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110B1 -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110B1
KR101638110B1 KR1020140111566A KR20140111566A KR101638110B1 KR 101638110 B1 KR101638110 B1 KR 101638110B1 KR 1020140111566 A KR1020140111566 A KR 1020140111566A KR 20140111566 A KR20140111566 A KR 20140111566A KR 101638110 B1 KR101638110 B1 KR 101638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lat
angle
angle adjust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4588A (ko
Inventor
이윤규
Original Assignee
썬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썬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1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110B1/ko
Publication of KR20160024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8Details of bottom or upper slats or their attac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실내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 박스부; 상기 고정 박스부에 대하여 승하강하거나 수평 방향인 가상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각도가 조절되고, 기설정된 길이 및 폭을 가지는 다수개의 슬랫; 상기 슬랫을 상기 고정 박스부에 대하여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와이어; 상기 슬랫의 회동을 위하여 상기 슬랫의 길이 방향 일단부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제1각도 조절 와이어; 상기 슬랫의 회동을 위하여 상기 슬랫의 길이 방향 타단부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제2각도 조절 와이어; 상기 슬랫의 승하강 및 각도 조절을 위하여 상기 승하강 와이어 및 각도 조절 와이어를 제어하는 제어 와이어; 및 상기 슬랫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승하강 와이어가 관통하는 제1가이드 부재;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라인드{BLIND}
본 발명은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블라인드는, 창문과 같은 개구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직사광선이나 시선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는, 서로 상하로 이격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다수개의 슬랫 및 슬랫의 상하 이동 및 각도 조절을 위한 조절 와이어를 포함한다.
블라인드에 대한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118319호에 개시된 블라인드를 들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다수개의 슬랫(4)이, 승강 와이어(2)에 의하여 승하강하고, 개폐 와이어(3)에 의하여 각도 조절된다. 승강 와이어(2)는 슬랫(4)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개폐 와이어(3)는 슬랫(4)의 일단부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승강 와이어(2)의 설치를 위하여 슬랫(2)에 홀이 형성된다. 특히, 슬랫(2)의 각도 조절시 승강 와이어(2)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홀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슬롯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슬랫(2)의 각도를 조절하여 직사광선이나 시선을 차단한 경우에도, 슬롯을 통하여 직사광선이 유입되거나 슬롯을 통하여 시선이 개방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118319호(명칭: 블라인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랫에 의한 직사광선 및 시선의 차단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실내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 박스부; 상기 고정 박스부에 대하여 승하강하거나 수평 방향인 가상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각도가 조절되고, 기설정된 길이 및 폭을 가지는 다수개의 슬랫; 상기 슬랫을 상기 고정 박스부에 대하여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와이어; 상기 슬랫의 회동을 위하여 상기 슬랫의 길이 방향 일단부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제1각도 조절 와이어; 상기 슬랫의 회동을 위하여 상기 슬랫의 길이 방향 타단부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제2각도 조절 와이어; 상기 슬랫의 승하강 및 각도 조절을 위하여 상기 승하강 와이어 및 각도 조절 와이어를 제어하는 제어 와이어; 및 상기 슬랫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승하강 와이어가 관통하는 제1가이드 부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가이드 부재는, 상기 슬랫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 상기 승하강 와이어가 관통하는 승하강용 가이드부; 및 상기 승하강용 가이드부를 상기 제1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연결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1각도 조절 와이어가 관통하는 제1각도 조절용 가이드부; 및 상기 제1각도 조절용 가이드부를 각각 상기 승하강용 가이드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연결부; 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는 동일한 가상의 직선 상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승하강용 가이드부 및 제1각도 조절용 가이드부는 상기 제1고정부에 대하여 1열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슬랫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제2각도 조절 와이어가 가 관통하는 제2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가이드 부재는, 상기 슬랫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 상기 제2각도 조절 와이어가 관통하는 제2각도 조절용 가이드부; 및 상기 제2각도 조절용 가이드부를 상기 제2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의 실시예에서는, 승하강 와이어의 설치를 위하여 별도의 슬롯이 슬랫에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슬랫이 기설정된 각도로 위치되어 개구부를 차폐한 상태에서, 직사광선 및 시선이 보다 정확하게 차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가이드 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가이드 부재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가이드 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가이드 부재를 보인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랫을 보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슬랫이 개구부를 차폐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블라인드(1)는, 고정 박스부(100), 다수개의 슬랫(200), 승하강 와이어(300), 각도 조절 와이어(400), 및 제어 와이어(5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 박스부(100)는, 예를 들면,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박스부(100)는, 창문 등에 인접하는 천장면 등과 같은 실내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박스부(100)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 와이어(500)를 통하여 상기 승하강 와이어(300) 및 각도 조절 와이어(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부품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 박스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은 이미 주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슬랫(200)은, 상기 고정 박스부(100)에 대하여 상하로 승하강용 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슬랫(200)은, 수평 방향의 가상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창문 등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상기 슬랫(200)은, 기설정된 길이와 폭을 가지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랫(200)은, 승하강 정도 및 각도에 따라서 창문 등을 완전하게 개방 또는 차폐하거나 일부를 개방 및 차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하강 와이어(300) 및 각도 조절 와이어(400)는, 각각 상기 슬랫(200)를 승하강시키거나 상기 슬랫(200)의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승하강 와이어(300) 및 각도 조절 와이어(400)의 기능은 주지의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에에서는, 상기 승하강 와이어(300)가 상기 안착홈(210) 상에 각각 위치되는 한쌍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하강 와이어(300)에 의하여 상기 슬랫(200)이 승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슬랫(200)이 좌우로 유동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도 조절 와이어(400)는, 상기 안착홈(210)이 형성되는 상기 슬랫(200)의 길이 방향 일단부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제1각도 조절 와이어(410), 및 상기 슬랫(200)의 길이 방향 타단부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제2각도 조절 와이어(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각도 조절 와이어(410)(420)도 각각 한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각도 조절 와이어(410)는, 상기 승하강 와이어(300), 즉 상기 안착홈(210)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물론, 상기 제1각도 조절 와이어(410)가 상기 안착홈(210) 상에 위치되거나, 상기 슬랫(200)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별개로 형성되는 안착홈(미도시) 상에 위치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 와이어(500)는, 상기 승하강 와이어(300) 및 각도 조절 와이어(400)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 와이어(500)에 의하여 상기 승하강 와이어(300) 및 각도 조절 와이어(400)를 제어하는 기술은 주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도 생략한다.
상기 제1가이드 부재(600)는 상기 슬랫(200)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한쌍이 고정되고, 상기 제2가이드 부재(700)는 상기 슬랫(200)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 한쌍이 고정된다. 이때 한쌍의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부재(600)(700)는, 상기 슬랫(20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각각 위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가이드 부재(600)는, 제1고정부(610), 승하강용 가이드부(620) 및 제1각도 조절용 가이드부(630), 및 제1 및 제2연결부(641)(6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부(610)는, 상기 슬랫(200)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고정되는 곳이고, 상기 승하강용 가이드부(620) 및 제1각도 조절용 가이드부(630)는 상기 승하강 와이어(300) 및 제1각도 조절 와이어(410)가 관통되는 곳이다.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641)(642)는, 상기 승하강용 가이드부(620) 및 제1각도 조절용 가이드부(630)를 각각 상기 제1고정부(610) 및 승하강용 가이드부(62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한다.
상기 제1고정부(610)는, 예를 들면, 대략 ㄷ자 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610)의 내부에는 제1고정홈(611)이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고정홈(611)에는, 상기 슬랫(200)의 길이 방향 일단부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용 가이드부(620) 및 제1각도 조절용 가이드부(630)는 각각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승하강용 가이드부(620) 및 제1각도 조절용 가이드부(630)의 길이는 상기 제1고정부(610)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하강용 가이드부(620) 및 제1각도 조절용 가이드부(630)의 내부에는, 각각 승하강용 관통홀(621) 및 제1각도 조절용 관통홀(631)이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승하강용 관통홀(621) 및 제1각도 조절용 관통홀(631)은, 상기 승하강 와이어(300) 및 제1각도 조절 와이어(410)가 각각 관통하는 곳이다.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641)(642)는 각각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641)의 양단은 상기 제1고정부(610)와 승하강용 가이드부(62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연결부(642)의 양단은 상기 승하강용 가이드부(620) 및 제1각도 조절용 가이드부(63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641)(642)가 동일한 가상의 축 상에 위치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승하강용 가이드부(620) 및 제1각도 조절용 가이드부(630)가 상기 제1고정부(610)에 대하여 1열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가이드 부재(700)는 제2고정부(710), 제2승하강용 가이드부(720) 및 연결부(731)를 포함한다. 상기 제2고정부(710)는 상기 슬랫(200)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 고정되는 곳이고, 상기 제2각도 조절용 가이드부(720)는 상기 제2각도 조절 와이어(420)가 관통되는 곳이다. 상기 연결부(731)는, 상기 제2각도 조절용 가이드부(720)를 각각 상기 제2고정부(7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한다.
상기 제2고정부(710)는, 상기 제1고정부(610)와 동일하게, 대략 ㄷ자 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부(710)의 내부에는 상기 슬랫(200)의 길이 방향 타단부가 삽입되는 제2고정홈(7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각도 조절용 가이드부(720)는, 그 내부에 제2각도 조절용 관통홀(721)이 형성되도록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각도 조절용 관통홀(721)은, 상기 제2각도 조절 와이어(420)가 각각 관통하는 곳이다. 상기 제2각도 조절용 가이드부(720)의 길이는 상기 제2고정부(710)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31)는 각각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731)의 양단은 상기 제2고정부(710)와 제2각도 조절용 가이드부(72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하강 와이어(300) 및 각도 조절 와이어(400)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부재(600)(700)에 형성되는 상기 승하강용 관통홀(621)과 제1 및 제2각도 조절용 관통홀(721)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승하강 와이어(300)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슬롯이 상기 슬랫(200)에 형성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승하강 와이어(300) 및 각도 조절 와이어(400)에 의한 상기 슬랫(200)의 승하강 및 각도 조절도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하강용 가이드부(620)와 제1 및 제2각도 조절용 가이드부(720)가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610)(710)에 대하여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슬랫(200)의 승하강이나 각도 조절시에 상기 슬랫(200) 사이의 틈새가 벌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고정 박스부 200: 슬랫
300: 승하강 와이어 400: 각도 조절 와이어
410: 제1각도 조절 와이어 420: 제2각도 조절 와이어
500: 제어 와이어 600: 제1가이드 부재
610: 제1고정부 611: 제1고정홈
620: 승하강용 가이드부 621: 승하강용 관통홀
630: 제1각도 조절용 가이드부 631: 제1각도 조절용 관통홀
641: 제1연결부 642: 제2연결부
700: 제2가이드부 710: 제2고정부
711: 제2고정홈 720: 제2각도 조절용 가이드부
721: 제2각도 조절용 관통홀 731: 연결부

Claims (7)

  1. 실내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 박스부(100);
    상기 고정 박스부(100)에 대하여 승하강하거나 수평 방향인 가상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각도가 조절되고, 기설정된 길이 및 폭을 가지는 다수개의 슬랫(200);
    상기 슬랫(200)을 상기 고정 박스부(100)에 대하여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와이어(300);
    상기 슬랫(200)의 회동을 위하여 상기 슬랫(200)의 길이 방향 일단부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제1각도 조절 와이어(410);
    상기 슬랫(200)의 회동을 위하여 상기 슬랫(200)의 길이 방향 타단부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제2각도 조절 와이어(420);
    상기 슬랫(200)의 승하강 및 각도 조절을 위하여 상기 승하강 와이어(300) 및 각도 조절 와이어(400)를 제어하는 제어 와이어(500); 및
    상기 슬랫(200)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승하강 와이어(300)가 관통하는 제1가이드 부재(60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 부재(600)는,
    상기 슬랫(200)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610);
    상기 승하강 와이어(300)가 관통하는 승하강용 가이드부(620); 및
    상기 승하강용 가이드부(620)를 상기 제1고정부(6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연결부(641); 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 부재(600)는,
    상기 제1각도 조절 와이어(410)가 관통하는 제1각도 조절용 가이드부(630); 및
    상기 제1각도 조절용 가이드부(630)를 각각 상기 승하강용 가이드부(6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연결부(642); 를 더 포함하는 블라인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641)(642)는 동일한 가상의 직선 상에 위치되는 블라인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용 가이드부(620) 및 제1각도 조절용 가이드부(630)는 상기 제1고정부(610)에 대하여 1열로 배치되는 블라인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랫(200)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제2각도 조절 와이어(420)가 가 관통하는 제2가이드 부재(700)를 더 포함하는 블라인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 부재(700)는,
    상기 슬랫(200)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710);
    상기 제2각도 조절 와이어(420)가 관통하는 제2각도 조절용 가이드부(720); 및
    상기 제2각도 조절용 가이드부(720)를 상기 제2고정부(7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731); 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KR1020140111566A 2014-08-26 2014-08-26 블라인드 KR101638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566A KR101638110B1 (ko) 2014-08-26 2014-08-26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566A KR101638110B1 (ko) 2014-08-26 2014-08-26 블라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588A KR20160024588A (ko) 2016-03-07
KR101638110B1 true KR101638110B1 (ko) 2016-07-08

Family

ID=55540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566A KR101638110B1 (ko) 2014-08-26 2014-08-26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1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0661A (ja) * 2011-11-08 2013-05-23 Nichibei Co Ltd 横型ブラインド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2951B2 (ja) * 1986-11-26 1994-12-14 ト−ソ−株式会社 ラダ−コ−ド
KR101208010B1 (ko) 2010-04-23 2012-12-04 박형서 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0661A (ja) * 2011-11-08 2013-05-23 Nichibei Co Ltd 横型ブライン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588A (ko) 201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0635B2 (en) Window covering control apparatus
MXPA01004922A (es) Persiana veneciana con inclinacion variable.
US8413706B2 (en) Window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KR101638110B1 (ko) 블라인드
US10676988B2 (en) Window covering control apparatus
TW201402931A (zh) 橫式百葉窗、橫式百葉窗的方向控制繩以及橫式百葉窗的製造方法
US20170030141A1 (en) Window Blind Clips and Method of Use
KR20140001111U (ko) 블라인드용 블라인드 날개 홀더
CN107002460A (zh) 横式百叶窗
JP6920963B2 (ja) ブラインド
EP0892144B1 (en) Window blind or shade
CN206418950U (zh) 百叶窗框架型材及其组成的百叶窗框架
KR20210025370A (ko) 블라인드 내장 이중창호
JPS642943Y2 (ko)
KR101707840B1 (ko) 차양 장치
JP6392827B2 (ja) 横型ブラインド
CN209369694U (zh) 一种卷帘门用可调导轨
US20180291677A1 (en) Cordless Window Blinds with Electromagnets to Control Raising, Lowering, and Tilt of Slats
US1846228A (en) Venetian blind
JP5329886B2 (ja) 横型ブラインド
JPS5844798Y2 (ja) ベネシヤンブラインド用ラダ−コ−ド
EP1512826B1 (en) End cap for a blind with an inclined side edge
KR20180009113A (ko) 수평블라인드용 다목적 슬래트 방향전환 및 기울기 조절장치
JP2021088861A (ja) ブラインド
JP6572147B2 (ja) 横型ブライ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