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445B1 - 제함기용 박스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제함기용 박스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445B1
KR101634445B1 KR1020140117180A KR20140117180A KR101634445B1 KR 101634445 B1 KR101634445 B1 KR 101634445B1 KR 1020140117180 A KR1020140117180 A KR 1020140117180A KR 20140117180 A KR20140117180 A KR 20140117180A KR 101634445 B1 KR101634445 B1 KR 101634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guide
roller guide
conveying conveyo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8604A (ko
Inventor
장윤석
김남욱
김민규
이은영
이주애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17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445B1/ko
Publication of KR20160028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65B43/22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rollers
    • B65B43/225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rollers specially adapted for carton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6Feeding sheets or blanks from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65B43/145Feeding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함기용 박스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매거진의 전면에 제함기쪽으로 경사 형성된 이송컨베이어가 설치된다. 박스가 낙하하여 이송컨베이어에 올려지고 자중에 의해 경사 하방으로 이동하므로 박스와 이송컨베이어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보다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고, 이송컨베이어가 별도의 구동원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이송컨베이어의 구동원 고장에 의한 제함기 유휴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제함기용 박스 이송장치{Box conveying apparatus for erector}
본 발명은 제함기로 작업 대상이 되는 평면으로 접혀진 상태의 박스를 공급해주는 제함기용 박스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함기는 평면으로 접혀진 상태의 박스를 물건을 넣을 수 있는 직육면체 상태로 만들어주는 장치이다.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는 4면의 측면부와, 측면부의 상단과 하단에 연결 형성되어 개구된 상부와 하부를 막아줄 수 있도록 된 받침부와 덮개부로 이루어진다.
받침부 및 덮개부 각각은, 길이가 긴 한 쌍의 날개부와 길이가 짧은 한 쌍의 날개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가 짧은 날개부를 먼저 접어 넣고 그 위로 길이가 긴 날개부를 접어 포개도록 되어 있다. 길이가 짧은 날개부는 길이가 긴 날개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박스의 강성을 보강하고 길이가 긴 날개부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혀졌을 때 대응되는 단부가 서로 맞닿으면서 박스의 개구된 상부와 하부를 완전히 막아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박스(평면상태로 접혀진 상태의 박스)가 제함기로 공급되면, 제함기는 박스를 펼쳐 측면부를 형성하고, 먼저 아래쪽의 짧은 날개들을 측면부에 직각인 상태로 측면부의 하부로 접어 넣은 후, 긴 날개들을 접어서 서로 맞닿는 양측 긴 날개들의 단부(박스 하면의 중앙선을 형성함)를 테이프로 봉합하여 받침부를 형성한다. 이에,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막힌 상태 즉, 물건을 담을 수 있는 형태의 박스가 형성된다.
제함기로 공급될 박스는 평면 형태로 접혀서 다수가 포개진 상태로 매거진에 탑재되며, 매거진의 전방으로 1장씩 배출된다.
배출된 박스는, 매거진에 제함기가 바로 연결된 경우에는 매거진으로부터 제함기로 직접 공급되고, 매거진과 제함기 사이에 이송컨베이어가 설치된 경우에는 이송컨베이어를 매개로 제함기로 공급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전력을 공급받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박스를 이송한다.
한편, 종래에는 매거진에 적재된 박스가 토출되어 이송컨베이어를 타고 제함기로 이동할 때 박스와 이송컨베이어 사이에 틈이 벌어질 경우 박스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제함부로의 박스 공급이 늦어지고 이에 제함기의 유휴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매거진으로부터 토출되는 박스가 매거진과 이송컨베이어 사이의 틈에 끼인 경우에도 박스의 정상적인 이송이 불가하였다.
또한, 종래의 이송컨베이어는 전력으로 작동되는 구동원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구동원이 고장 났을 경우 박스 이송이 불가하여 제함기로 박스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제함기가 정상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제함 작업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력으로 작동되는 장치를 이용하여 박스를 공급하는 종래 기술의 일예가 한국등록특허 10-1130241(2008.09.19)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박스와 이송컨베이어 사이에 틈이 형성되지 않고, 박스가 매거진과 이송컨베이어 사이의 틈이나 이송컨베이어 자체의 틈에 끼지 않으며, 이송컨베이어가 무동력으로 작동하여 구동원의 고장에 의한 이송 불가 상태가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제함기로 항상 원활하게 박스를 이송 및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이송 에러 및 이송컨베이어 고장에 의한 제함기의 작업시간 감소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제함기용 박스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평판형으로 접힌 다수의 박스를 적재하고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매거진과, 상기 매거진의 전방에 밀착 배치되고 롤러로 이루어진 상면이 제함기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매거진은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어 박스의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대와, 베이스 상면의 받침대 양측에 설치되어 박스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가이드벽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와 가이드벽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제함기쪽으로 하향 경사진 상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된 다리와, 상부프레임에 일렬로 설치되어 박스를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프레임에 박스의 하단과 마찰하는 마찰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마찰부재는 상부프레임에 설치된 롤러 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상기 상부프레임에 박스의 전후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가이드가 설치된다.
상기 롤러가이드는 상부프레임의 후단에 설치된 제1롤러가이드와, 제1롤러가이드로부터 전방으로 이격 설치된 제2롤러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가이드는 상부프레임과 평행하게 경사 설치된다.
상기 매거진의 전면에 받침대 상면 높이에 상단이 장착되고, 하단은 하방으로 경사 형성되어 박스의 낙하 경로를 제1롤러가이드와 제2롤러가이드의 사이로 안내하는 가이드판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판의 하단은 제1롤러가이드 상단의 전방 단부 모서리보다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가이드판의 하단은 롤러가이드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판은 박스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판은 복수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매거진으로부터 토출되는 박스가 중력에 의해 낙하하고, 이송컨베이어가 경지지게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의 상면에서도 항상 중력에 의한 경사 하방으로의 힘을 받으므로 박스와 이송컨베이어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박스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다.
이러한, 작용은 박스의 롤러가이드에 의해 박스의 양 옆이 지지되어 박스가 쓰러지지 않으므로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매거진과 이송컨베이어의 사이에 가이드플레이트가 설치되어 박스가 상기 양측 롤러가이드의 사이로 정확히 하강됨으로써 박스가 매거진과 이송컨베이어 사이의 틈이나 이송컨베이어의 틈에 끼이지 않게 됨으로써 박스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다.
한편, 이송컨베이어가 박스의 자중에 의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전원 및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원이 필요 없으며, 이에 전원이 끊어지거나 구동원이 고장 남으로써 이송컨베이어가 작동불능 상태에 빠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이송컨베이어의 박스 이송이 항상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제함기로의 박스 공급이 원활해지고, 이에 제함기의 유휴시간이 감소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롤러가이드에 의해 박스가 쓰러지지 않게 되므로 박스가 이송컨베이어의 외부로 낙하하여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송컨베이어에는 소정 간격마다 마찰부재가 롤러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박스의 저면에 마찰된다. 따라서, 이송컨베이어의 경사면을 따라 내려오는 박스의 이동속도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박스가 제함기로 공급될 때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박스나 제함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 이송장치의 정면도.
도 2는 가이드판이 구비된 제함기용 박스 이송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도 1의 평면도.
도 6은 이송컨베이어의 부분 확대 정면도로서, 마찰부재의 설치 상태도.
도 7은 도 1의 사시도.
도 8은 제함기용 박스 이송장치가 복수개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2, 3, 5,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 이송장치는 평판형으로 접힌 다수의 박스(1)가 횡방향으로 적재되고 이를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매거진(10)과, 매거진(10)의 전방에 밀착 배치되고 롤러(21)로 이루어진 상면이 제함기(30)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이송컨베이어(20)를 포함한다.
매거진(magazine ; 10)은 베이스(11)와, 베이스(11)의 상부 중앙에 설치된 받침대(12)와, 베이스(11)의 상부에 장착되되 받침대(12)의 양단으로부터 소정 거리(a) 이격된 가이드벽(13)을 포함한다.
베이스(11)는 매거진(10) 상부 구조물(받침대(12), 가이드벽(13))의 하중을 지지하고, 받침대(12)에 적재된 박스(1)를 배출방향으로 밀어주는 배출유닛(미도시)을 구동하기 위한 장치들이 설치된다.
받침대(12)는 다수의 박스(1)가 적재되는 평평한 면(수평면임)을 제공하는 것으로, 박스(1)는 다수개가 상호 밀착하여 세워진 상태로 받침대(12) 상면에 적재되며, 받침대(12)의 상면은 상기 배출유닛에 의해 박스(1)가 배출방향(장치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서, 도 4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밀려질 때 슬라이딩되기 용이하도록 매끄러운 평면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벽(13)은 수평한 받침대(12)의 상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어 받침대(12)에 적재된 박스(1)의 양측면을 지지해준다.
박스(1)의 양측면이 양쪽 가이드벽(13)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박스(1)가 배출유닛에 의해 배출방향으로 이동할 때 대열이 흐트러지지 않고 양호한 정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양측 가이드벽(13)은 받침대(12)의 양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어서 즉, 받침대(12)의 폭이 박스(1)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박스(1)의 하면에 받침대(12)에 접촉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게 되므로 박스(1)와 받침대(12)의 마찰이 감소되어 보다 작은 힘으로도 적재된 박스(1)를 배출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게 된다. 즉, 배출유닛의 필요 성능을 작게 설계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장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된다.
한편, 베이스(11)의 하면 모서리 부분에는 바퀴(14)가 설치되어, 필요시 베이스(11)의 위치 이동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송컨베이어(20)는 매거진(10) 전면의 박스(1) 배출부 하면에 밀착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프레임(21)과, 상부프레임(21)의 네 모서리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프레임(21)을 지지하는 다리(22) 및, 상부프레임(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일정 간격마다 설치된 롤러(23)를 포함한다.
특히, 상부프레임(21)은 제함기(30; 도 8 참조)가 설치되는 쪽이 낮고 반대쪽은 높은 상태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부프레임(21)에 설치된 다수의 롤러(23)들에 의해 구성되는 상부프레임(21)의 상면(박스의 이송면)은 제함기(30)쪽으로 하향 경사진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이송컨베이어(20)의 상면에 올려지는 물품은 자중에 의하여 경사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컨베이어(20)의 상부프레임(21)에는 소정 간격마다 마찰부재(40)가 설치될 수 있다.
마찰부재(40)는 상면이 롤러(23)들의 상단을 연결하는 면 상부로 돌출되지 않게 설치된다. 즉, 마찰부재(40)의 상단이 롤러(23)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박스(1)와 롤러(23)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마찰부재(40)는 고무, 플라스틱, 목재 등 다양한 재질로 적절한 마찰저항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롤러(23)의 사이에 설치된다. 적절한 재질의 선택으로 마찰저항을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상면의 면적을 조절하여 마찰저항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마찰부재(40)는 필요에 따라 상면이 좁게 형성(A의 경우)될 수도 있고 넓게 형성(B의 경우)될 수도 있다.
이송컨베이어(20)에는 한 쌍의 롤러가이드(50)가 설치된다. 롤러가이드(50)는 일렬로 설치된 다수의 작은 롤러들을 구비한 것으로, 롤러에 의한 가이드면이 수직으로 형성되도록 상부프레임(21)에 고정된 지지부재(53)에 장착된다.
롤러가이드(50)는 이송컨베이어(20)의 상부프레임(21)과 평행하게 제함기(30)쪽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설치된다.
롤러가이드(50)는 제1롤러가이드(51)와 제2롤러가이드(52)로 이루어지며, 이중 제1롤러가이드(51)는 상부프레임(21)의 후단(매거진(10)쪽 단부)에 설치되고, 제2롤러가이드(52)는 제1롤러가이드(51)로부터 상부프레임(21)의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제1롤러가이드(51)와 제2롤러가이드(52)의 간격은 매거진(10)으로부터 배출되어 이송컨베이어(20)의 상면으로 낙하하는 박스(1)가 제1롤러가이드(51)와 제2롤러가이드(52)의 사이로 투입되기 적당한 정도로 설정된다.
또한, 제1롤러가이드(51)와 제2롤러가이드(52)의 간격은 이송컨베이어(20)에 의해 이송되는 박스(1)가 전/후로 쓰러지지 않고 적절하게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송컨베이어(20)의 상면에 대한 제1롤러가이드(51)와 제2롤러가이드(52)의 설치 높이 역시 이를 고려하여 설정됨은 물론이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거진(10)의 전면에는 가이드판(60)이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판(60)은 매거진(10)으로부터 배출되는 박스(1)의 낙하 경로(도 4의 화살표 B 방향)를 안내하는 것으로, 매거진(10)의 전면에서 받침대(12) 상면 높이 부분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제1롤러가이드(51)와 제2롤러가이드(52)의 사이로 연장되어 있다. 가이드판(60)의 폭은 박스(1)의 폭보다 조금 넓은 정도로 형성된다. 도면에는 하나의 판재로 도시되었으나, 동일한 범위를 커버할 수 있기만 하면 2~4개 정도로 분할된 판재로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가이드판(60)의 하단은 가능한 제1롤러가이드(52)의 상단중 제2롤러가이드(52)쪽 단부와 일치하거나, 그로부터 전방으로 소량 돌출되어 제1롤러가이드(52)의 상단을 덮어주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매거진(10)으로부터 배출 낙하하는 박스(1)의 하단이 제1롤러가이드(51)의 상단에 충돌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가이드판(60)의 하단은 롤러가이드(50)와 평행하게 제함기(30)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판(60)의 전 범위에 걸쳐서 상기한 바와 같은 제1롤러가이드(51)의 상단에 대한 동일한 위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제함기(30)에 3개의 박스 이송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제함기(30)를 정면 중앙에 두고, 그 후방에 박스 이송장치들이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서 좌우 양측의 박스 이송장치들의 이송컨베이어(20)와 롤러가이드(50)는 각각 제함기(30)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박스(1)는 매거진(10)의 받침대(12) 위에 적재되어 도시되지 않은 배출유닛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져 순차적으로 배출된다. 이때 박스(1)의 하면은 받침대(12)의 상면에 밀착되고 측면은 가이드벽(13)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박스(1)는 이동 중에 정렬 상태가 흐트러지지 않는다.
또한, 받침대(12)와 가이드벽(13)의 사이에 이격거리(a)가 존재하여 받침대(12)와의 마찰력이 감소하므로 박스(1) 배출에 필요한 힘이 감소된다. 즉, 보다 용이하게 박스(1)가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유닛의 성능을 감소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배출유닛에 의해 밀려져 매거진(10)으로부터 배출된 박스(1)는 낙하하여 이동컨베이어(20)의 상면에 실려진다.
박스(1)는 낙하하는 힘에 의하여 이송컨베이어(20)의 상면(롤러(23)에 의한 구름면)에 밀착되고, 또한 이송컨베이어(20)의 상면이 제함기(30)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박스(1)가 경사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박스(1)에 항상 하방으로의 힘이 작용하여 박스(1)와 이송컨베이어(20) 상면의 접촉 상태가 좋아진다. 즉, 박스(1)와 이송컨베이어(20)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이에 이송컨베이어(20)를 따른 박스(1)의 이송상태가 보다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매거진(10)으로부터 박스(1)가 떨어질 때, 매거진(10)의 받침대(12) 상면과 제1롤러가이드(51)의 상단을 연결하는 가이드판(60)이 박스(1) 하단의 낙하 경로를 안내한다. 받침대(12)로부터 낙하하는 박스(1)의 하단은 가이드판(60)을 따라 미끄러져서 제1롤러가이드(51)와 제2롤러가이드(52)의 사이 공간으로 유도되어 삽입된다.
따라서, 박스(1)가 자신의 양 옆을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제1롤러가이드(51)와 제2롤러가이드(52)의 사이로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어서, 박스(1)가 제1롤러가이드(51)와 제2롤러가이드(52)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쓰러지지 않는 상태가 유지되며, 이후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박스(1)가 제1롤러가이드(51)와 제2롤러가이드(52)에 의해 전후면이 지지되면서 제함기(30)쪽으로 이동될 때 제1롤러가이드(51)와 제2롤러가이드(52)에 구비된 롤러들이 회전함으로써 박스(1)의 이동을 방해하는 저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박스(1)의 이동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매거진(10)으로부터 배출되는 박스(1)는 항상 한 쌍의 롤러가이드(50)에 의해 지지되는 정확한 위치로 낙하함으로써 박스(1)가 매거진(10)과 이송컨베이어(20) 사이의 틈(즉, 박스가 제1롤러가이드의 뒤쪽으로 떨어지는 것이다.)으로 떨어져 끼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박스(1)가 제1롤러가이드(51)의 상단으로 떨어지면서 충돌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박스(1)의 이송이 중단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박스(1)의 손상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송컨베이어(20)는 상면이 제함기(30)쪽으로 하향 경사 형성되어 박스(1)가 자중에 의해 제함기(30)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이송컨베이어(20)에 의한 박스(1)의 강제 이송이 필요 없으므로 이송컨베이어(20)는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원(모터)이 필요 없는 무동력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원의 고장에 의해 이송컨베이어(20)가 작동 불능 상태에 빠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이송컨베이어(20)의 작동 불능 상태에 의해 정상 상태의 제함기(30)가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이송컨베이어(20)의 고장에 의한 제함기(30)의 유휴시간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함 생산성이 향상된다.
한편, 박스(1)가 이송컨베이어(20)의 상면을 지나면서 속도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이송컨베이어(20)의 상부프레임(21)에는 마찰부재(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마찰부재(40)는 롤러(23)에 의해 형성되는 이송 평면과 동일한 면에 상면이 위치되어, 이송되는 박스(1)의 하면과 마찰하게 된다. 마찰에 의해 박스(1)의 이송을 방해하는 이송 억제력이 형성됨으로써 박스(1)의 속도 증가가 억제된다. 따라서, 마찰부재(40)의 수와 마찰력을 조절하여 박스(1)의 이동 속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박스(1)가 과도한 속도로 제함기(30)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함기(30)측 부분과의 충돌에 의해 박스(1)와 제함기(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찰부재(40)는 상면의 폭이 좁은 것과 넓은 것을 미리 만들어 두고 필요에 따라 이송컨베이어(20)의 상부프레임(21)에 적절한 면적의 것을 적정 개수 장착함으로써 박스의 이송속도를 알맞게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매거진 11 : 베이스
12 : 받침대 13 : 가이드벽
14 : 바퀴 20 : 이송컨베이어
21 : 상부프레임 22 : 다리
23 : 롤러 30 : 제함기
40 : 마찰부재 50 : 롤러가이드
51 : 제1롤러가이드 52 : 제2롤러가이드
53 : 지지부재 60 : 가이드판

Claims (14)

  1. 평판형으로 접힌 다수의 박스를 적재하고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매거진과;
    상기 매거진의 전방에 밀착 배치되고 롤러로 이루어진 상면이 제함기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제함기쪽으로 하향 경사진 상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된 다리와, 상부프레임에 일렬로 설치되어 박스를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프레임에 박스의 하단과 마찰하는 마찰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에 박스의 전후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가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롤러가이드는 상부프레임의 후단에 설치된 제1롤러가이드와, 제1롤러가이드로부터 전방으로 이격 설치된 제2롤러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매거진 전면의 받침대 상면 높이에 상단이 장착되고, 하단은 하방으로 경사 형성되어 박스의 낙하 경로를 제1롤러가이드와 제2롤러가이드의 사이로 안내하는 가이드판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판의 하단은 제1롤러가이드 상단의 전방 단부 모서리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제함기용 박스 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은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어 박스의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대와, 베이스 상면의 받침대 양측에 설치되어 박스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가이드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용 박스 이송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와 가이드벽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용 박스 이송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부프레임에 설치된 롤러 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용 박스 이송장치.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이드는 상부프레임과 평행하게 경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용 박스 이송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의 하단은 롤러가이드와 평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용 박스 이송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박스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용 박스 이송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복수개로 분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용 박스 이송장치.
KR1020140117180A 2014-09-03 2014-09-03 제함기용 박스 이송장치 KR101634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180A KR101634445B1 (ko) 2014-09-03 2014-09-03 제함기용 박스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180A KR101634445B1 (ko) 2014-09-03 2014-09-03 제함기용 박스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604A KR20160028604A (ko) 2016-03-14
KR101634445B1 true KR101634445B1 (ko) 2016-06-29

Family

ID=55541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180A KR101634445B1 (ko) 2014-09-03 2014-09-03 제함기용 박스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4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2655A (ko) 2019-12-26 2021-07-06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합포 주문의 포장을 위한 화물 처리 시스템, 화물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148B1 (ko) 2016-03-04 2017-01-17 황광선 원심 흡입식 하이브리드 베인 유체기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1276A (ja) * 2002-07-17 2004-02-19 Itoki Crebio Corp 搬送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自動倉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0200B1 (ko) * 1997-10-29 2000-01-15 윤종용 미성형 포장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1276A (ja) * 2002-07-17 2004-02-19 Itoki Crebio Corp 搬送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自動倉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2655A (ko) 2019-12-26 2021-07-06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합포 주문의 포장을 위한 화물 처리 시스템, 화물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604A (ko) 2016-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445B1 (ko) 제함기용 박스 이송장치
KR20190051382A (ko) 오픈형 포장 박스용 테이핑 장치
JPH04358662A (ja) 偏平な対象物のためのマガジン
KR101438741B1 (ko) 낱장 공급장치
KR20160093973A (ko) 금속원판 부품 적재장치
TWM616100U (zh) 折盒機結構
KR102303518B1 (ko) 멀티 제함 장치
JP2009196757A (ja) 箱の解体装置付き棒状物品の供給機
KR101634115B1 (ko)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
CN116553064A (zh) 一种物流货运交易平台及其使用方法
CN204823146U (zh) 输送带上出料导向结构
KR20200061683A (ko) 자동화물 시스템용 제함기
KR101600542B1 (ko) 제함기용 박스이송장치
KR20200062826A (ko) 제함기용 이송장치
JP5342510B2 (ja) 遊技盤の梱包ライン
JP6130213B2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用投入装置
CN210311086U (zh) 一种纸盒堆叠装置
KR20180001370U (ko) 제함기의 자동 박스 푸쉬 장치
JP5762258B2 (ja) 両面印刷装置及び当該装置における用紙搬送方法
KR101642189B1 (ko) 자동 피킹 시스템의 토출장치
KR100863403B1 (ko) 용지 배출장치
CN215905215U (zh) 糊盒机自动供料装置
JP6559962B2 (ja) 姿勢転換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る箱詰め装置
KR101682538B1 (ko) 목재 이송 가이드 장치
CN108454918B (zh) 装箱分隔装置及其分隔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