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2271A -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2271A
KR20190072271A KR1020170173494A KR20170173494A KR20190072271A KR 20190072271 A KR20190072271 A KR 20190072271A KR 1020170173494 A KR1020170173494 A KR 1020170173494A KR 20170173494 A KR20170173494 A KR 20170173494A KR 20190072271 A KR20190072271 A KR 20190072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gear
bus
sliding ba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9066B1 (ko
Inventor
이승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3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066B1/ko
Publication of KR20190072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2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separate 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와 연결되어 있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와 연결되어 롤러부가 이동함에 따라 레일을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버스 수하물 운반시에 유동을 방지하여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수하물 하차 시간을 단축하고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LUGGAGE FIXING APPARATUS USED IN LUGGAGE TRUNK IN BUS}
본 발명은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 수하물을 화물함에 적재시에 분리 고정하여 수하물의 유동 및 섞임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 등은 대형수송용 차량으로 설계되므로 차실내에는 가능한 다수의 승객이 앉게 되는 좌석이 배치되고, 좌석승객을 제외한 입석승객의 공간확보를 위해 최대한의 입실공간확보를 우선으로 설계된다.
버스에 탑승하는 승객들은 각종 수화물 등을 소지한 채로 버스 실내로 탑승하여 각각의 좌석에 착석하게 되는데, 이때 버스 실내에는 비교적 부피가 작은 물건들을 올려 놓아 보관할 수 있도록 버스의 천정측에 선반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탑승객이 소지하는 물품중 소량의 물품인 경우에는 차실내의 루프패널 인접면에서 하방에 설치된 차실선반에 소형화물함이 설치되어 탑승객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이와 달리, 선반에 올려 보관할 수 없는 소형화물을 제외한 대형화물의 적재공간은 입석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차실 외부의 버스의 하부에 화물칸이 마련되어 있다.
특히, 화물칸을 구성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화물칸의 바닥 또는 측벽에는 수화물들을 보관한 후 버스의 주행시 요동에 의해 수화물들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수대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화물칸의 개구된 부위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도어는 상부를 힌지점으로 하부를 회전시켜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버스의 화물칸의 화물 고정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버스(10)의 화물칸(12) 상단에 고정봉(14)을 설치하고 이 고정봉(14) 내부에 다수개의 이동캠(24,24a,24b)을 내장시킴과 각각의 이동캠(24,24a,24b)에 절곡된 고정부재(16,16a,16b)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고정부재(16,16a,16b)에 주 플레이트(18,18a,18b)와 보조 플레이트(20,20a,20b)를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고정부재(16,16a,16b) 상단부 끝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이 나사부 외측에 너트(22,22a,22b)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조물은 부품수가 많고, 조립공정과 구조가 복잡하고 수화물 정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슬라이딩 레일을 이용한 적재물 이동구조가 도입되었으나 별도의 화물 고정 구조가 없고, 그물망을 이용한 경우에 고중량 화물에 의해 차량 운행중 화물 유동 및 손상되고, 특히 버스 터미널 위치에 따라 화물을 분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출원 제 20-1999-006622 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버스 수하물 하차시 뒤섞임을 방지하기 위해 터미널별로 수하물을 적재, 분리 및 고정하는 장치이며 가방 등 수하물을 터미널별로 분리하여 유동 및 섞임을 방지할 수 있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와 연결되어 있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와 연결되어 롤러부가 이동함에 따라 레일을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부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연결되어 있는 제 1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제 1 기어를 연결하는 연결구 및 상기 피니언 기어와 결합되어 제 1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 2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는 제 1 기어를 축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는 슬라이딩 바와 함께 회전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와 제 2 기어는 피니언 기어의 해제시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슬라이딩 바의 양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바는 기어부의 제 1 기어의 회전 축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바는 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부는 롤러 케이스; 상기 롤러 케이스 전방에 위치하는 제 1 롤러 및 상기 제 1 롤러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 2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 케이스는 레일을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롤러 및 제 2 롤러는 롤러 케이스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롤러 케이스에는 슬라이드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구멍은 세장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구멍의 폭은 롤러의 폭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구멍에서 제 2 롤러가 슬라이드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 1 롤러는 기어부의 제 1 기어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 2 롤러는 기어부의 제 2 기어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 1 롤러 및 제 2 롤러는 탄성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는 버스 수하물 운반시에 유동을 방지하여 화물의 손상을 예방하고, 수하물을 분리하여 적재하므로 수하물 하차시에 섞임을 방지하여 시간 소모를 단축하고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버스의 화물칸의 화물 고정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의 A부분의 확도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의 B부분의 확도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에서 화물을 고정하는 경우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5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의 C부분의 확도 모식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기서의 "연결"이란 일 부재와 타 부재의 직접적인 연결, 간접적인 연결을 포함하며, 접착, 부착, 체결, 접합, 결합 등 모든 물리적인 연결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의 구조물은 부품수가 많고, 조립공정이 복잡 구조가 복잡하고 수화물 정리가 불가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차량의 운행중에 화물이 손상되고, 특히 공항버스의 경우에 타인 화물 오수령 발생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버스 수하물 하차시 뒤섞임을 방지하기 위해 터미널별로 수하물을 적재, 분리 및 고정하여 유동 및 오수령을 방지할 수 있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의 모식도이고,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의 A부분의 확도 모식도이며,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의 B부분의 확도 모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는 레일(110)이 슬라이딩 바(17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10), 상기 레일(110)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롤러부(130), 상기 롤러부(130)와 연결되어 있는 기어부(150) 및 상기 기어부(150)와 연결되어 롤러부(130)가 이동함에 따라 레일(110)을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1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도 3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부(150)는 피니언 기어(153), 상기 피니언 기어(153)와 연결되어 있는 제 1 기어(151), 상기 피니언 기어(153)와 제 1 기어(151)를 연결하는 연결구(154) 및 상기 피니언 기어(153)와 결합되어 제 1 기어(151)와 함께 회전하는 제 2 기어(15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도면에서는 제 1 기어(151)와 상기 피니언 기어(153)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피니언 기어(153)와 제 2 기어(15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153)는 제 1 기어(151)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 1 기어(151)와 제 2 기어(152)는 피니언 기어(153)의 해제시에 결합하게 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154)는 슬라이딩 바(170)와 함께 회전하는 구조이며, 상기 슬라이딩 바(170)는 기어부(150)의 제 1 기어(151)의 회전 축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바(170)는 레일(110)을 따라 왕복 이동이 용이하도록 핸들(17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롤러부(130)는 롤러 케이스(133), 상기 롤러 케이스(133) 전방에 위치하는 제 1 롤러(131) 및 상기 제 1 롤러(131)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 2 롤러(13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롤러 케이스(133)는 레일을 왕복 이동하며 제 1 롤러(131)와 상기 제 2 롤러(132)는 롤러 케이스(133)에 구비되어 있되, 전방에는 상기 제 1 롤러(131)가 위치하고, 상기 제 1 롤러(131)의 후방에 상기 제 2 롤러(132)가 위치하고 있어 제 1 롤러(131)와 제 2 롤러(132)에 의해 상기 롤러 케이스(133)가 레일을 왕복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롤러 케이스(133)에는 슬라이드 구멍(134)이 천공되어 있되, 상기 슬라이드 구멍(134)은 세장형 형상으로 상기 슬라이드 구멍(134)의 폭은 롤러, 즉 상기 제 2 롤러(132)의 폭에 대응하며, 상기 슬라이드 구멍(134)에서 상기 제 2 롤러(132)가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 1 롤러(131)는 기어부(150)의 제 1 기어(151)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롤러(132)는 기어부(150)의 제 2 기어(15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롤러(131) 및 상기 제 2 롤러(132)는 탄성 스프링(19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에서 화물을 고정하는 경우의 모식도이고, 도 6은 도 5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의 C부분의 확도 모식도이다.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는 레일(110), 상기 레일(110)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롤러부(130), 상기 롤러부(130)와 연결되어 있는 기어부(150) 및 상기 기어부(150)와 연결되어 롤러부(130)가 이동함에 따라 레일(110)을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1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도 5의 C부분을 확대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부(150)는 피니언 기어(153), 상기 피니언 기어(153)와 연결되어 있는 제 1 기어(151), 상기 피니언 기어(153)와 제 1 기어(151)를 연결하는 연결구(154) 및 상기 제 1 기어(151)와 결합되어 있는 제 2 기어(15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154)는 슬라이딩 바(170)와 함께 회전하는 구조이며, 상기 슬라이딩 바(170)는 기어부(150)의 제 1 기어(151)의 회전 축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 바(170)는 핸들(17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되, 상기 핸들(172)은 자중에 의해 지면 방향을 향해 있다.
상기 핸들(172)이 지면 방향을 향하고 있고, 상기 핸들(172)이 장착되어 있는 상기 슬라이딩 바(170)가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딩 바(170)와 함께 회전하는 상기 연결구(154)도 함께 지면을 향해 회전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연결구(154)는 상기 피니언 기어(153)와 제1 기어(151)를 연결하되, 상기 연결구(154)가 지면을 향해 회전되어 있어 상기 피니언 기어(153)도 지면을 향해 있고, 제 1 기어(151)와 상기 제 2 기어(152)가 탄성 스프링(190)의 복원력에 의해 맞물려 있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롤러부(130)는 롤러 케이스(133), 상기 롤러 케이스(133) 전방에 위치하는 제 1 롤러(131) 및 상기 제 1 롤러(131)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 2 롤러(13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롤러 케이스(133)에는 슬라이드 구멍(134)이 천공되어 있되, 상기 슬라이드 구멍(134)에서 상기 제 2 롤러(132)는 상기 피니언 기어(153)가 자중에 의해 하향 회전하면 탄성 스프링(190)에 의해 슬라이드 구멍(134)의 전방으로 이동된다.
도 2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의 작동 관계를 기술하면, 먼저 레일(110), 상기 레일(110)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롤러부(130), 상기 롤러부(130)와 연결되어 있는 기어부(150) 및 상기 기어부(150)와 연결되어 롤러부(130)가 이동함에 따라 레일(110)을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1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 바(170)는 레일(110)을 따라 왕복 이동이 용이하도록 핸들(172)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수하물을 버스 화물함에 터미털 별로 적재 후에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핸들(172)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딩 바(170)를 상기 레일(110)을 따라 이동시킨다.
상기 슬라이딩 바(170)가 이동을 시작하면 제 1 롤러(131)와 제 2 롤러(132)가 롤러 케이스(133)에 구비되어 있되, 전방에는 상기 제 1 롤러(131)가 위치하고, 상기 제 1 롤러(131)의 후방에 상기 제 2 롤러(132)가 위치하고 있어 제 1 롤러(131)와 제 2 롤러(132)에 의해 상기 롤러 케이스(133)가 레일을 왕복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롤러(131)는 기어부(150)의 제 1 기어(151)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롤러(132)는 기어부(150)의 제 2 기어(15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어(151)와 상기 피니언 기어(153)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피니언 기어(153)와 제 2 기어(152)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제 1 롤러(131)와 상기 제 2 롤러(132)가 전방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1 기어(151)와 상기 제 2 기어(152)도 함께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딩 바(170)가 계속해서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 바(170)가 수하물을 고정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딩 바(170)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핸들(172)을 놓게 된다. 이때, 상기 핸들(172)은 자중에 의해 지면을 향해 회전하고, 상기 슬라이딩 바(170)도 회전하되 제 1 기어(151)와 상기 피니언 기어(153)를 연결하는 연결구(154)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연결구(154)가 회전하면 상기 피니언 기어(153)도 함께 지면을 향해 회전하게 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153)가 제 1 기어(151)와 상기 제 2 기어(152) 사이에서 이탈되어 제 1 기어(151)에만 결합된 상태로 하방향에 위치된다.
이때, 탄성 스프링(19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 2 롤러(132)가 상기 제 1 롤러(131)를 향해 슬라이드 구멍(134) 내에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 2 롤러(132)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2 롤러(132)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 2 기어(152)도 제 1 기어(151)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제 1 기어(151)와 상기 제 2 기어(152)가 맞물리게 된다.
제 1 기어(151)와 상기 제 2 기어(152)가 결합되면, 상기 슬라이딩 바(170)가 수하물을 고정하는 위치에서 이동하지 않게 되어 수하물을 유동함이 없이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는 버스 수하물 운반시에 유동을 방지하여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수하물을 터미널별로 분리하여 적재하므로 수하물 하차시에 섞임을 방지하므로 수하물 하차 시간을 단축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키는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 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 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 예가 가능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가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10: 레일 130: 롤러부
131: 제 1 롤러 132: 제 2 롤러
133: 롤러 케이스 134: 슬라이드 구멍
150: 기어부 151: 제 1 기어
152: 제 2 기어 153: 피니언 기어
154: 연결구 170: 슬라이딩 바
172: 핸들 190: 탄성 스프링

Claims (18)

  1.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와 연결되어 있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와 연결되어 롤러부가 이동함에 따라 레일을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연결되어 있는 제 1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제 1 기어를 연결하는 연결구; 및
    상기 피니언 기어와 결합되어 제 1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 2 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기어는 제 1 기어를 축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슬라이딩 바와 함께 회전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어와 제 2 기어는 피니언 기어의 해제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슬라이딩 바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바는 기어부의 제 1 기어의 회전 축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바는 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롤러 케이스;
    상기 롤러 케이스 전방에 위치하는 제 1 롤러; 및
    상기 제 1 롤러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 2 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케이스는 레일을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 및 제 2 롤러는 롤러 케이스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케이스에는 슬라이드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구멍은 세장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구멍의 폭은 롤러의 폭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구멍에서 제 2 롤러가 슬라이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는 기어부의 제 1 기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롤러는 기어부의 제 2 기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 및 제 2 롤러는 탄성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KR1020170173494A 2017-12-15 2017-12-15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KR102429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494A KR102429066B1 (ko) 2017-12-15 2017-12-15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494A KR102429066B1 (ko) 2017-12-15 2017-12-15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271A true KR20190072271A (ko) 2019-06-25
KR102429066B1 KR102429066B1 (ko) 2022-08-04

Family

ID=67065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494A KR102429066B1 (ko) 2017-12-15 2017-12-15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0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672U (ko) * 1997-06-20 1999-01-15 박병재 자동차용 트렁크 룸의 적재물 유동 방지구조
KR19990006622U (ko) 1997-07-29 1999-02-25 양재신 버스의 화물칸에 내장된 수화물 고정장치
KR19990011398U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트렁크의 화물 고정장치
KR20000003712U (ko) * 1998-07-29 2000-02-25 전민용 자동차의 시트 슬라이딩장치
KR101637831B1 (ko) * 2015-05-0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러기지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672U (ko) * 1997-06-20 1999-01-15 박병재 자동차용 트렁크 룸의 적재물 유동 방지구조
KR19990006622U (ko) 1997-07-29 1999-02-25 양재신 버스의 화물칸에 내장된 수화물 고정장치
KR19990011398U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트렁크의 화물 고정장치
KR20000003712U (ko) * 1998-07-29 2000-02-25 전민용 자동차의 시트 슬라이딩장치
KR101637831B1 (ko) * 2015-05-0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러기지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9066B1 (ko)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646568U (zh) 乘用车辆
CN101445074B (zh) 车辆的可移动隔板
US8991889B1 (en) Work vehicle with integrated ladder rack
CN101784405B (zh) 有滑动门的汽车
US20140015271A1 (en) Motor vehicle with height adjusting device for loading floor
DE102015110730A1 (de) Fahrzeuginterner andockarm und aufbewahrung
CN107150576A (zh) 后部出入门闩锁及密封系统
CN104114793A (zh) 用于车辆门锁的防撞缓冲器
RU2016137887A (ru) Конструкция багажного отсек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промышлен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груз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EP3805130A1 (en) Cargo container
JP4474204B2 (ja) 飛行機の貨物積載システムのアンカーポイント装置
RU189046U1 (ru) Полка-органайзер для багажного отделе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DE102011057126A1 (de) Aufbewahr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S20170008575A1 (en) Curtainside Movable Wall System
US20200369212A1 (en) System for carrying, receiving and unloading loads and goods for electric motor vehicles and hybrid vehicles
KR20190072271A (ko) 버스 화물함의 수하물 고정 장치
CN109466396A (zh) 一种货物运输车厢
CN202703718U (zh) 一种翼开厢式运输车
EP2815968B1 (en) End stop device, cargo loading system and aircraft
KR101996243B1 (ko) 윙바디 화물차용 윙도어 잠금장치
DE202019005022U1 (de) System zum Tragen, Aufnehmen und Entladen von Lasten und Gütern für elektrische Kraftfahrzeuge und Hybridfahrzeuge
CN110217253A (zh) 用于货车卸货的自锁机构及具有其的铁路货车
EP2620327B1 (de) Multifunktionseinheit für einen Personenkraftwagen
DE202018004164U1 (de) Variabler Heckträger für Kastenwagen
DE19537287A1 (de) Container-Transport-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