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318B1 -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매트 - Google Patents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318B1
KR101639318B1 KR1020150106877A KR20150106877A KR101639318B1 KR 101639318 B1 KR101639318 B1 KR 101639318B1 KR 1020150106877 A KR1020150106877 A KR 1020150106877A KR 20150106877 A KR20150106877 A KR 20150106877A KR 101639318 B1 KR101639318 B1 KR 101639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mat
pipe
water passage
ultrasonic w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우
Original Assignee
(주) 비앤비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비앤비매트 filed Critical (주) 비앤비매트
Priority to KR1020150106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3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47C27/003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having edge welts or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매트에 관한 것으로, 하부 매트와 상부 매트로 이루어지고, 상면과 하면에 각각 온수유로가 설치되도록 홈부가 형성된 매트; 상기 하부 매트와 상부 매트의 외면을 감싸는 방수필름; 상기 온수유로에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보일러;를 포함하며, 상기 온수유로는 상기 매트로부터 분리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온수유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형상으로 초음파 융착에 의해 상기 매트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온수매트를 초음파로 융착시킴으로써 부자재인 실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실이 끊어질 우려가 없으며, 배관과 온수유로부를 초음파로 융착하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봉재 등의 수작업에 의한 공정이 줄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매트{Pipe Separate Hot Water Mat using Ultrasonic}
본 발명은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면과 하면의 매트리스를 초음파로 융착하여 온수매트의 내부에 구부러지는 배관이 불필요한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절기에 사용되는 전기장판이나 전기매트는 실내의 바닥을 국부적으로 난방함으로써 난방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점에서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기장판이나 전기매트는 화재 또는 감전사고의 위험이 있고, 특히 전자파가 발생되어 인체에 유해한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전자파가 발생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한 온수매트가 제안되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온수매트는 그 내부에 온수파이프가 내장되어 있고, 소형 온수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순환시킴으로써 매트를 국부적으로 난방하거나 매트의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온수매트는 통상 매트커버와 매트커버의 내부에 쿠션재가 구비되고, 매트커버의 표면에는 여러 가지 글씨 또는 문양을 인쇄하거나 박음질하여 아늑한 분위기를 자아낼 수 있다.
종래 온수매트를 제작하는 방법으로는 온수 파이프를 설치하는 방법에 따라 스펀지 조각으로 파이프 경로를 형성하고 파이프를 매설하는 방법, 부직포 겹면에 절단칼을 이용하여 홈을 형성하고 파이프를 매설하는 방법, 단열부재 상면에 은박지 등으로 온수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법, 두 개의 합성수지판을 고주파 압착으로 온수 파이프를 형성하는 방법, 돌기가 형성된 금형을 가열하여 패드에 홈을 형성하고 온수 파이프를 매설하는 방법, 온수 파이프를 매설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목합을 이용하여 온수 파이프와 시트를 진공으로 융착시키는 방법 등이 제안되고 있다.
이때 스펀지 조각으로 파이프 경로를 형성하고 파이프를 매설하는 방법은 스펀지를 일정한 형상으로 절단한 다음 이들 절단된 스펀지 조각을 배열하여 파이프 경로를 형성하고 파이프를 매설하는 것으로, 스펀지 재질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탄력성이 줄어드는 등 그 물성이 변하여 사용수명이 단축되고, 스펀지 재질의 특성상 파이프를 단단히 고정하지 못하며, 매트 위에 사용자가 누웠을 때 온수 파이프가 돌출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닿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온수매트에는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보일러가 구비되고, 온수매트에는 온수파이프(300)가 설치된다.
상기 온수파이프(300)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며, 온수파이프(300)의 양단은 온수보일러에 연결된다. 이러한 종래의 온수파이프(300)는 온수매트 전체에 대하여 설치되므로, 온수파이프(300)를 소정의 반경으로 만곡부를 형성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온수파이프의 만곡부를 고정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열융착 접합식 친환경 온수매트의 제조방법 및 열융착 접합식 친환경 온수매트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열융착 접합식 친환경 온수매트에는 PE(폴리에틸렌 수지), PP(폴리프로필렌 수지), PU(폴리우레탄) 소재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 화학가교폼의 하부에 미끄럼 방지 부직포 또는 직물를 열융착시켜 부착하는 단계와; 화학가교폼의 상면에 온수파이프 내입용 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화학가교폼의 온수파이프 내입용 홈에 온수파이프를 결합하는 단계와; 온수파이프가 결합된 화학가교폼의 상면에 고정용 부직포를 덮고 열융착시키도록 하는 단계와; 고정용 부직포 상면에 직물, PVC, 모노륨, 자연소재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 상판을 열융착시켜 부착하도록 하는 단계가; 구성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용 부직포는 화학가교폼와 맞닿는 저면부에 저융점 화이버가 혼합되어 낮은 온도에서 열융착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 부직포 또는 직물는 지면을 향해 돌출된 다수개의 도트가 형성되며, 상기 도트는 고점도 화학가교(PVC RESIN)로 형성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온수매트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온수매트에는 서로 재봉 접합되는 상, 하부매트로 이루어진 통상의 매트에 있어서, 상기 하부매트 상면에는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를 유입시키는 온수유입관과; 상기 온수유입관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되며 유입된 온수를 분기시키는 제1, 2, 3온수유입분기관들과; 상기 제1, 2, 3온수유입분기관들에 각기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하부매트 상에 지그재그로 깔려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2, 3온수유입분기관을 통해 유입된 온수를 동시 순환시키는 제 1, 2, 3온수순환튜브들과; 상기 제 1, 2, 3온수순환튜브들의 타단과 각기 결합되는 제 1, 2, 3온수배출분기관들을 가지며 순환한 온수를 배출시키는 온수배출관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1188700호(2012년 9월 28일 등록)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20-0408531호(2006년 2월 3일 등록)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온수매트는 온수가 순환되는 온수파이프에 만곡부를 필수적으로 형성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으며, 상기 만곡부의 형성에 따라 온수파이프의 구부러짐 또는 찌그러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만곡부를 안정되게 고정시키기 위한 봉제 작업 또는 접착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비용이 과다하게 소용되며, 작업 시간이 오래 걸려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온수매트의 일부분에 배관 없이 온수를 순환시킬 수 있는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수매트에 공급되는 온수가 자유로이 이동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수매트의 부직포를 초음파로 융착시켜 온수파이프의 이탈 또는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 매트는 하부 매트와 상부 매트로 이루어지고, 상면과 하면에 각각 온수유로가 설치되도록 홈부가 형성된 매트; 상기 하부 매트와 상부 매트의 외면을 감싸는 방수필름; 상기 온수유로에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보일러;를 포함하며, 상기 온수유로는 상기 매트로부터 분리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온수유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형상으로 초음파 융착에 의해 상기 매트가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수유로는 상기 홈부 사이에 일정 길이로 설치되는 배관; 상기 배관을 통해 유입된 온수가 통과되도록 상기 배관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온수유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의 양측 선단에 각각 상기 매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온수유로부의 온수가 상기 매트로 유입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제1 융착부;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상기 다수의 배관에 온수가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제2 융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수유로부는 초음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융착부는 상기 온수유로부의 온수가 상기 매트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배관 및 방수필름이 밀착된 상태로 초음파에 의해 일체로 융착되며, 상기 제2 융착부는 상기 온수유로부에 유입된 온수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배관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융착부는 일정 길이만큼 밀폐되는 폐쇄유로 및 일정 길이만큼 개방된 개방유로가 동일선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수유로는 초음파에 의해 상기 매트의 폭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밀폐되게 형성되는 수평유로; 상기 수평유로에 온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수평유로의 좌우 양단에 각각 개방유로를 갖는 온수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 매트에 의하면, 온수매트를 초음파로 융착시킴으로써 부자재인 실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실이 끊어질 우려가 없으며, 온수유로를 초음파로 융착하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봉재 등의 수작업에 의한 공정이 줄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 매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온수유로가 일직선으로만 설치되므로 배관을 구부리는 작업이 불필요하고, 배관을 구부리는 공정이 없으므로 온수 매트의 제조 시간 및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온수 매트의 사용 도중에 배관으로 인한 불량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온수매트를 보인 평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매트를 보인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 매트를 보인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 매트를 보인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 매트를 보인 일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 매트를 보인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 매트의 제조방법을 보인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 매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 매트는 온수가 흐르는 온수유로를 형성함에 있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 실시 예에 따른 온수유로는 배관(20)의 형상을 따라 동일한 형태로 초음파 융착을 하여 배관(20)이 매트(1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한다.
또 제2 실시 예에 따른 온수유로는 매트(10) 사이에 일정 길이를 갖는 배관(20)을 설치함과 함께 상기 배관(20)의 좌우 양측에 일정 공간으로 형성되어 배관(20)에 온수가 공급되도록 개방유로가 형성된 온수유로부(30)를 설치한다.
또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온수유로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수평유로(35)와 상기 수평유로(35)에 온수가 공급되도록 개방유로(34)가 형성된 온수유로부(30)를 설치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온수유로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배관(20) 또는 수평유로(35)를 형성함으로써, 온수유로가 매트(1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한다.
<제1 실시 예>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매트를 보인 평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 매트를 보인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매트는 하부 매트(11)와 상부 매트(12)로 이루어지고, 상면과 하면에 각각 온수유로가 설치되도록 홈부(13)가 형성된 매트(10); 상기 하부 매트(11)와 상부 매트(12)의 외면을 감싸는 방수필름(14); 상기 온수유로에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보일러;를 포함한다.
상기 온수유로는 상기 매트(10)로부터 분리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온수유로와 동일한 형상으로 초음파 융착에 의해 상기 매트(1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매트(10)는 하부 매트(11)와 상부 매트(12)로 이루어지며, 이들 하부 매트(11)와 상부 매트(12) 각각에는 대칭되게 홈부(13)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13)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온수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온수유로는 배관(20)을 매트(10)의 폭 방향 길이로 형성하고, 그 단부는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구부린 원호(round) 형상으로 연결된다. 즉, 매트(10)에는 온수보일러(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온수가 흐르는 온수유로가 형성되는데, 온수유로는 배관(2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온수유로인 배관(20)의 외측에는 배관(20)과 동일한 형상으로 초음파 융착이 이루어진다.
상기 초음파 융착은 배관(20)이 매트(10)로부터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배관(20)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매트(10)에 설치되어 있고, 배관(20)의 외측에 도시된 은선은 배관(20)을 고정시키는 초음파 융착된 선을 나타낸다.
상기 초음파 융착선(22)은 배관(2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이와 같이 배관(2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배관(20)의 분리 또는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20)과 매트(10) 사이에는 방수필름(14)을 부착한다. 상기 방수필름(14)은 온수유로인 배관(20)을 통해 온수의 누수 등에 의해 매트(10)로 온수가 유입됨을 차단하게 된다.
<제2 실시 예>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 매트를 보인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 매트를 보인 일부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온수매트는 일정 길이를 갖는 배관(2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온수가 흐르는 온수 유로부(30)가 형성된 것으로,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제1 실시 예에서 설명된 매트(10) 및 배관(20)은 동일하므로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며, 필요에 따라 도 2 및 도 3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 매트는 온수 매트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관(20)으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유로부(30)가 형성되며, 온수유로인 배관(20)은 매트(10)의 좌우 양측 선단으로부터 온수유로부(30)의 길이만큼 짧은 길이로 이루어진다.
즉, 배관(20)은 매트(10)의 전체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지고, 배관(20)의 양측 선단은 매트(10)의 가장자리가 아닌 양측의 온수유로부(30)에 접속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10)는 적정 크기로 이루어지는데, 1인용 또는 2인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매트(10)는 1인용 또는 2인용 침대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매트(10)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매트(10)는 스폰지, 가교, 비폼, 부직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매트(10)에는 온수가 통과하는 온수유로인 배관(20)이 다수로 설치되며, 배관(20)은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즉, 매트(10)는 배관(20)을 통과하는 온수에 의해 가열된다.
아울러 배관(20)은 매트(10)의 좌우 양측에 있는 온수유로부(30) 사이를 잇는 길이로 이루어진다. 즉, 배관(20)의 길이는 좌측 온수유로부(30)에서 우측 온수유로부(30)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한편 매트(10)에는 온수 보일러(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온수가 유입되는 유입관(21)이 설치되며, 상기 온수 유입관(21)은 배관(20) 또는 온수유로부(3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매트(10)는 일정 두께를 갖는 하부 매트(11)와 일정 두께를 갖는 상부 매트(12)로 이루어지며, 하부 매트(11) 및 상부 매트(12)의 각각에는 배관(20)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홈부(13)가 형성된다.
이러한 홈부(13)는 하부 매트(11)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부 매트(12)의 저면에 형성되어 2개의 홈부(13) 사이에 온수유로인 배관(2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 매트(11)와 상부 매트(12)의 마주보는 면에는 방수필름(14)이 접착된다. 이러한 방수필름(14)은 온수유로부(30)에 공급된 온수가 매트(10)에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방수필름(14)은 배관(20)이 설치되는 하부 매트(11)와 상부 매트(12)의 외면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접착될 수 있으며, 온수유로부(30)의 온수가 외부로 누수 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이다.
도 3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 매트를 보인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10)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배관(20)이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이들 배관(20)의 양측에는 일정 폭으로 온수유로부(30)가 형성된다.
상기 온수유로부(30)는 매트(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매트(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온수유로부(30)는 온수 유입관(21)을 통해 유입된 온수가 배관(20)으로 분배되어 공급되는 유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온수유로부(30)는 매트(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융착부(31)와 상기 배관(2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융착부(32)를 포함한다.
상기 온수유로부(30)는 상기 배관(20)의 양측 선단에 각각 상기 매트(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온수유로부(30)의 온수가 상기 매트로 유입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제1 융착부(31)와 상기 배관(2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상기 다수의 배관(20)에 온수가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제2 융착부(3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온수유로부(30)는 초음파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 융착부(31)는 상기 온수유로부(3)의 온수가 상기 매트(10)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배관(20) 및 방수필름(14)이 밀착된 상태로 초음파에 의해 일체로 융착된다.
상기 제2 융착부(32)는 상기 온수유로부(30)에 유입된 온수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배관(20)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배관(2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융착부(32)는 일정 길이만큼 밀폐되는 폐쇄유로(33) 및 일정 길이만큼 개방된 개방유로(34)가 동일선상에 형성된다.
즉, 온수유로부(30)는 동일 간격으로 설치된 배관(20)에 온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유로로써, 배관(20)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 융착부(31)는 매트(10)의 길이 방향, 즉 도 4의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 융착부(31)는 하부 매트(11)와 상부 매트(12)를 융착시킴은 물론 배관(20) 부위를 일체로 융착시킴으로써, 배관(20) 외에 매트(10)로 온수의 유입을 차단되게 형성한다.
또한 제2 융착부(32)는 배관(20)의 길이 방향, 즉 도 4 및 도 5의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 융착부(32)는 온수유로부(30) 내에 온수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일정 길이로 이루어진 폐쇄유로(33)와 온수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일정 길이로 개방된 개방유로(34)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융착부(31)는 매트(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온수유로부(30)에 있는 온수가 매트(10)로 유입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제2 융착부(32)는 온수유로부(30) 내에 공급된 온수가 각각의 배관(20)으로 이동되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온수유로부(30)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매트(10), 방수필름(14) 및 배관(20)을 일체로 융착된다. 즉, 온수유로부(30)의 제1 융착부(31)는 매트(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매트(10), 방수필름(14)과 배관(20)이 일체로 융착된다.
또한 제2 융착부(32)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매트(10)와 방수필름(14)을 일체로 융착된다. 즉, 제2 융착부(32)는 배관(20)에 온수가 통과하도록 형성되는데, 일정 간격으로 폐쇄되는 폐쇄유로(33)가 형성되며, 개방유로(34)는 폐쇄유로(33) 사이에 일정 길이만큼 온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된다.
한편 초음파 융착은 초음파를 발생시켜 진동에너지로 변환시키고, 진동을 증폭시켜 융착시키고자 하는 소재에 진동에너지를 가압함으로써, 마찰열이 발생되어 열융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초음파 융착기는 컨버터와 부스터로부터 증폭된 진동을 혼에서 다시 한번 증폭시켜 융착하고자 하는 소재에 진동에너지를 전파하게 된다. 즉, 초음파 발생의 중요 부위를 차지하는 혼이 연속 고속 운전하기 위하여 균일한 진동에너지가 소재에 전달된다.
이렇게 매트(10)에서는 전달받은 진동에너지를 마찰열로 변환시키기 위해 혼으로부터 진동에너지에 섬유간의 마찰을 발생시키고, 그 마찰열에 의해 섬유를 융착하게 된다.
<제3 실시 예>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온수유로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일정 길이로 수평유로(35)를 형성하며, 상기 수평유로(35)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전술한 제2 실시 예에서와 같은 온수 유로부(30)가 설치된다.
즉, 수평유로(35)는 제2 실시 예의 배관(20)의 수평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데, 별도의 배관(20)을 설치하지 않고서 일정 길이만큼 밀폐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3 실시 예에 따른 수평유로(35)는 제2 실시 예의 배관(20)과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며, 초음파 융착에 의해 온수가 누수 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매트의 상기 온수유로는 초음파에 의해 상기 매트(10)의 폭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밀폐되게 형성되는 수평유로(35); 상기 수평유로(35)에 온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수평유로(35)의 좌우 양단에 각각 개방유로(34)를 갖는 온수유로부(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온수유로는 배관(20) 대신에 수평유로(35)를 초음파 융착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 온수 유로부(30)는 전술한 제2 실시 예에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수평유로(35) 사이에는 제1 융착부(31)가 형성되는 것으로, 제1 융착부(31)는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수평유로(35) 사이에 제한된 길이로 형성된다.
도 7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 매트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7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 매트의 제조방법을 보인 공정도이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 매트의 제조방법은 일정 크기와 두께를 갖도록 하부 매트(11)와 상부 매트(12)를 절단하는 단계(S10); 상기 하부 매트(11)와 상부 매트(12) 사이에 온수가 통과하는 배관(20)이 설치되도록 상기 배관(20)의 반경과 동일한 홈부(13)를 형성하는 단계(S20); 상기 하부 매트(11)와 상부 매트(12)의 외면에 온수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방수필름(14)을 부착하는 단계(S30); 상기 온수유로에 온수가 통과되도록 초음파에 의해 온수유로를 형성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 매트 절단 단계(S10)는 제조하고자 하는 매트(10)의 크기로 절단하며, 이때 매트(10)는 하부 매트(11)와 상부 매트(12)를 동일한 크기로 자르게 된다. 또한 하부 매트(11)와 상부 매트(12)는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하거나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하부 매트(11)와 상부 매트(12)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매트(11)와 상부 매트(12)의 일면에는 배관(20)을 안정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배관(20)의 반경과 동일한 홈부(13)를 형성한다(S20).
이렇게 홈부(13)가 형성된 매트(10)에는 각각 방수필름(14)을 부착하게 된다(S30). 이러한 방수필름(14)은 하부 매트(11)와 상부 매트(12)의 외면을 모두 감싸는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이는 온수유로에서 누수 등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하부 매트(11) 및 상부 매트(12)가 온수에 젖지 않도록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방수필름(14)은 온수 매트의 외부로부터 물 등이 유입됨을 차단하게 됨은 물론이다.
이렇게 방수필름(14)에 부착된 매트(10)의 홈부(13)에는 온수유로를 형성하게 된다(S40).
이러한 온수유로는 제1 실시 예에서와 같이 배관(20), 제2 실시 예에서와 같이 배관(20) 및 온수유로부(30), 수평유로(35)와 상기 수평유로(35)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온수유로부(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온수유로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형성된다.
이는 온수유로는 그 외면을 모두 초음파에 의해 융착시킴으로써, 누수를 방지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매트 11: 하부 매트
12: 상부 매트 13: 홈부
14: 방수 필름 20: 배관
21: 온수 유입관 30: 온수유로부
31: 제1 융착부 32: 제2 융착부
33: 폐쇄유로 34: 개방유로
35: 수평유로

Claims (5)

  1. 하부 매트와 상부 매트로 이루어지고, 상면과 하면에 각각 온수유로가 설치되도록 홈부가 형성된 매트;
    상기 하부 매트와 상부 매트의 외면을 감싸는 방수필름;
    상기 온수유로에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보일러;를 포함하며,
    상기 온수유로는 상기 매트로부터 분리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온수유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형상으로 초음파 융착에 의해 상기 매트가 견고하게 결합되고,
    상기 온수유로는 상기 홈부 사이에 일정 길이로 설치되는 배관;
    상기 배관을 통해 유입된 온수가 통과되도록 상기 배관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온수유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의 양측 선단에 각각 상기 매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온수유로부의 온수가 상기 매트로 유입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제1 융착부;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상기 다수의 배관에 온수가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제2 융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수유로부는 초음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매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융착부는 상기 온수유로부의 온수가 상기 매트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배관 및 방수필름이 밀착된 상태로 초음파에 의해 일체로 융착되며,
    상기 제2 융착부는 상기 온수유로부에 유입된 온수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배관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융착부는 일정 길이만큼 밀폐되는 폐쇄유로 및 일정 길이만큼 개방된 개방유로가 동일선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유로는 초음파에 의해 상기 매트의 폭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밀폐되게 형성되는 수평유로;
    상기 수평유로에 온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수평유로의 좌우 양단에 각각 개방유로를 갖는 온수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매트.
  5. 삭제
KR1020150106877A 2015-07-28 2015-07-28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매트 KR101639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877A KR101639318B1 (ko) 2015-07-28 2015-07-28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877A KR101639318B1 (ko) 2015-07-28 2015-07-28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9318B1 true KR101639318B1 (ko) 2016-07-13

Family

ID=56505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877A KR101639318B1 (ko) 2015-07-28 2015-07-28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3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737B1 (ko) 2020-10-28 2022-01-12 정규형 초음파 유로 구조의 사우나용 온수매트
KR102587287B1 (ko) * 2023-04-14 2023-10-12 (주)동양이지텍 순환호스 자리를 고주파로 접합 고정하는 온수매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3Y1 (ko) * 2005-08-19 2005-11-09 박흥기 유체 온열매트
KR200408531Y1 (ko) 2005-11-29 2006-02-13 주식회사 에스엠 온수매트
KR20100031383A (ko) * 2008-09-12 2010-03-22 주식회사 챔프온마루 온수장판용 보일러 및 이를 포함하는 온수장판
KR101188700B1 (ko) 2012-04-04 2012-10-11 주식회사 삼원바이오텍 열융착 접합식 친환경 온수매트의 제조방법 및 열융착 접합식 친환경 온수매트
KR200476255Y1 (ko) * 2013-10-22 2015-02-12 길종진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매트 장치
KR200477127Y1 (ko) * 2014-12-04 2015-05-07 이광모 발열선 고정이 용이한 전기매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3Y1 (ko) * 2005-08-19 2005-11-09 박흥기 유체 온열매트
KR200408531Y1 (ko) 2005-11-29 2006-02-13 주식회사 에스엠 온수매트
KR20100031383A (ko) * 2008-09-12 2010-03-22 주식회사 챔프온마루 온수장판용 보일러 및 이를 포함하는 온수장판
KR101188700B1 (ko) 2012-04-04 2012-10-11 주식회사 삼원바이오텍 열융착 접합식 친환경 온수매트의 제조방법 및 열융착 접합식 친환경 온수매트
KR200476255Y1 (ko) * 2013-10-22 2015-02-12 길종진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매트 장치
KR200477127Y1 (ko) * 2014-12-04 2015-05-07 이광모 발열선 고정이 용이한 전기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737B1 (ko) 2020-10-28 2022-01-12 정규형 초음파 유로 구조의 사우나용 온수매트
KR102587287B1 (ko) * 2023-04-14 2023-10-12 (주)동양이지텍 순환호스 자리를 고주파로 접합 고정하는 온수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700B1 (ko) 열융착 접합식 친환경 온수매트의 제조방법 및 열융착 접합식 친환경 온수매트
KR101639318B1 (ko)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분리형 온수매트
JP2011200337A (ja) 体液処理用品およびその製法
KR200477127Y1 (ko) 발열선 고정이 용이한 전기매트
KR101320865B1 (ko) 합포식 사계절 냉온수 매트
KR200422188Y1 (ko) 난방용 매트
JP2004316152A (ja) 防水シートの熱融着方法及び防水シートの熱融着装置
KR101379326B1 (ko) 온수 발열 매트
CN101484298A (zh) 面状的部分之间的连接
KR200454731Y1 (ko) 온수 매트
KR101468844B1 (ko) 내면 비접촉돌기를 갖는 고주파 냉온매트
EP30399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elding 3d bellows, and bellows
JP5589905B2 (ja) 面状採暖具
JP4643337B2 (ja) カーペット用床暖房用マット
KR20080014539A (ko) 온수 난방이 가능한 원적외선 방사체 매트의 제조 방법
JP6643557B2 (ja) 熱交換マット
KR101769432B1 (ko) 냉온수 라텍스 매트리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38040A (ko) 양면 전기매트
JP6232523B2 (ja) 身体冷却用の循環液体路部材
JP2015232419A (ja) 面状採暖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142621A (ko) 온수매트의 매트부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86800A (ko) 온수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2587287B1 (ko) 순환호스 자리를 고주파로 접합 고정하는 온수매트
JP2009121709A (ja) 暖房用パネル及び暖房用パネルの製造方法
JP4506000B2 (ja) 床暖房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