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054B1 - 게이트웨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게이트웨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054B1
KR101640054B1 KR1020150089909A KR20150089909A KR101640054B1 KR 101640054 B1 KR101640054 B1 KR 101640054B1 KR 1020150089909 A KR1020150089909 A KR 1020150089909A KR 20150089909 A KR20150089909 A KR 20150089909A KR 101640054 B1 KR101640054 B1 KR 101640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ignal
message frame
identifi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정난
추성관
이준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9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054B1/ko
Priority to US14/918,925 priority patent/US980691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04LAN interconnection over a backbone network, e.g. Internet, Frame Relay
    • H04L12/462LAN interconnection over a bridge based backbone
    • H04L12/4625Single bridge functionality, e.g. connection of two networks over a single brid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에 따라 메시지 프레임의 고속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 장치는, 외부기기와 접속 가능한 복수의 채널이 마련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복수의 채널 간의 연결 상태를 결정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복수의 채널 중 제 1 채널에 접속되는 제 1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캔 신호를 메시지 프레임으로 그룹화하고, 상기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Identifier)가 미리 정해진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면 상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 2 외부기기가 접속되는 제 2 채널과 상기 제 1 채널을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게이트웨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GATEWAY DEVICE,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캔 신호를 라우팅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차량에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차량 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차량 모듈은 서로 다른 독립된 통신 버스 시스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은 복수의 차량 모듈을 직렬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캔(CAN; 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차량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최근 차량의 전자화가 가속화 됨에 따라, 차량에 마련되는 차량 모듈의 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차량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차량 모듈의 수가 증가한 결과, 차량에 형성되는 네트워크 상에 접속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의 수 및 ECU에서 전송하는 메시지 프레임의 수가 증가할 수 있다.
그 결과, 차량 네트워크의 부하가 증가하여 차량의 원활한 제어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은 복수의 차량 모듈간의 메시지 프레임 교환을 중계하는 게이트웨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에 따라 메시지 프레임의 고속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 장치는, 외부기기와 접속 가능한 복수의 채널이 마련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복수의 채널 간의 연결 상태를 결정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복수의 채널 중 제 1 채널에 접속되는 제 1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캔 신호를 메시지 프레임으로 그룹화하고, 상기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Identifier)가 미리 정해진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면 상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 2 외부기기가 접속되는 제 2 채널과 상기 제 1 채널을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제 2 채널 사이에 마련되는 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가 상기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면 상기 스위치를 온(On)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캔 신호가 상기 제 1 채널에서 직접 상기 제 2 채널을 거쳐 상기 제 2 외부기기로 전달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온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를 온 시킨 후, 상기 제 1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캔 신호를 상기 메시지 프레임으로 그룹화하고, 상기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가 상기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스위치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캔 신호가 상기 제 1 채널에서 직접 상기 제 2 채널을 거쳐 상기 제 2 외부기기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오프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외부기기를 진단하는 진단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외부기기와 접속 가능한 제 1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가 상기 제 2 외부기기를 진단하기 위한 것임을 나타내는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면,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제 2 채널을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캔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차량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차량 모듈과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차량 모듈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한 상기 캔 신호를 상기 복수의 차량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차량 모듈과 접속 가능한 복수의 채널이 마련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복수의 채널 간의 연결 상태를 결정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복수의 채널 중 제 1 채널에 접속되는 제 1 차량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캔 신호를 메시지 프레임으로 그룹화하고, 상기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Identifier)가 미리 정해진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면 상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 2 차량 모듈이 접속되는 제 2 채널과 상기 제 1 채널을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제 2 채널 사이에 마련되는 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가 상기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면 상기 스위치를 온(On)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캔 신호가 상기 제 1 채널에서 직접 상기 제 2 채널을 거쳐 상기 제 2 차량 모듈로 전달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온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를 온 시킨 후, 상기 제 1 차량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캔 신호를 상기 메시지 프레임으로 그룹화하고, 상기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가 상기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스위치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캔 신호가 상기 제 1 채널에서 직접 상기 제 2 채널을 거쳐 상기 제 2 차량 모듈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오프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차량 모듈을 진단하는 진단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차량 모듈과 접속 가능한 제 1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가 상기 제 2 차량 모듈을 진단하기 위한 것임을 나타내는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면,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제 2 채널을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복수의 차량 모듈과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차량 모듈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한 상기 캔 신호를 상기 복수의 차량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의 제 1 채널에 접속된 제 1 차량 모듈로부터 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캔 신호를 메시지 프레임으로 그룹화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Identifier)가 미리 정해진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면, 상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 2 차량 모듈이 접속되는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의 제 2 채널과 상기 제 1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제 2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제 2 채널 사이에 마련되는 스위치를 온(On)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차량 모듈로부터 상기 제 1 채널을 통해 수신한 상기 캔 신호를 직접 상기 제 2 채널을 거쳐 상기 제 2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를 온 시킨 후, 상기 제 1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캔 신호를 상기 메시지 프레임으로 그룹화 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가 상기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제 1 차량 모듈로부터 상기 제 1 채널을 통해 수신한 상기 캔 신호를 직접 상기 제 2 채널을 거쳐 상기 제 2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캔 신호를 직접 상기 제 2 채널을 거쳐 상기 제 2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스위치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차량 모듈로부터 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차량 모듈을 진단하는 진단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차량 모듈로부터 상기 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제 2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가 상기 제 2 차량 모듈을 진단하기 위한 것임을 나타내는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면,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제 2 채널을 연결할 수 있다.
개시된 게이트웨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실시에 따르면, 메시지 프레임 간의 간격을 최소화 함으로써 메시지 프레임의 누락 없이 차량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트랜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6b는 메시지 프레임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데이터 프레임 간 시간 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10은 여러가지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 장치의 라우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선형 알고리즘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동이득제어모듈, 그 제어방법,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같이, 차량의 일 실시예는 차량(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차량(100)을 이동시키는 차륜(21, 22), 차량(10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4),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00)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17), 운전자에게 차량(10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8, 19)를 포함한다.
차륜(21, 22)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21),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22)을 포함하며, 전륜(21) 또는 후륜(22)은 후술할 구동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본체(1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어(14)는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00)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전면 유리(17)는 본체(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0)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라고도 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18, 19)는 본체(1)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18)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19)를 포함하며,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0)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은 운전자 등이 탑승하는 시트(110)와, 기어 박스(120), 센터페시아(130) 및 스티어링 휠(140) 등이 마련된 대시보드(150)(dashboard), 및 스피커(16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박스(120)에는 차량(100) 변속을 위한 변속 레버(121)와, 차량(100)의 기능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다이얼 조작부(122)가 설치될 수 있다.
대시보드(150)에 마련된 스티어링 휠(140)은 차량(100)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141) 및 후술할 차량(100)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141)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스포크(142)에는 차량(100)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오디오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142a, 142b)가 형성될 수 있다.
대시보드(150)에 마련된 센터페시아(130)에는 공조 장치(131), 시계(132), 오디오 장치(133) 및 디스플레이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공조 장치(131)는 차량(100)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100)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 장치(131)는 센터페시아(130)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31a)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130)에는 공조 장치(131)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 등의 탑승자는 센터페시아(130)에 배치된 버튼을 이용하여 공조 장치(131)를 제어할 수 있다.
시계(132)는 공조 장치(131)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주위에 마련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33)는 오디오 장치(133)의 기능 수행을 위한 다수의 버튼들이 마련된 조작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33)는 라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라디오 모드와 오디오 파일이 담긴 다양한 저장매체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4)는 차량(100)과 관련된 정보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이 권장 주행경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출력신호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134)는 해당 출력신호에 대응되는 권장 주행경로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통해 출력하여 탑승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134)는 센터페시아(130)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의 설치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는 차량(100)의 센터페시아(130)와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13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대시보드(150)는 차량(100)의 주행 속도, 엔진 회전 수 또는 연료 잔량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각종 계기판 및 각종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글로브 박스(globe box)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차량(100)의 내부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160)가 마련될 수 있다. 스피커는 차량(100)과 관련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이 권장 주행경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출력신호를 수신하면, 스피커(160)는 해당 출력신호에 대응되는 권장 경로를 음향을 통해 출력하여 탑승자에게 알릴 수 있다.
한편, 차량은 주행과 직, 간접적으로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복수의 차량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차량 모듈 간의 통신을 위해 각각의 차량 모듈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할 경우, 배선이 차량 내에서 차지하는 공간 및 무게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은 캔(CAN; Controller Area Network)을 채택함으로써 복수의 차량 모듈 간의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캔은 복수의 차량 모듈이 접속되는 직렬 버스를 통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복수의 차량 모듈 간 원활한 통신이 가능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차량에 구축되는 캔에 접속되는 차량 모듈의 수가 증가하면, 버스를 통해 전달되는 메시지 프레임의 수가 증가하고, 그 결과 메시지 프레임의 왜곡이나 통신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차량은 편의성뿐만 아니라 안전성이 담보되어야 하는 장치이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통신 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차량은 복수의 차량 모듈로부터 메시지 프레임을 수신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차량 모듈로 메시지 프레임을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의 캔 통신에 이용되는 게이트웨이 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은 복수의 차량 모듈간의 통신을 위해 캔 통신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캔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차량 모듈; 및 복수의 차량 모듈과 접속되고, 복수의 차량 모듈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한 캔 신호를 복수의 차량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장치(200); 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차량 모듈은 차량이 수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차량의 내외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인 ECU(Electronic Control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 모듈은 진단 장치(301); BCM(Body Control Module, 302); SJB(Smart Junction Box, 303); DDM(Driver Door Module, 304); EMS(Engine Management System, 305);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306); 및 DATC(Dual Zone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ler, 307); 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 모듈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차량은 상술한 실시예 이외의 차량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술한 실시예 중 일부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복수의 차량 모듈 각각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 프레임을 전기적 신호인 캔 신호의 형태로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차량은 2 가닥의 꼬임선(Twist Pair Wire)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므로, 캔 신호는 2 가닥 꼬임선 각각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CAN_H 신호, 및 CAN_L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복수의 차량 모듈은 CAN_H 신호와 CAN_L 신호에 의해 형성되는 2 가닥의 꼬임선 간의 실시간 전위 차를 통해 메시지 프레임을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복수의 차량 모듈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한 캔 신호를 복수의 차량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게이트웨이 장치(200)가 캔 신호를 중계하는 것을 라우팅(Routing)이라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외부기기와 접속 가능한 복수의 채널이 마련되는 통신 인터페이스(210);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수신한 캔 신호를 디지털 신호의 형태인 수신 신호로 변환하거나, 디지털 신호의 형태인 전송 신호를 캔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트랜시버(220), 및 제 2 트랜시버(240); 및 수신 신호를 메시지 프레임으로 그룹화하여 송신하고자 하는 차량 모듈을 결정하고, 결정된 차량 모듈로 전송하도록 전송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230); 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외부기기와 접속하여 캔 신호의 전송 또는 수신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통신 인터페이스(210)가 제 1 외부기기(310)가 접속되는 제 1 채널(211); 및 제 2 외부기기(320)가 접속되는 제 2 채널(212)을 마련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3개 이상의 채널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210)의 복수의 채널에 접속 가능한 외부기기는 상술한 진단 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차량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 1 채널(211) 및 제 2 채널(212) 각각은 제 1 외부기기(310) 또는 제 2 외부기기(320)와 접속 가능한 하드웨어 단자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채널(211)은 제 1 외부기기(310)로부터 캔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채널은 제 2 외부기기(320)로 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캔 신호는 2 가닥의 꼬임선 각각을 통해 전달되는 CAN_H 신호와 CAN_L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트랜시버(220)는 제 1 채널(211)로부터 캔 신호를 전달받아, 디지털 신호의 형태인 수신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통해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트랜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1 트랜시버(220)는 제 1 채널(211)로부터 2 가닥의 꼬임선을 통해 CAN_H 신호 및 CAN_L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CAN_H 신호와 CAN_L 신호에 의해 2 가닥의 꼬임선 각각은 전위를 가지므로, 제 1 트랜시버(220)는 꼬임선에 형성되는 전위 차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기초로, 제 1 트랜시버(220)는 꼬임선에 형성되는 전위차에 대응되는 수신 신호를 디지털 신호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트랜시버(220)로 전달되는 제 1 트랜시버(220) 좌측의 신호가 캔 신호이며, 제 1 트랜시버(220)에서 출력되는 제 1 트랜시버(220) 우측의 신호가 수신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캔 통신에서는 꼬임선 간의 전위차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를 열성(Rexessive), 꼬임선 간의 전위차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를 우성(Dominent)로 한다. 이 때, 제 1 트랜시버(220)는 열성을 논리적으로 1, 우성을 논리적으로 0으로 규정하므로, 도 5에서 제 1 트랜시버(220)는 "101" 이라는 수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처럼, 제 1 트랜시버(220)는 실시간으로 꼬임선의 전위차를 감지하여, 비트 스트림의 형태로 수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230)는 비트 스트림 형태의 수신 신호 수신하여, 이를 적절한 외부기기로 라우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30)는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수신 신호를 메시지 프레임으로 그룹화 하고,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를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외부기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a 및 6b를 참조하여, 메시지 프레임과 식별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 및 6b는 메시지 프레임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의 실시예는 표준 캔 통신 프로토콜을 따를 때의 메시지 프레임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며, 도 6b의 실시예는 확장 캔 통신 프로토콜을 따를 때의 메시지 프레임 구조를 예시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일 실시에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은 메시지의 시작을 의미하는 SOF(Start Of Frame), 메시지를 식별하고 메시지의 우선 순위를 지정하는데 이용되는 식별자(Identifier), 원격 프레임과 데이터 프레임을 구분하는데 이용되는 RTR(Remote Transmission Request), 표준 프레임과 확장 프레임을 구분하는데 이용되는 IDE(Identifier Extension), 향후 사용되기 위해 예약된 비트 값을 가지는 r0와 데이터 필드의 바이트 수를 나타내는 DLC(Data Length Code)로 구성되는 제어 필드(Control Field),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0~8 Byte로 구성되는 데이터 필드(Data Field), 데이터 필드의 끝을 알리는 비트 값을 가지는 CRC(Cyclil Redundancy Check), 메시지의 성공적 수신 여부를 나타내는 ACK 필드(Acknowledge Field), 프레임의 종료를 알리는 EOF(End Of Frame)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프레임의 식별자는 11 비트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데이터 프레임이 도 6b의 실시예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b의 데이터 프레임은 식별자가 SRR, 및 IDE에 의해 두 개로 구분되어 있다. 여기서 SRR(Substitute Remote Request)는 표준 데이터 프레임과 확장 데이터 프레임을 중재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프레임의 식별자는 29 비트로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데이터 프레임은 식별자 및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230)는 수신 신호를 메시지 프레임으로 그룹화 한 후,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외부기기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자에 대응되는 외부기기란 데이터 프레임의 데이터 필드를 생성한 외부기기를 확인함으로써 데이터 필드를 전송하고자 하는 외부기기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데이터 프레임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외부기기를 제 2 외부기기(320)라 한다.
제 2 외부기기(320)를 결정한 후, 제어부(230)는 수신 신호에 대응되는 전송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제 1 외부기기(310)와 제 2 외부기기(320)가 동일한 프로토콜을 가지는 경우, 제어부(230)는 수신 신호를 전송 신호로서 출력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 1 외부기기(310)와 제 2 외부기기(320)가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가지는 경우, 제어부(230)는 수신한 수신 신호를 제 2 외부기기(320)의 프로토콜에 맞는 형태로 변환한 결과를 전송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제 2 트랜시버(240)는 제어부(230)에서 출력된 전송 신호를 캔 신호로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트랜시버(240)는 2 가닥의 꼬임선에 전위차를 형성시킴으로써 전송 신호에 대응되는 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 2 트랜시버(240)가 전송 신호를 캔 신호로 변경하는 방법은 제 1 트랜시버(220)가 캔 신호를 수신 신호로 변경하는 방법의 역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변경한 전송 신호를 제 2 외부기기(320)로 전송하기 위해, 제 2 트랜시버(240)는 제 2 채널(212)로 전송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외부기기(310)로부터 생성되는 캔 신호를 제 2 외부기기(320)로 라우팅하기 위해,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캔 신호를 데이터 프레임으로 변환하고, 식별자를 확인하는 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그 결과, 캔 신호 라우팅 시 데이터 프레임 간의 시간 지연을 유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데이터 프레임 간 시간 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가로 축은 시간 축을 의미하고, M1은 제 1 데이터 프레임, M2는 제 2 데이터 프레임을 의미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게이트웨이 장치(200)가 제 1 데이터 프레임에 대응되는 캔 신호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는데 Tm1의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수신한 캔 신호를 제 1 데이터 프레임으로 그룹화 하고, 제 1 데이터 프레임의 식별자를 확인하여 제 2 외부기기(320)를 결정하는데 STmin의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게이트웨이 장치(200)가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라우팅 하는데 Tm1과 STmin을 합한 Tfr의 시간이 소요된다.
만약, 외부기기의 진단을 위한 진단 통신과 같이 캔 신호의 고속 전송이 요구되는 경우, 라우팅 시 발생하는 시간 지연에 의해 메시지 프레임의 누락 또는 진단 통신 실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프레임 간 거리를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복수의 채널 간의 연결 상태를 결정하는 스위치부(25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250)는 두 개의 채널 마다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각각은 온(On)/오프(Off) 상태에 따라 두 개의 채널의 연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제 1 채널(211) 및 제 2 채널(212)을 포함하므로, 스위치부(250)는 제 1 채널(211) 및 제 2 채널(212) 사이에 마련되는 스위치(251); 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250)의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트랜지스터 또는 FET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온 또는 오프 상태로 변환되는데, 상태 변환 시간이 STmin보다 짧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230)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의 동작을 도 8 내지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 내지 10은 여러가지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 장치의 라우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선형 알고리즘이다. 도 8 내지 10의 세로 축은 시간의 흐름을 의미하고, 화살표는 해당 신호의 시점과 종점을 나타낸다.
도 8의 경우, 캔 신호의 고속 전송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의 게이트웨이 장치(200)에 의한 라우팅 과정을 예시한다.
먼저 제 1 외부기기(310)로부터 캔 신호가 제 1 채널(211)을 거쳐 제 1 트랜시버(220)로 전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캔 신호는 CAN_H 신호와 CAN_L 신호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제 1 트랜시버(220)는 꼬임선을 통해 CAN_H 신호 및 CAN_L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트랜시버(220)는 CAN_H 신호와 CAN_L 신호를 동일한 시점에 수신할 수 있다.
그 다음, 제 1 트랜시버(220)는 CAN_H 신호 및 CAN_L 신호에 의해 형성되는 꼬임선의 전위차를 기초로 수신 신호 RX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제 1 트랜시버(220)는 꼬임선의 전위차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비트 스트림 형태로 수신 신호 RX를 출력할 수 있다. 이렇게 출력된 수신 신호 RX는 제어부(23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비트 스트림 형태의 수신 신호 RX를 데이터 프레임으로 그룹화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그룹화된 데이터 프레임에서 식별자를 확인하여 해당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제 2 외부기기(320)를 결정할 수 있다.
제 2 외부기기(320)를 결정한 후, 제어부(230)는 수신 신호 RX에 대응되는 전송 신호 TX를 출력하여 제 2 트랜시버(2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출력되는 전송 신호 TX는 수신 신호 RX와 동일한 형태일 수도 있고, 제 2 외부기기(320)의 프로토콜에 대응하도록 변환된 형태일 수도 있다.
제 2 트랜시버(240)는 제어부(230)로부터 전달받은 전송 신호 TX를 캔 신호로 변환한 후, 제 2 채널(212)을 통해 제 2 외부기기(3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 트랜시버(240)와 제 2 외부기기(320)는 꼬임선에 의해 연결되므로, 제 2 트랜시버(240)는 CAN_H 신호 및 CAN_L 신호로 구성되는 캔 신호를 제 2 외부기기(3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 트랜시버(240)는 CAN_H 신호와 CAN_L 신호를 동일한 시점에 전송할 수 있다.
도 8과 달리, 도 9는 캔 신호의 고속 전송이 요구되는 경우의 게이트웨이 장치(200)에 의한 라우팅 과정을 예시한다.
먼저 제 1 외부기기(310)로부터 캔 신호가 제 1 채널(211)을 거쳐 제 1 트랜시버(220)로 전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캔 신호는 CAN_H 신호와 CAN_L 신호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제 1 트랜시버(220)는 꼬임선을 통해 CAN_H 신호 및 CAN_L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트랜시버(220)는 CAN_H 신호와 CAN_L 신호를 동일한 시점에 수신할 수 있다.
그 다음, 제 1 트랜시버(220)는 CAN_H 신호 및 CAN_L 신호에 의해 형성되는 꼬임선의 전위차를 기초로 수신 신호 RX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제 1 트랜시버(220)는 꼬임선의 전위차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비트 스트림 형태로 수신 신호 RX를 출력할 수 있다. 이렇게 출력된 수신 신호 RX는 제어부(23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비트 스트림 형태의 수신 신호 RX를 데이터 프레임으로 그룹화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그룹화된 데이터 프레임에서 식별자를 확인하여 해당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제 2 외부기기(320)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230)는 데이터 프레임의 식별자가 미리 정해진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이란 캔 신호를 고속으로 전송할 필요가 있는 데이터 프레임의 식별자를 의미하며, 이는 제조 시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미리 결정될 수 있다.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은 제 2 외부기기(320)를 진단하기 위한 데이터 프레임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데이터 프레임의 식별자가 미리 정해진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면, 제어부(230)는 스위치(251)를 온(On) 시키는 신호 SON을 제 1 채널(211) 및 제 2 채널(212) 사이에 마련되는 스위치(251)로 전송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230)는 수신 신호 RX에 대응되는 전송 신호 TX를 출력하여 제 2 트랜시버(2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출력되는 전송 신호 TX는 수신 신호 RX와 동일한 형태일 수도 있고, 제 2 외부기기(320)의 프로토콜에 대응하도록 변환된 형태일 수도 있다.
제 2 트랜시버(240)는 제어부(230)로부터 전달받은 전송 신호 TX를 캔 신호로 변환하여 제 2 외부기기(3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 트랜시버(240)와 제 2 외부기기(320)는 꼬임선에 의해 연결되므로, 제 2 트랜시버(240)는 CAN_H 신호 및 CAN_L 신호로 구성되는 캔 신호를 제 2 외부기기(3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 트랜시버(240)는 CAN_H 신호와 CAN_L 신호를 동일한 시점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다시 제 1 외부기기(310)로부터 캔 신호 CAN_H 및 CAN_L가 수신되면,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캔 신호를 제 1 채널(211)에서 직접 스위치(251)를 거쳐 제 2 채널(212)을 통해 제 2 외부기기(3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230)는 스위치(251)를 온 시킴으로써 캔 신호가 제 1 채널(211)에서 제어부(230)를 거치지 않고 제 2 채널(212)로 직접 전달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데이터 프레임으로 그룹화된 후, 식별자를 확인하는 시간이 단축되므로, 제 1 외부기기(310)에서 생성된 캔 신호를 신속하게 제 2 외부기기(32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0은 캔 신호의 고속 전송이 요구가 중단되는 경우의 게이트웨이 장치(200)에 의한 라우팅 과정을 예시한다. 도 10은 스위치(251)가 온 상태인 경우를 전제로 설명한다.
도 9와 같이, 데이터 프레임의 식별자가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면, 제어부(230)는 제 1 외부기기(310)와 제 2 외부기기(320)를 연결하는 스위치(251)를 온 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캔 신호가 제 1 채널(211)에서 제어부(230)를 거치지 않고 제 2 채널(212)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230)는 제 1 외부기기(310)로부터 수신한 캔 신호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트랜시버(220)는 캔 신호를 수신 신호인 RX로 변환하여 제어부(230)로 전달하고, 제어부(230)는 수신 신호 RX를 메시지 프레임으로 그룹화 한 후,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만약,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가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지 않는다면, 더 이상 고속 전송이 필요 없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30)는 스위치(251)를 오프(Off) 시키는 신호 SOFF 를 제 1 채널(211)과 제 2 채널(212) 사이에 마련되는 스위치(251)로 전송할 수 있다. 그 결과, 캔 신호는 더 이상 제 1 채널(211)에서 제 2 채널(212)로 직접 전달될 수 없다.
마지막으로, 제어부(230)는 수신 신호 RX에 대응되는 전송 신호 TX를 출력하여 제 2 트랜시버(240)로 전송하고, 제 2 트랜시버(240)는 제어부(230)로부터 전달받은 전송 신호 TX를 캔 신호로 변환하여 제 2 외부기기(3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 트랜시버(240)는 CAN_H 신호와 CAN_L 신호를 동일한 시점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다시 제 1 외부기기(310)로부터 캔 신호 CAN_H 및 CAN_L가 수신되면,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캔 신호를 제 1 채널(211)에서 직접 스위치(251)를 거쳐 제 2 채널(212)을 통해 제 2 외부기기(320)로 전달할 수 없고, 제어부(230)에서 캔 신호를 데이터 프레임으로 그룹화하여 식별자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 후. 제 2 외부기기(32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제 1 외부기기(310)로부터 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게이트웨이의 통신 인터페이스(210) 중 제 1 외부기기(310)와 접속하는 제 1 채널(211)에서 캔 신호 CAN_H 및 CAN_L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외부기기(310)는 진단 장치(301)를 포함할 수 있다.(S500)
다음,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수신한 캔 신호를 메시지 프레임으로 그룹화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게이트웨이 장치(200)의 제 1 트랜시버(220)는 캔 신호를 비트 스트림 형태의 수신 신호로 변환하고, 게이트웨이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수신 신호를 메시지 프레임으로 그룹화 할 수 있다.(S510)
캔 신호를 메시지 프레임으로 그룹화 한 후, 게이트웨이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다.(S520) 식별자가 확인되면, 게이트웨이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확인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 2 외부기기(320)를 결정할 수 있다.(S530)
그 다음, 게이트웨이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확인된 식별자가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S540) 여기서,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이란 캔 신호를 고속으로 전송할 필요가 있는 데이터 프레임의 식별자를 의미하며, 이는 제조 시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미리 결정될 수 있다.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은 제 2 외부기기(320)를 진단하기 위한 데이터 프레임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확인된 식별자가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지 않으면, 과정을 종료한다.
반면, 확인된 식별자가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면, 게이트웨이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제 1 외부기기(310)가 접속된 제 1 채널(211)과 제 2 외부기기(320)가 접속된 제 2 채널(212)을 연결하는 스위치(251)를 온(On) 시킬 수 있다.(S550)
그 결과,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스위치(251) 온 이후에 제 1 외부기기(310)로부터 수신되는 캔 신호를 제 1 채널(211)에서 스위치(251)를 거쳐 제 2 채널(212)로 직접 전달함으로써 제 2 외부기기(320)로 전송할 수 있다.
100: 차량
200: 게이트웨이 장치
210: 통신 인터페이스
220: 제 1 트랜시버
230: 제어부
240: 제 2 트랜시버
250: 스위치부
310: 제 1 외부기기
320: 제 2 외부기기

Claims (24)

  1. 외부기기와 접속 가능한 복수의 채널이 마련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복수의 채널 간의 연결 상태를 결정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복수의 채널 중 제 1 채널에 접속되는 제 1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캔 신호를 메시지 프레임으로 그룹화하고, 상기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Identifier)가 미리 정해진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면 상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 2 외부기기가 접속되는 제 2 채널과 상기 제 1 채널을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제 2 채널 사이에 마련되는 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가 상기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면 상기 스위치를 온(On) 시키는 게이트웨이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캔 신호가 상기 제 1 채널에서 직접 상기 제 2 채널을 거쳐 상기 제 2 외부기기로 전달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온 시키는 게이트웨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를 온 시킨 후, 상기 제 1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캔 신호를 상기 메시지 프레임으로 그룹화하고, 상기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를 모니터링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가 상기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스위치를 오프(Off) 시키는 게이트웨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캔 신호가 상기 제 1 채널에서 직접 상기 제 2 채널을 거쳐 상기 제 2 외부기기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오프 시키는 게이트웨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외부기기를 진단하는 진단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외부기기와 접속 가능한 제 1 채널을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가 상기 제 2 외부기기를 진단하기 위한 것임을 나타내는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면,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제 2 채널을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캔 신호가 상기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는 식별자를 가지는 제 1 메시지 프레임으로 그룹화 되면, 상기 제 1 채널 및 상기 제 2 채널을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의 기초가 되는 상기 캔 신호를 상기 제 2 채널을 통해 상기 제 2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 이후의 제 2 메시지 프레임의 기초가 되는 캔 신호를 상기 제 1 채널에서 직접 상기 제 2 채널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11. 캔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차량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차량 모듈과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차량 모듈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한 상기 캔 신호를 상기 복수의 차량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차량 모듈과 접속 가능한 복수의 채널이 마련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복수의 채널 간의 연결 상태를 결정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복수의 채널 중 제 1 채널에 접속되는 제 1 차량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캔 신호를 메시지 프레임으로 그룹화하고, 상기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Identifier)가 미리 정해진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면 상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 2 차량 모듈이 접속되는 제 2 채널과 상기 제 1 채널을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제 2 채널 사이에 마련되는 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가 상기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면 상기 스위치를 온(On) 시키는 차량.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캔 신호가 상기 제 1 채널에서 직접 상기 제 2 채널을 거쳐 상기 제 2 차량 모듈로 전달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온 시키는 차량.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를 온 시킨 후, 상기 제 1 차량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캔 신호를 상기 메시지 프레임으로 그룹화하고, 상기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를 모니터링 하는 차량.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가 상기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스위치를 오프(Off) 시키는 차량.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캔 신호가 상기 제 1 채널에서 직접 상기 제 2 채널을 거쳐 상기 제 2 차량 모듈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오프 시키는 차량.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차량 모듈을 진단하는 진단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차량 모듈과 접속 가능한 제 1 채널을 포함하는 차량.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가 상기 제 2 차량 모듈을 진단하기 위한 것임을 나타내는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면,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제 2 채널을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차량.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캔 신호가 상기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는 식별자를 가지는 제 1 메시지 프레임으로 그룹화 되면, 상기 제 1 채널 및 상기 제 2 채널을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의 기초가 되는 상기 캔 신호를 상기 제 2 채널을 통해 상기 제 2 차량 모듈로 전송하는 차량.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 이후의 제 2 메시지 프레임의 기초가 되는 캔 신호를 상기 제 1 채널에서 직접 상기 제 2 채널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차량.
  21. 복수의 차량 모듈과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차량 모듈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한 캔 신호를 상기 복수의 차량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의 제 1 채널에 접속된 제 1 차량 모듈로부터 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캔 신호를 메시지 프레임으로 그룹화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Identifier)가 미리 정해진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면, 상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 2 차량 모듈이 접속되는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의 제 2 채널과 상기 제 1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채널과 상기 제 1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가 상기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면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제 2 채널 사이에 마련되는 스위치를 온(On) 시키는 차량의 제어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제 2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캔 신호가 상기 고속 전송 식별자 그룹에 속하는 식별자를 가지는 제 1 메시지 프레임으로 그룹화 되면,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제 2 채널을 연결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 이후의 제 2 메시지 프레임의 기초가 되는 상기 캔 신호를 상기 제 1 채널에서 직접 상기 제 2 채널을 통해 상기 제 2 차량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제 2 채널의 연결 관계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50089909A 2015-06-24 2015-06-24 게이트웨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640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909A KR101640054B1 (ko) 2015-06-24 2015-06-24 게이트웨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4/918,925 US9806910B2 (en) 2015-06-24 2015-10-21 Gateway device,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909A KR101640054B1 (ko) 2015-06-24 2015-06-24 게이트웨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0054B1 true KR101640054B1 (ko) 2016-07-22

Family

ID=56681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909A KR101640054B1 (ko) 2015-06-24 2015-06-24 게이트웨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06910B2 (ko)
KR (1) KR1016400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637B1 (ko) * 2014-11-03 2015-1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데이터량 증대로 통신속도 개선을 위한 can 통신 방법 및 데이터 프레임 구조
US20190104488A1 (en) * 2017-10-04 2019-04-04 Panasonic Automotive Systems Company Of America, Division Of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Transmit signal synchronization in two channels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 system
US10623202B1 (en) * 2018-10-25 2020-04-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network traffic for a network with in a device
US20210176092A1 (en) * 2019-12-10 2021-06-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s with disparate communication architectures and multiple gateway modules for selective communication therebetween
US20230328619A1 (en) * 2020-08-11 2023-10-12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s for channel switching and electronic device
US11411766B2 (en) * 2020-09-03 2022-08-09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Secure controller area network (CAN) transceiver
CN114500157B (zh) * 2022-04-07 2022-07-29 浙江中控研究院有限公司 基于can网关的冗余实现系统、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9890A (ko) * 2012-09-19 2012-10-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캔통신장치
KR20140124255A (ko) * 2013-04-16 2014-10-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더넷 연동 차량 통신 게이트웨이 장치와, 그 장치에서의 메시지 전달 방법
KR20150003543A (ko) * 2013-07-01 2015-0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캔 프레임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KR101527779B1 (ko) * 2014-01-13 2015-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효율적인 차량용 리프로그래밍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51361B (zh) * 2008-12-16 2012-10-10 联想(北京)有限公司 控制移动终端中数据传输接口的切换方法及终端设备
KR100976710B1 (ko) 2009-01-22 2010-08-1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용 게이트웨이 장치
JP5063655B2 (ja) 2009-09-18 2012-10-31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ゲートウェイ装置
JP5949416B2 (ja) * 2012-10-09 2016-07-06 株式会社デンソー 中継装置
KR101480389B1 (ko) 2013-05-28 2015-01-09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Can 액티브 스위치
KR101491293B1 (ko) 2013-08-09 2015-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의 메시지 라우팅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9890A (ko) * 2012-09-19 2012-10-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캔통신장치
KR20140124255A (ko) * 2013-04-16 2014-10-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더넷 연동 차량 통신 게이트웨이 장치와, 그 장치에서의 메시지 전달 방법
KR20150003543A (ko) * 2013-07-01 2015-0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캔 프레임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KR101527779B1 (ko) * 2014-01-13 2015-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효율적인 차량용 리프로그래밍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06910B2 (en) 2017-10-31
US20160381679A1 (en) 201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054B1 (ko) 게이트웨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381758B1 (ko) 차량의 헤드 유닛,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
US9749147B2 (en) Ethernet AVB for time-sensitive networks
US11483517B2 (en) Selected forwarding between serially chained devices
WO2018003306A1 (ja) 通信管理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20110046073A (ko) 차량내 네트워크에서의 통합 게이트웨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11131463A (zh) 一种兼容tsn并引入fc协议的车载以太网络架构
US20160277208A1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KR102464430B1 (ko) 차량 전자 모듈의 통신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210120287A (ko) 진단 시스템 및 차량
US20160267722A1 (en) Calibrating electronic modules of a vehicle using a configuration application
CN104184815B (zh) 一种拓扑网络
KR101866725B1 (ko) 차량 전자 모듈의 통신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2013216182A (ja) 車載システム
KR101714481B1 (ko) 통신 네트워크,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7049938B2 (en) Intra-vehicle LAN system combining electric power supply
KR102486151B1 (ko) 통신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082338B1 (ko) 차량용 모스트 네트워크 통합 장치 및 그 방법
KR102382998B1 (ko) 차량 진단 장치, 차량 진단 시스템 및 차량 진단 방법
KR20030060584A (ko) 모스트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내 멀티미디어 제어 시스템
KR20150004516A (ko) 이더넷 카메라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 시스템
CN210375201U (zh) 集成式传感器和车辆
JP5406079B2 (ja) 車載通信システム
KR101714474B1 (ko) 차량 전자 장치의 통신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N110689908A (zh) 车辆及其音频信息独立控制装置和音频信息独立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