부분에 반사되는 레이저광의 변위값이 조사되는 검출스크린(450)을 구비하고, 상기 헤밍면검사기(420)는 헤밍부에 접촉되어 절곡부분이 균일하게 형성되는지 검사하는 접촉식센서(421)와 도어의 헤밍부 절곡상태를 파악하는 비접촉식 간접센서(422)를 구성하되, 상기 비접촉시 간접센서(422)를 통하여 절곡부분이 일정한 규격값 이내에 위치하는 파악하며, 상기 마운팅홀검사부(300)는 측정용 센서, 영상인수단 및 측정용센서를 병행하여 사용이 가능한 영상인식수단(301)을 일개이상 프레임상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도어의 검사 공정상에서 도어의 외관, 미러 등 도어 외부에 장착되는 부속품고정을 위한 마운팅홀의 사이즈 및 위치와 에지부분 및 헤밍부분까지도 품질을 정밀하한 검사는 물론, 치수를 신속하게 측정하고, 도어의 측정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불합격 또는 불량품질의 도어가 후공정으로 입고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완성차에 대한 신뢰도, 상품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작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필드 클레임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엣지검사부(400)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엣지검사부(400)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엣지검사부(400)의 실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를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전검사부(400)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전검사부(400)의 실시를 도시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는 내측에 작업공간(1)이 구비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에 배치되며, 도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200) 및 상기 고정부(200)에 고정된 도어의 엣지부에 대한 품질상태를 검사 및 측정하는 엣지검사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영상을 인식하여 도어의 외관을 검사하는 영상인식수단(500)을 구비한다.
또한, 차량도어의 외부에 장착되는 부속품고정을 위한 마운팅홀의 사이즈 및 위치를 검사할 수 있는 마운팅홀검사부(300)가 더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는 차량용 도어의 제조 공정에서, 차량용 도어의 외관 및 내관의 조립상태 불량 및 부품 누락 여부를 측정하기 위해 선행장비인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수단을 통해 다음 공정으로 이동되기 이전에 검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선행 또는 후행 장비인 컨베이어와 컨베이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선·후행장비와 연계되지 않고 단독 테이블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내측에 검사가 필요한 차량용도어를 이송받아,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하우징(100)은 내측에 중공된 작업공간(1)에는 검사자가 출입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일면에 복수의 개방부(102)가 형성된 사각형상을 이루도록 복수의 프레임에 의해 결합되고, 이 각각의 프레임들은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하다.
이와 같은 상기 하우징(100)은 그 하단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104)가 복수로 결합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부의 모서리측에 각각 바퀴(104)가 결합되어 차량용 도어의 제작 공정에 따라, 하우징(10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상측면에는 검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100) 내부의 작업공간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에어클린장치(103)가 더 구비된다.
이는 미세한 부분에 대한 검사시 먼지 등의 이물질로 인하여 검사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에어클린장치(103)는 양압장치 등을 이용하게 되는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외부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되, 필터링을 통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된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하우징(100) 내에 배치되며, 검사대상이 되는 도어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정부(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작업공간(1)내측 바닥에 안착되는 판상의 베이스(220)와, 상기 베이스(220)의 상면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서포트프레임(240) 및 상기 서포트 프레임(240)의 전면에 결합되고, 도어를 걸어서 고정시키는 지지프레임(2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베이스(220)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에 결합되고, 바람직하게는 하단부의 각 모서리측에 복수의 바퀴(104)가 더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00)내측에서 이동이 편리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프레임(240)은 상기 베이스(220)의 상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 횡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수직하게 결합된다.
또한, 서포트프레임(240)은 상기 서포트프레임(240)의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서포트프레임(240)의 적어도 일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리브(24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200)과 상기 서포트프레임(240)간의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260)은 상기 서포트프레임(240)의 전방부에 수평하게 결합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도어의 적어도 일측을 걸어서 거치 및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서포트 프레임(240)에는 도어의 위치를 조절하여 도어를 클램핑방식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통상의 위치조절수단 및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200)의 하단면에는 복수개의 제진장치(270)가 더 구비된다. 이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 검사의 신뢰성을 위해 더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엣지검사부(400)는 검사할 도어의 외형에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어 도어의 품질상태의 검사를 수행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양한 차량용도어의 형상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차량용도어의 엣지면과 금속판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헤밍면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엣지검사부(400)는 차량용 도어의 외측형상을 따라 배치되고, 도어의 검사영역을 분할하여 검사를 수행하는 레이저검사기(410)와 헤밍면검사기(420)를 구비하는 프레임(43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430)의 상측일부에는 개구부(440)가 더 형성되어 레이저검사기(410)에서 발산된 레이저광이 프레임(430)의 타측에 더 구비되는 검출스크린(450)에 조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프레임(430)의 상측일부에 형성되는 개구부(440)를 통하여 경사지게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것은 검사대상물의 엣지면의 미세한 부분을 검사할 때, 미세한 부분에 반사되는 레이저광의 변위값을 보다 잘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엣지면의 미세한 부분에 반사된 레이저광이 경사지도록 조사되면, 수직으로 조사되는 경우보다 검출스크린(450)에 조사되는 변위값의 차이가 크기 때문인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프레임(43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440)를 통하여 레이저광이 조사되도록 하여, 설치장소의 협소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레이저검사기(410)는 차량용 도어의 엣지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엣지면의 불량유무를 검사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헤밍면검사기(420)는 접촉식센서(421) 비접촉식 간접센서(422)로 구성되어 차량용 도어의 헤밍부의 품질을 검사하게 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레이저광을 이용한 레이저검사기(410)에서 차량용 도어의 엣지면에 조사하여 엣지면에 반사되어 굴절된 레이저광의 위치변화 즉 변위값을 파악하여 합격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는 미세한 엣지면의 절곡각도 및 굴곡면 등의 미세한 부분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프레임(430)의 레이저검사기(410)가 구비되는 부분의 반대측에 또는 반대측과 인접하는 곳에 설치되는 검출스크린(450)은 블랙 또는 투명스크린이 적용될 수 있는데, 현장 상황에 따라 프레임(430)과 결합되지 않고 별도로 적용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스크린에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궤적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레이저검사기(410)와 인접하게 구비되는 헤밍면검사기(420)의 접촉식센서(421)와 비접촉식 간접센서(422)를 이용하여 차량용 도어의 헤밍부(철판 등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부분)의 절곡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헤밍부에 접촉신센서(421)가 접촉되어, 절곡부분이 균일하게 형성되는지 검사하며, 비접촉식 간접센서(422)를 통하여 절곡부분이 일정한 규격값 이내에 위치하는지를 파악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비접촉식 간접센서(422)를 통하여 절곡부분의 규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지를 파악할 때, 차량의 절곡부분이 비접촉식 간접센서(422)의 검사영역을 벗어나면 절곡부분의 규격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 것이고, 접촉식센서(421)에 의해 절곡부분의 표면을 접촉하여 검사하다 접촉상태에서 벗어나면 표면불량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엣지검사부(400)와 인접한 곳에 영상을 인식하여 외관 및 다양한 형상의 구조물 즉, 볼트홀 등과 같은 구조물의 형상을 검사하며, 엣지검사부(400)의 레이저검사기(410)의 검사결과를 영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영상인식수단(500)이 더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영상인식수단(500)은 하우징(100)의 내측에 일개이상 구비되는데, 차량용 도어의 주요부분과 인접하게 위치하거나, 엣지검사부(400)와 인접한 곳에 배치되어 영상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엣지검사부(400)와 인접하게 마운팅홀검사부(30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마운팅홀검사부(300)는 차량도어의 외부에 장착되는 부속품고정을 위한 마운팅홀의 사이즈 및 위치를 검사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마운팅홀검사부(300)는 일개이상의 영상인식수단(301)을 프레임상에 배치하며, 차량용 도어에 형성되는 다양한 마운팅홀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영상인식수단(301)은 측정용 센서로 대체가능하거나, 영상인수단과 측정용센서를 병행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를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하우징 102 : 개방부
104 : 바퀴 200 : 고정부
220 : 베이스 240 : 서포트프레임
260 : 지지프레임 270 : 제진장치
300 : 마운팅홀검사부 301 : 영상인식수단
400 : 엣지검사부 410 : 레이저검사기
420 : 헤밍면검사기 430 : 프레임
440 : 개구부 450 : 검출스크린
500 : 영상인식수단

Claims (9)

  1. 내측에 작업공간(1)이 구비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에 배치되며, 도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200);와
    상기 고정부(200)에 고정된 도어의 엣지부에 대한 품질상태를 검사 및 측정하기 위해 차량용 도어의 외측형상을 따라 배치되고, 도어의 검사영역을 분할하여 검사를 수행하는 레이저검사기(410)와 헤밍부에 접촉되어 절곡부분이 균일하게 형성되는지 검사하는 접촉식센서(421)와 도어의 헤밍부 절곡상태를 파악하는 비접촉식 간접센서(422)로 구성하되, 상기 비접촉식 간접센서(422)를 통하여 절곡부분이 규격값 이내에 위치하는지를 파악하는 헤밍면검사기(420)를 구비하는 프레임(430)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430)의 상측일부에 개구부(440)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발산된 레이저광이 검사대상물의 미세한 부분에 반사되는 레이저광의 변위값이 조사되는 검출스크린(450)으로 이루어지는 엣지검사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영상을 인식하여 도어의 외관을 검사하는 영상인식수단(5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또한, 차량도어의 외부에 장착되는 부속품고정을 위한 마운팅홀의 사이즈 및 위치를 검사할 수 있는 마운팅홀검사부(3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내측에 중공된 작업공간(1)에는 검사자가 출입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고, 적어도 일면에 복수의 개방부(102)가 형성된 사각형상을 이루도록 복수의 프레임에 의해 결합되며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단부의 모서리측에 복수의 바퀴(104)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상측면에는 검사의 신뢰성 향상 및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클린장치(10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0)는 바닥에 안착되는 판상의 베이스(220);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서포트프레임(240);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고, 도어를 걸어서 고정시키는 지지프레임(260);과
    상기 서포트프레임(240)의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한 개 이상의 리브(241);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고정부(200)의 하단면에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진장치(270)가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프레임(240)은 도어의 위치를 조절하여 도어를 클램핑방식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조절수단 및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홀검사부(300)는 측정용 센서, 영상인수단 및 측정용센서를 병행하여 사용이 가능한 영상인식수단(301)을 일개이상 프레임상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
KR1020140187053A 2014-12-23 2014-12-23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 KR101640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053A KR101640437B1 (ko) 2014-12-23 2014-12-23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053A KR101640437B1 (ko) 2014-12-23 2014-12-23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691A KR20160076691A (ko) 2016-07-01
KR101640437B1 true KR101640437B1 (ko) 2016-07-18

Family

ID=56500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053A KR101640437B1 (ko) 2014-12-23 2014-12-23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4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576B1 (ko) 2016-09-22 2017-02-08 주식회사 에이치앤 차량 도어프레임 검사용 지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5002A (zh) * 2019-01-23 2019-05-0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aoi的基板缺陷类别判别方法
CN113776473B (zh) * 2021-08-23 2024-03-15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白车身车门尺寸调整标准研究实验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741B1 (ko) * 2010-02-03 2010-05-12 주식회사 디알에스 비전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부품 적재용 자동화 파레트 검수장치 및 검수방법
KR101416383B1 (ko) * 2012-11-16 2014-07-1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검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327A (ko) * 1997-10-24 1999-05-15 양재신 차량 도어패널의 홀검사장치
KR20080013282A (ko) 2006-08-08 2008-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조립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741B1 (ko) * 2010-02-03 2010-05-12 주식회사 디알에스 비전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부품 적재용 자동화 파레트 검수장치 및 검수방법
KR101416383B1 (ko) * 2012-11-16 2014-07-1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검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576B1 (ko) 2016-09-22 2017-02-08 주식회사 에이치앤 차량 도어프레임 검사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691A (ko) 201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6383B1 (ko) 차량용 도어 검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1995553B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feature of a workpiece
US7024032B2 (en) Method for assessing fit and alignment of a manufactured part
JP5233705B2 (ja) ノズルプレートの検査装置およびノズルプレートの検査方法
KR101640437B1 (ko)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
US20200011808A1 (en) Mobile and automated apparatus for the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of damages on the body of a vehicle
JP2009512839A (ja) ガラス板光学検査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110066B1 (ko) 자동차 몰딩류 표면 불량을 검사하기 위한 영상 계측 시스템
JP6113936B1 (ja) 端領域が支持された状態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組立体の検査装置及び方法
KR20160124341A (ko) 테이퍼 롤러 외경 측정 및 외관 검사 장치
CN113125343A (zh) 光学检测设备与光学检测方法
KR101682091B1 (ko) 캡 검사장치
KR20120006624U (ko) 자동차용 검사장치
KR100950270B1 (ko) 모바일 폰 렌즈 해상력 자동검사장치
KR101806694B1 (ko) 용접팁 검사장치 및 그 방법
KR102105066B1 (ko) 골격 정도 비전검사방법
KR101440083B1 (ko) 크러쉬 패드의 비전 검사기
CN110411343A (zh) 灯具匹配在线检测装置
JP2007014855A (ja) 塗装状態検査方法及び塗装状態検査装置
CN205691155U (zh) 智能手机一站式多功能精确制造检测设备
KR102448021B1 (ko) 아웃사이드 미러 품질 비전검사 시스템
KR102583855B1 (ko) 평탄도 검사를 포함한 멀티 검사 장치
KR102631384B1 (ko) 도어트림 무드램프 휘도 검사 시스템
CN215727631U (zh) 检测装置
KR101371490B1 (ko) 완성차의 안티치핑 필름 부착 유무 검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