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822B1 -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822B1
KR101348822B1 KR1020120060030A KR20120060030A KR101348822B1 KR 101348822 B1 KR101348822 B1 KR 101348822B1 KR 1020120060030 A KR1020120060030 A KR 1020120060030A KR 20120060030 A KR20120060030 A KR 20120060030A KR 101348822 B1 KR101348822 B1 KR 101348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drive shaft
pulleys
movab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6320A (ko
Inventor
남기욱
Original Assignee
안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미 filed Critical 안영미
Priority to KR1020120060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822B1/ko
Publication of KR20130136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6Compressio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7External to internal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동축(10) 및 종동축(20)이 구비되고 구동축(10)에 페달(11)이 결합되는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에 있어서, 구동축(10) 및 종동축(20)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풀리(30A, 30B); 고정풀리(30A, 30B)에 대해 유동되도록 구동축(10) 및 종동축(20)에 결합되는 가동풀리(40A, 40B); 고정풀리(30A, 30B) 및 가동풀리(40A, 40B)에 연결 설치되며, 페달(11)의 토크에 의해 장력이 발생되는 벨트(50) 및 가동풀리(40A, 40B)의 축방향 이동을 탄성적으로 제한하는 탄성부재(60A, 60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구동축에 결합되는 가동풀리(40A)가 벨트(50)의 장력 및 탄성부재(60A)의 탄성력에 의해 구동축(1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주행 상황에 따라 변속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풀리에 작용하는 부하토크에 따라 구동측과 종동측의 풀리간격이 상반되게 증감하여 변속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용 변속장치는 다단의 스프라켓 및 체인을 채용하여 불연속적인 회전 속도비를 가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스프라켓과 체인이 맞물려 구동되므로 동력 전달이 확실한 장점이 있으나, 운전조건에 따라 운전자 스스로 판단하여 변속을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숙련되지 않은 운전자가 운전할 경우 변속 조작 미숙으로 체인이 스프라켓에 얽히어 안전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V벨트구동방식 또는 구면차구동방식 등 다양한 형식의 무단변속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종래의 V벨트구동방식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V벨트구동방식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측 및 종동측 풀리는 축 중심으로 갈수록 풀리 간 거리(이하‘풀리간격’이라 한다)가 좁아지도록 고정풀리(1)와 가동풀리(2)가 서로 대향하여 구비된다. 페달을 회전시키면 구동축이 구동되는데, 벨트(3)가 마찰력에 의해 구동측 풀리에 밀착되어 감기면서 종동측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뒷바퀴를 회전시킨다. 이때 축에서 벨트(3)까지의 거리(r)가 유효반경에 해당하고, 가동풀리(2)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풀리간격이 변함에 따라 벨트의 유효반경도 변하게 된다.
종래의 V벨트구동방식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는 가동풀리(2)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자전거 핸들과 구동측 및 종동측의 가동풀리(2)를 케이블(4)로 연결하고, 상기 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구동측 가동풀리와 종동측 가동풀리가 케이블(4)에 의하여 서로 상반되게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무단변속을 실현한다.
그러나 위의 V벨트구동방식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는 운전자가 핸들로 변속 조작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급경사에서 구동측의 풀리간격을 좁게 설정하고 무리하게 페달을 밟는 등 운전 상황에 따라 적절한 변속 조작을 하지 못하면 풀리와 벨트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여 구동측에서 종동측으로 동력전달이 확실하게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01-0106046 A 2001. 11. 29.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부하토크의 크기에 따라 구동측과 종동측의 풀리간격이 서로 상반되게 증감하여 변속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는 구동축 및 종동축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에 페달이 결합되는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 및 상기 종동축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풀리; 상기 고정풀리에 대해 유동되도록 상기 구동축 및 상기 종동축에 결합되는 가동풀리; 상기 고정풀리 및 상기 가동풀리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페달의 토크에 의해 장력이 발생되는 벨트 및 상기 가동풀리의 축방향 이동을 탄성적으로 제한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구동축에 결합되는 가동풀리가 상기 벨트의 장력 및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구동축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는 운전자가 출발시나 경사로 주행시 페달에 무리한 힘을 가해야 하는 어려움이나, 일일이 변속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벨트구동방식을 채택한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의 풀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구동측 및 종동측에 벨트가 감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를 도시한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의 구동측(a) 및 종동측(b)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의 고정풀리 및 가동풀리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의 구동측 풀리 및 종동측 풀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의 무단변속 과정을 도시한 개요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들러가 구비된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구동축 및 종동축에 벨트가 감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는 구동축(10) 및 종동축(20)이 구비되고 구동축(10)에 페달(11)이 결합되는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에 있어서, 구동축(10) 및 종동축(20)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풀리(30A, 30B); 고정풀리(30A, 30B)에 대해 유동되도록 구동축(10) 및 종동축(20)에 결합되는 가동풀리(40A, 40B); 고정풀리(30A, 30B) 및 가동풀리(40A, 40B)에 연결 설치되며, 페달(11)의 토크에 의해 장력이 발생되는 벨트(50) 및 가동풀리(40A, 40B)의 축방향 이동을 탄성적으로 제한하는 탄성부재(60A, 60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구동축(10)에 결합되는 가동풀리(40A)가 벨트(50)의 장력 및 탄성부재(60A)의 탄성력에 의해 구동축(1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의 구동측(a) 및 종동측(b)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의 고정풀리 및 가동풀리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풀리(40A, 40B) 및 고정풀리(30A, 30B)는 접시형상으로 되어 있고, 가동풀리(40A, 40B)는 접시형상의 배면이 고정풀리(30A, 30B)의 접시형상의 배면에 직면하도록 구동축(10) 및 종동축(20)에 삽입된다. 따라서 가동풀리(40A, 40B)가 구동축(10) 및 종동축(20) 방향으로 전후 이동될 수 있어 풀리간격이 조절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풀리(30A, 30B) 및 가동풀리(40A, 40B)의 중심에 고정허브(31) 및 가동허브(41)를 형성하여 상기 구동축(10) 및 종동축(20)이 고정허브(31) 및 가동허브(41)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고정허브(31) 및 가동허브(41)를 형성하는 이유는 강도에 취약한 풀리의 중심부를 보강하고 구동축 및 종동축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함이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풀리간격이 좁아지면 벨트(50)의 유효반경(r)이 증가하고 반대로 풀리간격이 늘어나면 유효반경(r)이 감소한다. 그러므로 풀리간격을 조절하여 무단변속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벨트(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페달의 토크에 의해 발생되는 장력을 종동축(20)에 전달하여 종동축(2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동력 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벨트(50)와 풀리의 슬립 발생을 최소화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벨트(50)는 감길 때 밀착이 잘 되도록 가동풀리(40A, 40B)와 고정풀리(30A, 30B)의 사이각과 같은 각을 가지는 V벨트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60A, 60B)는 가동풀리(40A, 40B)의 축방향 이동을 억제하는 한편, 가동풀리(40A, 40B)의 이동량을 탄성에너지 형태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페달이 회전하지 않을 때는 탄성부재(60A)의 탄성력에 의해 구동축(10)에 결합되는 가동풀리(40A) 및 고정풀리(30A)와 벨트(50)가 밀착되어 있다가, 페달에 의해 구동축(10)에 토크가 가해지면 고정풀리(30A)가 회전하게 되고 이를 따라 벨트(50)와 가동풀리(40A)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벨트(50)의 장력이 증가한다. 벨트(50)의 장력이 소정값을 초과하면 가동풀리(40A)가 탄성부재(60A)의 탄성력을 이기고 축방향으로 이동하는데, 그 이동량 만큼 탄성부재(60A)에 탄성에너지가 축적되고, 추후 장력이 감소하면 탄성부재(60A)가 가동풀리(40A)를 복원시켜 풀리간격을 제어한다.
종동축(20)의 탄성부재(60B)도 벨트(50) 장력의 증감에 따라 구동축(10)과 같이 가동풀리(40B)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풀리간격을 제어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탄성부재(60A, 60B)는 일단이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는 플랜지(76)에 접하고 타단은 가동풀리(40A, 40B)와 접하는 원통형의 압축 스프링이나 인장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나 상황에 맞추어 다양한 종류를 채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의 구동측 풀리 및 종동측 풀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풀리(30A, 30B)에 가동풀리(40A, 40B)가 대향되고, 가동풀리(40A, 40B)에 회전가이드(70A, 70B)가 더 결합된다.
상기 회전가이드(70A, 70B)는 가동풀리(40A, 40B)가 고정풀리에 대해 회전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구성요소로 후술할 캠이 대표적인 예이다. 상기 회전가이드(70A, 70B)가 결합된 가동풀리(40A, 40B)는 각각 구동축(10) 및 종동축(20)에 삽입되고, 구동축(10) 및 종동축(20)에 결합되는 플랜지(76)에 일단이 지지되는 탄성부재(60A, 60B)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는 임의의 주행 조건에서 가동풀리(40A, 40B)가 벨트(50)의 장력 및 탄성부재(60A, 60B)의 탄성력이 평형을 이루는 지점에 위치하게 되고, 주행 조건이 변함에 따라 벨트(50)의 장력이 변하면 변화된 벨트의 장력과 탄성부재(60A, 60B)의 탄성력이 평형을 이루는 다른 지점으로 가동풀리(40A, 40B)가 축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풀리간격을 변화시키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의 무단변속 과정을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측의 고정풀리(30A) 및 가동풀리(40A)와 종동측의 고정풀리(30B) 및 가동풀리(40B)는 엇갈리게 배치되어 각각 구동축(10)과 종동축(20)에 삽입되고, 탄성부재(60A, 60B)는 가동풀리(40A, 40B)를 탄성 지지하되 구동측과 종동측에서 작용이 상반되도록 한다. 일례로 구동측의 탄성부재(60A)가 가동풀리(40A)와 고정풀리(30A)를 서로 밀착되도록 할 때, 종동측의 탄성부재(60B)는 가동풀리(40B)와 고정풀리(30B)를 서로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가동풀리(40A, 40B)에 회전가이드(70A, 70B)를 형성하는 이유는 가동풀리(40A, 40B)가 회전운동 없이 고정풀리(30A, 30B) 방향으로 직선운동만 할 수 있다면 벨트(50)를 밀어 올릴 때 큰 힘을 축방향으로 가해야 하므로, 풀리와 벨트(50) 간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벨트(50)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고, 자전거의 경우 인력의 한계상 벨트(50)를 밀어올리기에 충분한 힘을 가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회전가이드(70A, 70B)는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가동풀리(40A, 40B)가 축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동시에 고정풀리(30A, 30B)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탄성부재(60A, 60B)에 의한 축력은 회전가이드(70A, 70B)를 통하여 가동풀리(40A, 40B)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며 반대로 벨트(50)와 가동풀리(40A, 40B)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발생하는 가동풀리(40A, 40B)의 회전력은 회전가이드(70A, 70B)를 통하여 가동풀리(40A, 40B)의 축력으로 변환된다. 이때 탄성부재(60A, 60B)와 벨트(50)에 의해 발생하는 가동풀리(40A, 40B)의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따라서 회전가이드(70A, 70B)는 탄성부재(60A, 60B)에 의한 축력과 벨트(50)의 마찰력에 의해 가동풀리(40A, 40B)에 발생되는 서로 다른 두 회전력이 평형을 이루게 하는 작용을 한다.
한편 가동풀리(40A, 40B)는 탄성부재(60A, 60B)의 축력을 이용하여 회전가이드(70A, 70B)를 따라 회전하며 축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작은 축력으로 벨트를 용이하게 밀어 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또한 구동측과 종동측은 서로 반대로 작동하여 구동측의 풀리 간격이 좁아지면 종동측의 풀리 간격은 커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6(a)와 같이 정차시 또는 정상 주행시 등 구동측 부하토크(또는 벨트의 장력)가 작을 때에는 구동측 탄성부재(60A)에 의해 구동측 가동풀리(40A)에 발생하는 회전력이 벨트 장력에 의한 구동측 가동풀리(40A)의 반대 방향 회전력 보다 커서 구동측 가동풀리(40A)가 구동측 고정풀리(30A) 쪽으로 회전하며 이동한다. 따라서 구동측의 풀리간격이 최소가 되며(구동측의 유효반경은 최대가 되며), 종동측은 구동측과 반대로 작동하여 종동측의 풀리간격은 최대가 된다(종동측의 유효반경은 최소가 된다).
반대로 도 6(b)와 같이 출발시 또는 경사로 주행시 등 구동측 부하토크(또는 벨트의 장력)가 클 때에는 벨트 장력에 의해 구동측 가동풀리(40A)에 발생하는 회전력이 구동측 탄성부재(60A)에 의한 가동풀리(40A)의 반대 방향 회전력 보다 커서 구동측 가동풀리(40A)가 구동측 고정풀리(30A, 30B)의 반대쪽으로 회전하며 이동한다. 따라서 구동측의 풀리간격이 최대가 되며(구동측의 유효반경은 최소가 되며), 종동측은 구동측과 반대로 작동하여 종동측의 풀리간격은 최소가 된다(종동측의 유효반경은 최대가 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회전가이드(70A, 70B)는 굴곡부(71)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10) 및 종동축(20)에 고정되는 고정캠(72) 및 상기 가동풀리(40A, 40B)에 결합되어 상기 굴곡부(71)를 따라 이동하는 회전캠(7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캠(72) 및 회전캠(74)이 구동축(10) 및 종동축(20)에 삽입되고, 구동축(10) 및 종동축(20)에 삽입 고정되는 플랜지(76)에 지지되는 탄성부재(60A, 60B)에 의하여 가동풀리(40A, 40B)가 축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구성은 앞서 회전가이드(70A, 70B)와 같다.
상기 회전가이드(70A, 70B)의 다른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돌기(73)가 형성된 고정캠(72)과 나선형의 가이드홀(75)이 형성된 회전캠(74) 또는 나선형의 가이드홀(75)이 형성된 고정캠(72)과 가이드돌기(73)가 형성된 회전캠(74)일 수 있다.
고정캠(72) 및 회전캠(74)을 가동풀리(40A, 40B)나 고정풀리(30A, 30B)의 허브에 직접 형성할 수도 있으나 고장 수리나 부품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별도의 원통형 부재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페달이 회전되면 구동측의 회전가이드(70A)에 부하토크가 걸리는데, 상기 부하토크의 축방분력이 탄성부재(60A)의 반발력보다 크면 두 힘이 같아질 때까지 구동측 가동풀리(40A)가 고정풀리(30A)에서 멀어진다. 이때 회전캠(74)이 굴곡부(71) 또는 가이드돌기(73)를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가동풀리(40A)가 고정풀리(30A)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하면서 멀어지게 된다.
한편 구동측의 회전으로 벨트(50)가 감기면서 종동측의 회전가이드(70B)에도 부하토크가 걸려 종동측의 가동풀리(40B)가 움직이는데, 고정캠(72)이 회전캠(74)과 결합된 가동풀리(40B)를 고정풀리(30B) 쪽으로 밀게 되므로, 초기 가동풀리(40B)가 고정풀리(30B)와 이격된 상태에서 풀리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들러가 구비된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는 아이들러(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전거의 경우 운전자가 갑자기 과도하게 페달을 밟거나 급브레이크를 밟는 경우에 구동측의 풀리간격과 종동측의 풀리간격이 상보적으로 변하지 못해 벨트(50)와 풀리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거나 벨트(50)가 풀리에서 벗겨지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내부에 스프링을 구비한 아이들러(80)를 구비하여, 아이들러(80)의 스프링의 힘으로 지속적으로 벨트(50)의 하단부인 이완측을 밀어올려 항상 벨트(50)가 풀리 사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10: 구동축 11: 페달
20: 종동축 30A, 30B: 고정풀리
40A, 40B: 가동풀리 50: 벨트
60A, 60B: 탄성부재 70A, 70B: 회전가이드
71: 굴곡부 72: 고정캠
73: 가이드돌기 74: 회전캠
75: 가이드홀 80: 아이들러

Claims (7)

  1. 구동축(10) 및 종동축(20)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10)에 페달(11)이 결합되는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0) 및 상기 종동축(20)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풀리(30A, 30B);
    상기 고정풀리(30A, 30B)에 대해 유동되도록 상기 구동축(10) 및 상기 종동축(20)에 각각 결합되는 가동풀리(40A, 40B);
    상기 고정풀리(30A, 30B) 및 상기 가동풀리(40A, 40B)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페달(11)의 토크에 의해 장력이 발생되는 벨트(50) 및
    상기 가동풀리(40A, 40B) 외측의 상기 구동축(10) 및 상기 종동축(20) 상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가동풀리(40A, 40B)의 축방향 이동을 탄성적으로 제한하는 탄성부재(60A, 60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동풀리(40A, 40B)는 상기 벨트(50)의 장력 및 상기 탄성부재(60A, 60B)의 탄성력만으로 상기 구동축(10) 및 상기 종동축(20) 상에서 이동하며,
    상기 벨트(50)의 장력에 의한 축방분력이 상기 탄성부재(60A, 60B)의 탄성력보다 클 경우 상기 가동풀리(40A, 40B)는 각각 상기 고정풀리(30A, 30B)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벨트(50)의 장력에 의한 축방분력이 상기 탄성부재(60A, 60B)의 탄성력보다 작을 경우 상기 가동풀리(40A, 40B)는 상기 고정풀리(30A, 30B)에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구동축(10) 및 상기 종동축(20)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가동풀리(40A, 40B)에 결합되는 회전가이드(70A, 70B)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70A, 70B)는,
    굴곡부(71)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10) 또는 종동축(20)에 고정되는 고정캠(72) 및 상기 가동풀리(40A, 40B)에 결합되어 상기 굴곡부(71)를 따라 회전되는 회전캠(7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70A, 70B)는,
    가이드돌기(73)가 형성된 고정캠(72) 및 상기 가이드돌기(73)에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홀(75)이 형성된 회전캠(7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0)에 설치되는 고정풀리(30A) 및 가동풀리(40A)와, 상기 종동축(20)에 설치되는 고정풀리(30B) 및 가동풀리(40B)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60A, 60B)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벨트(50)에 설치되는 아이들러(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
KR1020120060030A 2012-06-04 2012-06-04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 KR101348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030A KR101348822B1 (ko) 2012-06-04 2012-06-04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030A KR101348822B1 (ko) 2012-06-04 2012-06-04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320A KR20130136320A (ko) 2013-12-12
KR101348822B1 true KR101348822B1 (ko) 2014-01-14

Family

ID=49983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030A KR101348822B1 (ko) 2012-06-04 2012-06-04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8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267A (ko) 2016-09-28 2018-04-06 계양전기 주식회사 전기 자전거용 변속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5693A (zh) * 2017-11-15 2018-02-23 张家港川梭车业有限公司 一种两挡变速传动装置
CN108502093A (zh) * 2018-05-28 2018-09-07 崔伟 传动组件、自行车传动装置及自行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4567A (ja) * 1991-11-01 1993-05-21 Suzuki Motor Corp スクータのvベルト駆動装置
KR20010106046A (ko) * 2000-05-20 2001-11-29 김순곤 자전거용 무단변속기
KR100586631B1 (ko) * 2004-04-02 2006-06-12 오천도 자전거용 무단 변속장치
KR100978624B1 (ko) * 2010-01-25 2010-08-27 변환영 자전거용 변속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4567A (ja) * 1991-11-01 1993-05-21 Suzuki Motor Corp スクータのvベルト駆動装置
KR20010106046A (ko) * 2000-05-20 2001-11-29 김순곤 자전거용 무단변속기
KR100586631B1 (ko) * 2004-04-02 2006-06-12 오천도 자전거용 무단 변속장치
KR100978624B1 (ko) * 2010-01-25 2010-08-27 변환영 자전거용 변속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267A (ko) 2016-09-28 2018-04-06 계양전기 주식회사 전기 자전거용 변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320A (ko)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29180B1 (en) Pulley assembly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1659222B1 (ko)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
KR101348822B1 (ko)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
US5358450A (en) Driven pulley with flyweights effective at low speeds
KR101202832B1 (ko) 무단변속기가 구비된 전기 차량의 동력전달장치
KR20150132141A (ko) 액세서리 드라이브 디커플러
TW201817997A (zh) 離心離合器
KR100767461B1 (ko) 자동 무단 변속기
KR102147025B1 (ko)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
KR101331716B1 (ko) 무단변속장치
JP5994056B2 (ja) 従動側プーリー
EP1809927B1 (en) Noise damper for a driven pulley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1307691B1 (ko) 자전거 무단변속장치
US6997833B2 (en) Double-sided sliding button for use in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20030046332A (ko) 구동 링 무단 변속 벨트
KR20140102592A (ko)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
JP4463859B2 (ja) Vベルト式自動変速装置の従動側プーリ
KR102003642B1 (ko) 등속 및 무단자동 변속 장치
KR20120009218A (ko) 다목적 운반차량의 무단변속장치의 속도제한구조
US8790199B2 (en) Radial diaphragm spring clutch
KR101255102B1 (ko) 수동식 무단변속장치
KR101746964B1 (ko) 동력 전달 장치
KR101654132B1 (ko) 무단변속기
JP2009250337A (ja) Vベルト式自動変速装置の従動プーリ
KR100694878B1 (ko) 자전거용 마찰전동 무단변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