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338B1 -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338B1
KR101630338B1 KR1020090135928A KR20090135928A KR101630338B1 KR 101630338 B1 KR101630338 B1 KR 101630338B1 KR 1020090135928 A KR1020090135928 A KR 1020090135928A KR 20090135928 A KR20090135928 A KR 20090135928A KR 101630338 B1 KR101630338 B1 KR 101630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frequency
frequency
lvds
cloc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5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8987A (ko
Inventor
전재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5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338B1/ko
Publication of KR20110078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8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8Timing circuits for raster scan display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7/00Modulating pulses with a continuously-variable modulating signal
    • H03K7/02Amplitude modulation, i.e. PA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6Handl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s [EMI], covering emitted as well as received electromagnetic radi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4Use of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for display data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 스펙트럼(Spread Spectrum) 변환 비율을 단계적으로 변환하여 전자기적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부 시스템으로부터의 영상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LVDS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LVDS 전송부; 상기 LVDS 전송부로부터의 영상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TTL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LVDS 수신부; 제 1 클럭 주파수의 확장 스펙트럼 변환 비율을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단계적으로 확장 변환시켜 단계적으로 확장 변환된 제 2 클럭 주파수를 출력하는 주파수 변환부; 상기 확장 변환된 제 2 클럭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LVDS 수신부의 신호를 타이밍 포맷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영상 표시패널을 구동시키는 드라이브 집적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135928
확장 스펙트럼(Spread Spectrum), LVDS, EMI,

Description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DRIVING CIRCUIT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확장 스펙트럼(Spread Spectrum) 변환 비율을 단계적으로 변환하여 전자기적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상 표시장치는 보다 만족스러운 화면을 구현하기 위하여 고 주파수와 고 해상도를 갖도록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영상 표시장치 중 액정 표시장치의 경우는 XGA급 이상의 모듈에 있어서 전자기적 간섭(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문제와 전송 매체를 통한 노이즈 문제 및 데이터 전송 수의 제약으로 인한 고해상도 구현상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근래에는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 기술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나 제어 신호들을 전송하기도 하는데, LVDS 인터페이스 기술은 상기의 영상 데이터나 제어 신호 등을 LVDS 신호로 변환 전송하는 기술이다. 구체적으로, LVDS 인터페이스 방법은 TTL 신호를 LVDS 신호로 변환하여 공급한 후, 다시 LVDS 신호를 TTL 신호로 변환하여 타이밍 포맷하게 되며, 이렇게 포맷된 데이터나 제어신호들은 별도의 드라이브 집적회로로 공급될 수 있다.
하지만, LVDS 인터페이스 기술은 고주파 TTL 신호로 인터페이스 되므로 EMI의 발생이 쉽고 노이즈에 영향받기 쉽다. 또한, 많은 수의 데이터 전송라인이 형성되므로 EMI 문제가 야기되기 때문에 EMI를 방지하기 위한 부품의 추가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 이용된 EMI 감소 기술 중 하나가 확장 스펙트럼 방법이다.
종래의 확장 스펙트럼 방법은 고주파의 클럭 신호에서 방사되는 전자기파 에너지를 특정한 밴드 갭(Band width) 에서 확산 시켜 피크 파워(Peak Power)를 줄임으로써 EMI를 감소 시키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주파수 변환비율(Modulation Rate)이 크고, 변환 주파수(Modulation Frequency)가 작을 수록 더 큰 EMI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주파수 변환비율이 크면 드라이브 집적회로 구동시 셋업(Setup) 및 홀딩(hold) 시간이 줄어들게 되고, 변환 주파수를 감소시키면 데이터 송/수신부 간의 버퍼(Buffer) 크기가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확장 스펙트럼 변환비율을 단계적으로 변환하여 전자기적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의 영상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LVDS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LVDS 전송부; 상기 LVDS 전송부로부터의 영상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TTL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LVDS 수신부; 제 1 클럭 주파수의 확장 스펙트럼 변환 비율을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단계적으로 확장 변환시켜 단계적으로 확장 변환된 제 2 클럭 주파수를 출력하는 주파수 변환부; 상기 확장 변환된 제 2 클럭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LVDS 수신부의 신호를 타이밍 포맷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영상 표시패널을 구동시키는 드라이브 집적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파수 변환기는 사용자로부터의 옵셋 정보 및 필요에 따라 파형이 변조된 기준 클럭펄스를 생성하거나 상기 제 1 클럭 주파수의 파형을 변조시켜서 출력하는 펄스 변환 생성부, 상기 옵셋 정보에 따라 기준 주파수를 발생하거나 미리 설정된 주파수를 변조하는 주파수 설정부 및 상기 제 1 클럭 주파수 또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기준 클럭펄스 중 어느 하나의 확장 스펙트럼 변환 비율을 상기 옵 셋 정보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변환시켜 상기 복수의 단계로 확장 변환된 제 2 클럭 주파수를 출력하는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기는 상기 변조되는 제 1 클럭 주파수의 진폭을 단계별로 설정한 상기 옵셋 정보에 따라 상기의 제 1 클럭 주파수의 진폭을 적어도 한 주기 단위로 순차 변조하여 그 진폭이 단계적으로 변조된 상기 제 2 클럭 주파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기는 상기 옵셋 정보에 포함된 최대 진폭 값에 따라 상기 제 2 클럭 주파수 진폭을 적어도 한 주기 단위로 최대 진폭 값, 0.3 진폭 값, 0.6 진폭 값, 0.9 진폭 값으로 순차 반복해서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클럭 주파수의 파형은 구형파, 사인파, 삼각파 또는 허쉬 키스파형 중 어느 하나의 파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외부 시스템으로부터의 영상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LVDS 신호로 변환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영상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TTL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단계; 제 1 클럭 주파수의 확장 스펙트럼 변환 비율을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단계적으로 확장 변환시켜 단계적으로 확장 변환된 제 2 클럭 주파수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확장 변환된 제 2 클럭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LVDS 수신부의 신호를 타이밍 포맷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밍 포맷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영상 표시패널을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변환된 제 2 클럭 주파수 출력단계는 사용자로부터의 옵셋 정보 및 필요에 따라 파형이 변조된 기준 클럭펄스를 생성하거나 상기 제 1 클럭 주파수의 파형을 변조시켜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옵셋 정보에 따라 기준 주파수를 발생하거나 미리 설정된 주파수를 변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클럭 주파수 또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기준 클럭펄스 중 어느 하나의 확장 스펙트럼 변환 비율을 상기 옵셋 정보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변환시켜 상기 복수의 단계로 확장 변환된 제 2 클럭 주파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클럭 주파수 출력단계는 상기 변조되는 제 1 클럭 주파수의 진폭을 단계별로 설정한 상기 옵셋 정보에 따라 상기의 제 1 클럭 주파수의 진폭을 적어도 한 주기 단위로 순차 변조하여 그 진폭이 단계적으로 변조된 상기 제 2 클럭 주파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클럭 주파수 출력단계는 상기 옵셋 정보에 포함된 최대 진폭 값에 따라 상기 제 2 클럭 주파수 진폭을 적어도 한 주기 단위로 최대 진폭 값, 0.3 진폭 값, 0.6 진폭 값, 0.9 진폭 값으로 순차 반복해서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은 확장 스펙트럼 변환 비율을 단계적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전자기적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특징 및 효과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영상 표시장치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의 영상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LVDS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LVDS 전송부(100); LVDS 전송부(100)로부터의 영상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TTL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LVDS 수신부(200); 제 1 클럭 주파수(CKIN)의 확장 스펙트럼 변환 비율을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단계적으로 변환시켜 단계적으로 확장 변환된 제 2 클럭 주파수(SCKIN)를 출력하는 주파수 변환부(300); 확장 변환된 제 2 클럭 주파수(SCKIN)를 이용하여 LVDS 수신부의 신호를 타이밍 포맷하는 타이밍 컨트롤러(400); 및 타이밍 컨트롤러(400)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영상 표시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드라이브 집적회로(500)를 구비한다.
주파수 변환부(300)는 확장 스펙트럼(Spread Spectrum) 방식을 적용한 것으로 LVDS 전송부(100)로부터 입력되거나, 자체적으로 생성한 제 1 클럭 주파수(CKIN)를 사용자로부터의 설정 즉, 옵셋 정보(Offset)에 따라 단계적으로 확산 변환시킨다. 그리고 단계적으로 확산 변환된 제 2 클럭 주파수(SCKIN)를 이용하여 드라이브 집적회로(500)로 공급되는 TTL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넓혀 주파수를 분산 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특정 주파수대에 에너지가 집중되어 EMI 기준치를 초과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주파수 변환부(300)로부터 확산 변환된 제 2 클럭 주파수(SCKIN)를 이용하여 타이밍 포맷된 TTL 신호, 즉 영상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신호를 드라이브 집적회로(500)로 출력하는 타이밍 컨트롤러(40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타이밍 컨트롤러(400)는 LVDS 수신부(200)로부터 영상 데이터나 제어 신호들을 입력받아 저장 및 출력하는 제 1 메모리부(410), 및 상기 주파수 변환부(300)로부터의 확산 변환된 제 2 클럭 주파수(SCKIN)를 이용하여 제 1 메모리부(410)로부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나 제어신호들을 타이밍 포맷하여 다시 저장하는 제 2 메모리부(42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영상 표시장치의 구성과 그 동작들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TTL 신호가 LVDS 신호로 변화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영상 표시패널로 공급되어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영상 데이터는 3색 즉, 적색(R), 녹색(G) 및 청색(B)에 대한 각 8비트씩의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8비트 씩의 3색 영상 데이터들은 24라인의 TTL 신호 전송라인을 통해 LVDS 전송부(100)를 구성하는 TTL-TO-LVDS 변환기(110)로 인가된다.
그리고 제어 신호는 수평동기신호(Hsync), 수직동기신호(V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및 클럭신호(CLK)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4라인 이상의 해당 TTL 신호 전송라인을 통하여 TTL-TO-LVDS 변환기(110)로 인가되고, 이들 중 클럭신호 CLK는 위상동기루프(Phase Locked Loop, 이하 'PLL'이라 함)(120)에 인가된다.
PLL(120)은 TTL-TO-LVDS 변환기(110)로 동작을 위한 기준 클럭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기준 클럭은 입력된 클럭신호(CLK)에 동기된 것이다. TTL-TO-LVDS 변환기(110)는 기준 클럭을 이용하여 TTL 신호를 LVDS 신호로 변환하고, TTL-TO-LVDS 변환기(110)는 복수의 버퍼(130a,130b,130c)를 통하여 각 전송 라인별로 전송될 LVDS 신호 IN0, IN1 및 IN2를 출력한다. 그리고 PLL(120)도 클럭 신호(CLK)를 LVDS 신호로 변환하여 어느 한 버퍼(130d)를 통하여 클럭 신호(CKIN)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LVDS 신호가 TTL 신호로 변화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IN0, IN1, IN2를 통하여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LVDS 신호는 복수의 버퍼(210a,210b,210c)를 통하여 LVDS-TO-TTL 변환기(220)로 입력되고, LVDS 변환되었던 클럭 신호(CKIN) 또한 어느 하나의 버퍼(210d)를 통하여 PLL(230)로 입력된다. 그러면 PLL(230)에서 TTL 신호로 기준 신호가 LVDS-TO-TTL 변환기(220)에 제공되고, LVDS-TO-TTL 변환기(220)는 입력된 LVDS 신호를 TTL 신호로 변환하여 해당 전송라인으로 출력한다. 그러면 TTL 신호로써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24비트의 데이터와 각 제어 신호가 TTL 전송라인으로 전송되고, 클럭 신호(CLK)도 PLL(230)에서 출력되어 해당 TTL 전송라인을 통하여 전송된다.
이와 같이, LVDS 전송부(100)로부터 전송된 LVDS 신호를 LVDS 수신부(200)에서 TTL 신호로 변환하고, 이 상태에서 타이밍 컨트롤러(400)에서 영상 표시패널(미도시)을 구동하기 위한 컨트롤이 이루어진다.
이때, LVDS 수신부(200)에서 변환된 TTL 신호들은 타이밍 컨트롤러(400)의 제 1 메모리부(410)에 저장되고, TTL-TO-LVDS 변환기(110)에서 변환된 클럭 신호(CKIN)는 주파수 변환기(300)를 통해 옵셋 정보(Offset)에 따라 단계적으로 확산 변환시킨다. 그리고 단계적으로 확산 변환된 제 2 클럭 주파수(SCKIN)를 다시 타이밍 컨트롤러(400)로 공급하여, 제 1 메모리부(410)에 저장된 신호들을 단계적으로 확산 변환된 제 2 클럭 주파수(SCKIN)에 동기하여 타이밍 포맷 함으로써 영상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들로 재배열한다.
도 4는 도 1의 주파수 변환기를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주파수 변환기(300)는 사용자로부터의 옵셋 정보 및 필요에 따라 파형이 변조된 기준 클럭펄스(MCLK)를 생성하거나 상기 제 1 클럭 주파수(CKIN)의 파형을 변조시켜서 출력하는 펄스 변환 생성부(320), 상기 옵셋 정보에 따라 기준 주파수(Rfer)를 발생하거나 미리 설정된 주파수를 변조하는 주파수 설정부(310), 상기 제 1 클럭 주파수(CKIN) 또는 펄스 변환 생성부(320)등의 외부로부터 입력된 기준 클럭펄스(MCLK) 중 어느 하나의 확장 스펙트럼 변환 비율을 상기 옵셋 정보(Offset)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변환시켜 상기 복수의 단계로 확장 변환된 제 2 클럭 주파수(SCKIN)를 출력하는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기(330)를 구비한다.
펄스 변환 생성부(320)는 사용자로부터의 옵셋 정보 및 필요에 따라 파형이 변조된 기준 클럭펄스(MCLK) 즉, 구형파(square wave), 사인파(sine wave), 삼각파(triangulay wave) 또는 허쉬 키스파(hershey-kiss wave)형 등의 기준 클럭펄스(MCLK)를 생성하거나 제 1 클럭 주파수(CKIN)의 파형을 상기의 구형파, 사인파, 삼각파 또는 허쉬 키스파형 등으로 변조시킴으로써 기준 클럭펄스(MCLK)를 출력한다. 이때, 펄스 변환 생성부(320)는 주파수 설정부(310)로부터의 기준 주파수(Rfer)에 따라 상기 파형이 변조된 제 1 클럭 주파수(CKIN)를 조절하기도 한다.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기(330)는 구형파, 사인파, 삼각파 또는 허쉬 키스파형 등으로 입력되는 상기의 기준 클럭펄스(MCLK) 또는 제 1 클럭 주파수(CKIN)를 확산 변조 함으로써 확산 스펙트럼 클럭신호 즉, 확장 변환된 제 2 클럭 주파수(SCKIN)를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 1 클럭 주파수(CKIN)를 확산 변조하는 경우만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기(330)는 상기의 제 1 클럭 주파수(CKIN)의 펄스 폭 또는 진폭을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옵셋 정보(Offset)에 따라 변조하게 된다. 예를 들어, 옵셋 정보(0ffset)가 상기 변조되는 제 1 클럭 주파수(CKIN)의 최대 진폭을 단계별로 설정한 변조 값인 경우,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기(330)는 상기 변조되는 제 1 클럭 주파수(CKIN)의 진폭을 단계별로 설정한 상기 옵셋 정보(Offset)에 따라 상기의 제 1 클럭 주파수(CKIN)의 진폭을 적어도 한 주기 단위로 순차 변조하여 그 진폭이 단계적으로 변조된 제 2 클럭 주파수(SCKIN)를 출력한다. 즉,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기(330)는 제 1 클럭 주파수(CKIN)의 진폭을 미리 설정된 폭으로 순차 변환시킴으로써 확산 스펙트럼의 변환 비율을 조절한다.
도 5a와 도 5b는 사인파형의 클럭 주파수와 그에 따른 에너지 밀집도를 나타낸 프로파일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인파(Sine)형으로 입력되는 제 2 클럭 주파 수(SCKIN)를 이용하여 TTL 신호로 변환한 경우에는 특정 주파수 대 즉, 도 5b의 1+δfc 주파수대와 1-δfc 주파수대에 에너지(Power)가 집중되어 그 피크치가 EMI 기준치를 초과하는 현상을 보이게 된다. 특히, 사인파(Sine)가 아닌 구형파(square wave)로 입력되는 제 1 클럭 주파수(CKIN)를 그대로 이용한 경우에는 특정 주파수 대 즉, fc 주파수대에 그 피크치가 EMI 기준치를 크게 초과하는 현상을 보이게 된다.
도 6a와 도 6b는 삼각파형의 클럭 주파수와 그에 따른 에너지 밀집도를 나타낸 프로파일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파(triangulay)형으로 입력되는 제 2 클럭 주파수(SCKIN)를 이용하여 TTL 신호로 변환한 경우에는 특정 주파수 대 즉, 도 6b의 1+δfc 주파수대와 1-δfc 주파수대에 에너지가 집중되어 그 피크치가 EMI 기준치를 초과하는 현상을 보이게 된다. 삼각파(triangulay)형의 경우, 그 피크치가 사인파(Sine)형의 피크치 보다 더 낮게 측정되는바, 삼각파(triangulay)형의 제 1 클럭 주파수(CKIN)가 EMI 감소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도 7a와 도 7b는 확장 스펙트럼 변환 비율이 단계적으로 변조되도록 적용된 삼각파형의 클럭 주파수와 그에 따른 에너지 밀집도를 나타낸 프로파일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파(triangulay)형의 제 2 클럭 주파수(SCKIN) 진폭이 적어도 한 주기 단위로 순차 변조되도록 단계별로 적용한 경우, 이를 이용하여 TTL 신호로 변환하면 피크치가 집중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기(330)는 상기 옵셋 정보(Offset)에 포함된 최대 진폭 값(max(δ))에 따라 상기 제 2 클럭 주파수(SCKIN) 진폭을 적어도 한 주기 단위로 최대 진폭 값(maxδ), 0.3 진폭 값(maxδ×0.7), 0.6 진폭 값(maxδ×0.4), 0.9 진폭 값(maxδ×0.1)으로 순차 반복해서 변조할 수 있다. 삼각파형의 제 2 클럭 주파수(SCKIN) 진폭이 적어도 한 주기 단위로 순차 가변 되도록 단계별로 적용한 경우, 도 7b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피크치를 낮추면서도 피크치가 특정 주파수에 밀집되지 않고 분산되도록 한다. 따라서, EMI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a와 도 8b는 확장 스펙트럼 변환 비율이 단계적으로 변조되도록 적용된 허쉬-키스파형의 클럭 주파수와 그에 따른 에너지 밀집도를 나타낸 프로파일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쉬 키스파(hershey-kiss wave)형의 제 2 클럭 주파수(SCKIN) 진폭이 적어도 한 주기 단위로 순차 변조되도록 단계별로 적용한 경우, 이를 이용하여 TTL 신호로 변환하면 피크치가 집중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기(330)는 상기 옵셋 정보(Offset)에 포함된 최대 진폭 값(max(δ))에 따라 상기 제 2 클럭 주파수(SCKIN) 진폭을 적어도 한 주기 단위로 최대 진폭 값(maxδ), 0.3 진폭 값(maxδ×0.7), 0.6 진폭 값(maxδ×0.4), 0.9 진폭 값(maxδ×0.1)으로 순차 반복해서 변조할 수 있다. 변조된 허쉬 키스파형의 제 2 클럭 주파수(SCKIN) 진폭이 적어도 한 주기 단위로 순차 변조되도록 단계별로 적용한 경우, 도 8b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 파형의 경우보다 더 피크치를 낮추면서도 피크치가 특정 주파수에 밀집되지 않고 분산되도록 한다. 이때, 허쉬 키스파(hershey-kiss wave)형의 피크치가 삼각파(triangulay)형의 피크치 보다 더 낮게 측정되는바, 허쉬 키스파(hershey-kiss wave)형의 제 2 클럭 주파수(SCKIN)가 EMI 감소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확산 스펙트럼 방식 즉, 옵셋 정보(Offset)에 따라 단계적으로 확산 변환된 제 2 클럭 주파수(SCKIN)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나 제어 신호들의 에너지를 분산시킴으로써 EMI 개선을 이루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
도 2는 도 1의 LVDS 전송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회로 구성도.
도 3은 도 1의 LVDS 수신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회로 구성도.
도 4는 도 1의 주파수 변환기를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5a와 도 5b는 사인파형의 클럭 주파수와 그에 따른 에너지 밀집도를 나타낸 프로파일.
도 6a와 도 6b는 삼각파형의 클럭 주파수와 그에 따른 에너지 밀집도를 나타낸 프로파일.
도 7a와 도 7b는 확장 스펙트럼 변환 비율이 단계적으로 변조되도록 적용된 삼각파형의 클럭 주파수와 그에 따른 에너지 밀집도를 나타낸 프로파일.
도 8a와 도 8b는 확장 스펙트럼 변환 비율이 단계적으로 변조되도록 적용된 허쉬-키스파형의 클럭 주파수와 그에 따른 에너지 밀집도를 나타낸 프로파일.

Claims (10)

  1. 외부 시스템으로부터의 영상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LVDS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LVDS 전송부;
    상기 LVDS 전송부로부터의 영상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TTL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LVDS 수신부;
    제 1 클럭 주파수의 확장 스펙트럼 변환 비율을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단계적으로 확장 변환시켜 단계적으로 확장 변환된 제 2 클럭 주파수를 출력하는 주파수 변환부;
    상기 확장 변환된 제 2 클럭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LVDS 수신부의 신호를 타이밍 포맷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영상 표시패널을 구동시키는 드라이브 집적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주파수 변환부는,
    사용자로부터의 옵셋 정보에 따라 파형이 변조된 기준 클럭펄스를 생성하거나 상기 제 1 클럭 주파수의 파형을 변조시켜서 출력하는 펄스 변환 생성부,
    상기 옵셋 정보에 따라 기준 주파수를 발생하거나 미리 설정된 주파수를 변조하는 주파수 설정부, 및
    상기 제 1 클럭 주파수 또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기준 클럭펄스 중 어느 하나의 확장 스펙트럼 변환 비율을 상기 옵셋 정보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변환시켜 상기 복수의 단계로 확장 변환된 제 2 클럭 주파수를 출력하는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기를 구비한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기는
    상기 변조되는 제 1 클럭 주파수의 진폭을 단계별로 설정한 상기 옵셋 정보에 따라 상기의 제 1 클럭 주파수의 진폭을 적어도 한 주기 단위로 순차 변조하여 그 진폭이 단계적으로 변조된 상기 제 2 클럭 주파수를 출력하는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기는
    상기 옵셋 정보에 포함된 최대 진폭 값에 따라 상기 제 2 클럭 주파수 진폭을 적어도 한 주기 단위로 최대 진폭 값 및 최대 진폭 값보다 작은 복수의 진폭 값으로 순차 반복해서 변조하는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럭 주파수의 파형은
    구형파, 사인파, 삼각파 또는 허쉬 키스파형 중 어느 하나의 파형인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6. 외부 시스템으로부터의 영상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LVDS 신호로 변환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영상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TTL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단계;
    제 1 클럭 주파수의 확장 스펙트럼 변환 비율을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단계적으로 확장 변환시켜 단계적으로 확장 변환된 제 2 클럭 주파수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확장 변환된 제 2 클럭 주파수를 이용하여 LVDS 수신부의 신호를 타이밍 포맷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밍 포맷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영상 표시패널을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 변환된 제 2 클럭 주파수 출력단계는
    사용자로부터의 옵셋 정보에 따라 파형이 변조된 기준 클럭펄스를 생성하거나 상기 제 1 클럭 주파수의 파형을 변조시켜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옵셋 정보에 따라 기준 주파수를 발생하거나 미리 설정된 주파수를 변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클럭 주파수 또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기준 클럭펄스 중 어느 하나의 확장 스펙트럼 변환 비율을 상기 옵셋 정보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변환시켜 상기 복수의 단계로 확장 변환된 제 2 클럭 주파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클럭 주파수 출력단계는
    상기 변조되는 제 1 클럭 주파수의 진폭을 단계별로 설정한 상기 옵셋 정보에 따라 상기의 제 1 클럭 주파수의 진폭을 적어도 한 주기 단위로 순차 변조하여 그 진폭이 단계적으로 변조된 상기 제 2 클럭 주파수를 출력하는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클럭 주파수 출력단계는
    상기 옵셋 정보에 포함된 최대 진폭 값에 따라 상기 제 2 클럭 주파수 진폭을 적어도 한 주기 단위로 최대 진폭 값, 0.3 진폭 값, 0.6 진폭 값, 0.9 진폭 값으로 순차 반복해서 변조하는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럭 주파수의 파형은
    구형파, 사인파, 삼각파 또는 허쉬 키스파형 중 어느 하나의 파형인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20090135928A 2009-12-31 2009-12-31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630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928A KR101630338B1 (ko) 2009-12-31 2009-12-31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928A KR101630338B1 (ko) 2009-12-31 2009-12-31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987A KR20110078987A (ko) 2011-07-07
KR101630338B1 true KR101630338B1 (ko) 2016-06-24

Family

ID=44918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5928A KR101630338B1 (ko) 2009-12-31 2009-12-31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3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293B1 (ko) 2014-11-12 2016-05-11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전원 반도체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US9531349B2 (en) * 2015-01-22 2016-12-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adiated EMI using interleaved frequency switching
CN107040320B (zh) * 2017-05-18 2019-12-27 深圳市共进电子股份有限公司 互联网接入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6536A (ja) * 2004-02-18 2005-09-02 Nippon Precision Circuits Inc 分散変調型クロック発生回路
JP2006024110A (ja) 2004-07-09 2006-01-26 Nec Micro Systems Ltd スプレッドスペクトラムクロック生成器及びその変調方法
KR100778374B1 (ko) 2007-02-16 2007-11-2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확산비율 조절가능 대역 확산 클록 발생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673B1 (ko) * 2001-12-29 2008-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디스플레이장치 및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6536A (ja) * 2004-02-18 2005-09-02 Nippon Precision Circuits Inc 分散変調型クロック発生回路
JP2006024110A (ja) 2004-07-09 2006-01-26 Nec Micro Systems Ltd スプレッドスペクトラムクロック生成器及びその変調方法
KR100778374B1 (ko) 2007-02-16 2007-11-2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확산비율 조절가능 대역 확산 클록 발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987A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1921B1 (ko)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JP5144734B2 (ja) クロック信号がエンベッディングされた単一レベルのデータ伝送を利用したディスプレイ駆動システム
KR101859219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6720943B1 (en) Data interface device
US20140232713A1 (en) Display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panel
KR20090076603A (ko) 타이밍 컨트롤러,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방법 및 이를갖는 표시장치
KR20160087456A (ko) 타이밍 컨트롤러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07072440A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回路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521576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신호 전송 방법
KR20180078858A (ko)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630338B1 (ko)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434312B1 (ko) 타이밍 컨트롤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9054939B2 (en) Method of processing data and a display apparatus performing the method
WO2006100873A1 (ja) デジタル映像伝送装置
US7876130B2 (en) Data transmitting device and data receiving device
US20180357969A1 (en) Method of eliminating ripples caused by lvds spread spectrum
US6549317B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image signals
JP2006106331A (ja) 負荷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てなるled表示装置
KR20170065088A (ko) 표시장치, 표시장치의 스프레드 스펙트럼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840673B1 (ko) 평판디스플레이장치 및 구동방법
KR101030539B1 (ko) 액정표시장치
US9412293B2 (en) Digital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digital data transmission method
KR20050031626A (ko) 평판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US8565284B2 (en) Spread spectrum clock generator and method
TW200933581A (en) Impuls-type driving method and circu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