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604B1 - 건물 천장 보수용 클린 수단 및 그 클린 수단을 이용한 천장의 보수 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천장 보수용 클린 수단 및 그 클린 수단을 이용한 천장의 보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604B1
KR101633604B1 KR1020150126768A KR20150126768A KR101633604B1 KR 101633604 B1 KR101633604 B1 KR 101633604B1 KR 1020150126768 A KR1020150126768 A KR 1020150126768A KR 20150126768 A KR20150126768 A KR 20150126768A KR 101633604 B1 KR101633604 B1 KR 101633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water
cleaning
drain pip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8808A (ko
Inventor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유지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지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6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604B1/ko
Publication of KR20150108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04B1/646Damp-proof courses obtained by removal and replacement of a horizontal layer of an existing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후 된 건물의 베란다와 지하실 천장에서 발생하는 누수에 대한 시공과, 만성적인 습기 정체에 의해 페인트가 벗겨져 발생하는 각종 이물질을 제거와 동시에 보수를 할 수 있음은 물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건물 천장 보수용 클린 수단 및 그 클린 수단을 이용한 천장의 보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누수 또는 습기가 정체되어 페인트가 벗겨진 부분의 페인트를 긁어낸 다음, 물 또는 솔을 이용하여 깔끔하게 청소를 하는 보수부위 청소단계(S100)와, 상기 청소가 된 보수부위에 클린 수단(S)의 클리닝 하우징(10)이 고정되는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단계(S200)와, 상기 위치표시 후 물방울 및 습기에 의해 부착력이 약화 되어 벗겨지는 페인트의 이물질이 안착 될 수 있도록 상단이 개방됨과 동시에 바닥면(11)을 갖는 수용공간(12)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2)의 가장 자리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테두리(13)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13)의 상단 면에는 천장 부착 고정용 고정홈(14)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한편, 상기 수용공간(12)의 바닥면(11)은 어느 한 지점으로 물이 집수되어 배수관으로 배수가 될 수 있도록 구배(15)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구배(15)가 형성된 지점의 끝단에는 수용공간(12)에 채워진 물이 배수가 될 수 있도록 배수구(16)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클리닝 하우징(10)과, 상기 클리닝 하우징(10)의 수용공간(12)에 집수 된 물이 우수관을 통해 최종 배수처리가 될 수 있도록 배수구(16)와 연결되어 통수가 되도록 파이프 피팅(31)이 마디마다 일체형으로 구성된 배수관(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클린수단(S)을 칼블럭, 피스못, 앵커볼트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되,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 고정시키는 클린수단 고정단계(S300)와, 상기 클린 수단 고정 후 클린 수단(S)의 클리닝 하우징(10)간 접합부에는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연질고무, 실리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마감처리 하는 마감처리단계(S400)와, 상기 마감처리 후 배수관(30)을 우수관 또는 배수트렌치에 연결하여 최종 배수처리가 되도록 하는 배수관 연결단계(S50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건물 천장 보수용 클린 수단 및 그 클린 수단을 이용한 천장의 보수 방법{How to repair the ceiling by means of a clean ceiling and the clean means for building maintenance}
본 발명은 건물 천장 보수용 클린 수단 및 그 클린 수단을 이용한 천장의 보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노후 된 건물의 베란다와 지하실 천장에서 발생하는 누수에 대한 시공과, 만성적인 습기 정체에 의해 페인트가 벗겨져 발생하는 각종 이물질을 제거와 동시에 보수를 할 수 있음은 물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건물 천장 보수용 클린 수단 및 그 클린 수단을 이용한 천장의 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다세대 주택, 빌라, 아파트, 오피스텔 등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신축된 건물의 베란다 및 지하 주차장의 천장에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적인 누수가 발생하거나 누수 및 습기에 의해 페인트 칠이 벗겨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누수의 원인으로는 건물의 노후화에 의한 빗물 침투와 윗 층의 방수 불량을 들 수 있으며, 페인트 칠이 벗겨지는 현상은 환기가 되지 않아 만성적인 습기가 정체되어 발생한다.
물론, 누수가 발생 되는 곳에서도 페인트 칠이 벗겨지는 현상이 다반사로 일어나는데, 그 예가 지하실이나 지하주차장의 천장이다. 이곳은 누수가 빈번히 발생되는 곳이기도 하지만, 환기가 어려워 장마철에는 특히 습기가 많을 뿐만 아니라, 환기되지 못하고 정체되어 페인트 칠이 벗겨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누수현상과 페인트 칠이 벗겨지게 되면, 차량은 물론, 바닥이 지저분해져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베란다인 경우에 물건을 정리하여 비치할 수 없어 공간활용에 어려움이 있게 되는 것이다. 베란다의 경우 환기가 잘되지 않느냐고 반문할 수 있겠으나, 베란다의 위치(건물의 동향, 서향, 남향, 북향 등)에 따라 얼마든지 습기가 정체되어 페인트가 벗겨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누수인 경우 그 원인을 찾아서 방수시공을 하면 되지만, 만성적인 습기에 의해 페인트가 벗겨지는 현상은 적어도 지금까지는 페인트가 일어나는 부위 전체를 긁어낸 다음 방수액을 2중 3중으로 도포하여 해당부위를 시공하였다.
그러나 방수액을 2중 3중으로 도포한다고 하더라도 불과 1년 내지 2년이 지나면 똑같은 현상이 재발하는 등 건물 유지보수에 상당한 비용이 발생 되는 등 그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만성적으로 습기가 정체된 곳은 페인트가 일어나는 부위 전체를 긁어내고 방수액을 도포하는 시공방법이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으며, 노후화에 따른 균열에 의해 누수가 발생 된 경우에는 균열부위에 'V' 자형으로 절개를 한 다음 그 'V' 자형 홈에 방수액 또는 실리콘을 주입 한 다음 마감처리를 하여 방수시공을 하였다.
한편, 건물의 균열부분에 대한 보수 시공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특허출원 제10-2012-0072812호(발명의 명칭: 건물의 균열부분 방수 및 보수 시공방법)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소키 위해 안출한 것으로 노후 된 건물의 베란다와 지하실 천장에서 발생하는 누수에 대한 시공뿐만 아니라, 만성적인 습기 정체에 의해 페인트가 벗겨져 발생하는 각종 이물질을 제거와 동시에 보수를 할 수 있음은 물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건물 천장 보수용 클린 수단 및 그 클린 수단을 이용한 천장의 보수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건물 천장 보수용 클린 수단(S)은,
물방울 및 습기에 의해 부착력이 약화 되어 벗겨지는 페인트의 찌꺼기가 안착 될 수 있도록 상단이 개방됨과 동시에 바닥면(11)을 갖는 수용공간(12)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2)의 가장 자리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테두리(13)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13)의 상단 면에는 천장 부착 고정용 고정홈(14)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한편, 상기 수용공간(12)의 바닥면(11)은 어느 한 지점으로 물이 집수 되어 배수관으로 배수가 될 수 있도록 구배(15)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구배(15)가 형성된 지점의 끝단에는 수용공간(12)에 채워진 물이 배수가 될 수 있도록 배수구(16)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클리닝 하우징(10)과, 상기 클리닝하우징(10)의 수용공간(12)에 집수 된 물이 우수관을 통해 최종 배수처리가 될 수 있도록 배수구(16)와 연결되어 통수되도록 파이프 피팅(31)이 마디마다 일체형으로 구성된 배수관(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구(16)에는 파이프 피팅(17)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리닝하우징(10)의 측면 하단에는 배수관(30)이 안착 됨과 동시에 배수관(30)이 엄폐가 될 수 있도록 가림편(19)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두리(13)의 상단 한 방향에는 배수관(30)이 설치된 상태에서 2중 3중으로 클리닝 하우징(10)이 직렬 또는 병렬 연결이 용이하도록 클리닝 하우징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조절편(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편(20)의 타측 방향 테두리(13) 일측에는 클리닝 하우징(10) 간 기밀한 밀착이 될 수 있도록 간격조절편(20)에 대응하는 단부(1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림편(19)은 간격조절편(20)에 비해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건물 천장 보수용 클린 수단을 이용한 천장의 보수 방법은,
누수 또는 습기가 정체되어 페인트가 벗겨진 부분의 페인트를 긁어낸 다음, 물 또는 솔을 이용하여 깔끔하게 청소를 하는 보수부위 청소단계(S100)와, 상기 청소가 된 보수부위에 클린수단(S)의 클리닝 하우징(10)이 고정되는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단계(S200)와, 상기 위치표시 후 물방울 및 습기에 의해 부착력이 약화 되어 벗겨지는 페인트의 이물질이 안착 될 수 있도록 상단이 개방됨과 동시에 바닥면(11)을 갖는 수용공간(12)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2)의 가장 자리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테두리(13)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13)의 상단 면에는 천장 부착 고정용 고정홈(14)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한편, 상기 수용공간(12)의 바닥면(11)은 어느 한 지점으로 물이 집수되어 배수관으로 배수가 될 수 있도록 구배(15)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구배(15)가 형성된 지점의 끝단에는 수용공간(12)에 채워진 물이 배수가 될 수 있도록 배수구(16)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클리닝 하우징(10)과, 상기 클리닝 하우징(10)의 수용공간(12)에 집수 된 물이 우수관을 통해 최종 배수처리가 될 수 있도록 배수구(16)와 연결되어 통수가 되도록 파이프 피팅(31)이 마디마다 일체형으로 구성된 배수관(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클린수단(S)을 칼블럭, 피스못, 앵커볼트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되,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 고정시키는 클린수단 고정단계(S300)와, 상기 클린 수단 고정 후 클린 수단(S)의 클리닝 하우징(10)간 접합부에는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연질고무, 실리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마감처리 하는 마감처리단계(S400)와, 상기 마감처리 후 배수관(30)을 우수관 또는 배수트렌치에 연결하여 최종 배수처리가 되도록 하는 배수관 연결단계(S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서 제공하는 건물 천장 보수용 클린 수단 및 그 클린 수단을 이용한 천장의 보수 방법은 노후 된 건물의 베란다와 지하실 천장에서 발생하는 누수에 대한 시공뿐만 아니라, 만성적인 습기 정체에 의해 페인트가 벗겨져 발생하는 각종 이물질을 제거와 동시에 보수를 할 수 있음은 물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재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누수 또는 페인트가 벗겨진 베란다 또는 천장을 나타낸 도면대용 현장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의 보수과정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건물 천장 보수용 클린 수단 및 그 클린 수단을 이용한 천장의 보수 방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기술적 핵심은 누수 및 만성적인 습기가 정체되어 페인트와 콘크리트가 벗겨져 떨어지는 보수 부위에 클린 수단(S)을 이용하여 누수와, 보수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클린 수단(S)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클리닝 하우징(10)과, 클리닝 하우징의 내부에 집수 되는 물을 최종 배수 처리되도록 하는 배수관(30)으로 구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클리닝 하우징(10)은 물방울 및 습기에 의해 부착력이 약화 되어 벗겨지는 페인트의 찌꺼기가 안착 될 수 있도록 상단이 개방됨과 동시에 바닥면(11)을 갖는 수용공간(12)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2)의 가장 자리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테두리(13)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13)의 상단 면에는 천장 부착 고정용 고정홈(14)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12)의 바닥면(11)은 어느 한 지점으로 물이 집수 되어 배수관으로 배수가 될 수 있도록 구배(15)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구배(15)가 형성된 지점의 끝단에는 수용공간(12)에 채워진 물이 배수가 될 수 있도록 배수구(16)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누수에 의해 천장에서 물이 떨어지면, 구배가 형성된 바닥면(11)에 의해 물은 배수구(16) 측으로 모이게 되며, 모인 물은 배수관(30)을 통해 우수관 또는 배수트렌치로 최종 배수 처리가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수관(30)은 클리닝 하우징(10)의 수용공간(12)에 집수 된 물이 우수관을 통해 최종 배수처리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배수구(16)와 연결되어 통수가 되도록 파이프 피팅(31)이 마디마다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파이프 피팅은 'T' 자형 'L' 자형 '-' 자형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구(16)에는 배수관에 연결된 파이프 피팅(31)과 용이한 연결이 될 수 있도록 파이프 피팅(17)이 삽입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클리닝 하우징(10)의 측면 하단에는 배수관(30)이 안착 됨과 동시에 배수관(30)이 엄폐가 될 수 있도록 가림편(19)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림편(19)에 의해 배수관(30)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이 되지 않고 엄폐가 되어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13)의 상단 한 방향에는 배수관(30)이 설치된 상태에서 2중 3중으로 클리닝 하우징(10)이 직렬 또는 병렬 연결이 용이하도록 클리닝 하우징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조절편(20)이 형성된다.
상기 간격조절편(20)에 의해 항상 클리닝 하우징(10)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배열이 될 수 있으며, 나아가 배수관(30)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편(20)의 타측 방향 테두리(13) 일측에는 클리닝 하우징(10) 간 기밀한 밀착이 될 수 있도록 간격조절편(20)에 대응하는 단부(18)가 형성되는바, 이 단부(18)는 간격조절편(20)과 맞닿음으로써 클리닝 하우징(10)의 정 위치를 쉽게 알 수 있으며, 기밀유지에도 도움이 된다.
또한 상기 가림편(19)은 간격조절편(20)에 비해 길이가 짧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간격조절편(20)과 단부(18)가 맞닿는 부분에 마감처리를 할 때 수월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건물 천장 보수용 클린 수단을 이용한 천장의 보수 방법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단계로서 누수 또는 습기가 정체되어 페인트가 벗겨진 부분의 페인트를 긁어낸 다음, 물 또는 솔을 이용하여 깔끔하게 청소를 실시한다(S100).
상기 청소가 된 보수부위에 클린 수단(S)의 클리닝 하우징(10)이 고정되는 위치를 점과 선으로 표시한다(S200).
또한 상기 위치표시 후 물방울 및 습기에 의해 부착력이 약화 되어 벗겨지는 페인트의 이물질이 안착 될 수 있도록 상단이 개방됨과 동시에 바닥면(11)을 갖는 수용공간(12)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2)의 가장 자리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테두리(13)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13)의 상단 면에는 천장 부착 고정용 고정홈(14)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한편, 상기 수용공간(12)의 바닥면(11)은 어느 한 지점으로 물이 집수되어 배수관으로 배수가 될 수 있도록 구배(15)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구배(15)가 형성된 지점의 끝단에는 수용공간(12)에 채워진 물이 배수가 될 수 있도록 배수구(16)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클리닝 하우징(10)과, 상기 클리닝 하우징(10)의 수용공간(12)에 집수 된 물이 우수관을 통해 최종 배수처리가 될 수 있도록 배수구(16)와 연결되어 통수가 되도록 파이프 피팅(31)이 마디마다 일체형으로 구성된 배수관(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클린 수단(S)을 칼블럭, 피스못, 앵커볼트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되,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 고정시킨다(S300).
상기 클린 수단(S)을 고정시킬 때는 보수부위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현장 상황에 따라 직렬로 연결할 수도 있고 병렬로 연결할 수도 있는 등 현장상황에 알맞게 시공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수 부위에 비해 시공부위를 넓게 확보하여 향후 보수가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도 미리 시공을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린수단 고정 후 클린 수단(S)의 클리닝 하우징(10)간 접합부에는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연질고무, 실리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마감처리(S400)를 한 다음, 배수관(30)을 우수관 또는 배수 트렌치에 연결(S500)하여 최종 배수 처리가 되도록 함으로써 완료된다.
그리고, 클리닝 하우징(10)이 서로 맞닿는 지점에는 기밀 유지를 위해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엷은 비닐시트(21)를 안착시킨 후 클리닝 하우징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S:클린 수단 10:클리닝 하우징
11:바닥면 12:수용공간
13:테두리 14:고정홈
15:구배 16:배수구
17:파이프 피팅 18:단부
19:가림편 20:간격조절편
21:비닐시트 30:배수관
31:파이프 피팅
S100:청소단계 S200:위치표시단계
S300:클린수단고정단계 S400:마감처리단계
S500:배수관연결단계

Claims (7)

  1. 물방울 및 습기에 의해 부착력이 약화 되어 벗겨지는 페인트의 찌꺼기가 안착 될 수 있도록 상단이 개방됨과 동시에 바닥면(11)을 갖는 수용공간(12)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2)의 가장자리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테두리(13)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13)의 상단 면에는 천장 부착 고정용 고정홈(14)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한편, 상기 수용공간(12)의 바닥면(11)은 어느 한 지점으로 물이 집수 되어 배수관으로 배수가 될 수 있도록 구배(15)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구배(15)가 형성된 지점의 끝단에는 수용공간(12)에 채워진 물이 배수가 될 수 있도록 배수구(16)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클리닝 하우징(10)과, 상기 클리닝 하우징(10)의 수용공간(12)에 집수 된 물이 우수관을 통해 최종 배수처리가 될 수 있도록 배수구(16)와 연결되어 통수되도록 파이프 피팅(31)이 마디마다 일체형으로 구성된 배수관(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물 천장 보수용 클린 수단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13)의 상단 어느 한 방향에는 배수관(30)이 설치된 상태에서 2중 3중으로 클리닝 하우징(10)이 직렬 또는 병렬연결이 용이하도록 클리닝 하우징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조절편(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천장 보수용 클린 수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하우징(10)의 측면 하단에는 배수관(30)이 안착 됨과 동시에 배수관(30)이 엄폐가 될 수 있도록 가림편(19)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천장 보수용 클린 수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편(20)의 타측 방향 테두리(13) 일측에는 클리닝 하우징(10) 간 기밀한 밀착이 될 수 있도록 간격조절편(20)에 대응하는 단부(1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천장 보수용 클린 수단.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편(19)은 간격조절편(20)에 비해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천장 보수용 클린 수단.
  7. 삭제
KR1020150126768A 2015-09-08 2015-09-08 건물 천장 보수용 클린 수단 및 그 클린 수단을 이용한 천장의 보수 방법 KR101633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768A KR101633604B1 (ko) 2015-09-08 2015-09-08 건물 천장 보수용 클린 수단 및 그 클린 수단을 이용한 천장의 보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768A KR101633604B1 (ko) 2015-09-08 2015-09-08 건물 천장 보수용 클린 수단 및 그 클린 수단을 이용한 천장의 보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808A KR20150108808A (ko) 2015-09-30
KR101633604B1 true KR101633604B1 (ko) 2016-06-27

Family

ID=5424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768A KR101633604B1 (ko) 2015-09-08 2015-09-08 건물 천장 보수용 클린 수단 및 그 클린 수단을 이용한 천장의 보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6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998A (ko) 2020-02-07 2021-08-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메탄으로부터 메탄올 전구체, 메탄올 또는 메틸에스테르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1752Y2 (ja) * 1993-03-18 1999-12-06 株式会社遠藤新六商店 屋内天井用漏水防止具
JP2005076179A (ja) * 2003-08-29 2005-03-24 Takiron Co Ltd 防水パン
JP4391951B2 (ja) 2005-01-13 2009-12-24 タキロン株式会社 防水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2587Y2 (ja) * 1992-01-24 1998-05-2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床 材
JP2601752B2 (ja) * 1992-10-29 1997-04-16 日綜産業株式会社 曲面型わく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1752Y2 (ja) * 1993-03-18 1999-12-06 株式会社遠藤新六商店 屋内天井用漏水防止具
JP2005076179A (ja) * 2003-08-29 2005-03-24 Takiron Co Ltd 防水パン
JP4391951B2 (ja) 2005-01-13 2009-12-24 タキロン株式会社 防水構造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998A (ko) 2020-02-07 2021-08-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메탄으로부터 메탄올 전구체, 메탄올 또는 메틸에스테르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808A (ko) 201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2473B2 (en) Curtain wall and wall element thereby applie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wall element
US10738447B2 (en) Waste fitting
AU2017345524B2 (en) Curtain wall with a wall element with a frame with a compartment for a wing or the like and method for replacing an infill element in a curtain wall
US20200032510A1 (en) Wall element for a curtain wall with a compartment for a wing and a sealing element
Lin Maintainability of facilities: for building professionals
WO2018073799A1 (en) Curtain wall and wall element thereby applie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wall element
KR101633604B1 (ko) 건물 천장 보수용 클린 수단 및 그 클린 수단을 이용한 천장의 보수 방법
US71342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water infiltration at window openings
KR101814707B1 (ko) 신축 및 기존 건물의 옥상 바닥 내부에서 발생 되는 에어와 습기 제거, 누수방지용 유닛 및 그 유닛을 이용한 에어와 습기 제거, 누수방지 시공 방법
AU2015224401A1 (en) Textile reinforced membranes
EP3529429A1 (en) Wall element for a curtain wall with a compartment for a wing and a sealing element
KR20190057839A (ko) 건물 외벽 리모델링 시공방법
KR20110003604A (ko) 창틀 상,하,측면 누수 보수를 위한 창틀 보수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50129632A (ko) 건물의 가장자리 상단부 및 건물의 가장자리 측면에 발생 되는 누수부위 시공용 시공패널 및 그 시공패널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2585547B1 (ko) 식품 제조시설용 코너 몰딩 및 그 시공 방법
US20060225194A1 (en) Shower drain assembly
TR2023007324T2 (tr) Kendinden Eğimli ve Yalıtımlı Hazır Duş Zemini
KR200317571Y1 (ko) 걸레받이
KR20070079960A (ko) 창틀누수 보수재 및 이의 시공 방법
US11124953B2 (en) Anti-leak system for sanitary appliances
Abd Elrahman Guide to Maintain Historic Egyptian Mosques: Case Study of Abul-Hajjaj Mosque-Luxor
Parker et al. Extending the Service Life of Historic Terra Cotta Roofing with Fluid-Applied Waterproofing Membranes
KR101325771B1 (ko) 창틀 주변 오염방지와 누수부위 보수용 보수 부재
JP2004124379A (ja) サッシ枠水切り板の取り付け工法
US8266777B2 (en) Method of installing a bathtub liner using a liquid adhes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