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948B1 - 변압기 - Google Patents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948B1
KR101638948B1 KR1020157014110A KR20157014110A KR101638948B1 KR 101638948 B1 KR101638948 B1 KR 101638948B1 KR 1020157014110 A KR1020157014110 A KR 1020157014110A KR 20157014110 A KR20157014110 A KR 20157014110A KR 101638948 B1 KR101638948 B1 KR 101638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pattern
primary
coil
insulating layer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4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9894A (ko
Inventor
히로시 조
가즈유키 사시다
Original Assignee
신덴겐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덴겐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덴겐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79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47Sheets; Str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47Sheets; Strips
    • H01F2027/2857Coil formed from wound foil condu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변압기(100)는, 1층의 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1차 면 형상부(11a)를 가지는 복수의 1차 코일 패턴(11), 1층의 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2차 면 형상부(12a)를 가지는 2차 코일 패턴(12), 및 1차 코일 패턴(11)과 2차 코일 패턴(12) 사이에 배치된 절연층(30)을 가지는 코일부(10)를 구비한다. 1차 코일 패턴(11)과 절연층(30)은 밀접하고, 절연층(30)과 2차 코일 패턴(12)은 밀접한다. 각각의 1차 면 형상부(11a)는, 코일부(10)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1개의 영역을 차지하고, 또한, 코일부(10)의 감기 방향에서 상이한 영역을 차지한다. 2차 면 형상부(12a)는, 코일부(10)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1개의 영역을 차지한다. 2차 코일 패턴(12)이 감기는 횟수는 1차 코일 패턴(11)이 감기는 횟수보다 많다.

Description

변압기 {TRANSFORMER}
본 발명은 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코일 패턴을 가지는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코어(90)의 기둥 형상부(92)의 주위에, 1차 코일(101) 및 2차 코일(102)을 레이어지(layer paper)(105)나 판형부를 개재하여 감은 변압기가 알려져 있다(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164928호 참조). 그리고, 도 4는 종래 기술의 변압기의 횡단면도이지만, 도 4에 나타낸 1차 코일(101) 및 2차 코일(102) 각각은 절연성 부재로 피복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코일(101, 102)을 채용한 종래의 변압기를 고주파수(예를 들면, 70kHz)로 동작시키는 경우, 표피 효과(Skin Effect)에 의해, 전류는 코일(101, 102)의 표면 밖에 흐르지 않는다. 그러므로, 코일(101, 102)에서 전류가 흐르는 단면적(斷面績)이 작아지게 되고, 나아가서는 저항이 증대한다.
또한, 1차 코일(101)끼리 및 2차 코일(102)끼리에서는 전류가 같은 방향으로 흐르므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태양에서는, 이른바 근접 효과에 의해, 1차 코일(101) 내를 흐르는 전류끼리 또는 2차 코일(102) 내를 흐르는 전류끼리가 서로 반발하여, 각각의 코일(101, 102) 내에 흐르는 전류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흐른다. 이와 같이 각각의 코일(101, 102) 내에 흐르는 전류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흐르면, 코일(101, 102)에서 전류가 흐르는 단면적이 작아지게 되고, 나아가서는 저항이 증대한다.
특히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3열 이상의 1차 코일(101) 또는 2차 코일(102)이 감기는 태양에서는, 표피 효과와 근접 효과 양쪽의 영향을 받으므로, 내측에 위치하는 1차 코일(101) 또는 2차 코일(102)에 전류가 흐르기 어려워져, 저항이 매우 증대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낸 태양에서는, 3열 있는 1차 코일(101) 중 2번째 열의 1차 코일(101)으로서 상하의 단부(端部)에 위치하지 않는 1차 코일(101) 및 3열 있는 2차 코일(102) 중 2번째 열의 2차 코일(102)으로서 상하의 단부에 위치하지 않는 2차 코일(102)에 전류가 흐르기 어려워져, 저항이 매우 증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항이 증대하면, 코일(101, 102)의 온도가 상승하여, 더욱 저항이 커지는 악순환이 발생한다.
또한, 최근, 변압기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는 점, 종래기술에서는, 두께 50㎛ 정도의 레이어지(105)가 존재하는 점, 단면적이 원형인 코일(101, 102)끼리의 사이에 불필요한 공간이 생기는 점 등에 의해, 변압기의 사이즈를 줄이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코일(101, 102)이 종료되면, 다음의 코일(101, 102)을 감기 전에, 종료된 코일(101, 102)의 말단부에 엔드 필러(end filler)를 설치할 필요가 있지만, 이와 같이 엔드 필러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 자체가 낭비였다. 또한, 코일(101, 102)이 m회전("m"은 정수임) 감기 완료 전의 도중에 종료되면, m회전 감기 완료 전의 위치에 엔드 필러를 설치하고, 그 후 다음의 코일(101, 102)을 감게 되지만, 이와 같이 m회전 감기 완료 전의 위치에 엔드 필러를 설치하여 다음의 코일(101, 102)을 감으면, 다음의 코일(101, 102)이 무너질 가능성도 있었다.
종래 기술로서는, 전술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164928호 외에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30554호도 알려져 있다. 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30554호에서는, 가는 스트립형(strip shape) 도체층을 스트라이프형으로 인쇄하여 이루어지는 제1 도전성 필름체와, 굵은 스트립형 도체층을 스트라이프형으로 인쇄하여 이루어지는 제2 도전성 필름체를 중첩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30554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트립형 도체층을 스트라이프형으로 인쇄한 경우에는, 스트립형 도체층의 폭(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이 좁아진다. 그러므로, 각각의 스트립형 도체층의 단면적이 작아지고, 그 결과 전술한 표피 효과에 의한 영향이 커지고, 전류가 흐르는 단면적이 작아지게 된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30554호에 개시되어 있는 태양에서는, 가는 스트립형 도체층끼리가 동일 평면상에서 인접하고, 굵은 스트립형 도체층끼리가 동일 평면상에서 인접하게 된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스트립형 도체층에서 같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므로, 전술한 근접 효과에 의해, 가는 스트립형 도체층 내를 흐르는 전류끼리 및 굵은 스트립형 도체층 내를 흐르는 전류끼리가 서로 반발하여, 각각의 스트립형 도체층에서 전류가 흐르는 단면적이 작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30554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트립형 도체층을 스트라이프형으로 인쇄한 태양에서는, 표피 효과 및 근접 효과 양쪽에 의해, 저항이 커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저항이 커지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스트립형 도체층의 온도가 상승하여, 더욱 저항이 커지는 악순환이 발생한다.
이상과 같은 점에 감안하여, 본 발명은 고주파수로 동작시킨 경우라도 표피 효과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영역이 작아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근접 효과로 전류가 흐르는 단면적이 작아지게 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전류를 효율적으로 흐르게 할 수 있고, 또한 크기를 소형으로 할 수 있고, 또한 붕괴될 염려도 없는 변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는,
기둥 형상이 되도록 감기는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부가,
1층의 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1차 면 형상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1차 코일 패턴,
1층의 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2차 면 형상부를 가지는 2차 코일 패턴, 및
상기 1차 코일 패턴과 상기 2차 코일 패턴 사이에 배치된 절연층
을 포함하고,
상기 1차 코일 패턴과 상기 절연층은 밀접하고,
상기 절연층과 상기 2차 코일 패턴은 밀접하고,
각각의 1차 면 형상부가, 상기 코일부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1개의 영역을 차지하고, 또한 상기 코일부의 감기 방향에서 상이한 영역을 차지하고,
상기 2차 면 형상부가, 상기 코일부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1개의 영역을 차지하고,
상기 2차 코일 패턴이 감기는 횟수가, 상기 1차 코일 패턴이 감기는 횟수보다 많다.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에서,
상기 2차 코일 패턴이 감기는 횟수와 상기 1차 코일 패턴이 감기는 횟수의 비율이, n:1("n"는 2 이상의 정수)로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1차 코일 패턴과 상기 2차 코일 패턴은, 상기 코일부의 직경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1차 코일 패턴, 상기 2차 코일 패턴의 순서 또는 상기 2차 코일 패턴, 상기 1차 코일 패턴의 순서로 배치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에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1차 코일 패턴과 상기 2차 코일 패턴의 사이에 배치된 절연성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1차 코일 패턴은 상기 절연성 필름의 한쪽 면에 설치되고,
상기 2차 코일 패턴은 상기 절연성 필름의 다른 쪽 면에 설치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에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1차 코일 패턴을 덮도록 하여 형성된 1차 절연층 또는 상기 2차 코일 패턴을 덮도록 하여 형성된 2차 절연층을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에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1차 코일 패턴을 덮도록 하여 형성된 1차 절연층 및 상기 2차 코일 패턴을 덮도록 하여 형성된 2차 절연층을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에서,
상기 1차 코일 패턴은, 상기 1차 면 형상부로부터 상기 코일부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에서 돌출된 1차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2차 코일 패턴은, 상기 2차 면 형상부로부터 상기 코일부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에서 돌출된 2차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1차 돌출부가 상기 1차 면 형상부로부터 돌출되는 방향과, 상기 2차 돌출부가 상기 2차 면 형상부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은, 서로 역방향의 성분을 가져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에서,
상기 1차 면 형상부에 대해 상기 코일부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측의 위치로서 상기 1차 면 형상부에 인접하는 위치에,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방열 부재가 설치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에서,
상기 2차 면 형상부에 대해 상기 코일부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측의 위치로서 상기 2차 면 형상부에 인접하는 위치에,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방열 부재가 설치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에서,
상기 코일부는, 1층의 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3차 면 형상부를 포함하는 3차 코일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3차 면 형상부는, 상기 코일부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1개의 영역을 차지하고,
상기 3차 코일 패턴이 감기는 횟수는, 상기 2차 코일 패턴이 감기는 횟수보다 많아지고,
상기 1차 코일 패턴, 상기 2차 코일 패턴 및 상기 3차 코일 패턴은, 상기 코일부의 직경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1차 코일 패턴, 상기 2차 코일 패턴, 상기 3차 코일 패턴의 순서 또는 상기 3차 코일 패턴, 상기 2차 코일 패턴, 상기 1차 코일 패턴의 순서로 배치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기둥 형상부를 포함하는 코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일부는 상기 기둥 형상부에 권취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는,
상기 코일부가 침지되는 부동액을 저류한 냉각 저류부(貯留部)를 더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의 코일부에서는, 1층의 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1차 면 형상부를 가지는 1차 코일 패턴과, 1층의 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2차 면 형상부를 가지는 2차 코일 패턴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고주파수로 동작시킨 경우라도 표피 효과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영역이 작아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각 1차 면 형상부가 코일부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1개의 영역을 차지하고(1개 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고), 마찬가지로, 2차 면 형상부가 코일부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1개의 영역을 차지하고 있음(1개 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각 1차 면 형상부 및 2차 면 형상부의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고주파수(예를 들면, 70kHz)로 동작시킨 경우라도 표피 효과에 의한 영향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코일부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1개의 1차 면 형상부 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동일 평면상에서 인접하는 1차 면 형상부가 원래 존재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코일부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1개의 2차 면 형상부 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동일 평면상에서 인접하는 2차 면 형상부가 원래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동일 평면상에서 인접하는 스트립형 도체층에 기인하는 근접 효과가 생기지 않아,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일부에서는, 직경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1차 코일 패턴끼리 및 2차 코일 패턴끼리가 인접하지 않기 때문에, 이 의미에서도, 근접 효과로 전류가 흐르는 단면적이 작아지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들로부터,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부를 흐르는 전류의 영역이 한정됨으로써 저항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류를 효율적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일부에서는, 1차 코일 패턴과 2차 코일 패턴 사이에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레이어지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1층의 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1차 면 형상부를 가지는 1차 코일 패턴과, 1층의 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2차 면 형상부를 가지는 2차 코일 패턴이 채용되고 있으므로, 종래의 코일과 같이 서로의 사이에 불필요한 공간이 생기지도 않는다.
이들로부터, 본 발명에 의하면, 변압기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태양에 의한 변압기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태양에 의한 변압기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태양에 의한 변압기의 사시도이다.
도 3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태양에 의한 변압기의 코일부를 전개하여 1차 코일 패턴 측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태양에 의한 변압기의 코일부를 전개하여 2차 코일 패턴 측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의 변압기의 횡단면도이다.
실시예
<<구성>>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변압기(100)는, 기부(基部), 기부로부터 연장된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기둥 형상부를 가지는 코어, 및 기둥 형상부에 권취되고 기둥 형상으로 된 코일부(1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코어를 구비한 태양을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코일부(10)가 기둥 형상이 되도록 감겨 있으면 충분하고, 코어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코일부(10)는, 1층의 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1차 면 형상부(11a)(도 3 (a) 참조)를 가지는 복수(도 3(a)에서는 "3개")의 1차 코일 패턴(11), 1층의 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2차 면 형상부(12a)(도 3 (b) 참조)를 가지는 2차 코일 패턴(12), 및 1차 코일 패턴(11)과 2차 코일 패턴(12) 사이에 배치된 절연층(30)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각 1차 면 형상부(11a)는, 코일부(10)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3 (a)에서는 상하 방향)에서 1개의 영역을 차지하고, 코일부의 감기 방향(도 3 (a)에서는 좌우 방향)에서 상이한 영역(도 3 (a)에서는 "3개의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2차 면 형상부(12a)는, 코일부(10)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3 (b)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1개의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2차 면 형상부(12a)가 1개 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2차 면 형상부(12a)는, 코일부의 감기 방향(도 3 (b)에서는 좌우 방향)에서 1개의 영역을 차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원에 있어서, "코일부(10)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란 기둥 형상의 코일부(10)의 축이 연장되는 방향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기둥 형상부의 축이 연장되는 방향이다.
1차 코일 패턴(11)과 절연층(30)은 밀접하고, 그 절연층(30)과 2차 코일 패턴(12)은 밀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부(10)의 직경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1차 코일 패턴(11)과 2차 코일 패턴(12)은, 1차 코일 패턴(11), 2차 코일 패턴(12)의 순서 또는 2차 코일 패턴(12), 1차 코일 패턴(11)의 순서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부(10)는, 예를 들면, 동·알루미늄·금·은 등으로 이루어지지만, 코일부(10)의 재료는 도체이면 된다. 또한, 절연층(30)은,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등으로 이루어지고, 가역성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연층(30)이, 1차 코일 패턴(11)을 덮도록 하여 형성된 1차 절연층(31)과 2차 코일 패턴(12)을 덮도록 하여 형성된 2차 절연층(32) 양쪽을 가지는 태양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태양과 달리, 절연층(30)이, 1차 코일 패턴(11)을 덮도록 하여 형성된 1차 절연층(31) 또는 2차 코일 패턴(12)을 덮도록 하여 형성된 2차 절연층(32) 중 어느 하나를 가지는 태양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일례로서, 절연층(30)이, 1차 코일 패턴(11)을 덮도록 하여 형성된 1차 절연층(31)을 가지고, 가장 바깥쪽의 2차 코일 패턴(12)은 단부 절연층으로 덮여도 된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절연층(30)이, 2차 코일 패턴(12)을 덮도록 하여 형성된 2차 절연층(32)을 가져도 되고, 이 경우에는, 가장 안쪽의 1차 코일 패턴(11)이 단부 절연층으로 덮이게 된다.
그런데, 코일부(10)는, 1차 코일 패턴(11) 및 2차 코일 패턴(12) 외에, 1층의 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3차 면 형상부를 가지는 3차 코일 패턴, 1층의 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4차 면 형상부를 가지는 4차 코일 패턴, ……, 1층의 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l차 면 형상부를 가지는 l차 코일 패턴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그리고, "l"은 3 이상의 정수임). 예를 들면, 코일부(10)가 1차 코일 패턴(11), 2차 코일 패턴(12) 및 3차 코일 패턴을 가지는 경우에는, 코일부(10)의 직경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1차 코일 패턴(11), 2차 코일 패턴(12) 및 3차 코일 패턴이 1차 코일 패턴(11), 2차 코일 패턴(12), 3차 코일 패턴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태양에 한정되지 않고, 1차 코일 패턴(11), 2차 코일 패턴(12) 및 3차 코일 패턴은, 코일부(10)의 직경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3차 코일 패턴, 2차 코일 패턴(12), 1차 코일 패턴(11)의 순서로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l차 면 형상부 각각 은, 코일부(10)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1개의 영역을 차지하고, l차 코일 패턴이 감기는 횟수는, (l-1)차 코일 패턴이 감기는 횟수보다 많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횟수가 많아진다"라고 하는 개념은, 예를 들면, l차 코일 패턴이 감기는 횟수가 (l-1)차 코일 패턴이 감기는 횟수의 "1.1"배가 되어 있는 것처럼, "소수"를 사용하여 나타내는 것도 가능한 개념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부(10)는, 1차 코일 패턴(11) 및 2차 코일 패턴(12)외에, 1층의 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3차 면 형상부를 가지는 3차 코일 패턴, 1층의 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4차 면 형상부를 가지는 4차 코일 패턴, ……, l층의 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l차 면 형상부를 가지는 l차 코일 패턴을 가지고 있어도 되지만, 이하에서는, 코일부(10)가, 1차 코일 패턴(11) 및 2차 코일 패턴(12)을 가지는 태양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코일부(10)가, 1차 코일 패턴(11) 및 2차 코일 패턴(12)을 가지는 제1 태양으로서는, 1차 코일 패턴(11)이 절연성 필름(38)에 설치되고, 2차 코일 패턴(12)이 다른 절연성 필름(39)에 설치되고, 1차 코일 패턴(11), 절연성 필름(38), 2차 코일 패턴(12) 및 절연성 필름(39)의 차례대로 배치된 태양을 사용할 수 있다(도 1 참조).
코일부(10)가, 1차 코일 패턴(11) 및 2차 코일 패턴(12)을 가지는 제2 태양으로서는, 절연층(30)이, 1차 코일 패턴(11)과 2차 코일 패턴(12) 사이에 배치된 절연성 필름(35)을 가지고, 1차 코일 패턴(11)이 절연성 필름(35)의 표면(한쪽 면)에 설치되고, 2차 코일 패턴(12)이 절연성 필름(35)의 이면(裏面)(다른쪽 면)에 설치되어 있는 태양을 사용할 수 있다(도 2a, 도 2b 및 도 3 (a)(b) 참조). 그리고, 이 제2 태양에서, 1차 코일 패턴(11) 및 2차 코일 패턴(12) 각각은, 예를 들면, 인쇄나 접합에 의해, 절연성 필름(35)에 설치된다.
또한,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태양에 의한 변압기(100)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태양에 의한 변압기(100)의 사시도이다. 도 2a에 대해 설명하면, 도 2a에서는, 변압기(100)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내기 위해, 1차 절연층(31) 및 후술하는 방열 부재(40)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3 (a)는 본 실시예의 제2 태양에 의한 변압기(100)의 코일부(10)를 전개하여 1차 코일 패턴(11) 측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 (b)는, 본 실시예의 제2 태양에 의한 변압기(100)의 코일부(10)를 전개하여 2차 코일 패턴(12) 측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 태양에서는, 도 3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1차 코일 패턴(11)이 복수 설치되고, 각각의 1차 코일 패턴(11)이 코일부(10)의 감기 방향(도 3 (a)의 좌우 방향)에서 상이한 영역(도 3 (a)에 나타낸 태양에서는 상이한 3개의 영역)을 차지하고, 2차 코일 패턴(12)은 1개만 설치되는 태양을 사용할 수 있다(도 3 (b) 참조). 그리고, 이 태양도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상기 태양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1차 코일 패턴(11)이 복수 설치되고, 각각의 1차 코일 패턴(11)이 코일부(10)의 감기 방향에서 상이한 영역을 차지하는 태양을 사용한 경우에는, 2차 코일 패턴(12)이 감기는 횟수를 1차 코일 패턴(11)이 감기는 횟수보다 많게 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2차 코일 패턴(12)이 기둥 형상부의 주위에 감기는 횟수와 각각의 1차 코일 패턴(11)이 기둥 형상부의 주위에 감기는 횟수의 비율을 n:1("n"은는 2 이상의 정수)로 할 수도 있다.
도 3 (a)(b)에서 나타낸 태양에서는, 2차 코일 패턴(12)이 기둥 형상부의 주위에 감기는 횟수와 각각의 1차 코일 패턴(11)이 기둥 형상부의 주위에 감기는 횟수의 비율이 3:1이 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3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부(10)의 절연성 필름(35)의 표면 측에는, 3개의 1차 코일 패턴(1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코일부(10)의 절연성 필름(35)의 이면 측에는, 1개의 2차 코일 패턴(1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부(10)의 각각의 1차 코일 패턴(11)이 기둥 형상부에 1회전하도록 하여 감기고, 코일부(10)의 2차 코일 패턴(12)이 기둥 형상부에 3회전하도록 하여 감겨 있다. 그러므로, 2차 코일 패턴(12)이 기둥 형상부의 주위에 감기는 횟수와 각각의 1차 코일 패턴(11)이 기둥 형상부의 주위에 감기는 횟수의 비율이 3:1이 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a)에 나타낸 태양에서는, 예를 들면, 좌측에 위치하는 1차 면 형상부(11a)의 좌측 위와, 한가운데에 위치하는 1차 면 형상부(11a)의 좌측 위와, 우측에 위치하는 1차 면 형상부(11a)의 좌측 위를 접속해(도 3 (a)의 화살표 A1 참조), 좌측에 위치하는 1차 면 형상부(11a)의 우측 위와, 한가운데에 위치하는 1차 면 형상부(11a)의 우측 위와, 우측에 위치하는 1차 면 형상부(11a)의 우측 위를 접속하면 된다(도 3 (a)의 화살표 A2 참조).
또한, 절연층(30)이 1차 절연층(31)과 2차 절연층(32) 양쪽을 가지고 있는 태양에 한정되지 않고, 절연층(30)이 1차 절연층(31)만 또는 2차 절연층(32)만을 가지는 태양이어도 된다. 절연층(30)이 1차 절연층(31)만을 가지는 경우에는, 가장 바깥쪽의 2차 코일 패턴(12)은 단부 절연층으로 덮이고, 절층연(30)이 2차 절연층(32)만을 가지는 경우에는, 가장 안쪽의 1차 코일 패턴(11)이 단부 절연층으로 덮이게 된다.
전술한 제2 태양에서는, 절연층(30)이, 1차 코일 패턴(11)과 2차 코일 패턴(12) 사이에 배치된 절연성 필름(35)을 가지고, 1차 코일 패턴(11)이 절연성 필름(35)의 표면에 설치되고, 2차 코일 패턴(12)이 절연성 필름(35)의 이면에 설치되어 있는 태양이었지만, 이와 같은 태양이 아니라, 1차 코일 패턴(11)과 2차 코일 패턴(12) 사이, 및 2차 코일 패턴(12)과 1차 코일 패턴(11) 사이에, 1차 코일 패턴(11) 및 2차 코일 패턴(12)와는 별체(別體)로 된 이격용 절연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제3 태양). 이 제3 태양에서는, 제2 태양에서 사용된 1차 코일 패턴(11) 및 2차 코일 패턴(12) 각각이 표면 및 이면에 설치된 절연성 필름(35) 대신에, 이격 용 절연층이 사용되게 된다.
또한, 1차 절연층(31), 2차 절연층(32), 절연성 필름(35), 단부 절연층 및 이격용 절연층 각각은, 같은 재질인 것으로 구성해도 되고, 상이한 재질인 것으로 구성해도 된다. 1차 절연층(31), 2차 절연층(32), 절연성 필름(35), 단부 절연층 및 이격용 절연층에 사용되는 것의 일례로서는 폴리이미드 필름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1차 코일 패턴(11)은, 1차 면 형상부(11a)로부터 코일부(10)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3 (a)의 상하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에서 돌출되고, 이른바 "리드선(lead wire)"의 역할을 하는 1차 돌출부를 가지고, 2차 코일 패턴(12)은, 2차 면 형상부(12a)로부터 코일부(10)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3 (b)의 상하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에서 돌출되고, 역시 "리드선"의 역할을 하는 2차 돌출부를 가져도 된다. 그리고, 1차 돌출부가 1차 면 형상부(11a)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예를 들면, 도 3 (a)의 위쪽을 향한 방향)과 2차 돌출부가 2차 면 형상부(12a)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예를 들면, 도 3 (b)의 아래쪽을 향한 방향)은, 서로 역방향의 성분을 가져도 된다.
1차 돌출부 및 2차 돌출부 각각은, 1차 코일 패턴(11) 및 2차 코일 패턴(12)의 용량에 있었던 단면적을 가지고 있다. 그 일례로서는, 1차 돌출부 및 2차 돌출부 각각의 단면적은, 1차 코일 패턴(11) 및 2차 코일 패턴(12)의 단면적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태양이어도, 1차 돌출부 및 2차 돌출부는 각각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냉각시키기 쉬우므로, 전류를 흐르게 할 때 지장이 생기기 어렵다.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1차 면 형상부(11a)에 대해 코일부(10)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측의 위치로서 1차 면 형상부(11a)에 인접하는 위치(본 실시예에서는 1차 면 형상부(11a)의 상하 측 양쪽)에,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방열 부재(4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2차 면 형상부(12a)에 대해 코일부(10)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측의 위치로서 2차 면 형상부(12a)에 인접하는 위치(본 실시예에서는 2차 면 형상부(12a)의 상하 측 양쪽)에,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방열 부재(40)가 설치되어 있다. 방열 부재(40)는, 예를 들면, 세라믹, 사파이어, 다이아몬드 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부(10) 및 코어가 침지되는 부동액을 저류한 냉각 저류부를 더 추가로 설치해도 된다.
<<작용·효과>>
다음에,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에 의한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코일부(10)에서는, 1층의 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1차 면 형상부(11a)를 가지는 복수(도 3에서는 "3개")의 1차 코일 패턴(11)과, 1층의 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2차 면 형상부(12a)를 가지는 2차 코일 패턴(12)이 채용되고 있다(도 3 (a)(b) 참조). 그리고, 각각의 1차 면 형상부(11a)는 코일부(10)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3 (a)에서는 상하 방향)에서 1개의 영역을 차지하고, 마찬가지로, 2차 면 형상부(12a)는 코일부(10)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3 (a)에서는 상하 방향)에서 1개의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고주파수(예를 들면, 70kHz)로 동작시킨 경우라도 표피 효과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영역이 작아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부(10)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1개의 1차 면 형상부(11a) 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1차 면 형상부(11a)의 폭을 최대한 크게 할 수 있고, 1차 면 형상부(11a)의 단면적을 최대한 크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표피 효과가 발생한 경우라도 그 표피 효과에 의한 영향을 작게 억제할 수 있고, 1차 면 형상부(11a) 중 전류가 흐르는 영역을 크게 취할 수 있다. 그 결과, 1차 면 형상부(11a)에서 전류가 흐르는 영역이 작아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부(10)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서, 1개의 2차 면 형상부(12a) 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2차 면 형상부(12a)의 폭을 최대한 크게 할 수 있고, 2차 면 형상부(12a)의 단면적을 최대한 크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표피 효과가 발생한 경우라도 그 표피 효과에 의한 영향을 작게 억제할 수 있고, 2차 면 형상부(12a) 중 전류가 흐르는 영역을 크게 취할 수 있다. 그 결과, 2차 면 형상부(12a)에 있어서 전류가 흐르는 영역이 작아지게 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이 점,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30554호에서는, 가는 스트립형 도체층을 스트라이프형으로 인쇄하여 이루어지는 제1 도전성 필름체와, 굵은 스트립형 도체층을 스트라이프형으로 인쇄하여 이루어지는 제2 도전성 필름체를 중첩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30554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감기 방향으로 스트립형 도체층을 스트라이프형으로 인쇄한 경우에는, 스트립형 도체층의 폭(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이 작아지게 되므로, 각각의 트립형 도체층의 단면적이 작아지게 된다. 그 결과, 표피 효과에 의한 영향이 커지고, 전류가 흐르는 단면적이 작아지게 되고, 나아가서는 저항이 증대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태양에 의하면, 코일부(10)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1개의 1차 면 형상부(11a)와 1개의 2차 면 형상부(12a) 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30554호에 개시된 태양에 비해 표피 효과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30554호에 나타낸 태양에 비해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30554호와 같이 스트립형 도체층을 스트라이프형으로 인쇄하여 이루어지는 도전성 필름체를 사용하면, 동일 평면상에서 인접하여 스트립형 도체층이 형성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가는 스트립형 도체층끼리가 동일 평면상에서 인접하고, 굵은 스트립형 도체층끼리가 동일 평면상에서 인접하게 된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스트립형 도체층에서 같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므로, 근접 효과에 의해, 가는 스트립형 도체층 내를 흐르는 전류끼리 및 굵은 스트립형 도체층 내를 흐르는 전류끼리가 서로 반발한다. 그 결과, 각각의 스트립형 도체층에서 전류가 흐르는 단면적이 작아지게 되어, 나아가서는 저항이 증대한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의 태양에 의하면, 코일부(10)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1개의 1차 면 형상부(11a) 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동일 평면상에서 인접하는 1차 면 형상부(11a)가 원래 존재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코일부(10)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1개의 2차 면 형상부(12a) 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동일 평면상에서 인접하는 2차 면 형상부(12a)가 원래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30554호에 개시된 각각의 스트립형 도체층과는 상이하고, 동일 평면상에서 인접하는 스트립형 도체층에 기인하는 근접 효과가 생기지 않아,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30554호에 나타낸 태양에 비해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태양에 의하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30554호에 개시된 태양에 비해, 표피 효과 및 근접 효과 양쪽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30554호에 개시된 태양에 비해, 저항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전류를 효율적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고하는 매우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코일부(10)에서는, 직경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1차 코일 패턴(11)끼리 및 2차 코일 패턴(12)끼리가 인접하는 일이 없고, 1차 코일 패턴(11)과 2차 코일 패턴(12)이 차례대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 의미에서도, 근접 효과로 전류가 흐르는 단면적이 작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코일부(10)에서는, 1차 코일 패턴(11)과 2차 코일 패턴(12) 사이에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층(3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도 1 및 도 2b 참조), 종래와 같이 레이어지(105)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1층의 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1차 면 형상부(11a)를 가지는 1차 코일 패턴(11)과, 1층의 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2차 면 형상부(12a)를 가지는 2차 코일 패턴(12)이 채용되고 있으므로, 종래의 코일(101, 102)과 같이 서로의 사이에 불필요한 공간이 생길 수도 없고, 또한 엔드 필러를 사용할 필요도 없다.
이들로부터,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변압기(100)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와 같이 코일(101, 102)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코일(101, 102)과 같이 m회전("m"은 정수임) 감기 완료 전의 도중에 종료되지 없고, 종래와 같이 코일(101, 102)이 무너지지도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2 태양에서는, 1차 코일 패턴(11)이 절연성 필름(35)의 표면에 설치되고, 2차 코일 패턴(12)이 절연성 필름(35)의 이면에 설치되어 있다(도 2 B 및 도 3 (a)(b) 참조). 또한, 절연층(30)이, 1차 코일 패턴(11)을 덮도록 하여 형성된 1차 절연층(31) 및/또는 2차 코일 패턴(12)을 덮도록 하여 형성된 2차 절연층(32)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1차 코일 패턴(11), 2차 코일 패턴(12) 및 절연층(30)이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코일부(10)를 코어에 권취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변압기(100)를 만들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2 태양에 있어서, 2차 코일 패턴(12)이 기둥 형상부의 주위에 감기는 횟수와 각각의 1차 코일 패턴(11)이 기둥 형상부의 주위에 감기는 횟수의 비율이 n:1("n"은 2 이상의 정수)이 되도록 한 경우에는(도 3 (a)(b) 참조),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예의 제2 태양과 같이, 1차 코일 패턴(11)이 절연성 필름(35)의 표면에 설치되고, 2차 코일 패턴(12)이 절연성 필름(35)의 이면에 설치되어 있는 태양에서, 2차 코일 패턴(12)이 감기는 횟수와 1차 코일 패턴(11)이 감기는 횟수의 비율이 n:1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절연성 필름(35)상의 표면 또는 이면에서 이용되지 않는 공간이 아무래도 발생하여, 불필요한 공간이 생긴다. 이에 대해, 2차 코일 패턴(12)이 감기는 횟수와 1차 코일 패턴(11)이 감기는 횟수의 비율이 n:1로 한 경우에는, 절연성 필름(35) 상의 표면 및 이면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절연층(30)이, 1차 코일 패턴(11)을 덮도록 하여 형성된 1차 절연층(31)과, 2차 코일 패턴(12)을 덮도록 하여 형성된 2차 절연층(32) 양쪽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레이어지(105)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짐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 외에, 코일부(10)가 산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코일부(10)의 내열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1차 코일 패턴(11) 또는 2차 코일 패턴(12) 중 어느 하나 밖에 절연층(30)으로 덮지 않았던 경우, 절연층(30)으로 덮이지 않은 쪽의 코일 패턴이 산화하기 쉬워진다. 그리고, 코일 패턴이 산화하면, 그 코일 패턴의 내열 성능이 저하한다. 이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절연층(30)이, 1차 코일 패턴(11)을 덮도록 하여 형성된 1차 절연층(31)과, 2차 코일 패턴(12)을 덮도록 하여 형성된 2차 절연층(32) 양쪽을 가지는 경우에는, 코일부(10)가 산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코일부(10)의 내열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1차 돌출부가 1차 면 형상부(11a)로부터 돌출되는 방향(도 3 (a)의 위쪽을 향한 방향)과 2차 돌출부가 2차 면 형상부(12a)로부터 돌출되는 방향(도 3 (b)의 아래쪽을 향한 방향)이, 서로 역방향의 성분을 가지는 태양을 채용한 경우에는, 이른바 "리드선"이 돌출되어 있는 방향을 역방향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1차 돌출부 및 2차 돌출부에 전원 등의 외부 장치를 쉽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1차 면 형상부(11a)에 대해 코일부(10)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측의 위치로서 1차 면 형상부(11a)에 인접하는 위치에,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방열 부재(40)가 설치되고, 2차 면 형상부(12a)에 대해 코일부(10)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측의 위치로서 2차 면 형상부(12a)에 인접하는 위치에,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방열 부재(40)가 설치된 태양을 채용한 경우에는(도 2b 참조), 1차 코일 패턴(11) 및 2차 코일 패턴(12) 각각의 열을, 방열 부재(40)를 통해 방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태양에 의하면, 발열에 의해 1차 코일 패턴(11) 및 2차 코일 패턴(12) 각각의 전기 저항이 높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종래라면, 코일부(10)를 냉각시키기 위해 바람을 보내기 위한 방열 장치가 설치되어 있었던 것을 생각하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그와 같은 방열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방열 장치를 설치한 종래의 태양에 비해,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부동액을 저류한 냉각 저류부를 설치한 경우에는, 부동액에 의해, 코일부(10) 및 코어를 냉각할 수 있으므로, 발열에 의해, 1차 코일 패턴(11) 및 2차 코일 패턴(12) 각각의 전기 저항이 높아지는 것을 더욱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각 실시예의 기재 및 도면의 개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에 지나지 않고, 전술한 실시예의 기재 또는 도면의 개시에 의해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10: 코일부
11: 1차 코일 패턴
11a: 1차 면 형상부
12: 2차 코일 패턴
12a: 2차 면 형상부
30: 절연층
31: 1차 절연층
32: 2차 절연층
35: 절연성 필름
40: 방열 부재
90: 코어
92: 기둥 형상부
100: 변압기

Claims (12)

  1. 기둥 형상이 되도록 감기는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부가,
    1층의 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1차 면 형상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1차 코일 패턴,
    1층의 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2차 면 형상부를 가지는 2차 코일 패턴, 및
    상기 1차 코일 패턴과 상기 2차 코일 패턴 사이에 배치된 절연층
    을 포함하고,
    상기 1차 코일 패턴과 상기 절연층은 밀접하고,
    상기 절연층과 상기 2차 코일 패턴은 밀접하고,
    각각의 1차 면 형상부는, 상기 코일부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1개의 영역을 차지하고, 또한 상기 코일부의 감기 방향에서 상이한 영역을 차지하고,
    상기 2차 면 형상부는, 상기 코일부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1개의 영역을 차지하고,
    상기 2차 코일 패턴이 감기는 횟수는, 상기 1차 코일 패턴이 감기는 횟수보다 많고,
    각각의 1차 면 형상부의 코일부의 감기 방향을 따른 길이가 동일한 길이이고,
    상기 2차 코일 패턴이 감기는 횟수와 상기 1차 코일 패턴이 감기는 횟수의 비율이, n:1("n"는 2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1차 코일 패턴 각각은, 외부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1차 돌출부로서, 상기 1차 면 형상부로부터 상기 코일부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에서 돌출된 2개의 1차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2차 코일 패턴은, 외부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2차 돌출부로서, 상기 2차 면 형상부로부터 상기 코일부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에서 돌출된 2개의 2차 돌출부를 포함하는, 변압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코일 패턴과 상기 2차 코일 패턴은, 상기 코일부의 직경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1차 코일 패턴, 상기 2차 코일 패턴의 순서 또는 상기 2차 코일 패턴, 상기 1차 코일 패턴의 순서로 배치되는, 변압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1차 코일 패턴과 상기 2차 코일 패턴 사이에 배치된 절연성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1차 코일 패턴은 상기 절연성 필름의 한쪽 면에 설치되고,
    상기 2차 코일 패턴은 상기 절연성 필름의 다른 쪽 면에 설치되어 있는, 변압기.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1차 코일 패턴을 덮도록 하여 형성된 1차 절연층 또는 상기 2차 코일 패턴을 덮도록 하여 형성된 2차 절연층을 포함하는, 변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1차 코일 패턴을 덮도록 하여 형성된 1차 절연층 및 상기 2차 코일 패턴을 덮도록 하여 형성된 2차 절연층을 포함하는, 변압기.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돌출부가 상기 1차 면 형상부로부터 돌출되는 방향과, 상기 2차 돌출부가 상기 2차 면 형상부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은, 서로 역방향의 성분을 가지는, 변압기.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면 형상부에 대해 상기 코일부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측의 위치로서 상기 1차 면 형상부에 인접하는 위치에,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방열 부재가 설치되는, 변압기.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면 형상부에 대해 상기 코일부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측의 위치로서 상기 2차 면 형상부에 인접하는 위치에,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방열 부재가 설치되는, 변압기.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1층의 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3차 면 형상부를 포함하는 3차 코일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3차 면 형상부는, 상기 코일부의 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1개의 영역을 차지하고,
    상기 3차 코일 패턴이 감기는 횟수는, 상기 2차 코일 패턴이 감기는 횟수보다 많고,
    상기 1차 코일 패턴, 상기 2차 코일 패턴 및 상기 3차 코일 패턴은, 상기 코일부의 직경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1차 코일 패턴, 상기 2차 코일 패턴, 상기 3차 코일 패턴의 순서 또는 상기 3차 코일 패턴, 상기 2차 코일 패턴, 상기 1차 코일 패턴의 순서로 배치되는, 변압기.
  11.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기둥 형상부를 가지는 코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일부는 상기 기둥 형상부에 권취되는, 변압기.
  12.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가 침지되는 부동액을 저류한 냉각 저류부를 더 포함하는 변압기.
KR1020157014110A 2012-12-20 2013-07-31 변압기 KR101638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83123 WO2014097455A1 (ja) 2012-12-20 2012-12-20 トランス
JPPCT/JP2012/083123 2012-12-20
PCT/JP2013/070730 WO2014097673A1 (ja) 2012-12-20 2013-07-31 トラン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894A KR20150079894A (ko) 2015-07-08
KR101638948B1 true KR101638948B1 (ko) 2016-07-12

Family

ID=50977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4110A KR101638948B1 (ko) 2012-12-20 2013-07-31 변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54422B2 (ko)
KR (1) KR101638948B1 (ko)
CN (1) CN105122396B (ko)
WO (2) WO20140974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694Y1 (ko) * 2018-07-17 2021-12-01 최융 진공관 엠프의 출력트랜스포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0030A (ja) 2005-06-02 2006-12-14 Hioki Ee Corp フィルタ素子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9516U (ko) * 1981-01-19 1982-07-24
JPS5877210A (ja) * 1981-10-31 1983-05-10 Toshiba Corp 変圧器
JP3034985B2 (ja) * 1991-04-26 2000-04-17 亮拿 佐藤 トランス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抵抗溶接装置
JPH05299266A (ja) * 1992-04-16 1993-11-12 Sony Corp 銅箔巻トランスの巻線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72224U (ja) * 1993-03-26 1994-10-0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トランス
JPH07130549A (ja) * 1993-11-05 1995-05-19 Hitachi Ltd 電気機器
JPH07211549A (ja) * 1994-01-25 1995-08-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磁装置
JP2000260634A (ja) * 1999-03-11 2000-09-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磁コイルおよび乾式静止誘導器
JP2008004774A (ja) * 2006-06-22 2008-01-10 Sekisui Chem Co Ltd トランス及び高周波誘導加熱装置
JP5307105B2 (ja) * 2010-01-06 2013-10-0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複合型巻線素子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変圧器、変圧システムおよびノイズカットフィルタ用複合型巻線素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0030A (ja) 2005-06-02 2006-12-14 Hioki Ee Corp フィルタ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22396B (zh) 2017-04-05
JP6054422B2 (ja) 2016-12-27
KR20150079894A (ko) 2015-07-08
CN105122396A (zh) 2015-12-02
WO2014097455A1 (ja) 2014-06-26
WO2014097673A1 (ja) 2014-06-26
JPWO2014097673A1 (ja)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2615B2 (ja) Lc複合部品
US10937589B2 (en) Coi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978647B2 (ja) コイル部品、トランス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1983192B1 (ko) 코일 전자부품
CN109935447B (zh) 电抗器单元
CN109243786A (zh) 线圈装置
JP6672724B2 (ja) 電源装置
CN106488651B (zh) 印刷电路板、其制造方法及包括其的半导体封装件
KR101638948B1 (ko) 변압기
CN103247415A (zh) 多功能电感器及其制造
JP6651999B2 (ja) 複合デバイス
JP7180582B2 (ja) インダクタ部品
JP7468252B2 (ja) コイル部品
JP4802616B2 (ja) Lc複合部品
US9570227B1 (en) Magnetic excitation coil structure
CN112562993B (zh) 一种带散热型绕组的电力电子磁性元件
JP6439289B6 (ja) 巻線部品及び電源装置
WO2021100420A1 (ja) リアクトル
JP7149330B2 (ja) 電子装置
JP7143647B2 (ja) 回路モジュール及び回路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6961971B2 (ja) コイル装置
JP6805478B2 (ja) 電源装置
JP4166097B2 (ja) 混成集積回路装置
JP2024042403A (ja) アンテナ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icカード
JP5547779B2 (ja) 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