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656B1 - 재제염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재제염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656B1
KR101636656B1 KR1020150140080A KR20150140080A KR101636656B1 KR 101636656 B1 KR101636656 B1 KR 101636656B1 KR 1020150140080 A KR1020150140080 A KR 1020150140080A KR 20150140080 A KR20150140080 A KR 20150140080A KR 101636656 B1 KR101636656 B1 KR 101636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space
salt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운
Original Assignee
김대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운 filed Critical 김대운
Priority to KR1020150140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6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3L1/237
    • A23L1/0128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제염(천일염)을 물에 용해시켜 간수를 만드는 과정에서 이물질을 걸러냄과 더불어 간수 가열과정에서 생성된 재제염이 가열탱크 바닥에 들러붙지 않도록 한 재제염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해조, 상기 용해조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용해조의 내부 공간을 정제염을 저장하는 상부공간 및 상기 상부공간에 저장된 정제염에 물을 용해시켜 생성된 간수를 저장하는 하부공간으로 구획 형성시키는 그물망체, 상기 그물망체 위에 설치되며 상기 정제염과 물의 용해과정에서 남은 이물질을 걸러내 정화시키는 스테인레스 구조물, 상기 용해조와 연결호스로 연결 구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연결호스를 통해 상기 용해조에서 공급된 간수를 저장하는 가열공간이 형성된 가열조 및 상기 가열조의 가열공간 양쪽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가열공간에 저장된 간수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며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으로 발열하며 상기 간수를 가열시켜 제재염을 생성하는 전기히터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재제염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efined}
본 발명은 제재염 제조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제염(천일염)을 물에 용해시켜 간수를 만드는 과정에서 이물질을 걸러냄과 더불어 간수 가열과정에서 생성된 재제염이 가열탱크 바닥에 들러붙지 않도록 한 재제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금은 인체에 흡수되어 체액의 삼투압을 조절하고, 산과 염기의 평형에 관여하는 신경을 자극할 뿐만 아니라 소화액을 구성하는 성분임은 물론 음식의 맛을 조절하는 조미료이기도 하다.
즉, 소금은 체내에서 세포막의 전압 조절에서부터 혈압조절 등 신체기능 어디에나 관련되어 있고, 특히 나트륨이온은 체액의 삼투압과 혈장의 부피유지, 신경흥분, 근육수축 및 영양소의 이동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에는 고혈압의 원인이 되므로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소금은 주로 해수로부터 만들어지는데 해수에는 여러 가지 인체에 유용한 성분인 칼륨, 칼슘, 마그네슘, 아연, 철, 인, 나트륨, 망간 등의 미네랄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체에 유해한 성분인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및 황상마그네슘 등도 함유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소금은 예컨대, 제재염(일명 '백염' 또는 '꽃소금'), 맛소금(기계염을 글루탐산나트륨이나 복합화학조미료로 피복시킨 소금), 세척염, 부산물염(회수염), 수입염(암염) 등과 같이 가정용 식염을 비롯하여 공장용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용도로 가공되고 있다.
한편, 상기한 종류들중 제재염은 통상 천일염이나 정제염을 물에 녹여서 간수를 생성한 다음, 이를 별도 처리하여 식용소금을 만든 것을 말하며, 이러한 제재염은 시중에서 절임용이나 식탁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제재염을 만드는 장치와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번호 제 10-2000-0030527 호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천일염과 정제염을 저장조에서 용해시키고 정수조에서 정화하며, 정화된 혼합염수를 재제염솥으로 이송하여 가열수단을 통해 가열한 후, 채염통과 탈수기를 통해 건조 및 탈수시키도록 구성된 제조염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수조의 공급관이 가열수단에 의해 직접 가열되어 정화된 혼합염수가 1차적으로 가온된후 재제염솥으로 이송되는 한편, 상기 채염통과 탈수기에서 생기는 염수를 집수조에 모아서 상기 정수조로 피드백시키도록 된 것을 요지로 한다.
그러나 위 선행기술은 정제염(천일염)을 저장조에서 물에 용해시키는 과정에서 정제염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정수조를 마련하여야 함으로서 설비비용 증가와 함께 간수를 만들기 위한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의 가열방식은 제제염솥의 하단을 직접 데워가며 간수를 농축시켜 제재염을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유해성분인 염화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염화칼륨 등이 불용분화되면서 소금속의 결정체 입자들이 솥의 가장 뜨거운 부위인 바닥면에 엉겨붙게 되고, 이러한 유해성분은 소금의 채취시에 그대로 유입되어, 각종 유해성분들이 제거되지 않는 상태에서 재제염이 생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번호 제 10-2000-0030527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정수조를 설치할 필요없이 정제염(천일염)을 물에 용해시켜 간수를 만드는 과정에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한 재제염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간수가 저장되는 가열조의 내부 가열공간에 전기히터를 설치하여 간수를 직접적으로 데워주도록 함으로서 소금속의 결정체 입자들이 가열조 바닥면에 엉겨붙지 않도록 한 재제염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재제염 제조장치에 있어서, 용해조, 상기 용해조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용해조의 내부 공간을 정제염을 저장하는 상부공간 및 상기 상부공간에 저장된 정제염에 물을 용해시켜 생성된 간수를 저장하는 하부공간으로 구획 형성시키는 그물망체, 상기 그물망체 위에 설치되며 상기 정제염과 물의 용해과정에서 남은 이물질을 걸러내 정화시키는 스테인레스 구조물, 상기 용해조와 연결호스로 연결 구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연결호스를 통해 상기 용해조에서 공급된 간수를 저장하는 가열공간이 형성된 가열조 및 상기 가열조의 가열공간 양쪽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가열공간에 저장된 간수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며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으로 발열하며 상기 간수를 가열시켜 제재염을 생성하는 전기히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정수조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용해조에서 정제염(천일염)을 물에 용해시켜 간수를 만드는 과정에서 남은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설비를 줄일 수 있으며, 특히 가열조에 저장된 간수를 전기히터로 직접적으로 데워주도록 함으로서 소금속의 결정체 입자들이 가열조 바닥면에 엉겨붙지 않도록하여 제재염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재염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용해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가열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두 개의 실시 예를 대표하여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재염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용해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가열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재염 제조장치(100)는 크게 용해조(10)와 가열조(30)로 나뉘어 구성한다.
상기 용해조(10)는 천일염이나 정제염(이하에서는 정제염이라 칭함)(16)을 물에 용해시켜 간수(18)를 만드는 수단으로서 상단은 개방시켜 구성하고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작한다.
상기 용해조(10)의 내부 공간에는 그물망체(20)가 설치되며, 상기 그물망체(20)는 상기 용해조(10)의 공간을 상, 하부공간(12, 14)으로 구획시키게 된다.
상기 용해조(10)의 상부공간(12)에는 정제염(16)이 저장되고, 상기 용해조(10)의 하부공간(14)에는 상기 정제염(16)이 용해되어 있는 물, 즉 간수가 저장되어 진다.
상기 용해조(10)의 상부공간(12)에 저장되어 있는 정제염(16)은 그 입자크기가 그물망체(20)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20a) 직경 보다 큰 관계로 상기 그물망체(20)를 통과하지 못하는 반면, 상기 상부공간(12)에 물을 공급하여 정제염(16)을 물에 용해시켜 만들어진 간수(18)는 상기 그물망체(20)의 구멍(20a)을 통과하여 용해조(10)의 하부공간(14)으로 저장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 용해조(10)의 그물망체(20) 위에는 스테인레스판(22)이 설치된다. 상기 스테인레스판(22)은 중앙으로 간수가 통과하기 위한 통과공(22a)이 관통 형성된 플레이트로서, 상기한 스테인레스판(22)은 용해조(10)의 상부공간(12)에 저장되어 있는 정제염이 물에 용해되어 간수로 생성되는 과정에서 대류 현상을 일으키게 되는 데, 이대 정제염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 예를 들어 흙이나 모래, 뻘과 같은 비교적 무게가 가벼운 이물질들은 간수의 대류 현상으로 순환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테인레스판(22)에 부딧친 다음, 위로 상승하며 용해조(10) 상부공간(12) 위로 떠오르게 됨으로서 별도의 정화조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간수 생성과정에서 정제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해조(10)의 상부공간(12)위로 떠오른 이물질은 작업자가 수시로 걷어내면 되므로 용해조(10)를 정기적으로 청소하지 않더라도 항상 용해조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용해조(10)의 하부공간(14) 바닥면에는 목재와 벽돌과 같은 구조물(60)이 올려진다. 상기 구조물(60)은 용해조(10)의 하부공간(14)에 저장된 간수의 무게로 인해 상기 용해조(10) 바닥면으로 전해지는 압력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가열조(30)는 상기 용해조(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용해조(10)에서 만들어진 간수(18)를 가열하여 제재염(50)을 생성하는 수단으로서,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가열공간(32)이 형성되며, 상기 가열공간(32)으로는 상기 용해조(10)의 간수배출구(24)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호스(26)를 통해 상기 용해조(10)에서 만들어진 간수(18)를 공급받게 된다.
상기 가열조(30)의 가열공간(32) 양측에는 상기 가열공간에 저장된 간수와 직접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간수(18)를 가열하여 증발을 통한 제재염(50)을 생성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히터(40)가 설치된다.
상기 전기히터(40)는 원통 형태로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파이프(42)와, 상기 스테인레스파이프(42)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발열하는 열선(44)으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가열조(30)의 가열공간(32) 양측에 전기히터(40)를 설치한 것은 종래 가열조(30)의 바닥면을 가열하여 간수를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방식에 비해 보다 많은 양의 제재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것이다.
즉, 종래와 같이 가열조(30)의 바닥면을 가열하는 방식은 간수가 증발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제재염이 가열조(30)의 바닥면에 쌓이게 되는 데, 이와 같이 가열조(30)의 바닥면에 쌓인 제재염(50)은 상기 가열조(30)의 바닥면으로 전해지는 열원에 의해 엉겨붙어 제재염(50)의 생산량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수(18)를 가열하는 수단인 전기히터(40)를 상기 간수(18)가 저장되어 지는 가열조(30)의 가열공간(32)에 설치하여 간수(18)와 직접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간수(18)를 데우도록 함으로서 간수(18)가 증발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제재염이 가열조(30)의 바닥면에 쌓이더라도 가열조(30)의 바닥면으로는 열원이 전해지는 구조가 아님에 따라 생성된 제재염(50)이 가열조(30)의 바닥면에 엉겨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간수 증발과정에서 생성된 제재염은 가열조의 가열공간 중앙부에 집중적으로 쌓이게 되는 데, 이때 상기 가열공간의 중앙부는 전기히터가 설치된 가열공간의 양쪽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도가 떨어져 상기 중앙부에 쌓이는 제재염의 무게가 가벼워져 많은 양의 소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10: 용해조 12: 상부공간
14: 하부공간 16: 정제염
18: 간수 20: 그물망체
22: 스테인레스판 30: 가열조
32: 가열공간 40: 전기히터
50: 제재염

Claims (1)

  1. 재제염 제조장치에 있어서,
    용해조(10);
    상기 용해조(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용해조(10)의 내부 공간을 정제염(16)을 저장하는 상부공간(12)과, 상기 상부공간(12) 아래에 상기 상부공간(12)에 저장된 정제염에 물을 용해시켜 생성된 간수(18)를 저장하는 하부공간(14)으로 구획 형성시키는 그물망체(20);
    상기 그물망체(20)에 형성되며 상기 용해조(10)의 상부공간(12)에 저장되어 있는 정제염(16)은 상기 그물망체(20)를 통과하지 않도록 하되, 상기 상부공간(12)에 물을 공급하여 정제염(16)을 물에 용해시켜 만들어진 간수(18)는 상기 그물망체(20)를 통과하여 상기 용해조(10)의 하부공간(14)으로 저장되도록 하는 구멍;
    상기 그물망체(20) 위에 설치되며 중앙으로는 간수(18)가 통과하기 위한 통과공(22a)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정제염(16)과 물의 용해과정에서 남은 이물질을 걸러내 정화시키는 스테인레스판(22);
    상기 용해조(10)의 하부공간(14) 바닥면에 설치되는 구조물(60);
    상기 용해조(10)와 연결호스(26)로 연결 구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연결호스(26)를 통해 상기 용해조(10)에서 공급된 간수(18)를 저장하는 가열공간(32)이 형성된 가열조(30) 및 ;
    상기 가열조(30)의 가열공간(32) 양쪽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가열공간(32)에 저장된 간수(18)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며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으로 발열하며 상기 간수(18)를 가열시켜 제재염(50)을 생성하는 전기히터(40)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히터(40)는 원통 형태로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파이프(42)와, 상기 스테인레스파이프(42)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발열하는 열선(44)으로 구성하며;
    상기 전기히터(40)는 상기 가열조(30)의 가열공간(32) 양쪽에 각각 설치하여 상기 가열공간(32)의 중앙부가 상기 가열공간(32)의 양쪽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도가 떨어지도록 하며;
    상기 스테인레스판(22)는 정제염에 포함되어 비교적 무게가 가벼운 이물질이 간수의 대류 현상으로 순환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테인레스판(22)에 부딧친 다음, 위로 상승하며 상기 용해조(10) 상부공간(12) 위로 떠오르도록 하여 간수 생성과정에서 정제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함을 재제염 제조장치.
KR1020150140080A 2015-10-06 2015-10-06 재제염 제조장치 KR101636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080A KR101636656B1 (ko) 2015-10-06 2015-10-06 재제염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080A KR101636656B1 (ko) 2015-10-06 2015-10-06 재제염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6656B1 true KR101636656B1 (ko) 2016-07-05

Family

ID=56502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080A KR101636656B1 (ko) 2015-10-06 2015-10-06 재제염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6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357B1 (ko) 2017-09-01 2019-12-16 강순택 재제염 제조장치
CN112374509A (zh) * 2020-11-19 2021-02-19 山东海天生物化工有限公司 一种纯碱生产用精盐水的精制工艺
KR102244803B1 (ko) 2020-05-28 2021-04-27 채점식 나노 에너지 물소금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소금 제조방법
KR102421957B1 (ko) 2021-11-12 2022-07-19 박흥성 천일염 생산의 자동화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9710A (ja) * 1996-08-12 1998-03-03 Masakazu Miyagi 製塩方法および装置
KR100232743B1 (ko) * 1996-11-02 1999-12-01 김기형 재제염 제조용 평부
KR20000030527A (ko) 2000-03-06 2000-06-05 이재춘 재제염 제조장치
JP2000342946A (ja) * 1999-06-04 2000-12-12 Arusu:Kk 飽和食塩水並びに所定濃度の食塩水の連続製造装置、及び飽和食塩水並びに所定濃度の食塩水の連続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9710A (ja) * 1996-08-12 1998-03-03 Masakazu Miyagi 製塩方法および装置
KR100232743B1 (ko) * 1996-11-02 1999-12-01 김기형 재제염 제조용 평부
JP2000342946A (ja) * 1999-06-04 2000-12-12 Arusu:Kk 飽和食塩水並びに所定濃度の食塩水の連続製造装置、及び飽和食塩水並びに所定濃度の食塩水の連続製造方法
KR20000030527A (ko) 2000-03-06 2000-06-05 이재춘 재제염 제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357B1 (ko) 2017-09-01 2019-12-16 강순택 재제염 제조장치
KR102244803B1 (ko) 2020-05-28 2021-04-27 채점식 나노 에너지 물소금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소금 제조방법
CN112374509A (zh) * 2020-11-19 2021-02-19 山东海天生物化工有限公司 一种纯碱生产用精盐水的精制工艺
CN112374509B (zh) * 2020-11-19 2023-05-09 山东海天生物化工有限公司 一种纯碱生产用精盐水的精制工艺
KR102421957B1 (ko) 2021-11-12 2022-07-19 박흥성 천일염 생산의 자동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656B1 (ko) 재제염 제조장치
US4983267A (en) Water deionization and contaminants removal or degradation
KR100869941B1 (ko) 상수도용 압력식 정수시설 장치
US84548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on of low zeta potential mineral crystals to enhance quality of liquid solutions
RU237315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JP2016055913A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PL202453B1 (pl) Urządzenie do uzdatniania wody
KR102311845B1 (ko) 염전용 농축염수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JP5415372B2 (ja) 電解用塩水供給装置
KR20190000109A (ko) 기능성 소금의 제조장치
KR20180029424A (ko)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
KR20220102228A (ko) 전기분해를 이용한 전복치패 육상양식장용 여과기 살균방법 및 살균장치
KR20180019463A (ko) 기능성 천일염 제조방법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천일염
CN205874077U (zh) 一种建筑供暖污水处理装置
JPH0924367A (ja) 清浄水製造装置
KR20060061720A (ko)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 및 그 방법
NL1037938C2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desinfectie en ter voorkoming van scaling en biofouling.
JP2011062629A (ja) 浄水装置
CN211921038U (zh) 一种净卫阻垢器
JPS5910384A (ja) 水道水の浄・軟水化法および浄・軟水器
CN108503109A (zh) 利用海水的天然盐制备方法
RU20084U1 (ru) Станция водоподготовки
KR100868779B1 (ko) 일체형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대용량 정수기와살균수기
KR100711304B1 (ko) 고농도의 함수 채취기 및 채취방법
RU2666425C2 (ru)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карбонатной жесткости вод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тог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