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004B1 -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004B1
KR101634004B1 KR1020140166231A KR20140166231A KR101634004B1 KR 101634004 B1 KR101634004 B1 KR 101634004B1 KR 1020140166231 A KR1020140166231 A KR 1020140166231A KR 20140166231 A KR20140166231 A KR 20140166231A KR 101634004 B1 KR101634004 B1 KR 101634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unc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6449A (ko
Inventor
나오키 다타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150066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10Retrofit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50Arrangements to reconfigure features of lighting or signalling devices, or to choose from a list of pre-defined sett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6Implementing security features at a particular protocol layer
    • H04L63/168Implementing security features at a particular protocol layer above the transport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2Position or condition responsive switch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구입 후에도 등기구의 기능을 변경하거나 추가할 수 있는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등기구 유닛(10)과, 제1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차재 기억 수단(4)과, 제1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와 관련된, 사용자가 선택한 등기구 유닛(10)의 기능에 관한 기능 정보를 기억하는 외부 기억 수단(20, 30)과 통신 가능한 통신부(5)와, 등기구 유닛(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를 구비하고, 통신부(5)는 제1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식별 정보에 관련된 기능 정보를 외부 기억 수단(20, 30)으로부터 취득하며, 제어부(3)는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등기구 유닛(10)을 동작시켜 특정한 기능을 실현하는 것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1)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VEHICULAR LAMP SYSTEM}
본 발명은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각각이 상이한 영역을 비추며, 전체적으로 소정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고, 복수의 광원의 방향을 독립적으로 변화시켜 위험물을 비추는 차량용 조명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액정 필름 등을 차광 부재에 이용하여, 임의의 형상의 차광 영역을 형성할 수 있는 하이빔용 등기구 유닛을 구비하고, 하이빔 조사중에도 마주 오는 차나 앞에 가는 차, 보행자 등에게 글레어를 부여하지 않는 조사 제어를 할 수 있는, 차량용 전조등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163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79121호 공보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여러가지 기능에 의해,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능은 이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특정한 등기구를 차량에 탑재하도록, 차량의 구입 시에 구입자가 결정할 필요가 있었다. 즉, 차량의 구입 후에, 구입자가 상기 기능을 추가하거나 기존의 기능을 변경하려고 생각하여도, 차량을 새로 사서 바꾸지 않는 한은 기능의 추가나 변경은 실현할 수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차량의 구입 후에도 등기구의 기능을 변경하거나 추가할 수 있는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등기구 유닛과,
제1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차재(車載) 기억 수단과,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식별 정보와 관련된,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등기구 유닛의 기능에 관한 기능 정보를 기억하는 외부 기억 수단과 통신 가능한 통신부와,
상기 등기구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관련된 상기 기능 정보를 상기 외부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등기구 유닛을 동작시켜 특정한 기능을 실현하는 것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에 의하면, 통신부를 통해 기능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기능 설정 정보에 따라 특정한 기능을 실현하기 때문에, 차량을 구입한 후에도 기능을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정보는 상기 등기구 유닛에 관한 정보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에 의하면, 등기구 유닛에 적절한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등기구 유닛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정보는 상기 등기구 유닛이 탑재된 차량에 관한 정보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에 의하면, 특정한 차량에서 특정한 기능을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재 기억 수단은 상기 등기구 유닛을 동작시키는 복수의 동작 프로그램을 기억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정보에 따라 상기 차재 기억 수단으로부터 특정한 상기 동작 프로그램을 판독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과 외부 기억 수단의 통신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정보는 상기 등기구 유닛을 동작시키는 동작 프로그램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에 의하면, 차재 기억 수단에 필요한 동작 프로그램만을 기억시켜도 좋기 때문에, 기억 용량의 작은 차재 기억 수단을 차량에 탑재하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억 수단은, 차량과는 독립적으로 사용자가 소유한 정보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단말은, 특정한 상기 제2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관련된 상기 기능 정보를 기억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대응하는 특정한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갖는 상기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기능 정보를 취득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은 스마트 폰 등의 정보 단말에만 통신 가능으로 하면 좋기 때문에, 통신부로서, 비교적 근거리에서 통신 가능한 통신 유닛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억 수단은 차량의 외부에 설치된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서버는, 복수의 상기 제2 식별 정보와, 각각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관련된 복수의 상기 기능 정보를 기억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대응하는 특정한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관련된 상기 기능 정보를 취득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에 의하면, 데이터 서버는 기억 용량이 크기 때문에, 외부 데이터 서버에 여러가지 정보를 기억시킬 수 있어, 사용자는 다양한 기능 중에서 선호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억 수단은, 차량과는 독립적으로 사용자가 소유한 정보 단말과, 차량의 외부에 설치된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단말은 특정한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기억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 서버는, 복수의 상기 제2 식별 정보와, 각각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관련된 복수의 상기 기능 정보를 기억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한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상기 데이터 서버에 송신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특정한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관련된 상기 기능 정보를 취득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에 의하면, 정보 단말을 사용하여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어, 차량에 신규로 전용 장치를 탑재시킬 필요가 없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의 구입 후에도 등기구의 기능을 변경하거나 추가할 수 있는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에 이용되는 등기구 유닛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을 사용하여, 등기구 유닛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때의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을 사용하여, 등기구 유닛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때의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을 사용하여, 등기구 유닛에 특정한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을 실현시킬 때의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은, 사용자가 신규로 차량을 구입한 후, 등기구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혹은 차량 구입 시에 설정한 등기구의 기능을 변경하거나 하고 싶은 경우에 유효한 시스템이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1)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1)은 등기구 유닛(10)과, ECU(3)와, 차재 메모리(4)(차재 기억 수단의 일례)와, 통신부(5)를 구비한다. 등기구 유닛(10)과, ECU(3)(제어부의 일례)와, 차재 메모리(4)와, 통신부(5)는 모두 차량(2)에 탑재되어 있다. 차재 메모리(4)와 통신부(5)는 모두 ECU(3)에 접속되어 있다.
ECU(3)는 등기구 유닛(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차재 메모리(4)는 차량(2)마다 다른 차량 식별 정보(이후, 차량 ID라고 부름)와, 등기구 유닛(10)에 특정한 동작을 실행시키는 복수의 동작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통신부(5)는 스마트 폰(20)이나 외부 데이터 서버(30)와 통신 가능한 기기이다. 스마트 폰(20)은 차량(2)과는 독립적으로 사용자가 소유한 정보 단말의 일례이다. 또한, 외부 데이터 서버(30)는 큰 기억 용량을 갖는 데이터 센터이다.
도 2는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1)에 이용되는 등기구 유닛(10)의 모식도이다. 등기구 유닛(10)은 등기구 전방에 여러가지 형상의 배광 패턴을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는 등기구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기구 유닛(10)은 2개의 광원(11)과, 리플렉터(12)와, 투영 렌즈(13)와, 액정 화상 형성부(14)를 구비하고 있다.
리플렉터(12)는 광원(11)으로부터의 출사광을 등기구 전방을 향하여 반사한다. 투영 렌즈(13)는 광원(11)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액정 화상 형성부(14)는 광원(11)과 투영 렌즈(13)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투영 렌즈(13)는 액정 화상 형성부(14)의 화상 형성면 상에 후방측 초점이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액정 화상 형성부(14)는 화상 형성면 상에 매트릭스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액정 소자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액정 소자는 광원(11)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상태와, 광원(11)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투과시키지 않는 상태를 개별로 제어할 수 있다. 개개의 액정 소자를 개별로 제어함으로써, 화상 형성면 상에 여러가지 형상의 2차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투영 렌즈(13)는 화상 형성면 상에 형성된 2차원 화상을 등기구 전방에 투영하여, 배광 패턴을 형성한다. ECU(3)는 액정 화상 형성부(14)에 원하는 형상의 2차원 화상을 형성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등기구 유닛(10)에 원하는 배광 패턴을 형성시킨다.
예컨대, ECU(3)는 등기구 유닛(10)에, 야간의 통상 주행 시에 이용되는 하이빔 배광 패턴, 차량이 엇갈릴 때에 이용되는 로우빔 배광 패턴 외에, 여러가지 배광 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다. 등기구 유닛(10)이 형성할 수 있는 배광 패턴으로서는, 보행자 조사 패턴, 주행 레인 형성 패턴, OHS 조사 패턴, ADB 조사 패턴 등을 들 수 있다.
보행자 조사 패턴이란, 차량 근방에 존재하는 보행자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보행자의 존재를 알리는 배광 패턴이다.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이란, 자(自)차량이 주행할 때에 기준이 되는 가상적인 주행 레인을 노면에 형성함으로써, 운전자의 야간 운전을 보조하는 배광 패턴이다.
OHS 조사 패턴이란, 노면의 상방에 위치하는 표지(Over Head Sign)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운전자의 야간 운전을 보조하는 배광 패턴이다.
ADB 조사 패턴이란, 하이빔 배광 패턴의 일종이며, 하이빔 배광 패턴 중 앞에 가는 차 혹은 마주 오는 차의 영역에 광을 조사하지 않는 배광 패턴이다. ADB란, Adaptive Driving Beam의 약칭이다.
예컨대, 차량의 구입 시에 사용자는 등기구에 관해서, 하이빔 조사 패턴, 로우빔 조사 패턴에 더하여, 보행자 조사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기능을 선택하였다고 한다.
본 실시형태와는 다르게, 종래에는, 사용자가 차량 구입 후에, 등기구의 기능을 변경하거나 추가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차량 구입 후에,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기능을 원하다고 생각하여도, 사용자는 등기구 유닛을 교환하거나, 혹은 새로운 차량을 구입할 수밖에 없었다.
본 실시형태는 등기구 유닛을 교환하거나, 새로운 차량을 구입하는 일없이, 구입한 차량에 신규로 기능을 추가하거나 기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3은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1)을 사용하여, 등기구 유닛(10)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때의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하이빔 배광 패턴, 로우빔 배광 패턴 및 보행자 조사 패턴의 기능을 구비한 등기구 유닛(10)에,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의 기능을 추가하는 예를 설명한다.
(기능의 구입)
등기구 유닛(10)에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의 기능을 추가하고자 하는 사용자(X)는 우선, 사용자(X)가 소유하는 스마트 폰(20)을 통해 외부 데이터 서버(30)에 액세스하여,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의 기능을 구입한다.
또한, 기능을 구입하는 수단이나 방법에 대해서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외부 데이터 서버(30)에 액세스하는 수단으로서, 스마트 폰(20) 외에, 퍼스널 컴퓨터, 혹은 차량에 탑재된 입력 장치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차량에 탑재된 입력 장치로서는, 전용의 입력 장치 외에,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소프트웨어를 인스톨함으로써 외부 데이터 서버(30)에 액세스 가능한 기능을 갖게 한 것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외부 데이터 서버(30)는 사용자(X)가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의 기능을 구입한 것을 확인하였다면, 사용자(X)가 소유한 스마트 폰(20)에,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의 기능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는 배광 패턴의 정보(이후, 패턴 정보라고 칭함)를 송신한다. 스마트 폰(20)은 송신된 이 프로그램 및 패턴 정보를 스마트 폰(20) 내의 기억 장치(외부 기억 수단의 일례)에 기억한다.
다음에, 사용자(X)는 스마트 폰(20)으로부터, 기능을 추가하고자 하는 차량(2)의 등기구 유닛(10)을 향하여 취득한 패턴 정보를 송신한다. 차량(2)의 ECU(3)는 통신부(5)를 통해 이 패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패턴 정보를 차재 메모리(4)에 기억시킨다(step 01). 다음에, ECU(3)는 스마트 폰(20)으로부터 송신된 패턴 정보(제2 식별 정보의 일례)와, 차재 메모리(4)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등기구 정보(제1 식별 정보의 일례)를 비교한다(step 02).
여기서, 차재 메모리(4)에 기억되어 있는 등기구 정보란, 차량(2)에 탑재되어 있는 등기구 유닛(10)에 관한 정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등기구 정보는 등기구 유닛(10)이 실현 가능한 배광 패턴의 리스트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등기구 유닛(10)은 액정 화상 형성부(14)를 제어함으로써, 배광 패턴의 형상을 여러가지로 변화시키거나, 혹은 움직이게 하거나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등기구 유닛(10)은 전조등으로서 형성하는 것이 상정될 수 있는 배광 패턴을 거의 전부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등기구 정보는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을 포함하는 전조등으로서 형성하는 것이 상정될 수 있는 거의 모든 배광 패턴을 포함한다.
또한, 액정 화상 형성부(14)를 제어함으로써, 포그 램프, 데이타임 러닝 램프나 차량용 표지등으로서 등기구 유닛(10)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등기구 정보는 등기구 유닛(10)을, 포그 램프, 데이타임 러닝 램프나 차량용 표지등으로서 기능시키는 배광 패턴을 포함한다.
한편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등기구 유닛(10)은 차량(2)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전조등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상정되어 있기 때문에, 등기구 유닛(10)을 턴 시그널 램프로서 이용하는 양태나, 표지등으로서 이용하는 양태로서는 사용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등기구 정보는 턴 시그널 램프를 실현하는 배광 패턴이나, 표지등을 실현하는 배광 패턴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스마트 폰(20)으로부터 송신된 패턴 정보란, 등기구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그 외에는, 예컨대 ADB 배광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 턴 시그널 램프용의 배광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 등이 패턴 정보가 될 수 있다.
사용자(X)가 등기구 유닛(10)에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을 형성시키기 위한 기능을 추가하려고 한 경우, ECU(3)는 스마트 폰(20)으로부터 취득된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을 나타내는 패턴 정보(제2 식별 정보)와, 차재 메모리(4)에 기억되어 있는 등기구 정보(제1 식별 정보)를 비교한다.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은 등기구 정보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step 02: Yes), ECU(3)는 통신부(5)를 통해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기능 정보)을 스마트 폰(20)(외부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여, 차재 메모리(4)에 기억시킨다(step 03).
이에 의해, ECU(3)는 차재 메모리(4)에 기억된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을 형성하도록 등기구 유닛(10)을 동작시켜,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을 형성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이와 같이 하여, 하이빔 배광 패턴, 로우빔 배광 패턴 및 보행자 조사 패턴의 기능을 구비한 등기구 유닛(10)에,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의 기능이 추가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X)가 차량(2)을 구입한 후에도, 등기구 유닛(10)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어, 사용자(X)의 편리성이 높아진다.
이와 같이, 통신부(5)는 등기구 정보(제1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패턴 정보(제2 식별 정보)와, 이 패턴 정보와 관련되고, 또한, 사용자(X)가 선택한 등기구 유닛(10)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기능 정보)을 기억하는 스마트 폰(20)과 통신한다. 이 통신부(5)는 등기구 정보에 대응하여,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을 나타내는 패턴 정보에 관련된,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스마트 폰(20)으로부터 취득한다. ECU(3)는 취득된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등기구 유닛(10)을 동작시켜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을 실현한다. 널리 보급되어 있는 스마트 폰(20)을 이용함으로써, 기능을 추가하기 위한 입력 장치를 차량(2)에 신규로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1)을 차량(2)에 도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자(X)가, 예컨대 등기구 유닛(10)에 턴 시그널 램프로서의 기능을 추가하고자 한 경우에는, ECU(3)는 턴 시그널 램프를 나타내는 패턴 정보(제2 식별 정보)가 차재 메모리(4)에 기억된 등기구 정보(제1 식별 정보)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step 02: No), 턴 시그널 램프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취득하지 않고, 차재 메모리(4)에 기억시키지 않는다. 이때, ECU(3)는 통신부(5)를 통해 상기 기능이 등기구 유닛(10)에서는 실현 불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스마트 폰(20)에 송신하여도 좋다. 한편, 이 경우에 있어서, 등기구 유닛(10)이 실현 불가능한 프로그램을 차재 메모리(4)에 기억시킨 뒤에, ECU(3)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2)과는 독립적으로 사용자(X)가 소유한 스마트 폰(20)(정보 단말의 일례)이 외부 기억 수단이 된다. 스마트 폰(20)은 패턴 정보(제2 식별 정보)와, 이 패턴 정보에 관련된 프로그램(기능 정보)을 기억한다. 통신부(5)는 등기구 정보(제1 식별 정보)와 대응하는 특정한 패턴 정보를 갖는 스마트 폰(20)으로부터 이 프로그램을 취득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ECU(3)가 제1 식별 정보로서의 등기구 정보와, 제2 식별 정보로서의 패턴 정보를 비교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차재 메모리(4)에 기억된 등기구 정보를, 스마트 폰(20)을 통해 외부 데이터 서버(30)에 송신하고, 외부 데이터 서버(30)가, 등기구 정보와 사용자(X)가 구입하고자 하는 기능이 대응하는지를 판단하여도 좋다. 전술한 예로 말하면, 외부 데이터 서버(30)는 사용자(X)가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의 기능을 구입하는 경우는 이 구입을 허가하고, 사용자(X)가 턴 시그널 램프의 기능을 구입하는 경우는 이 구입을 허가하지 않는다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ECU(3)나 외부 데이터 서버(30) 이외에, 스마트 폰(20)이 제1 식별 정보로서의 등기구 정보와, 제2 식별 정보로서의 패턴 정보를 비교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식별 정보는 등기구 유닛(10)에 관한 정보이며, 특히 제1 식별 정보는 등기구 유닛(10)이 실현 가능한 복수의 배광 패턴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ECU(3)가 등기구 유닛(10)에 실현 불가능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자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등기구 유닛(10)이 실현 가능한 배광 패턴을 등기구 정보로 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등기구 정보로서, 차재 메모리(4)는 등기구 유닛(10)의 형식 번호를 기억하여도 좋다. 이 변형예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사용자(X)가 등기구 유닛(10)에 새로운 기능을 구입하려고 하기 전에, 스마트 폰(20)에, 차량(2)의 차재 메모리(4)에 기억되어 있는 등기구 유닛(10)의 형식 번호(제1 식별 정보)를 기억시켜 둔다.
사용자(X)가 등기구 유닛(10)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려고 할 때에는, 우선, 스마트 폰(20)은 등기구 정보인 등기구 유닛(10)의 형식 번호를 외부 데이터 서버(30)에 송신한다. 외부 데이터 서버(30)는 복수의 등기구 유닛의 형식 번호와, 각각의 형식 번호의 등기구 유닛에 관련되며, 각각의 형식 번호의 등기구 유닛이 각각 실현할 수 있는 복수의 기능 리스트(제2 식별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외부 데이터 서버(30)는 사용자(X)로부터 취득된 등기구 유닛(10)의 형식 번호를 판독하여, 그 형식 번호의 등기구 유닛(10)이 실현할 수 있는 기능 리스트를 사용자(X)의 스마트 폰(20)에 송신한다. 사용자(X)는 외부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취득된 기능 리스트에 포함된 기능 중에서, 구입할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X)가 새로운 기능을 구입하면, 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기능 정보)이 스마트 폰(20)으로부터 통신부(5)를 통해 차재 메모리(4)에 송신되어 기억된다. 이 구입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기능 리스트에 기재된 각 기능과 관련되고, 또한, 사용자(X)가 선택한 등기구 유닛(10)의 기능에 관한 정보이다.
이와 같이 하여, 통신부(5)는 등기구 유닛(10)의 형식 번호(제1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기능 리스트(제2 식별 정보)에 관련된 프로그램(기능 정보)을, 외부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취득한다. ECU(3)는 취득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등기구 유닛(10)을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X)가 구입한 특정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차량(2)의 외부에 설치된 외부 데이터 서버(30)가 외부 기억 수단이 된다. 외부 데이터 서버(30)는 복수의 기능 리스트(제2 식별 정보)와, 각각의 기능 리스트에 관련된 상기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복수의 프로그램(기능 정보)을 기억하고 있다. 통신부(5)는 등기구 정보(제1 식별 정보)와 대응하는 특정한 기능 리스트에 관련된 프로그램을 취득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는, 스마트 폰(20)을 이용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ECU(3)가 통신부(5)를 통해, 직접, 외부 데이터 서버(30)와 통신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차량(2)에 사용자(X)로부터 기능의 추가를 입력하는 입력 장치가 설치된다. 스마트 폰(20) 등의 특별한 장치를 이용하는 일없이, 전술한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1)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식별 정보로서 등기구 유닛(10)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등기구 유닛(10)은 사용자(X)가 신규로 추가하고자 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 설명하는 제2 실시형태부터 제4 실시형태는 제1 식별 정보로서, 등기구 유닛(10)이 탑재된 차량(2)에 관한 정보를 이용한 양태이다.
도 5는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1A)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1A)을 사용하여, 등기구 유닛(10)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때의 처리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1A)에 대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하이빔 배광 패턴, 로우빔 배광 패턴 및 보행자 조사 패턴의 기능을 구비한 등기구 유닛(10)에,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의 기능을 추가하는 예를 설명한다.
(기능의 구입)
등기구 유닛(10)에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의 기능을 추가하려는 사용자(X)는 우선, 사용자(X)가 소유하는 스마트 폰(20)을 통해 외부 데이터 서버(30)에 액세스하여,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의 기능을 구입한다.
외부 데이터 서버(30)는 사용자(X)가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의 기능을 구입한 것을 확인하였다면, 사용자(X)가 소유한 스마트 폰(20)에,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의 기능에 관한 인증 키를 송신한다. 스마트 폰(20)은 송신된 이 인증 키를 스마트 폰(20) 내의 기억 장치(외부 기억 수단의 일례)에 기억한다.
또한, 기능을 구입하는 수단이나 방법에 대해서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외부 데이터 서버(30)에 액세스하는 수단으로서, 스마트 폰(20) 외에, 퍼스널 컴퓨터, 혹은 차량에 탑재된 입력 장치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차량에 탑재된 입력 장치로서는, 전용의 입력 장치 이외에,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소프트웨어를 인스톨함으로써 외부 데이터 서버(30)에 액세스 가능한 기능을 갖게 한 것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사용자 ID의 취득)
다음에, 사용자(X)는 이 인증 키가 기억된 스마트 폰(20)을 갖고서 차량(2)에 접근하여, 스마트 폰(20)으로부터 차량(2)의 ECU(3)에 대하여 통신 요구를 발생시킨다. ECU(3)가 통신부(5)를 통해 스마트 폰(20)으로부터의 통신 요구에 응답하면, ECU(3)는 통신부(5)를 통해 스마트 폰(20)의 사용자 식별 정보(이후, 사용자 ID라고 부름)를 요구한다. 스마트 폰(20)은 이 요구에 대하여, 스마트 폰(20)의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 ID를, 통신부(5)를 통해 ECU(3)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ECU(3)는 사용자 ID를 취득한다(step 11). 또한, 사용자 ID는 다수의 사용자를 서로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고유의 정보이다.
(사용자 ID와 차량 ID의 비교)
다음에, ECU(3)는 취득된 사용자 ID와, 차재 메모리(4)에 기억되어 있는 차량 ID를 비교하여, 양자가 대응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tep 12). 이에 의해, 차량(2)의 소유자와 스마트 폰(20)의 소유자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ECU(3)는 사용자 ID와 차량 ID가 대응하는 경우에 이후의 처리를 속행하고(step 12: Yes),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step 12: No). 이에 의해, 차량(2)의 소유자로부터의 통신에 따라서만 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인증 키의 취득)
다음에, ECU(3)는 통신부(5)를 통해 스마트 폰(20)에, 스마트 폰(20)에 기억되어 있는 인증 키를 송신하도록 요구한다. 통신부(5)가 인증 키를 취득하였다면, ECU(3)는 차재 메모리(4)에 인증 키를 기억시킨다(step 13).
(동작 프로그램의 액티베이트)
다음에, ECU(3)는 차재 메모리(4)에 기억되어 있는 인증 키에 대응하는 동작 프로그램을 액티베이트한다(step 14). 차재 메모리(4)에는, 전술한 각종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등기구 유닛(10)을 동작시키는 복수의 동작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이 동작 프로그램은 통상 시에는 로크가 걸려 있어, ECU(3)는 이 동작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없다. 그러나, ECU(3)가 전술한 인증 키를 취득하면, ECU(3)는 이 인증 키에 대응하는 동작 프로그램의 로크를 해제하여, 이 동작 프로그램은 실행이 가능하게 된다.
본 예에서는,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을 형성하도록 등기구 유닛(10)을 동작시키는 동작 프로그램이 액티베이트된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는, 이미, 하이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등기구 유닛(10)을 동작시키는 동작 프로그램과, 로우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등기구 유닛(10)을 동작시키는 동작 프로그램과, 보행자 조사 패턴을 형성하도록 등기구 유닛(10)을 동작시키는 동작 프로그램이 액티베이트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처리에 의해,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을 형성하는 기능이 등기구 유닛(10)에 추가된다. 이에 의해, ECU(3)는 차재 메모리(4)에 기억되어 액티베이트되어 있는 하이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등기구 유닛(10)을 동작시키는 동작 프로그램과, 로우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등기구 유닛(10)을 동작시키는 동작 프로그램과, 보행자 조사 패턴을 형성하도록 등기구 유닛(10)을 동작시키는 동작 프로그램과,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을 형성하도록 등기구 유닛(10)을 동작시키는 동작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등기구 유닛(10)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1A)에 따르면, 통신부(5)는 차량 ID(제1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ID(제2 식별 정보)에 관련된 인증 키(기능 정보)를 스마트 폰(20)(외부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고, ECU(3)는 인증 키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동작 프로그램에 의해 등기구 유닛(10)을 동작시켜 특정한 기능을 실현한다. 이 때문에, 사용자(X)가 차량(2)을 구입한 후에도, 등기구 유닛(10)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어, 사용자(X)의 편리성이 높아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스마트 폰(20)으로부터 통신부(5)에 인증 키를 송신하기 때문에, 스마트 폰(20)과 통신부(5)의 통신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1A)에 따르면, 스마트 폰(20) 등의 정보 단말을 사용하여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1A)을 이용할 수 있어, 차량(2)에 신규로 전용 장치를 탑재시킬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저비용으로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1A)을 차량(2)에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서는, 등기구 유닛(10)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그 기능을 변경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예컨대 배광 패턴을 변화시키지 않는 통상의 하이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기능을, 통상의 하이빔 배광 패턴의 일부에 차광 영역을 마련하여 이 차광 영역을 마주 오는 차 등에 맞추어 이동시키는 ADB 배광 패턴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하이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기능을, ADB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기능으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차재 메모리(4)에 기억되는 각종 동작 프로그램은, 수시 추가 등록이 가능하여도 좋다. 이 경우, 인증 키가 없으면 동작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없도록 로크가 실시된 상태에서 동작 프로그램이 추가된다. 이에 의해, 차량(2)의 구입 후에 새로운 기능이 개발된 경우라도, 차량(2)이 새로운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상태로 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전술한 제1 실시형태나 제2 실시형태에서는, 차량(2)의 구입 후에 등기구 유닛(10)에 기능을 추가하거나 기능을 변경하거나 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1B)은 단일 차량(2)을 복수인이 공용하는 경우(소위 카 쉐어링)에 있어서, 단일 차량(2)에 장비된 등기구 유닛(10)을 사용자마다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으로 동작시키는 예이다.
또한, 전술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스마트 폰(20)이 취득한 인증 키에 의해, 차재 메모리(4)에 미리 기억되어 있던 동작 프로그램을 액티베이트하는 예를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 설명하는 제3 실시형태는 외부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스마트 폰(20)에 다운로드된 동작 프로그램을 차재 메모리(4)에 전송하는 예이다.
또한, 전술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스마트 폰(20)이 외부 기억 수단을 구성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후에 설명하는 제3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기억 수단이 스마트 폰(20)과 외부 데이터 서버(30)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1B)을 사용하여, 복수의 사용자(A∼E)가 공용하고 있는 차량(2)을 사용자(C)가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C)가 선택한 기능을 사용하여 등기구 유닛(10)을 동작시키는 예를 설명한다. 또한, 등기구 유닛(10)은,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도 2에서 나타낸 것을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1B)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1B)을 사용하여, 등기구 유닛(10)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때의 처리의 흐름도이다.
(외부 데이터 서버)
외부 데이터 서버(30)에는, 사용자(A)로부터 사용자(E)에 대응하는 사용자 ID[(A)∼(E)]와, 사용자 ID에 관련된 기능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기능 정보란, 각각 사용자가 선택하여 구입한다, 등기구 유닛(10)의 기능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데이터 서버(30)에는, 사용자 ID와는 독립적으로, 각종 등기구 유닛(10)의 기능을 실현하는 동작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도 7에 있어서, 기능 (1)은 하이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기능, 기능 (2)는 로우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기능, 기능 (3)은 보행자 조사 패턴을 형성하는 기능, 기능 (4)는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을 형성하는 기능, 기능 (5)는 ADB 조사 패턴을 형성하는 기능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예에 있어서는, 사용자(C)는 등기구 유닛(10)에 하이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기능 (1), 로우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기능 (2), 보행자 조사 패턴을 형성하는 기능 (3),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을 형성하는 기능 (4)를 선택하고 있다.
우선, 사용자(C)는 사용자(C)가 소유하는 스마트 폰(20C)으로부터 외부 데이터 서버(30)에 액세스한다. 사용자(C)가 소유하는 스마트 폰(20C)으로부터 외부 데이터 서버(30)에, 사용자(C)를 나타내는 사용자 ID(C)를 송신한다.
외부 데이터 서버(30)는 사용자 ID(C)를 취득하면, 사용자 ID(C)에 관련된 기능 정보 (1, 2, 3, 4)를 판독한다. 또한, 외부 데이터 서버(30)는 기능 정보 (1∼4)에 대응하는 동작 프로그램을 사용자(C)가 소유한 스마트 폰(20C)에 송신한다. 스마트 폰(20C)은 이들 기능 정보 (1∼4)에 대응하는 각각의 동작 프로그램을 내부의 기억 매체에 기억시킨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스마트 폰(20C) 내부의 기억 매체에는, 하이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등기구 유닛(10)을 동작시키는 동작 프로그램과, 로우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등기구 유닛(10)을 동작시키는 동작 프로그램과, 보행자 조사 패턴을 형성하도록 등기구 유닛(10)을 동작시키는 동작 프로그램과,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을 형성하도록 등기구 유닛(10)을 동작시키는 동작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사용자 ID의 취득)
다음에, 사용자(C)는 이들 동작 프로그램이 기억된 스마트 폰(20C)을 갖고서 차량(2)에 접근하여, 스마트 폰(20C)으로부터 차량(2)의 ECU(3)에 대하여 통신요구를 발생시킨다. ECU(3)가 통신부(5)를 통해 스마트 폰(20C)으로부터의 통신 요구에 따르면, ECU(3)는 통신부(5)를 통해 스마트 폰(20C)의 사용자 ID를 요구한다. 스마트 폰(20C)은 이 요구에 대하여, 스마트 폰(20C)의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 ID(C)를, 통신부(5)를 통해 ECU(3)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ECU(3)는 사용자 ID(C)를 취득한다(step 21).
(사용자 ID와 차량 ID의 비교)
다음에, ECU(3)는 취득된 사용자 ID(C)와, 차재 메모리(4)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 ID를 비교하여, 양자가 대응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차재 메모리(4)에는, 이 차량(2)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리스트[본 예에서는 사용자(A, B, C, D, E)]가 등록되어 있다. ECU(3)는 취득된 사용자 ID(C)가 차재 메모리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후의 처리를 속행한다(step 22: Yes). ECU(3)는 취득된 사용자 ID(C)가 차재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step 22: No). 이에 의해, 차량(2)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로부터의 통신에 따라서만 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동작 프로그램의 취득)
다음에, ECU(3)는 통신부(5)를 통해 스마트 폰(20C)에, 스마트 폰(20C)에 기억되어 있는 동작 프로그램을 송신하도록 요구한다. 스마트 폰(20C)은 상기 요구에 응답하여, 기억되어 있는 동작 프로그램을 ECU(3)에 송신한다. ECU(3)는 송신된 동작 프로그램을 취득하여, 차재 메모리(4)에 기억시킨다(step 23).
도시된 예에서는, 차재 메모리(4)에, 하이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등기구 유닛(10)을 동작시키는 동작 프로그램과, 로우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등기구 유닛(10)을 동작시키는 동작 프로그램과, 보행자 조사 패턴을 형성하도록 등기구 유닛(10)을 동작시키는 동작 프로그램과,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을 형성하도록 등기구 유닛(10)을 동작시키는 동작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차량(2)에 탑재된 등기구 유닛(10)은 차재 메모리(4)에 기록된 동작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사용자(C)가 선택한, 하이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기능, 로우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기능, 보행자 조사 패턴을 형성하는 기능, 주행 레인 형성 패턴을 형성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1B)에 따르면, 통신부(5)는 차량 ID(제1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ID(제2 식별 정보)에 관련된 동작 프로그램(기능 정보)을 스마트 폰(20)(외부 기억 수단의 일부)으로부터 취득하고, ECU(3)(제어부)는 상기 동작 프로그램에 의해 등기구 유닛(10)을 동작시켜 특정한 기능을 실현한다. 이 때문에, 단일 차량(2)을 복수의 사용자가 쉐어하고 있는 경우라도, 사용자마다,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으로 등기구 유닛(10)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편리성이 높아진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서는, 소위 카 쉐어링에서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1B)을 이용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단일 차량(2)을 복수인이 이용하는, 렌터카에도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1B)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렌터카에 있어서도, 등기구 유닛(10)에 있어서 특정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을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1B)을 이용하여도,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1A)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차량(2)을 구입한 후에도, 등기구 유닛(10)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기능을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높아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1B)은 필요한 동작 프로그램만을 차재 메모리(4)에 기억시킨다. 즉, 전술한 제2 실시형태와 같이, 로크가 걸린 여러가지 동작 프로그램을 미리 차재 메모리(4)에 기억시켜 둘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억 용량의 작은 메모리를 차재 메모리(4)로서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에 의하면, 외부 데이터 서버(30)는 스마트 폰(20) 등에 비해서 기억 용량이 크기 때문에, 외부 데이터 서버(30)에 여러가지 정보를 기억시킬 수 있어, 사용자는 다양한 기능 중에서 선호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전술한 제1 실시형태부터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차량(2)이 스마트 폰(20)과 통신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 설명하는 제4 실시형태는 차량(2)이 외부 데이터 서버(30)와 직접 통신하는 예이다. 또한, 등기구 유닛(10)은, 도 2에서 나타낸 것을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사용자(B)가 특정 차량(2)을 소유하고 있고, 사용자(B)는 이미 등기구 유닛(10)의 기능으로서, 하이빔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기능[기능 (1)]과, 로우빔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기능[기능 (2)]을 소지하고 있으며, 이것에 보행자 조사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기능[기능 (3)]을 추가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1C)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1C)에 있어서, 외부 데이터 서버(30)에는, 복수의 차량 ID[차량 ID(A)∼(E)]와, 차량 ID에 관련된 여러가지 기능 정보[기능 (1∼5)]가 기억되어 있다. 사용자(B)가 기능 (3)을 구입하면, 외부 데이터 서버(30)에는, 사용자(B)에 대해서, 기능 (1, 2)에 더해, 기능 (3)이 관련된 것이 기억된다.
사용자(B)가 차재의 입력 장치 등을 조작하면, 차량(2)의 ECU(3)가 통신부(5)를 통해, 차재 메모리(4)에 기억되어 있는 차량 ID를 외부 데이터 서버(30)에 송신한다. 외부 데이터 서버(30)는 차량 ID를 취득하면, 차량(2)으로부터 송신된 차량 ID와 관련된 기능 정보를 판독한다. 또한 외부 데이터 서버(30)는 상기 기능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 프로그램을 통신부(5)에 송신한다. 또한, 송신된 차량 ID에 일치하는 차량 ID가 외부 데이터 서버(30)에 없는 경우에는, 외부 데이터 서버(30)는 해당하는 차량 ID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통신부(5)에 통지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통신부(5)로부터 차량 ID(B)가 송신되면, 외부 데이터 서버(30)는 차량 ID(B)에 관련된 기능 정보 (1), (2), (3)을 판독한다. 또한 외부 데이터 서버(30)는 통신부(5)에, 이들 기능 정보 (1∼3)에 각각 해당하는, 하이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등기구 유닛(10)을 동작시키는 동작 프로그램과, 로우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등기구 유닛(10)을 동작시키는 동작 프로그램과, 보행자 조사 패턴을 형성하도록 등기구 유닛(10)을 동작시키는 동작 프로그램을 송신한다.
ECU(3)는 통신부(5)를 통해, 외부 데이터 서버(30)로부터 동작 프로그램을 취득하고, 차재 메모리(4)에 이들 동작 프로그램을 기억시킨다. ECU(3)는 차재 메모리(4)에 기억된 이들 동작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하이빔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기능과, 로우빔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기능과, 보행자 조사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기능을 등기구 유닛(10)에 실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1C)에 따르면, 통신부(5)는 차재 메모리(4)에 기억된 차량 ID(제1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차량 ID(제2 식별 정보)에 관련된 동작 프로그램(기능 정보)을 외부 데이터 서버(30)(외부 기억 수단)로부터 취득하고, ECU(3)(제어부)는 동작 프로그램에 의해 등기구 유닛을 동작시켜 특정 기능을 실현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차량을 구입한 후라도, 등기구 유닛(10)의 기능을 추가 혹은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차재의 입력 장치로부터 사용자 ID를 입력하고, ECU(3)가 통신부(5)를 통해 이 사용자 ID를 외부 데이터 서버(30)에 송신하며, ECU(3)가 외부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사용자 ID에 관련된 기능 정보를 취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단일 차량(2)을 복수의 사용자가 쉐어하고 있는 경우라도, 사용자마다,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으로 등기구 유닛(10)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편리성이 높아진다.
<그 외의 변형예>
또한, 전술한 제1 실시형태부터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 액정 화상 형성부(14)를 구비한 등기구 유닛(10)을 이용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DMD(Digital Mirror Device)나, 갈바노 미러를 이용한 등기구 유닛을 이용하여도 좋다.
DMD은, 각각 독립적으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복수의 반사면을 구비한 장치이다. 이 DMD을, 상기 실시형태의 액정 화상 형성부(14) 대신에 이용할 수 있다. 반사면이 특정 방향을 향하며, 반사면으로부터의 광이 등기구 전방에 출사되는 상태를 ON 상태, 반사면이 그 이외의 방향을 향하며, 반사면으로부터의 광이 등기구 전방에 출사되지 않는 상태를 OFF 상태로 하고, 개개의 반사면의 ON 상태와 OFF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임의의 광학상(像)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등기구 유닛은 임의의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갈바노 미러를 이용한 주사형 화상 형성 장치는 지향성이 높은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회전 가능한 갈바노 미러로 반사시키는 것이다. 갈바노 미러를 회전시키면서 광을 반사시킴으로써, 반사광을 특정 방향으로 주사시킨다. 주사선을 순차 변이시켜 등기구 전방에 조사함으로써, 등기구 전방에 임의의 형상의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등기구 유닛은 액정 화상 형성 장치나 주사형 화상 형성 장치를 구비한 등기구 유닛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가동식 쉐이드를 구비한 등기구 유닛, 스위벌 기구를 구비한 등기구 유닛 등, 기지의 복수의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등기구 유닛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스마트 폰(20)이 취득한 인증 키에 의해, 차재 메모리(4)에 미리 기억되어 있던 동작 프로그램을 액티베이트하는 예를, 제1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적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인증 키가 기능 정보에 해당한다. 즉, 제1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차재 메모리(4)는 등기구 유닛(10)을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으며, ECU(3)는 취득된 기능 정보로서의 인증 키에 따라, 차재 메모리(4)로부터 특정 프로그램을 판독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1: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 2: 차량
3: ECU 4: 차재 메모리
5: 통신 유닛 10: 등기구 유닛
11: 광원 12: 리플렉터
13: 투영 렌즈 14: 액정 화상 형성부
20: 스마트 폰 30: 외부 데이터 서버

Claims (8)

  1. 등기구 유닛과,
    제1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차재(車載) 기억 수단과,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식별 정보와 관련된,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등기구 유닛의 기능에 관한 기능 정보를 기억하는 외부 기억 수단과 통신 가능한 통신부와,
    상기 등기구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식별 정보는 차량의 등기구 유닛이 실현 가능한 배광 패턴의 리스트이고, 상기 제2 식별 정보는 사용자가 추가하고자 하는 배광 패턴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관련된 기능 정보를 취득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어부의 결정에 따라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관련된 상기 기능 정보를 상기 외부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등기구 유닛을 동작시켜 특정한 기능을 실현하는 것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재 기억 수단은 상기 등기구 유닛을 동작시키는 복수의 동작 프로그램을 기억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정보에 따라 상기 차재 기억 수단으로부터 특정한 상기 동작 프로그램을 판독하는 것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정보는 상기 등기구 유닛을 동작시키는 동작 프로그램인 것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억 수단은, 차량과는 독립적으로 사용자가 소유한 정보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단말은, 특정한 상기 제2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관련된 상기 기능 정보를 기억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대응하는 특정한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갖는 상기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기능 정보를 취득하는 것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억 수단은, 차량의 외부에 설치된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서버는, 복수의 상기 제2 식별 정보와, 각각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관련된 복수의 상기 기능 정보를 기억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대응하는 특정한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관련된 상기 기능 정보를 취득하는 것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억 수단은, 차량과는 독립적으로 사용자가 소유한 정보 단말과, 차량의 외부에 설치된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단말은, 특정한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기억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 서버는, 복수의 상기 제2 식별 정보와, 각각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관련된 복수의 상기 기능 정보를 기억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한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상기 데이터 서버에 송신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특정한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관련된 상기 기능 정보를 취득하는 것인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
KR1020140166231A 2013-12-06 2014-11-26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 KR1016340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52949A JP6271237B2 (ja) 2013-12-06 2013-12-06 車両用灯具システム
JPJP-P-2013-252949 2013-1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449A KR20150066449A (ko) 2015-06-16
KR101634004B1 true KR101634004B1 (ko) 2016-06-27

Family

ID=53270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231A KR101634004B1 (ko) 2013-12-06 2014-11-26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02612B2 (ko)
JP (1) JP6271237B2 (ko)
KR (1) KR1016340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10752A1 (de) * 2014-07-21 2016-01-21 Wabco Gmbh Verfahren zum Aufbau einer drahtlosen Verbindung
JP6068759B2 (ja) * 2014-08-27 2017-01-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ランプ装置及びランプシステム
DE102014223663A1 (de) * 2014-11-20 2016-06-0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Authentifizierung einer Berechtigung eines Benutzers eines Kraftfahrzeuges, Kraftfahrzeug und Computerprogramm
US10412088B2 (en) 2015-11-09 2019-09-10 Silvercar, Inc. Vehicle access systems and methods
JP7094670B2 (ja) * 2017-07-03 2022-07-04 矢崎総業株式会社 設定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
EP3620330A1 (de) * 2018-09-07 2020-03-11 odelo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von lichtfunktionen einer fahrzeugleuchte, vorrichtung mit einer solchen fahrzeugleuchte sowie computerprogrammprodukt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7440294B2 (ja) * 2020-02-28 2024-02-2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制御システム及び車両制御方法
WO2023058615A1 (ja) * 2021-10-04 2023-04-1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車両用灯具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車両用灯具システム、車両用灯具の設定装置および設定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3026A (ja) 2000-12-27 2002-07-10 Equos Research Co Ltd 配光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7712B2 (ja) 2004-07-07 2010-03-2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照明システム
US20080198372A1 (en) * 2007-02-21 2008-08-21 Spatial Photonics, Inc. Vehicle headlight with image display
JP4995748B2 (ja) 2008-01-29 2012-08-0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装置及び車両用前照灯装置の制御方法
DE102010038841A1 (de) * 2010-08-03 2012-02-09 Deere & Company Steuervorrichtung für ein Fahrzeugscheinwerfersystem
CN104080658B (zh) * 2012-01-25 2016-08-24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远程操作信息提供装置、车载远程操作信息取得装置及具备这些装置的车辆远程操作系统
KR101344847B1 (ko) * 2012-02-06 2013-12-24 이준석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가변식 브레이크등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361153B1 (ko) 2012-03-13 2014-02-12 이준석 차량 설치 단말을 이용한 가변식 브레이크등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42378A (ko) * 2012-09-28 2014-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조등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3026A (ja) 2000-12-27 2002-07-10 Equos Research Co Ltd 配光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10365A (ja) 2015-06-18
JP6271237B2 (ja) 2018-01-31
US9302612B2 (en) 2016-04-05
US20150158413A1 (en) 2015-06-11
KR20150066449A (ko) 201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004B1 (ko)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
JP7096823B2 (ja) ランプ装置
JP6872658B2 (ja) 車両用灯具システム
JP6924425B2 (ja) 照明装置および車両
JP4995748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及び車両用前照灯装置の制御方法
JP6059910B2 (ja) 灯具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装置
CN107000632B (zh) 照明装置
JP7048331B2 (ja) 点灯制御装置
JP7034718B2 (ja) 車両用表示装置
WO2018123429A1 (ja) 照明装置
WO2016047686A1 (ja) 車載用照明装置
KR20150138596A (ko) 차량용 램프 모듈
US11850992B2 (en) Lighting device
JP6579302B2 (ja) 光学装置及び光学装置が搭載された車両
CN117124975A (zh) 车辆前灯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WO2022130418A1 (en) System for controlling a light assembly of a vehicle
CN112140983A (zh) 控制明暗截止线的方法、车灯和车辆
JP2014172566A (ja) 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および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