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333B1 - 유체 측정 장치용 씰 고정 밸브 - Google Patents

유체 측정 장치용 씰 고정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333B1
KR101631333B1 KR1020117001458A KR20117001458A KR101631333B1 KR 101631333 B1 KR101631333 B1 KR 101631333B1 KR 1020117001458 A KR1020117001458 A KR 1020117001458A KR 20117001458 A KR20117001458 A KR 20117001458A KR 101631333 B1 KR101631333 B1 KR 101631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valve
bore
cartridg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1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6446A (ko
Inventor
데이비드 엘. 브리저
다니엘 제이. 로저스
존 씨. 홀맨
Original Assignee
그라코 미네소타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라코 미네소타 인크. filed Critical 그라코 미네소타 인크.
Publication of KR20110046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 B67D7/425Filling nozzles including components powered by electricity or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67D7/16Arrangements of liquid meters
    • B67D7/20Arrangements of liquid meters of rotary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3149Back flow prevention by vacuum breaking [e.g., anti-siphon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718Dividing into parallel flow paths with recombining
    • Y10T137/86759Reciproc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Sliding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밸브(26)는 밸브 카트리지(40), 밸브 스템(42) 그리고 밸브 씰(66)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 카트리지(40)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카트리지 몸체, 상기 카트리지 몸체를 통해 세로로 확장된 보어(67), 상기 보어(67)를 가로지르는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측벽을 통하여 확장된 배출로(69)와 간헐적 흡입로(76)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 스템(42)은 상기 보어(67) 내에 슬라이드 되도록 설정되는 긴 몸체, 넥(82) 그리고 상기 긴 몸체의 둘레에 선을 긋는 씰 채널(114)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 씰(66)은 상기 씰 채널(114)에 자리 잡는다. 상기 밸브 스템(42)은 상기 씰 채널(114)이 상기 흡입로(76)를 지나도록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보어(67) 내에 슬라이드 된다. 상기 흡입로(76) 사이의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일부(74)는 상기 흡입로(76)가 상기 넥(82)에 열릴 때까지 상기 밸브 채널 내(114)에 상기 밸브 씰(66)을 유지한다. 한 실시 예로, 상기 흡입로(76)는 총안 모양의 에지(72)를 형성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흡입로는 포트형 단부(120)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유체 측정 장치용 씰 고정 밸브{SEAL-RETAINING VALVE FOR FLUID METERING DEVICE}
본 발명은 유량 제어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유체 분배 장치에 사용되는 선형 작동식 밸브에 관한 것이다. 핸드 헬드(hand-held) 장치는 종종 벌크 컨테이너에서 측정된 양만큼의 유체를 분배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자동차 주유소는 큰 드럼으로부터 적은 양의 윤활유를 자동차 엔진에 주유하는데 핸드 헬드 계량기를 사용한다. 이런 핸드 헬드 계량기 및 다른 유사한 유체 분배 장치는 일반적으로 밸브 카트리지에 탑재되는 선형 작동식 밸브 스템을 가지는 밸브를 포함한다. 밸브 스템이 밸브 카트리지를 통해 가압된 유체 흐름을 통제하기 위해 오퍼레이터에 의해 작동되는 동안, 밸브 카트리지는 장치 내부의 가압된 유체원에 유동적으로 연결된다. 밸브 스템은 일반적으로 밸브 스템이 닫힌 위치에 있을 때 밸브를 통해 유체가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오링과 같은 씰(seal)과 함께 제공된다. 그러나 작동 시, 상기 씰은 특히 오퍼레이터가 고압에서 밸브 스템을 갑자기 작동시킬 때 이탈될 수도 있으며, 밸브 카트리지에 부딪힐 수도 있다. 상기 이탈된 씰은 분배된 유체의 흐름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유체가 밸브를 통해 누출하게 한다. 이러한 점은 분배 장치의 정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나중에, 유체 분배 장치를 이용하는 작업을 방해하는 씰을 회수하고 재배치하거나 교체하기 위해 유체 분배 장치와 밸브를 분해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그러므로 선형 작동식 밸브와 유체 분배 장치에 있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밸브 디자인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씰 고정 특성을 가지는 밸브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밸브는 밸브 카트리지와 밸브 스템 및 밸브 씰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 카트리지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카트리지 몸체, 상기 카트리지 몸체를 통해 세로로 확장된 보어, 상기 보어를 가로지르는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측벽을 통하여 확장된 배출로와 간헐적 흡입로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 스템은 상기 보어 내에 슬라이드 되도록 설정되는 긴 몸체, 넥(neck) 그리고 상기 긴 몸체의 둘레에 선을 긋는 씰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 씰은 상기 씰 채널에 자리 잡는다. 상기 밸브 스템은 상기 씰 채널이 상기 흡입로를 지나도록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보어 내에 슬라이드 된다. 상기 흡입로 사이의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일부는 상기 흡입로가 상기 넥(neck)에 열릴 때까지 상기 밸브 채널 내에 상기 밸브 씰을 유지한다. 한 실시 예로, 상기 흡입로는 복수의 총안(embrasures)과 멀론(merlons)을 가지는 총안 모양의 에지를 형성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흡입로는 복수의 보어를 가지는 포트형 단부를 형성한다.
도면 1은 본 발명의 씰 고정 밸브를 사용한 핸드 헬드 유체 분배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면 2는 본 발명의 씰 고정 밸브를 도시한 도면 1의 핸드 헬드 유체 분배 장치의 후방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면 3은 도면 1의 핸드 헬드 유체 분배 장치를 전방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면 4는 캐슬-탑 밸브 카트리지, 밸브 스템, 밸브 스프링을 도시한 도면 2의 씰 고정 밸브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면 5는 본 발명의 캐슬-탑 밸브를 가지는 도면1의 핸드 헬드 유체 분배 장치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면 6A는 도면 5의 핸드 헬드 유체 분배 장치에 사용되는 캐슬-탑 밸브 카트리지에서 닫힌 위치에 있는 밸브 스템을 도시한다.
도면 6B는 도면 5의 핸드 헬드 유체 분배 장치에 사용되는 캐슬-탑 밸브 카트리지에서 열린 위치에 있는 밸브 스템을 도시한다.
도면 7은 총안이 유체를 밸브 씰 주위로 흐르게 하는 동안, 멀론이 밸브 스템의 씰 채널 내에 밸브 씰을 규제하도록 캐슬-탑 밸브 카트리지에서 중간 위치에 있는 도면 6A과 6B의 밸브 스템을 도시한다.
도면 8은 포트-탑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밸브 카트리지의 제2 실시 예이다.
도면 1은 장치(10)로부터 유체가 누출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본 발명의 씰 고정 밸브를 사용한 핸드 헬드(hand-held) 유체 분배 장치(10)의 사시도이다. 분배 장치(10)는 플랫폼(12), 커버(14), 고압 유체 커플링(16), 분배 튜브(18), 트리거 레버(20), 유저 인터페이스(22)와 디스플레이(24)를 포함한다. 분배 장치(10)는 대용량 용기에 저장된 유체를 편리한 방식으로 작은 부피로 분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한 실시예로, 분배 장치(10)는 저장 드럼으로부터 적은 양의 윤활유를 자동차 엔진에 주유하기 위해 주유소에서 사용하는 계량기를 포함한다. 커플링(16)은 유체 핸들링 호스(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대용량 용기에 연결되며, 예를 들면, 에어 작동 펌프를 사용하여 압축된다. 상기 호스의 길이는 장치(10)가 상기 대용량 용기를 이동하는 것이 어려운 위치에 편리하게 접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분배 튜브(18)는 측정된 양의 유체가 분배되는 엔진 크랭크실과 같은 작은 부피의 용기의 구멍 안에 쉽게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트리거 레버(20)는 상기 대용량 용기로부터 분배 튜브(18)에 있는 작은 부피의 용기로 유체를 분배하기 위해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된다. 유저 인터페이스(22)와 디스플레이(24)는 커버(14) 내부의 전자 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분배되는 유체의 양을 모니터링하고, 작업 명령을 프로세싱하며, 계산, 데이터 수집과 같은 것을 함으로써 오퍼레이터를 돕는다. 본 발명의 상기 씰 고정 밸브는 커버(14) 아래의 플랫폼(12)에 탑재되며, 정밀한 양의 유체를 누출이나 낭비 없이 분배하기 위해 트리거 레버(20)와 상호 작용한다.
도면 2와 도면 3은 도면 1의 분배 장치(10)의 분해도이다. 도면 2는 장치(10)를 후방에서 본 것으로, 씰 고정 밸브(26), 유량계(28)와 트리거 릴리즈(30)를 보여준다. 도면 3은 장치(10)의 전방에서 본 것으로, 커버(14), 유량계(28), 트리거 릴리즈(30), 배터리(31)와 솔레노이드(32)를 보여준다. 유체 커플링(16)은 회전식 잠금장치(33), 필터(34), 호스 보호판(hose shroud, 35)을 포함하고, 플랫폼(12)의 핸들부(36)에 연결된다. 특히, 잠금장치(33)의 외부 나삿니(thread)는 핸들부(36) 안쪽의 고압 유로(39) 내의 내부 나삿니와 조립된다. 핸들부(36)는 밸브(26)의 돌발적인 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트리거 가드(37)를 포함하고, 트리거 가드(37)는 패드(38A,38B)를 포함한다. 밸브(26)는 밸브 카트리지(40), 밸브 스템(42), 밸브 스프링(44)을 포함하고, 유로(39)와 튜브(18) 사이에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플랫폼(12) 내에 위치한다. 유량계(28)는 기어 세트(46), 커버(48), 잠금장치(50)를 포함한다. 기어 세트(46)는 커플링(16)과 밸브(26) 사이에 유체가 흐르도록 하기 위해서 기어 박스(52) 내에 위치한다. 기어 박스(52)는 커버(48)로 밀봉되며, 잠금장치(50)로 고정된다. 트리거 릴리즈(30)는 트립 로드(53)와 스프링(54), 칼라(collar,55), 베어링(56)을 포함하고, 트립 로드(53)가 트리거 레버(20)에 연결되기 위한 베이스인 보어(57) 내에 위치한다. 트리거 레버(20)는 피보팅(pivoting)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핀(58)으로 트립 로드(53)에 연결되고, 플랫폼(12) 내에 가드(59)로 둘러싸여 진다. 트리거 레버(20)는 핸들부(36)와 트리거 가드(37)사이로 플랫폼(12)을 통해 확장된다. 분배 튜브(18)는 노즐(60)과 커플링(61)을 포함하며, 플랫폼(12) 내의 저압 유로(62)에 연결된다. 특히, 커플링(61)의 외부 나삿니는 저압 유로(62) 내의 내부 나삿니와 조립된다.
트리거 레버(20)는 속도 범위 이상으로(over a range of rates) 유체가 분배되도록 씰 고정 밸브(26)를 작동시키고, 트리거 레버(20)가 더 많이 옮겨질수록 더 많은 유체가 튜브(18)에 분배된다. 트리거 레버(20)는 트리거 레버(20)에 핀(65)으로 조립되는 트리거 락(lock,63)과 락 스프링(64)을 사용하여 밸브(26)가 열린 채로 있게 하는 작동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계측 전자 장치와의 결합으로, 유량계(28)는 트리거 레버(20)의 작동에 의해 정확한 양의 유체가 정밀하게 분배되도록 유체가 밸브(26)를 통하여 흐르는 비율을 모니터한다. 또한 계측 전자 장치와의 결합으로, 트리거 릴리즈(30)는 정해진 양 만큼의 유체가 분배된 후에 트리거 레버(20)가 작동하지 않게 함으로써 과잉으로 분배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출을 줄인다. 따라서 유체 분배 장치(10)는 유체의 낭비를 줄이고 유체 물품의 더 정확한 제어를 하기 위해서 벌크 저장고, 계량된 분배, 유량 제어에 사용될 수 있다. 장치(10)의 밸브(26)는 대략 14 gpm (gallons per minute) [~883.6 cc/s (cubic centimeters per second)]나 그 이상의 대용적 출력량의 유체를 분배하는 크기로 만들어지며, 일반적으로 높은 유체 압력에 사용될 수 있다. 높은 유체 압력은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분배 장치(10)가 더 빨리 유체를 분배할 수 있도록 하고, 고점도의 유체를 더 쉽게 분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씰 고정 밸브(26)는 장치(10)가 작동하는 동안 장치(10)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축된 흐름이 밸브 씰(66)을 이탈(unseating)시키는 것을 막는 특성을 포함한다. 밸브 씰(66)의 적절한 자리(seating)와 유지는 장치(10)를 통한 유체의 누출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분배 장치(10)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며, 유체 낭비를 줄인다.
도면 4는 밸브 카트리지(40), 밸브 스템(42), 밸브 스프링(44), 밸브 씰(66)을 포함하는 밸브(26)의 분해도이다. 밸브 카트리지(40)는 리시빙 보어(67), 외부 나삿니(68), 디스차지 보어(69), 카트리지 씰(70A, 70B), 캐슬-탑(castle-top, 72)을 가지는 일반적인 원통형 몸체를 포함한다. 캐슬-탑(72)은 멀론(또는 플랜지, merlons, 74)과 총안(또는 부채꼴, embrasures, 76)을 가지는 총안 모양의 에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서, 총안(76)은 카트리지(40) 몸체의 끝에 보어(67) 내로 측부 흡입로를 형성하는 반원형으로 도려내진 부분을 포함한다. 멀론(74)은 총안(76) 사이에 돌출된 카트리지(40)의 몸체 부분을 포함하며, 측면과 평편한 탑 표면이 곡선화 된다. 이와 같이 총안 모양의 에지는 끝이 잘린 꼭대기(crest)를 가지는 물결모양 패턴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캐슬-탑(72)은 도면 8과 같이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는 원통형 몸체의 끝부분 가까이에 밸브 카트리지(40)의 측벽을 통하여 간헐적 흡입로를 형성한다. 보어(69)는 밸브 스템(42)에 의하여 보어(67)로 들어가도록 허용된 유체가 밸브(26)를 빠져 나가도록 하는 복수의 디스차지 또는 배출로를 포함한다.
밸브 스템(42)은 스프링 보어(78), 작동부(80), 분배부(82), 제1 씰부(84A), 제2 씰부(84B), 제1 스템 씰(86A), 제2 스템 씰(86B), 밸브 씰(66)을 가지는 일반적인 원통형 몸체를 포함한다. 밸브 스템(42)은 밸브 카트리지(40)의 리시빙 보어(67) 내에 타이트하게 고정되는 반면, 씰 스프링(44)은 밸브 스템(42)의 스프링 보어(78) 내에 느슨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제1 및 제2 씰부(84A, 84B)는 보어(67), 측면 디스차지 보어(69) 내에 맞닿게 고정되는 지름을 가진다. 그러나 씰부(84A, 84B)는 밸브 스템(42)과 밸브 카트리지(40) 사이에 유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시빙 보어(67) 내에 그다지 타이트하게 고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밸브 스템(42)을 제한하는 씰 채널에 제공되는 제2 스템 씰(86B)과 밸브 씰(66)은 밸브 카트리지(40) 내에 분배부(82)를 밀봉한다. 제1 스템 씰(86A)은 또한 씰 채널 내에 배치되고, 플랫폼(12) 내에 밸브 스템을 밀봉한다. 분배부(82)는 씰 부(84A, 84B)사이에 위치하는 넥(neck)을 포함하며, 밸브 스템(42)과 밸브 카트리지(40) 사이에 디스차지 포트를 형성하기 위해 씰부(84A, 84B)로부터 방사상으로 살짝 움푹 들어간 표면을 포함한다.
외부 나삿니(68)를 이용하여 밸브 카트리지(40)는 분배 장치(10)의 플랫폼(12)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카트리지 씰(70A, 70B)이 연결을 밀봉한다. 이와 같은 설치로, 밸브 스프링(44)은 밸브 스템(42)을 밸브 카트리지(40) 내에 바이어스 시키기 위해 플랫폼(12)을 민다. 멀론(74)은 트리거 레버(20)가 밸브(26)를 작동시킬 때 밸브 스템(42)에 자리한 밸브 씰(66)을 유지한다.
도면 5는 도면1의 유체 분배 장치(10)의 5-5의 횡단면도이다. 분배 장치(10)는 플랫폼(12), 커버(14), 유체 커플링(16), 분배 튜브(18), 트리거 레버(20), 유저 인터페이스(22), 디스플레이(24), 씰 고정 밸브(26), 유량계(28), 트리거 릴리즈(30), 전자 장치(90)를 포함한다. 플랫폼(12)은 고압 유로(39)를 포함하는 핸들부(36), 저압 유로(62)(도면 5에서 점선으로 표시, 도면 3에서 분배부(92)의 뒤에서 볼 수 있음)를 포함하는 분배부(92)를 포함한다. 고압 유로(39)는 커플링(16)에서 분배 튜브(18)로 유체를 보내기 위해서 밸브(26)를 통하여 저압 유로(62)와 유체 소통(fluid communicaton)한다. 고압 유로(39)는 핸들부(36) 내의 플랫폼(12)을 통하여 중앙에 연장되고, 밸브(26)와 교차한다. 저압 유로(62)는 밸브(26)로부터 보어(57)를 지나, 분배 튜브(18)까지 접선으로 연장되며, 고압 유로(39)와 평행하다. 유체 커플링(16)은 나삿니 결합을 통하여 유로(39)의 상류로 끝에 연결된다. 유량계(28)의 기어(46)는 유로(39)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기어 박스(52)내에 배치된다. 기어 박스(52)는 뚜껑(48)에 의해 덮여지고 밀봉된다. 씰 고정 밸브(26)와 트리거 릴리즈(30)는 보어(96, 57)내에 배치되고, 각각 플랫폼(12) 내로 연장된다. 보어(57)는 유로(39)에 대하여 수직으로부터 살짝 기울어져 플랫폼(12)에 연장되고, 고압 유로(39)나 저압 유로(62)에 교차하지 않는다. 밸브 보어(96)는 고압 유로(39)와 대략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플랫폼(12)을 대략 가로질러 연장된다. 보어(96)의 윗부분은 유로(39)의 하류로 끝과 연결되고, 보어(96)의 아랫부분은 유로(62)의 상류로 끝과 연결된다. 밸브(26)는 유로(39)와 유로(62) 사이의 흐름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 보어(96) 내에 위치한다. 트리거 릴리즈(30)는 솔레노이드(32), 트립 로드(53), 스프링(54), 칼라(55), 베어링(56), 넥(98), 플런저 핀(100)을 포함하며, 유체의 한계량이 유량계(28)를 통하여 통과한 후에 트리거 레버(20)를 작동하지 않게 하도록 구성된다. 커플링(61)은 유체를 장치(10)로부터 분배 튜브(18)를 통하여 가이드 하기 위해서 유로(62)의 하류로 끝에 연결된다.
밸브 스프링(44)은 밸브 스템(42)에 삽입되고, 밸브 스템(42)은 밸브 카트리지(40)에 삽입되며, 밸브 카트리지(40)의 외부 나삿니(68)는 플랫폼(12) 내의 보어(96)에 끼워진다. 이렇게 삽입됨으로써, 밸브 스프링(44)은 플랫폼(12)의 보어(96)의 막다른 곳에 맞물리고, 밸브 카트리지(40) 쪽으로 밸브 스템(42)을 바이어스 시키도록 압축된다. 밸브 카트리지(40)는 밸브 스템(42)이 밸브 카트리지(40)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밸브 스템(42)의 씰부(84B)에 맞물리는 테두리(104)를 포함한다. 씰(86A)(도면 4)은 밸브 스템(42)에 대향하는 보어(96)의 상단부를 밀봉하는 반면, 씰(70A, 70B)(도면 4)은 밸브 카트리지(40)에 대향하는 보어(96)의 하단부를 밀봉한다. 밸브 스템(42)의 작동부(80)는 트리거 레버(20)에 맞물리도록 밸브 카트리지(40)의 리시빙 보어(67)(도면 4)로부터 연장된다. 트리거 레버(20)는 핀(58)으로 트리거 릴리즈(30)의 트립 로드(53)에 연결되고, 플랫폼(12) 쪽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며, 밸브 스템(42)의 작동부(80)에 접촉하고, 핸들부(36) 쪽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된다.
핀(58)으로부터, 트립 로드(53)는 칼라(55)가 베어링(56)에 맞물리도록 보어(57) 안으로 연장된다. 베어링(56)은 칼라(55)의 상단부 내의 베어링 보어 안에 위치한다. 베어링(56)은 칼라(55)에 동등한 간격으로 있는 세 개의 베어링 중 하나를 포함한다. 넥(98)은 솔레노이드(32)가 플랫폼(12)에 조립되도록 보어(57)에 끼워지고, 핀(100)은 보어(57)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32)는 핀(100)의 위치가 솔레노이드(32) 내로 회수되는 것과 보어(57)내로 연장되는 것 사이를 오가도록 하는 전자 장치(90)에 의해 작동되는 양방향(two-way) 전자기 장치로 구성된다. 한 실시예로, 솔레노이드(32)는 U.S. Patent No.6,392,516 (by Ward et al. and assigned to TLX Technologies, Waukesha, WI)에 개시된 래칭 솔레노이드(32)를 포함한다. 핀(100)이 솔레노이드(32)에 의해 보어(57)에 연장될 때, 핀(100)은 베어링(56)에 맞물리고, 베어링(56)을 칼라(55) 안으로, 보어(57)의 벽쪽으로 민다. 이렇게 하여 베어링(56)은 핀(100)과 보어(57) 사이에서 끼워 넣어지고, 트립 로드(53)는 베어링(56)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핀(100)이 보어(57)로부터 빠질 때, 베어링(56)은 칼라(55)가 분리되도록 하고, 트립 로드(53)는 보어(57) 내에 미끄러지듯이 넣어진다. 핀(100)이 보어(57) 내에 연장되는 것으로, 트리거 레버(20)는 오퍼레이터에 의해(예를 들면, 핸들부(36) 쪽으로 가져오는 것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핀(58)에 대하여 회전하고 밸브 스템(42)을 밸브 카트리지(40) 내로 누르고, 유체가 고압 유로(39)로부터 저압 유로(62)로 흐르도록 한다. 트리거 락(63)과 락 스프링(64)은 밸브(26)가 열린 상태로 유지되는 위치에 트리거 레버(20)를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트리거 릴리즈(30)는 계량기(28)에 의해서 검출되는 것과 같이, 세팅된 양만큼의 유체가 밸브(26)를 통과한 뒤에 트리거 레버(20)를 분리시키는 전자 장치(90)에 의해 작동된다. 솔레노이드(32)는 전자 장치(90)에 연결되고, 장치(10)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램화되는 소프트웨어, 회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22)와 디스플레이(24)를 사용함으로써, 오퍼레이터는 미리 설정된 부피만큼의 유체를 분배하기 위해 장치(10)를 프로그램 할 수 있다. 더욱이,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90)은 무선 네트워크나 라디오 네트워크로 통신하기 위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장치(10)는 작업 명령, 유체 소비량과 같은 정보를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 장치(10)는 또한 인터페이스(22), 디스플레이(24), 전자 장치(90)과 다른 전기 구성 요소를 작동하기 위한 배터리(31)(도면 3)를 포함한다. 미리 설정된 부피만큼의 유체가 장치(10)로부터 분배된 후에, 솔레노이드(32)는 베어링(56)으로부터 핀(100)을 빼도록 작동된다. 이처럼, 트립 로드(53)가 핀(100)으로부터 빠지고, 보어(57) 내에서 횡단하는 것이 자유로워진다. 밸브 스프링(44)은 보어(57)로부터 트립 로드(53)를 빼내고, 밸브(26)를 닫기 위해서 밸브 스템(42)과 트리거 레버(20)를 각각 아래로 누른다. 이렇게 하여 트리거 릴리즈(30)는 유체를 자동적으로 분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과잉으로 분배되거나 유체를 쏟는 것을 방지한다. 플랫폼(12)과 칼라(55) 사이에서 보어(57) 내에 바이어스 되는 스프링(54)은 핀(100)과 재연결을 위해서 트립 로드(53)를 넥(98)에 돌려놓고, 트리거 레버(20)는 또 다른 필링(filling)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리셋 되도록 트리거 락(63)을 해제한다.
유체를 정밀하게 분배하는 장치(10)의 성능은 미리 설정된 부피만큼의 유체가 분배된 후에 트리거 릴리즈(30)를 작동시키는 전자 장치(90)의 성능에 의해 결정된다. 트리거 릴리즈(30)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참고 문헌에 포함된 "TRIGGER RELEASE MECHANISM FOR FLUID METERING DEVICE"란 제목의 앞서 언급된 동시계속출원에서 찾을 수 있다. 트리거 릴리즈(30)의 정확성은 계량기(28)가 유로(39)를 통해 흐르는 유체를 검출할 수 있는지의 정확성에 의해 결정된다. 계량기(28)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참고문헌에 포함된 "INVOLUTE GEAR TEETH FOR FLUID METERING DEVICE"란 제목의 앞서 언급된 동시계속출원에서 찾을 수 있다. 트리거 릴리즈(30)와 계량기(28)의 정확성은 밸브(26)가 닫혔을 때 유로(39)와 유로(62)사이의 유체의 흐름을 중단시키는 밸브(26)의 성능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씰 고정 밸브(26)는 밸브 스템(42)에 자리한 씰(66)을 유지함으로써 밸브(26)를 통한 유체의 누출을 방지한다. 실시 예로, 또한 유체가 밸브 카트리지(40)로 들어가도록 하는 동안, 밸브(26)는 씰(66)을 밸브 스템(42)에 미는 총안 모양 에지(72)를 가지는 캐슬-탑 밸브 카트리지(40)를 포함한다.
도면 6A는 도면 5의 밸브(26)를 확대한 부분을 보여주며, 여기서 밸브 스템(42)은 밸브(26)를 통해 유체가 흐르는 것을 막기 위해 캐슬-탑 밸브 카트리지(40) 내에 닫힌 위치에 있다. 밸브(26)는 밸브 카트리지(40), 밸브 스템(42), 밸브 스프링(44)을 포함한다. 밸브 스프링(44)은 밸브 스템(42)의 스프링 보어(78)에 삽입된다. 밸브 스템(42)은 밸브 카트리지(40)의 리시빙 보어(67)에 삽입된다. 밸브 카트리지(40)는 하부(110)와 상부(112)를 포함하는 보어(96)에 플랫폼(12) 안으로 삽입된다. 하부(110)는 저압 유로(62)와 유체 소통(fluid communication)하는 반면, 상부(112)는 고압 유로(39)와 유체 소통(fluid communication)한다(도면 5). 보어(96)의 상부(112)는 밸브 스템(42) 주변으로 씰(86A)로 밀봉된다(도면 4). 보어(96)의 하부(110)는 카트리지(40) 주변으로 씰(86B)로 밀봉된다(도면 4). 밸브 카트리지(40)는 밸브 스템(42) 주변으로 씰(66)을 이용하여 밀봉된다. 특히, 도면 6A와 같이 완전히 닫힌 위치에서, 밸브 스템(42)은 밸브 스프링(44)에 의하여 밸브 카트리지(40) 내로 밀어 내려지고, 밸브 씰(66)은 씰 채널(114) 안의 총안(76)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밸브 카트리지(40)는 씰(66)을 밸브 채널(114)로 누르기 위해, 밸브 씰(66)의 전체 360도 주변에 맞물린다.
고압 유로(39)로부터 유체는 보어(96)의 상부(112)와 밸브 스템(42)의 씰부(84A)의 주변에 들어가고, 총안(76)을 채운다. 씰(70B)은 유체가 플랫폼(12)과 카트리지(40) 사이에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반면, 씰(66)은 유체가 리시빙 보어(67)에 들어가는 것을 막는다. 스템(42)의 씰부(84A)는 카트리지(40)의 보어(67)를 밀봉하지 않고, 유체는 씰 채널(114)에 들어가도록 허용되며, 따라서 유로(39)내의 유체로부터의 압력에 씰(66)이 노출된다. 씰(66)은 씰 채널(114)과 보어(67)로 씰(66)을 압축하는 밸브 카트리지(40)의 메인 몸체에 의해서 씰 채널(114) 내에 유지된다. 이렇게 하여 유체가 보어(67) 또는 하부(110), 그리고 궁극적으로 저압 유로(62)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트리거 레버(20)(도면 5)는 분배부(82)를 총안(76)과 채널(39)을 가지는 유체 소통(fluid communication)으로 밀기 위해서 보어(67) 내의 밸브 스템(42)을 위쪽으로 횡단하도록 작동된다.
도면 6B는 도면 5의 밸브(26)를 확대한 부분을 보여주며, 여기서 밸브 스템(42)은 밸브(26)를 통해 유체가 흐르도록 하기 위해 캐슬-탑 밸브 카트리지(40) 내에 열린 위치에 있다. 열린 위치에서, 트리거 레버(20)(도면 4)는 플랫폼(12)과 밸브 스템(42) 사이에서 밸브 스프링(44)을 압축하기 위해 밸브 스템(42)을 위쪽으로 누른다. 밸브 스템(42)은 씰 채널(114)과 씰(66)이 총안(76)과 멀론(74) 위에 있도록 배치되고, 분배부(82)는 총안(76)과 멀론(74)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씰(66)은 카트리지(40)의 내부 둘레에 배치되지 않고, 유로(39)로부터 분배부(82)는 밀봉되지 않는다. 씰(70B)은 카트리지(40)의 외부 표면과 보어(67)의 상부(112) 사이의 밀봉을 유지하고, 씰(86A,86B)(도면 4)은 각각 플랫폼(12)과 카트리지(40)를 밀봉한 상태이다. 따라서 분배부(82)는 디스차지 보어(69)에 열리고, 유로(39)의 유체는 밸브 스템(42)과 카트리지(40) 사이의 디스차지 포트로, 궁극적으로 저압 유로(62)(도면 5)로 흐르도록 허용된다.
도면 6B는 밸브 스템(42)이 완전히, 거의 완전히 열린 것을 보여주며, 유로(39)로부터 유체의 최고량이 보어(67)로 흐르도록 허용된다. 도면 6A로부터 도면 6B로 밸브 스템(42)의 위치 변화는 밸브(26)의 스토로우크 길이를 정의한다. 씰(66)은 카트리지(40)로부터 멀리, 유체가 유로(39)와 유로(62)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흐르도록 처리될 수 있는 방향에 위치한다. 열린 위치에서, 씰(66)의 위쪽에 가해지는 힘의 합은 씰(66)이 씰 채널(114) 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씰(66)에 내재된 탄성이 씰(66)을 밸브 스템(42)을 향하여 안쪽으로 당긴다. 씰(66) 위로 가해지는 고압 유체로 부터의 힘은 씰(66)을 채널(114) 내로 미는 내부로 향하는 힘을 생산한다. 유체는 또한 씰(66)을 둘러싸기 위해 채널(114) 내부의 씰(66) 주위로 흐르고, 외부 압력을 생산하다. 그러나 씰(66)이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부터 멀리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외부 힘은 유체와 씰(66)에 의해 생산된 내부 압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이에 따라 씰(66)은 씰 채널(114) 내부에 있게 된다. 밸브 스템(42)이 스트로우크 길이를 횡단하기 때문에, 씰(66)에 가해지는 유체 힘이 씰(66)의 탄성을 극복하는 특정한 조건에 있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스트로우크 길이를 가로지르는 밸브 스템(42)의 빠른 작동은 씰(66)이 씰 채널(114)로부터 팽창되도록 한다. 그러나 유체 힘이 씰(66)의 탄성을 극복하기에 충분히 클 때, 멀론(74)은 씰(66)이 채널(114)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위치한다.
도면 7은 도면 5의 밸브(26)의 확대부이며, 여기서 밸브 스템(42)은 캐슬-탑 밸브 카트리지(40) 안의 중간 위치, 고압 유로(39)에 열려지는 분배부(82)의 바로 앞에 있다. 중간 위치에서 보여주듯, 씰 채널(114)은 멀론(74)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이와 같이 총안(76)은 밸브 씰(66)이 계속해서 카트리지(40)의 내부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밸브 스템(42), 밸브 씰(66)과 밸브 카트리지(40) 사이의 상기 밀봉은 부분적으로 깨지고, 유체는 총안(76)를 통하여 밸브 씰(66)의 아래로 허용된다. 이렇기 때문에, 유체는 밸브 스템(42)과 밸브 카트리지(40) 사이의 밸브(26)를 통하여 흐르기 시작한다. 유체 흐름으로부터 씰(66)을 가로지르는 압력차는 씰(66)의 탄성을 극복하는 경향이 있고, 씰(66)에 순수 외부 힘을 생산한다. 그러나 밸브 씰(66)은 스템(42)이 스트로우크 길이를 통해 연속적임에 따라 씰(66)이 유체 압력에 의하여 늘어지거나, 씰 채널(114)로부터 제자리를 벗어나거나, 분배부(82)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멀론(74)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도면 6B와 같이, 멀론(74)은 씰(66)이 유체가 흐르는 길을 벗어나 위쪽으로 충분히 움직여지고 분배부(82)가 유동적으로 고압 유로(39)에 연결될 때까지, 밸브 채널(114) 내에 밸브 씰(66)을 저지하는 외부 유체 힘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멀론(74)과 총안(76)은 완전히 열린 위치에서 완전히 닫히는 위치로 밸브 스템(42)이 변동하는 동안 밸브 씰(66)을 가로지르는 압력차를 감소시킨다. 특히, 멀론(74)은 분배부(82)가 총안(76)에 열릴 때까지 밸브 씰(66)을 규제한다.
멀론(74)은 밸브 카트리지(40)가 보어(67)에 삽입되는 것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외부에 약간 경사지게 깎은 모서리(116)를 포함한다. 보어(67) 내에서, 밸브 카트리지(40)는 멀론(74)을 포함하는 카트리지(40)의 끝 표면이 대략 유로(39)의 둘레와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디스차지 보어(69)는 하부(110) 내에 배치된다. 하부(110)는 유체가 보어(69)를 통해 흐르게 하기 위해서 상부(112)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멀론(74)은 또한 보어(67) 내에 밸브 스템(42)이 슬라이딩 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내부에 경사지게 깎은 모서리(118)를 포함하고, 밸브 채널(114)은 멀론(74)을 지나간다. 밸브 스템(42)은 분배부(82)가 디스차지 보어(69)와 나란하도록 밸브 카트리지(40)내에 배치되며, 총안(76)에 나란하도록 트리거 레버(20)에 의해 슬라이드 될 수 있다.
총안(76)은 멀론(74)이 채널(114) 내의 씰(66)을 에워싸도록 하고, 유체가 밸브 카트리지(40)와 밸브 스템(42) 사이의 접점에 도달하도록 씰(66)의 아래로 흐르게 하기 위해서 씰(114) 채널의 높이보다 더 깊게 형성되며, 그렇게 함으로써 씰(66)을 횡단하는 압력차를 감소시킨다. 씰 채널(114)은 밸브 스템(42)의 분배부(82)로부터 거리 d만큼 간격을 두게 되고, 멀론(74)은 보어(67)가 고압 유로(39)에 최초로 열릴 때, 예를 들면 분배부(82)가 처음으로 총안(76)에 열리고 유체압이 씰(66)내의 탄성력을 극복할 때, 스트로우크 길이의 일부을 횡단하여 씰(66)을 규제하도록 상기 거리 d는 멀론(74)의 높이보다 더 작다. 다른 실시예로, 씰 채널(114)은 씰(66)이 보어(67)에 유입되는 유체의 하향 흐름으로부터 멀리 밀어지고, 그것이 보어(67)가 최초로 고압 유로(39)에 열릴 때 스트로우크 길이의 일부에서 압력과 관계하도록 분배부(82)로부터 멀론(74)의 높이보다 더 큰 거리로 간격을 두게 된다. 분배부(82)가 보어(67)를 유로(39)에 더 완전히 열수록, 씰(66)은 흐르는 방향과 유체의 연관된 압력을 떠나서 보어(96) 내로 더 밀어지고, 이렇게 하여 멀론(74)의 필요성이 감소된다. 멀론(74)과 총안(76)의 높이는 분배부(82)가 총안(76)에 열리기 전에 유체로부터의 힘이 씰(66)에 가장 심하게 작용하는 유로(39)의 바닥과 아래 근처에서 씰(66)을 제지하는 크기로 만들어진다. 각각의 복수의 간헐적 흡입로의 높이는 씰 채널(114)과 넥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멀론(74)과 총안(76)은 씰(66)이 씰 채널(114)로부터 제자리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 5A와 같이 밸브 스템(42)이 닫힌 위치로 되돌아 올 때, 씰(66)은 다시 씰 채널(114) 내에 적절하게 자리 잡고, 유체가 밸브(26)를 통하여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유량계(28)(도면 4)가 유체 흐름을 기록하는데 있어서의 정확성이 누출된 유체에 의해 어긋나는 일이 없다. 멀론(74)과 총안(76)은 또한 씰(66)이 더 성능이 좋은 물질로 제작되게 함으로써 밸브(26)의 밀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씰(66)은 고무 O-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고무는 높은 탄성력을 가지며, 고무 씰은 밸브 스템(42)과 밸브 카트리지(40) 사이와 같은 갭을 변형시키고 메우는 능력 때문에 우수한 밀봉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탄성력은 더 손쉽게 밸브(26) 내의 유체압이 씰 채널(114)로부터 씰(66)을 대체하도록 한다. 씰(66)의 탄성력은 밸브 스템(42)이 닫혔을 때 보어(67)를 밀봉하도록 하는 반면, 멀론(74)이 밸브 스템(42)이 열렸을 때 씰(66)을 규제하도록 제공된다. 이렇게 하여 씰 고정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탄력성이 작고 낮은 압력차와 낮은 온도에서 밀봉 능력이 낮은 단단한 경도계 씰을 사용하는 것이 불필요해진다. 고탄력 씰의 사용은 멀론(74)에 의해 가능하고, 또한 밸브 스템(42)과 밸브 카트리지(40) 사이에 덜 타이트한 공차를 허용하며,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비용을 감소시킨다. 뿐만 아니라, 씰 고정 특성은 또한 장치(10)를 높은 유체압에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비록 본 발명의 이점은 캐슬-탑 밸브 카트리지가 총안 모양의 에지를 가진다는 점으로 설명되었으나, 다른 실시 예는 씰 고정 특성의 다른 형태도 포함한다.
도면 8은 포트-탑(ported-top, 120)과 보어(122)를 가지는 본 발명의 씰 고정 밸브(26)의 밸브 카트리지(40)의 제2 실시 예를 보여준다. 밸브 카트리지(40)는 리시빙 보어(67), 내부 나삿니(68), 디스차지 보어(69), 카트리지 씰(70A, 70B)을 가지는 일반적인 원통형 몸체와 같은 도면 1에서 설명된 밸브 카트리지(40)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한다. 그러나 캐슬-탑(72)이 포트-탑(120)으로 대체되었다. 포트-탑(120)은 카트리지(40) 몸체의 끝에 형성되는 보어(122)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서, 보어(122)는 보어(67)에 흡입로를 형성하는 원형 홀을 포함한다. 보어(122)는 따라서 카트리지(40)의 몸체의 일부에 의해 간격을 두게 된다. 보어(122) 사이에 돌출된 카트리지 몸체의 일부가 멀론(74)과 같이 씰(66)의 방사상의 외형 팽창을 규제하는 반면, 보어(122)는 유체를 씰(66)의 밑에 흐르게 하는 총안(76)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비록 본 발명은 적절한 실시예의 언급으로 설명되었으나, 당해 기술 분야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 내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변형과 실시예가 가능함을 인지할 것이다.

Claims (20)

  1. 제1 및 제2 단부벽과 상기 제1 및 제2 단부벽 사이에 연장된 긴 측벽으로 구성된 카트리지 몸체;
    상기 제1 단부벽에서 제2 단부벽까지 카트리지 몸체를 관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보어(bore);
    상기 제1 단부벽 근처에서 보어까지 측벽을 관통하여 연장된 복수의 간헐적 흡입로; 및
    상기 제1 단부벽과 제2 단부벽 사이에서 보어까지 측벽을 관통하여 연장된 배출로를 포함하는 밸브 카트리지와,
    상기 제1 단부벽과 제2 단부벽 근처에서 보어를 밀폐시키도록 카트리지 몸체 내부에 배치된 긴 몸체;
    상기 긴 몸체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며 배출로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넥(neck) 및;
    상기 긴 몸체의 외부 표면의 둘레에 선을 긋는 씰 채널을 포함하는 밸브 스템과,
    상기 보어와 긴 몸체 사이를 밀봉하기 위해 씰 채널 내부에 배치되는 밸브 씰을 포함하는 밸브이며,
    상기 밸브 스템은 넥(neck)을 간헐적 흡입로와 유동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보어 내부에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간헐적 흡입로는 씰이 보어 내부에 배치되는 동안 씰 채널을 측벽에 유동적으로 개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흡입로는 제1 단부벽에 총안 모양의 에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총안 모양의 에지는 복수의 반원형의 부채꼴 모양과; 상기 부채꼴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간헐적 흡입로는 씰 채널이 흡입로를 지나서 이동함에 따라 넥이 흡입로에 개방될 때까지 씰 채널을 측벽에 유동적으로 개방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간헐적 흡입로 사이의 밸브 카트리지 몸체부의 일부는 넥이 흡입로에 열릴 때까지 씰 채널로부터 씰의 이동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복수의 간헐적 흡입로의 높이는 씰 채널과 넥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복수의 흡입로의 높이는 씰 채널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헐적 흡입로는 씰 채널이 흡입로를 지나서 이동함에 따라 보어, 밸브 씰과 긴 몸체 사이에 형성된 밀봉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헐적 흡입로는 씰 채널이 흡입로를 지나서 이동함에 따라 씰을 가로지르는 압력차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헐적 흡입로는 씰 채널이 흡입로를 지나서 이동함에 따라 유체가 보어와 긴 몸체 사이로 흐르도록 하기 위해서 밸브 씰의 아래로 흐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3. 외부 표면을 가지는 스템 몸체;
    상기 외부 표면 주위에 배치되는 분배 리세스; 및
    상기 외부 표면 주위에 배치되는 씰 채널을 포함하는 밸브 스템과,
    상기 씰 채널 내부에 배치되는 밸브 씰과,
    긴 측면을 가지는 카트리지 몸체;
    상기 카트리지 몸체를 관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리시빙 보어;
    디스차지 보어; 및
    카트리지 몸체의 단부 근처에 배치되는 씰 보유 구성부를 포함하는 밸브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선형 작동식 밸브이며,
    상기 스템 몸체의 외부 포면은 분배 리세스가 카트리지 몸체와 스템 몸체 사이에서 디스차지 포트를 형성하도록 리시빙 보어 내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디스차지 보어는 카트리지 몸체 내로 연장하여 상기 디스차지 포트와 교차하고,
    상기 씰 보유 구성부는, 상기 측면을 리시빙 보어 내에서 씰 채널과 연결하도록 구성된 유로와, 상기 유로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씰 채널 내에서 밸브 씰을 보유하도록 구성된 보유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씰 보유 구성부는 카트리지 단부에 총안 모양-탑(crenelated-to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작동식 밸브.
  14. 삭제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총안 모양-탑은 유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총안(embrasures)과 유지 요소를 포함하는 복수의 멀론(merlon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작동식 밸브.
  16. 삭제
  17. 삭제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밸브 스템은 유로를 디스차지 포트를 통해서 디스차지 보어에 유동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리시빙 보어 내부에 슬라이드 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유지 요소는 디스차지 포트가 유로를 열 때까지 씰 채널 내부의 밸브 씰을 유지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작동식 밸브.
  19. 가압된 유체원에 연결된 상류로 단부와 분배 튜브를 가지는 하류로 단부를 포함하는 내부 유로를 가지는 플랫폼과,
    상류로 끝과 하류로 끝 사이에서 플랫폼에 탑재되는 씰 보유 밸브와,
    씰 보유 밸브를 밀폐 위치로 바이어스 시키기 위해 밸브 스템과 플랫폼 사이에 배치되는 밸브 스프링과,
    플랫폼에 탑재되고, 씰 보유 밸브를 개방하기 위해 밸브 카트리지 내부에 밸브 스템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트리거를 포함하는 유체 분배 계량기이며,
    상기 씰 보유 밸브는 밸브 카트리지, 밸브 스템, 및 밸브 씰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카트리지는,
    제1 및 제2 단부벽과, 상기 제1 및 제2 단부벽 사이에 연장된 긴 측벽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몸체와,
    상기 카트리지 몸체를 관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보어와,
    상기 보어까지 측벽을 관통하여 연장된 복수의 간헐적 흡입로와,
    보어까지 측벽을 관통하여 연장된 배출로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스템은,
    상기 제1 단부벽과 제2 단부벽의 근처에서 보어를 밀폐시키도록 카트리지 몸체 내부에 배치된 긴 몸체와,
    배출로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긴 몸체 상의 넥(neck)과,
    긴 몸체의 외부 표면의 둘레에 선을 긋는 씰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씰은 상기 보어와 긴 몸체 사이를 밀봉하기 위해 씰 채널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밸브 스템은 넥을 간헐적 흡입로와 유동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보어 내부에 슬라이드 되고, 밸브 씰이 보어 내부에 배치되는 동안 씰 채널을 측벽에 유동적으로 개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흡입로는 제1 단부벽에 총안 모양의 에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배 계량기.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플랫폼에 탑재되고, 분배 계량기를 통하여 유체의 흐름을 모니터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유저 인터페이스, 커뮤니케이션 회로를 포함하는 계측 전자 장치;
    내부 유로에 배치되고, 내부 유로를 통해서 흐르는 유체의 부피를 측정하기 위한 상기 계측 전자 장치에 연결되는 계측 장치 및;
    상기 계측 전자 장치와 트리거에 연결되고, 밸브 스템을 작동하는 것으로 트리거를 방지하는 트리거 릴리즈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배 계량기.














KR1020117001458A 2008-06-20 2009-06-22 유체 측정 장치용 씰 고정 밸브 KR1016313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14,699 2008-06-20
US12/214,699 US8240507B2 (en) 2008-06-20 2008-06-20 Seal-retaining valve for fluid metering device
PCT/US2009/003706 WO2009154801A2 (en) 2008-06-20 2009-06-22 Seal-retaining valve for fluid metering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0867A Division KR101783162B1 (ko) 2008-06-20 2009-06-22 유체 측정 장치용 씰 고정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446A KR20110046446A (ko) 2011-05-04
KR101631333B1 true KR101631333B1 (ko) 2016-06-16

Family

ID=414302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0867A KR101783162B1 (ko) 2008-06-20 2009-06-22 유체 측정 장치용 씰 고정 밸브
KR1020117001458A KR101631333B1 (ko) 2008-06-20 2009-06-22 유체 측정 장치용 씰 고정 밸브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0867A KR101783162B1 (ko) 2008-06-20 2009-06-22 유체 측정 장치용 씰 고정 밸브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240507B2 (ko)
EP (1) EP2303764B1 (ko)
JP (1) JP5543965B2 (ko)
KR (2) KR101783162B1 (ko)
CN (1) CN102123939B (ko)
AU (1) AU2009260752B2 (ko)
DK (1) DK2303764T3 (ko)
ES (1) ES2397316T3 (ko)
MY (1) MY156126A (ko)
PL (1) PL2303764T3 (ko)
RU (1) RU2494957C2 (ko)
TW (1) TWI377306B (ko)
WO (1) WO200915480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2785B2 (en) * 2008-06-20 2012-11-20 Graco Minnesota Inc. Involute gear teeth for fluid metering device
GB201003766D0 (en) 2010-03-05 2010-04-21 Univ Strathclyde Pulsatile drug release
KR20180118183A (ko) * 2016-03-02 2018-10-30 도날드슨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액체 필터 장치 및 방법
WO2018175793A1 (en) * 2017-03-22 2018-09-27 Graco Minnesota, Inc. Dispensing meter for fluid dispensing
US11292710B2 (en) 2017-09-15 2022-04-05 Graco Minnesota Inc. Fluid management system and fluid dispenser
EP4289782A3 (en) * 2017-09-15 2024-03-13 Graco Minnesota Inc. Dispensing meter for fluid dispensing
JP2020526457A (ja) * 2017-10-10 2020-08-31 グラコ ミネソタ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液体分注機の認証
JP7321150B2 (ja) * 2017-10-10 2023-08-04 グラコ ミネソタ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液体分注機の認証
DE102019109009A1 (de) * 2019-04-05 2020-10-08 Collomix Gmbh Dosiervorrichtung zur Abgabe einer vorbestimmten Flüssigkeitsmenge, insbesondere einer vorbestimmten Wassermenge
US20220396466A1 (en) * 2021-06-14 2022-12-15 Graco Minnesota Inc. Fluid dispenser system
ES2947098B2 (es) * 2022-02-01 2024-05-17 Samoa Ind S A Pistola electronica de suministro de fluidos a presion con mecanismo automatico de enclavamient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34683C (ko)
US951267A (en) * 1909-02-24 1910-03-08 Richard G Cator Faucet.
CH131428A (de) 1928-04-24 1929-02-15 Bernhard Rennerfelt Sven Flüssigkeitsventil.
DE1029009B (de) * 1955-08-19 1958-04-30 Gutehoffnungshuette Sterkrade Fahrschieber fuer Dampffoerdermaschinen
JPS5329209Y2 (ko) * 1973-11-21 1978-07-22
US4941507A (en) * 1989-04-14 1990-07-17 Shenn Chung Shan Water pressure-sealing faucet without water hammer effect
JPH0580024U (ja) * 1992-03-30 1993-10-29 新日本無線株式会社 低域ブースト回路
NO180223C (no) 1994-11-02 1997-03-12 Norfass As Ventil
JP2704389B2 (ja) 1995-09-29 1998-01-26 大阪瓦斯株式会社 高圧ガス用減圧弁
KR100493191B1 (ko) 1997-12-29 2005-10-2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유체밸브
JP4348661B2 (ja) 1999-08-25 2009-10-21 澁谷工業株式会社 充填装置の充填バルブ
US6443328B1 (en) * 2000-06-16 2002-09-03 Badger Meter, Inc. Electronic lube gun with low battery protection
US6659306B2 (en) * 2001-10-02 2003-12-09 Badger Meter, Inc. Electronic lube gun with master station control
CN1304777C (zh) * 2002-07-23 2007-03-14 沈仲山 水龙头的定时闭锁装置
US7082972B1 (en) 2005-04-15 2006-08-01 Healy Systems, Inc. Fuel delivery nozzle
KR100783370B1 (ko) 2006-04-26 2007-12-07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차압유량조절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314980A1 (en) 2009-12-24
WO2009154801A3 (en) 2010-04-01
TW201013076A (en) 2010-04-01
PL2303764T3 (pl) 2013-03-29
EP2303764A2 (en) 2011-04-06
RU2011101917A (ru) 2012-07-27
US8240507B2 (en) 2012-08-14
CN102123939B (zh) 2013-07-10
MY156126A (en) 2016-01-15
JP2011524963A (ja) 2011-09-08
AU2009260752B2 (en) 2014-05-15
KR101783162B1 (ko) 2017-09-28
EP2303764B1 (en) 2012-10-17
JP5543965B2 (ja) 2014-07-09
AU2009260752A1 (en) 2009-12-23
TWI377306B (en) 2012-11-21
EP2303764A4 (en) 2011-08-17
RU2494957C2 (ru) 2013-10-10
WO2009154801A2 (en) 2009-12-23
DK2303764T3 (da) 2013-01-28
ES2397316T3 (es) 2013-03-06
CN102123939A (zh) 2011-07-13
KR20110046446A (ko) 2011-05-04
KR20160052777A (ko)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333B1 (ko) 유체 측정 장치용 씰 고정 밸브
TW200523201A (en) Nozzle including first and second lever portions
TW200526510A (en) Spout assembly for dispensing liquid from a nozzle
KR101163558B1 (ko) 캔 내부의 연료 셀 계량 밸브
RU2488448C2 (ru) Головка для выдачи текучей среды
US9260286B2 (en) Fuel dispensing nozzle
US8800826B2 (en) Self-venting spout
US5713401A (en) Fuel dispensing and vapor recovery nozzle
KR101653420B1 (ko) 유체 측정 장치용 트리거 릴리즈 메커니즘
RU2762872C2 (ru) Разливочный расходомер для разлива текучей среды
TW200524817A (en) Nozzle for dispensing liquid in a container
JP2011524963A5 (ko)
KR20160008514A (ko) 유체제품의 패키징과 디스펜싱을 위한 리필가능장치
US8602273B2 (en) Safety can
US5794822A (en) Reciprocating fluid pump with improved bottle seal
KR20180011745A (ko) 비-충전 에어로졸 밸브
KR101686925B1 (ko) 연료 과충전 방지용 멀티밸브
US5887763A (en) Reciprocating fluid pump with bottle closure having inner and outer rim seals
US6481596B1 (en) Metering device
US11891231B1 (en) Controlled dosage dispensing valve
GB2402926A (en) Improved bottle top pourer
AU2015213294A1 (en) Fuel dispensing nozz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