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1720A -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1720A
KR20060061720A KR1020040100695A KR20040100695A KR20060061720A KR 20060061720 A KR20060061720 A KR 20060061720A KR 1020040100695 A KR1020040100695 A KR 1020040100695A KR 20040100695 A KR20040100695 A KR 20040100695A KR 20060061720 A KR20060061720 A KR 20060061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onized water
electrolytic
seaweed
electrolytic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0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3183B1 (ko
Inventor
최경태
송영준
Original Assignee
최경태
송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태, 송영준 filed Critical 최경태
Priority to KR1020040100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183B1/ko
Publication of KR20060061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5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 C02F2001/46171Cylindrical or tubular shap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02F2201/4617DC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두께의 이온 교환막을 형성하는 황토관체와 상기 황토관체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한쌍의 동일 길이의 양극 전극봉, 및 상기 황토관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양극 전극봉의 길이보다 2.5배 더 큰 음극 전극봉이 설치되어 있는 전해조에 함초를 가공하여 만든 함초물과 수도물을 공급한 후 전기분해하여 산성 이온수와 알칼리 이온수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가 pH-1의 강산성 이온수와 pH-14의 강알칼리 이온수를 생성하지 못하는 단점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완전 멸균 처리되어 증류수보다 더 맑고 깨끗하며 인체에 빠르게 흡수되는 양질의 이온수를 음용수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의학분야, 농업분야, 공업분야, 수산분야 등에서 본 발명을 활용할 수 있다.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 산성 이온수, 알칼리 이온수, 함초, 황토

Description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 및 그 방법{Electrolytic ion water generator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의 전해조에 맥반석과 운모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해 이온수 생성방법의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해 이온수 생성방법의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해 이온수 생성방법의 공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해조 11,12: 평판형 전극
11a: 양극실 12a: 음극실
13: 이온 교환막 20: 전해조
21: 황토관체 22: 양극 전극봉
23: 음극 전극봉 24: 이온수 수조
24a: 이온수 배출관 25: 전원공급장치
본 발명은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함초(SALICORNIA HERBACEA L.)를 가공하여 만든 함초물과 수도물을 전기분해하여 산성 이온수와 알칼리 이온수를 생성하는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정용 혹은 업무용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는 수도물을 전해하여 알칼리 이온수와 산성 이온수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극(+) 및 음극(-)을 형성하는 한쌍의 평판형 전극(11,12)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하며, 이들 전극(11,12)을 격리하여 양극실(11a) 및 음극실(12a)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들 전극(11,12)간에 이온 교환막(13)을 갖춘 전해조(10)를 구비하고, 상기 전해조(10)를 특정 관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수도 꼭지에 연결하여 그 내부에 수도물을 공급한 후, 상기 전해조(10)에 공급되는 수도물 중에 존재하는 전해질을 전기분해하면 +전극에서 -전극으로 물이 이동하면서 알칼리 이온(+이온)을 함유하는 물을 음극실(12a)에서 취하고, 산성 이온(-이온)을 함유하는 물을 양극실(11a)에서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해 이온수 생성 장치는 전기분해 작동 중에 수산화알칼리 등의 스케일(scale)이 음극면에 부착되어 전리 효율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이러한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마다 전극의 극성을 바 꾸어서 역세척하여 스케일을 제거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는 통상적으로 상기 이온 교환막(13)의 격막공 크기가 0.4∼1μ 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수도물 중에 함유된 보통 0.02μ 크기의 균을 100% 살균 및 여과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는 양극(+) 및 음극(-)을 형성하는 한쌍의 평판형 전극(11,12)이 서로 동일한 길이로 평행하게 상기 전해조(10)의 상부에 침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전해조(10)의 상부에서만 전기분해 현상이 집중되어 이온수의 pH가 대략 3.5∼10.5 범위로 제한되고, 특히 pH-1의 강산성 이온수와 pH-14의 강알칼리 이온수를 생성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평판형 전극(11)(12)은 전해조(10)의 상부에 동일 한 높이로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전기분해 과정에서 +전극에서 10개의 이온이 발생하여 -전극으로 이동할 경우 -전극에는 10개의 이온만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더 좋은 이온수를 만들지 못하는 단점도 있다.
또한, 강산성 이온수를 만들기 위해서 종래에는 다량의 화학약품을 첨가하여 만들게되는데, 상기 과정에서 만들어진 강산성 이온수는 미세한 세균들이 완전히 멸균처리되지 않는 등의 문제로 인해서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되어 치료효과가 높지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 두께의 이온 교환막을 형성하는 황토관체와 상기 황토관체의 외주면에 배 치되는 한쌍의 동일 길이의 양극 전극봉, 및 상기 황토관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양극 전극봉의 길이보다 2.5배 더 큰 음극 전극봉이 설치되어 있는 전해조에 함초를 가공하여 만든 함초물과 수도물을 공급한 후 전기분해하여 산성 이온수와 알칼리 이온수를 생성하는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해조에 공급된 함초물과 수도물은 전기분해되는 과정에서 황토관체와 충돌하면서 0.02μ 크기의 미세한 세균이 자연소멸되고, 황토관체 내부로 투과된 함초물과 수도물은 인체에 빠르게 흡수되도록 한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인체에 무해한 pH-1의 강산성 이온수와 PH-14의 강알칼리 이온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전해조(20)는 특정 관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함초물이 저장된 수조(도시하지 않음)와 수도 꼭지에 연결되어 함초물과 수도물을 공급받는다.
상기 전해조(20)는 특정 관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함초물이 저장된 수조에 연결되어 함초물을 공급받을 때 그 바닥면에 깔리는 일정량의 맥반석과 운모를 포함한다.
예컨대, 물 10ℓ에 함초 1kg을 넣고 5시간 동안 우려내어 함초물을 생성한 후, 이 함초물을 상기 전해조(20)에 공급하는 경우, 상기 맥반석과 운모는 각각 3g과 2g씩 상기 전해조(20)의 바닥면에 깔린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산성 이온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함초(SALICORNIA HERBACEA L.)는 우리말로 '퉁퉁마디'라고 부르는 식물로서, 바닷물 속에 녹아 있는 소금을 비롯하여 칼슘, 마그네슘, 칼륨, 철, 인 등과 같은 갖가지 미네랄을 흡수하면서 자라고, 우리나라 서해안이나 남해안, 섬 지방의 해안이나 개펄 혹은 염전 주변에 무리를 지어 많이 자란다. 특히, 함초에는 들어 있는 칼슘은 우유보다 7배가 많고 철은 김이나 다시마의 40배나 되며 칼륨은 굴보다 3배가 많은 것으로 익히 알려져 있으며, 이밖에 바닷물 속에 들어 있는 90여 가지의 미네랄이 골고루 들어 있다. 또한, 함초는 소화불량, 위장병, 간염, 신장염, 각종 암, 축농증, 관절염, 고혈압, 저혈압, 요통, 비만증, 치질, 당뇨병, 갑상선, 천식, 기관지염 등에 뛰어난 효능을 가지고 있음이 익히 알려져 있다.
또한, 맥반석은 이미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오염물질, 중금속 등을 흡착/분해하는 작용을 하며, 인체에 활력을 주는 40여종 이상의 미네랄을 용출하여 신진대사와 피부건강관리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산성이나 강한 알칼리성 물을 약 알칼리성(pH7.2~7.4)으로 조절하고 수질을 활성화시켜 정수작용을 하며, 특히 물에 담그면 COD(화학적 산소요구량)와 BOD(생물학적 산소요구량)가 낮아져 방부작용은 물론 활성화에 따른 생체에 활력을 준다.
또한, 운모는 절연재료와 내화재로 널리 사용된다.
황토관체(21)는 상기 전해조(20)의 중앙부에 고정 설치되고, 일정 두께(예컨 대, 2cm)의 이온 교환막을 형성하며, 황토의 멸균 특성을 그대로 보유하고 있다.
한쌍의 양극 전극봉(22)은 동일한 길이를 나타내고, 상기 황토관체(21)의 외주면에 고정 배치된다.
음극 전극봉(23)은 상기 황토관체(21) 내부의 중앙부에 고정 배치되고, 그 길이가 상기 양극 전극봉의 길이보다 2.5배 더 길다.
황토관체(21)의 외주연에 대칭되게 형성된 양극 전극봉(22)을 통해서 전기분해가 일어나면 +전극에서 -전극으로 이동하는 함초물 또는 수도물은 +전극에서 최초 10개의 이온이 발생하였다면 음극 전극봉(23)으로 이동하면서 2.5:1의 비율과 같이 25개의 이온이 발생하기 때문에 인체의 흡수가 빠르고, 환원력이 높은 물이 생성된다.
이온수 수조(24)는 일측에 이온수 배출관(24a)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황토관체(21)의 상단 외주면에 밀봉 결합되고, 상기 전해조(20)에 공급된 함초물과 수도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성한 이온수가 상기 황토관체(21)의 상부를 통하여 분출되어 수집된다.
전원공급장치(25)는 상기 양극 전극봉(22)과 음극 전극봉(23)에 상기 전해조(20)에 수용된 함초물과 수도물을 전기분해하여 산성 이온수와 알칼리 이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50∼100V의 직류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공급장치(25)의 직류전원의 공급시간과 공급전압에 의하여 상기 함초물과 수도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성하는 산성 이온수와 알칼리 이온수의 pH가 결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하여 산성 이온수와 알칼리 이온수를 생성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로 산성 이온수를 생성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장 먼저, 물 10ℓ 에 함초 1kg을 넣고 5시간 동안 우려내어 함초물을 생성한 다음(S10), 상기 함초물을 3g의 맥반석과 2g의 운모가 바닥면에 깔려 있는 상기 전해조(20)에 공급한다(S12).
다음으로, 상기 전해조(20)의 중앙부에 고정 설치된 황토관체(21)의 외주면에 고정 배치되는 한쌍의 동일 길이의 양극 전극봉(22)과 상기 황토관체(21) 내부의 중앙부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양극 전극봉(22)의 길이보다 2.5배 더 긴 음극 전극봉에 50∼100V의 직류전원을 대략 15∼20분 정도 공급하여 상기 양극 전극봉(22)과 음극 전극봉(23)의 전기분해 작용을 야기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전해조(20)의 함초물 이온이 2cm 두께의 이온 교환막을 형성하는 상기 황토관체(21) 내부로 투과되면서 0.02μ 크기의 미세한 세균들이 항토관체(21)와 충돌하면서 멸균 처리되어 1 ≤ pH < 7 범위의 산성 이온수가 생성된다(S14).
마지막으로, 상기 황토관체(21) 내부에 생성된 산성 이온수가 황토관체(21)의 상부를 통하여 분출되면, 이 분출 산성 이온수는 상기 이온수 수조(24)에 수집된 후(S16), 상기 이온수 수조(24)의 일측에 형성된 이온수 배출관(24a)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진 강산성 이온수(pH-1)는 의학분야의 소독용수나 각종 피부병 치료제로 사용되며, 기존에 화학약품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강산성 이온수와는 달리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만들어졌기 때문에 많은 특징이 있다.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인체에 무해하다.
둘째, 0.02μ 크기의 미세한 세균들이 황토관체와 충돌하면서 자연소멸되면서 황토관체로 스며들면서 완전히 멸균처리가 가능하다.
셋째, 황토관체로 스며드는 물은 물의 입자가 미세하여 인체에 빠르게 흡수 되면서 인체에서 번식하는 세균을 질식사시켜 빠른 치료가 가능하다.
넷째, 강산성 이온수는 의학분야, 농업분야, 공업분야, 수산분야 등에 적용하여 사용이 가능다. 특히 산소 함유량을 줄일 수 있는 시멘트 등에 적용하면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시멘트 희석제로 활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로 음용 가능한 알칼리 이온수를 생성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장 먼저, 수도물을 적당량을 상기 전해조(20)에 공급한 다음(S20), 상기 전해조(20)의 중앙부에 고정 설치된 황토관체(21)의 외주면에 고정 배치되는 한쌍의 동일 길이의 양극 전극봉(22)과 상기 황토관체(21) 내부의 중앙부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양극 전극봉(22)의 길이보다 2.5배 더 긴 음극 전극봉에 50∼100V의 직류전원을 대략 15∼20분 정도 공급하여 상기 양극 전극봉(22)과 음극 전극봉(23)의 전기분해 작용을 야기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전해조(20)의 수도물 이온이 2cm 두께의 이온 교환막을 형성하는 상기 황토관체(21) 내부로 투과되면서 0.02μ 크기의 미세한 세균들이 항토관체(21)와 충돌하면서 멸균 처리된 7 < pH ≤14 범위의 알칼리 이온수가 생성된다(S22). 특히, 이때 상기 황토관체(21)에 침수된 수도물 이온은 상기 음극 전극봉(23)에서 미립포수(微粒泡水) 형태(안개모양)의 다량의 항산화물질인 용존산소를 가지고 체내에서 빠르게 흡수되는 소인소(少因素)의 물분자로 생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황토관체(21) 내부에 생성된 알칼리 이온수가 황토관체(21)의 상부를 통하여 분출되면, 이 분출 알칼리 이온수는 상기 이온수 수조(24)에 수집된 후(S24), 상기 이온수 수조(24)의 일측에 형성된 이온수 배출관(24a)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로 음용 가능한 알칼리 이온수를 생성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장 먼저, 항토 1kg에 물5ℓ를 넣고 교반시킨 후 5시간 이후에 가라앉힌 맑은 지장수 생성 한 다음(S30), 상기 지장수 10ℓ 에 함초 1kg을 넣고 30분 동안 우려내어 함초물을 생성(S32)하여 전해조(20)에 공급한다(S34).
상기 전해조(20)의 중앙부에 고정 설치된 황토관체(21)의 외주면에 고정 배치되는 한쌍의 동일 길이의 양극 전극봉(22)과 상기 황토관체(21) 내부의 중앙부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양극 전극봉(22)의 길이보다 2.5배 더 긴 음극 전극봉에 50∼100V의 직류전원을 대략 15∼20분 정도 공급하여 상기 양극 전극봉(22)과 음극 전극봉(23)의 전기분해 작용을 야기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전해조(20)의 수도물 이온이 2cm 두께의 이온 교환막을 형성하는 상기 황토관체(21) 내부로 투과되면서 0.02μ 크기의 미세한 세균들이 항토관체(21)와 충돌하면서 멸균 처리된 7 < pH ≤14 범위의 알칼리 이온수가 생성된다(S36). 특히, 이때 상기 황토관체(21)에 침수된 수도물 이온은 상기 음극 전극봉(23)에서 미립포수(微粒泡水) 형태(안개모양)의 다량의 항산화물질인 용존산소를 가지고 체내에서 빠르게 흡수되는 소인소(少因素)의 물분자로 생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황토관체(21) 내부에 생성된 알칼리 이온수가 황토관체(21)의 상부를 통하여 분출되면, 이 분출 알칼리 이온수는 상기 이온수 수조(24)에 수집된 후(S38), 상기 이온수 수조(24)의 일측에 형성된 이온수 배출관(24a)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만들어진 알칼리 이온수는 수도물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것보다 좋은 알칼리 이온수를 만들 수 있고 인체 흡수가 용이하며, 세포의 구조 변형으로 생긴 병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해 이온수 생성방법이 적용되는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는, 일정 두께의 이온 교환막을 형성하는 황토관체와 상기 황토관체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한쌍의 동일 길이의 양극 전극봉, 및 상기 황토관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양극 전극봉의 길이보다 2.5배 더 큰 음극 전극봉이 설치되어 있는 전해조에 함초를 가공하여 만든 함초물을 공급한 후 이 함초물을 50∼100V의 직류전원로 전기분해하여 상기 전해조의 함초물 이온을 2cm 두께의 이온 교환막을 형성하 는 상기 황토관체 내부로 투과되면서 멸균 처리된 1 ≤ pH < 7 범위의 산성 이온수를 생성하고, 상기 전해조에 수도물을 공급한 후 이 수도물을 50∼100V의 직류전원로 전기분해하여 상기 전해조의 수도물 이온이 2cm 두께의 이온 교환막을 형성하는 상기 황토관체 내부로 투과되면서 멸균 처리된 7 < pH ≤14 범위의 알칼리 이온수를 생성하므로, 종래의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가 pH-1의 강산성 이온수와 pH-14의 강알칼리 이온수를 생성하지 못하는 단점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완전 멸균 처리되어 증류수보다 더 맑고 깨끗하며 인체에 빠르게 흡수되는 양질의 이온수를 음용수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의학분야, 농업분야, 공업분야, 수산분야 등에서 본 발명을 활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산성 이온수는 의학분야의 소독용수나 각종 피부병 치료제 등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공업분야의 산소 함량을 줄임으로써 시멘트 강도를 높이기 위한 시멘트 희석제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 및 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특정 관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함초물이 저장된 수조(도시하지 않음)와 수도 꼭지에 연결되어 함초물과 수도물을 공급받는 전해조와;
    상기 전해조의 중앙부에 고정 설치되고, 일정 두께의 이온 교환막을 형성하는 황토관체;
    상기 황토관체의 외주면에 고정 배치되는 한쌍의 동일 길이의 양극 전극봉;
    상기 황토관체 내부의 중앙부에 고정 배치되고 그 길이가 상기 양극 전극봉의 길이보다 2.5배 더 긴 음극 전극봉;
    일측에 이온수 배출관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황토관체의 상단 외주면에 밀봉 결합되고, 상기 전해조에 공급된 함초물과 수도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성한 이온수가 상기 황토관체의 상부를 통하여 분출되어 수집되는 이온수 수조;
    상기 양극 전극봉과 음극 전극봉에 상기 전해조에 수용된 함초물과 수도물을 전기분해하여 산성 이온수와 알칼리 이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50∼100V의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는
    특정 관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함초물이 저장된 수조에 연결되어 함초물을 공급받을 때 그 바닥면에 깔리는 일정량의 맥반석과 운모를 포함하는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관체는 2cm 두께의 이온 교환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
  4. 물 10ℓ에 함초 1kg을 넣고 5시간 동안 우려내어 함초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함초물을 3g의 맥반석과 2g의 운모가 바닥면에 깔려 있는 전해조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전해조의 중앙부에 고정 설치된 황토관체의 외주면에 고정 배치되는 한쌍의 동일 길이의 양극 전극봉과 상기 황토관체 내부의 중앙부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양극 전극봉의 길이보다 2.5배 더 큰 음극 전극봉에 50∼100V의 직류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양극 전극봉과 음극 전극봉의 전기분해 작용을 야기하여 상기 전해조의 함초물 이온이 2cm 두께의 이온 교환막을 형성하는 상기 황토관체 내부로 투과 되면서 멸균 처리된 1 ≤ pH < 7 범위의 산성 이온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황토관체의 상부를 통하여 분출되는 산성 이온수를 이온수 수조에 수집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이온수 생성방법.
  5. 수도물을 전해조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전해조의 중앙부에 고정 설치된 황토관체의 외주면에 고정 배치되는 한 쌍의 동일 길이의 양극 전극봉과 상기 황토관체 내부의 중앙부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양극 전극봉의 길이보다 2.5배 더 큰 음극 전극봉에 50∼100V의 직류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양극 전극봉과 음극 전극봉의 전기분해 작용을 야기하여 상기 전해조의 수도물 이온이 2cm 두께의 이온 교환막을 형성하는 상기 황토관체 내부로 투과 되면서 멸균 처리된 7 < pH ≤14 범위의 알칼리 이온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황토관체의 상부를 통하여 분출되는 알칼리 이온수를 이온수 수조에 수집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이온수 생성방법.
  6. 항토 1kg 물5ℓ를 넣고 교반시킨 후 5시간 이후에 가라앉힌 맑은 물을 생성하는 지장수 생성 단계와;
    지장수 10ℓ에 함초 1kg을 넣고 30분 동안 우려내어 함초물을 생성하는 단계와;
    함초물을 전해조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전해조의 중앙부에 고정 설치된 황토관체의 외주면에 고정 배치되는 한쌍의 동일 길이의 양극 전극봉과 상기 황토관체 내부의 중앙부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양극 전극봉의 길이보다 2.5배 더 큰 음극 전극봉에 50∼100V의 직류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양극 전극봉과 음극 전극봉의 전기분해 작용을 야기하여 상기 전해조의 수도물 이온이 2cm 두께의 이온 교환막을 형성하는 상기 황토관체 내부로 투과 되면서 멸균 처리된 7 < pH ≤14 범위의 알칼리 이온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황토관체의 상부를 통하여 분출되는 알칼리 이온수를 이온수 수조에 수집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이온수 생성방법.
KR1020040100695A 2004-12-02 2004-12-02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 및 그 방법 KR100753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695A KR100753183B1 (ko) 2004-12-02 2004-12-02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695A KR100753183B1 (ko) 2004-12-02 2004-12-02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720A true KR20060061720A (ko) 2006-06-08
KR100753183B1 KR100753183B1 (ko) 2007-08-30

Family

ID=37158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0695A KR100753183B1 (ko) 2004-12-02 2004-12-02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18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568B1 (ko) * 2007-05-04 2007-10-23 박기춘 고령토 격막을 구비한 전자미네랄 알칼리 이온수기
CN103938414A (zh) * 2014-04-12 2014-07-23 大连双迪创新科技研究院有限公司 洗涤助力装置
CN103938413A (zh) * 2014-04-12 2014-07-23 大连双迪创新科技研究院有限公司 超量氢气杀菌洗衣机
KR101982974B1 (ko) * 2018-05-30 2019-05-27 정일경 알칼리 이온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제
WO2024014743A1 (ko) * 2022-07-13 2024-01-18 장한호 용수 유체이송수단의 전극 가설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9322B2 (ja) 1994-07-19 1999-09-13 株式会社アロンワールド イオン水、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568B1 (ko) * 2007-05-04 2007-10-23 박기춘 고령토 격막을 구비한 전자미네랄 알칼리 이온수기
CN103938414A (zh) * 2014-04-12 2014-07-23 大连双迪创新科技研究院有限公司 洗涤助力装置
CN103938413A (zh) * 2014-04-12 2014-07-23 大连双迪创新科技研究院有限公司 超量氢气杀菌洗衣机
KR101982974B1 (ko) * 2018-05-30 2019-05-27 정일경 알칼리 이온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제
WO2024014743A1 (ko) * 2022-07-13 2024-01-18 장한호 용수 유체이송수단의 전극 가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3183B1 (ko) 200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hernaout et al. Application of electrocoagulation in Escherichia coli culture and two surface waters
Ghernaout et al. Mechanistic insight into disinfection by electrocoagulation—A review
Ghernaout et al. From chemical disinfection to electrodisinfection: The obligatory itinerary?
ES2437765T3 (es) Instalación y procedimiento de pretratamiento de agua bruta
US84548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on of low zeta potential mineral crystals to enhance quality of liquid solutions
Takdastan et al. The effect of the electrode in fluoride removal from drinking water by electro coagulation process
CN102372386B (zh) 电化学氧化协同紫外线和超声波技术的油田污水灭菌方法
Yunqing et al. Application of electrochemical treatment for the effluent from marine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s
Govindan et al. Critical evaluation of mechanism responsible for biomass abatement during electrochemical coagulation (EC) process: A critical review
EP1359126B1 (en) Free atom aqueous solution producing apparatus and free-atom aqueous solution producing method
CN108002605A (zh) 一种海水养殖废水中抗生素的处理方法
KR100753183B1 (ko)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 및 그 방법
KR100850378B1 (ko) 해양 심층수로부터 환원성 알칼리이온 음료수의 제조방법
Mendia Electrochemical processes for wastewater treatment
US6966995B1 (en) Method for treating and activating sea water and polluted water into drinking water
JP3535451B2 (ja) 硫酸イオンを含む酸性水及び硫酸イオンを含むアルカリ水の製造方法、硫酸イオンを含む酸性水及び硫酸イオンを含むアルカリ水の製造装置、硫酸イオンを含む酸性水及び硫酸イオンを含むアルカリ水
KR20130040627A (ko) 전해 환원수 제조장치
CN104843953A (zh) 电化学与生物氢自养协同作用深度转化水中高氯酸盐的方法和反应器
GB2257982A (en) An electrolytic method of drinking-water purification
JP2005329331A (ja) 水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CN105858827B (zh) 市供自来水深度净化装置
RU2524927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активированной воды
KR101963165B1 (ko) 경수용 전기분해식 정수기
KR100594759B1 (ko) 기능 활성수 및 그 제조방법
CN111908718A (zh) 一种垃圾渗透液的深度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13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