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760B1 -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760B1
KR101639760B1 KR1020140061444A KR20140061444A KR101639760B1 KR 101639760 B1 KR101639760 B1 KR 101639760B1 KR 1020140061444 A KR1020140061444 A KR 1020140061444A KR 20140061444 A KR20140061444 A KR 20140061444A KR 101639760 B1 KR101639760 B1 KR 101639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ic
electrolytic solution
bath
electrolytic bath
electro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4570A (ko
Inventor
이명재
Original Assignee
이명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재 filed Critical 이명재
Priority to KR1020140061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760B1/ko
Publication of KR20150134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07Common duct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25B1/04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producing mixed hydrogen and oxygen gas, e.g. Brown's gas [HHO]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C25B15/021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of heating or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s; Regeneration of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해조 내부에 수용된 전해액을 전기분해하여 수산소 혼합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전해조와, 전극판과, 가압부와, 분사노즐부를 포함한다. 전해조는 전해액이 수용된다. 전극판은 전해조 내부에 다수 개가 이격되게 배치되고, 전원을 인가받아 전해액을 전기분해하면서 수산소 혼합가스를 발생시킨다. 가압부는 전해조 외부에서 전해조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전해조로부터 유출된 전해액을 가압하여 상기 전해조로 다시 공급한다. 분사노즐부는 전해조 내부에서 이격되게 설치되고, 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전해액을 공급받아 전극판 측에 가압된 전해액을 분사하여 전극판에 부착된 기포를 제거한다.

Description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Oxyhydrogen gas generator}
본 발명은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해조 내부에 수용된 전해액을 전기분해하여 수산소 혼합가스를 발생시키는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전해액이 수용되는 전해조(11) 내부에 다수 개의 전극판(12)을 설치하고 전극판(12)에 전원을 인가하면 전해액이 전기분해되면서 수산소 혼합가스가 발생하는데, 여기서 발생하는 수산소 혼합가스는 전해조(11) 외부로 토출되며 전해조(11) 외부토 토출되는 수산소 혼합가스를 포집하여 다양한 분야에 활용한다.
이때, 수산소 혼합가스 중 일부가 전해조(11) 외부로 토출하지 못하면서 수산소 혼합가스로부터 기포(1)가 생성되는데, 이와 같이 생성된 기포(1)가 전극판(12)의 표면에 부착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기포(1)가 전극판(12) 표면에 부착되면 전극판(12) 표면의 전류밀도가 불규칙한 상태가 되면서 전극판(12)의 과전류 및 과전압이 부분적으로 발생하며, 전해액의 온도가 극심하게 상승하고 전극판(12)의 효율이 저하된다. 이에 따라, 전해액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서 전해액의 분해효율을 저하되고 분해효율이 저하되면서 수산소 혼합가스의 토출량이 저하되며 수산소 혼합가스의 포집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해액을 분사하면서 전극판의 표면에 부착된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전극판의 과전압 및 과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전해액의 분해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수산소 혼합가스를 발생시키는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는, 전해액이 수용되는 전해조; 상기 전해조 내부에 다수 개가 이격되게 배치되고, 전원을 인가받아 전해액을 전기분해하면서 수산소 혼합가스를 발생시키는 전극판; 상기 전해조 외부에서 상기 전해조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전해조로부터 유출된 전해액을 가압하여 상기 전해조로 다시 공급하는 가압부; 및 상기 전해조 내부에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전해액을 공급받아 상기 전극판 측에 가압된 전해액을 분사하여 상기 전극판에 부착된 기포를 제거하는 분사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는, 상기 분사노즐부는, 전해액의 분사 방향을 따라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분사구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구는 다수 개 마련되고, 다수 개의 분사구는 서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는, 상기 분사노즐부는, 상기 전극판의 하측에서 상기 전해조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극판 측에 가압된 전해액을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는, 상기 전해조 외부에서 상기 전해조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전해조 내에 수용된 전해액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해조로부터 유출된 전해액을 냉각시켜 상기 전해조로 다시 공급하는 냉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는, 상기 전해조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해조 내부에 수용된 전해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전해액의 온도 데이터를 전달받아,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전해조에서 상기 냉각부로 전해액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는, 상기 전해조에서 수산소 혼합가스가 토출되는 토출구에 설치되고, 상기 전해조 외부로 토출되는 수산소 혼합가스의 토출량을 측정하는 유량계; 및 상기 유량계로부터 수산소 혼합가스의 토출량 데이터를 전달받아, 미리 설정된 기준 토출량 이하인 경우 상기 가압부에서 전해액을 가압하는 압력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는, 상기 전해조의 소비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부; 및 상기 전력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전해조의 전력량 데이터를 전달받아,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량 이상인 경우 상기 가압부에서 전해액을 가압하는 압력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는, 상기 전해조로부터 유출된 전해액이 상기 전해조로 유입되도록 전해액이 유동되는 전해액 순환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냉각부는 상기 전해액 순환라인 상에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 따르면,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전극판에 충격을 가할 필요가 없어 전극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극판의 과전류 및 과전압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전해액의 분해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 따르면, 전극판으로 분사되는 전해액의 분사면적이 증가되면서 기포의 제거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 따르면, 전해액을 냉각시킨 후 냉각된 전해액을 별개의 장치 없이 전해조 내부로 가압할 수 있어 전해액의 냉각 상태가 유지되면서 전해조 내부로 공급될 수 있고, 전해액을 공급하는 시간이 단축되면서 공급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서 분사노즐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서 분사노즐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서 테이퍼지게 형성된 분사구의 각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서 분사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서 분사노즐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서 테이퍼지게 형성된 분사구의 각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는 전해조 내부에 수용된 전해액을 전기분해하여 수산소 혼합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전해조(110)와, 전극판(120)과, 가압부(130)와, 분사노즐부(140)와, 냉각부(150)와, 온도센서(160)와, 유량계(170)와, 제어부(180)와, 순환라인(L)을 포함한다.
상기 전해조(110)는 전해액이 수용된다.
여기서, 전해액은 물과 수산화칼륨(KOH)이 혼합된 혼합물이 될 수 있고, 전해조(110)는 전기나 열이 통하지 않는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물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부에는 전해액의 전기분해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산소 혼합가스가 토출되는 토출구(111)가 마련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해조(110)는 물 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는데, 전해액이 전기분해되는 과정에서 물이 손실되기 때문에 전해조(110)로 물을 공급해주기 위하여 전해조(110)는 물 공급부와 연결되며, 물 공급부는 전해조(110)에서 손실된 양만큼의 물을 공급한다.
상기 전극판(120)은 전해조(110) 내부에 다수 개가 이격되게 배치되고, 전원을 인가받아 전해액을 전기분해하면서 수산소 혼합가스를 발생시킨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극판(120)은 전해액과 접촉되도록 전해조(110) 내부에 수용되며, 다수 개의 양전극판(121)과 음전극판(122)이 번갈아가면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전극판(120)에 전원을 인가하면 전해액의 양이온은 음전극판(122)으로 이동되고 음이온은 양전극판(121)으로 이동되면서 전해액이 전기분해되고 수산소 혼합가스가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이 발생된 수산소 혼합가스는 토출구(111)를 통하여 전해조(110)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수산소 혼합가스 중 일부가 토출되지 못하면서 기포가 생성되는데 기포 중 일부가 전극판(120)의 표면에 부착된다.
다수 개의 전극판(120)은 고정 플레이트(123)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 플레이트(123)가 전해조(110)에 설치되면서 전해조(110) 내부에 전극판(1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30)는 전해조(110) 외부에서 전해조(11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전해조(110)로부터 유출된 전해액을 가압하여 전해조(110)로 다시 공급한다.
가압부(130)는 전해조(110)로부터 유출된 전해액을 가압하여 후술할 분사노즐부(140) 측으로 공급하고, 분사노즐부(140)는 가압부(130)에서 가압된 전해액을 전극판(120) 측으로 분사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130)는 컴프레서(compressor)가 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부(140)는 전해조(110) 내부에서 이격되게 설치되고, 가압부(130)에 의해 가압된 전해액을 공급받아 전극판(120) 측에 가압된 전해액을 분사하여 전극판(120)에 부착된 기포를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분사노즐부(140)는 전극판(120)의 하측에서 전해조(110)의 바닥면에 다수 개로 설치되고 전극판(120) 측으로 가압되는 전해액을 분사할 수 있다.
전해액을 분사하면서 전극판(120)에 부착된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전극판(120)에 충격을 가할 필요가 없어 전극판(12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극판(120)의 과전류 및 과전압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전해액의 분해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사노즐부(140)는 알카리성의 전해액을 공급받아 분사하기 때문에, 알카리성 등의 성질을 견딜 수 있는 내약품성을 가진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분사노즐부(140)는 전해액의 분사 방향을 따라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분사구(141)를 포함한다.
분사구(141)는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에서 짧은 변 측에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면(A1)과,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에서 긴 변 측에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2면(A2)을 포함한다. 여기서, 한 쌍의 제1면(A1) 사이의 각도(α)는 3°~ 170°이고, 한 쌍의 제2면(A2) 사이의 각도(β)는 2°~ 110°이며, 제1면(A1) 사이의 각도(α)와 제2면(A2) 사이의 각도(β)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분사구(141)는 다수 개 마련되고, 다수 개의 분사구(141)는 서로 교차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분사구(141)는 2개 마련되고, 2개의 분사구는 서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분사구(141)는 제1분사구(141a)와 제2분사구(141b)로 마련될 수 있는데, 제1분사구(141a)와 제2분사구(141b)가 서로 직교하게 배치되면서 십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다수 개가 서로 교차된 분사구(141)에서 전해액을 분사하면서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전극판(120)으로 분사되는 전해액의 분사면적이 증가되면서 기포의 제거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분사구(141)는 3개나 4개 또는 그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다수 개의 분사구는 서로 교차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분사구에서 이웃하는 분사구들 사이의 각도는 동일하다.
상기 냉각부(150)는 전해조(110) 외부에서 전해조(11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전해조(110) 내에 수용된 전해액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전해조(110)로부터 유출된 전해액을 냉각시켜 상기 전해조(110)로 다시 공급한다.
전해액을 전기분해하는 과정에서 전해액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는데, 전해액의 온도가 일정온도로 상승하면 전기분해가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지만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오히려 전기분해가 일어나지 않으며 전해액의 분해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한 전해액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상기 냉각부(150)는 전해조(110)로부터 유출되는 전해액을 냉각시켜 전해조(110) 내부로 다시 공급한다. 여기서, 냉각부는 쿨러(cooler)가 될 수 있다.
전해조(110)로부터 유출되는 전해액을 냉각시키고 전해조(110) 내부로 다시 공급함으로써, 전해액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해액의 분해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해액을 따로 공급할 필요가 없어 수산소 혼합가스를 발생시키는데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160)는 전해조(110) 내부에 설치되고, 전해조(110) 내부에 수용된 전해액의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센서(160)는 전해액이 전기분해되는 과정에서 전해액의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유량계(170)는 전해조(110)에서 수산소 혼합가스가 토출되는 토출구(111)에 설치되고, 전해조(110) 외부로 토출되는 수산소 혼합가스의 토출량을 측정한다.
상기 전력 측정부(180)는 전해조의 소비전력을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190)는 온도센서(160)로부터 전해액의 온도 데이터를 전달받아, 전해조(110) 내부에서 측정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전해조(110)에서 냉각부(150)로 전해액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전해액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전해액의 분해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전해액의 온도를 측정한 후 측정된 전해액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이면 전해액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전해조(110)로부터 냉각부(150)로 전해액을 공급시킨다. 반대로, 전해액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보다 작아지면, 전해액을 냉각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해액은 냉각부(150) 측으로 공급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190)는 유량계(170)로부터 수산소 혼합가스의 토출량 데이터를 전달받아, 미리 설정된 기준 토출량 이하인 경우 가압부(130)에서 전해액을 가압하는 압력을 조정한다.
전극판(120)에 기포가 다량 부착되면, 전해액의 분해효율이 저하되면서 수산소 혼합가스의 발생량이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산소 혼합가스의 포집량이 부족하여, 유량계(170)로부터 측정된 수산소 혼합가스의 토출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토출량 이하를 가리키게 된다. 따라서, 수산소 혼합가스의 발생량을 증가시켜 수산소 혼합가스 포집량을 정상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해액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보다 작은데도 수산소 혼합가스의 토출량이 적은 경우, 전극판(120)에 기포가 다량으로 부착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판(120)에 다량 부착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제어부(180)는 가압부(130)의 회전날개의 속도를 높여 가압부(130)에서 토출되는 전해액의 압력을 높인다. 분사노즐부(140)로부터 분사압력이 증가된 전해액이 분사되면서 전극판(120)에 다량 부착된 기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전극판(120)의 표면에 기포가 다량으로 부착되면 전극판(120)에 과전압이나 과전류가 발생하면서 전해조(110)의 소비전력이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90)는 전력 측정부(180)로부터 측정된 전해조(110)의 전력량 데이터를 전달받아,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량 이상인 경우 가압부(130)에서 전해액을 가압하는 압력을 조정하면서 전극판(120)에 부착된 기포를 제거하고 전해조(110)의 소비전력을 절감한다.
즉, 전극판(120)에 다량으로 부착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제어부(190)는 가압부(130)의 회전날개의 속도를 높여 가압부(130)에서 토출되는 전해액의 압력을 높이고 분사노즐부(140)에서 분사압력이 증가된 전해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순환라인(L)은 전해조(110)로부터 유출된 전해액이 전해조(110)로 유입되도록 전해액이 유동된다. 전해조(110)에서 유출되는 전해액은 순환라인(L)을 통하여 냉각부(150)로 유동되고, 전해액이 냉각부(150)에서 냉각된 후 가압부(130)에 의하여 분사노즐부(140)로 가압되며, 전해조(110) 내부로 공급되면서 순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130)와 냉각부(150)는 순환라인(L) 상에 함께 설치될 수 있는데, 가압부(130)와 냉각부(150)가 동일한 라인 상에 설치됨으로써, 전해액을 냉각시킨 후 냉각된 전해액을 별개의 장치 없이 전해조(110) 내부로 가압할 수 있어 전해액의 냉각 상태가 유지되면서 전해조(1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고, 전해액을 공급하는 시간이 단축되면서 공급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는, 전해액을 분사하면서 전극판에 부착된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전극판에 충격을 가할 필요가 없어 전극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극판의 과전류 및 과전압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전해액의 분해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는,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다수 개가 서로 교차된 분사구에서 전해액을 분사하면서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전극판으로 분사되는 전해액의 분사면적이 증가되면서 기포의 제거효율이 증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는, 가압부와 냉각부가 동일한 라인 상에 설치됨으로써, 전해액을 냉각시킨 후 냉각된 전해액을 별개의 장치 없이 전해조 내부로 가압할 수 있어 전해액의 냉각 상태가 유지되면서 전해조 내부로 공급될 수 있고, 전해액을 공급하는 시간이 단축되면서 공급효율이 증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 : 전해조
120 : 전극판
130 : 가압부
140 : 분사노즐부
150 : 냉각부
160 : 온도센서
170 : 유량계
180 : 전력 측정부
190 : 제어부
L : 순환라인

Claims (8)

  1. 전해액이 수용되는 전해조;
    상기 전해조 내부에 다수 개가 이격되게 배치되고, 전원을 인가받아 전해액을 전기분해하면서 수산소 혼합가스를 발생시키는 전극판;
    상기 전해조 외부에서 상기 전해조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전해조로부터 유출된 전해액을 가압하여 상기 전해조로 다시 공급하는 가압부; 및
    상기 전극판의 하측에서 상기 전해조의 바닥면에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전해액을 공급받아 상기 전극판 측에 가압된 전해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해조 외부에서 상기 전해조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전해조 내에 수용된 전해액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해조로부터 유출된 전해액을 냉각시켜 상기 전해조로 다시 공급하는 냉각부;
    상기 전해조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해조 내부에 수용된 전해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전해조에서 수산소 혼합가스가 토출되는 토출구에 설치되고, 상기 전해조 외부로 토출되는 수산소 혼합가스의 토출량을 측정하는 유량계; 및
    상기 전극판에 부착된 기포가 제거되도록 상기 전해조로부터 유출된 전해액을 상기 전해조로 다시 공급함에 있어서, 전해액의 온도와 압력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해액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전해조로부터 상기 냉각부로 전해액을 공급하고,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해액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보다 작은 경우, 전해액을 상기 냉각부 측으로 공급하지 않으며,
    상기 유량계를 통해 측정된 수산소 혼합가스의 토출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토출량 이하인 경우, 상기 가압부를 통해 전해액을 가압하는 압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2. 전해액이 수용되는 전해조;
    상기 전해조 내부에 다수 개가 이격되게 배치되고, 전원을 인가받아 전해액을 전기분해하면서 수산소 혼합가스를 발생시키는 전극판;
    상기 전해조 외부에서 상기 전해조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전해조로부터 유출된 전해액을 가압하여 상기 전해조로 다시 공급하는 가압부; 및
    상기 전극판의 하측에서 상기 전해조의 바닥면에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전해액을 공급받아 상기 전극판 측에 가압된 전해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해조 외부에서 상기 전해조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전해조 내에 수용된 전해액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해조로부터 유출된 전해액을 냉각시켜 상기 전해조로 다시 공급하는 냉각부;
    상기 전해조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해조 내부에 수용된 전해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전해조의 소비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부; 및
    상기 전극판에 부착된 기포가 제거되도록 상기 전해조로부터 유출된 전해액을 상기 전해조로 다시 공급함에 있어서, 전해액의 온도와 압력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해액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전해조로부터 상기 냉각부로 전해액을 공급하고,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해액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보다 작은 경우, 전해액을 상기 냉각부 측으로 공급하지 않으며,
    상기 전력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전해조의 전력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량 이상인 경우, 상기 가압부를 통해 전해액을 가압하는 압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부는, 전해액의 분사 방향을 따라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분사구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구는 다수 개 마련되고, 다수 개의 분사구는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로부터 유출된 전해액이 상기 전해조로 유입되도록 전해액이 유동되는 전해액 순환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냉각부는 상기 전해액 순환라인 상에 함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40061444A 2014-05-22 2014-05-22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KR101639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444A KR101639760B1 (ko) 2014-05-22 2014-05-22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444A KR101639760B1 (ko) 2014-05-22 2014-05-22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570A KR20150134570A (ko) 2015-12-02
KR101639760B1 true KR101639760B1 (ko) 2016-07-14

Family

ID=54882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444A KR101639760B1 (ko) 2014-05-22 2014-05-22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7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191U (ko) 2020-03-25 2021-10-06 강동연 종량제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13473A1 (de) * 2017-08-03 2019-02-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olyse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Elektrolysevorrichtung
KR102169500B1 (ko) * 2017-09-01 2020-10-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해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692Y1 (ko) 2001-03-31 2001-10-10 이재흥 산소/수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JP2007061756A (ja) * 2005-08-31 2007-03-15 Asean:Kk 螺子型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流体散布器ならびに消雪装置
US20110203917A1 (en) * 2008-11-14 2011-08-25 Yehuda Shmueli System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of hydrogen as a fuel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509B1 (ko) * 2008-07-04 2011-01-12 황부성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692Y1 (ko) 2001-03-31 2001-10-10 이재흥 산소/수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JP2007061756A (ja) * 2005-08-31 2007-03-15 Asean:Kk 螺子型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流体散布器ならびに消雪装置
US20110203917A1 (en) * 2008-11-14 2011-08-25 Yehuda Shmueli System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of hydrogen as a fuel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191U (ko) 2020-03-25 2021-10-06 강동연 종량제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570A (ko)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9760B1 (ko) 수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CN101550552B (zh) 氢氧混合气体发生器
JP6051386B2 (ja) 電解装置
WO2018083788A1 (ja) 電解セル及びそれを用いたオゾン水噴出装置
CN101633066A (zh) 真空反流电解加工方法及装置
CN103305898A (zh) 去毛刺方法及使用该去毛刺方法的去毛刺系统
WO2016076543A3 (ko) 수소수 제조 시스템
WO2008140257A1 (en) A ratio controlling apparatus of generating oxygen/hydrogen mixed gas
CN101792911B (zh) 一种次氯酸钠发生器电解槽装置
KR101129196B1 (ko) 연료전지의 수소 재순환 시스템
KR101414780B1 (ko) 자동차용 브라운가스 발생기의 제어장치
RU2013158946A (ru) Устройство чистки
KR20180055665A (ko) 브라운가스를 이용한 자동차엔진 성능복원 및 카본제거 시스템
JP2012017520A (ja) ブラウンガス製造装置およびブラウンガス製造方法
KR101349076B1 (ko) 연료전지 스택용 매니폴드 블록의 산화층 형성 장치 및 방법
JP6312876B2 (ja) 電解イオン水生成装置
JP5868630B2 (ja) 電解水製造装置および電解水製造方法
KR100954545B1 (ko)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 및 그를 포함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KR101779032B1 (ko) 수전해조 및 이를 이용하는 미용기구
JP2018076575A (ja) 水電解装置、機能水の製造方法
JP6557268B2 (ja) 混合燃料製造装置
CN201793801U (zh) 高压水喷射高电流密度脱脂装置
JP5907455B2 (ja) プラズマトーチ
US20190186040A1 (en) Vertical electrolytic device
JPWO2018173116A1 (ja) 発電装置及びその発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