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0200B1 - 미성형 포장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미성형 포장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0200B1
KR100240200B1 KR1019970055810A KR19970055810A KR100240200B1 KR 100240200 B1 KR100240200 B1 KR 100240200B1 KR 1019970055810 A KR1019970055810 A KR 1019970055810A KR 19970055810 A KR19970055810 A KR 19970055810A KR 100240200 B1 KR100240200 B1 KR 100240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unformed
transfer
packaging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5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4283A (ko
Inventor
유청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55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0200B1/ko
Publication of KR19990034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2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에어콘디셔너 등의 제품을 포장하기 위하여 판상으로 접혀져 적재된 미성형 포장 박스를 분리시켜 포장 박스 성형기 측으로 이송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어 미성형 박스를 이동시키는 이송용 볼 스크류와, 상기 이송용 볼 스크류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여러매의 미성형 박스로부터 분리된 1매의 미성형 박스를 지지하는 대기용 레일과, 상기 대기용 레일의 미성형 박스를 포장 박스 성형기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측에 미성형 박스의 넘어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1매의 미성형 박스를 대기용 레일로 정확하게 안내하는 안내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미성형 박스의 이동 및 안내를 보다 안정하게 하여, 적재된 미성형 박스를 1매씩 정확하게 분리 이송시키며, 또한 미성형 박스의 이송에 따른 오동작을 방지하여, 작업 능률의 향상에 기여한다.

Description

미성형 포장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에어콘디셔너 등의 제품을 포장하기 위하여 판상으로 접혀져 적재된 미성형 포장 박스를 분리시켜 포장 박스 성형기 측으로 이송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된 미성형 박스를 1매씩 정확하게 분리 이송시키고, 또한 미성형 박스의 분리 이송을 보다 안정하게 하여 작업 능률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한 미성형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디셔너 등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생산 라인의 최종단에는 제품의 보관 및 수송을 보다 간편 용이하게 하고, 수송시 제품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품을 소정의 형상을 갖는 제품 포장박스에 수납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상기 제품 포장박스는 초기에 판상으로 접혀진 미성형 상태로 보관되는 바, 미성형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에 의해 포장 박스 성형기 측으로 이송되며, 그 포장 박스 성형기에서 육면체상으로 성형된 다음, 제조가 완료된 완성 제품이 최종적으로 이송되는 제품 이송 라인의 최종단으로 공급되며, 그 제품 이송 라인의 최종단에서 제품 포장 박스의 내부로 제품을 수납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판상으로 접혀진 미성형 상태의 제품 포장박스를 포장 성형기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종래의 전형적인 미성형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미성형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를 보인 것으로, 생산 라인의 소정 부위에 미성형 박스(B)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베이스 프레임(10)이 설치되어 있고, 그 베이스 프레임(10)의 일측연부 양측에는 미성형 박스 이송 실린더(11)(12)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그 미성형 박스 이송 실린더(11)(12)에는 미성형 박스(B)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용 볼 스크류(13)(14)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이송용 볼 스크류(13)(14)의 상측에는 여러장의 미성형 박스(B)가 접혀진 상태로 적재되며, 미성형 박스 이송 실린더(11)(12)의 구동에 따른 이송용 볼 스크류(13)(14)의 회전에 따라 미성형 박스(B)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송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타측에는 2개 1쌍의 가이드 봉(15)(16)이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그 가이드 봉(15)(16)에는 슬라이더(17)가 결합되어 있고, 그 슬라이더(17)에는 미성형 박스(B)를 지지하기 위한 박스 지지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17)는 도면에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송용 볼 스크류(13)(14)의 회전에 따른 미성형 박스(B)의 이동 거리만큼 실린더 등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가이드 봉(15)(16)을 따라 이동되면서 미성형 박스(B)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박스 지지수단은 슬라이더(17)에 연결되는 제1 지지부재(18)와, 상기 제1 지지부재(18)의 단부에 X자 형태로 고정되는 제2 지지부재(19)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재(18)는 슬라이더(17)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미성형 박스(B)를 모두 이송시킬 경우, 여러 매의 새로운 미성형 박스(B)를 보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후방 하측에는 대기용 레일(20)이 이송용 볼 스크류(13)(14)와 소정의 높이 차이를 두고 단차지게 설치되어 있으며, 그 대기용 레일(20)의 후방에 세워지는 지지대(21)에는 가이드 레일의 형상을 갖는 액츄에이터(22)가 고정되어 있고, 그 액츄에이터(22)에는 미성형 박스(B)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재(23)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이송부재(23)는 액츄에이터(22)의 구동에 의해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22)의 구동에 의해 이송부재(23)가 왕복 이동되는 구성 및 작용은 통상적인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4, 25는 이송용 볼 스크류(13)(14)를 수작업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을 각각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미성형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에 있어서는, 먼저 작업자가 슬라이더(17)의 제1 지지부재(18)를 회동 개방시킨 상태에서 이송용 볼 스크류(13)(14)의 상측에 복수매의 미성형 박스(B)를 올려 놓는다.
이 후, 다시 제1 지지부재(18)를 초기 상태로 회동시켜 최전방측의 미성형 박스(B)가 제1 지지부재(18)의 단부에 고정된 제2 지지부재(19)에 접촉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미성형 박스 이송 실린더(11)(12)에 전원을 인가하여 이송용 볼 스크류(13)(14)를 회전시키면, 그 이송용 볼 스크류(13)(14)의 상측에 지지된 여러 매의 미성형 박스(B)가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미성형 박스(B)의 이동에 의하여 최후방에 위치한 1매의 미성형 박스(B)가 적재된 미성형 박스(B)로부터 분리되면서 대기용 레일(20)로 낙하된다.
이 때, 상기 이송용 볼 스크류(13)(14)의 회전에 따른 미성형 박스(B)의 이동시, 슬라이더(17)도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 봉(15)(16)을 따라 이동되면서 미성형 박스(B)를 안정하게 지지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대기용 레일(20)의 후단부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 등의 감지수단이 미성형 박스(B)가 대기용 레일(20)로 낙하된 것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액츄에이터(22)로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액츄에이터(22)의 구동에 의해 이송부재(23)가 그 액츄에이터(22)를 따라 직선 이동되면서 미성형 박스(B)를 포장 박스 성형기 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 후, 이송부재(23)는 미성형 박스(B)의 계속적인 이송 작업을 위하여 액츄에이터(22)의 안내를 받으며 초기 위치로 귀환되고, 그 이송부재(23)의 귀환 동작이 완료된 다음에는 미성형 박스 이송 실린더(12)(13)가 구동되어, 1매의 미성형 박스(B)를 다시 대기용 레일(20)로 분리 이동시킴과 아울러 이송부재(23)의 이동으로 포장 박스 성형기 측으로 이송시키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송용 볼 스크류(13)(14)에 적재된 미성형 박스(B)가 모두 소진된 경우에는 슬라이더(17)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제1 지지부재(18)를 슬라이더(17)로부터 회동 개방시켜 이송용 볼 스크류(13)(14)의 상측에 수매의 미성형 박스(B)를 다시 적재시킨 다음, 상기한 동일한 동작에 의해 미성형 박스(B)를 순차적으로 분리 및 이송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미성형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에 있어서는, 이송용 볼 스크류(13)(14)에 지지되는 수매의 미성형 박스(B)가 슬라이더(17)의 제1 지지부재(18) 및 제2 지지부재(19)에 지지되는 구조로서, 분리 이송을 대기중인 미성형 박스(B)를 효과적으로 지지하지 못하여 미성형 박스(B)가 넘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미성형 박스(B)를 1매씩 정확하게 분리 이송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경우에 따라서는, 2매의 미성형 박스(B)를 이송시키는 경우를 배제하지 못하여 오동작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미성형 박스(B)의 분리 이송에 따른 오동작에 대비하여 항상 대기하여야 하는 등,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최후방측의 미성형 박스를 적재된 미성형 박스로부터 1매씩 정확하게 분리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미성형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성형 박스의 분리 이송을 보다 안정하게 하여 작업 능률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미성형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미성형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사시도.
도 2는 측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미성형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를 보인 것으로,
도 3은 사시도.
도 4a, 4b는 측단면도.
도 5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프레임 13,14 ; 이송용 볼 스크류
20 ; 대기용 레일 22 ; 액츄에이터
23 ; 이송부재 30 ; 안내 지지수단
31 ; 지지대 32 ; 피스톤 로드
33 ; 실린더 34 ; 안내 지지부재
35 ; 측부 지지면 36 ; 상부 지지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베이스 프레임에 지지된 이송용 볼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1매의 미성형 박스를 이송시켜, 대기용 레일로 낙하되도록 하고, 이송부재의 직선 이동에 의해 그 미성형 박스를 포장 박스 성형기 측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미성형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측에 미성형 박스의 넘어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1매의 미성형 박스를 대기용 레일로 정확하게 안내하는 안내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성형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안내 지지수단은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측 소정 부위에 세워져 설치되는 지지대와,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피스톤 로드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에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에 고정되어 미성형 박스를 안내 및 지지하는 안내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안내 지지부재는 미성형 박스의 일측면 상단을 지지하는 측부 지지면과, 미성형 박스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면을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미성형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미성형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를 보인 것으로, 도 3은 사시도이고, 도 4a, 4b는 측단면도이며, 도 5는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미성형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는, 베이스 프레임(10)에 지지된 이송용 볼 스크류(13)(14)의 회전에 의해 판상으로 적재된 여러매의 미성형 박스(B)를 이송시켜, 최후방측의 미성형 박스(B)가 대기용 레일(20)로 낙하되도록 하고, 이송부재(23)의 직선 이동에 의해 그 미성형 박스(B)를 포장 박스 성형기 측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미성형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후방측에 미성형 박스(B)의 넘어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1매의 미성형 박스(B)를 대기용 레일(20)로 정확하게 안내하는 안내 지지수단(3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안내 지지수단(30)은 베이스 프레임(10)의 후방측 소정 부위에 세워져 설치되는 지지대(31)와,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피스톤 로드(32)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31)에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33)와, 상기 피스톤 로드(32)의 단부에 고정되어 승하강하면서 미성형 박스(B)를 안내 및 지지하는 안내 지지부재(3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안내 지지부재(34)는 미성형 박스(B)의 일측면 상단을 지지하는 측부 지지면(35)과, 미성형 박스(B)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면(36)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종래의 기술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미성형 박스 분리 이송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가 슬라이더(17)의 제1 지지부재(18)를 회동 개방시킨 상태에서 이송용 볼 스크류(13)(14)의 상측에 복수매의 미성형 박스(B)를 올려 놓고, 이 후, 다시 제1 지지부재(18)를 초기 상태로 회동시켜 최전방측의 미성형 박스(B)가 제1 지지부재(18)의 단부에 고정된 제2 지지부재(19)에 접촉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미성형 박스 이송 실린더(11)(12)에 전원을 인가하여 이송용 볼 스크류(13)(14)를 회전시키면, 그 이송용 볼 스크류(13)(14)의 상측에 지지된 미성형 박스(B)가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후방측의 미성형 박스(B)가 실린더(33)의 피스톤 로드(32)에 고정된 안내 지지부재(34)의 측부 지지면(35)에 접촉되므로 적재된 미성형 박스(B)를 넘어짐없이 안정하게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그 최외측 미성형 박스(B)의 상단부가 안내 지지부재(34)의 상부 지지면(36)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미성형 박스(B)가 적재된 미성형 박스(B)로부터 분리되면서 대기용 레일(20)로 낙하되는 순간,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33)의 구동으로 피스톤 로드(32)가 하강하여 최외측 미성형 박스(B)를 하측으로 가볍게 누르게 됨으로써 1매의 미성형 박스(B)가 대기용 레일(20)에 정확하게 수납되도록 한다.
한편, 미성형 박스(B)의 이동과 동시에 슬라이더(17)도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 봉(15)(16)을 따라 이동되면서 미성형 박스(B)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 후, 액츄에이터(22)의 구동에 의해 이송부재(23)가 액츄에이터(22)를 따라 이동되면서 대기용 레일(20)에 낙하된 미성형 박스(B)를 이끌고 포장 박스 성형기 측으로 이송되며, 1매의 미성형 박스(B)를 이송시킨 후에는 피스톤 로드(32)가 초기 위치로 상승하는 동시에 이송부재(23)가 초기 위치로 신속하게 귀환되어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미성형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는, 베이스 프레임에 지지된 이송용 볼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미성형 박스를 이동시켜, 대기용 레일로 낙하되도록 하고, 이송부재의 직선 이동에 의해 그 미성형 박스를 포장 박스 성형기 측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미성형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를 전제로 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측에 미성형 박스의 넘어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1매의 미성형 박스를 대기용 레일로 정확하게 안내하는 안내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적재된 미성형 박스를 1매씩 정확하게 분리 이송시키며, 또한 미성형 박스의 분리 이송을 보다 안정하게 하여 작업 능률을 보다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베이스 프레임에 지지된 이송용 볼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1매의 미성형 박스를 이송시켜, 대기용 레일로 낙하되도록 하고, 이송부재의 직선 이동에 의해 그 미성형 박스를 포장 박스 성형기 측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미성형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측에 미성형 박스의 넘어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1매의 미성형 박스를 대기용 레일로 정확하게 안내하는 안내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 지지수단은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측 소정 부위에 세워져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 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피스톤 로드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에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에 고정되어 피스톤 로드와 함께 승하강하면서 미성형 박스의 이동 동작을 안내 및 지지하는 안내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성형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지지부재는 미성형 박스의 일측면 상단을 지지하는 측부 지지면과, 미성형 박스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성형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
KR1019970055810A 1997-10-29 1997-10-29 미성형 포장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 KR100240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810A KR100240200B1 (ko) 1997-10-29 1997-10-29 미성형 포장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810A KR100240200B1 (ko) 1997-10-29 1997-10-29 미성형 포장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283A KR19990034283A (ko) 1999-05-15
KR100240200B1 true KR100240200B1 (ko) 2000-01-15

Family

ID=19523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5810A KR100240200B1 (ko) 1997-10-29 1997-10-29 미성형 포장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02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445B1 (ko) * 2014-09-03 2016-06-29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제함기용 박스 이송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9970A (ja) * 1991-09-10 1993-03-23 Mitsuhiro Sano 積層紙の分離方法及び分離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9970A (ja) * 1991-09-10 1993-03-23 Mitsuhiro Sano 積層紙の分離方法及び分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283A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4680A (en) Automatic article feeding apparatus
JPH06500300A (ja) 積み重ね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3434603A (en) Loading machine
CN213444982U (zh) 拆垛输送系统
JP2010505712A (ja) ダンボール箱用ブランクを搬送するための機械
KR100240200B1 (ko) 미성형 포장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
CN108438844B (zh) 一种新型托盘移载装置
CN219076663U (zh) 纸板翻转上料机构
CN111284787A (zh) 一种物流包装减震用泡沫填充机械
JP2860612B2 (ja) 板状シートの積層方法および装置
US4085635A (en) Wire brick cutter
KR100240203B1 (ko) 미성형 포장 박스의 분리 이송장치
CN114056662A (zh) 一种瓷砖自动包装生产线
US3612251A (en) Pallet feeder for a tile-molding machine
US4865310A (en) Stacker-sorter arrangement for sheet part pieces
CN111969219A (zh) 刻码设备及电池
JPH0123644Y2 (ko)
CN219968972U (zh) 自动压痕机
CN219970214U (zh) 一种纸箱加工用自动纸箱包装机
CN115043221B (zh) 收料成堆机及铁心堆组装系统
CN219850890U (zh) 一种物流分拣扫描器
CN219706216U (zh) 一种便于上料的纸箱折叠钉箱机
CN115744215B (zh) 一种tray盘自动上下料装置
JPH09249902A (ja) 圧粉体搬送装置
CN210479973U (zh) 一种纸箱送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