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704B1 - 송전 및 배전 철탑과 변전소 철구의 부식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송전 및 배전 철탑과 변전소 철구의 부식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704B1
KR101639704B1 KR1020160017248A KR20160017248A KR101639704B1 KR 101639704 B1 KR101639704 B1 KR 101639704B1 KR 1020160017248 A KR1020160017248 A KR 1020160017248A KR 20160017248 A KR20160017248 A KR 20160017248A KR 101639704 B1 KR101639704 B1 KR 101639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steel
substation
dam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로
한지수
Original Assignee
(주)한신콘설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신콘설탄트 filed Critical (주)한신콘설탄트
Priority to KR1020160017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7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 및 배전 철탑과 변전소 철구의 부식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송전배전 철탑이나 옥외 변전소에 설치된 다수의 철구조물, 즉 철구의 이음부나 바닥 고정부에서는 산성 눈이나 빗물이 침투하여 부식현상을 유발함으로써 내구력을 저하시키고 수명을 단축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개선된 송전 및 배전 철탑과 변전소 철구의 부식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송전 및 배전 철탑과 변전소 철구의 부식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corrosion of transmission or electrical distribution steel towers and steel structure for substation}
본 발명은 송전 및 배전 철탑과 변전소 철구의 부식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송전배전 철탑이나 옥외 변전소에 설치된 다수의 철구조물, 즉 철구의 이음부나 바닥 고정부에서는 산성 눈이나 빗물이 침투하여 부식현상을 유발함으로써 내구력을 저하시키고 수명을 단축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개선된 송전 및 배전 철탑과 변전소 철구의 부식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송전배전 철탑은 시공 후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산화작용에 의해 부식이 일어나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철탑 POST(이하, 기둥이라 함) 간의 이음부에서 이러한 부식현상이 주로 발생된다.
이를 보완하고자 아연도금이 된 철재를 사용하고 있으나, 그러한 도금상태 또한 유해 개스(gas) 등이 있는 공단지역 부근에서 장기간의 사용이 보장되어야 하는 철탑에는 임시방편적인 효과만 나타낼 뿐이다.
따라서, 송전배전 철탑의 사용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철탑의 정기적인 점검, 부품교체, 보강 등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하지만, 이를 위해 행해지는 작업과정, 예로써 부식된 철재의 표면에서 녹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그 위에 페인팅을 하거나, 부식된 기존 철재에 보강 철재를 덧대어 보강하거나, 부식된 철재 위에 새로운 철재를 결합하거나, 부식된 철재를 완전히 제거하고 새로운 철재로 교체하는 등의 작업과정이 매우 번거로움에 따라 철탑, 그 중에서도 철탑 이음부의 부식 방지를 위한 방안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한다.
한편, 이와 같은 철구조물에서 일어나는 부식 현상은 송전배전 철탑 뿐만 아니라, 옥외 변전소의 철구조물, 다시 말해 옥외 변전소의 철구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한다.
특히, 부식 유해 개스가 많은 공단지역에 주로 위치한 송전배전 철탑과 달리 옥외 변전소의 철구는 철구의 이음부가 부식에 취약한 것은 물론이고, 이에 더하여 철구가 고정되는 바닥면(바닥 고정부)에 잔류하는 우수에 의한 부식의 문제도 심각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33642호(2011.04.29.) '송전변전 배전 철탑기둥 이음부 부식방지 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송전배전 철탑이나 옥외 변전소에 설치된 다수의 철구 이음부나 바닥 고정부에서는 산성 눈이나 빗물이 침투하여 부식현상을 유발함으로써 내구력을 저하시키고 수명을 단축하는 문제를 방지하도록 한 송전 및 배전 철탑과 변전소 철구의 부식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양단에 구비된 플랜지(11)로 연결되거나 혹은 콘크리트로 타설된 설치면(500) 상에 매립고정되는 형태로 세워 설치되는 다수의 기둥(10)과 상기 기둥(10)에 엇갈려 결속되는 보강재(12)을 포함하는 이음부에서 송전 및 배전 철탑과 변전소 철구의 부식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직하게 1/2로 절단된 원기둥 형상으로 한 쌍이 상기 플랜지(11)를 둘러싸는 제1원통부(110)와, 상기 제1원통부(110)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120)와, 상기 기둥(10)을 둘러싸도록 상기 경사부(120)로부터 수직하게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원통부(1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2원통부(110,130) 및 경사부(120)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볼트(141) 및 체결너트(142)의 설치를 위해 복수개의 체결홀(143)이 형성된 체결리브(140)가 구비되고 절연물을 그 재질로 하는 본체부(100)와; 상기 체결볼트(141) 및 체결너트(142)에 의해 고정된 한 쌍의 체결리브(140)가 끼움되는 끼움홈(201)이 형성된 끼움커버(200);로 구성되되, 상기 제2원통부(130) 및 기둥(10) 사이에는 누수를 차단하기 위한 가스켓(300)이 설치되며;
상기 기둥(10)에 체결된 제2원통부(130)로부터 간격을 두고 반원형상의 단면을 갖는 띠형 댐(400)과, 상기 띠형 댐(400)의 하단에서 연장된 중첩부(410)와, 상기 중첩부(410)를 포함한 제2원통부(130)와 띠형 댐(400) 사이의 기둥(10) 외주면에 도포되는 소수코팅층(4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수코팅층(420)은 상기 가스켓(300)과의 경계면에서 단차를 갖지 않도록 동일 높이를 유지하게 코팅되며;
상기 띠형 댐(400)과 중첩부(410)는 댐가공유닛(430)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댐가공유닛(430)은 직경방향으로 2분할된 한 쌍의 곡가공체(440)를 포함하되, 상기 곡가공체(440)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에는 각각 고정편(450)이 돌출되어 상호 맞대어진 상태에서 볼트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중첩부(410)를 형성하기 위한 일정길의 수직부(441)와, 상기 수직부(441)의 상단에서 반원형상으로 연장된 곡률부(442)와, 상기 곡률부(442)의 상단에서 기둥(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연장된 경사부(443)와, 상기 수직부(441)의 하단에서 상기 기둥(10)을 향해 연장된 하단마감부(444)로 이루어져 상기 하단마감부(444)의 선단이 기둥(10)에 밀착되면 하단마감부(444)와 수직부(441) 사이의 공간은 중첩부형성공간(S1)이 되며, 상기 곡률부(442) 안쪽 공간은 띠형 댐 형성공간(S2)이 되고, 상기 경사부(443)의 하단은 상기 기둥(10)과 간격(D)을 두고 형성되게 설치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및 배전 철탑과 변전소 철구의 부식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송전배전 철탑이나 옥외 변전소에 설치된 다수의 철구 이음부나 바닥 고정부에서는 산성 눈이나 빗물이 침투하여 부식현상을 유발함으로써 내구력을 저하시키고 수명을 단축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 및 배전 철탑과 변전소 철구의 부식 방지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 및 배전 철탑과 변전소 철구의 부식 방지장치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 및 배전 철탑과 변전소 철구의 부식 방지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부분 발췌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 및 배전 철탑과 변전소 철구의 부식 방지장치의 또다른 예를 보인 부분 발췌 예시도.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보인 평면도 및 측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인 등록특허 제10-1033642호의 구성 일부를 개량한 것으로서, 주요 구성은 등록특허의 내용을 그대로 따르며, 개량된 부분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 및 배전 철탑과 변전소 철구의 부식 방지장치는 송전배전 철탑의 기둥에 구비된 이음부, 또는 변전소의 철구에 구비된 이음부에서 발생되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주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 및 배전 철탑과 변전소 철구의 이음부는 주로 기둥(10)과 기둥(10)을 연결 고정하는 플랜지(11) 형태로 이루어지고, 플랜지(11)들은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다수의 볼트를 통해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 부식 방지장치는 기본적으로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체결리브(140)를 고정시킴에 따라 플랜지(11) 및 기둥(10)을 둘러싸도록 고정되는 본체부(100)와, 본체부(100)의 체결리브(140)에 끼움설치되는 끼움커버(20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0)는 전체적으로 플라스틱이나 고무와 같은 절연물을 그 재질로 하고, 수직하게 1/2로 절단된 원기둥 형상으로 한 쌍이 플랜지(11)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1원통부(110)와, 상기 제1원통부(110)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120)와, 기둥(10)을 둘러싸도록 경사부(120)로부터 수직하게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원통부(13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원통부(110) 및 상기 제2원통부(130), 그리고 상기 경사부(120) 각 양단에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볼트(141) 및 체결너트(142)의 설치를 위해 복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된 체결리브(140)가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한 쌍의 본체부(100)중 제2원통부(130)가 기둥(10)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가능한 크기를 갖거나, 제1원통부(110)와 제2원통부(130)가 각각 플랜지(11) 및 기둥(10)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 가능한 크기를 가짐에 따라 체결리브(140)를 체결볼트(141) 및 체결너트(142)로 고정할 때 기둥(10)에 본체부(100)가 밀착 고정될 수 있는 한편, 경사부(120)가 이루는 직경이 플랜지(11) 보다는 작고 기둥(10) 보다는 크기 때문에 제1,2원통부(110,130) 각각이 플랜지(11) 및 기둥(10)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더라도 본체부(100)의 경사부(120)가 자중에 의해 플랜지(11)에 걸려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원통부(130) 및 기둥(10) 사이에 고무를 그 재질로 하는 밴드 형태의 가스켓(300)을 설치하여 그 사이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스켓(300) 설치 후 추가적으로 실리콘과 같은 방수재를 제2원통부(130) 및 가스켓(300) 위쪽으로 도포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2원통부(130), 기둥(10) 및 가스켓(300) 사이로 경미하게 수분이 흘러내리는 경우를 대비하여, 경사부(120) 내측면으로부터 중앙부로 진행함에 따라 상측으로 라운딩처리된 물받이부를 더 설치함으로써 그 흘러내리는 수분이 물받이부에서 장시간 체류하도록 하여 증발현상으로 이러한 수분을 제거할 수도 있다.
아울러, 끼움커버(20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끼움커버(200)는 한 쌍의 본체부(100)를 체결볼트(141) 및 체결너트(142)로 고정시킨 상태의 체결리브(140)에 끼움되는 끼움홈(201)이 형성된 것으로, 체결볼트(141) 및 체결너트(142) 각각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산성수, 빗물 등에 의해 부식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끼움커버(200)는 체결리브(140)의 형상과 유사하게 제작되되, 그 일측면이 본체부(100)와 밀착되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게 된다.
아울러, 상기 끼움커버(200)의 끼움홈(201)에 방수재 및 접착재로 동시에 기능할 수 있는 실리콘을 충전한 상태에서 체결리브(140)에 설치하여 끼움커버(200)의 고정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더라도 가스켓(300) 상측의 기둥(10) 표면에 산성눈, 산성비 등이 남게 되면 표면을 타고 흘러내리다가 가스켓(300)의 틈새로 새어 들어가 이음부로 떨어지면서 부식시킬 수 있는 여지가 아직까지 남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까지 완벽하게 일소하기 위해 개량된 추가 실시예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는 도 3의 예시와 같이, 기둥(10)에 체결된 제2원통부(130)로부터 간격을 두고 반원형상의 단면을 갖는 띠형 댐(400)과, 상기 띠형 댐(400)의 하단에서 연장된 중첩부(410)와, 상기 중첩부(410)를 포함한 제2원통부(130)와 띠형 댐(400) 사이의 기둥(10) 표면, 즉 외주면에 도포되는 소수코팅층(4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띠형 댐(400)과 중첩부(410) 및 소수코팅층(420)은 모두 스프레이방식으로 도포 형성되는 것으로, 방오성은 물론 고부착성, 방습성, 내식성의 특성을 갖도록 하되, 특히 친수화를 방지하도록 소수화시켜 물기가 묻어 있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가스켓(300) 틈새로의 유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더구나, 상기 소수코팅층(420)은 상기 가스켓(300)과의 경계면에서 단차를 갖지 않도록 동일 높이를 유지하게 코팅됨으로서 가스켓(300) 틈새로의 물기 유입을 이중 삼중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소수코팅층(420)의 경우는 기둥(10)의 둘레를 따라가면서 스프레이하면 무리없이 형성할 수 있지만, 상기 띠형 댐(400)의 경우 반원형 단면 형상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단순 스프레이방식으로는 구현하기 어렵다.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띠형 댐(400)을 형성하기 위해 댐가공유닛(4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댐가공유닛(430)은 직경방향으로 2분할된 한 쌍의 곡가공체(440)를 포함한다.
상기 곡가공체(440)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에는 각각 고정편(450)이 돌출되어 상호 맞대어진 상태에서 볼트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한 쌍의 상기 곡가공체(440)를 기둥(10)에 감은 다음 각각의 고정편(450)을 볼트 체결하면 하나의 원형 댐가공유닛(430)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곡가공체(440)는 이를 종단면으로 보았을 때 중첩부(410)를 형성하기 위한 일정길의 수직부(441)와, 상기 수직부(441)의 상단에서 반원형상으로 연장된 곡률부(442)와, 상기 곡률부(442)의 상단에서 기둥(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연장된 경사부(443)와, 상기 수직부(441)의 하단에서 상기 기둥(10)을 향해 연장된 하단마감부(444)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하단마감부(444)의 선단이 기둥(10)에 밀착되면 하단마감부(444)와 수직부(441) 사이의 공간은 중첩부형성공간(S1)이 되며, 이때 수직부(441)의 양측면은 고정편(450)에 의해 막혀 있다.
또한, 상기 곡률부(442) 안쪽 공간은 띠형 댐 형성공간(S2)이 되고, 상기 경사부(443)의 하단은 상기 기둥(10)과 간격(D)을 두고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스프레이 노즐을 상기 간격(D)이 형성된 빈공간에 배치한 상태에서 스프레이 작업을 할 수 있다.
스프레이 작업은 중첩부(410)와 띠형 댐(400)을 순차 완성한 후 경화되면 댐가공유닛(430)을 떼어내고, 이어 중첩부(410)를 포함한 띠형 댐(400)과 제2원통부(130) 사이의 기둥(10) 외주면에 소수코팅층(420)을 스프레이하여 형성한다.
그러면, 도시와 같이, 소수코팅층(420)의 상단은 중첩부(410) 상에 중첩되면서 합지되고, 하단은 가스켓(300)과 동일 두께로 동일평면을 이루게 되어 빗물이나 눈 등에 의한 수분(물기)가 가스켓(300)과 기둥(10) 사이의 틈새로 유입 자체가 되지 않기 때문에 수분에 의한 이음부의 부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상기 소수코팅층(410)은 소수성을 띠기 때문에 물기가 붙어있지 못하고 수분이 접촉되는 순간 흘러내려버려 잔류되지 못하기 때문에 이음부로의 수분 침투는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봐야 한다.
여기에서, 상기 띠형 댐(400) 및 중첩부(410)는 아크릴 공중합체 에멀젼수지와 폴리우레탄 에멀젼수지를 1:0.5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인산아연 1-2 중량부, 산화철 2-4중량부, 이소헥사덴칸 5-8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댐 조성물을 사용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에멀젼수지는 피도포면에 피막을 형성하면서 공극을 메워 수밀성을 증대시키고, 상기 폴리우레탄 에멀젼수지는 접착력을 증대시켜 부착강도를 높임으로써 견고한 고정성을 유지한다.
다만, 수밀성을 더 증대시키기 위해 아크릴 공중합체 에멀젼수지를 폴리우레탄 에멀젼수지 보다 상대적으로 더 첨가한다.
그리고, 상기 인산아연은 내식성 향상을 위해 첨가되고, 상기 산화철은 부식 저항성을 위해 첨가되며, 상기 이소헥사데칸은 고형분의 용해성 증대를 통한 균일 분산성 확보를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소수성코팅층(420)도 다음의 코팅층 조성물을 도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는데, 상기 코팅층 조성물은 아크릴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1-0.2mm 입도를 갖는 인산알루미늄 2-4중량부, 빙정석 3-5중량부, 2-2'-메틸렌비스(4-에틸-6-3차-부틸페놀) 1-2중량부, 폴리다이아조디페닐아민 10-15중량부, 벤토나이트 5-8중량부, 다이클로로다이메틸실란 10-15중량부, 폴리락트산 3-5중량부, CZ(N-cyclohexybenzothiazole-2-sulfenamide) 10-15중량부, 지방산 그리시딜 에스테르 2-4중량부, 붕규산유리 10-15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이때, 상기 인산 알루미늄은 알루미늄염 용액과 인산나트륨 용액의 혼합으로 침전된 함수염을 가열하여 얻은 고체상의 무수염으로서 무색의 내열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산(acid)과 물에 잘 녹지 않는 성질을 이용하여 내식성 향상과 방수성 증대를 위해 첨가되며, 유해성을 고려하여 상기 범위로 한정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빙정석(Cryolite)은 무색 또는 회백색의 결정으로 HF를 NaOH에 작용시켜 인공 제조하며, 본 발명에서는 핀홀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충전제로 첨가되며 균일성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범위로 한정된다.
또한, 상기 2-2'-메틸렌비스(4-에틸-6-3차-부틸페놀)은 산화 방지 기능을 위해 소량 첨가되며, 상기 폴리다이아조디페닐아민은 자외선을 만나면 광분해되면서 짝지음 반응에 의해 경화되는 감광특성을 이용하여 점착성을 가진 아크릴수지를 기둥(10) 표면에 강하게 부착 경화시키도록 하기 위해 첨가되는데, 10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고화력이 떨어지고, 15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성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성형성은 물론 도포면에 균열을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해야 한다.
아울러, 상기 벤토나이트는 백색-염갈색의 미세한 분말 또는 프레이크로서 팽윤력이 98㎖(물 100㎖에 대해, 24시간 내)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수지의 점성을 높여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8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성이 높아져 흐름성을 악화시키고, 5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부착력이 떨어지므로 상기 범위가 적당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다이클로로다이메틸실란(Dichlorodimethylsilane)은 전기음성도가 불소(F) 다음으로 큰 염소 원자 2개가 있어 매우 강한 소수성을 보이기 때문에 친수화를 막아 물방울 맺힘이나 잔수를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며, 15중량부를 초과하면 도포성을 저해하고, 10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뭉침현상을 유발하여 표면 평탄도를 떨어뜨리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해야 한다.
또한, 상기 폴리락트산은 합성고분자 타입의 수지로서 내습성, 가공성, 인장강도가 우수한 물성이 있으며, 용융온도는 150-200℃이고, 연성에 의한 연질화, 인장강도, 신장율을 향상시키는 특성이 있어 주성분인 아크릴수지의 표면이 쉽게 깨지지 않도록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3-5중량부의 범위로 첨가되어야 하는데, 5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분해성이 증대되고, 3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인장강도를 떨어뜨리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CZ(N-cyclohexybenzothiazole-2-sulfenamide)는 아크릴수지에 의해 형성된 소수코팅층(420)의 표면 슬립성을 증대시켜 방오기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벤조티아졸 화합물이며 15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아크릴수지의 점도를 떨어뜨려 경화를 지연시키며, 10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윤활성이 떨어져 방오기능이 약화되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하여 첨가하여야 한다.
아울러, 상기 지방산 그리시딜 에스테르는 도막(Layer), 즉 소수코팅층(420)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붕규산유리는 규산분과 붕산분이 주를 이룬 것으로 내열충격성이 뛰어나고 화학적내구성 및 낮은 열팽창율을 가지므로 열팽창과 수축이 적어 크랙 발생을 억제하고 부착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붕규산유리를 10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하면 크랙 방지 효과가 떨어지고, 15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도포균일성이 떨어지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띠형 댐(400), 중첩부(410) 및 소수코팅층(420)의 소수화 특성, 부착력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의 범주 내로 조성한 댐 조성물과, 코팅층조성물을 강관 표면에 도포 경화시킨 후 부착성, 슬립성(수분 잔류성), 도막밀착성을 테스트 하였다.
이때, 댐 조성물은 아크릴 공중합체 에멀젼수지와 폴리우레탄 에멀젼수지를 1:0.5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인산아연 1.5 중량부, 산화철 3중량부, 이소헥사덴칸 6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한 것을 사용하였고; 코팅층조성물은 아크릴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15mm 평균입도를 갖는 인산알루미늄 2중량부, 빙정석 3중량부, 2-2'-메틸렌비스(4-에틸-6-3차-부틸페놀) 1.5중량부, 폴리다이아조디페닐아민 13.5중량부, 벤토나이트 5.8중량부, 다이클로로다이메틸실란 12중량부, 폴리락트산 3중량부, CZ(N-cyclohexybenzothiazole-2-sulfenamide) 14.5중량부, 지방산 그리시딜 에스테르 4중량부, 붕규산유리 15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중첩부(410)가 경화된 후 그 위에 소수코팅층(420)을 형성한 상태에서 테스트하였다.
여기에서, 부착성은 부착력 시험기를 사용하였으며, 슬립성은 시편 강관을 90°세운 상태에서 분무기로 물을 분무하여 잔류수가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고, 도막밀착성은 JIS K 5400에 준하여 시험하였다.
시험 결과, 부착성은 2.1N/㎟로서 기준값인 1.0N/㎟ 보다 2배 이상 높았으며, 슬립성은 잔류수가 하나도 남지 않고 손가락으로 문질렀을 때 물기가 하나도 느껴지지 않았다. 또한, 도막밀착성은 아주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구조를 더 갖추게 되면 완벽한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더하여, 도 4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기초인 설치면(500)의 경우는 잔류수가 항상 존재하게 되므로 설치면(500)에 식재된 형태인 기둥(10)의 하단은 항상 부식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시된 예는 원형 강관으로 한정하며, 각형 강관에는 적용을 배제하는 것으로 한다.
특히, 설치면(500)에 고정된 기둥(10)은 보강재(12)들이 얽혀 있기 때문에 보강재(12)들이 접속된 부분에서의 부식도 심각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강재(12)이 접속된 부분에도 상술한 코팅층조성물을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코팅함으로써 부식화를 극소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는, 이 경우의 이음부는 보강재(12)가 엇갈려 있으므로 도 1,2와 같은 구조를 채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코팅층조성물을 스프레이하여 소수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한정한다.
다만, 설치면(500)에 항상 남게 되는 잔수(잔류수)는 강관인 기둥(10)의 부식 뿐만 아니라, 주로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중성화, 파손, 열화 등과도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치면(500)의 구조를 좀 더 개량하여 잔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설치면(500)의 중앙부에는 상기 기둥(10)과 간섭되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 큰 반경을 갖는 중앙돔(5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돔(510)의 표면에는 정점으로부터 설치면(500)을 향해 간격을 두고 다수의 둘레홈(520)이 형성된다.
상기 둘레홈(520)은 일정깊이를 갖는 원형상의 홈이다.
아울러, 상기 중앙돔(510)과 설치면(500)의 경계에는 일정깊이 요입된 원형배수홈(530)이 더 형성되고, 상기 원형배수홈(530)에는 각각 설치면(500)의 각 단부로 경사형성된 경사배수홈(540)이 형성된다.
그러면, 우수 등 빗물이 들이치더라도 중앙돔(510)에서 흘러내릴 때 둘레홈(520)을 꽉 채운 다음에 순차로 하향이동하게 되므로 비가 그친 후에는 둘레홈(520)에 잔수된 물은 자연 증발되고, 원형배수홈(530) 상에 남은 잔수는 경사배수홈(540)을 따라 배수되므로 설치면(500) 상에 잔수가 거의 남지 않게 된다.
더구나, 상기 기둥(10)이 매입된 주변은 일정반경의 소수코팅돔(550)을 각각 코팅 형성하여 기둥(10)을 향해 중앙부가 볼록한 돔 형태를 갖도록 상술한 코팅층조성물을 코팅함으로써 기둥(10) 주변에서의 잔수에 의한 부식을 완전히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인 구성함으로써 수분에 의한 이음부에서의 부식이 현저히 줄어들게 되어 장수명화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10: 기둥 100: 본체부
200: 커버부 300: 가스켓

Claims (1)

  1. 양단에 구비된 플랜지(11)로 연결되거나 혹은 콘크리트로 타설된 설치면(500) 상에 매립고정되는 형태로 세워 설치되는 다수의 기둥(10)과 상기 기둥(10)에 엇갈려 결속되는 보강재(12)을 포함하는 이음부에서 송전 및 배전 철탑과 변전소 철구의 부식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직하게 1/2로 절단된 원기둥 형상으로 한 쌍이 상기 플랜지(11)를 둘러싸는 제1원통부(110)와, 상기 제1원통부(110)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120)와, 상기 기둥(10)을 둘러싸도록 상기 경사부(120)로부터 수직하게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원통부(1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2원통부(110,130) 및 경사부(120)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볼트(141) 및 체결너트(142)의 설치를 위해 복수개의 체결홀(143)이 형성된 체결리브(140)가 구비되고 절연물을 그 재질로 하는 본체부(100)와; 상기 체결볼트(141) 및 체결너트(142)에 의해 고정된 한 쌍의 체결리브(140)가 끼움되는 끼움홈(201)이 형성된 끼움커버(200);로 구성되되, 상기 제2원통부(130) 및 기둥(10) 사이에는 누수를 차단하기 위한 가스켓(300)이 설치되며;
    상기 기둥(10)에 체결된 제2원통부(130)로부터 간격을 두고 반원형상의 단면을 갖는 띠형 댐(400)과, 상기 띠형 댐(400)의 하단에서 연장된 중첩부(410)와, 상기 중첩부(410)를 포함한 제2원통부(130)와 띠형 댐(400) 사이의 기둥(10) 외주면에 도포되는 소수코팅층(4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수코팅층(420)은 상기 가스켓(300)과의 경계면에서 단차를 갖지 않도록 동일 높이를 유지하게 코팅되며;
    상기 띠형 댐(400)과 중첩부(410)는 댐가공유닛(430)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댐가공유닛(430)은 직경방향으로 2분할된 한 쌍의 곡가공체(440)를 포함하되, 상기 곡가공체(440)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에는 각각 고정편(450)이 돌출되어 상호 맞대어진 상태에서 볼트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중첩부(410)를 형성하기 위한 일정길의 수직부(441)와, 상기 수직부(441)의 상단에서 반원형상으로 연장된 곡률부(442)와, 상기 곡률부(442)의 상단에서 기둥(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연장된 경사부(443)와, 상기 수직부(441)의 하단에서 상기 기둥(10)을 향해 연장된 하단마감부(444)로 이루어져 상기 하단마감부(444)의 선단이 기둥(10)에 밀착되면 하단마감부(444)와 수직부(441) 사이의 공간은 중첩부형성공간(S1)이 되며, 상기 곡률부(442) 안쪽 공간은 띠형 댐 형성공간(S2)이 되고, 상기 경사부(443)의 하단은 상기 기둥(10)과 간격(D)을 두고 형성되게 설치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및 배전 철탑과 변전소 철구의 부식 방지장치.
KR1020160017248A 2016-02-15 2016-02-15 송전 및 배전 철탑과 변전소 철구의 부식 방지장치 KR101639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248A KR101639704B1 (ko) 2016-02-15 2016-02-15 송전 및 배전 철탑과 변전소 철구의 부식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248A KR101639704B1 (ko) 2016-02-15 2016-02-15 송전 및 배전 철탑과 변전소 철구의 부식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9704B1 true KR101639704B1 (ko) 2016-07-15

Family

ID=56506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248A KR101639704B1 (ko) 2016-02-15 2016-02-15 송전 및 배전 철탑과 변전소 철구의 부식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7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2146A (ja) * 1998-03-12 1999-09-24 Fujikura Ltd 送電鉄塔接合部のボルト抜き取り防止構造
KR200364636Y1 (ko) * 2004-07-14 2004-10-16 최종채 이단 가로등 주철지주용 보호커버
KR20090102355A (ko) * 2008-03-26 2009-09-30 여용석 지주형 시설물의 하부보호구조
KR101033642B1 (ko) 2009-12-29 2011-05-09 (주)한국에스코 송전변전 배전 철탑기둥 이음부 부식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2146A (ja) * 1998-03-12 1999-09-24 Fujikura Ltd 送電鉄塔接合部のボルト抜き取り防止構造
KR200364636Y1 (ko) * 2004-07-14 2004-10-16 최종채 이단 가로등 주철지주용 보호커버
KR20090102355A (ko) * 2008-03-26 2009-09-30 여용석 지주형 시설물의 하부보호구조
KR101033642B1 (ko) 2009-12-29 2011-05-09 (주)한국에스코 송전변전 배전 철탑기둥 이음부 부식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4507A (en) Surface coating agent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in civil and construction engineering
JP3140014U (ja) 屋根・壁・鋼構造物・床・基礎・地面・地盤の施工構造。
ES2670026T3 (es) Sistema indicador de desgaste para sistemas de revestimiento de protección contra la corrosión mar adentro
US100819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ve coating of reinforcement
KR20220006727A (ko) 건축물 내구성 강화를 위한 차열 폴리우레아 방수 공법
CN101775781B (zh) 一种长效建筑拉索
TW201946987A (zh) 全聚脲彈性體噴覆耐磨防水防蝕施工方法
KR101639704B1 (ko) 송전 및 배전 철탑과 변전소 철구의 부식 방지장치
KR101206188B1 (ko) 친환경 금속 리브형 강관
JP5756831B2 (ja) 屋外タンク設備の防水構造
CN205781699U (zh) 一种改进型预应力钢筒混凝土管
JP2018053629A (ja) 橋梁部材および橋梁部材の製造方法
US10538383B2 (en) Protection system for sulfur storage apparatus
KR101033642B1 (ko) 송전변전 배전 철탑기둥 이음부 부식방지 장치
CN210606555U (zh) 一种高层建筑广告牌安装结构
CN208431250U (zh) 固定结构及信号塔
JP5448480B2 (ja) 鉄パイプ防蝕構造とコンクリート埋設パイプ状鉄材の補修防蝕工法
JP2009264093A (ja) 屋根・壁・鋼構造物・床・基礎・地面・地盤の施工構造及び施工方法。
US202003388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or arresting corrosion on infrastructures with an impervious barrier
CN114754198B (zh) 管道连接紧固件的防腐方法及结构
RU27850U1 (ru) Труба с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м слоистым покрытием
CN216156353U (zh) 一种混凝土桥梁泄水孔灾害修复系统及桥梁
KR102194673B1 (ko) 수중이나 해상에서의 콘크리트 및 강재 구조물의 염해 및 부식방지 코팅 방법, 그리고 그에 사용되는 수중 코팅제
JP5258709B2 (ja) 防食性鋼製構造物及び鋼製構造物の防食方法
JPH035497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