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688B1 -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688B1
KR101636688B1 KR1020140039812A KR20140039812A KR101636688B1 KR 101636688 B1 KR101636688 B1 KR 101636688B1 KR 1020140039812 A KR1020140039812 A KR 1020140039812A KR 20140039812 A KR20140039812 A KR 20140039812A KR 101636688 B1 KR101636688 B1 KR 101636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ate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ow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0852A (ko
Inventor
노부야스 이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0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1Switching on or off, e.g. for saving power when not in u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8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 G06F3/1221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with regard to power consump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6Control thereof using a low-power mode, e.g. standb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Abstract

화상형성장치는, 물체를 검출하는 검출유닛과, 유저의 조작을 수신하는 수신유닛과, 검출유닛에 의해 물체가 검출되었을 경우에, 화상형성장치의 전력상태를 제1 전력상태로부터 제1 전력상태와는 다른 제2 전력상태로 이행시키고, 수신유닛이 유저의 조작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의 전력상태를 제2 전력상태로부터 제1 전력상태로 이행시키는 이행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사람 등의 물체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가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된 센서로 사람 등의 물체를 검출했을 경우에,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복귀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2-118253호 참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2-118253호에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해당 화상형성장치 주변의 소정범위 내에 존재하는 이동체를 검출하는 센서를 가지고 있다. 해당 센서가 상기 이동체를 검출했을 경우에, 화상형성장치가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전력 절약 상태보다 소비 전력량이 큰 스탠바이 상태로 이행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2-118253호에 개시되는 화상형성장치는, 상술한 센서에 더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전력상태를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상태로 이행시키는 절전 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유저에 의해 절전 버튼이 눌러지면, 화상형성장치는,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상태로 이행한다.
이 절전 버튼은, 화상형성장치의 전력상태를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상태로 복귀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화상형성장치의 전력상태를 스탠바이 상태로부터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키는 기능도 겸하는 경우가 있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2-248961호 참조). 화상형성장치의 전력상태를 나타내는 파워 모드 레지스터의 값이 "001"(화상형성장치가 전력 절약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인 상태에서, 절전 버튼이 눌러지면,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력상태를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상태로 이행시킨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전력상태를 나타내는 파워 모드 레지스터의 값이 "010"(화상형성장치가 스탠바이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인 상태에서, 절전 버튼이 눌러지면,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량상태를 스탠바이 상태로부터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킨다.
센서가 사람 등의 물체를 검출한 것에 응답해서,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상태로 이행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센서가 사람 등의 물체를 검출하고나서, 화상형성장치가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상태로 복귀할 때까지 소정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왜냐하면, 전력의 공급이 개시된 디바이스가 기동 처리에 소정의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기동 동작 때문에, 유저가 화상형성장치 앞에 도착했을 때, 화상형성장치가 스탠바이 상태로 복귀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 앞에 도착한 유저는, 화상형성장치가 스탠바이 상태로 복귀하지 않았다고 착각하고, 화상형성장치를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해서 절전 버튼을 누른다.
그렇지만, 센서가 물체를 검출한 것에 응답해서 화상형성장치가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상태로 이행하고 있는 동안에 절전 버튼이 눌러지면, 화상형성장치는, 해당 절전 버튼의 누름 동작이 스탠바이 상태로부터 전력 절약 상태로의 이행 지시라고 판단한다. 왜냐하면, 센서가 사람 등의 물체를 검출한 시점에서, 화상형성장치의 파워 모드 레지스터의 값이 "010"이 되고, 해당 레지스터의 값이 "010"일 때에, 절전 버튼이 눌러지기 때문이다. 그 결과, 화상형성장치는,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상태로 이행한 후, 금방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한다
본 발명의 국면들은, 일반적으로 센서에 의해 물체가 검출된 것에 응답해서 화상형성장치가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복귀하고 있는 동안에 절전 버튼이 눌러지더라도, 화상형성장치가 불필요하게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지향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하면, 화상형성장치는, 물체를 검출하는 검출유닛과, 유저의 조작을 수신하는 수신유닛과, 상기 검출유닛이 물체를 검출했을 경우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력상태를 제1 전력상태로부터 상기 제1 전력상태와는 다른 제2 전력상태로 이행시키고, 상기 수신유닛이 유저의 조작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력상태를 상기 제2 전력상태로부터 상기 제1 전력상태로 이행시키는 이행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이행유닛은, 물체가 검출된 후에,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제2 전력상태로 이행하는 중에 수신한 유저의 조작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2 전력상태로부터 상기 제1 전력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그 외의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밝혀질 것이다.
도 1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정면도다.
도 2는 화상형성장치의 평면도다.
도 3은 화상형성장치의 하드웨어 블럭도다.
도 4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계를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5는 화상형성장치의 전력 제어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6은 화상형성장치의 전력 천이도다.
도 7a, 7b, 7c, 및 7d는 화상형성장치의 센서의 검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센서에 의한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경우의 전력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9는 절전 버튼에 의한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경우의 전력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또 다른 조건에 의한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경우의 전력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센서에 의한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경우의 전력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다.
도 12는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평면도다.
도 13은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하드웨어 블럭도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 특징 및 국면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의 개략>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카피 기능, 프린트 기능, 스캔 기능, 및 팩시밀리 기능 등의 복수의 기능을 갖는 MFP(Multi function Peripheral)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MFP를 이용하지만, 본 예시적인 실시예는 MFP에 한정되지 않고, SFP(Single function Peripheral)을 이용해도 된다. 이 화상형성장치(100)는,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하나 또는 복수의 PC(personal computer) 등의 외부장치(101)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이 전화 네트워크를 통해서, 팩시밀리 수신 및 팩시밀리 송신을 행할 수 있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사람 등의 물체가 접근한 것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6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센서(610)는 사람 및 동물 등의 생물뿐만 아니라, 로봇 등의 무생물도 포함하는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610)가 사람 등의 물체를 검출한 경우에, 화상형성장치(100)가 전력 절약 상태(제1 전력상태)(S2)로부터 스탠바이 상태(제2 전력상태)(S1)로 이행한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력상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센서(61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정면에 장착되어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정면에 존재하는 물체를 검출하기 위해서, 센서(61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정면에 검출 범위 SA를 갖는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0)는, 콘트롤러부(200), 팩스부(300), ADF(Auto Document Feeder)(400), 조작부(500), 센서부(600), LAN(Local Area Network) 콘트롤러(700), 스토리지(800), 프린터 제어부(900), 프린터부(910), 스캐너 제어부(920), 및 스캐너부(930)를 구비하고 있다.
<콘트롤러부(200)에 대해서>
콘트롤러부(20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콘트롤러부(200)는, CPU(210), ROM(read-only memory)(220), RAM(random access memory)(230), 화상 묘사부(240), 타이머(250), 및 전력 제어부(260)를 가지고 있다.
CPU(210)는, 콘트롤러부(200)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ROM(220)은, 화상형성장치(100)의 기동 프로그램, 각종 설정값 및 그 밖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RAM(230)은, CPU(210)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화상 묘사부(240)는, 스캐너부(930)로 판독한 화상 데이터 및 외부장치(101)로부터 수신한 PDL(Page Description Language) 데이터에 의거하여 생성한 화상 데이터에 색공간 변환 등의 화상 처리를 행한다. 화상 묘사부(240)는, 화상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비트맵 데이터로 변환한다. 비트맵 데이터는, 프린터부(910)에 출력된다. 프린터부(910)가 해당 비트맵 데이터에 의거하여 용지에 화상을 형성한다.
타이머(250)는, 시간을 계측한다.
전력 제어부(26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부에의 전력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한다. 또한, 전력 제어부(260)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팩스부(300)에 대해서>
팩스부(300)는, 전화 네트워크를 통해서, 팩시밀리의 수신 및 팩시밀리의 송신을 행한다. 이 팩스부(300)는, CPU(301), ROM(302), RAM(303), 모뎀(304) 및 수신 검출부(305)를 갖는다.
CPU(301)는, 콘트롤러부(200)와 연계해서 팩시밀리의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한다.
ROM(302)은, 팩스부(300)의 기동 프로그램, 각종 설정 값 및 그 밖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RAM(303)은, CPU(301)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모뎀(304)은, 팩시밀리의 수신 및 송신을 위한 변조를 행한다.
수신 검출부(305)는, 팩시밀리를 수신한 것을 검출한다. 수신 검출부(305)는, 팩시밀리를 수신한 것에 응답해서, 전력 제어부(260)에 인터럽트 신호 Interrupt_F를 송신한다.
<ADF(400)에 대해서>
ADF(400)는, 스캐너부(930)의 원고 판독부(도시 생략)에, 자동으로 원고를 급지한다. 이 ADF(400)는, 세트된 원고를 검출하기 위한 원고 검출 센서(401)를 가지고 있다. 원고 검출 센서(401)는, 원고가 놓인 것을 검출했을 경우, 전력 제어부(260)에 인터럽트 신호 Interrupt_D를 송신한다.
<조작부(500)에 대해서>
조작부(500)는, 표시부(510)와 각종 키(520)를 가지고 있다.
표시부(51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스테이터스(status)를 표시하는 스테이터스 화면, 카피 기능 및 팩스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설정 화면 등을 표시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종 키(520)는, 숫자판(521), 스타트 키(522) 및 절전 버튼(523)을 포함하고 있다. 절전 버튼(523)은,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력 상태를 이행시키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 절전 버튼(523)은, 유저의 조작을 수신한다. 화상형성장치(100)가 전력 절약 상태(S2)인 상태에서, 유저에 의해 절전 버튼(523)이 눌러지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전력 절약 상태(S2)로부터 스탠바이 상태(S1)로 이행한다. 화상형성장치(100)가 스탠바이 상태(S1)일 때에 유저에 의해 절전 버튼(523)이 눌러지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스탠바이 상태(S1)로부터 전력 절약 상태(S2)로 이행한다. 절전 버튼(523)이 눌러졌을 경우, 전력 제어부(260)에 인터럽트 신호 Interrupt_O를 송신한다.
<센서부(600)에 대해서>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센서부(600)는, 상술한 센서(610)와, 센서(610)의 검출 결과를 해석하는 제어회로(620)를 갖는다. 센서(610)는, 복수의 검출부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적외선 어레이 센서다. 각 검출부는, 사람 등의 열원으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을 수광하고, 해당 수광한 적외선을 전기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하는 패시브 센서(passive sensor)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각 검출부는, 초전도 효과(pyroelectric effect)에 의거해 적외선을 검출하는 소자다. 해당 센서(610)에 이용되는 검출부는, 상술한 패시브 센서에 한정하지 않고, 대상물에 적외선을 조사하고, 그 대상물로부터의 반사광을 수신하는 액티브 센서를 이용해도 된다. 제어회로(620)는, 센서(610)의 각 부로부터 출력된 전기신호에 의거하여, 물체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접근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제어회로(620)에 의해 물체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접근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제어회로(620)는, 전력 제어부(260)에 인터럽트 신호 Interrupt_S를 출력한다. 도 7a는, 복수의 검출부의 모두가 물체를 검출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7b는, 복수의 검출부의 일부의 검출부(도 7b에서, 5개의 검출부)가 물체를 검출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c는, 복수의 검출부의 일부의 검출부(도 7c에서, 11개의 검출부)가 물체를 검출한 상태를 나타낸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회로(620)는, 10개 이상의 검출부가 물체를 검출했을 경우에, 물체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접근했다고 판정한다. 이때, 제어회로(620)는, 전력 제어부(260)에 인터럽트 신호 Interrupt_S를 출력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10개 이상의 검출부가 물체를 검출했을 경우에, 제어회로(620)는 물체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접근했다고 판정했지만, 물체를 검출하는 검출부의 개수는, 10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물체를 검출하는 검출부의 개수가 10개 이상이어도, 도 7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물체를 검출하는 검출부가 서로 인접하지 않을 경우, 제어회로(620)는, 물체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접근했다고 판단하지 않는다.
센서(610)는, 상술한 적외선 어레이 센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센서(610)는, 적외선 센서를 라인 형태로 배열한 적외선 라인 센서여도 된다. 또한, 센서(610)는, 사람에게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검출해서 그 변화량에 의거해서 사람의 유무를 판단하는 초전도 센서를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한 초전도 어레이 센서여도 된다. 또한, 센서(610)는 초전도 센서를 라인 형태로 배열한 초전도 라인형 센서여도 된다. 이 센서(610)는, 상술한 적외선 센서와 초전도 센서로 구성되어도 된다. 센서(610)로서는, 카메라를 이용해도 된다. 물체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접근했다고 판단하는 방법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수의 소자가 물체를 검출했을 때에, 물체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접근했다고 판단한다.
<LAN 콘트롤러(700)에 대해서>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LAN 콘트롤러(7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외부장치(101)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LAN 콘트롤러(700)에는, 전력 절약 상태(S2)에서 전력이 공급된다. 전력 절약 상태(S2)에서, LAN 콘트롤러(700)가 외부장치(101)로부터 인쇄 요구 등의 패킷을 수신했을 경우, LAN 콘트롤러(700)는 전력 제어부(260)에 인터럽트 신호 Interrupt_L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LAN 콘트롤러(700)는, 해당 패킷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한 스탠바이 상태(S1)로 이행한다. LAN 콘트롤러(700)는, LAN 콘트롤러(700)가 외부장치(101)로부터 상태의 문의 등의 패킷을 수신했을 경우, 전력 절약 상태(S2)인 채로, 해당 패킷에 대하여 응답하는 대리 응답 기능을 가지고 있다.
<스토리지(800)에 대해서>
스토리지(80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이다. 스토리지(800)로서, HDD 외의 SSD(solid state drive) 등을 사용해도 된다.
<프린터 제어부(900)에 대해서>
프린터 제어부(900)는, 예를 들면, 전자사진방식에 따라, 기록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터부(910)를 제어한다. 이 프린터 제어부(900)에는, 후술하는 전원장치(150)의 제3 전원부(153)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스캐너 제어부(920)에 대해서>
스캐너 제어부(920)는, 원고에 형성된 화상을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스캐너부(930)를 제어한다. 이 스캐너 제어부(920)에는, 후술하는 전원장치(150)의 제3 전원부(153)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전원장치(150)에 대해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상술한 각 블록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장치(150)를 구비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원장치(150)는, 교류 전원 P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고,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장치(150)는, 3.3V의 전압을 생성하는 제1 전원부(151)와, 12V의 전압을 생성하는 제2 전원부(152)와, 24V의 전압을 생성하는 제3 전원부(153)를 포함하고 있다. 전원장치(150)는, 제2 전원부(152)에의 교류전압의 입력과 차단을 전환하는 릴레이 154, 및 제3 전원부(153)에의 교류전압의 입력과 차단을 전환하는 릴레이 155를 포함하고 있다. 콘트롤러부(200)의 전력 제어부(260)는 릴레이 154 및 릴레이 155의 온 상태 및 오프 상태를 전환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부(260)는, 릴레이 154에 대하여, Relay_ON 신호를 출력하여, 릴레이 154를 온 상태로 설정하고, Relay_OFF 신호를 출력하여, 릴레이 154를 오프 상태로 설정한다. 전력 제어부(260)는, 릴레이 155에 대하여, Relay_ON 신호를 출력하여 릴레이 155를 온 상태로 설정하고, Relay_OFF 신호를 출력하여 릴레이 155를 오프 상태로 설정한다.
상술한 전원부(제1 전원부(151), 제2 전원부(152), 및 제3 전원부(153))와 교류전원 P와의 사이에는, 스위치 156이 설치되어 있다. 유저는 이 스위치 156의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유저가 스위치 156을 온 상태로 설정하면, 교류전원 P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로 전력이 공급된다. 유저가 스위치 156을 오프 상태로 설정하면, 교류전원 P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로의 전력공급이 차단된다.
제1 전원부(151)는, 생성한 전압을, 콘트롤러부(200)의 전력 제어부(160), 및 RAM(230)에 공급한다. 또한, 제1 전원부(151)는, 생성한 전압을, 센서부(600), LAN 콘트롤러(700), 조작부(500)의 절전 버튼(523), ADF(400)의 원고 검출 센서(401), 및 팩스부(300)의 수신 검출부(305)에 공급한다.
제2 전원부(152)는, 생성한 전압을, 콘트롤러부(200)의 CPU(210), ROM(220), 및 화상 묘사부(240)에 공급한다. 또한, 제2 전원부(152)는, 생성한 전압을, 조작부(500)의 절전 버튼(523) 이외의 부분(예를 들면, 백라이트(미도시))에 공급한다. 또한, 제2 전원부(152)는, 생성한 전압을, ADF(400)의 원고 검출 센서(401) 이외의 부분, 및 팩스부(300)의 수신 검출부(305) 이외의 부분(CPU(301), ROM(302), RAM(303), 및 모뎀(304))에 공급한다.
제3 전원부(153)는, 생성한 전압을, 프린터 제어부(900) 및 스캐너 제어부(920)에 공급한다.
<전력 제어부(260)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해서 전력 제어부(260)의 상세에 관하여 설명한다.
전력 제어부(260)는,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이다.
전력 제어부(260)는, 인터럽트 신호 입력부(261)와, 파워 모드 레지스터(이하, 레지스터라고 칭한다)(262)와, 플래그(변수)(263)와, 전력제어신호 출력부(264)와, 전력 관리부(265)를 포함하고 있다. 이 전력 제어부(260)가, 상술한 인터럽트 신호 Interrupt_S, Interrupt_L, Interrupt_O, Interrupt_D 혹은 Interrupt_F를 수신했을 때에, 레지스터(262)의 값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부의 전력 제어를 행한다.
인터럽트 신호 입력부(261)는, 전술한 인터럽트 신호 Interrupt_S, Interrupt_L, Interrupt_O, Interrupt_D 혹은 Interrupt_F를 수신한다.
레지스터(262)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력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력상태가 스탠바이 상태(S1)인 경우에는, 레지스터(262)에 "010"이 설정된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력상태가 전력 절약 상태(S2)인 경우에는, 레지스터(262)에 "001"이 설정된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력상태가 전원 오프 상태(S3)인 경우에는, 레지스터(262)에 "100"이 설정된다.
플래그(263)에는, 절전 버튼(523)으로부터의 인터럽트 신호 Interrupt_O를 유효하게 할 것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플래그(263)가 "00"로 설정될 경우에는, 전력 관리부(265)는, 절전 버튼(523)으로부터의 인터럽트 신호 Interrupt_O를 무시한다. 한편, 플래그(263)가 "11"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전력제어신호 출력부(264)는, 절전 버튼(523)으로부터의 인터럽트 신호 Interrupt_O에 따라, Relay_ON 신호 및 Relay_OFF 신호를 출력한다.
전력제어신호 출력부(264)는, Relay_ON 신호 및 Relay_OFF 신호를 출력한다.
전력 관리부(265)는, 인터럽트 신호 입력부(261)가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레지스터(262) 및 플래그(263)가 나타내는 정보에 의거하여, 전력제어신호 출력부(264)가 Relay_ON 신호 혹은 Relay_OFF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제어한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력 천이도>
도 6은,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력 천이도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스탠바이 상태(S1), 전력 절약 상태(S2),및 전원 오프 상태(S3)의 3개의 상태를 갖는다.
스탠바이 상태(S1)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0)의 프린터부(910) 및 스캐너부(930) 등의 각 부에 전력이 공급된다. 스탠바이 상태에서는, 프린터부(910)에 의한 인쇄와 스캐너부(930)에 의한 원고의 판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탠바이 상태(S1)에서는, 릴레이 154 및 릴레이 155가 온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2 전원부(152)로부터, CPU(210), ROM(220), 화상 묘사부(240), 조작부(500)(절전 버튼(523)을 제외한다), ADF(400)(원고 검출 센서(401)를 제외한다), 팩스부(300)(수신 검출부(305)를 제외한다), 및 스토리지(800)에 전력이 공급된다. 스탠바이 상태(S1)에서는, 제3 전원부(153)로부터 프린터 제어부(900) 및 스캐너 제어부(920)에 전력이 공급된다. 스탠바이 상태(S1)에서는, 제1 전원부(151)로부터 센서부(600), LAN 콘트롤러(700), 조작부(500)의 절전 버튼(523), ADF(400)의 원고 검출 센서(401) 및 팩스부(300)의 수신 검출부(305)에 전력이 공급된다.
전력 절약 상태(S2)에서는, 스탠바이 상태(S1)보다 소비 전력량이 작다. 이 전력 절약 상태(S2)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0)의 프린터부(910) 및 스캐너부(930)에의 전력 공급이 정지된다. 전력 절약 상태에서는, 프린터부(910)에 의한 인쇄와 스캐너부(930)에 의한 원고의 판독을 행할 수 없다. 전력 절약 상태(S2)에서는, 릴레이 154 및 릴레이 155가 오프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제2 전원부(152) 및 제3 전원부(153)로부터 전력의 공급이 정지된다. 이 전력 절약 상태(S2)에서는, 제1 전원부(151)로부터 RAM(230), 전력 제어부(260), 센서부(600), LAN 콘트롤러(700), 조작부(500)의 절전 버튼(523), ADF(400)의 원고검출 센서(401), 및 팩스부(300)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 전력 절약 상태(S2)에서는, 이하의 스탠바이 상태(S1)로의 이행 조건 중의 하나를 충족시켰을 경우에, 전력 절약 상태(S2)가 스탠바이 상태(S1)로 이행한다.
·센서(610)가 물체를 검출했다.
·절전 버튼(523)이 눌러졌다.
·LAN 콘트롤러(700)가 프린트 요구 등의 데이터를 수신했다.
·팩스부(300)의 수신 검출부(305)가 팩시밀리를 수신했다.
·ADF(400)의 원고 검출 센서(401)가 원고를 검출했다.
스탠바이 상태(S1)에서는, 이하의 전력 절약 상태(S2)로의 이행 조건 중의 하나를 충족시켰을 경우에, 스탠바이 상태(S1)가 전력 절약 상태(S2)로 이행한다.
·LAN 콘트롤러(700)가 프린트 요구 등의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고 소정시간이 경과했다.
·조작부(500)의 조작 없이 소정시간이 경과했다.
·절전 버튼(523)이 눌러졌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에서는, 상술한 조건들 중의 하나가 충족되었을 때, 화상형성장치(100)가 스탠바이 상태(S1)로부터 전력 절약 상태(S2)로 이행한다. 상술한 조건들은 단지 예시에 불과하다. 예를 들면, LAN 콘트롤러(700)가 프린트 요구 등의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았고, 조작부(500)의 조작 없이 소정시간이 경과했을 때, 화상형성장치(100)는 전력 절약 상태(S2)로 이행해도 된다.
전원 오프 상태(S3)에서는, 전력 절약 상태(S2)보다 소비 전력량이 작다. 이 전원 오프 상태(S3)에서는, 유저에 의해 스위치(156)가 오프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부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된다.
스탠바이 상태(S1) 또는 전력 절약 상태(S2)에서, 유저에 의해 스위치(156)가 오프 상태로 되었을 경우, 화상형성장치(100)가 전원 오프 상태(S3)로 된다. 전원 오프 상태(S3)에서, 유저에 의해 스위치(156)가 온 상태로 되었을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스탠바이 상태(S1)로 된다. 전원 오프 상태(S3)에서, 유저에 의해 스위치(156)가 온 상태로 되었을 경우, 화상형성장치(100)가 전력 절약 상태(S3)로 되어도 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상술한 3개의 상태 이외의 전력상태가 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상술한 전력상태 이외에, 서스팬드(suspend) 상태 및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상태로 되어도 된다. 서스팬드 상태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0)는 스탠바이 상태(S1)로 고속으로 복귀가능하다. 이 서스팬드 상태에서는, RAM(230)에의 전력 공급이 유지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RAM(230)에 기억된 화상형성장치(100)의 상태를 이용해서 스탠바이 상태(S1)로 기동한다. 하이버네이션 상태에서도, 화상형성장치(100)가 스탠바이 상태(S1)로 고속으로 복귀가능하다. 이 하이버네이션 상태에서는, 전력상태가 전원 오프 상태(S3)와 같으며,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부에의 전력공급은 정지된다. 다만, 하이버네이션 상태가 전원 오프 상태(S3)과 다른 점은, 하이버네이션 상태로 이행하기 전에, 화상형성장치(100)의 상태가 스토리지(800)에 기억되어 있다는 점이다. 하이버네이션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상태(S1)로 복귀할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100)는, 스토리지(800)에 기억된 정보에 의거하여 고속으로 복귀한다.
<센서(610)에 의한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때의 전력 제어부(260)의 동작에 대해서>
다음에, 도 8을 참조하여, 센서(610)에 의한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때의 전력 제어부(26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전력 제어부(260)가 도 8의 플로차트에 따른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이하의 동작이 실행된다.
스텝 S100에서, 센서(610)에 의해 물체가 검출되어, 제어회로(620)에 의해 물체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접근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센서(610)에 의한 인터럽트 신호 Interrupt_S가 전력 제어부(260)에 입력된다. 스텝 S101에서, 인터럽트 신호 Interrupt_S가 입력된 전력 제어부(260)는, 레지스터(262)의 값을 확인한다. 레지스터(262)의 값이 "010"(화상형성장치(100)의 전력상태가 스탠바이 상태(S1)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스텝 S101에서 NO), 전력 제어부(260)의 처리는 종료한다. 레지스터(262)의 값이 "001"(화상형성장치(100)의 전력상태가 전력 절약 상태(S2)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스텝 S101에서 YES), 스텝 S102에서는, 절전 버튼(523)에 의한 인터럽트를 무효화한다.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부(260)의 전력 관리부(265)가 플래그(263)을 "00"으로 설정한다. 이 동작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가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상태로 복귀하고 있는 동안에 절전 버튼(523)으로부터의 인터럽트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스텝 S103에서는, 전력 제어부(260)가, 릴레이 154 및 릴레이 155에 대하여 Relay_ON 신호를 출력한다. 이 동작을 통해서, 릴레이 154 및 릴레이 155가 온 상태가 되고, 제2 전원부(152)로부터 CPU(210) 및 그 밖의 유닛에 전력이 공급됨과 동시에 제3 전원부(153)로부터 프린터 제어부(900) 및 그 밖의 유닛에 전력이 공급된다. 상술한 "절전 버튼(523)에 의한 인터럽트를 무효화하는"이란, 절전 버튼(523)에 의한 인터럽트 신호 Interrupt_O가 입력되어도, 전력 관리부(265)가 해당 신호 Interrupt_O를 무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절전 버튼(523)에 의한 인터럽트를 무효화하는" 동작에서는, 인터럽트 신호 Interrupt_O가 전력 제어부(260)에 입력되지 않도록 제어를 행해도 된다.
스텝 S104에서, 전력 제어부(26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력상태가 스탠바이 상태(S1)가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부(260)는, CPU(210)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력상태가 스탠바이 상태(S1)가 된 것이 통지되었을 경우에, 전력 제어부(26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력상태가 스탠바이 상태(S1)가 되었다고 판단한다(스텝 S104에서 YES). 전력 제어부(26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력상태가 스탠바이 상태(S1)가 된 것이 CPU(210)로부터 통지되었을 경우(스텝 S104에서 YES), 스텝 S105에서, 전력 제어부(260)는, 레지스터(262)의 값을 "010"로 설정한다. 그리고나서, 전력 제어부(260)는, 절전 버튼(523)에 의한 인터럽트의 무효화 상태를 해제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텝 S106에서, 전력 제어부(260)는 플래그(263)을 "11"으로 설정한다.
<절전 버튼(523)에 의한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때의 전력 제어부(260)의 동작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여, 절전 버튼(523)에 의한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때의 전력 제어부(26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전력 제어부(260)가 도 9의 플로차트에 따른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이하의 동작이 실행된다.
스텝 S200에서, 절전 버튼(523)이 눌러졌을 경우, 절전 버튼(523)에 의한 인터럽트 신호 Interrupt_O가 전력 제어부(260)에 입력된다. 스텝 S201에서, 인터럽트 신호 Interrupt_O가 입력된 전력 제어부(260)는, 절전 버튼(523)에 의한 인터럽트가 무효화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부(260)는, 플래그(263)가 "00"으로 설정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플래그(263)가 "00"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스텝 S201, YES), 전력 제어부(260)의 처리는 종료한다.
플래그(263)가 "11"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스텝 S201에서 NO), 스텝 S202에서, 전력 제어부(260)는 레지스터(262)의 값을 확인한다. 레지스터(262)의 값이 "010"(화상형성장치(100)의 전력상태가 스탠바이 상태(S1)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스텝 S202에서 NO), 스텝 S203에서, 전력 제어부(260)는, 릴레이 154 및 릴레이 155의 각각에 Relay_OFF 신호를 출력한다. 이 동작에 의해, 릴레이 154 및 릴레이 155가 오프 상태가 되고, 제2 전원부(152)로부터 CPU(210) 등의 유닛에의 전력의 공급이 정지됨과 동시에 제3 전원부(153)로부터 프린터 제어부(900) 및 그 밖의 유닛으로의 전력의 공급이 정지된다. 스텝 S204에서, 전력 제어부(260)는, 레지스터(262)의 값을 "001"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부(260)는, CPU(210)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력상태가 전력 절약 상태(S2)인 것이 통지되었을 때에, 전력 제어부(260)는 레지스터(262)의 값을 "001"로 설정한다.
레지스터(262)의 값이 "001"(화상형성장치(100)의 전력상태가 전력 절약 상태(S2)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스텝 S202에서 YES), 스텝 S205에서, 전력 제어부(260)는 릴레이 154 및 릴레이 155에 대하여 Relay_ON 신호를 출력한다. 이 동작을 통해서, 릴레이 154 및 릴레이 155가 온 상태가 되고, 제2 전원부(152)로부터 CPU(210) 및 그 밖의 유닛에 전력이 공급됨과 동시에 제3 전원부(153)로부터 프린터 제어부(900) 및 그 밖의 유닛에 전력이 공급된다. 스텝 S206에서, 전력 제어부(260)는, 레지스터(262)의 값을 "010"으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부(260)는, CPU(210)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력상태가 스탠바이 상태(S1)가 된 것이 통지되었을 때에, 전력 제어부(260)는 레지스터(262)의 값을 "010"으로 설정한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센서(610)로부터의 인터럽트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0)가 전력 절약 상태(S2)로부터 복귀하고 있는 동안에, 절전 버튼(523)이 눌러졌다고 해도, 화상형성장치(100)는 전력 절약 상태(S2)로 이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조건에 의해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때의 전력 제어부(260)의 동작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센서(610)에 의한 인터럽트 및 절전 버튼(523)에 의한 인터럽트 이외의 인터럽트(이하의 3개의 조건 중의 하나)가 발생했을 때가 행해지는 전력 제어부(26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전력 제어부(260)가 도 10의 플로차트에 따른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이하의 동작이 실행된다.
·LAN 콘트롤러(700)가 외부장치(101)로부터 인쇄 요구 등의 특정한 패킷을 수신한다(즉, 인터럽트 신호 Interrupt_O가 전력 제어부(260)에 입력된다).
·원고 검출 센서(401)가 원고를 검출한다(즉, 인터럽트 신호 Interrupt_D가 전력 제어부(260)에 입력된다).
· 수신 검출부(305)가 팩시밀리 데이터를 수신한다(즉, 인터럽트 신호 Interrupt_F가 전력 제어부(260)에 입력된다).
스텝 S300에서, 상술한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경우, 스텝 S301에서, 전력 제어부(260)는 레지스터(262)의 값을 확인한다. 레지스터(262)의 값이 "010"(화상형성장치(100)의 전력상태가 스탠바이 상태(S1)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스텝 S301에서 NO), 전력 제어부(260)에 의한 처리는 종료한다. 레지스터(262)의 값이 "001"(화상형성장치(100)의 전력상태가 전력 절약 상태(S2)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스텝 S301에서 YES), 스텝 S302에서, 전력 제어부(260)는 릴레이 154 및 릴레이 155에 대하여 Relay_ON 신호를 출력한다. 이 동작을 통해서, 릴레이 154 및 릴레이 155가 온 상태가 되고, 제2 전원부(152)로부터 CPU(210) 및 그 밖의 유닛에 전력이 공급됨과 동시에 제3 전원부(153)로부터 프린터 제어부(900) 등의 유닛에 전력이 공급된다. 스텝 S303에서, 전력 제어부(260)는, 레지스터(262)의 값을 "010"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부(260)는, CPU(210)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력상태가 스탠바이 상태(S1)인 것이 통지되었을 때에, 전력 제어부(260)는 레지스터(262)의 값을 "010"로 설정한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스탠바이 상태(S1)로 복귀했을 경우, 절전 버튼(523)에 의한 인터럽트의 무효화 상태를 해제한다. 이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절전 버튼(523)에 의한 인터럽트를 무효화한 후, 소정시간이 경과했을 때에, 절전 버튼(523)에 의한 인터럽트의 무효화 상태를 해제한다.
도 11을 참조하여, 센서(610)에 의한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때의 전력 제어부(26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전력 제어부(260)가 도 11의 플로차트에 따른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이하의 동작이 실행된다.
스텝 S400에서, 센서(610)에 의해 물체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접근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센서(610)에 의한 인터럽트 신호가 전력 제어부(260)에 입력된다. 스텝 S401에서, 해당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된 전력 제어부(260)는, 레지스터(262)의 값을 확인한다. 레지스터(262)의 값이 "010"(화상형성장치(100)의 전력상태가 스탠바이 상태(S1)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스텝 S401에서 NO), 전력 제어부(260)의 처리는 종료한다. 레지스터(262)의 값이 "001"(화상형성장치(100)의 전력상태가 전력 절약 상태(S2)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스텝 S401에서 YES), 스텝 S402에서, 절전 버튼(523)에 의한 인터럽트를 무효화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텝 S402에서는, 전력 제어부(260)는 전력 제어부(260)의 플래그(263)를"00"으로 설정한다. 스텝 S403에서는, 전력 제어부(260)는, 릴레이 154 및 릴레이 155에 대하여 Relay_ON 신호를 출력한다. 이 동작을 통해서, 릴레이 154 및 릴레이 155가 온 상태가 되고, 제2 전원부(152)로부터 CPU(210) 및 그 밖의 유닛에 전력이 공급됨과 동시에 제3 전원부(153)로부터 프린터 제어부(900) 및 그 밖의 유닛에 전력이 공급된다.
스텝 S404에서, 전력 제어부(260)는, 절전 버튼(523)에 의한 인터럽트를 무효화한 후, 소정시간이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부(260)는, 소정시간이 경과했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404에서 YES), 스텝 S405에서, 전력 제어부(260)는 레지스터(262)의 값을 "010"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전력 제어부(260)는, 절전 버튼(523)에 의한 인터럽트의 무효화 상태를 해제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텝 S406에서, 전력 제어부(260)는 전력 제어부의 플래그(263)를 "11"으로 설정한다.
상술한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적외선 어레이 센서를 센서(610)로서 사용한다. 이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0의 센서부(1600)는, 1차 센서(1611), 2차 센서(1612), 및 제어회로(1620)를 구비하고 있다.
1차 센서(1611)는, 화상형성장치(1000) 주위의 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이 1차 센서(1611)는, 초전도 소자의 초전도 효과를 사용한 적외선 센서다. 1차 센서(1611)의 검출 범위 SA는, 2차 센서(1612)의 검출 범위 SB보다 넓다. 1차 센서(1611)의 검출 범위 SA에서 사람 등의 물체의 움직임이 검출되었을 경우, 해당 1차 센서(1611)는, 제어회로(1620)에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1차 센서(1611)에 의해 물체의 움직임이 검출되었을 경우, 2차 센서(1612)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 동작을 통해서, 2차 센서(1612)가 물체의 검출 동작을 시작한다.
2차 센서(1612)는, 사람 등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한다. 이 2차 센서(1612)는, 적외선을 출력하는 출력부와, 해당 출력부에서 출력된 적외선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갖는 반사형의 적외선 센서다. 2차 센서(1612)의 검출 범위 SB는, 1차 센서(1611)의 검출 범위 SA보다 좁다. 2차 센서(1612)가 물체의 존재를 검출했을 경우, 해당 2차 센서(1612)는, 제어회로(1620)에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2차 센서(1612)에 의해 물체의 존재가 검출되었을 경우, 제어회로(1620)가 센서에 의한 인터럽트 신호 Interrupt_S를 전력 제어부(260)에 출력한다.
인터럽트 신호 Interrupt_S를 수신한 전력 제어부(260)의 동작은, 상기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8과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그 밖의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특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부를 적당하게 서로 조합해도 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전력 제어부(260)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도 8, 도 9 및 도 10의 각 스텝을 실행한다. 또한, 해당 각 스텝의 실행을 하드웨어 로직 회로로 실현해도 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플로차트에 나타낸 기능은, 네트워크 또는 각종 기억매체를 통해서 취득한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퍼스널 컴퓨터(컴퓨터) 또는 그 밖의 디바이스의 처리장치(CPU 혹은 프로세서)를 이용해서 실행함으로써도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화상형성장치가 전력 절약 상태로 복귀하는 중에 절전 버튼이 눌러지더라도, 센서가 물체를 검출한 것에 응답해서, 화상형성장치가 불필요하게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예를 들면, 비일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상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판독 및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고,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이 컴퓨터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다른 회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구비할 수도 있고, 독립된 컴퓨터 또는 독립된 컴퓨터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RAM(random-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컴팩트 디스크(CD), DVD(digital versatile disc), Blue-ray Disc(BD)TM 등),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및 균등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물체를 검출하는 검출유닛과,
    유저의 조작을 수신하는 수신유닛과,
    상기 검출유닛이 물체를 검출했을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의 전력상태를 제1 전력상태로부터 상기 제1 전력상태와는 다른 제2 전력상태로 이행시키고, 상기 수신유닛이 유저의 조작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력상태를 상기 제2 전력상태로부터 상기 제1 전력상태로 이행시키는 이행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이행유닛은, 물체가 검출된 후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제2 전력상태로 이행하는 중에 수신한 유저의 조작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2 전력상태로부터 상기 제1 전력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력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이행유닛은, 상기 수신유닛이 유저의 조작을 수신했을 때, 상기 기억유닛에 상기 제1 전력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으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력상태를 상기 제1 전력상태로부터 상기 제2 전력상태로 이행시키고, 상기 기억유닛에 상기 제2 전력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으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력상태를 상기 제2 전력상태로부터 상기 제1 전력상태로 이행시키는, 화상형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유닛이 수신한 유저의 조작에 의한 인터럽트를 유효하게 할 것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이행유닛은, 상기 기억유닛에 기억된 정보가 상기 인터럽트를 무효화하는 것을 나타낼 경우에는, 상기 검출유닛에 의해 물체가 검출된 후에,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제2 전력상태로 이행하는 중에 수신한 유저의 조작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2 전력상태로부터 상기 제1 전력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기억유닛에 기억된 정보가 상기 인터럽트를 유효하게 하는 것을 나타낼 경우에는, 상기 검출유닛에 의해 물체가 검출된 후에,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제2 전력상태로 이행하는 중에 수신한 유저의 조작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2 전력상태로부터 상기 제1 전력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유닛은, 복수의 검출부를 갖는 센서인, 화상형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복수의 검출부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어레이형의 센서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유닛은, 적외선을 수광하는 적외선 센서인, 화상형성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상태에서는, 소비 전력량이 상기 제2 전력상태의 소비 전력량보다 작은, 화상형성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을 더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상태에서는, 상기 화상형성유닛에의 전력의 공급이 정지되고, 상기 제2 전력상태에서는, 상기 화상형성유닛에 전력이 공급되는, 화상형성장치.
  10. 물체가 검출된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의 전력상태를 제1 전력상태로부터 상기 제1 전력상태와는 다른 제2전력상태로 이행시키는 단계와,
    유저의 조작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력상태를 상기 제2 전력상태로부터 상기 제1 전력상태로 이행시키는 단계와,
    물체가 검출된 후에,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제2 전력상태로 이행하는 중에, 유저의 조작을 수신한 경우에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2 전력상태로부터 상기 제1 전력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11. 물체가 검출된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의 전력상태를 제1 전력상태로부터 상기 제1 전력상태와는 다른 제2전력상태로 이행시키는 단계와,
    유저의 조작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력상태를 상기 제2 전력상태로부터 상기 제1 전력상태로 이행시키는 단계와,
    물체가 검출된 후에,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제2 전력상태로 이행하는 중에, 유저의 조작을 수신한 경우에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2 전력상태로부터 상기 제1 전력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40039812A 2013-04-04 2014-04-03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KR1016366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78434 2013-04-04
JP2013078434A JP6521558B2 (ja) 2013-04-04 2013-04-04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271A Division KR101684312B1 (ko) 2013-04-04 2016-06-29 정보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852A KR20140120852A (ko) 2014-10-14
KR101636688B1 true KR101636688B1 (ko) 2016-07-20

Family

ID=516542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812A KR101636688B1 (ko) 2013-04-04 2014-04-03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KR1020160081271A KR101684312B1 (ko) 2013-04-04 2016-06-29 정보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271A KR101684312B1 (ko) 2013-04-04 2016-06-29 정보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5) US9094558B2 (ko)
JP (1) JP6521558B2 (ko)
KR (2) KR101636688B1 (ko)
CN (1) CN1041021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21558B2 (ja) * 2013-04-04 2019-05-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6351285B2 (ja) * 2014-02-13 2018-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6425388B2 (ja) * 2014-02-18 2018-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0302318B1 (en) 2014-08-28 2019-05-28 Anita Margarette Chambers Recursive multi-tiered health isolation facility
JP6598464B2 (ja) * 2015-01-28 2019-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2017021205A (ja) * 2015-07-10 2017-01-2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702790B2 (ja) * 2016-04-28 2020-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代理応答機能を有するネットワークインターフェースを備える情報処理装置
JP6987835B2 (ja) * 2017-05-08 2022-01-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643276B2 (ja) * 2017-05-08 2020-02-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202692A (ja) * 2017-08-09 2017-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90138325A (ko) * 2018-06-05 2019-12-13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사용자를 감지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21125720A (ja) * 2020-01-31 2021-08-3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54330A1 (en) 2000-07-11 2002-05-09 Noriyuki Jinbo Image forming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2118253A (ja) 2010-11-30 2012-06-21 Fuji Xerox Co Ltd 電力供給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電力供給制御プログラム
JP2012247799A (ja) 2012-08-16 2012-12-13 Fuji Xerox Co Ltd 電力供給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電力供給制御プログラム
JP2013020048A (ja) 2011-07-11 2013-01-31 Fuji Xerox Co Ltd 電力供給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電力供給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5399B2 (en) * 2002-02-18 2011-06-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output method
US7336911B2 (en) * 2005-01-31 2008-02-26 Kyocera Mit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JP5300451B2 (ja) * 2008-12-17 2013-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10218120A (ja) * 2009-03-16 2010-09-30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4949453B2 (ja) * 2009-11-12 2012-06-0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5652152B2 (ja) * 2010-11-19 2015-01-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力供給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電力供給制御プログラム
JP5163761B2 (ja) * 2011-02-09 2013-03-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力供給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電力供給制御プログラム
JP5885390B2 (ja) * 2011-03-08 2016-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236293A (ja) 2011-05-10 2012-12-06 Murata Machinery Ltd 制御装置
JP5793962B2 (ja) 2011-05-25 2015-10-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146568B2 (ja) * 2011-06-09 2013-02-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力供給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電力供給制御プログラム
JP2013007981A (ja) * 2011-06-27 2013-01-1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5817267B2 (ja) 2011-07-07 2015-11-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
JP5045840B1 (ja) * 2011-09-06 2012-10-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力供給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電力供給制御プログラム
JP6044113B2 (ja) * 2012-05-14 2016-12-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力供給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
US20140160505A1 (en) * 2012-12-03 2014-06-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JP6521558B2 (ja) * 2013-04-04 2019-05-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54330A1 (en) 2000-07-11 2002-05-09 Noriyuki Jinbo Image forming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2118253A (ja) 2010-11-30 2012-06-21 Fuji Xerox Co Ltd 電力供給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電力供給制御プログラム
JP2013020048A (ja) 2011-07-11 2013-01-31 Fuji Xerox Co Ltd 電力供給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電力供給制御プログラム
JP2012247799A (ja) 2012-08-16 2012-12-13 Fuji Xerox Co Ltd 電力供給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電力供給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02113B (zh) 2016-06-29
KR20140120852A (ko) 2014-10-14
US9094558B2 (en) 2015-07-28
US10587767B2 (en) 2020-03-10
US20170244855A1 (en) 2017-08-24
JP6521558B2 (ja) 2019-05-29
US11516363B2 (en) 2022-11-29
KR20160080104A (ko) 2016-07-07
US9998621B2 (en) 2018-06-12
US20180288261A1 (en) 2018-10-04
KR101684312B1 (ko) 2016-12-08
US20140300917A1 (en) 2014-10-09
CN104102113A (zh) 2014-10-15
US9671985B2 (en) 2017-06-06
JP2014200996A (ja) 2014-10-27
US20200177755A1 (en) 2020-06-04
US20150293724A1 (en) 201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4312B1 (ko) 정보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03880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gram
US2020034861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8924759B2 (en) Power-supply control device, image processing apparatus, power-supply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10015343B2 (en) Power-supply control device, image processing apparatus, power-suppl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20032916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US1005744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image forming apparatus
JP6376804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9129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2014002216A (ja) 電力供給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電力管理制御プログラム
US20150192972A1 (en) Electric device
JP7098692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7202692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9162882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6702273B2 (ja) 画像処理装置
JP2021017002A (ja) 画像形成装置
JP2020199652A (ja) 情報処理装置、検出範囲変更方法
JP2019179244A (ja) 処理装置及びその電力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