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961B1 -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961B1
KR101636961B1 KR1020140114855A KR20140114855A KR101636961B1 KR 101636961 B1 KR101636961 B1 KR 101636961B1 KR 1020140114855 A KR1020140114855 A KR 1020140114855A KR 20140114855 A KR20140114855 A KR 20140114855A KR 101636961 B1 KR101636961 B1 KR 101636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variable
variable gear
guid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6369A (ko
Inventor
김종근
Original Assignee
김종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근 filed Critical 김종근
Priority to KR1020140114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961B1/ko
Publication of KR20160026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 B62M9/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주행 중 페달에 걸리는 하중의 급격한 변화를 줄이고 가변기어판의 직경을 임의로 조절하여 일정한 범위 안에서 연속적으로 변속비를 변화시켜 변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력 전달 효율성을 향상시켜 주행성능과 승차감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게 한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NON-STAGE TRANSMISSION FOR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행 중 페달에 걸리는 하중의 급격한 변화를 줄이고 가변기어판의 직경을 임의로 조절하여 일정한 범위 안에서 연속적으로 변속비를 변화시켜 변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력 전달 효율성을 향상시켜 주행성능과 승차감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게 한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전거는 프레임(A)의 전방에 형성된 헤드 튜브에 회전 가능케 설치된 스템의 상부에는 핸들을 설치하고, 스템의 하부에는 앞바퀴를 설치하며, 프레임(A)의 후방 단부에는 뒷바퀴를 설치하여, 안장의 하단부에 형성된 시트포스트를 프레임(A)의 시트튜브에 삽입 설치한 후 안장에 앉은 운전자가 핸들을 잡고 프레임(A)의 하부에 설치된 크랭크기구와 연결된 페달을 발로 밟아 크랭크기구에 연결된 체인스프로킷을 회전시키면 그 회전력은 체인스프로킷에 물려 있는 체인(A3)을 통해 뒷바퀴에 설치된 뒷차축스프로킷(A2)에 전달됨으로써 뒷바퀴가 구동하여 자전거의 주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체인스프로킷과 뒷차축스프로킷(A2)의 치수비를 기어비 또는 변속비라고 부르며, 이 변속비에 따라 페달의 회전과 뒷바퀴와의 회전비 및 토크비가 달라지게 된다.
과거에는 체인스프로킷과, 뒷차축스프로킷(A2)이 각각 하나로 된 것으로 사용함으로써 회전비와 토크비가 단일값으로 정해져 있었으나, 자전거용 다단변속기가 개발되면서, 뒷차축스프로킷(A2)은 치수가 다른 4∼8개를 일정한 간격으로 겹쳐 설치하고, 체인스프로킷 역시 치수가 다른 2~4개를 일정한 간격으로 겹쳐 설치함으로써 체인스프로킷과 뒷차축스프로킷(A2)은 8~32 속도 단으로 조합되는 변속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된 실정이다.
따라서 운전자는 변속 장치를 조작하여 도로의 경사도·주행상황·풍속·주행속도 등 다양한 주행조건에 가장 적합한 변속비를 선택함으로써 평지에서의 고속 주행이나, 오르막길에서 적은 힘으로도 효과적인 등판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자전거용 변속 장치는 핸들 일측에 변속레버가 설치되고, 체인스프로킷과 뒷차축스프로킷(A2) 일측에 변속기가 설치되어 변속레버와 변속기와 와이어로 연결됨으로써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손으로 조작하면 와이어에 의해 변속기의 위치가 변경되어 체인스프로킷과 뒷차축스프로킷(A2)에 동시에 물려있는 체인(A3)의 위치가 변경되어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자전거 주행 중 변속을 위해서 핸들 일측의 변속레버를 조작해야 하는데 변속레버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핸들을 잡고 운전자의 그립력이 순간적으로 저하될 뿐만 아니라, 변속레버를 조작하게 되면 변속레버와 와이어로 연결된 변속기의 위치가 변경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에서 변속레버와 변속기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장력이 늘어나는 경우에는 원만한 변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자전거용 변속 장치는 치수가 다른 복수의 디스크를 겹쳐 설치한 체인스프로킷과 뒷차축스프로킷(A2)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일정한 변속비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연속적이고 부드러운 변속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변속을 위해서는 체인스프로킷과 뒷차축스프로킷에 동시에 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이 디스크 간을 이동해야 하는데 체인의 이동 과정에서 체인과 스프로킷 간의 마찰로 인해 소음과 진동이 발생함으로써 주행성능과 승차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1-0112147호(공개일: 2011년10월12일) 2)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1-0112146호(공개일: 2011년10월12일)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주행 중 페달에 걸리는 하중의 급격한 변화를 줄이고 가변기어판의 직경을 임의로 조절하여 일정한 범위 안에서 연속적으로 변속비를 변화시켜 변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력 전달 효율성을 향상시켜 주행성능과 승차감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게 한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중심부에는 구동축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일측 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가이드장공이 형성되는 디스크판과, 상기 축공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상기 가이드장공과 반대 방향으로 만곡지게 반호형으로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가이드장공의 일측으로 디스크판 상에 핀을 통해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바깥쪽 외측에 체인이 연결되는 체인기어부가 형성되고, 중앙부분에 후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장공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한쌍의 가변기어판과, 상기 가변기어판의 핀과 디스크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변기어판이 상기 가이드장공의 외측 단부방향으로 회전되게 힘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주행 중 페달에 걸리는 하중에 따라 상기 한쌍의 가변기어판이 회동되면서, 상기 한쌍의 가변기어판에 결합되는 체인의 외경을 변화시켜 변속이 이루어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무단 변속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은, 핀의 외면을 감싸 설치되되 하단이 상기 디스크판의 후면으로 돌출되는 핀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코일스프링부와 상기 코일스프링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핀의 외측으로 디스크판의 후면 상에 돌출 결합되는 걸림핀에 걸림 지지되어, 상기 가변기어판이 회동되면 상기 코일스프링부를 통해 상기 가변기어판이 상기 가이드장공의 외측 단부방향으로 회전되게 탄성을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판의 후면에는 가이드장공의 타측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는 선택적으로 지지핀이 결합되게 구성되되, 상기 지지핀과 가이드돌기는 보조스프링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가변기어판의 탄성력을 보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가변기어판의 사이에는 상기 축공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상기 가이드장공과 반대 방향으로 만곡지게 반호형으로 마련되어, 바깥쪽 외측으로 체인이 지지되게 구성되는 한쌍의 가변지지판이 마련되되, 상기 가변지지판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장공의 일측으로 디스크판 상에 핀을 통해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변지지판의 중앙부분에는 후측으로 가이드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장공을 따라 가이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변지지판의 핀과 디스크판의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가변지지판이 상기 가이드장공의 외측 단부방향으로 회전되게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변기어판 및 상기 가변지지판에는 그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 하면에 두께를 달리하여 하방 결합홈이 형성되고, 타측 상면에 두께를 달리하여 상방 결합홈이 형성되게 구성되되, 상기 가변기어판 및 상기 가변지지판이 상기 가이드장공의 내측 단부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가변기어판의 하방 결합홈과 상기 가변지지판의 상방 결합홈은 서로 맞대지면서 결합되고, 상기 가변기어판의 상방 결합홈과 상기 가변지지판의 하방 결합홈은 서로 맞대지면서 결합되어, 상기 가변기어판 및 가변지지판이 원형을 이루면서 서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주행 중 페달에 걸리는 하중의 급격한 변화를 줄이고 가변기어판의 직경을 임의로 조절하여 일정한 범위 안에서 연속적으로 변속비를 변화시켜 변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동력 전달 효율성을 향상시켜 주행성능과 승차감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변속 장치가 설치된 자전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가 설치된 자전거를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의 후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후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에서 가변기어판과 가변지지판의 바람직한 구조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가 설치된 자전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의 후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후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에서 가변기어판과 가변지지판의 바람직한 구조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1)는 자전거의 프레임(10)과 일체로 된 크랭크하우징(11)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구동축(12)에 설치되어 페달(13)의 가압에 의해 구동축(12)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발명은 주행 중 페달에 걸리는 하중의 급격한 변화를 줄이고 가변기어판의 직경을 임의로 조절하여 일정한 범위 안에서 연속적으로 변속비를 변화시켜 변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는 디스크판(100), 가변기어판(200), 스프링(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디스크판(100)은 중심부에는 구동축(12)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축공(11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디스크판(100)은 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축공(110)을 통해 자전거의 구동축(12)에 결합되어 페달(13)의 가압에 의해 구동축(12)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판(100)에는 상기 축공(110)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일측 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가이드장공(1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장공(120)은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대칭적으로 다수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기어판(200)은 한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축공(110)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상기 가이드장공(120)과 반대 방향으로 만곡지게 반호형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기어판(200)은 일단이 상기 가이드장공(120)의 일측으로 디스크판(100) 상에 핀(210)을 통해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기어판(200)은 바깥쪽 외측에 체인(C)이 연결되는 체인기어부(220)가 형성되고, 중앙부분에 후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장공(120)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돌기(230)가 형성된다. 즉, 상기 가변기어판(200)은 한쌍으로 마련되어 자전거의 체인(C)이 감싸 설치되고, 한쌍의 가변기어판(200)이 회동되면서 그 직경이 조절되면서 그 직경의 크기에 따라 일정한 범위 안에서 연속적으로 변속비를 변화시켜 변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300)은 상기 가변기어판의 핀(210)과 디스크판(10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변기어판(200)이 상기 가이드장공(120)의 외측 단부방향으로 회전되게 힘을 부여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스프링(300)은, 페달(13)의 가압에 의해 가변기어판(200)이 가이드장공(120)의 내측 단부방향으로 회전하면, 가변기어판(200)이 가이드장공(120)의 외측 단부방향으로 다시 회전되도록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링(300)은 상기 가변기어판(200)이 상기 가이드장공(130)의 외측 단부방향으로 회전되게 힘을 부여하게 구성된다면, 공지된 다양한 구조와 구성을 가지게 설치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상기 스프링(300)은, 핀(210)의 외면을 감싸 설치되되 하단이 상기 디스크판(100)의 후면으로 돌출되는 핀(210)에 형성되는 걸림홈(211)에 끼워져 고정되는 코일스프링부(310)와 상기 코일스프링부(31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지지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320)는 상기 핀(210)의 외측으로 디스크판(100)의 후면 상에 돌출 결합되는 걸림핀(330)에 걸림 지지되어, 상기 가변기어판(200)이 회동되면 상기 코일스프링부(310)를 통해 상기 가변기어판(200)이 상기 가이드장공(120)의 외측 단부방향으로 회전되게 탄성을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판(100)의 후면에는 가이드장공(120)의 타측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다수개의 체결공(140)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40)에는 선택적으로 지지핀(150)이 결합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핀(150)과 가이드돌기(230)는 보조스프링(S)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가변기어판(200)의 탄성력을 보강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체결공(140)에는 선택적으로 지지핀(150)을 결합시켜 지지핀(150)과 가이드돌기(230)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스프링(S)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상기 스프링(300)을 통해 1차적으로 가변기어판(200)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되고, 지지핀(150)과 가이드돌기(230)에 연결된 보조스프링(S)을 통해 2차적으로 가변기어판(200)에 탄성력을 보강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한쌍의 가변기어판(200)의 사이에는 상기 축공(110)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상기 가이드장공(120)과 반대 방향으로 만곡지게 반호형으로 마련되어, 바깥쪽 외측으로 체인(C)이 지지되게 구성되는 한쌍의 가변지지판(40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변지지판(400)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장공(120)의 일측으로 디스크판(100) 상에 핀(410)을 통해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변지지판(400)의 중앙부분에는 후측으로 가이드돌기(430)가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장공(120)을 따라 가이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지지판의 핀(410)과 디스크판(100)의 사이에는 스프링(440)이 설치되어 상기 가변지지판(400)이 상기 가이드장공(130)의 외측 단부방향으로 회전되게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가변지지판(400)은 상기 한쌍의 가변기어판(20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변기어판(200)의 회동과 연동하여 회동되면서 가변기어판(200) 사이에 연결되는 체인(C)을 지지하면서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나아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기어판(200) 및 상기 가변지지판(400)에는 그 중앙을 기준으로 상하 높이가 다르도록 단차지게 일측 하면에 하방 결합홈(250,450) 및 타측 하면에 상방 결합홈(270,470)이 형성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기어판(200) 및 상기 가변지지판(400)이 상기 가이드장공(130)의 내측 단부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가변기어판의 하방 결합홈(250)과 상기 가변지지판의 상방 결합홈(470)은 서로 맞대지면서 결합되고, 상기 가변기어판의 상방 결합홈(270)과 상기 가변지지판의 하방 결합홈(450)은 서로 맞대지면서 결합되어, 상기 가변기어판(200) 및 가변지지판(400)이 원형을 이루면서 서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페달(13)에 최대 가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가변기어판(200) 및 가변지지판(400)이 디스크판(100) 상에서 완전하게 회동되어 원형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변기어판(200) 및 가변지지판(400)의 단부가 서로 지지되어 체인(C)을 회전시키게 구성되기 때문에 체인을 더욱 견고하고 안정되게 회전시킬 수 된다.
이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의 작동 및 작용/효과를 간단히 살펴본다.
먼저, 도 9의 상태에서 페달을 밟게 되면, 페달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한쌍의 가변기어판(200)이 회동되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기어판(200)의 직경이 작아지고, 가변기어판(200)에 결합되는 체인(C)의 외경도 작아지게 된다. 그리고, 페달을 더욱 가압하게 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기어판(200) 및 가변지지판(400)이 서로 지지되면서 원형을 이루게 되고 동시에 체인(C)의 외경도 최소로 작아지게 된다. 한편, 페달의 가압력이 약해지면, 도 11에서 도 9의 상태로 복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주행 중 페달에 걸리는 하중의 변화에 따라, 가변기어판이 회동되면서 가변기어판의 직경을 임의로 조절되고, 가변기어판에 연결된 기어가 일정한 범위 안에서 연속적으로 변속비를 변화시켜 변속할 수 있게 구성되기 때문에, 동력 전달 효율성을 향상될 뿐만 아니라 주행성능과 승차감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OO: 디스크판 110: 축공
120: 가이드장공 200: 가변기어판
210: 핀 220: 체인기어부
230: 가이드돌기 300: 스프링
400: 가변지지판
C: 체인 S: 스프링

Claims (5)

  1. 중심부에는 구동축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일측 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가이드장공이 형성되는 디스크판과, 상기 축공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상기 가이드장공과 반대 방향으로 만곡지게 반호형으로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가이드장공의 일측으로 디스크판 상에 핀을 통해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바깥쪽 외측에 체인이 연결되는 체인기어부가 형성되고, 중앙부분에 후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장공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한쌍의 가변기어판과, 상기 가변기어판의 핀과 디스크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변기어판이 상기 가이드장공의 외측 단부방향으로 회전되게 힘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주행 중 페달에 걸리는 하중에 따라 상기 한쌍의 가변기어판이 회동되면서, 상기 한쌍의 가변기어판에 결합되는 체인의 외경을 변화시켜 변속이 이루어지게 구성되고,
    상기 디스크판의 후면에는 가이드장공의 타측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는 선택적으로 지지핀이 결합되게 구성되되, 상기 지지핀과 가이드돌기는 보조스프링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가변기어판의 탄성력을 보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무단 변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핀의 외면을 감싸 설치되되 하단이 상기 디스크판의 후면으로 돌출되는 핀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코일스프링부와 상기 코일스프링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핀의 외측으로 디스크판의 후면 상에 돌출 결합되는 걸림핀에 걸림 지지되어, 상기 가변기어판이 회동되면 상기 코일스프링부를 통해 상기 가변기어판이 상기 가이드장공의 외측 단부방향으로 회전되게 탄성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무단 변속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가변기어판의 사이에는 상기 축공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상기 가이드장공과 반대 방향으로 만곡지게 반호형으로 마련되어, 바깥쪽 외측으로 체인이 지지되게 구성되는 한쌍의 가변지지판이 마련되되,
    상기 가변지지판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장공의 일측으로 디스크판 상에 핀을 통해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변지지판의 중앙부분에는 후측으로 가이드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장공을 따라 가이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변지지판의 핀과 디스크판의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가변지지판이 상기 가이드장공의 외측 단부방향으로 회전되게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무단 변속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기어판 및 상기 가변지지판에는 그 중앙을 기준으로 상하 높이가 다르도록 단차지게 일측 하면에 하방 결합홈 및 타측 하면에 상방 결합홈이 형성되게 구성되되
    상기 가변기어판 및 상기 가변지지판이 상기 가이드장공의 내측 단부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가변기어판의 하방 결합홈과 상기 가변지지판의 상방 결합홈은 서로 맞대지면서 결합되고, 상기 가변기어판의 상방 결합홈과 상기 가변지지판의 하방 결합홈은 서로 맞대지면서 결합되어, 상기 가변기어판 및 가변지지판이 원형을 이루면서 서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무단 변속장치.
KR1020140114855A 2014-09-01 2014-09-01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 KR101636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855A KR101636961B1 (ko) 2014-09-01 2014-09-01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855A KR101636961B1 (ko) 2014-09-01 2014-09-01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369A KR20160026369A (ko) 2016-03-09
KR101636961B1 true KR101636961B1 (ko) 2016-07-07

Family

ID=55536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855A KR101636961B1 (ko) 2014-09-01 2014-09-01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9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267A (ko) 2016-09-28 2018-04-06 계양전기 주식회사 전기 자전거용 변속장치
KR20200074404A (ko) 2018-12-17 2020-06-25 박거락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12764A1 (it) 2021-05-18 2022-11-18 Stefano Revel Cambio a variazione continua automatica del rapporto per veicoli a due ruote
IT202200004451A1 (it) 2022-03-10 2023-09-10 Stefano Revel Cambio a variazione continua del rapporto per veicoli a due ruot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3002925A1 (en) * 1982-02-18 1983-09-01 Chappell, Gilmore, H. Automatic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9948A (en) * 1975-08-25 1976-07-20 Pipenhagen Jr Charles A Automatic bicycle transmission
US5772546A (en) * 1993-06-29 1998-06-30 Warszewski; Jaroslaw Piotr Continuously variable automatic drive
KR20110112147A (ko) 2010-04-06 2011-10-12 김여일 자전거의 자동 무단변속장치
KR20110112146A (ko) 2010-04-06 2011-10-12 김여일 자전거의 무단 자동변속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3002925A1 (en) * 1982-02-18 1983-09-01 Chappell, Gilmore, H. Automatic transmiss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267A (ko) 2016-09-28 2018-04-06 계양전기 주식회사 전기 자전거용 변속장치
KR20200074404A (ko) 2018-12-17 2020-06-25 박거락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369A (ko)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961B1 (ko)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
JP5615296B2 (ja) 自転車及び同様の被駆動車両のための交番駆動装置
US5404768A (en) Speed changing arrangement for the bicycle
TW201902780A (zh) 用於自行車組件之阻尼器
US5971884A (en) Power changing apparatus of bicycle hub
KR101659222B1 (ko)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
JPS59222658A (ja) 車両用vベルト式自動無段変速機
TW200526462A (en) Arrangement structure of speed-change cable
JP5145567B1 (ja) 自転車用変速機構
KR102147025B1 (ko)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
KR101154529B1 (ko)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
JP4286681B2 (ja) 自転車用変速装置
KR20140102588A (ko)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
KR101348822B1 (ko)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
KR20060116943A (ko) 자전거의 구동방법 및 그 장치
KR101273485B1 (ko) 무단 변속기용 반경 변화 풀리와 무단 변속기
KR200441208Y1 (ko) 자전거용 자동변속기
TW201350382A (zh) 自動變速自行車
JP4516326B2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ン構造
KR20150114679A (ko) 자전거의 변속장치
KR101539148B1 (ko) 변속씽싱바퀴
JP2724308B2 (ja) 自転車の変速装置
JP2005225285A5 (ko)
KR101255102B1 (ko) 수동식 무단변속장치
KR101172345B1 (ko) 자전거용 무단 변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