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831B1 - 러기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러기지 고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37831B1 KR101637831B1 KR1020150062483A KR20150062483A KR101637831B1 KR 101637831 B1 KR101637831 B1 KR 101637831B1 KR 1020150062483 A KR1020150062483 A KR 1020150062483A KR 20150062483 A KR20150062483 A KR 20150062483A KR 101637831 B1 KR101637831 B1 KR 1016378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riage
- frame
- guide
- rail
- horizontal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2—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separate luggage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러기지룸의 내측 양쪽에 각각 대응 설치되는 두 개의 레일프레임과; 상기 레일프레임에 내장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 작동하는 제1캐리지와; 상기 제1캐리지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러기지룸의 앞/뒤 적재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제1캐리지와 함께 전/후로 이송되는 가로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에 내장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 작동하는 제2캐리지와; 상기 제2캐리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러기지룸의 좌/우 적재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제2캐리지와 함께 좌/우로 이송되는 세로프레임을 포함하는 러기지 고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러기지룸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사용자가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함에 따라 차량 주행 시 적재물이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함과 아울러, 러기지룸의 적재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러기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사용자가 적절하고 간편하게 적재공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차량 주행 시 적재물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러기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러기지룸은 적재물을 수납 및 보관하는 장소로 차량의 후측 문을 개방하여 출입구를 통해 수납할 수 있다.
이러한, 러기지룸을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깔끔하게 정리되어 용이하게 공간을 활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보편적으로 상시 보관되는 적재물 및 일시 보관되는 적재물이 뒤죽박죽 섞여 러기지룸 내에 어지럽게 널브러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차량 주행 시 러기지룸에 보관된 적재물이 유동되어 내용물이 유실되거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종래는 기본적으로 러기지룸의 바닥에 매립되며, 상측으로 개방된 레일과, 이 레일을 따라 전/후 이송되는 캐리지의 이송 작동을 통해 적재물을 구속하는 구조이며, 단순히 상시 보관 적재물과 일시 보관 적재물의 적재 공간을 분할하는 정도일 뿐이다.
따라서, 상시 보관 적재물은 캐리지에 의해 주행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지만, 캐리지에 의해 구획된 나머지 공간에 적재되는 적재물은 여전히 주행시 유동에 따른 유실 및 파손의 우려가 높다.
또한, 러기지룸의 양측 바닥에 설치된 레일의 경우, 개방부분이 상측으로 노출되어있으므로 레일 내부에 끼는 이물질에 의해 캐리지 이송 작동에 불량이 발생하며, 원활한 작동을 위해 잦은 보수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러기지룸의 내부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레일프레임을 설치하고, 이 레일프레임을 따라 전/후 이송 작동하는 가로프레임과, 이 가로프레임을 따라 좌/우 이송 작동하는 세로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러기지룸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사용자가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함에 따라 차량 주행 시 적재물이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함과 아울러, 러기지룸의 적재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러기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러기지룸의 내측 양쪽에 각각 대응 설치되는 두 개의 레일프레임과; 상기 레일프레임에 내장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 작동하는 제1캐리지와; 상기 제1캐리지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러기지룸의 앞/뒤 적재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제1캐리지와 함께 전/후로 이송되는 가로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에 내장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 작동하는 제2캐리지와; 상기 제2캐리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러기지룸의 좌/우 적재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제2캐리지와 함께 좌/우로 이송되는 세로프레임을 포함하는 러기지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캐리지는 상기 레일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 이송 작동하는제1이송몸체와; 상기 제1이송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후 이송 작동하는 제1이송몸체를 레일프레임이 임의 위치에 고정하는 레일홀더와; 상기 제1이송몸체의 또 다른 일측에 상기 가로프레임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캐리지는 상기 가로프레임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내장되는 제2이송몸체와 상기 제2이송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이송된 임의 위치에 고정하는 가로홀더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세로프레임은 상기 가로프레임의 바깥쪽에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2캐리지에 한 몸으로 연결되어 제2캐리지와 함께 이송되는 힌지브라켓과; 상기 힌지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가로프레임에 대응하여 접이식으로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로바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러기지룸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사용자가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함에 따라 차량 주행 시 적재물이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함과 아울러, 러기지룸의 적재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고정장치의 앞쪽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고정장치에서 레일프레임의 단면구성도.
도 3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고정장치에서 제1캐리지의 설치 및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고정장치의 뒤쪽사시도.
도 5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고정장치에서 가로프레임과 연결브라켓의 설치 및 작동상태도.
도 6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고정장치에서 제2캐리지의 설치 및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고정장치에서 세로프레임의 설치상태도.
도 8의 (a), (b), (c)는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고정장치에서 세로프레임의 작동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고정장치에서 레일프레임의 단면구성도.
도 3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고정장치에서 제1캐리지의 설치 및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고정장치의 뒤쪽사시도.
도 5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고정장치에서 가로프레임과 연결브라켓의 설치 및 작동상태도.
도 6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고정장치에서 제2캐리지의 설치 및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고정장치에서 세로프레임의 설치상태도.
도 8의 (a), (b), (c)는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고정장치에서 세로프레임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러기지 고정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러기지 고정장치의 앞쪽사시도 및 도 2에 도시된 레일프레임의 단면도와 같이, 러기지룸의 내측 양쪽에 각각 대응 설치되는 두 개의 레일프레임(100)과; 상기 레일프레임(100)에 내장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 작동하는 제1캐리지(2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캐리지(200)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러기지룸의 앞/뒤 적재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제1캐리지(200)와 함께 전/후로 이송되는 가로프레임(30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로프레임(300)에 내장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 작동하는 제2캐리지(400)와; 상기 제2캐리지(400)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러기지룸의 좌/우 적재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제2캐리지(400)와 함께 좌/우로 이송되는 세로프레임(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캐리지(200)는 도 3에 도시된 제1캐리지의 설치 및 작동상태도와 같이, 상기 레일프레임(100)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전/후 이송 작동하는제1이송몸체(210)와; 상기 제1이송몸체(2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후 이송 작동하는 제1이송몸체(210)를 레일프레임(100)이 임의 위치에 고정하는 레일홀더(230)와; 상기 제1이송몸체(210)의 또 다른 일측에 상기 가로프레임(300)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2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이송몸체(210)의 상/하측에는 레일프레임(100)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0)에 접촉되어 제1이송몸체(210)가 신속하고, 정숙하게 전/후 이송되도록 구름 작용하는 이송베어링(211)이 더 형성된다.
상기 이송베어링(211)에 구비된 다수의 볼(213)이 무한괴도 방식으로 이동하면서 연속적으로 구름 접촉되어 이송 작용함에 따라 제1캐리지(200)가 부드럽고 정숙하게 이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일홀더(230)는 상기 제1이송몸체(2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레일프레임(100)의 내측에 형성된 제1가이드랙(120)에 치합되어 제1이송몸체(210)의 이송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피니언(231)과; 상기 제1가이드피니언(231)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브라켓(220)의 승강작동에 의해 제1가이드피니언(231)에 착탈 가능하게 치합되어 제1이송몸체(210)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기어록(233)을 포함한다.
이때, 도 3의 (a)에 의하면, 상기 제1가이드피니언(231)은 제1가이드랙(120)에 치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제1이송몸체(210)를 안내함에 따라 상기 이송베어링(211)에 부족한 견고성을 함께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b)에 의하면, 상기 제1기어록(233)의 하측에는 스프링(S)이 더 구비되어 이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기어록(233)을 항상 제1가이드피니언(231)에 밀착 시켜 잠금 작용을 수행하고, 반대로, 사용자가 가로프레임(300)을 눌러 아래로 이동시키면 연결브라켓(220)에 고정된 제1기어록(233)이 함께 아래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가이드피니언(231)으로부터 제1기어록(233)이 떨어져 잠금이 해제됨으로 제1캐리지(200)가 레일프레임(100)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결국, 도 3의 (a),(b)를 따라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가로프레임(300)을 전/후 이동시켜 적재공간을 구획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가로프레임(300)을 아래로 눌러 제1가이드피니언(231)으로 부터 제1기어록(233)을 분리하여 잠금을 해제하고,
이 상태에서 가로프레임(300)을 전/후 방향으로 밀거나 당겨서 위치를 설정한 후 가로프레임(300)에 가했던 아래방향의 힘을 빼면 스프링(S)의 복원력에 의해 제1기어록(233)이 제1가이드피니언(231)에 밀착되어 잠금 됨으로써, 상기 제1캐리지(200)와 가로프레임(300)의 전/후 방향 이동을 제한하고 위치 고정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러기지 고정장치의 뒤쪽사시도 및 도 5에 도시된 가로프레임과 연결브라켓의 설치 및 작동상태도와 같이, 상기 가로프레임(300)의 양 단부에는 상기 제1캐리지(200)에 형성된 연결브라켓(220)에 가로프레임(300)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결합후크(3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연결브라켓(220)은 수직의 길이 방향으로 내측에 결합구멍(221)이 관통 형성되고, 하측 일면에는 상기 결합후크(330)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331)에 대응하여 가로프레임(300)을 고정할 수 있게 결합홈(223)이 더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구멍(221)은 상기 가로프레임(300)의 양단부 상측에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쇄기(350)를 삽입하여 연결브라켓(220)에 가로프레임(300)을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후크(330)에 인접되는 가로프레임(300)의 일 부분에는 상기 결합후크(330)의 착탈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노브(310)가 더 구비된다.
이에 따라 도 5의 (a)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조작노브(310)를 상측으로 당겨 상기 결합후크(330)와 조작노브(310) 사이에 링크 연결된 가이드링크(320)가 연동 작동한다.
그러면, 상기 결합후크(330)를 가로프레임(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브라켓(220)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가로프레임(300)과 연결브라켓(220)의 결합이 해제됨에 따라 가로프레임(300)이 레일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되어 적재공간의 분할 필요 없이 최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b)에 의하면, 상기 연결브라켓(220)은 상기 가로프레임(300)으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레일프레임(100)에 접이식으로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이송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캐리지(400)는 도 6에 도시된 제2캐리지의 설치 및 작동상태도와 같이, 상기 가로프레임(300)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내장되는 제2이송몸체(410)와; 상기 제2이송몸체(4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이송된 임의 위치에 고정하는 가로홀더(4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로홀더(420)는 상기 제2이송몸체(4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가로프레임(300)의 내측에 형성된 제2가이드랙(340)에 치합되어 제2이송몸체(410)의 이송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피니언(42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피니언(421)의 하측에는 상기 세로프레임(500)에 형성된 힌지브라켓(510)의 승강작동에 의해 제2가이드피니언(421)에 착탈 가능하게 치합되어 제2이송몸체(410)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2기어록(423)이 구비된다.
이때, 도 6의 (a)에 의하면, 상기 제2가이드피니언(421)은 제2가이드랙(340)에 치합되어 회전하면서 가로프레임(300)을 따라 상기 제2이송몸체(410)를 견고하게 안내한다.
그리고, 도 6의 (b)에 의하면, 상기 제2기어록(423)의 하측에는 스프링(S)이 더 구비되어 이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기어록(423)을 항상 제2가이드피니언(421)에 밀착 시켜 잠금 작용을 수행하고, 반대로, 사용자가 세로프레임(500)을 아래로 놀러 일체의 힌지브라켓(510)이 하측으로 이동하면 이에 연결된 제2기어록(423)이 하측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제2가이드피니언(421)으로부터 제2기어록(423)이 떨어져 잠금이 해제됨으로 제2캐리지(400)가 가로프레임(300)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캐리지(400)의 작동구조는 제1캐리지(200)의 작동구조와 유사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세로프레임(500)은 도 7에 도시된 세로프레임의 설치상태도와 같이, 상기 가로프레임(300)의 바깥쪽에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2캐리지(400)에 한 몸으로 연결되어 제2캐리지(400)와 함께 이송되는 힌지브라켓(51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브라켓(51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가로프레임(300)에 대응하여 접이식으로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로바(520)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세로프레임(500)의 경우 도 8에 도시된 세로프레임의 작동상태도에 의하면, 상기 세로프레임(500)이 힌지브라켓(510)을 기준으로 가로프레임(300)에 대응해 90°간격으로 회전하여 고정설치 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여기서, 상기 힌지브라켓(510)의 둘레에는 90°간격으로 고정홈(511)이 형성되고, 상기 세로바(520)에는 고정홈(511)에 대응 결합되는 고정돌기(521)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가로프레임(300)과 동일 방향을 접혀진 세로프레임(500)에서 세로바(520)를 길이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힌지브라켓(510)의 고정홈(511)에서 고정돌기(521)가 이탈되어 고정이 해제 된다.
그리고, 해제한 후 세로프레임(500)을 가로프레임(300)의 직각 방향으로 위치시킨 다음 고정홈(511)에 고정돌기(521)를 삽입시키면 설치가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러기지룸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사용자가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함에 따라 차량 주행 시 적재물이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함과 아울러, 러기지룸의 적재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레일프레임 110: 가이드레일
120: 제1가이드랙 200: 제1캐리지
210: 제1이송몸체 211: 이송베어링
220: 연결브라켓 230: 레일홀더
231: 제1가이드피니언 233: 제1기어록
300: 가로프레임 310: 조작노브
320: 가이드링크 330: 결합후크
340: 제2가이드랙 400: 제2캐리지
410: 제2이송몸체 420: 가로홀더
421: 제2가이드피니언 423: 제2기어록
500: 세로프레임 510: 힌지브라켓
511: 고정홈 520: 세로바
521: 고정돌기
120: 제1가이드랙 200: 제1캐리지
210: 제1이송몸체 211: 이송베어링
220: 연결브라켓 230: 레일홀더
231: 제1가이드피니언 233: 제1기어록
300: 가로프레임 310: 조작노브
320: 가이드링크 330: 결합후크
340: 제2가이드랙 400: 제2캐리지
410: 제2이송몸체 420: 가로홀더
421: 제2가이드피니언 423: 제2기어록
500: 세로프레임 510: 힌지브라켓
511: 고정홈 520: 세로바
521: 고정돌기
Claims (11)
- 러기지룸의 내측 양쪽에 각각 대응 설치되는 두 개의 레일프레임(100)과;
상기 레일프레임(100)에 내장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 작동하는 제1캐리지(200)와;
상기 제1캐리지(200)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러기지룸의 앞/뒤 적재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제1캐리지(200)와 함께 전/후로 이송되는 가로프레임(300)과;
상기 가로프레임(300)에 내장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 작동하는 제2캐리지(400)와;
상기 제2캐리지(400)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러기지룸의 좌/우 적재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제2캐리지(400)와 함께 좌/우로 이송되는 세로프레임(500)을 포함하며,
상기 제2캐리지(400)는,
상기 가로프레임(300)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내장되는 제2이송몸체(410)와;
상기 제2이송몸체(4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이송된 임의 위치에 고정하는 가로홀더(420)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홀더(420)는,
상기 제2이송몸체(4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가로프레임(300)의 내측에 형성된 제2가이드랙(340)에 치합되어 제2이송몸체(410)의 이송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피니언(421)과;
상기 제2가이드피니언(421)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세로프레임(500)에 형성된 힌지브라켓(510)의 승강작동에 의해 제2가이드피니언(421)에 착탈 가능하게 치합되어 제2이송몸체(410)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2기어록(4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고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캐리지(200)는,
상기 레일프레임(100)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전/후 이송 작동하는제1이송몸체(210)와;
상기 제1이송몸체(2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후 이송 작동하는 제1이송몸체(210)를 레일프레임(100)이 임의 위치에 고정하는 레일홀더(230)와;
상기 제1이송몸체(210)의 또 다른 일측에 상기 가로프레임(300)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고정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몸체(210)의 상/하측에는 레일프레임(100)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0)에 접촉되어 제1이송몸체(210)가 신속하고, 정숙하게 전/후 이송되도록 구름 작용하는 이송베어링(21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고정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일홀더(230)는,
상기 제1이송몸체(2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레일프레임(100)의 내측에 형성된 제1가이드랙(120)에 치합되어 제1이송몸체(210)의 이송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피니언(231)과;
상기 제1가이드피니언(231)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브라켓(220)의 승강작동에 의해 제1가이드피니언(231)에 착탈 가능하게 치합되어 제1이송몸체(210)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기어록(2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고정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220)은, 상기 가로프레임(300)으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레일프레임(100)에 접이식으로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이송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고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로프레임(300)의 양 단부에는 상기 제1캐리지(200)에 형성된 연결브라켓(220)에 가로프레임(300)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결합후크(3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고정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합후크(330)에 인접되는 가로프레임(300)의 일 부분에는 상기 결합후크(330)의 착탈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노브(31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러기지 고정장치.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로프레임(500)은,
상기 가로프레임(300)의 바깥쪽에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2캐리지(400)에 한 몸으로 연결되어 제2캐리지(400)와 함께 이송되는 힌지브라켓(510)과;
상기 힌지브라켓(51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가로프레임(300)에 대응하여 접이식으로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로바(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고정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세로프레임(500)이 힌지브라켓(510)을 기준으로 가로프레임(300)에 대응해 90°간격으로 회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브라켓(510)의 둘레에는 90°간격으로 고정홈(511)이 형성되고, 상기 세로바(520)에는 고정홈(511)에 대응 결합되는 고정돌기(521)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고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2483A KR101637831B1 (ko) | 2015-05-04 | 2015-05-04 | 러기지 고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2483A KR101637831B1 (ko) | 2015-05-04 | 2015-05-04 | 러기지 고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37831B1 true KR101637831B1 (ko) | 2016-07-07 |
Family
ID=56500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62483A KR101637831B1 (ko) | 2015-05-04 | 2015-05-04 | 러기지 고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3783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72271A (ko) * | 2017-12-15 | 2019-06-2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1665U (ko) * | 1997-06-20 | 1999-01-15 | 박병재 | 자동차용 트렁크 룸의 적재물 유동 방지구조 |
EP1068100A1 (de) | 1998-04-08 | 2001-01-17 | BOS GmbH & Co. KG | Laderaum für ein kraftfahrzeug und segmentierungsvorrichtung |
EP1180452A2 (de) | 2000-08-09 | 2002-02-20 | BOS GmbH & Co. KG | Vorrichtung zur Fixierung von formstabilen Koffern in einem Laderaum eines Kraftfahrzeuges |
JP2005212500A (ja) * | 2004-01-27 | 2005-08-11 | Masako Tanaka | トランクスペース用の仕切具 |
US20060222471A1 (en) * | 2005-03-31 | 2006-10-05 |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 Sliding bed accessory arrangement |
EP1736365A1 (de) | 2005-06-24 | 2006-12-27 | BOS GmbH & Co. KG | Laderaumfunktion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
EP1736364A1 (de) | 2005-06-24 | 2006-12-27 | BOS GmbH & Co. KG | Laderaumfunktion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
EP2028051A1 (de) | 2007-08-20 | 2009-02-25 | BOS GmbH & Co. KG | Laderaum für ein Kraftfahrzeug und Ladeboden hierfür |
-
2015
- 2015-05-04 KR KR1020150062483A patent/KR10163783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1665U (ko) * | 1997-06-20 | 1999-01-15 | 박병재 | 자동차용 트렁크 룸의 적재물 유동 방지구조 |
EP1068100A1 (de) | 1998-04-08 | 2001-01-17 | BOS GmbH & Co. KG | Laderaum für ein kraftfahrzeug und segmentierungsvorrichtung |
EP1180452A2 (de) | 2000-08-09 | 2002-02-20 | BOS GmbH & Co. KG | Vorrichtung zur Fixierung von formstabilen Koffern in einem Laderaum eines Kraftfahrzeuges |
JP2005212500A (ja) * | 2004-01-27 | 2005-08-11 | Masako Tanaka | トランクスペース用の仕切具 |
US20060222471A1 (en) * | 2005-03-31 | 2006-10-05 |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 Sliding bed accessory arrangement |
EP1736365A1 (de) | 2005-06-24 | 2006-12-27 | BOS GmbH & Co. KG | Laderaumfunktion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
EP1736364A1 (de) | 2005-06-24 | 2006-12-27 | BOS GmbH & Co. KG | Laderaumfunktion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
EP2028051A1 (de) | 2007-08-20 | 2009-02-25 | BOS GmbH & Co. KG | Laderaum für ein Kraftfahrzeug und Ladeboden hierfü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72271A (ko) * | 2017-12-15 | 2019-06-2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
KR102429066B1 (ko) * | 2017-12-15 | 2022-08-0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854147B1 (en) | Loading ramp apparatus | |
JP4427028B2 (ja) | コンテナ | |
KR101637831B1 (ko) | 러기지 고정장치 | |
JP5788756B2 (ja) | レール運搬用トロ | |
DK3038951T3 (en) | BODY TRANSFER DEVICE AND A PROCEDURE FOR OPERATING THE DEBT TRANSFER DEVICE | |
US20050188892A1 (en) | Transverse car body conveying system | |
US9108717B2 (en) | Aircraft cargo door shield | |
US20080284199A1 (en) |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Roof of Container | |
US10220478B2 (en) | Machining center | |
KR20130063242A (ko) | 화물 적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적재화물 인출입 장치 | |
CN110254337A (zh) | 一种用于转运客车车体的平板拖车 | |
JP5787178B2 (ja) | 生産設備 | |
JP2005225607A (ja) | 搬送装置 | |
DE102010062853A1 (de)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ranggießen eines Metallstrangs | |
KR200325046Y1 (ko) | 화물차 적재함 덮개장치 | |
CN215158422U (zh) | 一种行李架转运工装 | |
CN109399079A (zh) | 一种上线链板输送设备 | |
JP6124457B2 (ja) | 床上貨物搬送装置 | |
CN110712917B (zh) | 一种行李搬运装置 | |
US11014487B2 (en) | Divider assemblies for partitioning vehicle cargo spaces | |
ES2412129T3 (es) | Mejoras en conjuntos de ventilación y relacionadas con ellos para transportadores | |
KR101567240B1 (ko) | 적재물 고정장치 | |
CN205589841U (zh) | 一种货架用轨道 | |
KR101000603B1 (ko) | 탈착식 프릭션 대차장치 | |
US20090060700A1 (en) | Pallet stor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