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955B1 - 모형선의 타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모형선의 타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955B1
KR101639955B1 KR1020150145096A KR20150145096A KR101639955B1 KR 101639955 B1 KR101639955 B1 KR 101639955B1 KR 1020150145096 A KR1020150145096 A KR 1020150145096A KR 20150145096 A KR20150145096 A KR 20150145096A KR 101639955 B1 KR101639955 B1 KR 101639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ase
rotation
steering angl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윤규
유선모
이창용
김명석
김명수
공지환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145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9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B9/00
    • B63B9/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52Parts for 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0Hyd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ship-testing tanks or water tunn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형선의 타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모형선의 타 각도 조절장치는 설정된 회전 범위 내에서, 모형선의 타각을 규제하는 타각 조절부; 및 상기 타각 조절부의 상단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승강됨에 따라 상기 모형선의 타주의 승강 위치를 조절하는 승강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형선의 타 각도 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STEERING ANGLE OF MODELSHIP}
본 발명은 타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를 높은 반복성과 정밀도를 가지면서 모형선에 설치할 수 있는 타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예인수조에서 성능평가를 수행하는 경우, 대부분의 선박에는 타(rudder)가 장착된다.
상기 타는 배의 직선항로를 유지하거나 진행 방향을 바꾸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여러 가지 외력에 의하여 직선항로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선박의 선수각 증가에 대항하여 외력을 발생시키기 한 타가 장착된다.
또한, 선박의 성능평가를 위해 모형시험을 실시하는 경우, 타의 각도 및 형상에 의한 영향을 판단하기 위해선 모형선에 정확한 타의 설치가 요구된다.
타의 관점에서 볼 때, 모형시험은 타를 고정하는 경우 및, 타의 각도를 변경해가면서 최적의 성능을 찾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타를 고정하는 경우, 시험조건이 변경(저항시험?자항시험)되거나 추가적으로 장착된 에너지절감장치의 조건을 변경할 때, 원활한 추진기 및 부가물 설치를 위해 고정되었던 타를 탈거했다가 다시 장착해야 한다.
또한, 타의 각도를 변경하면서 선형 성능의 최적 조건을 찾는 모형 시험의 경우에는 정밀한 타의 각도 조절이 결과 도출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이유들로, 높은 반복성을 가지면서 타를 정밀하게 장착함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종래에는 별도 각도 조정 장치의 설치를 통해 타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 했다.
그러나, 시험조건을 변경함에 따라 종래에 시험했던 각도로 타를 다시 설치하거나, 요구되는 각도로 조절해가면서 타를 설치하는 것은 정밀도와 반복성 측면에서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모형타의 타력 측정장치(특허출원 제10-1997-0050918호)
본 발명의 목적은, 타를 높은 반복성과 정밀도를 가지면서 모형선에 설치할 수 있는 타각도 조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모형선의 타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모형선의 타 각도 조절장치는 설정된 회전 범위 내에서, 모형선의 타각을 규제하는 타각 조절부; 및 상기 타각 조절부의 상단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승강됨에 따라 상기 모형선의 타주의 승강 위치를 조절하는 승강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타각 조절부는, 설정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양측방으로 대칭을 이루며, 설정된 간격의 회전각 눈금이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평면 절개부와, 상기 베이스의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 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면 절개부는, 상기 모형선의 설치 영역의 형상에 상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면 절개부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회전 안내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회전 안내홀은, 상기 모형선에 설치되어, 조임 또는 풀림이 가능한 한 쌍의 제 1조임 부재를 통해 회전이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 조절부는, 상기 타각 조절부의 상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타주의 승강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모형선의 타주에 연결되는 타주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를 따르는 일정 길이의 가이드 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주 고정 부재는, 상기 중공에 끼워져 승강 이동 가능하고, 상기 가이드 홀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로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로드에는, 제 2조임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제 2조임 부재의 조임 동작에 따라, 상기 타주 고정 부재는 상기 가이드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승강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설정된 각도가 고정된 상태에서 타의 설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타주의 직경에 따라 타주 고정 부분의 타주 장착 부분만 새로이 제작하여 간단한 교체를 통해 다양한 직경의 타주 설치가 용이한 구조로 설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형선의 타 각도 조절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타각 조절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타각 조절부의 베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타주 고정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가이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 본 발명의 타각도 조절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모형선의 타 각도 조절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형선의 타 각도 조절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타각 조절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타각 조절부의 베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타주 고정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가이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모형선의 타 각도 조절장치는 크게 타각 조절부(100)와, 승강 조절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타각 조절부(100)는 설정된 회전 범위 내에서, 모형선의 타각을 규제한다.
상기 타각 조절부(100)는 베이스(110)와, 평면 절개부(120)와, 안내 베이스(13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10)는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모형선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에는 설정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양측방으로 대칭을 이루며, 설정된 간격의 회전각 눈금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10)에는 한 쌍의 회전 안내홀(111)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회전 안내홀(111)은 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회전 안내홀(111)은 일정의 반경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회전 안내홀(111) 각각에는, 한 쌍의 제 1조임 부재(112)가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제 1조임 부재(112)는 모형선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10)의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 베이스(130)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110)는 안내 베이스(130)에 안착되는 상태로, 한 쌍의 제 1조임 부재(112)에 의해 일전 회전 반경을 이루도록 회전이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10)의 일 부분에는 평면 절개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평면 절개부(120)는 일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평면 절개부(120)는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평면 절개부(120)가 모형선에 고정되면, 좌우로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승강 조절부(200)는, 상기 타각 조절부(100)의 상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타주의 승강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가이드()(210)와, 상기 가이드(2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모형선의 타주에 연결되는 타주 고정 부재(220)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210)는 베이스(110) 상에서 수직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고, 원통 형상의 중공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210)에는 상하를 따르는 일정 길이의 가이드 홀(211)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타주 고정 부재(220)는, 상기 중공에 끼워져 승강 이동 가능하고, 상기 가이드 홀(211)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로드(미도시)를 갖는다.
상기 가이드 로드에는, 재 2조임 부재(222)가 설치된다.
상기 제 2조임 부재(222)는 회전식 조임 부재로서, 상기 제 2조임 부재(222)의 조임 동작에 따라, 상기 타주 고정 부재(220)는 상기 가이드(210)의 내측면에 말착되어 승강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는 가이드 홀(211)에는 웨이브 또는 요철 형상의 다수의 걸림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가이드 로드가 가이드 홀(211)을 따라 승강 유동시, 걸리도록 하여 급작스런 하강 유동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을 참조로 하면, 일반적인 타의 경우에는 높이 조절 없이 각도 조절을 통해 시험조건 변경이 가능하나, 본 발명의 타의 경우에는 타주의 높이 조절이 선행된 후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안한 장치의 '타주 높이 조절 부분'으로 이러한 상황에 대처 가능하다.
또한 타주의 직경에 따라 타주 고정 부분인 타주 고정 부재만을 신규 제작하여 간단한 교체를 통해 다양한 직경의 타주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타의 각도를 바꿔가면서 선형 성능의 최적 조건을 찾는 모형 시험의 경 우에 정밀한 각도 조절이 결과 도출에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이를 위해 베이스의 회전 각도를 눈금 또는 화살표를 통해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의 (a), (b),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실제 모형선(10)에 설치된 타 각도 조절 장치에서, 해당 장치의 높이 및 각도 조절을 통해 효율적이고 정밀하게 원하는 위치 및 방향으로 타를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모형선의 타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모형선
100 : 타각 조절부
110 : 베이스
111 : 회전 안내홀
112 : 제 1조임 부재
120 : 평면 절개부
200 : 승강 조절부
210 : 가이드
211 : 가이드 홀
220 : 타주 고정 부재
222 : 제 2조임 부재

Claims (7)

  1. 설정된 회전 범위 내에서, 모형선(10)의 타각을 규제하는 타각 조절부(100); 및
    상기 타각 조절부(100)의 상단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승강됨에 따라 상기 모형선(10)의 타주의 승강 위치를 조절하는 승강 조절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타각 조절부(100)는,
    설정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양측방으로 대칭을 이루며, 설정된 간격의 회전각 눈금이 형성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평면 절개부(120)와,
    상기 베이스(110)의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 베이스(1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선의 타 각도 조절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절개부(120)는,
    상기 모형선(10)의 설치 영역의 형상에 상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선의 타 각도 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절개부(120)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선의 타 각도 조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0)에는,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회전 안내홀(111)이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회전 안내홀(111)은,
    상기 모형선(10)에 설치되어, 조임 또는 풀림이 가능한 한 쌍의 제 1조임 부재(112)를 통해 회전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선의 타 각도 조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조절부(200)는,
    상기 타각 조절부(100)의 상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타주의 승강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가이드(210)와,
    상기 가이드(2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모형선(10)의 타주에 연결되는 타주 고정 부재(2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선의 타 각도 조절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210)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를 따르는 일정 길이의 가이드 홀(211)이 형성되고,
    상기 타주 고정 부재(220)는,
    상기 중공에 끼워져 승강 이동 가능하고, 상기 가이드 홀(211)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로드를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 로드에는, 제 2조임 부재(222)가 설치되며,
    상기 제 2조임 부재(222)의 조임 동작에 따라, 상기 타주 고정 부재(220)는 상기 가이드(2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승강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선의 타 각도 조절장치.
KR1020150145096A 2015-10-19 2015-10-19 모형선의 타 각도 조절장치 KR101639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096A KR101639955B1 (ko) 2015-10-19 2015-10-19 모형선의 타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096A KR101639955B1 (ko) 2015-10-19 2015-10-19 모형선의 타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9955B1 true KR101639955B1 (ko) 2016-07-15

Family

ID=56506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096A KR101639955B1 (ko) 2015-10-19 2015-10-19 모형선의 타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9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009B1 (ko) * 2019-04-26 2020-03-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풍동시험용 모형시험체의 풍각 조절을 위한 수평회전지그를 구비한 모형시험체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풍동시험장치
CN115158577A (zh) * 2022-07-29 2022-10-11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伸缩舵板模拟加载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0918A (ko) 1995-12-15 1997-07-29 배순훈 비디오디스크의 영상가요데이터 소팅제어방법
KR19990030628A (ko) * 1997-10-02 1999-05-06 이대원 모형타의 타력 측정장치
KR101338310B1 (ko) * 2011-11-18 2013-12-09 장진웅 선박용 타각 발신기
KR101373680B1 (ko) * 2013-10-08 2014-03-1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타각조정장치
KR20150100222A (ko) * 2014-02-25 2015-09-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연료 소비 저감을 위한 선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0918A (ko) 1995-12-15 1997-07-29 배순훈 비디오디스크의 영상가요데이터 소팅제어방법
KR19990030628A (ko) * 1997-10-02 1999-05-06 이대원 모형타의 타력 측정장치
KR101338310B1 (ko) * 2011-11-18 2013-12-09 장진웅 선박용 타각 발신기
KR101373680B1 (ko) * 2013-10-08 2014-03-1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타각조정장치
KR20150100222A (ko) * 2014-02-25 2015-09-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연료 소비 저감을 위한 선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009B1 (ko) * 2019-04-26 2020-03-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풍동시험용 모형시험체의 풍각 조절을 위한 수평회전지그를 구비한 모형시험체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풍동시험장치
CN115158577A (zh) * 2022-07-29 2022-10-11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伸缩舵板模拟加载装置
CN115158577B (zh) * 2022-07-29 2023-06-23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伸缩舵板模拟加载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9955B1 (ko) 모형선의 타 각도 조절장치
US5357892A (en) Deflector
US11225398B2 (en) Guide rail alignment method and arrangement
JP5753384B2 (ja) ブレード操縦翼面適応調整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323713B2 (en) Antivibration device
CN104066668A (zh) 用于固定升降机的补偿重量导轨的装置及用在该装置中的导轨支架
EP2210808A1 (en) High performance planing hull provided with a trim tab system
EP2538073A2 (en) An improvement for horizontal blade installation for wind turbines
PL2184224T3 (pl) Urządzenie i sposób automatycznej regulacji powierzchni żagla wystawionej na działanie wiatru
KR20150035021A (ko)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
CA2912516A1 (en) Support leg
CA2983904C (en) Device for treating a metal strip
KR20140010106A (ko) 전자기 제진 장치, 전자기 제진 제어 프로그램
CN101440834B (zh) 一种用于电力线路在线装置安装的u型螺栓组件
SE540588C2 (sv) Bärplansbåt
CN211426795U (zh) 一种船舶进出浮坞用定位监测工装
AU2012264772A1 (en) Drive frame in a lift installation
JP6449485B2 (ja) エレベータ装置の釣合いおもり及びエレベータ装置
KR100977468B1 (ko) 자기부상 시스템용 갭 센서 위치조절장치
KR20110132153A (ko) 풍력 발전기 설치작업 선박
EP3957593A1 (en) Lifting apparatus for a lifting crane
CN216246252U (zh) 一种平面度检测机
CN104647255B (zh) 尾轴托架安装工具
JP6223728B2 (ja) 支持治具
KR101824153B1 (ko) 해상 구조물의 자세 유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