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376A - 원자력 발전소에서 원자로를 수용하는 격납 건물 - Google Patents

원자력 발전소에서 원자로를 수용하는 격납 건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376A
KR20220096376A KR1020200188762A KR20200188762A KR20220096376A KR 20220096376 A KR20220096376 A KR 20220096376A KR 1020200188762 A KR1020200188762 A KR 1020200188762A KR 20200188762 A KR20200188762 A KR 20200188762A KR 20220096376 A KR20220096376 A KR 20220096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or
building
liner plate
power plant
reactor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8484B1 (ko
Inventor
김대준
김광홍
강덕지
한승주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8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484B1/ko
Publication of KR20220096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3/00Pressure vessels; Containment vessels; Containment in general
    • G21C13/02Details
    • G21C13/024Supporting constructions for pressure vessels or containment vessel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3/00Pressure vessels; Containment vessels; Containment in general
    • G21C13/08Vesse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election of materials for pressure vessels
    • G21C13/093Concrete 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Structure Of Emergency Protection For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에서 원자로를 수용하는 격납 건물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원자로 건물 및 환형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원자로 건물을 둘러싸고 있는 제2원자로 건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원자로 건물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제1라이너 플레이트와 제1콘크리트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2원자로 건물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제2라이너 플레이트와 제2콘크리트 구조물을 포함하는 격납 건물이다.

Description

원자력 발전소에서 원자로를 수용하는 격납 건물{Containment Building Accomodating Reactor in Nuclear Power Plant}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에서 원자로를 수용하는 격납 건물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에서 원자로 건물은 방사성물질의 외부 방출 제한, 자연재해 및 외부위험(External Hazards)에 대한 발전소 방호 및 사고 시 생물학적 방벽으로서의 역할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특히 방사성물질의 외부 방출을 제한하기 위해 원자로 건물의 밀폐유지시스템(Leak-tight containment system)이 제공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현재 국내 원자력 발전소는 상기와 같이 요건을 준수하여 설계하고 있으며 주로 단일 콘크리트 원자로 건물에 밀폐유지를 위한 단일 스틸라이너(Steel liner)를 콘크리트 벽체 내부에 채택하여 설치하고 있다. 하지만, 후쿠시마 원전 사고처럼 우리가 예상치 못한 범위의 자연재해나 항공기 충돌 등 인간에 의한 의도적인 외부 재해에 의해 단일 스틸라이너의 밀폐성이 손상될 경우 방사성물질의 외부 방출 제한에 대한 대안이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단점을 보완하고 원자로 건물의 밀폐성 및 원자로 건물의 건전성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546884호 (2015년 08월 25일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원자력 발전소에서 원자로를 수용하는 격납 건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에서 원자로를 수용하는 격납 건물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원자로 건물 및 환형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원자로 건물을 둘러싸고 있는 제2원자로 건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원자로 건물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제1라이너 플레이트와 제1콘크리트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2원자로 건물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제2라이너 플레이트와 제2콘크리트 구조물을 포함하는 격납 건물이다.
상기 제1원자로 건물에서 상기 제1라이너 플레이트는 상기 수용공간과 접하며, 상기 제2원자로 건물에서 상기 제2라이너 플레이트는 상기 환형 공간과 접한다.
상기 제1라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제2라이너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강부재는,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위치한다.
상기 보강부재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직선형 및 링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1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위치하는 제1부재 및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라이너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자력 발전소에서 원자로를 수용하는 격납 건물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 건물을 간략하게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III-III’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 건물을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 건물을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 건물 시공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 건물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 건물을 간략하게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III’을 따른 단면도이다.
원자력 발전소에서 원자로를 수용하는 격납 건물(1)은 제1원자로 건물(10) 및 제2원자로 건물(20)을 포함한다.
제1원자로 건물(10)은 제1라이너 플레이트(11)와 제1콘크리트 구조물(12)을 포함하며, 원자로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제1라이너 플레이트(11)와 제1콘크리트 구조물(12)은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제1라이너 플레이트(11)는 수용공간과 접하고 있다.
제2원자로 건물(20)은 제2라이너 플레이트(21)와 제2콘크리트 구조물(22)을 포함하며, 환형 공간을 사이에 두고 제1원자로 건물(10)을 둘러싸고 있다.
제2라이너 플레이트(21)와 제2콘크리트 구조물(22)은 역시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제2라이너 플레이트(21)는 환형 공간과 접하고 있다.
보강부재(30)는 제1라이너 플레이트(11)와 제2라이너 플레이트(21)를 연결하며, 일부는 제1콘크리트 구조물(12) 내에 위치한다. 도 1에는 편의상 보강부재(3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보강부재(30)는 환형 공간에 복수 개로 마련되며, 직선형인 막대 형상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보강부재(30)는 높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판상일 수 있다. 이 경우, 환형 공간은 서로 분리된 복수의 구역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제1라이너 플레이트(11)와 제2라이너 플레이트(21)는 보강부재(30)를 통해 구조적으로 일체화된다.
본 발명은 단일 스틸라이너의 밀폐성이 손상될 경우를 대비하여 원자로 건물의 내부 라이너를 이중으로 설치함으로써 내부사고 또는 외부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제1원자로 건물(10)과 제2원자로 건물(20)에 각각 제1라이너 플레이트(11)와 제2라이너 플레이트(21)가 있어 원자로 건물의 밀폐유지시스템(Leak-tight Containment System) 을 상호 보완할 수 있다.
내부 사고로 인한 제1원자로 건물(10)이 손상될 경우 제2원자로 건물(20)의 제2라이너 플레이트(21)가 밀폐시스템 및 구조의 건전성을 유지하게 되고, 비산물 또는 항공기 충돌과 같은 외부 사고로 인한 제2원자로 건물(20)이 손상되더라도 제1원자로 건물(10)의 제1라이너 플레이트(11)가 밀폐유지시스템 유지 및 구조건전성을 상호 보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중 라이너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원자로발전소는 방사성 누설물질 수집기능 또한 향상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너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원자로발전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상술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5은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격납 건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격납 건물은 링형 보강부재(30)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링형 보강부재(30)는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격납 건물의 보강부재(30)는 제1부재(31) 및 제2부재(32)를 포함한다.
제1부재(31)는 제1콘크리트 구조물(12) 내에 위치하며, 제2부재(32)는 제1부재(31)와 제2라이너 플레이트(21)를 연결한다.
제1부재(31)는 사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태일 수 있다. 제2부재(32)는 링형상이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막대 형상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원자력 발전소 격납 건물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원자력 발전소 격납 건물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에 원자로를 도시하였지만, 격납 건물 건설과정에서 원자로는 설치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라이너 플레이트가 설치되지 않은 기존 제2원자로 건물(20)의 시공에서는 한 쌍의 거푸집을 설치한다. 한 쌍의 거푸집 내부 공간에 콘트리트 구조물을 설치하고 거푸집을 제거한다. 거푸집 중 내측의 거푸집의 설치 및 제거를 위해서는 환형 공간 내에서의 작업이 필요한데, 환형 공간이 좁아 작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원자로 건물(20) 내 제2라이너 플레이트(21)가 내부 거푸집을 대신하기 때문에 환형 공간 내에서의 거푸집 설치 및 제거 작업이 필요 없어 시공성 향상 및 공기 단축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원자력 발전소에서 원자로를 수용하는 격납 건물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원자로 건물; 및
    환형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원자로 건물을 둘러싸고 있는 제2원자로 건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원자로 건물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제1라이너 플레이트와 제1콘크리트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2원자로 건물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제2라이너 플레이트와 제2콘크리트 구조물을 포함하는 격납 건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자로 건물에서,
    상기 제1라이너 플레이트는 상기 수용공간과 접하며,
    상기 제2원자로 건물에서,
    상기 제2라이너 플레이트는 상기 환형 공간과 접하는 격납 건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라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제2라이너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격납 건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위치하는 격납 건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직선형 및 링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마련되는 격납 건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1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위치하는 제1부재; 및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라이너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부재;를 포함하는 격납 건물.
KR1020200188762A 2020-12-31 2020-12-31 원자력 발전소에서 원자로를 수용하는 격납 건물 KR102568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762A KR102568484B1 (ko) 2020-12-31 2020-12-31 원자력 발전소에서 원자로를 수용하는 격납 건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762A KR102568484B1 (ko) 2020-12-31 2020-12-31 원자력 발전소에서 원자로를 수용하는 격납 건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376A true KR20220096376A (ko) 2022-07-07
KR102568484B1 KR102568484B1 (ko) 2023-08-21

Family

ID=82398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762A KR102568484B1 (ko) 2020-12-31 2020-12-31 원자력 발전소에서 원자로를 수용하는 격납 건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48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939B2 (ja) * 1986-05-13 1994-09-14 株式会社東芝 原子炉建屋
JPH0862370A (ja) * 1994-08-26 1996-03-08 Toshiba Corp 原子炉格納容器および原子炉建屋
JPH09236684A (ja) * 1996-02-29 1997-09-0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二重鋼板原子炉格納容器
JP2007010457A (ja) * 2005-06-30 2007-01-18 Toshiba Corp 原子炉格納容器および沸騰水型原子力プラント
KR101546884B1 (ko) 2014-07-23 2015-08-25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피동형 냉각 구조를 구비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건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939B2 (ja) * 1986-05-13 1994-09-14 株式会社東芝 原子炉建屋
JPH0862370A (ja) * 1994-08-26 1996-03-08 Toshiba Corp 原子炉格納容器および原子炉建屋
JPH09236684A (ja) * 1996-02-29 1997-09-0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二重鋼板原子炉格納容器
JP2007010457A (ja) * 2005-06-30 2007-01-18 Toshiba Corp 原子炉格納容器および沸騰水型原子力プラント
KR101546884B1 (ko) 2014-07-23 2015-08-25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피동형 냉각 구조를 구비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건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484B1 (ko) 202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3508A (en) Secondary shielding structure
US20080037696A1 (en) Reactor containment vessel
US3779865A (en) Feed-through connection for a pressure vessel, especially a nuclear-reactor shell
US5577085A (en) Boiling water reactor with compact containment and simplified safety systems
KR20220096376A (ko) 원자력 발전소에서 원자로를 수용하는 격납 건물
JP5028504B2 (ja) 原子炉格納施設の鋼板コンクリート構造
US3712012A (en) Reinforced-concrete pressure vessel with lining
US4518561A (en) Reactor building
US5791107A (en) Building with a sealing element
JPH10282284A (ja) 原子力発電施設
JPH10115692A (ja) 原子力プラント
JP2009197398A (ja) 制震構造物
JP2010160061A (ja) 原子炉建屋及びその建設工法
JP6347027B2 (ja) 原子炉格納容器の密閉構造および密閉方法
KR102561992B1 (ko) 이중 격납에 의해 안전성이 향상된 원자력발전소
JP7434141B2 (ja) 原子炉圧力容器ペデスタル及び原子炉圧力容器ペデスタルを有する原子炉格納容器
JP2008020272A (ja) 放射線遮蔽体構造及びその方法
JP2008196716A (ja) 鋼板コンクリート製復水器一体型タービン建屋及びその構築方法
RU2783912C1 (ru) Оборотный транспортный контейнер для низкоактивных и среднеактивных радиоактивных отходов
JP3273668B2 (ja) 原子炉格納容器の構築方法
JP6541135B2 (ja) 引き戸式扉構造及びシェルター
KR101630166B1 (ko) 방사능 누출 방지구를 갖는 이동식 방사능 차폐체
JP2002131464A (ja) 格納容器
JPH048397Y2 (ko)
Huang et al. SC Wall Integrity and Serviceability Analysis Regarding Safe-Shutdown-Earthquake (SSE) Scenar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