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166B1 - 방사능 누출 방지구를 갖는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 - Google Patents

방사능 누출 방지구를 갖는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166B1
KR101630166B1 KR1020150099187A KR20150099187A KR101630166B1 KR 101630166 B1 KR101630166 B1 KR 101630166B1 KR 1020150099187 A KR1020150099187 A KR 1020150099187A KR 20150099187 A KR20150099187 A KR 20150099187A KR 101630166 B1 KR101630166 B1 KR 101630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liner
bolt
leakage preventing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곤
양윤식
백호식
김경목
허원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9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1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6Details of, or accessories to, the containers
    • G21F5/12Closures for containers; 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능 누출 방지구를 갖는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벽면의 수직인 양측이 각각 맞대어져 내측으로 하부공간부가 제공되는 하부차폐부와; 상부벽면의 수직인 양측이 각각 맞대어지며, 천정면에 의하여 내측으로 상부공간부가 제공되는 상부차폐부와; 상기 상부벽면에 구비된 볼트 방사능 누출방지구; 및 상기 하부차폐부의 하단부와 상부차폐부의 상단부 사이에 구비된 벽체 방사능 누출방지구로 구비되고, 상기 벽체 방사능 누출방지구는 상기 하부차폐부의 상단부에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요부 라이너부와; 상기 상부차폐부의 하단부에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요부 라이너부와 맞물리게 구비된 철부 라이너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장기간 사용에 따른 진동 및 변형 등으로 인하여 볼팅된 부분에 유격이 발생되더라도 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방사능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하부차폐부와 상부차폐부 사이가 각각 요부라이너와 철부라이너에 의하여 맞물려진 상태가 유지되어 방사능이 외부로 더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사능 누출 방지구를 갖는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MOBILE RADIATION SHIELDING ROOM WITH A RADIOACTIVE LEAKAGE PROTECTION DEVICE}
본 발명은 방사능 누출 방지구를 갖는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부차폐부에 볼트 방사능 누출방지구가 구비되어 장기간 사용 과정에서 차폐체의 변형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틈새를 통해 방사능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하부차폐부와 상부차폐부 사이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방사능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 의료기기, 비파괴검사 등 많은 분야에서 방사선이 발생되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많은 량의 방사선이 외부로 누출된다.
엑스선이 투시될 때 발생하는 방사선은 인체에 매우 유해하며 일정한 시간 이상 방사선에 피폭되면 인체의 유전자 또는 세포변형을 일으켜 백혈병이나 암 등 각종 질병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러한 질병은 유전적인 변이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렇게 방사선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질병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는 방사선을 차단하는 시설이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방사선을 차단하는 시설은 콘크리트와 스틸판의 차폐벽을 갖는 고정식 차폐건물을 이용하게 되는데 고정식 차폐 건물의 내부에 방사선 발생부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작동시켜 전원이 인가되면 그에 따라서 엑스선을 포함한 방사선이 발생한다. 이때, 고밀도의 검사를 하기 위해서는 두꺼운 차폐벽이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방사선의 효과적인 차단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후 설치된 고정식 차폐 건물을 다른 장소로 이동하고자 할 때, 두꺼운 벽을 가진 고정식 차폐 건물을 이동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고, 기존의 고정식 차폐 건물을 철거하고 새로운 차폐 건물을 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식 차폐 건물을 철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건축 폐기물로 인하여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동식 차폐체(건물)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차폐체는 내부로 공간이 제공되는 상부 차폐체가 상부 차폐체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하부 차폐체의 상부에 얹혀진 상태로 구비되고, 상부 차폐체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볼팅이 구비되도록 한 것으로 고정식 차폐 건물에 비해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가운데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동식 차폐체는 장기간 사용 과정에서 차폐체의 변형으로 인하여 볼팅된 부분에 유격이 발생되는 원인이 있었고, 이러한 원인으로 인하여 볼팅된 부분의 유격 즉, 틈새를 통해 내부로부터 외부로 방사능이 누출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부 구조물의 상부로 얹혀지는 상부 구조물 사이에 조립오차로 인한 간격 즉, 틈새를 통해 방사능이 외부로 누출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주변환경이 더 오염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10-2009-0050375(2009.05.20)
본 발명은 이동식 차폐체를 장기간 사용하는 과정에서 차폐체(구조물)의 변형으로 인한 각각의 볼팅된 부분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고, 유격이 발생된 경우라도 유격으로 인한 틈새를 통해 방사능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조립오차로 인한 넓어진 틈새를 통해 방사능이 외부로 더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고도 쾌적한 주변환경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벽면의 수직인 양측이 각각 맞대어져 내측으로 하부공간부가 제공되는 하부차폐부와; 상부벽면의 수직인 양측이 각각 맞대어지며, 천정면에 의하여 내측으로 상부공간부가 제공되는 상부차폐부와; 상기 상부벽면에 구비된 볼트 방사능 누출방지구; 및 상기 하부차폐부의 하단부와 상부차폐부의 상단부 사이에 구비된 벽체 방사능 누출방지구로 구비되고, 상기 벽체 방사능 누출방지구는 상기 하부차폐부의 상단부에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요부 라이너부와; 상기 상부차폐부의 하단부에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요부 라이너부와 맞물리게 구비된 철부 라이너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벽면은 콘크리트벽체의 양측면에 인너판재와 아우터판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너판재는 60~70mm의 두께를 갖는 스틸로 구비되고, 상기 아우터판재는 3.5~5.5mm의 두께를 갖는 스틸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벽면은 리드패널의 양측에 각각 스틸패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트 방사능 누출방지구는 상부벽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홀의 외측에 헤드캡이 맞대어져 스폿용접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헤드캡은 관통홀에 중심이 일치되는 캡홈이 형성된 캡몸체로 구비되고, 상기 캡홈은 원형 또는 육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트 방사능 누출 방지구는 상부벽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홀의 외측으로 볼트 헤드 안착링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볼트 헤드 안착링의 외주연부에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숫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암나사캡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요부 라이너부와 철부 라이너부 사이의 간격은 4~6mm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부차폐부에 구비된 볼팅의 헤드부분이 헤드캡으로 씌워지도록 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에 따른 진동 및 변형 등으로 인하여 볼팅된 부분에 유격이 발생되더라도 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방사능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차폐부와 상부차폐부 사이가 각각 요부라이너와 철부라이너에 의하여 맞물려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방사능이 외부로 더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주변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쾌적하고도 안전한 주변환경을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능 누출 방지구를 갖는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에 구비된 방사능 노출 방지구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에 구비된 방사능 노출 방지구의 요부 종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에 구비된 방사능 노출 방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에 구비된 방사능 노출 방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방사능 누출 방지구를 갖는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는 보일러 압력부의 제조 과정에 있어 방사능을 이용한 비파괴검사를 통해 결함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장소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잦은 이동으로 인한 각각의 볼팅된 부분에 유격이 발생되더라도 외부로 방사능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하며 안전한 주변환경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능 누출 방지구를 갖는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에 구비된 방사능 노출 방지구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에 구비된 방사능 노출 방지구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능 누출 방지구를 갖는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차폐부(10), 상부차폐부(20), 볼트 방사능 누출방지구(30) 및 벽체 방사능 누출방지구(40)로 구비되어 볼트와 벽체 사이를 통해 외부로 방사능이 누출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하부차폐부(10)는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에 있어 상부가 안정되게 지지됨과 동시에 내부로 소정의 공간이 제공되며, 외부로 방사능이 직접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하부차폐부(10)는 다수개로 이루어진 하부벽면(111)의 수직인 양측이 각각 맞대어진 상태로 결합됨에 따라 결합된 각각의 하부벽면(111)의 내측으로 사각형태의 하부공간부(100)가 제공될 수 있게 구비되어 방사능을 이용한 비파괴검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전방과 후방 또는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시험하고자 하는 제품의 인,입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인,입출구(E)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부벽면(111)은 방사능이 직접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콘크리트벽체(C)의 양측면에 인너판재(P1)과 아우터판재(P2)가 커버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콘크리트벽체(C)의 두께는 약 300mm의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인너판재(P1)는 스틸로 이루어진 것으로 60~70mm의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인너판재(P1)의 두께는 특히, 65mm의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아우터판재(P2)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콘크리트벽체(C)의 표면이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3.5~5.5mm의 두께를 갖는 스틸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아우터판재(P2)의 두께는 특히, 4.5mm의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발람직하다. 이러한 하부차폐부(10)는 최대 50ton의 하중을 갖게 된다.
상기 상부차폐부(20)는 하부차폐부(10)와 거의 동일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 다수개로 이루어진 상부벽면(211)의 수직인 양측이 각각 맞대어지며, 각각 4각형태를 갖도록 맞대어진 상부벽면(211)의 상부에 별도의 천정면(212)이 얹혀지도록 구비되어 4개의 상부벽면(211)의 내측과 천정면(211)의 내측이 제공되는 하부의 내측방향으로 상부공간부(200)가 제공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부벽면(211) 또한 하부벽면(111)가 마찬가지로 상부공간부(200)에서 외부를 향하여 방사능이 직접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3겹의 패널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상부벽면(211)은 가운데의 리드패널(LP)의 양측면에 각각 스틸패널(SP)이 구비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함은 물론 방사능이 더 차단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부차폐부(20)는 20ton의 하중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리프패널(LP)는 23mm의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의 스틸패널(SP)은 4.5mm의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트 방사능 누출방지구(30)는 상부벽면(211)에 구비되어 상부공간부(200)로부터 발생된 방사능이 넓어진 관통홀(H)을 통해 외부로 지속적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상부벽면(211)을 수평되게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홀(H)의 외측에 헤드캡(31)이 맞대어져 스폿용접으로 결합되어있다. 즉, 관통홀(H)이 형성된 외측면이 헤드캡(31)에 의하여 가려져 있음으로써, 외부로 볼트헤드(BH)가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변형 등에 의하여 볼트몸체(BB)와 관통홀(H) 사이에 발생된 간격도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헤드캡(31)은 볼트헤드(BH)가 감싸여질 수 있게 구비된 것으로 관통홀(H)에 중심이 일치되는 캡홈(312)이 형성된 캡몸체(311)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개 캡홈(312)는 볼트헤드(BH)의 형태인 육각홈의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캡홈(312)가 육각홈의 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나, 육각홈의 형태 이외에 원형태를 갖도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육각홈의 형태를 갖는 캡홈(312)은 볼트머리에 일치되게 맞춘 상태에서 끼워 조립되도록 하는 반면, 원형태의 홈은 볼트머리의 위치에 상관 없이 중심만 일치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벽체 방사능 누출방지구(40)는 하부차폐부(10)와 상부차폐부(20)가 맞대어지는 사이에서 발생되는 틈 또는 간격을 통해 내부공간부(100) 또는 상부공간부(200)에서 발생된 방사능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벽체 방사능 누출방지구(40)는 다수개의 하부벽면(111)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하부차폐부(10)의 상단부에 가장자리를 따라 요부 라이너부(41)가 형성되고, 다수개의 상부벽면(211)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상부차폐부(10)의 하단부에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요부 라이너(41)에 맞물리는 형태를 갖는 철부 라이너부(42)로 구되어 수직 틈새의 상하부로 각각 수평 틈새가 내,외측을 향하여 형성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요부 라이너부(41)와 철부 라이너부(42) 사이의 간격은 4~6mm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5mm를 갖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에 구비된 방사능 노출 방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에 구비된 방사능 노출 방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볼트 방사능 누출 방지구(30)가 상부벽면(211)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홀(H)의 외측으로 캡홈(312)을 갖는 캡몸체(311)로 이루어진 헤드캡(31)이 맞대어져 스폿용접으로 결합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 방사능 누출 방지구(30)가 상부벽면(211)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홀(H)의 외측으로 볼트 헤드 안착링(33)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볼트 헤드 안착링(33)의 외주연부에 숫나사부(331)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숫나사부(331)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341)가 형성된 암나사캡(34)이 구비되어 나사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경우에 따라 분리를 시키고자 할 경우, 암나사캡(34)만을 분리하면 그 내부로 구비된 볼트를 풀어 해체가 가능하게 된다.
10:하부차폐부 20:상부차폐부
30:볼트 방사능 누출방지구 31:헤드캡
40:벽체 방사능 누출방지구 41:요부 라이너부
42:철부 라이너부 100:하부공간부
111:하부벽면 200:상부공간부
211:상부벽면 212:천정면
311:캡몸체 312:캡홈
C:콘크리트벽체 H:관통홀
LP:리드패널 P1:인너판재
P2:아우터판재 SP:스틸패널

Claims (8)

  1. 하부벽면의 수직인 양측이 각각 맞대어져 내측으로 하부공간부가 제공되는 하부차폐부와;
    상부벽면의 수직인 양측이 각각 맞대어지며, 천정면에 의하여 내측으로 상부공간부가 제공되는 상부차폐부와;
    상기 상부벽면에 구비된 볼트 방사능 누출방지구; 및
    상기 하부차폐부의 하단부와 상부차폐부의 상단부 사이에 구비된 벽체 방사능 누출방지구로 구비되고,
    상기 벽체 방사능 누출방지구는 상기 하부차폐부의 상단부에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요부 라이너부와; 상기 상부차폐부의 하단부에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요부 라이너부와 맞물리게 구비된 철부 라이너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누출 방지구를 갖는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벽면은 콘크리트벽체의 양측면에 인너판재와 아우터판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누출 방지구를 갖는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판재는 60~70mm의 두께를 갖는 스틸로 구비되고, 상기 아우터판재는 3.5~5.5mm의 두께를 갖는 스틸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누출 방지구를 갖는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면은 리드패널의 양측에 각각 스틸패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누출 방지구를 갖는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방사능 누출방지구는 상부벽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홀의 외측에 헤드캡이 맞대어져 스폿용접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헤드캡은 관통홀에 중심이 일치되는 캡홈이 형성된 캡몸체로 구비되고, 상기 캡홈은 원형 또는 육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누출 방지구를 갖는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방사능 누출 방지구는 상부벽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홀의 외측으로 볼트 헤드 안착링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볼트 헤드 안착링의 외주연부에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숫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암나사캡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누출 방지구를 갖는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 라이너부와 철부 라이너부 사이의 간격은 4~6mm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누출 방지구를 갖는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
KR1020150099187A 2015-07-13 2015-07-13 방사능 누출 방지구를 갖는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 KR101630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187A KR101630166B1 (ko) 2015-07-13 2015-07-13 방사능 누출 방지구를 갖는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187A KR101630166B1 (ko) 2015-07-13 2015-07-13 방사능 누출 방지구를 갖는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0166B1 true KR101630166B1 (ko) 2016-06-14

Family

ID=56192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187A KR101630166B1 (ko) 2015-07-13 2015-07-13 방사능 누출 방지구를 갖는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1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191A (ko) * 2002-04-29 2003-11-05 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성 폐기물 저장용기
WO2007032787A2 (en) * 2005-05-16 2007-03-22 Mallinckrodt Inc. Radiation-shielding container having status-indicative labeling system
KR20090050375A (ko) 2007-11-15 2009-05-20 주식회사 포스콘 조립이동식 방사선 차폐 건물
JP2012198105A (ja) * 2011-03-22 2012-10-18 Kobe Steel Ltd 放射性物質輸送貯蔵容器の仕立作業方法およびその仕立作業用蓋部補助遮蔽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191A (ko) * 2002-04-29 2003-11-05 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성 폐기물 저장용기
WO2007032787A2 (en) * 2005-05-16 2007-03-22 Mallinckrodt Inc. Radiation-shielding container having status-indicative labeling system
KR20090050375A (ko) 2007-11-15 2009-05-20 주식회사 포스콘 조립이동식 방사선 차폐 건물
JP2012198105A (ja) * 2011-03-22 2012-10-18 Kobe Steel Ltd 放射性物質輸送貯蔵容器の仕立作業方法およびその仕立作業用蓋部補助遮蔽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7927B2 (en) Three-piece frame assembly for window of enclosure
US9644778B2 (en) Device for work implementation without stopping flow, and method for work implementation without stopping flow
KR101630166B1 (ko) 방사능 누출 방지구를 갖는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
CN111031653B (zh) 一种用于放射性靶区的屏蔽装置及真空系统
JP5674624B2 (ja) 原子炉格納容器の内部観察方法
JP2011095006A (ja) 放射線遮蔽ブロックおよび放射線遮蔽壁
RU2690955C1 (ru) Защитный кожух для аппарата-источника радиоактивного излуч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безопасности
Medrano et al. Manufacturing of JT-60SA cryostat base
KR20090050375A (ko) 조립이동식 방사선 차폐 건물
JP2006089987A (ja) 焼却炉の解体等、有害物質発生設備処理用の仮設構造物における養生シートセットと、その養生シートセットが装着される仮設構造物
JP2009510422A (ja) 封止手段、このような封止手段を備える移送装置、このような移送装置を備える設備、及び前記封止手段を生産するための方法
Ahn et al. Fabrication design and code requirements for the ITER vacuum vessel
JPH06344158A (ja) 電子ビーム溶接方法および装置
KR102384747B1 (ko) 모듈형 핫셀 차폐 구조물
KR101607696B1 (ko) 배관용 조립식 방사선 차폐장치
JPH0772294A (ja) 原子炉しゃへい体
JP4175447B2 (ja) キャスク
KR20220096376A (ko) 원자력 발전소에서 원자로를 수용하는 격납 건물
RU194526U1 (ru) Мишенная камера
JP2912391B2 (ja) 原子力施設の熱遮蔽体
JPS6222879Y2 (ko)
Patel et al. ITER diagnostic system: Vacuum interface
Spaeh et al. Manufacturing studies of structural components for the ITER EC upper launcher
Smith et al. Destructive Testing of HFIR Irradiation “Rabbit” Capsules to Establish Containment Safety Limitations
JP2003526075A (ja) トップマウントキャノピシールクランプア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