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9424A -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9424A
KR20180029424A KR1020160117312A KR20160117312A KR20180029424A KR 20180029424 A KR20180029424 A KR 20180029424A KR 1020160117312 A KR1020160117312 A KR 1020160117312A KR 20160117312 A KR20160117312 A KR 20160117312A KR 20180029424 A KR20180029424 A KR 20180029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purified
purifying
ground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2325B1 (ko
Inventor
백승현
Original Assignee
백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현 filed Critical 백승현
Priority to KR1020160117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325B1/ko
Publication of KR20180029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02F1/62Heavy 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6Contaminated groundwater or leach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염된 농축산 지하수는 물론 해수(바닷물)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 및 이물질이 함유된 해수(바닷물)을 깨끗한 천일염을 만들수 있는 정수 상태로 정화 처리할 수 있으며, 특히 오염된 물을 정수 및 정화시켜 깨끗한 물을 만들어주는 정화수단으로 사용되는 자화수기를 본체하우징 내 다수의 정화필터 내부에 편리하고 간단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여, 주변의 정화처리되는 정수라인상에 구성된 원적외선기와 UV살균필터 등의 정화 살균수단 등과 함께 오염된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를 비교적 단순한 처리과정을 통해, 자화처리 및 원적외선 방사처리는 물론 확실한 여과 살균처리가 이루어지면서 영양성분이 가득한 광천수에 가깝도록 원적외선 에너지 기능수로 정수처리시킬 수 있는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 {Agriculture and livestock groundwater and seawater purification device for purifying friendly}
본 발명은 오염된 농축산 지하수는 물론 해수(바닷물)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 및 이물질이 함유된 해수(바닷물)을 깨끗한 천일염을 만들수 있는 정수 상태로 정화 처리할 수 있는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염된 물을 정수 및 정화시켜 깨끗한 물을 만들어주는 정화수단으로 사용되는 자화수기를 본체하우징 내 다수의 정화필터 내부에 편리하고 간단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여, 주변의 정화처리되는 정수라인상에 구성된 원적외선기와 UV살균필터 등의 정화 살균수단 등과 함께 오염된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를 비교적 단순한 처리과정을 통해, 자화처리 및 원적외선 방사처리는 물론 확실한 여과 살균처리가 이루어지면서 영양성분이 가득한 광천수에 가깝도록 원적외선 에너지 기능수로 정수처리시킬 수 있는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든 동식물은 물을 매개체로 하여 외부로부터 물질을 섭취해 체성분을 만들어 체내에서 에너지를 발생시켜 생명현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물은 강력한 용해제로 물 속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여러가지 물질들이 녹아 있다. 따라서 오염된 물은 먹은 농축산물은 결실도 오염된 농축산물이 되어 버리므로 깨끗한 물은 매우 중요하다.
산업화 사회로 말미암아 지하수는 공장폐수, 축산폐수, 생활오수 등으로 심각하게 오염되고 있으며, 과거의 정수장치들은 고단가로 말미암아 보통의 축산농가에서는 시설할 엄두로 낼 수 없는 실정인데,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한 자화수기가 점차 실용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통상 자화수기는 오염된 물을 정수 및 정화시켜 깨끗한 물을 만들어주는 정화장치로서, 가정용 정수시스템, 농축산 정수시스템, 각종 정수장치 시스템, 지하수 수질 정화장치, 오폐수 정화장치 등 폭넓게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자화수기는 이온의 불균형을 막을 수 있고, 구리, 철, 나트륨 등의 농도를 낮춰 수확량을 늘릴 수 있고, 살균 및 멸균으로 인한 연작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참고로, 최근까지 농업에 사용한 기법인 화학 비료와 농약의 대량 사용으로 인한 토양 오염과 농산물 원료 자체 오염으로 인한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하면서 소비자들의 친환경 농산물과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으며, 오염이 심각해진 후 농약이나 화학비료를 사용한 일반 농산물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게 되었고, 결국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수요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수자원 개발에 의한 공급의 확대에 비해 아주 빠른 속도로 용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좁은 국토, 강수량 편중 등 수자원 관리에 불리한 조건에 있으며, 더욱이 최근 생활하수 및 생활 폐기물 증가, 산업 폐수 증가 등으로 수질오염이 날로 심화 되어가고 있어 수자원의 이용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용 가능한 담수 총량 중 50% 이상을 이용하고 있는 농업용수는 그동안 음용수나 생활용수 위주의 정부 수질관리 정책에 밀려 오염이 날로 확산 심화 되어 가고 있으며, 수질오염에 의한 농업 피해는 농작물의 생육 저해로 인한 농산물 수량 감소 및 질적 저하, 농경지 오염으로 인한 농토의 황폐화, 농기계 효율 저하, 농업 환경 악화 등 단기적 또는 장기적으로 농업 환경에 악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인체에까지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농업용수의 중요성은 날로 더해가고 있다.
이와 같은 사정에 따라 개발되어 소개된 농축산용 정화 및 정수처리 관련 개시된 선행기술을 보면, 등록특허 제10-115805호(가축 음용수 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이나 공개특허 제10-2010-0025681호(농축산 음용수 및 식수용 정수시스템), 등록실용신안 제20-0311703호(오폐수 여과장치), 등록실용신안 제20-0470808호(유기성 농축산폐수 처리장치),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7270호(농축산용 정수기) 등을 통해 오염된 농축산 지하수 또는 오,폐수를 농축산용 기능수로서 있도록 정화 및 정수수단이 소개되기는 하였으나, 자화수기가 갖는 기능에는 충실할 수 있으나 오염된 지하수나 오,폐수를 깨끗하고 확실하게 살균 및 정화처리하는 친환경 정수장치로서, 구조적으로 대단히 복잡할 뿐만 아니라 고가이면서도 기능성적으로 내구성 및 안전성이 떨어진다 할 수 있다
한편, 기존에 소개된 농축산용 정수장치는 각종 이물질 및 중금속이 포함된 바닷물 원수인 해수를 천일염의 최상 조건으로 깨끗한 정수상태의 해수로 정수처리되어 외부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비교적 단순한 구성관계로서도 해수(바닷물)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 및 이물질의 제거와 함께 살균처리를 통해 인체에 유익한 성분 함량을 높이면서 순도가 높고 결정이 단단한 깨끗하고 위생적인 천일염의 원료인 깨끗한 정수상태의 해수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바닷물 정수처리장치로서의 사용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구조적인 한계도 있다.
참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31091호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43448호를 통해서는 전기분해를 통한 전해 기능수가 개시된 바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21980호에서는 인체와 동식물에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기능수의 제조장치가 소개되기도 하였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78904호에서는 생성되는 금초 미립자를 수중에 부유 분산시켜 미네랄 기능수를 생성시키는 금 초미립자 함유 고기능수의 제조방법이 개시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기존의 복잡한 구성관계 및 작동단계가 요구되는 농축산용 정화 정수처리장치들의 작동원리나 제어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구조 및 구성관계가 단순하면서도, 지금까지 소개된 통상의 농축산용 정화 정수장치들에서는 기대하기 곤란하였던 미네랄 기능수 및 원적외선 에너지수의 기능까지도 함께 함유되어 생성될 수 있어 축산농가의 가축이나 농산물은 물론 사람에게도 깨끗한 광천수 만큼이나 건강상 유익할 수 있는 전혀 새로운 작동원리의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농축산용 친환경 기능수기로서, 또한 해수(바닷물)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 및 이물질이 함유된 해수(바닷물)을 깨끗한 천일염을 만들수 있는 정수 상태로 정화 처리할 수도 있도록 하는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는, 상부 일측에는 정화(정수) 처리할 외부로부터 일정 압력으로 펌핑되는 원수인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가 유입되도록 원수유입관이 연결되고, 내부의 원수유입공간으로 유입되는 원수가 필터받침대의 각 정수통과구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정화필터 및 상기 정화필터 내부의 자석자화기 및 원적외선기를 통해 정화(여과) 처리 및 살균 자화처리되며, 하부 타측에는 정화 정수처리된 정수가 상기 필터받침대 아래쪽의 정수유입공간으로 낙하되어 외부 배출될 수 있도록 정수배출관이 연결되고, 상기 필터받침대 측방으로 외측에는 정화 및 정수처리되면서 분리된 원수의 각종 중금속 및 이물질들이 외부 배출되는 오수배출관이 돌출된 본체하우징과; 상기 본체하우징의 개방된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본체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원수인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의 압력을 확인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압력게이지와 에어벤트가 설치된 하우징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본체하우징의 정화필터는 타공 형태인 내부의 필터지지관 안으로 기본적으로 상기 자석자화기와 함께 원적외선기가 필요에 따라 설치되어 정화처리되는 원수가 자화처리 및 원적외선 방사처리될 수 있도록 이들 자석자화기 및 원적외선기가 자화수통본체에 내설되는 구성관계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는, 정화필터의 필터지지관 내부에 설치되는 자회수통본체는 중간에 다수의 물출입공이 관통되면서 상하 양쪽에는 각각 물출입공이 관통된 자화수통덮개가 결합되며, 상기 자석자화기 및 원적외선기 중앙으로는 하단이 상기 필터받침대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단은 상기 정화의 필터덮개와 나사 결합되어 일체 고정시키는 필터지지봉이 결속되는 한편, 또한 원수유입관 및/또는 정수배출관에는 정화처리되는 원수에 대한 살균처리 및 자화처리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UV살균기 및 별도의 자석자화기가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정수배출관은 중간의 제어반지지대에 작동제어반이 설치 구성됨에도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관계로 이루어져 기존 작동원리와 차별화된 동작의 작용효과가 발휘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는, 오염된 물을 정수 및 정화시켜 깨끗한 물을 만들어주는 정화수단으로 사용되는 자화수기를 본체하우징 내 다수의 정화필터 내부에 편리하고 간단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여, 축산 농가 주변의 오염된 지하수를 자화처리 및 원적외선 방사처리와 함께 확실하게 여과 및 살균처리하여 원적외선 에너지수로 변환시키는 동시에 상기 에너지수에 풍부한 미네랄을 함유시켜, 영양성분이 가득한 광천수에 가깝도록 원적외선 미네랄수인 기능수로서 변환 생성시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지하수 오염으로 인한 농축산 농가의 피해를 최소화하여 부가가치 창출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결과적으로 축산 농가에서 발생되는 축산 폐수를 신속하게 정화처리를 할 수 있어, 그간 축산농가에서의 숙원인 축산폐수처리에 큰 기여를 하여 경제적인 장점은 물론 친환경적인 농축산 경영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와, 농촌 및 호소의 부영양화 원인 물질인 질소 외 인이 다량 함유된 축산 폐수를 경제적으로 처리함으로서 국가적인 이익을 가져옴과 동시에 오염된 폐수를 활성수로 재활용함으로서 폐수를 자원화할 수 있는 효과까지도 얻을 수 있다.
나아가 기존의 농축산용 정화 정수처리장치에서는 내구성 및 구조적 기능성 한계에 의해 전혀 기대하기 곤란하였던, 각종 이물질 및 중금속이 포함된 바닷물 원수인 해수를 해수 정화처리 여과용 해수필터와 함께 별도의 UV램프 및 영구자석이 포함된 내식성이 강한 원통형의 본체하우징 내부를 펌핑동작을 통한 일정 압력으로 통과하면서 정화처리되도록 함으로서, 천일염의 최상 조건으로 깨끗한 정수상태의 해수로 정수처리되어 외부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비교적 단순한 구성관계로서도 해수(바닷물)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 및 이물질의 제거와 함께 살균처리를 통해, 인체에 유익한 성분 함량을 높이면서 순도가 높고 결정이 단단한 깨끗하고 위생적인 천일염의 원료인 깨끗한 정수상태의 해수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해수 정화 정수처리장치로서의 폭넓은 사용도 가능한 획기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의 기본 실시예로서 외부 외관을 표현한 결합상태 사시도와 내구 상세 구조를 절개 도시한 분리상태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의 응용 실시예로서 외부 외관을 표현한 결합상태 사시도와 내구 상세 구조를 절개 도시한 분리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에 적용된 본체하우징의 원수유입공간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각 정화필터 내부에 자화수기로서 필터지지봉을 축으로 자석자화기가 결속 설치되어 자화수통본체 외부로 상기 정화필터가 결속 설치되는 분리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의 작동원리를 보인 단면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에 대한 구제적인 구성관계 및 작동원리가 정확하고도 용이하게 설명 전달될 수 있도록 첨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는, 오염된 물인 원수를 정수 및 정화시켜 깨끗한 물을 만들어주는 정화수단으로 사용되는 자화수기를 구성하는 자화수통본체(40)의 자석자화기(44)를 본체하우징 내의 해당 정화필터(40)의 필터지지관(32) 내부에 편리하고 간단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여, 주변의 정화처리되는 정수라인상에 구성된 원적외선기(46)는 물론 원수유입관(12) 및/또는 정수배출관(14)에 구성시킨 UV살균필터(52) 등의 정화 살균수단 등과 함께 오염된 원수인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를 비교적 단순한 처리과정을 통해, 자화처리 및 원적외선 방사처리는 물론 확실한 여과 살균처리가 이루어지면서 영양성분이 가득한 광천수에 가깝도록 원적외선 에너지 기능수로 정수처리시킬 수 있는 정화 정수처리 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시스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작동원리가 발휘되어 구현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의 구성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본체하우징(10)은 기본적으로 유입 통과되는 해수에 대한 내식성이 확보될 수 있는 금속재질(특히 스테인리스 계열)로서 상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데, 하부쪽에 형성된 필터받침대(18)에는 정화필터(30)를 통해 정화처리되어 깨끗한 정수상태의 해수가 낙하 유입될 수 있도록 정수통과공이 관통된 정수통과구(19)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받침대(18)를 매개로 그 위쪽 공간은 상부 일측에 관통 연결된 원수유입관(12)을 통해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인 원수가 유입되어 정화 및 정수처리되는 원수유입공간(11)을 형성하는 한편, 그 아래쪽 공간은 위쪽의 원유입공간(11)의 정화수단 및 자화수단을 통해 살균 정수처리 및 원적외선 방사 자화처리되어 건강에 유익한 광천수 상태로 변화된 깨끗한 정수가 낙하되어 하부 타측에 관통 연결된 정수배출관(14)을 통해 외부 배출되도록 하는 정수유입공간(15)이 형성된다.
우선 본체하우징(10)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부 일측에는 정화(정수) 처리할 외부로부터 일정 압력으로 펌핑되는 원수인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가 유입되도록 원수유입관(12)이 연결되고, 내부의 원수유입공간(11)으로 유입되는 원수가 필터받침대(18)의 각 정수통과구(19)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원통 형태의 정화필터(30)가 설치되되, 상기 정화필터(30)는 그 내부에 타공 형태로 정수처리되는 원수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타공된 역시 원통 형태의 필터지지관(32)이 결속되는 한편, 상기 필터지지관(32) 내부로 본 발명의 핵심 구성수단인 자석자화기(44) 및 원적외선기(46)가 작동될 수 있도록 역시 원통 형태의 자화수통본체(40)에 이들 자석자화기(44)와 원적외선기(46)가 구성되어 조립되며, 길이방향으로 내부 관통되면서 양쪽 단부에는 나사 형성된 상기 자화수통본체(40)의 양측에는 각각 키밀패킹(43)과 함께 자화수통덮개(43)가 결속되어 상기 필터지지관(32)에 탈착 용이하게 결속 구성됨에 본 발명의 핵심 구성상 기술적 특징이 있다.
특히, 자석자화기(44)가 원적외선기(46)와 함께 내설되는 자화수통본체(40)는 정화필터(30)를 통해 원수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중간부위에 다수의 물출입공(45)이 관통됨은 물론, 양쪽의 자화수통덮개(42)에는 각각 다수의 물출입공(41)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정화필터(30)를 통과하는 원수의 유입이 구조적으로 용이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터받침대(18) 아래쪽의 정수유입공간(15)으로 낙하되어 외부 배출될 수 있도록 연결 돌출된 정수배출관(14)과 별도로 상기 필터받침대(18) 측방으로 외측에는 정화 및 정수처리되면서 분리된 원수의 각종 중금속 및 이물질들이 외부 배출될 수 있도록 오수배출관(17)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오수배출관(17)과 별도로 상기 정수유입공간(15) 하측에는 정화 및 정수처리의 작동모드와 별도로 본 발명의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를 세척 또는 청소하면서 발생되는 오물이나 폐수를 외부 배출시키기 위한 다른 오수배출관(17)이 추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하우징(10)의 개방된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본체하우징(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의 압력을 확인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하우징덮개(20)에는 기본적으로 압력게이지(24)와 에어벤트(22)가 설치 구성되며, 이들 본체하우징(10)과 하우징덮개(20)는 통상의 고정클램프(26) 결속수단으로 결합 고정 및 분리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석자화기(44) 및 원적외선기(46) 중앙으로는 정화필터(30)를 필터받침대(18)의 해당 정수통과구(19)에 결속 고정시키기 위한 필터지지봉(31)이 통과 결속되는데, 상기 필터지지봉(31)은 상기 정화필터(30) 내부의 자화수통본체(40) 및 자화수통덮개(42)를 통과하여 상기 정화필터(30) 상측에 결속시킨 필터지지판(34)과 상기 필터받침대(18)에 대해 각각 결속너트(35) 및 고정나트(33)로써 나사 확실하게 결합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는 원수유입관(12) 및/또는 정수배출관(14)을 구성함에 있어, 본체하우징(10)으로 유입되어 정화처리되는 원수 또는 상기 본체하우징(10)을 통해 정화처리되어 외부 배출되는 정수에 대한 살균처리 및 자화처리를 좀더 확실하게 배가시킬 수 있도록 UV살균기(52) 및 별도의 자석자화기(54)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 상기 정수배출관(14)은 기본 실시예의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중간의 구성시킨 제어반지지대(13)에 작동제어반(5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응용 실시예의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본체하우징(10)의 하부 타측에 단순하게 돌출시키는 정도로만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관계의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는 도 6의 작동원리 도면에서 보는 것처럼, 기본적으로 오염된 물인 농축산가의 지하수 또는 해수를 정수 및 정화시켜 깨끗한 물을 만들어주는 정화수단으로 사용되는 자화 정수수단인 자석자화기(44) 및 원적외선 방사수단인 원적외선기(46)를 본체하우징(10) 내부의 다수 구성된 해당 정화필터(30) 내부에 편리하고 간단하게 결속시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원수유입관(12)을 통해 상기 본체하우징(10)의 원수유입공간(11)으로 유입되어 다수의 상기 정화필터(30)를 통해 1차 정화(여과)처리된 원수가 상기 정화필터(30) 내부의 이들 원적외선기(46) 및 강력한 자석자화기(44)에 의해 2차 정화 및 자화처리 및 원적외선 방사처리될 수 있다.
물론 본체하우징(10)의 정화필터(30) 및 자석자화기(44)에 의한 정화 및 자화처리를 통해 깨끗하게 정수처리되는 원수는 사전에 기본적으로 원수유입관(12)에 설치된 UV살균기(52) 및 또따른 자석자화기(54)를 통해 살균 및 자화처리된 상태로 상기 본체하우징(10)의 정화필터(30)를 통과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외부 배출되기 전에 정수배출관(14)의 UV살균기(52) 또는 또다른 자석자화기(54)를 통해서도 좀더 확실하게 살균 및 자화처리되면서 확실한 정수상태의 건강한 광천수로서 변화되어 농축산용 건강기능수로 사용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참고로 미설명한 도면부호 60은 본 발명의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를 용이하게 이동 및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받침이동대가 설치 구성될 수도 있음을 예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정수(여과) 처리라인상에 구성된 자석자화기 및 원적외선기와 함께 UV살균필터 등의 정화 살균수단 등을 통해 오염된 농축산 지하수는 물론 깨끗한 천일염으로 가공처리하기 전의 해수를 비교적 단순한 처리과정을 통해, 자화처리 및 원적외선 방사처리는 물론 확실한 여과 살균처리가 이루어지면서 지하수 및 해수에 포함된 불순물 및 이물질이 제거되어 깨끗한 정수 상태의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를 얻을 수 있는바, 이는 결과적으로 영양성분이 가득한 광천수에 가깝도록 원적외선 에너지 기능수로 정수처리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0 : 본체하우징 11 : 원수유입공간
12 : 원수유입관 13 : 제어반지지대
14 : 정수배출관 15 : 정수유입공간
16,17 : 오수배출관 18 : 필터받침대
19 : 정수통과구 20 : 하우징덮개
22 : 에어벤트 24 : 압력게이지
26 : 고정클램프 30 : 정화필터
31 : 필터지지봉 32 : 필터지지관
33 : 고정너트 34 : 필터덮개
35 : 결속너트 40 : 자화수통본체
41,45 : 물출입공 42 : 자화수통덮개
43 : 기밀패킹 44 : 자석자화기
46 : 원적외선기 50 : 제어반
52 : UV살균기 54 : 자석자화기
60 : 이동받침대

Claims (3)

  1. 상부 일측에는 정화(정수) 처리할 외부로부터 일정 압력으로 펌핑되는 원수인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가 유입되도록 원수유입관(12)이 연결되고, 내부의 원수유입공간(11)으로 유입되는 원수가 필터받침대(18)의 각 정수통과구(19)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정화필터(30) 및 상기 정화필터(30) 내부의 자석자화기(44) 및 원적외선기(46)를 통해 정화(여과) 처리 및 살균 자화처리되며, 하부 타측에는 정화 정수처리된 정수가 상기 필터받침대(18) 아래쪽의 정수유입공간(15)으로 낙하되어 외부 배출될 수 있도록 정수배출관(14)이 연결되고, 상기 필터받침대(18) 측방으로 외측에는 정화 및 정수처리되면서 분리된 원수의 각종 중금속 및 이물질들이 외부 배출되는 오수배출관(17)이 돌출된 본체하우징(10)과;
    상기 본체하우징(10)의 개방된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본체하우징(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의 압력을 확인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압력게이지(24)와 에어벤트(22)가 설치된 하우징덮개(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본체하우징(10)의 정화필터(30)는 타공 형태인 내부의 필터지지관(32) 안으로 기본적으로 상기 자석자화기(44)와 함께 원적외선기(46)가 필요에 따라 설치되어 정화처리되는 원수가 자화처리 및 원적외선 방사처리될 수 있도록 이들 자석자화기(44) 및 원적외선기(46)가 자화수통본체(40)에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화필터(30)의 필터지지관(32) 내부에 설치되는 자회수통본체(40)는 중간에 다수의 물출입공(45)이 관통되면서 상하 양쪽에는 각각 물출입공(41)이 관통된 자화수통덮개(42)가 결합되며, 상기 자석자화기(44) 및 원적외선기(46) 중앙으로는 하단이 상기 필터받침대(18)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단은 상기 정화필터덮개(42)와 나사 결합되어 일체 고정시키는 필터지지봉(31)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수유입관(12) 및/또는 정수배출관(14)에는 정화처리되는 원수에 대한 살균처리 및 자화처리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UV살균기(52) 및 별도의 자석자화기(54)가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정수배출관(14)은 중간의 제어반지지대(13)에 작동제어반(5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
KR1020160117312A 2016-09-12 2016-09-12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 KR101862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312A KR101862325B1 (ko) 2016-09-12 2016-09-12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312A KR101862325B1 (ko) 2016-09-12 2016-09-12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424A true KR20180029424A (ko) 2018-03-21
KR101862325B1 KR101862325B1 (ko) 2018-06-29

Family

ID=61900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312A KR101862325B1 (ko) 2016-09-12 2016-09-12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3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8125A1 (fr) * 2019-07-03 2021-01-08 Naval Energies Dispositif de filtration pour un système thermique à eau de mer
KR102659824B1 (ko) * 2023-03-31 2024-04-22 김수현 이중자화기가 구비된 해수 및 오염수용 정화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902A (ko) * 2001-11-16 2003-05-22 최정우 농업용 선회식 급수 여과장치
KR200437393Y1 (ko) * 2007-02-02 2007-11-29 김진호 자화기를 이용한 자화육각수 제조장치
KR20150086836A (ko) * 2014-01-20 2015-07-29 이춘구 물의 항균성을 높여주기 위한 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902A (ko) * 2001-11-16 2003-05-22 최정우 농업용 선회식 급수 여과장치
KR200437393Y1 (ko) * 2007-02-02 2007-11-29 김진호 자화기를 이용한 자화육각수 제조장치
KR20150086836A (ko) * 2014-01-20 2015-07-29 이춘구 물의 항균성을 높여주기 위한 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8125A1 (fr) * 2019-07-03 2021-01-08 Naval Energies Dispositif de filtration pour un système thermique à eau de mer
KR102659824B1 (ko) * 2023-03-31 2024-04-22 김수현 이중자화기가 구비된 해수 및 오염수용 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325B1 (ko)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ustillo-Lecompte et al. Slaughterhouse wastewater: treatment, management and resource recovery
US10414677B2 (en) Ozone-assisted fluid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JP2010532246A (ja) 水産養殖システムから出る魚廃棄物を改変uasbリアクタを用いてメタンに変換する方法
CN207774943U (zh) 一种农业水产养殖污水处理装置
US84548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on of low zeta potential mineral crystals to enhance quality of liquid solutions
CN206142914U (zh) 厌氧缺氧好氧a3o‑mbbr一体化污水处理装置
US9481591B1 (en) Device and process to treat and disinfect sewage, food processing wastewater and other biologically contaminated water
KR101862325B1 (ko)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
CN100396626C (zh) 螺旋藻废水处理工艺
KR100703233B1 (ko)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로의 재이용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Borah et al. Leakage of Surfactants in Greywater: Environmental Impact, Mitigation, and their Circular Economy
Gross et al. Small scale recirculating vertical flow constructed wetland (RVFCW) for the treatment and reuse of wastewater
Kashem et al. Aquaculture from inland fish cultivation to wastewater treatment: a review
US20210246054A1 (en) Method of revitalizing reverse osmosis water
CN208471820U (zh) 一种高效含重金属污水处理装置
CN204999775U (zh) 一种用于食品工业废水处理装置
CN209835861U (zh) 一种采用麦饭石进行矿化和储水的水处理装置
Richa et al. Mitigation strategies for environmental hazards generated by food industries
Rajpoot Current Technologies for Waste Water Treatment in Chemical Industries in India
CN2215480Y (zh) 一种净水消毒罐
CN210287089U (zh) 一种农村污水处理系统
Alam et al. Wastewater Disposal Techniques
CN201923917U (zh) 一种带逆冲洗排污及紫外线杀菌功能的家用净水器
CN208345966U (zh) 一种农业污水处理设备
CN207511983U (zh) 一种混合废水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