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781B1 -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781B1
KR101638781B1 KR1020150141271A KR20150141271A KR101638781B1 KR 101638781 B1 KR101638781 B1 KR 101638781B1 KR 1020150141271 A KR1020150141271 A KR 1020150141271A KR 20150141271 A KR20150141271 A KR 20150141271A KR 101638781 B1 KR101638781 B1 KR 101638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skewer
drum
cooker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버그린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버그린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버그린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141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7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781B1/ko
Priority to CN201680058834.5A priority patent/CN108135384A/zh
Priority to PCT/KR2016/008624 priority patent/WO201706168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3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꼬치 조리물들을 서로 밀착되지 않게 하면서 조리를 할 수 있게 하고, 꼬치 조리체를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장착하여 보다 간편하게 꼬치 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방이 개방되어 있고, 경사지게 눕혀지거나 수직으로 세워짐이 가능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전방이 개방되며. 후판의 중앙에는 모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다각형 회전축이 전방으로 돌출되고, 내주연의 전방 둘레에는 다수의 조리통 회전롤러가 구비되는 원통형의 내통과; 상기 내통의 내주연의 하부에 설치되는 전기 히터부와; 상기 내통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조리통 회전롤러들을 통해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전방이 개방되며, 후판의 중앙에는 상기 다각형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되는 조리통과; 상기 조리통의 전방에 개폐가 가능하게 구비되는 뚜껑과; 상기 모터 구동수단을 구성하는 모터와 상기 전기 히터부와 연결되는 조작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통의 후판의 내부 중앙에는 내부에 전방이 개방되는 원형홈이 형성되는 돌출 고정관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돌출 고정관에는 다수의 매쉬판으로 구획된 꼬치 조리체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Skewered food cooking devices of drum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꼬치 조리물들을 서로 밀착되지 않게 하면서 조리를 할 수 있게 하고, 꼬치 조리체를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장착하여 보다 간편하게 꼬치 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식 조리기는 고기, 생선, 채소, 견고과류 등의 조리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조리물을 굽거나 조리물을 찌는데 주로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드럼식 조리기를 통해 조리를 할 경우에는 조리통를 경사지게 배치한 다음, 조리통의 내부에 조리물을 투입한 상태에서 조리통을 가열하면서 회전시키는 과정을 통해 조리물을 조리하는 것이다.
이에, 종래의 드럼식 조리기의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331289호의 "드럼식 조리기"(이하, "종래의 드럼식 조리기"라 한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드럼식 조리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팬 바닥 중앙에는 돌출섬(10)을, 조리팬 내벽과 돌출섬(10) 상면 및 측면 사이에는 조리공간(31)을 이루고, 돌출섬(10) 내에는 동력전달수단(20)을 가지는 조리팬(30); 모터(41)로부터의 회전력을 상기 동력전달수단(20)에 전달하는 회전축(43)과, 조리팬(30) 외측벽에 열을 가하도록 내측벽(40-1)에 설치한 히터(42)와, 상기 조리팬(30)을 수용하는 내측벽(40-1)이 조리팬수용홈(44)을 이룬 상면 개방형 하우징(40); 상기 하우징(40) 외측벽(40-3)에 조리기가 경사지게 놓이도록 하고 회전축이 경사지게 유지되도록 하우징의 경사를 유지하며 자전하는 조리팬(30)의 측벽 외측 에 히터(42)가 오도록 맞추어 경사를 제공하는 경사유지구(50); 조리팬(30)의 상단 테두리 양단에 부가하여 결합하고, 조리팬(30)의 상단부를 여닫는 조리팬뚜껑(70)과의 로킹구(85)를 가지는 조리팬 손잡이(80); 및 로킹구(85)의 로킹 결합시 조리팬(30)과 같이 회전하는 조리팬뚜껑(70)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20)은 돌출섬(10)의 상면 중앙공(11)을 관통하여 돌출섬(10) 저면공간(12)에 노출되며 하부 중앙에 회전축(43)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각형홈(21)을 가지는 볼트관(23); 볼트관(23)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돌출섬(10)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받침부(24); 및 상기 볼트관(23)과 나사 결합하여 볼트관(23)을 돌출섬(10)에 고정하는 너트(28)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드럼식 조리기는 고기, 생선, 채소, 견고과류 등의 조리물을 굽거나 찜으로 조리하는 데는 용이하나, 꼬치어묵이나 꼬치튀김 등의 꼬치를 조리할 경우에는 꼬치들이 서로 밀착됨으로써 꼬치의 조리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331289호의 "드럼식 조리기"(2013.11.13.)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꼬치어묵이나 꼬치튀김 등의 꼬치 조리물을 물이나 기름으로 가열하여 조리할 경우에 꼬치 조리물을 서로 밀착되지 않게 함으로써 꼬치의 조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리통의 후판의 전방에 꼬치 조리체를 삽입 장착하는 돌출 고정관을 구비하여 꼬치 조리체를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꼬치 조리체를 방사형의 전후 방향으로 고정되어 각각의 사이 공간으로 꼬치 조리물이 투입되는 다수의 매쉬판으로 구성함으로써, 매쉬판 들의 사이로 국물이 이동되게 하면서 꼬치 조리물을 골고루 익힐 수 있도록 하는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꼬치 조리체가 삽입 장착되는 돌출 고정관을 리벳 고정수단을 통해 좀 더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돌출 고정관의 둘레 후방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후방 플랜지의 후면과 조리통 후판의 전면 사이에 방수 밀착면을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방수패킹의 사용을 필요없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통의 하부 중앙에 구비되는 동력전달수단을 연결 고정부로 고정되는 하나의 고정관으로 구성함으로써 동력전달수단의 제조단가를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통의 후판의 중앙에 벤딩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더 형성함으로써, 동력전달수단을 구성하는 고정관의 후방 돌출 길이를 최소로 줄이거나, 또는 고정관을 조리통의 후방에서 돌출되지 않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꼬치 조리체를 구성하는 매쉬판들의 후방이 조리통의 후판의 전면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꼬치 조리중 각각의 꼬치봉에서 이탈되는 조리물이 매쉬판들의 사이를 통과하여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꼬치 조리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매쉬판들의 전방 내측이 보강링에 의해 더 연결됨으로써, 다수의 매쉬판들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는 전방이 개방되어 있고, 경사지게 눕혀지거나 수직으로 세워짐이 가능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전방이 개방되며. 후판의 중앙에는 모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다각형 회전축이 전방으로 돌출되고, 내주연의 전방 둘레에는 다수의 조리통 회전롤러가 구비되는 원통형의 내통과; 상기 내통의 내주연의 하부에 설치되는 전기 히터부와; 상기 내통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조리통 회전롤러들을 통해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전방이 개방되며, 후판의 중앙에는 상기 다각형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되는 조리통과; 상기 조리통의 전방에 개폐가 가능하게 구비되는 뚜껑과; 상기 모터 구동수단을 구성하는 모터와 상기 전기 히터부와 연결되는 조작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통의 후판의 내부 중앙에는 내부에 전방이 개방되는 원형홈이 형성되는 돌출 고정관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돌출 고정관에는 다수의 매쉬판으로 구획된 꼬치 조리체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의 상기 꼬치 조리체는, 후방의 중앙에 전후 방향으로 위치되어 상기 돌출 고정관의 원형홈에 삽입되는 후방 삽입축과, 상기 후방 삽입축의 둘레에 후방 삽입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의 전후 방향으로 고정되어 각각의 사이 공간으로 꼬치 조리물이 투입되는 다수의 매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의 상기 돌출 고정관은 조리통의 후판에 리벳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고, 상기 리벳 고정수단은, 상기 돌출 고정관의 둘레 후방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다수의 조립홀이 형성되는 후방 플랜지와, 상기 조리통의 후판의 중앙의 둘레에 상기 조립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리벳 고정홀과, 각각 한 쌍씩 이루는 조립홀과 리벳 고정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리벳,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의 상기 후방 플랜지의 후면과 후방 플랜지의 후면이 밀착되는 조리통의 후판의 전면 사이에는 리벳팅을 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방수 밀착면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의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조리통의 후판의 후면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다각형 회전축이 분리 가능하게 내부의 후방에 삽입되는 고정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의 상기 고정관은 상기 리벳 고정수단의 리벳들로 연결되는 연결 고정부을 통해 조리통의 후판 중앙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고정되며, 상기 연결 고정부는, 상기 고정관의 둘레 후방에 상기 후방 플랜지와 후판을 사이에 두고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전방 플랜지와, 상기 전방 플랜지의 둘레에 상기 리벳 고정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리벳 고정수단을 구성하는 리벳들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조립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의 상기 조리통의 후판의 중앙에는 벤딩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의 상기 매쉬판의 후방은 조리통의 후판의 전면에 밀착되게 형성되고, 상기 매쉬판들의 내측 후방에는 상기 돌출 고정관의 외측 둘레에 삽입되는 합몰 삽입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의 상기 다수의 매쉬판들의 전방 내측은 보강링에 의해 더 연결되어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꼬치어묵이나 꼬치튀김 등의 꼬치 조리물을 물이나 기름으로 가열하여 조리할 경우에 꼬치 조리물이 서로 밀착되지 않게 함으로써 꼬치 조리물의 조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조리통의 후판의 전방에 꼬치 조리체를 삽입 장착하는 돌출 고정관을 구비하여 꼬치 조리체를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꼬치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준비 시간을 단축하여 보다 신속하게 꼬치 조리물의 조리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꼬치 조리체를 방사형의 전후 방향으로 고정되어 각각의 사이 공간으로 꼬치 조리물이 투입되는 다수의 매쉬판으로 구성함으로써, 매쉬판 들의 사이로 국물이 이동되게 하면서 꼬치 조리물을 골고루 익힐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꼬치 조리체가 삽입 장착되는 돌출 고정관을 리벳 고정수단을 통해 좀 더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돌출 고정관의 둘레 후방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후방 플랜지의 후면과 조리통 후판의 전면 사이에 방수 밀착면을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방수패킹의 사용을 필요없게 하여 조리통의 제조단가를 좀 더 낮출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통의 하부 중앙에 구비되는 동력전달수단을 연결 고정부로 고정되는 하나의 고정관으로 구성함에 따라, 동력전달수단의 제조단가를 최소로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통의 후판의 중앙에 벤딩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더 형성함에 따라, 동력전달수단을 구성하는 고정관의 후방 돌출 길이를 최소로 줄이는 효과도 있고, 또는 고정관을 조리통의 후방에서 돌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조리통을 바닥에 수직으로 세울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꼬지 조리체를 구성하는 매쉬판들의 후방이 조리통의 후판의 전면에 밀착되게 함에 따라, 꼬치 조리중 각각의 꼬치봉에서 이탈되는 조리물이 매쉬판들의 사이를 통과하여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꼬치 조리물을 균일하게 익힐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꼬지 조리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매쉬판들의 전방 내측은 보강링에 의해 더 연결됨에 따라, 다수의 매쉬판들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켜 꼬치 조리체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뚜껑이 닫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c는 우측면도이고,
도 1d는 평면도이며,
도 1e는 배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 내부를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도 1d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B부 확대도이며,
도 2c는 돌출 고정관 및 동력 전달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d는 꼬치조리체를 삽입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조리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꼬치 조리체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정면도이며,
도 4c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뚜껑을 도시한 것으로,
도 5a는 뚜껑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2a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5c는 도 4b의 D부 확대도이고,
도 5d는 뚜껑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e는 도 4c의 E부 확대도이다.
도 6은 종래의 드럼식 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뚜껑이 닫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c는 우측면도이고, 도 1d는 평면도이며, 도 1e는 배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 내부를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도 1d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B부 확대도이며, 도 2c는 돌출 고정관 및 동력 전달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d는 꼬치조리체를 삽입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아울러,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조리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꼬치 조리체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정면도이며, 도 4c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뚜껑을 도시한 것으로, 도 5a는 뚜껑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2a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5c는 도 4b의 D부 확대도이고, 도 5d는 뚜껑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e는 도 4c의 E부 확대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는 꼬치어묵이나 꼬치튀김 등의 꼬치 조리물을 물이나 기름으로 가열하여 조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는 경사지게 눕혀지거나 수직으로 세워짐이 가능한 본체(1)와, 본체(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후판의 중앙에는 모터 구동수단(23)에 의해 회전되는 다각형 회전축(22)이 구비되는 내통(2)과, 내통(2)의 내주연의 하부에 설치되는 전기 히터부(3)와, 내통(2)에 상기 내통(2)에 이탈이 가능하게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되고 후판의 중앙에는 상기 다각형 회전축(22)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수단(41)이 구비되는 조리통(4)과, 조리통(4)의 전방에 개폐수단(51)을 통해 개폐가 가능하게 구비되는 뚜껑(5)과, 장치를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6)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는 상기 조리통(4)의 후판의 내부 중앙에 내부에 전방이 개방되는 원형홈(442)이 형성되는 돌출 고정관(44)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돌출 고정관(44)에는 다수의 매쉬판(72)으로 구획된 꼬치 조리체(7)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1)는 내부가 비어있고 전방이 개방되게 직육면체의 박스형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의 둘레에는 내부에서 발생된 열기를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열기 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본체(1)의 후방의 둘레에는 본체(1)를 수직으로 세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후방 돌출다리(18)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수단(11)은 본체(1)를 눕혀 사용함에 있어, 본체(1)를 전방이 높고 후방이 낮게 눕히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받침수단(11)은 본체(1)의 하부 후방의 양측에 구비되는 고정다리(12)와, 상기 본체(1)의 하부 전방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높이 조정식 다리부(13)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내통(2)은 전방이 개방되고 후방은 후판으로 막혀 있게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후판의 중앙에는 상기 모터 구동수단(23)을 의해 회전되는 다각형 회전축(22)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통(2)의 내주연의 전방 둘레에는 조리통(4)을 회전되게 지지하는 다수의 조리통 회전롤러(21)가 구비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모터 구동수단(23)은 여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모터(M)와 모터(M)의 회전축과 상기 다각형 회전축(22)을 연결하는 다수의 기어(G)로 구성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전기 히터부(3)는 내통(2)의 내주연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기의 공급을 통해 열을 발산하는 것인데, 이러한 전기 히터부(3)는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조리통(4)은 상기 내통(2)의 내부에 삽입되어 다수의 조리통 회전롤러(21)를 통해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전방이 개방되고 후방은 후판으로 막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후판의 중앙에는 상기 다각형 회전축(22)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수단(41)이 구비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조리통(4)에 채워지는 기름이나 물을 좀 더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리통(4)의 둘레의 후방에는 마개(161)를 통해 개폐되는 배출공(16)이 더 형성되며, 상기 본체(1) 내부의 하부 후방에는 후방으로 열리는 서랍식 배출통(17)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리통(4)의 내주연에는 회전되는 조리물이 자동으로 뒤집어져 골고루 익혀질 수 있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길이 방향의 조리물 뒤집음부재(15)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 제어부(6)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 구동수단(23)을 구성하는 모터(M)와 전기 히터부(3)와 연결되어 외부의 조작을 통해 상기 모터(M)와 전기 히터부(3)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의 상부에는 본체(1)를 운반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상부로 돌출되는 본체 손잡이(14)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조작 제어부(6)는 외부의 조작을 통해 상기 모터(M)와 전기 히터부(3)의 작동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손잡이(14)의 후방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원통관(61)과, 상기 원통관(61)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어부(62)와, 상기 원통관(61)의 상부에 제어부(62)와 연결되게 구비되고 상부에는 온오프 스위치와 다수의 시간설정 스위치가 구비되는 조작반(63)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돌출 고정관(4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통(4)의 후판에 리벳 고정수단(441)을 통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꼬치 조리체(7)를 분리가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돌출 고정관(44)은 조리통(4)의 후판의 중앙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조리통(4)의 후판에 리벳 고정수단(441)을 통해 조리통(4)의 후판 중앙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 고정관(44)의 내부에는 꼬치 조리체(7)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전방이 개방되는 원형홈(442)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리벳 고정수단(441)은 돌출 고정관(44)을 좀 더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 고정관(44)의 둘레 후방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다수의 조립홀(441b)이 형성되는 후방 플랜지(441a)와, 상기 조리통(4)의 후판의 중앙의 둘레에 상기 조립홀(441b)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리벳 고정홀(441c)과, 각각 한 쌍씩 이루는 조립홀(441b)과 리벳 고정홀(441c)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리벳(441d)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후방 플랜지(441a)의 후면과 후방 플랜지(441a)의 후면이 밀착되는 조리통(4)의 후판의 전면 사이에는 리벳팅을 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방수 밀착면(442)이 더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방수패킹의 사용을 필요없게 함에 따라 조리통(4)의 제조단가를 좀 더 낮출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동력전달수단(4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수단(41)의 구성을 단순히 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리통(4)의 후판의 후면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다각형 회전축(22)이 분리 가능하게 내부의 후방에 삽입되는 고정관(42)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관(42)은 상기 리벳 고정수단(441)의 리벳(441d)들로 연결되는 연결 고정부(422)을 통해 조리통(4)의 후판 중앙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관(42)은 전방이 상기 리벳팅 고정부(422)를 통해 조리통(4)의 후판에 고정되고 후방으로 돌출되는 관부(421)와, 상기 관부(421)의 내부에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다각형 회전축(22)의 다각면이 밀착되게 삽입되는 다각형 홈(42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고정부(422)는 조리중에 고정관(42)이 조리통(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관(42)의 둘레 후방에 상기 후방 플랜지(441a)와 후판을 사이에 두고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전방 플랜지(422a)와, 상기 전방 플랜지(422a)의 둘레에 상기 리벳 고정홀(441c)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리벳 고정수단(441)를 구성하는 리벳(441d)들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조립홀(422b)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리통(4)의 하부 중앙에 구비되는 동력전달수단(41)을 연결 고정부(422)로 고정되는 하나의 고정관(42)으로 구성함으로써 동력전달수단의 제조단가를 최소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관(42)을 리벳(441d)으로 고정함에 따라, 조리중 고정관(42)이 조리통(4)에서 이탈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꼬치 조리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국물이나 기름이 동력전달수단(41)을 통과하여 하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도 있고, 조리기를 장기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고정관(42)이 조리통(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조리기의 수명을 최대로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리통(4)의 후판의 중앙에는 상기 고정관(42)의 후방의 돌출 길이를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벤딩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3)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꼬치 조립체(7)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꼬치 조리물들이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후방의 중앙에 전후 방향으로 위치되어 상기 돌출 고정관(44)의 원형홈(442)에 삽입되는 후방 삽입축(71)과, 상기 후방 삽입축(71)의 둘레에 후방 삽입축(71)을 중심으로 방사형의 전후 방향으로 고정되어 각각의 사이 공간으로 꼬치 조리물이 투입되는 다수의 매쉬판(7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꼬치 조리체(7)를 다수의 매쉬판(72)으로 구성함으로써 매쉬판(72)들의 사이로 국물이 이동되게 하면서 꼬치 조리물을 골고루 익힐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매쉬판(72)의 후방은 꼬치 조리중 각각의 꼬치봉에서 이탈되는 조리물이 매쉬판(72)들의 사이를 통과하여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리통(4)의 후판의 전면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매쉬판(72)들의 내측 후방에는 상기 돌출 고정관(44)의 외측 둘레에 삽입되는 합몰 삽입홈(721)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매쉬판(72)들의 전방 내측에는 매쉬판(72)들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보강링(73)이 더 연결되어 보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뚜껑(5)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리통(4)의 전방에 개폐수단(51)을 통해 개폐가 가능하게 구비되어 조리통(4)의 전방을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51)은 뚜껑(5)을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리통(4)의 전방 둘레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고 내측에는 내측이 개방된 록킹홈(511a)이 형성되는 통 손잡이(511)와, 상기 뚜껑(5)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고 수동 조작을 통해 록킹홈(511a)에 록킹되는 록킹수단(512)과, 양측의 록킹수단(512)을 상호 연결하는 뚜껑 손잡이(517)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록킹수단(512)은 뚜껑(5)을 좀 더 견고하게 닫을 수 있도록, 두껑의 측부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내부에는 전방의 일부와 외측이 개방된 록킹부재 삽입공간부(513a)가 형성되는 고정브래킷(513)과, 상기 록킹부재 삽입공간부(513a)에 구비되고, 전방에는 외부로 노출된 돌출노브(514a)가 형성되며, 외부 조작을 통해 외,내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록킹홈(511a)에 삽탈되는 록킹부재(514)와, 상기 록킹부재 삽입공간부(513a)의 후방에 스프링(515a)의 탄성에 의해 항상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록킹볼(515)과, 상기 록킹부재(514)의 후방의 내,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록킹볼(515)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두 개의 단속홈(516)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뚜껑(5)을 덮은 상태에서 록킹부재(514)를 외측으로 전진 이동시키는 과정을 통해, 록킹부재(514)를 상기 통 손잡이(511)의 록킹홈(511a)에 삽입시킴으로써 뚜껑(5)을 견고하게 닫을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뚜껑(5)을 개방시킬 경우에는 상기 록킹부재(514)를 내측으로 후퇴 이동시키는 과정을 록킹부재(514)를 상기 통 손잡이(511)의 록킹홈(511a)에서 이탈시킴으로써 뚜껑(5)을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뚜껑(5)을 록킹수단(512)을 통해 좀 더 견고하게 닫을 수 있게 함으로써, 조리중 뚜껑(5)이 개방되는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선된 본 발명에 따른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를 사용하여 꼬치어묵이나 꼬치튀김 등의 꼬치 조리물을 조리할 경우에는, 먼저, 본체(1)를 수직으로 세운 후, 본체(1)의 내부로 조리통(4)을 삽입한다.
다음 상기 조리통(4)의 내부에 꼬치 조립체(7)를 수직으로 삽입하면서, 꼬치 조립체(7)를 구성하는 후방 삽입축(71)을 조리통(4)의 후면에 구비된 돌출 고정관(44)에 삽입함으로써 꼬치 조립체(7)의 장착을 완료한다.
다음 상기 조리통(4)의 내부에 물이나 기름을 채운 다음, 상기 꼬치 조립체(7)를 구성하는 메쉬판(72)들의 사이 공간으로 꼬치봉에 끼워진 꼬지 조리물(미되시됨)을 삽입한다.
다음 상기 뚜껑(5)을 조리통(4)의 상부에 덮거나, 또는 뚜껑(5)을 덮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 제어부(6)의 조작을 통해 상기 전기 히터부(3)를 가동시킴에 따라, 조리통(4)의 둘레를 가열시킴으로써, 꼬치 조리물을 가열하여 꼬치 조리물을 익히거나 튀기는 조리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꼬치 조리물을 익히는 과정에서는 조작 제어부(6)를 구성하는 조작반(63)의 조작을 통해 조리 가열시간을 원하는 시간으로 세팅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꼬치어묵이나 꼬치튀김 등의 꼬치 조리물을 물이나 기름으로 가열하여 조리할 경우에 꼬치 조리물이 서로 밀착되지 않게 함으로써 꼬치 조리물의 조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통(4)의 후판의 전방에 꼬치 조리체(7)를 삽입 장착하는 돌출 고정관(42)을 구비하여 꼬치 조리체를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꼬치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준비 시간을 단축하여 보다 신속하게 꼬치 조리물의 조리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본체
11 : 받침수단
12 : 고정다리
13 : 높이 조정식 다리
14 : 본체 손잡이
15 : 조리물 뒤집음부재
16 : 배출공
161 : 마개
17 : 서랍식 배출통
18 : 후방 돌출다리
2 : 내통
21 : 조리통 회전롤러
22 : 다각형 회전축
23 : 모터 구동수단
M : 모터, G : 기어
3 : 전기 히터부
4 : 조리통
41 : 동력전달수단
42 : 고정관
421 : 관부, 422 : 연결 고정부, 422a : 전방 플랜지,
422b : 조립홀, 424 : 다각형 홈
43 : 돌출부
44 : 돌출 고정관
441 : 리벳 고정수단, 441a : 후방 플랜지, 441b : 조립홀,
441c : 리벳 고정홀, 441d : 리벳, 442 : 방수 밀착면,
443 : 원형홈
5 : 뚜껑
51 : 개폐수단
6 : 조작 제어부
61 : 원통관
62 : 제어부
63 : 조작반
7 : 꼬치 조리체
71 : 후방 삽입축
72 : 매쉬판
721 : 함몰 삽입홈
73 : 보강링

Claims (9)

  1. 전방이 개방되어 있고, 경사지게 눕혀지거나 수직으로 세워짐이 가능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전방이 개방되며. 후판의 중앙에는 모터 구동수단(23)에 의해 회전되는 다각형 회전축(22)이 전방으로 돌출되고, 내주연의 전방 둘레에는 다수의 조리통 회전롤러(21)가 구비되는 원통형의 내통(2)과; 상기 내통(2)의 내주연의 하부에 설치되는 전기 히터부(3)와; 상기 내통(2)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조리통 회전롤러(21)들을 통해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전방이 개방되며, 후판의 중앙에는 상기 다각형 회전축(22)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수단(41)이 구비되는 조리통(4)과; 상기 조리통(4)의 전방에 개폐가 가능하게 구비되는 뚜껑(5)과; 상기 모터 구동수단(23)을 구성하는 모터(M)와 상기 전기 히터부(3)와 연결되는 조작 제어부(6);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통(4)의 후판의 내부 중앙에는 내부에 전방이 개방되는 원형홈(442)이 형성되는 돌출 고정관(44)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돌출 고정관(44)에는 다수의 매쉬판(72)으로 구획된 꼬치 조리체(7)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며, 상기 돌출 고정관(44)은 조리통(4)의 후판에 리벳 고정수단(441)을 통해 고정되고,
    상기 리벳 고정수단(441)은, 상기 돌출 고정관(44)의 둘레 후방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다수의 조립홀(441b)이 형성되는 후방 플랜지(441a)와, 상기 조리통(4)의 후판의 중앙의 둘레에 상기 조립홀(441b)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리벳 고정홀(441c)과, 각각 한 쌍씩 이루는 조립홀(441b)과 리벳 고정홀(441c)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리벳(441d),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41)은, 상기 조리통(4)의 후판의 후면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다각형 회전축(22)이 분리 가능하게 내부의 후방에 삽입되는 고정관(42)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관(42)은 상기 리벳 고정수단(441)의 리벳(441d)들로 연결되는 연결 고정부(422)을 통해 조리통(4)의 후판 중앙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고정되며,
    상기 연결 고정부(422)는, 상기 고정관(42)의 둘레 후방에 상기 후방 플랜지(441a)와 후판을 사이에 두고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전방 플랜지(422a)와, 상기 전방 플랜지(422a)의 둘레에 상기 리벳 고정홀(441c)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리벳 고정수단(441)을 구성하는 리벳(441d)들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조립홀(422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꼬치 조리체(7)는,
    후방의 중앙에 전후 방향으로 위치되어 상기 돌출 고정관(44)의 원형홈(442)에 삽입되는 후방 삽입축(71)과,
    상기 후방 삽입축(71)의 둘레에 후방 삽입축(71)을 중심으로 방사형의 전후 방향으로 고정되어 각각의 사이 공간으로 꼬치 조리물이 투입되는 다수의 매쉬판(7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플랜지(441a)의 후면과 후방 플랜지(441a)의 후면이 밀착되는 조리통(4)의 후판의 전면 사이에는 리벳팅을 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방수 밀착면(442)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통(4)의 후판의 중앙에는 벤딩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3)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매쉬판(72)의 후방은 조리통(4)의 후판의 전면에 밀착되게 형성되고,
    상기 매쉬판(72)들의 내측 후방에는 상기 돌출 고정관(44)의 외측 둘레에 삽입되는 합몰 삽입홈(721)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매쉬판(72)들의 전방 내측은 보강링(73)에 의해 더 연결되어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0141271A 2015-10-08 2015-10-08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 KR101638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271A KR101638781B1 (ko) 2015-10-08 2015-10-08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
CN201680058834.5A CN108135384A (zh) 2015-10-08 2016-08-04 滚筒式烹饪机用烤串烹饪装置
PCT/KR2016/008624 WO2017061688A1 (ko) 2015-10-08 2016-08-04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271A KR101638781B1 (ko) 2015-10-08 2015-10-08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8781B1 true KR101638781B1 (ko) 2016-07-13

Family

ID=56505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271A KR101638781B1 (ko) 2015-10-08 2015-10-08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38781B1 (ko)
CN (1) CN108135384A (ko)
WO (1) WO201706168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35926A1 (en) * 2020-02-04 2021-08-05 The Steelstone Group Llc Air fryer basket accessory for air fryer
KR102424073B1 (ko) * 2021-11-02 2022-07-25 (주)다담푸드 족발용 인덕션 조리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890Y1 (ko) * 2001-06-11 2001-10-17 우종찬 양념육류 구이기
JP2003135271A (ja) * 2001-11-01 2003-05-13 Tadayoshi Fujita 回転式調理釜及びその洗浄方法
KR100764816B1 (ko) * 2006-05-03 2007-10-11 김이슬 전기밥솥의 다용도 밥통
KR101331289B1 (ko) 2013-05-29 2013-11-20 김인호 드럼식 조리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6016U (zh) * 1992-06-19 1992-12-30 上海环球日用电器实业公司 多功能电热烧烤箱
CN2730278Y (zh) * 2004-07-15 2005-10-05 佛山市顺德区新宝电器有限公司 烤鸡炉
CN101828874A (zh) * 2010-04-03 2010-09-15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面包机的多功能支脚结构
KR200468052Y1 (ko) * 2012-04-19 2013-07-23 (주) 프렉코 밀폐형 회전식 구이기용 착탈장치
US20150327724A1 (en) * 2012-08-22 2015-11-19 Jong Yon JO Cylindrical cook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890Y1 (ko) * 2001-06-11 2001-10-17 우종찬 양념육류 구이기
JP2003135271A (ja) * 2001-11-01 2003-05-13 Tadayoshi Fujita 回転式調理釜及びその洗浄方法
KR100764816B1 (ko) * 2006-05-03 2007-10-11 김이슬 전기밥솥의 다용도 밥통
KR101331289B1 (ko) 2013-05-29 2013-11-20 김인호 드럼식 조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35926A1 (en) * 2020-02-04 2021-08-05 The Steelstone Group Llc Air fryer basket accessory for air fryer
KR102424073B1 (ko) * 2021-11-02 2022-07-25 (주)다담푸드 족발용 인덕션 조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135384A (zh) 2018-06-08
WO2017061688A1 (ko) 201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493B1 (ko) 드럼식 조리기
US20190000267A1 (en) Combination electric toaster oven and airfryer
KR101290620B1 (ko) 수평 및 수직으로 향하는 쿠킹 부재를 갖는 회전식 오븐
EP2433529B1 (en) Improved two-way heating cooker
JP2018057912A (ja) ドラム式調理器
US20100307347A1 (en) Multi-functional pot
CN106235861A (zh) 煮锅
CN102835890A (zh) 一种多用途炒菜机
KR101638781B1 (ko) 드럼식 조리기용 꼬치 조리장치
KR101645564B1 (ko) 회전 드럼식 조리기
KR101214728B1 (ko) 다기능 구이기
US9795158B2 (en) Popcorn maker
KR102231538B1 (ko) 자동조리기
JP2016168154A (ja) ドラム式調理器
US9975097B2 (en) Food preparation device with stirring system
KR101856684B1 (ko) 전기 구이기
KR101541709B1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드럼식 조리장치
KR20200127852A (ko) 회전식 오븐용 꼬치고정장치
CN105559516A (zh) 全自动电炒锅
KR101750826B1 (ko) 다용도 조리장치
CN212186209U (zh) 用于烤箱的旋转烤架机构及应用有该旋转烤架机构的烤箱
TWM565537U (zh) 烤箱裝置及烤盤組合
CN214128217U (zh) 一种烤串烤箱
KR20080041419A (ko) 바비큐 장치
KR950028716A (ko) 구이용 조리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