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771B1 - 창틀 주변 오염방지와 누수부위 보수용 보수 부재 - Google Patents

창틀 주변 오염방지와 누수부위 보수용 보수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771B1
KR101325771B1 KR1020130047567A KR20130047567A KR101325771B1 KR 101325771 B1 KR101325771 B1 KR 101325771B1 KR 1020130047567 A KR1020130047567 A KR 1020130047567A KR 20130047567 A KR20130047567 A KR 20130047567A KR 101325771 B1 KR101325771 B1 KR 101325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repair member
repair
flat plate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7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1465A (ko
Inventor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주)칠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칠칠공사 filed Critical (주)칠칠공사
Priority to KR1020130047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771B1/ko
Publication of KR20130051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62Tightening or covering joints between the border of openings and the frame or between contiguous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8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ater or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절적인 영향과 지반구조적인 영향으로 인해 발생 되는 창틀과 벽면 사이의 균열이나 틈새를 간편하게 보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틈새를 통한 누수현상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창틀 주변에서 발생 될 수 있는 변색 및 탈색 등의 오염을 차단할 수 있는 창틀 주변 오염방지와 누수부위 보수용 보수 부재에 관한 것으로,
틈새(30)가 발생 된 창틀(10)과 벽면(20) 사이에 오염 및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매립 고정 또는 끼움 고정 중 어느 한 방식으로 고정되는 곡선형 보수 부재(120)를 구비시키되, 그 곡선형 보수 부재(120)는 장방향의 길이를 갖는 박판이 가운데를 중심으로 좌, 우 대칭이 되도록 접혀져 측 단면이 'U' 자형의 형상을 갖는 평판(121)이 구성됨과 동시에 그 평판(121)은 외측 방향으로 서로 밀어내는 척력이 발생 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곡선형 보수 부재(120)의 평판(121) 끝단 일부에는 연질의 고무 수지(130)가 코팅된다.

Description

창틀 주변 오염방지와 누수부위 보수용 보수 부재{Pollution prevention and leaks around window frames for repair parts repair material}
본 발명은 창틀 주변 오염방지와 누수부위 보수용 보수 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계절적인 영향과 지반구조적인 영향으로 인해 발생 되는 창틀과 벽면 사이의 균열이나 틈새를 간편하게 보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틈새를 통한 누수현상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창틀 주변에서 발생 될 수 있는 변색 및 탈색 등의 오염을 차단할 수 있는 창틀 주변 오염방지와 누수부위 보수용 보수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건축물의 창틀 시공 구조는 도 1의 (가)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0)이 콘크리트 벽면(20)의 두께와 동일하게 시공될 때도 있지만, (나)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0)에 비해 콘크리트 벽면(20)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시공될 때도 있다.
창틀의 시공구조가 도 1에서 도시된 경우 이외에 샌드위치 판넬 등에 시공되기도 하지만,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벽면에 시공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도 1에서 도시된 창틀 시공구조는 시공 후 2 ~ 3년이 경과 하게 되면 창틀(10)과 콘크리트 벽면(20) 사이에 균열이나 틈새(30)가 발생하기도 하고, (나)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시공구조에는 창틀(10) 전면부의 평면(40)에 먼지와 빗물에 의한 변색 및 탈색 등의 오염이 발생 되기도 한다.
평판에 발생 되는 오염이 건물의 외벽 면까지 흘러내려 깨끗하지 못한 외관을 제공하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심각한 것은 빗물에 의한 누수발생의 여부이다.
통상적으로 창틀을 시공할 때는 벽면과 창틀이 맞닿는 부분에 마감재(50)로써 실리콘을 도포하게 되는데, 실리콘을 도포한다고 하더라도 벽면과 창틀 서로 간에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여 벽면과 창틀 사이에 균열이나 틈새가 발생하고 그 틈새를 통해 누수가 발생 된다.
상기와 같이 누수가 발생 되는 것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창틀의 외측 둘레에 누수방지처리를 하는 경우도 있으나, 계절적 영향으로 인해 수축 및 팽창이 반복될 경우 벽면과 창틀 사이에 발생하는 균열이나 틈새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없었다.
즉, 창틀에 누수방지처리가 되더라도 창틀과 일체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시공 후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 하게 되면 균열이나 틈새의 발생을 차단할 수 없다는 결론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누수방지처리가 된 창틀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오염 및 누수를 보수할 수 있는 보수 부재와 그 보수 부재를 이용한 보수 시공방법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소키 위해 안출한 것으로 계절적인 영향과 지반구조적인 영향으로 인해 발생 되는 창틀과 벽면 사이의 균열이나 틈새를 간편하게 보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틈새를 통한 누수현상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빗물이 창틀 하측의 평면에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창틀 주변에 발생 될 수 있는 탈색 및 변색 등 오염을 차단할 수 있는 창틀 주변 오염방지와 누수부위 보수용 보수 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틀 주변 오염방지와 누수부위 보수용 보수 부재(100)는,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틈새(30)가 발생 된 창틀(10)과 벽면(20) 사이에 오염 및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매립 고정 또는 끼움 고정 중 어느 한 방식으로 고정되는 곡선형 보수 부재(120)를 구비시키되, 그 곡선형 보수 부재(120)는 장방향의 길이를 갖는 박판이 가운데를 중심으로 좌, 우 대칭이 되도록 접혀져 측 단면이 'U' 자형의 형상을 갖는 평판(121)이 구성됨과 동시에 그 평판(121)은 외측 방향으로 서로 밀어내는 척력이 발생 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곡선형 보수 부재(120)의 평판(121) 끝단 일부에는 연질의 고무 수지(130)가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창틀 주변 오염방지와 누수부위 보수용 보수 부재는 계절적인 영향과 지반구조적인 영향으로 인해 발생 되는 창틀과 벽면 사이의 균열이나 틈새를 간편하게 보수할 수 있어 틈새를 통한 누수현상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빗물이 창틀 하측의 평면에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창틀 주변에 발생 될 수 있는 탈색 및 변색 등 오염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생활의 편익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가)는 창틀과 벽면의 두께가 동일한 건물 시공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 구조도이며, (나)는 창틀의 주변으로 평면을 갖는 건물 시공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보수 부재 중 직각형 보수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보수 부재 중 곡선형 보수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보수 부재 중 직각형 보수 부재가 창틀 주변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시공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보수 부재 중 곡선형 보수 부재가 창틀 주변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시공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보수 부재 중 또 다른 일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보수 부재 중 또 다른 곡선형 보수 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보수 부재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나타낸 시공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창틀 주변 오염방지와 누수부위 보수용 보수 부재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도 2 및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틀 주변 오염방지와 누수부위 보수용 보수 부재(100)는, 틈새(30)가 발생 된 창틀(10)과 벽면(20) 사이에 매립 고정 또는 끼움 고정 중 선택된 어느 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직각형 보수 부재(110)와, 곡선형 보수 부재(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직각형 보수 부재(110)는, 박판이 접혀져 상, 하부 2중 판(111, 112)의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판(112)에는 직각형 보수 부재(111)를 평면(40)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용 장공(113)이 구성됨과 동시에 끝단이 직각구조를 갖는 지지편(114)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판(111)의 끝단도 하부 판(112)의 지지편(114)과 중첩될 수 있도록 직각구조를 갖는 지지편(115)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곡선형 보수 부재(120)는 장방향의 길이를 갖는 박판이 가운데를 중심으로 좌, 우 대칭이 되도록 접혀져 측 단면이 'U' 자형의 형상을 갖는 평판(121)이 구성됨과 동시에 그 평판(121)은 외측 방향으로 서로 밀어내는 척력이 발생 되도록 이루어지며, 때에 따라서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의 끝단이 외측 역방향으로 꺾여진 구조를 갖는 굴곡부(121)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직각형 보수 부재(110)의 지지편(114,115)과, 곡선형 보수 부재(120)의 평판(121) 끝단 일부에는 연질의 고무 수지(130)가 코팅될 수 있는바, 이는 작업환경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기밀성을 보장받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언제든 작업조건에 따라 선택사용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직각형 보수 부재(110)의 상부 판(111) 표면은 다양한 색상과 무늬가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평면(40)에 고정시켰을 때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이미 오염된 평면을 커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먼지와 빗물 등 자연 환경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특히 하부 판에는 장공 및 피스의 형상이 보일 수 있으나, 상부 판이 이를 커버시키기 때문에 깔끔한 미적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곡선형 보수 부재(120)는 외측 방향으로 서로 밀어내는 척력이 있기 때문에 틈새에 끼움 고정시킴에 있어 수월함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견고한 고정상태를 제공할 수 있으며, 끼움 고정 후 신축성에 의해 보다 효율적인 기밀유지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직각형 보수 부재(110)와, 곡선형 보수 부재(120)는 작업 환경 조건에 따라 직각형 보수 부재(110)와, 곡선형 보수 부재(120)를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접목하여 사용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도 1의 (가)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0) 주변으로 평면(40)이 없는 경우 곡선형 보수 부재(120)를 적용시키는 것이 유리하며, 도 1의 (나)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0) 주변으로 평면(40)이 있는 경우에는 작업 조건에 따라 직각형 보수 부재(110)와, 곡선형 보수 부재(120)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면 되며, 창틀(10)을 중심으로 4개 방면(상, 하, 좌, 우) 모두 보수 시공방법은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창틀 주변 오염방지와 누수부위 보수용 보수 부재를 이용하여 시공을 할 때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창틀(10)과 벽면(20) 사이에 도포 되었던 실리콘을 포함하는 각종 마감재(50)를 제거한다(S100).
상기 마감재가 제거된 창틀과 벽면 사이의 틈새(30)에 직각형 또는 곡선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보수 부재를 틈새(30)에 끼움 또는 매립 고정시킨다(S200).
보수 부재를 고정함에 있어 창틀(10)과 벽면(20)이 벌어진 틈새(30)의 크기에 따라 끼움 고정시킬 수도 있고 매립고정을 시킬 수도 있는 것이며, 이는 창틀이 시공된 구조적인 차이에서 기인하나 결국, 본원 발명의 보수 부재를 창틀 주변에 어떻게든 고정시킨 다는 것이 핵심이다.
상기 보수 부재(100) 고정 후 보수 부재와 밀착되는 벽면과, 창틀에 실리콘을 포함하는 마감재(50)를 도포(S300)함으로써 보수 시공방법은 마무리된다.
또한 상기 보수 부재 고정단계(S200)에서 보수 부재가 직각형(110)인 경우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0)과 평면(40) 사이에 지지편(114, 115)이 매립될 수 있는 매립 홈(140)을 확보하고(S210), 상기 매립 홈(140)에 하부 판(112)의 지지편(115)을 매립시킨다(S220).
또한 하부 판(112)의 장공(113)에 피스(150)를 관통시켜 평면(40)에 하부 판(112)을 고정(S230)한 다음, 상기 하부 판(112)의 지지편(115)이 매설된 매립 홈(140)에 상부 판(111)의 지지편(114)를 추가 매립 고정시킨다(S240).
또한 상기 보수 부재 고정단계(S200)에서 직각형 보수 부재(110)와, 곡선형 보수 부재(120)를 창틀의 상부에 고정할 경우 끝단은 처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창틀의 상, 하측 방향에는 평면(40)의 끝단보다 돌출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빗물이 창틀 주변으로 스며드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매립 홈(140)은 지지편(114, 115)이 충분히 매립될 수 있도록 형성시키되, 통상의 벽면 절단용 그라인더를 활용하면 된다.
10:창틀 20:벽면
30:틈새 40:평면
50:마감재 100:보수 부재
110:직각형 보수 부재
111:상부 판 112:하부 판
113:장공 114,115
120:곡선형 보수 부재
121:평판 122:굴곡부
130:고무 수지 140:매립 홈
150:피스

Claims (7)

  1. 틈새(30)가 발생 된 창틀(10)과 벽면(20) 사이에 오염 및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매립 고정 또는 끼움 고정 중 어느 한 방식으로 고정되는 곡선형 보수 부재(120)를 구비시키되, 그 곡선형 보수 부재(120)는 장방향의 길이를 갖는 박판이 가운데를 중심으로 좌, 우 대칭이 되도록 접혀져 측 단면이 'U' 자형의 형상을 갖는 평판(121)이 구성됨과 동시에 그 평판(121)은 외측 방향으로 서로 밀어내는 척력이 발생 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곡선형 보수 부재(120)의 평판(121) 끝단 일부에는 연질의 고무 수지(130)가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주변 오염방지와 누수부위 보수용 보수 부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30047567A 2013-04-29 2013-04-29 창틀 주변 오염방지와 누수부위 보수용 보수 부재 KR101325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567A KR101325771B1 (ko) 2013-04-29 2013-04-29 창틀 주변 오염방지와 누수부위 보수용 보수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567A KR101325771B1 (ko) 2013-04-29 2013-04-29 창틀 주변 오염방지와 누수부위 보수용 보수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465A KR20130051465A (ko) 2013-05-20
KR101325771B1 true KR101325771B1 (ko) 2013-11-04

Family

ID=48661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567A KR101325771B1 (ko) 2013-04-29 2013-04-29 창틀 주변 오염방지와 누수부위 보수용 보수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7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9960A (ko) * 2007-07-10 2007-08-08 노성석 창틀누수 보수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794457B1 (ko) 2006-11-20 2008-01-16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창틀의 오염 방지장치
KR20110003604A (ko) * 2009-07-06 2011-01-13 이해용 창틀 상,하,측면 누수 보수를 위한 창틀 보수재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457B1 (ko) 2006-11-20 2008-01-16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창틀의 오염 방지장치
KR20070079960A (ko) * 2007-07-10 2007-08-08 노성석 창틀누수 보수재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110003604A (ko) * 2009-07-06 2011-01-13 이해용 창틀 상,하,측면 누수 보수를 위한 창틀 보수재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465A (ko) 2013-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n Maintainability of facilities: for building professionals
CN103850417A (zh) 一种石材干挂法施工工艺
KR101325771B1 (ko) 창틀 주변 오염방지와 누수부위 보수용 보수 부재
JP3135365U (ja) 水切り部材
KR20180001570U (ko) 건축용 외장 패널
KR101707876B1 (ko) 건물용 외장 패널의 코너용 방수 부재 세트 및 그 방수 부재 세트를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
KR200440801Y1 (ko) 건물 외벽 패널
JP4928371B2 (ja) 建具周囲の排水構造
KR20160000880A (ko) 건물용 외장 패널의 코너용 방수 부재 및 그 방수 부재를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
KR20190057839A (ko) 건물 외벽 리모델링 시공방법
KR20100067782A (ko) 시스템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2371754A (ja) 開口部改装用額縁
KR102091429B1 (ko) 실리콘으로 마감 처리되는 모서리 부분의 강도 향상용 보강 유닛 및 그 보강 유닛을 이용한 모서리 부분 마감 처리 방법
JP3197644U (ja) 差し込み屋根材
KR102212114B1 (ko) 콘크리트 건물의 외벽 띳장 보수용 보수수단 및 그 보수수단을 이용한 외벽 띳장 보수방법
KR20150129632A (ko) 건물의 가장자리 상단부 및 건물의 가장자리 측면에 발생 되는 누수부위 시공용 시공패널 및 그 시공패널을 이용한 시공방법
KR200432309Y1 (ko) 원형 자동문비용 패킹 구조
JP2017155490A (ja) 外壁パネルおよび外壁の止水構造
KR101866102B1 (ko) 방부목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용 마감블록
KR20190070535A (ko) 건물의 현장시공용 보호 마감판이 형성되는 도어 슬라이드장치
KR20120088334A (ko) 복합방수를 이용한 건물 벽체의 보수 및 방수 방법
KR101062876B1 (ko) 개선된 구조를 갖는 외부 창틀재
KR200417804Y1 (ko) 외부 창틀재
JP7201369B2 (ja) 窓交換方法及び窓取付構造
KR102555723B1 (ko)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방지 창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