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009B1 -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 - Google Patents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31009B1 KR101631009B1 KR1020150003178A KR20150003178A KR101631009B1 KR 101631009 B1 KR101631009 B1 KR 101631009B1 KR 1020150003178 A KR1020150003178 A KR 1020150003178A KR 20150003178 A KR20150003178 A KR 20150003178A KR 101631009 B1 KR101631009 B1 KR 1016310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ffle
- holder
- parison
- fuel tank
- fol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4—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comprising baff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60K2015/07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in-tank reservoirs or baffles integrally manufactured with the fuel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1)에는 소정 크기로 이루어진 배플플레이트(50,50A,50B,50C), 배플플레이트(50,50A,50B,50C)에 형성된 배플홀더(20)로 내장된 스프링(40)에 의해 배플홀더(20)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외부하중에 의해 스프링(40)을 압축하면서 배플홀더(20)로 끼워지는 배플레그(30)로 이루어진 셀프 포지셔너(10,10-1,10-2,10-3)가 포함됨으로써 좌,우 금형(100-1,100-2)사이로 위치되는 패리슨(300)에 접촉되는 페리슨 고정길이를 이용해 배플로딩핀(200)없이 패리슨(300)과 고정되고, 패리슨 성형을 위해 닫혀진 좌,우 금형(100-1,100-2)이 가하는 가압력으로 페리슨 고정길이를 페리슨 융착길이로 축소하면서 패리슨(300)에 가류융착됨으로써 배플로딩핀에 의한 배플조립위치유지가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패리슨 성형 시 패리슨 내부로부터 배플로딩핀(200)의 빠짐 시점에 대한 정확한 제어가 요구되지 않음으로써 배플로딩핀 제어 불량에 의한 연료탱크(또는 오일 탱크)의 제품 불량이 방지되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플(Baffle)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리슨(Parison)의 성형 시 배플이 패리슨과 함께 가압 융착되는 연료탱크 배플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탱크(또는 오일 탱크)에서는 차량의 관성력 크기가 커지는 선회나 또는 급제동이나 또는 급가속 시 내부 관성력으로 인해 유면 쏠림이나 출렁임이 발생됨으로써 원활한 공급이 방해 받을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연료탱크(또는 오일 탱크)의 내부 공간에는 내부 공간을 다수 공간으로 분할함과 더불어 연료나 오일의 관성력에 의한 유면의 한쪽 쏠림을 막아주는 배플이 반드시 적용되고, 이로부터 유면 출렁임에 의한 소음 감소 및 원활한 공급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통상, 배플의 탱크 조립은 배플 분리 조립방식과 배플 일체 조립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배플 분리 조립방식은 연료탱크(또는 오일 탱크)의 제조가 먼저 이루어진 다음 배플을 연료탱크(또는 오일 탱크)로 집어넣은 후 연료탱크(또는 오일 탱크) 외부에서 볼트나 스크류등으로 탱크와 고정시키는 방식이므로 연료탱크(또는 오일 탱크)와 배플의 조립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특히 배플의 구조와 형상이 연료탱크(또는 오일 탱크)와의 조립 용이성에 맞춰져 제한될 수밖에 없다.
반면, 배플 일체 조립방식은 압출 블로우 성형기를 이용한 패리슨이 배플과 함께 성형됨으로써 배플이 내장된 연료탱크(또는 오일 탱크)로 제조되는 방식이다. 그러므로, 배플의 구조와 형상이 연료탱크(또는 오일 탱크)와의 조립 용이성에 맞춰져 제한되지 않는 장점이 있어 플라스틱 연료탱크제조에 이용된다.
하지만, 배플 일체 조립방식에서는 패리슨이 성형되는 동안 패리슨 내부에 위치된 배플의 정확한 조립위치유지가 요구될 수밖에 없고, 이를 위해 배플로딩핀 및 슬라이드 코어가 적용된다.
일례로, 상기 배플로딩핀은 패리슨의 성형 전 배플을 고정한 상태에서 금형밖에서 패리슨 내부로 들어오고 동시에 일정 압력의 공기를 송풍하며, 금형 이동에 의한 패리슨 성형과정에서 배플 조립위치를 유지하다가 설정된 시점에서 배플을 남겨두고 금형밖으로 빠져나감으로써 배플이 패리슨의 내부에서 정확한 위치에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코어는 배플로딩핀의 빠짐과 동시에 금형밖에서 패리슨을 향해 진입함으로써 배플로딩핀의 빠짐으로 개구된 패리슨 부위를 밀폐시켜준다.
그러므로, 패리슨 성형 중 배플의 정확한 조립위치유지는 배플로딩핀의 빠짐 시점으로 좌우될 수밖에 없고, 부정확한 배플로딩핀 빠짐 시점은 배플과 패리슨의 조립불량을 가져옴으로써 제조된 배플 내장형 연료탱크(또는 오일 탱크)의 제품 불량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하여 배플 일체 조립방식에서는 배플로딩핀 제어가 매우 중요하다는 제조 공정의 어려움이 있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좌,우 금형사이로 위치되는 패리슨에 접촉되는 패리슨 고정길이를 이용해 배플로딩핀 없이 패리슨과 고정되고, 패리슨 성형을 위해 닫혀진 좌,우 금형이 가하는 가압력으로 페리슨 고정길이를 패리슨 융착길이로 축소하면서 패리슨에 가류융착됨으로써 배플로딩핀에 의한 배플조립위치유지가 요구되지 않고, 특히 패리슨 성형 시 패리슨 내부로부터 배플로딩핀의 빠짐 시점에 대한 정확한 제어가 요구되지 않음으로써 배플로딩핀 제어 불량에 의한 연료탱크(또는 오일 탱크)의 제품 불량이 방지되는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은 소정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갖고, 적어도 1개 이상으로 천공된 홀과 적어도 1개 이상으로 격자무늬패턴을 형성하는 리브가 구비된 판 형상(plate shape)으로 이루어진 배플플레이트; 상기 배플플레이트에 구비된 배플홀더에는 스프링이 내장되고, 상기 스프링의 탄발지지력으로 상기 배플홀더로부터 돌출되어 패리슨에 접촉되는 패리슨 고정길이를 형성하고, 상기 패리슨 고정길이를 패리슨 융착길이로 축소하여 패리슨에 가류융착되도록 외부하중에 의해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상기 배플홀더로 끼워지는 배플레그로 이루어진 셀프 포지셔너;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셀프 포지셔너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플플레이트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구비된다. 상기 패리슨 고정길이는 상기 배플레그를 상기 배플홀더로 삽입되도록 조립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패리슨 융착길이는 패리슨의 성형을 위해 닫혀지는 좌,우 금형의 가압력이 상기 외부하중으로 작용할 때 형성된다.
상기 배플홀더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배플플레이트에서 돌출된 홀더 바디, 상기 홀더 바디의 내부공간 입구 테두리면에서 다수로 돌출된 제2 패리슨 밀착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배플레그는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상기 배플홀더의 개구된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레그 바디, 상기 배플홀더로 삽입되지 않는 상기 레그 바디 부위의 면에서 다수로 돌출된 제1 패리슨 밀착돌기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패리슨 밀착돌기가 상기 패리슨에 먼저 밀착된 후 상기 제2 패리슨 밀착돌기가 밀착된다.
상기 배플홀더의 홀더바디 내주면에는 포지션 채널이 파여지고, 상기 배플레그에는 상기 포지션 채널로 끼워져 상기 레그 바디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스프링의 압축에 의한 반력으로부터 상기 패리슨 고정길이의 유지를 위해 상기 포지션 채널을 따라 안내되는 포지션 돌기가 상기 레그바디에 형성된다.
상기 배플홀더에는 내부공간과 연통된 상단 포지션 슬롯과 하단 포지션 슬롯이 간격을 두고 각각 천공되고, 상기 배플레그의 외주면에는 포지션 링이 동심원으로 형성되며, 상기 포지션 링이 상기 배플홀더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상단 포지션 슬롯에 걸려져 상기 패리슨 고정길이를 형성한 후 상기 하단 포지션 슬롯에 위치되어져 상기 패리슨 융착길이를 형성한다.
상기 배플홀더는 편심형 배플 블록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면에 형성된 배플홀더와 상기 하면에 형성된 배플홀더는 상기 편심형 배플 블록의 중간 위치에 대해 편심간격을 가지며, 상기 편심형 배플 블록은 상기 배플 플레이트에 끼워져 조립된다.
상기 배플홀더는 동심형 배플 블록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면에 형성된 배플홀더와 상기 하면에 형성된 배플홀더는 상기 동심형 배플 블록의 중간 위치에 일치되며, 상기 동심형 배플 블록은 상기 배플 플레이트에 끼워져 조립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배플은 배플로딩핀 없이도 패리슨(Parison)의 성형과정 중 정확한 조립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패리슨(Parison)에 가류융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플은 좌우양쪽에서 다가오는 금형의 초기 이동력으로 패리슨에 대한 조립위치가 잡힘과 더불어 금형의 성형 가압력으로 패리슨과 일체화되도록 가압 부착식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배플 내장형 연료탱크(또는 오일 탱크)의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의 구성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에 적용된 셀프 포지셔너를 구성하는 배플홀더 및 배플레그의 분리 구성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셀프 포지셔너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4내지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의 구성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의 구성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의 구성이며, 도 9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이 패리슨 금형에서 작동되는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내지 도 3은 본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 배플 유닛(1)과, 이를 구성하는 배플플레이트(50)와 셀프 포지셔너(10)가 가압 융착식으로 구성됨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 배플 유닛(1)은 연료탱크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배플 플레이트(50), 적어도 4곳의 위치에서 배플 플레이트(50)에 구비된 셀프 포지셔너(10)로 구성된다.
상기 배플 플레이트(50)는 소정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갖춘 판 형상(plate shape)으로 이루어지고, 판(plate)에는 연료탱크 내부 연료가 통과되는 다수의 홀(50-1)이 천공됨과 더불어 다수의 리브(50-2)가 격자무늬패턴으로 형성된다. 특히, 판 형상(plate shape)은 연료탱크의 형상 및 크기에 맞춰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셀프 포지셔너(10)는 서로 결합되는 배플홀더(20)와 배플레그(30)로 구성되고, 배플홀더(20)의 내부공간에서 배플레그(30)를 탄발지지하는 스프링(40)을 더 포함한다. 특히, 배플레그(30)는 배플홀더(20)로 끼워지는 삽입경로에서 스프링(40)의 반발력을 이겨내고 배플홀더(20)에 걸려짐으로써 배플레그(30)가 배플홀더(20)에서 돌출된 가조립상태를 유지하고, 그 결과 셀프 포지셔너(10)는 패리슨 고정길이를 형성한다. 이러한 패리슨 고정길이는 가해진 외부하중으로 배플레그(30)가 스프링(40)을 압축변형시키면서 배플홀더(20)와 완전한 조립상태로 전환됨을 의미하고, 그 결과 셀프 포지셔너(10)는 패리슨과 가류융착되어 일체화된 패리슨 융착길이로 짧아 질 수 있다. 이때, 완전조립상태로 된 배플레그(30)와 배플홀더(20)의 패리슨 융착길이는 금형 크기에 맞춰짐으로써 패리슨 고정길이는 패리슨 융착길이에 맞춰 변화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배플홀더(20)는 배플 플레이트(50)에 형성된 리브(50-2)의 격자틀 안에서 돌출된 중공의 홀더 바디 베이스(25)와 이로부터 연장된 중공의 홀더 바디(21)로 이루어짐으로써 이중 중공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 배플홀더(20)의 홀더 바디(21)는 도 1과 같이 동일직경의 중공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홀더 바디 베이스(25)가 형성되지 않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홀더 바디(21)(또는 홀더 바디 베이스(25))의 바닥면은 배플 플레이트(50)의 판(plate)과 일체화되며, 홀더 바디(21)의 개구된 입구 테두리면은 사각 또는 반구형상의 제2 패리슨 밀착돌기(20-1)를 다수로 돌출시키고, 홀더 바디(21)(또는 홀더 바디 베이스(25))의 외주면은 홀더 리브(20-2)를 형성해 리브(50-2)와 일체화된다. 특히, 상기 제2 패리슨 밀착돌기(20-1)는 추후 설명되는 패리슨과 밀착력을 높여준다. 또한, 상기 홀더 바디(21)(또는 홀더 바디(21)와 홀더 바디 베이스(25))는 그 내주면으로 포지션 채널(23)이 파여짐으로써 배플홀더(20)로 끼워지는 배플레그(30)는 가조립상태를 유지한 후 이어서 가해지는 외부 하중으로 완전조립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포지션 채널(23)은 홀더 바디(21)의 개구된 입구에서 내주면을 따라 안쪽으로 파여진 배플레그 삽입경로(23a), 배플레그 삽입경로(23a)의 끝부에서 꺾여진 전환경로(23c)에서 이어진 배플레그 조립경로(23b), 배플레그 삽입경로(23a)에서 이어진 전환경로(23c)에 형성된 배플레그 걸림부(23d-1), 전환경로(23c)에서 이어진 배플레그 조립경로(23b)에 형성된 배플레그 가조립부(23d-2)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배플레그 걸림부(23d-1)와 상기 배플레그 가조립부(23d-2)의 각각은 출구쪽이 형성한 출구 경사각(b)이 입구쪽이 형성한 입구 경사각(a)보다 더 큰 각도로 형성됨으로써 삽입 시 힘보다 빠짐 시 더 큰 힘을 요구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일례로, 상기 배플레그 걸림부(23d-1)와 상기 배플레그 가조립부(23d-2)의 각각은 내각(內角)이 모두 예각인 예각삼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배플레그 걸림부(23d-1)와 상기 배플레그 가조립부(23d-2)의 각각은 예각삼각형의 형상을 이루는 판스프링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플레그 삽입경로(23a)와 배플레그 조립경로(23b) 및 전환경로(23c)의 폭넓이는 배플레그(30)를 이루는 레그 바디(31)의 포지션 돌기(33)의 폭넓이에 비해 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배플레그(30)의 끼움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플레그(30)는 원기둥형상의 레그 바디(31)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그 바디(31)의 한쪽부위 면에는 탄발지지를 위한 스프링(40)이 결합되고 반대쪽부위 면에는 제1 패리슨 밀착돌기(30-1)가 다수로 돌출된다. 특히, 상기 제1 패리슨 밀착돌기(30-1)는 추후 설명되는 패리슨과 밀착력을 높여준다. 또한, 상기 레그 바디(31)의 외주면에는 포지션 돌기(33)가 돌출 형성된다. 특히, 상기 포지션 돌기(33)는 배플레그(30)를 배플홀더(20)와 조립할 때 포지션 채널(23)을 따른 위치이동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줌과 더불어 가조립상태 및 완전조립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준다. 이를 위해, 상기 포지션 돌기(33)의 폭넓이는 배플레그 삽입경로(23a)로 들어와 배플레그 걸림부(23d-1)와 배플레그 가조립부(23d-2)를 타고 넘어가 전환경로(23c) 및 배플레그 조립경로(23b)로 이동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필요 시, 상기 포지션 채널(23)은 반구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포지션 돌기(33)는 반구단면형상에 일치하는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포지션 채널(23)은 배플레그(30)에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포지션 돌기(33)는 배플레그(30)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내지 8은 본 발명의 제2,3,4 실시예에 따른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내지 6은 제2실시예의 연료탱크 배플 유닛(1)으로서, 이 경우 연료탱크 배플 유닛(1)은 다수의 홀(50-1)이 천공됨과 더불어 다수의 리브(50-2)가 격자무늬패턴으로 형성된 배플 플레이트(50A), 패리슨 고정길이와 패리슨 융착길이로 변화되는 배플홀더(20)와 배플레그(30) 및 스프링(40)으로 이루어진 셀프 포지셔너(10-1)로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도1 내지 도 3)의 배플 플레이트(50)와 셀프 포지셔너(1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다만, 상기 배플 플레이트(50A)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고, 한쪽으로는 배플로딩핀(200)이 결합되는 로딩 핀 홀더(51)가 일체로 형성된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기 셀프 포지셔너(10-1)는 배플홀더(20)와 배플레그(30)의 결합구조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플홀더(20)는 직경변화가 없는 중공의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위쪽부위로 상단 포지션 슬롯(23-1)이 천공되어 패리슨 고정길이(La)를 형성하며, 상단 포지션 슬롯(23-1)의 아래쪽 부위에서 상단 포지션 슬롯(23-1)과 간격을 두고 하단 포지션 슬롯(23-2)이 천공되어 패리슨 융착길이(Lb)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배플레그(30)는 원기둥형상의 외주면에 포지션 링(33-1)이 형성되며, 상기 포지션 링(33-1)은 원기둥형상의 외주면에 동심원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배플레그(30)가 스프링(40)과 함께 배플홀더(20)로 끼워지면, 배플레그(30)의 포지션 링(33-1)이 배플홀더(20)의 상단 포지션 슬롯(23-1)에 걸려짐으로써 패리슨 고정길이(La)가 형성되고, 금형에 의한 가압력으로 스프링(40)을 압축하면서 더 삽입되면 상기 포지션 링(33-1)이 하단 포지션 슬롯(23-2)에 걸려짐으로써 패리슨 융착길이(Lb)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 7은 제3실시예의 연료탱크 배플 유닛(1)으로서, 이 경우 연료탱크 배플 유닛(1)은 다수의 홀(50-1)이 천공됨과 더불어 다수의 리브(50-2)가 격자무늬패턴으로 형성된 배플 플레이트(50B), 패리슨 고정길이와 패리슨 융착길이로 변화되는 배플홀더(20)와 배플레그(30) 및 스프링(40)으로 이루어진 셀프 포지셔너(10-2)로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도4 내지 도 6)의 배플 플레이트(50A)와 셀프 포지셔너(10-1)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다만, 상기 배플 플레이트(50B)와 상기 셀프 포지셔너(10-1)는 완전 분리형으로 구성됨으로써 셀프 포지셔너(10-1)가 배플 플레이트(50B)의 좌우양쪽에서 끼움식으로 조립되는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플 플레이트(50B)는 한쪽으로 셀프 포지셔너(10-2)의 측면부위가 수용되는 셀프 포지셔너 위치부(50B-1)를 더 형성하고, 로딩 핀 홀더(51-1)가 배플 플레이트(50B)와 분리됨으로써 셀프 포지셔너(10-2)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셀프 포지셔너(10-2)는 편심형 배플 블록(60)을 더 구비하고, 상기 편심형 배플 블록(60)은 상면과 하면으로 각각 형성된 배플홀더(20)를 편심간격(e)을 갖도록 형성한다.
그러므로, 상기 셀프 포지셔너(10-2)는 제1,2 실시예에 따른 셀프 포지셔너(10,10-1)와 달리 편심형 배플 블록(60)에 의해 2개의 셀프 포지셔너(10-2)가 일체로 구성되는 차이가 있다. 또한, 상기 편심형 배플 블록(60)에는 끼움식 홈을 형성함으로써 배플 플레이트(50B)에 끼워져 조립되고 더불어 돌출식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로딩 핀 홀더(51-1)에 끼워져 조립되는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기 배플 플레이트(50B)는 셀프 포지셔너 위치부(50B-1)를 이용해 셀프 포지셔너(10-2)가 안쪽으로 더 들어와 위치되는 차이가 있다.
또한, 도 8은 제4실시예의 연료탱크 배플 유닛(1)으로서, 이 경우 연료탱크 배플 유닛(1)은 배플 플레이트(50C)와 셀프 포지셔너(10-3) 및 로딩 핀 홀더(51-1)가 완전 분리형으로 구성되고, 셀프 포지셔너(10-3)가 배플 플레이트(50C)의 좌우양쪽에서 끼움식으로 조립되며, 로딩 핀 홀더(51-1)가 셀프 포지셔너(10-3)에 끼움식으로 조립된다. 그러므로, 상기 배플 플레이트(50C)와 상기 셀프 포지셔너(10-3) 및 상기 로딩 핀 홀더(51-1)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도 7)의 배플 플레이트(50B)와 셀프 포지셔너(10-2) 및 로딩 핀 홀더(51-1)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다만, 상기 셀프 포지셔너(10-3)는 배플홀더(20)가 서로 동일선상으로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동심형 배플 블록(60-1)을 구비하고, 상기 배플 플레이트(50C)는 셀프 포지셔너 위치부(50B-1)가 형성되지 않는 차이가 있다.
한편, 도 9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1)이 패리슨 금형에서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설명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1)을 이용해 설명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연료탱크 배플 유닛(1)은 배플 플레이트(50)가 배플로딩핀(2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좌,우 블로우 금형(100-1,100-2)의 안쪽으로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셀프 포지셔너(10)는 배플레그(30)가 배플홀더(20)의 내부에서 스프링(40)으로 탄발지지됨과 더불어 포지션 채널(23)에 의해 구속된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결합상태는 작업자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배플레그(30)의 포지션 돌기(33)를 배플홀더(20)의 내주면에 형성된 배플레그 삽입경로(23a)로 위치시킨 후 스프링(40)이 압축될 정도의 힘으로 배플레그(30)를 눌러줌으로써 포지션돌기(33)가 배플레그 삽입경로(23a)의 끝으로 밀어 넣어진다. 이후, 배플레그(30)를 약간 회전시켜줌으로써 포지션돌기(33)는 배플레그 걸림부(23d-1)를 타고 넘어간 다음 전환경로(23c)에 위치된다. 그러면, 포지션 돌기(33)가 배플레그 걸림부(23d-1)의 뒤쪽에서 걸려짐으로써 배플홀더(20)와 배플레그(30)가 빠짐없는 결합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연료탱크 배플 유닛(1)은 배플레그(30)와 배플홀더(20)를 간단한 조작으로 결합한 후 배플 플레이트(50)를 배플로딩핀(200)에 고정시키는 단순한 작업만 요구함으로써 작업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때, 좌,우 블로우 금형(100-1,100-2)은 서로 이격된 상태이고, 연료탱크로 성형되는 패리슨(Parison)(300)은 서로 이격된 좌,우 블로우 금형(100-1,100-2)의 안쪽으로 위치된 상태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좌,우 블로우 금형(100-1,100-2)이 닫혀지기 시작함에 따라 연료탱크 배플 유닛(1)으로 패리슨(300)이 근접됨으로써 패리슨(300)은 배플홀더(20)에 결합된 배플레그(30)와 접촉되고, 좌,우 블로우 금형(100-1,100-2)의 닫힘이 지속됨으로써 배플레그(30)는 금형에 의한 가압력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배플레그(30)의 포지션돌기(33)는 배플레그 가조립부(23d-2)를 타고 넘어가 배플레그 조립경로(23b)로 위치된다. 그러면, 포지션 돌기(33)가 배플레그 가조립부(23d-2)의 뒤쪽에서 걸려짐으로써 배플레그(30)는 스프링(40)의 반발력 작용하에서도 빠짐없는 가조립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가조립상태는 패리슨 고정길이를 형성하고, 상기 패리슨 고정길이는 연료탱크 배플 유닛(1)이 패리슨(3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해줌으로써 배플로딩핀(200)이 연료탱크 배플 유닛(1)과 분리되어 좌,우 블로우 금형(100-1,100-2)을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상태에서 배플레그(30)의 제1 패리슨 밀착돌기(30-1)는 패리슨(300)과 밀착됨으로써 연료탱크 배플 유닛(1)과 패리슨(300)의 접촉면적이 더욱 확장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패리슨(300)의 성형을 위한 에어 블로우 상태로 전환된 좌,우 블로우 금형(100-1,100-2)은 완전하게 닫혀진 상태이다. 그러면, 배플레그(30)는 배플홀더(20)의 내주면으로 완전하게 삽입된 완전조립상태로 전환됨으로써 패리슨 융착길이를 형성한다.
이러한 완전조립상태는 좌,우 블로우 금형(100-1,100-2)에 의한 가압력으로 형성된다. 즉, 배플레그(30)의 포지션 돌기(33)는 금형의 가압력으로 배플레그 조립경로(23b)쪽으로 더욱 밀려나고, 이러한 밀림은 스프링(40)을 더욱 압축하면서 조립경로(23b)의 끝부위까지 지속됨으로써 배플레그(30)는 배플홀더(20)와 동일한 길이로 전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플홀더(20)의 제2 패리슨 밀착돌기(20-1)는 배플레그(30)의 제1 패리슨 밀착돌기(30-1)와 동일선상에 위치됨으로써 연료탱크 배플 유닛(1)과 패리슨(300)의 접촉면적이 최대로 확장될 수 있다. 그러므로, 패리슨(300)의 성형이 이루어지는 동안 연료탱크 배플 유닛(1)은 패리슨(300)에 대한 조립위치 유동 없이 정위치에서 가류 융착되어진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1)에는 소정 크기로 이루어진 배플플레이트(50,50A,50B,50C), 배플플레이트(50,50A,50B,50C)에 형성된 배플홀더(20)로 내장된 스프링(40)에 의해 배플홀더(20)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외부하중에 의해 스프링(40)을 압축하면서 배플홀더(20)에 끼워지는 배플레그(30)로 이루어진 셀프 포지셔너(10,10-1,10-2,10-3)가 포함됨으로써 좌,우 금형(100-1,100-2)사이로 위치되는 패리슨(300)에 접촉되는 페리슨 고정길이를 이용해 배플로딩핀(200)없이 패리슨(300)과 고정되고, 패리슨 성형을 위해 닫혀진 좌,우 금형(100-1,100-2)이 가하는 가압력으로 패리슨 고정길이를 페리슨 융착길이로 축소하면서 패리슨(300)에 가류융착됨으로써 배플로딩핀에 의한 배플조립위치유지가 요구되지 않고, 특히 패리슨(300) 성형 시 패리슨 내부로부터 배플로딩핀(200)의 빠짐 시점에 대한 정확한 제어가 요구되지 않음으로써 배플로딩핀 제어 불량에 의한 연료탱크(또는 오일 탱크)의 제품 불량이 방지된다.
1 : 연료탱크 배플유닛
10,10-1,10-2,10-3 : 셀프 포지셔너
20 : 배플 홀더 20-1 : 제2 패리슨 밀착돌기
20-2 : 홀더 리브 21 : 홀더 바디
23 : 포지션 채널 23a : 배플레그 삽입경로
23b : 배플레그 조립경로 23c : 전환경로
23d-1 : 배플레그 걸림부 23d-2 : 배플레그 가조립부
23-1 : 상단 포지션 슬롯 23-2 : 하단 포지션 슬롯
25 : 홀더 바디 베이스
30 : 배플 레그 30-1 : 제1 패리슨 밀착돌기
31 : 레그 바디 33 : 포지션 돌기
33-1 : 포지션 링
40 : 스프링 50,50A,50B,50C : 배플 플레이트
50-1 : 홀 50-2 : 리브
51,51-1 : 로딩 핀 홀더
60 : 편심형 배플 블록 60-1 : 동심형 배플 블록
100-1,100-2 : 좌,우 블로우 금형
200 : 배플로딩핀 300 : 패리슨(Parison)
10,10-1,10-2,10-3 : 셀프 포지셔너
20 : 배플 홀더 20-1 : 제2 패리슨 밀착돌기
20-2 : 홀더 리브 21 : 홀더 바디
23 : 포지션 채널 23a : 배플레그 삽입경로
23b : 배플레그 조립경로 23c : 전환경로
23d-1 : 배플레그 걸림부 23d-2 : 배플레그 가조립부
23-1 : 상단 포지션 슬롯 23-2 : 하단 포지션 슬롯
25 : 홀더 바디 베이스
30 : 배플 레그 30-1 : 제1 패리슨 밀착돌기
31 : 레그 바디 33 : 포지션 돌기
33-1 : 포지션 링
40 : 스프링 50,50A,50B,50C : 배플 플레이트
50-1 : 홀 50-2 : 리브
51,51-1 : 로딩 핀 홀더
60 : 편심형 배플 블록 60-1 : 동심형 배플 블록
100-1,100-2 : 좌,우 블로우 금형
200 : 배플로딩핀 300 : 패리슨(Parison)
Claims (15)
- 소정 크기로 이루어진 배플플레이트;
상기 배플플레이트에 구비된 배플홀더에는 스프링이 내장되고, 상기 스프링의 탄발지지력으로 상기 배플홀더로부터 돌출되어 패리슨에 접촉되는 패리슨 고정길이를 형성하고, 상기 패리슨 고정길이를 패리슨 융착길이로 축소하여 패리슨에 가류융착되도록 외부하중에 의해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상기 배플홀더로 끼워지는 배플레그로 이루어진 셀프 포지셔너;가 포함되고;
상기 배플홀더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배플플레이트에서 돌출된 홀더 바디, 상기 홀더 바디의 내부공간 입구 테두리면에서 다수로 돌출된 제2 패리슨 밀착돌기로 구성되며;
상기 배플레그는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상기 배플홀더의 개구된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레그 바디, 상기 배플홀더로 삽입되지 않는 상기 레그 바디 부위의 면에서 다수로 돌출된 제1 패리슨 밀착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셀프 포지셔너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플플레이트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리슨 고정길이는 상기 배플레그를 상기 배플홀더로 삽입되도록 조립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패리슨 융착길이는 패리슨의 성형을 위해 닫혀지는 좌,우 금형의 가압력이 상기 외부하중으로 작용할 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리슨 밀착돌기가 상기 패리슨에 먼저 밀착된 후 상기 제2 패리슨 밀착돌기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플홀더의 홀더바디 내주면에는 포지션 채널이 파여지고, 상기 배플레그에는 상기 포지션 채널로 끼워져 상기 레그 바디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스프링의 압축에 의한 반력으로부터 상기 패리슨 고정길이의 유지를 위해 상기 포지션 채널을 따라 안내되는 포지션 돌기가 상기 레그바디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채널은 상기 홀더 바디의 개구된 입구에서 내주면을 따라 안쪽으로 파여진 배플레그 삽입경로, 상기 배플레그 삽입경로의 끝부에서 꺾여진 전환경로에서 이어진 배플레그 조립경로, 상기 배플레그 삽입경로에서 이어진 상기 전환경로에 형성되어 상기 배플레그와 상기 배플홀더의 결합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배플레그 걸림부, 상기 전환경로에서 이어진 상기 배플레그 조립경로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의 반력으로부터 상기 패리슨 고정길이를 유지해 주는 배플레그 가조립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플레그 걸림부와 상기 배플레그 가조립부의 각각은 출구쪽이 형성한 출구 경사각이 입구쪽이 형성한 입구 경사각보다 더 큰 각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입구 경사각은 상기 배플레그가 상기 배플홀더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 바디는 외주면에 형성된 홀더 리브로 상기 배플 플레이트에 형성된 리브의 격자무늬 틀과 이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 바디는 이중동심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플 플레이트는 소정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갖고, 적어도 1개 이상으로 천공된 홀과 적어도 1개 이상으로 격자무늬패턴을 형성하는 리브가 구비된 판 형상(plate shape)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플홀더에는 내부공간과 연통된 상단 포지션 슬롯과 하단 포지션 슬롯이 간격을 두고 각각 천공되고, 상기 배플레그의 외주면에는 포지션 링이 동심원으로 형성되며, 상기 포지션 링이 상기 배플홀더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상단 포지션 슬롯에 걸려져 상기 패리슨 고정길이를 형성한 후 상기 하단 포지션 슬롯에 위치되어져 상기 패리슨 융착길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배플홀더는 편심형 배플 블록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면에 형성된 배플홀더와 상기 하면에 형성된 배플홀더는 상기 편심형 배플 블록의 중간 위치에 대해 편심간격을 가지며, 상기 편심형 배플 블록은 상기 배플 플레이트에 끼워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배플홀더는 동심형 배플 블록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면에 형성된 배플홀더와 상기 하면에 형성된 배플홀더는 상기 동심형 배플 블록의 중간 위치에 일치되며, 상기 동심형 배플 블록은 상기 배플 플레이트에 끼워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3178A KR101631009B1 (ko) | 2015-01-09 | 2015-01-09 |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3178A KR101631009B1 (ko) | 2015-01-09 | 2015-01-09 |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31009B1 true KR101631009B1 (ko) | 2016-06-15 |
Family
ID=56135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03178A KR101631009B1 (ko) | 2015-01-09 | 2015-01-09 |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31009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2239B1 (ko) | 2016-07-07 | 2018-05-30 | 주식회사 동희산업 | 플라스틱 연료탱크의 제조방법 |
KR101937183B1 (ko) * | 2018-02-14 | 2019-01-11 | (주)동희산업 | 지지대 일체형 배플 |
WO2019124959A1 (ko) * | 2017-12-19 | 2019-06-27 | 주식회사 동희산업 | 지지대 조립형 배플 |
KR102022557B1 (ko) * | 2018-05-09 | 2019-09-18 | (주)동희산업 | 연료탱크용 배플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62894A (ko) * | 1996-12-30 | 1998-10-07 | 김영귀 | 자동차의 연료탱크 구조 |
JP2008265383A (ja) * | 2007-04-16 | 2008-11-06 | Honda Motor Co Ltd | 車両用燃料タンク構造 |
KR20100135893A (ko) * | 2008-04-10 | 2010-12-27 | 이너지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리서치 (소시에떼 아노님) | 연료탱크 내부에 부품을 체결하는 방법 |
KR101428198B1 (ko) * | 2012-10-16 | 2014-08-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밀폐형 연료탱크의 배플 장치 |
-
2015
- 2015-01-09 KR KR1020150003178A patent/KR10163100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62894A (ko) * | 1996-12-30 | 1998-10-07 | 김영귀 | 자동차의 연료탱크 구조 |
JP2008265383A (ja) * | 2007-04-16 | 2008-11-06 | Honda Motor Co Ltd | 車両用燃料タンク構造 |
KR20100135893A (ko) * | 2008-04-10 | 2010-12-27 | 이너지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리서치 (소시에떼 아노님) | 연료탱크 내부에 부품을 체결하는 방법 |
KR101428198B1 (ko) * | 2012-10-16 | 2014-08-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밀폐형 연료탱크의 배플 장치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2239B1 (ko) | 2016-07-07 | 2018-05-30 | 주식회사 동희산업 | 플라스틱 연료탱크의 제조방법 |
WO2019124959A1 (ko) * | 2017-12-19 | 2019-06-27 | 주식회사 동희산업 | 지지대 조립형 배플 |
KR20190073658A (ko) * | 2017-12-19 | 2019-06-27 | 주식회사 동희산업 | 지지대 조립형 배플 |
KR101994268B1 (ko) * | 2017-12-19 | 2019-06-28 | (주)동희산업 | 지지대 조립형 배플 |
EP3711998A4 (en) * | 2017-12-19 | 2021-09-22 | Dong Hee Industrial Co., Ltd. | BRACKET ASSEMBLY TYPE DEFLECTOR |
US11427077B2 (en) | 2017-12-19 | 2022-08-30 | Dong Hee Industrial Co., Ltd. | Support assembly type baffle |
KR101937183B1 (ko) * | 2018-02-14 | 2019-01-11 | (주)동희산업 | 지지대 일체형 배플 |
KR102022557B1 (ko) * | 2018-05-09 | 2019-09-18 | (주)동희산업 | 연료탱크용 배플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1009B1 (ko) | 가압 융착식 연료탱크 배플 유닛 | |
KR101072627B1 (ko) | 전자 개폐기의 가동접점 조립체 | |
US8839808B2 (en) | Assembling structure of actuator part of fluid control valve, and fluid control valve formed with the structure | |
CN103515152A (zh) | 电磁开关装置 | |
CN101151484A (zh) | 用于可扩容气体或流体分配系统的压力计 | |
JP2019506579A (ja) | ボール弁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WO2015146087A1 (ja) | 空調装置 | |
JP6112102B2 (ja) | 燃料タンク及び燃料タンク製造方法 | |
KR20140113606A (ko) | 다축 코어 인서트를 구비한 사출 몰드 | |
KR102621556B1 (ko) | 자동차용 연료탱크 강성 보강 장치 | |
KR20240033203A (ko) | 암형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 |
JP6037940B2 (ja) | 吐出容器 | |
KR20110095871A (ko) | 에어댐퍼 | |
KR20170087405A (ko) | 공기압축기의 개선된 실린더 공기 배출 구조 | |
JP6743800B2 (ja) | 負圧式倍力装置 | |
JP5714860B2 (ja) | 復水トラップ用弁要素および復水トラップ | |
JP6071731B2 (ja) | スタッド収納管の弁構造 | |
KR20170086403A (ko) | 공기압축기의 개선된 실린더 공기 배출 구조 | |
JP3655151B2 (ja) | フィルタ付きホースコネクタ | |
CN209993550U (zh) | 新型动触头组件及继电器 | |
JP2007064245A (ja) | エアダンパ | |
JP6531003B2 (ja) | 吐出器 | |
JP2019052740A (ja) | 圧力制御弁 | |
CN110265264B (zh) | 新型动触头组件及继电器 | |
KR102249570B1 (ko) | 가스 터빈의 분해 조립 방법, 시일판 조립체 및 가스 터빈 로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