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356B1 - 정밀도 유지가 가능한 고속 및 고하중용 에어포일 베어링 장치 - Google Patents

정밀도 유지가 가능한 고속 및 고하중용 에어포일 베어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356B1
KR101632356B1 KR1020160037225A KR20160037225A KR101632356B1 KR 101632356 B1 KR101632356 B1 KR 101632356B1 KR 1020160037225 A KR1020160037225 A KR 1020160037225A KR 20160037225 A KR20160037225 A KR 20160037225A KR 101632356 B1 KR101632356 B1 KR 101632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il
bump
bearing
groove
bear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박영규
Original Assignee
김민수
박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수, 박영규 filed Critical 김민수
Priority to KR1020160037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3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7/00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27/02Slid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C32/06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08Attachment of brasses, bushes or linings to the bearing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밀도 유지가 가능한 고속 및 고하중용 에어포일 베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탑포일의 두께를 0.5 mm 내지 5mm 이내로 증가시킴에도 불구하고, 탑포일의 절곡 작업과 용접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 정밀도 유지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를 통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고속 및 고하중 샤프트에 구성되어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에 따른 불량율이 제거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밀도 유지가 가능한 고속 및 고하중용 에어포일 베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밀도 유지가 가능한 고속 및 고하중용 에어포일 베어링 장치{air-foil bearing device for high speed and Heavy-duty possible Maintaining accuracy}
본 발명은 정밀도 유지가 가능한 고속 및 고하중용 에어포일 베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탑포일의 두께를 0.5 mm 내지 5mm 이내로 증가시킴에도 불구하고, 탑포일의 절곡 작업과 용접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 정밀도 유지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를 통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고속 및 고하중 샤프트에 구성되어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에 따른 불량율이 제거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밀도 유지가 가능한 고속 및 고하중용 에어포일 베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포일 베어링(air Foil bearing)은 로터(rotor)의 고속회전에 따라 로터 또는 베어링 디스크와 이와 접하는 포일 사이에 점성을 가지는 유체인 공기가 유입되어 압력을 형성하여 하중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말한다.
이러한 에어포일 베어링은 로터의 고속회전시 동적 불안정성(dynamic instability)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로터가 고속으로 회전할 때 로터의 회전이 안정되지 못하여 진동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동적 불안성은 로터와 포일 사이의 압력분포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외 포일 구조물의 마찰 감쇄나 로터의 불균형 질량(Unbalance mass)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동적 불안정성은 로터회전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서 이를 해소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인 에어포일 베어링에서 탑 포일은 일단이 베어링 하우징의 중공(hole)의 원주내면에 고정되고 다른 단은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을 이루어 그 원형의 형태를 따라 탄성적으로 그 반경이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것은 로터가 고속으로 회전함에 따라 로터와 탑 포일 사이의 간격(gap)이 증가하여 로터의 회전 중에 발생하는 열변형과 로터와 탑 포일 사이에 형성되는 압력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로터의 회전에 대하여 탑 포일은 그 반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로터의 정상 회전방향에 대하여 탑 포일이 역으로 설치되는 경우, 로터의 회전에 따라 로터와 탑 포일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여 로터가 회전을 이루지 못하고 베어링이 파손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장 중요한 종래의 탑 포일은 얇은 박판으로 구성되어야만 가능한 기술이며, 탑 포일을 베어링 하우징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탑 포일을 절곡하거나, 고정바를 용접하게 되었다.
즉, 절곡 작업 혹은 용접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부품에 스트레스를 주어 정밀성을 요하는 로터에 사용할 경우에 불량율을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로터 혹은 고하중용 로터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구조이다.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10-2005-008156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탑포일의 두께를 0.5 mm 내지 5mm 이내로 증가시킴에도 불구하고, 탑포일의 절곡 작업과 용접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 정밀도 유지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를 통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고속 및 고하중 샤프트에 구성되어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에 따른 불량율이 제거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밀도 유지가 가능한 고속 및 고하중용 에어포일 베어링 장치는,
어느 일측에 베어링캡에 형성된 베어링캡볼트체결홈과 일치시켜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베어링하우징볼트체결홈(110)과,
내부면(125)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되어 범프포일돌출부를 삽입시키기 위한 범프포일결합홈(120)과,
내부면의 끝단에 위치하여 내부면을 따라 단턱지게 형성되어 탑포일의 일단면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탑포일안착용단턱부(130)와,
상기 탑포일안착용단턱부의 일부를 절개하여 탑포일의 어느 일측에 형성된 탑포일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형성하여 탑포일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탑포일돌출부제1고정홈(140)을 포함하여 구성되기 위한 베어링하우징(100)과;
굴곡부(210)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끝단에 범프포일돌출부(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범프포일돌출부를 범프포일결합홈(120)에 삽입시켜 내부에 위치한 탑포일을 충격과 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범프포일(200)과;
원통형으로 구성되되, 어느 한 위치의 양측으로 탑포일돌출부(320)가 형성되어 있는 탑포일(300)과;
상기 탑포일의 타측에 형성된 탑포일돌출부가 삽입되도록 내부면에 형성되는 탑포일돌출부제2고정홈(410)과,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형성된 베어링하우징볼트체결홈과 일치시켜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베어링캡볼트체결홈(4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베어링캡(400);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밀도 유지가 가능한 고속 및 고하중용 에어포일 베어링 장치는,
탑포일의 두께를 0.5 mm 내지 5mm 이내로 증가시킴에도 불구하고, 탑포일의 절곡 작업과 용접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 정밀도 유지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를 통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고속 및 고하중 샤프트에 구성되어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에 따른 불량율이 제거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밀도 유지가 가능한 고속 및 고하중용 에어포일 베어링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밀도 유지가 가능한 고속 및 고하중용 에어포일 베어링 장치의 정면도 및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밀도 유지가 가능한 고속 및 고하중용 에어포일 베어링 장치의 배면도 및 C 부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밀도 유지가 가능한 고속 및 고하중용 에어포일 베어링 장치의 베어링하우징 정면도이며, 도 5는 베어링하우징 사시도이며, 도 6은 베어링하우징 배면도이며, 도 7은 탑포일 정면도이며, 도 8은 베어링캡 정면도이며, 도 9는 베어링캡 후면도이며, 도 10은 베어링하우징에 베어링캡 결합 예시도이며, 도 11은 베어링하우징에 범프포일 결합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정밀도 유지가 가능한 고속 및 고하중용 에어포일 베어링 장치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밀도 유지가 가능한 고속 및 고하중용 에어포일 베어링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밀도 유지가 가능한 고속 및 고하중용 에어포일 베어링 장치의 정면도 및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밀도 유지가 가능한 고속 및 고하중용 에어포일 베어링 장치의 배면도 및 C 부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밀도 유지가 가능한 고속 및 고하중용 에어포일 베어링 장치의 베어링하우징 정면도이며, 도 5는 베어링하우징 사시도이며, 도 6은 베어링하우징 배면도이며, 도 7은 탑포일 정면도이며, 도 8은 베어링캡 정면도이며, 도 9는 베어링캡 후면도이며, 도 10은 베어링하우징에 베어링캡 결합 예시도이며, 도 11은 베어링하우징에 범프포일 결합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밀도 유지가 가능한 고속 및 고하중용 에어포일 베어링 장치는 크게, 베어링하우징(100)과; 범프포일(200)과; 탑포일(300)과; 베어링캡(400);을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핵심 부품인 탑포일의 절곡 작업없이, 바 용접 작업없이, 탑포일을 베어링하우징에 결합시키는 방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되며, 고속 회전시 뒤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분히 탑포일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속 및 고하중 샤프트에 적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왜냐하면, 탑포일을 절곡하거나 바 용접하지 않고 고정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를 통해 정밀도 유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각 구성수단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베어링하우징(10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하우징볼트체결홈(110)과, 범프포일결합홈(120)과, 탑포일안착용단턱부(130)와, 탑포일돌출부제1고정홈(140)을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볼트체결홈(110)을 어느 일측에 다수 형성하게 되며, 베어링캡에 다수 형성된 베어링캡볼트체결홈과 일치시켜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볼트 결합은 내부면에 범프포일과 탑포일을 삽입한 후, 결합시키게 될 것이다.
상기 범프포일결합홈(120)을 내부면(125)을 따라 수평하게 길게 형성하게 되며, 상기 형성된 결합홈에 범프포일에 구성된 범프포일돌출부를 삽입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탑포일안착용단턱부(130)를 내부면의 끝단에 위치하도록, 내부면을 따라 단턱지게 형성하게 된다.
이때, 탑포일을 삽입하게 될 경우에 탑포일의 일단면이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탑포일돌출부제1고정홈(140)을 상기 탑포일안착용단턱부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탑포일의 어느 일측에 형성된 탑포일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탑포일의 탑포일돌출부가 해당 탑포일돌출부제1고정홈에 삽입되므로 탑포일이 고속 회전시 회전하지 못하도록 회전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범프포일(2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부(210)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끝단에 범프포일돌출부(220)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범프포일돌출부를 범프포일결합홈(120)에 삽입시켜 내부에 위치한 탑포일을 충격과 열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즉, 회전축이 회전을 시작할 때나, 정지시 회전축으로부터의 외력으로 인한 탑포일의 파손 및 마찰 저항을 줄여 탑포일을 충격과 열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범프포일결합홈(120)에 범프포일돌출부를 삽입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핵심적 구성수단인 상기 탑포일(300)은 원통형으로 구성되되, 어느 한 위치의 양측으로 탑포일돌출부(3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어느 한 탑포일돌출부가 탑포일돌출부제1고정홈에 삽입되며, 다른 한 탑포일돌출부가 탑포일돌출부제2고정홈에 삽입되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탑포일은 얇은 박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고속 및 고하중에는 견딜수가 없어 불량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탑포일의 두께를 두껍게 가져갈 필요가 있었으며,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게 되면 고속 및 고하중에 견딜 수가 있으며, 두께가 두꺼운 탑포일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탑포일돌출부를 양측에 구성한 것이며, 이를 베어링하우징과 베어링캡에 단단히 결합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탑포일(300)은 0.5 mm 내지 5mm 이내의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고하중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탑포일(300)은 연삭 공정과 와이어 커팅 공정을 통해 절곡없이, 용접 작업없이 형성함으로써, 정밀도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즉,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절곡 공정과 바 용접 공정을 제거해야만 가능하므로 상기와 같이 연삭 공정과 와이어 커팅 공정을 통해 도 7과 같은 탑포일을 완성시킬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탑포일의 두께가 상기와 같이, 0.5 mm 내지 5mm 이내의 두께로 증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탑포일의 절곡, 용접 공정이 없으므로 정밀 연삭 후 스트레스를 주는 추후 공정을 제거할 수가 있다.
즉, 용접 작업과 절곡 작업이 없게 된다.
요약하자면, 탑포일이 충분히 두껍기 때문에 고하중용 샤프트에 사용이 가능하고, 정밀 연삭 후 추후 공정이 없으므로 정밀도가 유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정밀도가 유지되므로 제품 수명이 증가하고, 샤프트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에 따른 불량율이 제거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샤프트와의 간극이 발생하게 되는데, 간극을 최소화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제품의 수명이 연장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용접 또는 절곡시, '고정바' 라는 부품이 결합되는 순간에 탑포일이 뒤틀어져 제품 수명에 영향을 입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원형이면 간극이 좁아도 상관없지만, 절곡이나 용접을 통해 탑포일이 변형되게 되면 변형된 부위가 샤프트에 접촉되어 제품의 수명에 타격을 주게 되는 것이다.
즉, 진원도가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탑포일의 두께가 5mm 이내로 형성되지만, 종래의 탑포일의 두께는 절곡을 수행해야 하기에 0.2mm ~ 0.3mm 정도여야만 가능하다.
또한, 0.5mm 이상일 경우에는 용접을 해야 하는데, 이렇게 되면 정밀도 유지가 될 수 없으며, 별도의 추가 공정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하중 및 고속 회전용 샤프트에 적용은 불가능한 것이다.
결국, 탑포일을 용접없이, 절곡없이 구성함으로써, 정밀한 탑포일 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바 용접의 경우에는 진동 발생시, 바가 떨어지게 되어 사고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한편, 상기 탑포일돌출부제1고정홈(140)의 어느 일측이 범프포일결합홈(120)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4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포일안착용단턱부(130)의 어느 한 끝단이 범프포일결합홈(120)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는 베어링하우징에 범프포일을 결합시키고, 다시 범프포일에 탑포일을 삽입할 경우에 탑포일에 형성된 탑포일돌출부(320)들을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조립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어링캡(400)은 탑포일의 타측에 형성된 탑포일돌출부가 삽입되도록 내부면에 형성되는 탑포일돌출부제2고정홈(410)과,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형성된 베어링하우징볼트체결홈과 일치시켜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베어링캡볼트체결홈(42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즉, 도 8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포일돌출부제2고정홈(410)을 탑포일의 타측에 형성된 탑포일돌출부가 삽입되도록 내부면에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탑포일(300)은, 절개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형성된 양단부가 서로 대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양단부 중 어느 하나 단부의 양측으로 탑포일돌출부(3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절개부를 구성하는 이유는 열팽창 및 수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성한 것이다.
탑포일의 경우에는 회전축(샤프트)과 마주하는 부분으로서, 회전축을 감싸고 있게 된다.
이때, 회전축이 고속 회전하면 탑포일과 회전축 사이에 동압이 형성되면서 탑포일이 베어링 하우징 내부에 밀착되면서 탑포일과 회전축 사이에 균등한 공기막을 형성시켜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베어링하우징볼트체결홈(110)의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맞춤핀(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를 통해, 베어링하우징에 베어링캡을 결합시킬 경우에, 탑포일돌출부제1고정홈(140)과 탑포일돌출부제2고정홈(410)을 일직선상으로 위치시킬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베어링하우징에 범프포일을 결합하고, 탑포일을 결합하고, 최종적으로 베어링캡을 결합할 경우에 다수의 베어링하우징볼트체결홈(110)과 베어링캡볼트체결홈(420)이 존재하므로 일직선상으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일일히 작업자들이 확인하면서 결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므로 신속한 결합 작업을 위하여 한 개 이상의 맞춤핀(600)에 베어링캡에 형성된 맞춤핀홈(430)을 결합시키면 쉽게 탑포일돌출부제1고정홈(140)과 탑포일돌출부제2고정홈(410)을 일직선상으로 위치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요약하자면, 베어링하우징과 베어링캡의 위치를 지정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맞춤핀에 의해 결합 위치를 가이드해주는데, 베어링하우징과 베어링캡에 위치한 탑포일돌출부제1고정홈(140)과 탑포일돌출부제2고정홈(410)을 일직선상으로 유지시켜 탑포일이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맞춤핀에 의해 결합시, 동심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의 정밀도 유지가 가능한 고속 및 고하중용 에어포일 베어링 장치는,
범프포일과 탑포일 사이에 위치하여 범프포일과 탑포일 간의 직접적인 마찰을 상쇄시키기 위한 범프시트(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범프포일과 탑포일 사이에 위치하여 범프포일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범프시트는, 일측 끝단에 범프시트돌출부(510)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범프시트돌출부를 범프포일결합홈(120)에 삽입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범프포일결합홈(120)에 범프포일돌출부(220)가 삽입되고, 범프포일결합홈(120)에 범프시트돌출부(510)를 삽입하게 된다.
이때, 범프포일돌출부(220)의 내경에 범프시트돌출부(510)가 위치하게 된다.
결국,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 및 결합 방식은 베어링하우징과 스토퍼의 결합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종래 기술들의 경우에는 스토퍼가 존재하지 않고 있었다.)
왜냐하면, 탑포일에 돌출부가 양측에 위치하므로 양측 돌출부를 잡아주기 위하여 스토퍼가 필요하게 되며, 돌출부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이 존재하여야 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동심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베어링하우징과 베어링캡에 볼트홈을 구성하고 볼트에 의해 결합시켜 축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결국, 상기와 같은 구성과 결합을 통해, 탑포일의 두께를 0.5 mm 내지 5mm 이내로 증가시킴에도 불구하고, 탑포일의 절곡 작업과 용접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 정밀도 유지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를 통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고속 및 고하중 샤프트에 구성되어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에 따른 불량율이 제거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베어링하우징
200 : 범프포일
300 : 탑포일
400 : 베어링캡
500 : 범프시트
600 : 맞춤핀

Claims (8)

  1. 에어포일 베어링 장치에 있어서,
    어느 일측에 베어링캡에 형성된 베어링캡볼트체결홈과 일치시켜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베어링하우징볼트체결홈(110)과,
    내부면(125)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되어 범프포일돌출부를 삽입시키기 위한 범프포일결합홈(120)과,
    내부면의 끝단에 위치하여 내부면을 따라 단턱지게 형성되어 탑포일의 일단면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탑포일안착용단턱부(130)와,
    상기 탑포일안착용단턱부의 일부를 절개하여 탑포일의 어느 일측에 형성된 탑포일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형성하여 탑포일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탑포일돌출부제1고정홈(140)을 포함하여 구성된 위한 베어링하우징(100)과;
    굴곡부(210)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끝단에 범프포일돌출부(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범프포일돌출부를 범프포일결합홈(120)에 삽입시켜 내부에 위치한 탑포일을 충격과 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범프포일(200)과;
    원통형으로 구성되되, 어느 한 위치의 양측으로 탑포일돌출부(320)가 형성되어 있는 탑포일(300)과;
    상기 탑포일의 타측에 형성된 탑포일돌출부가 삽입되도록 베어링캡(400)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탑포일돌출부제2고정홈(410)과,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형성된 베어링하우징볼트체결홈과 일치시켜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베어링캡볼트체결홈(4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링형상의 베어링캡(400);과
    상기 범프포일과 탑포일 사이에 위치하여 범프포일과 탑포일 간의 직접적인 마찰을 상쇄시키기 위한 범프시트(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범프시트는,
    일측 끝단에 범프시트돌출부(5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범프시트돌출부를 범프포일결합홈(120)에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탑포일돌출부제1고정홈의 어느 일측이 범프포일결합홈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탑포일(300)은,
    절개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형성된 양단부가 서로 대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양단부 중 어느 하나 단부의 양측으로 탑포일돌출부(3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탑포일(300)은,
    0.5 mm 내지 5mm 이내의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고하중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탑포일(300)은,
    연삭 공정과 와이어 커팅 공정을 통해 절곡없이, 용접 작업없이 형성함으로써, 정밀도 유지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도 유지가 가능한 고속 및 고하중용 에어포일 베어링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하우징볼트체결홈(110)의,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맞춤핀(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경우에,
    베어링캡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맞춤핀홈(430)을 형성함으로써,
    베어링하우징에 베어링캡을 결합시킬 경우에,
    탑포일돌출부제1고정홈(140)과 탑포일돌출부제2고정홈(410)을 일직선상으로 위치시킬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도 유지가 가능한 고속 및 고하중용 에어포일 베어링 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60037225A 2016-03-28 2016-03-28 정밀도 유지가 가능한 고속 및 고하중용 에어포일 베어링 장치 KR101632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225A KR101632356B1 (ko) 2016-03-28 2016-03-28 정밀도 유지가 가능한 고속 및 고하중용 에어포일 베어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225A KR101632356B1 (ko) 2016-03-28 2016-03-28 정밀도 유지가 가능한 고속 및 고하중용 에어포일 베어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356B1 true KR101632356B1 (ko) 2016-06-21

Family

ID=56354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225A KR101632356B1 (ko) 2016-03-28 2016-03-28 정밀도 유지가 가능한 고속 및 고하중용 에어포일 베어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35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286B1 (ko) 2019-07-30 2020-01-16 터보윈 주식회사 최적 냉각 유도 에어포일 레이디얼 베어링
KR102252923B1 (ko) 2020-09-16 2021-05-17 이일희 에어포일 레이디얼 베어링 및 그 제조방법
KR102265256B1 (ko) 2021-02-09 2021-06-15 박원실 구조 개선된 이중 범프포일이 구비된 에어포일 레이디얼 베어링
KR102286939B1 (ko) * 2020-01-30 2021-08-05 셰플러코리아 유한책임회사 구름 베어링용 씰 및 그 조립 방법
KR20210098633A (ko) * 2020-02-03 2021-08-11 이영근 하중 가변형 구름 베어링 및 하중 가변형 구름 베어링용 전동체
KR102406531B1 (ko) * 2021-07-07 2022-06-08 하이코어 주식회사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가스포일 베어링
CN116379068A (zh) * 2023-03-31 2023-07-04 烟台东德实业有限公司 一种焊接径向空气轴承的分体式轴承座装配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8938U (ja) * 1992-01-16 1993-08-0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クランク軸支持装置
JP2002061645A (ja) * 2000-08-24 2002-02-28 Kawasaki Heavy Ind Ltd 動圧型空気軸受
KR20050081560A (ko) 2004-02-14 2005-08-19 한국터보기계(주) 래디알 포일 베어링
JP2012193833A (ja) * 2011-03-18 2012-10-11 Shimadzu Corp 動圧気体軸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8938U (ja) * 1992-01-16 1993-08-0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クランク軸支持装置
JP2002061645A (ja) * 2000-08-24 2002-02-28 Kawasaki Heavy Ind Ltd 動圧型空気軸受
KR20050081560A (ko) 2004-02-14 2005-08-19 한국터보기계(주) 래디알 포일 베어링
JP2012193833A (ja) * 2011-03-18 2012-10-11 Shimadzu Corp 動圧気体軸受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286B1 (ko) 2019-07-30 2020-01-16 터보윈 주식회사 최적 냉각 유도 에어포일 레이디얼 베어링
KR102286939B1 (ko) * 2020-01-30 2021-08-05 셰플러코리아 유한책임회사 구름 베어링용 씰 및 그 조립 방법
KR20210098633A (ko) * 2020-02-03 2021-08-11 이영근 하중 가변형 구름 베어링 및 하중 가변형 구름 베어링용 전동체
KR102311257B1 (ko) * 2020-02-03 2021-10-08 이영근 하중 가변형 구름 베어링 및 하중 가변형 구름 베어링용 전동체
KR102252923B1 (ko) 2020-09-16 2021-05-17 이일희 에어포일 레이디얼 베어링 및 그 제조방법
KR102265256B1 (ko) 2021-02-09 2021-06-15 박원실 구조 개선된 이중 범프포일이 구비된 에어포일 레이디얼 베어링
KR102406531B1 (ko) * 2021-07-07 2022-06-08 하이코어 주식회사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가스포일 베어링
CN116379068A (zh) * 2023-03-31 2023-07-04 烟台东德实业有限公司 一种焊接径向空气轴承的分体式轴承座装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356B1 (ko) 정밀도 유지가 가능한 고속 및 고하중용 에어포일 베어링 장치
US7182579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achably connecting an impeller to a shaft
US9206840B2 (en) Radial foil bearing
JP4747754B2 (ja) モータ
US8425119B2 (en) Gas bearings
US20070128044A1 (en) Fluid machine
KR20140066790A (ko) 래디얼 포일 베어링
KR20000071559A (ko) 동압형 베어링 유닛 및 그 제조방법
US8287239B2 (en) Annulus filler
JP2011085036A (ja) タービンのシール構造
US20020025090A1 (en) Fluid bearing device
US6554476B2 (en) Dynamic pressure bear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06531B1 (ko)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가스포일 베어링
US20050099058A1 (en) Wheel supporting roller bearing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620500B1 (ko) 샤프트를 기계가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6373770B2 (ja) ボルト抜け止め構造
JP2001317545A (ja) 動圧軸受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10072666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rolling bearing device
KR20220050592A (ko) 에어 포일 베어링
JPH01145418A (ja) 動圧すべり軸受及びその組立て方法
JP2007211973A (ja) 流体軸受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114590B2 (ja) タービンのシール構造
JP4235597B2 (ja) 静圧気体軸受
US5945752A (en) Shaft-fixed-type motor
KR102610389B1 (ko) 베어링부의 축방향 유격 측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