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685B1 -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 - Google Patents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685B1
KR101629685B1 KR1020140057572A KR20140057572A KR101629685B1 KR 101629685 B1 KR101629685 B1 KR 101629685B1 KR 1020140057572 A KR1020140057572 A KR 1020140057572A KR 20140057572 A KR20140057572 A KR 20140057572A KR 101629685 B1 KR101629685 B1 KR 101629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fabric
vinyl
synthetic resin
fabric
adhes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0689A (ko
Inventor
박점묵
Original Assignee
박점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점묵 filed Critical 박점묵
Priority to KR1020140057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685B1/ko
Publication of KR20150130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6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provision for excluding or admitting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형의 내피 비닐 및 합성수지 원단을 사용하거나 평판형 내피 비닐 및 합성수지 원단을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의 내피로 사용하고, 원통형의 내피 비닐 및 합성수지 원단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평판형의 외피 비닐 및 합성수지 원단을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제작하는 다층으로 형성된 비닐 포대에서, 외피 비닐 및 합성수지 원단을 원통형으로 형성할 때에 비닐 원단의 연결부에 접착용 합성 수지를 도포하거나 접착 필름을 부착한 후에 열압착을 진행하므로 접착한 비닐 포대의 연결부가 분리되지 않으며, 따라서, 외부로부터 습기와 빛 등으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는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DMULTILAYER VINYL AND SYNTHETIC RESIN SACK}
본 발명은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층으로 형성된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에서 원통형으로 형성된 비닐 및 합성수지 원단의 연결부에 접착용 합성 수지를 도포하거나 접착 필름을 부착한 후에 열압착을 진행하므로 접착한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의 연결부가 분리되지 않으며, 따라서, 외부로부터 습기와 빛 등으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는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 포대를 제조할 때에는 원통형의 비닐 원단을 사용하거나, 평판형의 비닐 원단을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사용한다.
원통형의 비닐 원단을 사용하는 것이 평판형의 비닐 원단을 사용할 때보다 공정의 수가 줄어 생산성이 더욱 좋고, 포장 효율과 포장 강도 및 밀폐력을 증가시키지만 그동안 생산 기술의 부족으로 평판형의 비닐 원단을 주로 사용해왔다.
평판형 비닐 원단을 사용하여 다층 복합 비닐 포대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평판형의 비닐 원단을 원통형으로 형성한 후에 비닐의 끝단이 교차하는 지점에 열압착이나 수지를 이용한 접착이 진행된다.
상기와 같이 평판형 비닐 원단의 원통형 연결부에 열압착을 이용하여 평판형의 비닐을 접착할 때에는 열압착도구의 상태 및 열압착도구의 온도 등에 따라 비닐 원단이 부분적으로만 접착될 수 있으며, 수지만을 이용한 접착이 진행될 때에는, 수지의 점성에 따른 접착력의 편차 및 분사된 수지가 고체화되기 이전에 외부에서 힘이 가해져서 접착된 부분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열압착 및 수지를 이용한 접착이 진행될 때에는 부분적인 접착과 같이 불완전한 접착으로 인해 적은 힘에도 쉽게 접착부가 떨어지는 박리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층의 비닐 포대를 제작하는 주된 목적인 포장 효율 및 포장 강도 및 밀폐력이 약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의 내피 비닐 및 합성수지 원단을 사용하거나 평판형 내피 비닐 및 합성수지 원단을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의 내피로 사용하고, 원통형의 내피 비닐 및 합성수지 원단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평판형의 외피 비닐 및 합성수지 원단을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제작하는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에서, 평판형의 외피 비닐 및 합성수지 원단을 원통형으로 만들기 위한 연결부위가 부분적으로 접착되거나 불완전하게 접착되어 박리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의 포장 효율 및 포장 강도와 밀폐력을 높이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정한 길이로 커팅된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에 있어서, 상기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는 내측비닐원단과 외측비닐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비닐원단과 상기 외측비닐원단이 점착수지를 이용해 접착되며, 상부에 개방된 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열접합에 의해 봉해진 접합부가 형성되며, 평판형의 상기 외측비닐원단을 원통형으로 형성하기 위한 연결부위에 접착용 합성수지가 도포된 외측비닐원단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접착용 합성수지는, 일정한 폭과 두께로 상기 외측비닐원단연결부에 도포된 후에, 도포된 상기 접착용 합성수지에 열이 가해지므로 상기 접착용 합성수지가 연화되며, 연화된 상기 접착용 합성수지가 상기 외측비닐원단을 원통형으로 형성하기 위한 연결부위의 사이의 틈으로 유입된다.
또한 일정한 길이로 커팅된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에 있어서, 상기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는 내측비닐원단과 외측비닐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비닐원단과 상기 외측비닐원단이 점착수지를 이용해 접착되며, 상부에 개방된 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열접합에 의해 봉해진 접합부가 형성되며, 평판형의 상기 외측비닐원단을 원통형으로 형성하기 위한 연결부위에 접착필름이 부착된 외측비닐원단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접착필름은, 상기 외측비닐원단연결부에 부착된 후에, 부착된 상기 접착필름에 열압착을 진행하므로 부착된 상기 접착필름이 상기 외측비닐원단연결부에 밀착된다.
또한, 자동포장용롤에 감겨진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에 있어서, 상기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는 내측비닐원단과 외측비닐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비닐원단과 상기 외측비닐원단이 점착수지를 이용해 접착되며, 상기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의 폭의 방향을 따라 열접합에 의해 봉해진 접합부가 단위 길이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비닐원단을 원통형으로 형성하기 위한 연결부위에 접착용 합성수지가 분사된 외측비닐원단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접착용 합성수지는, 일정한 폭과 두께로 상기 외측비닐원단연결부에 도포된 후에, 도포된 상기 접착용 합성수지에 열이 가해지므로 상기 접착용 합성수지가 연화되며, 연화된 상기 접착용 합성수지가 상기 외측비닐원단을 원통형으로 형성하기 위한 연결부위의 사이의 틈으로 유입된다.
또한, 일정한 길이로 커팅된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에 있어서, 상기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는 내측비닐원단과 외측비닐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비닐원단과 상기 외측비닐원단이 점착수지를 이용해 접착되며, 상기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의 폭의 방향을 따라 열접합에 의해 봉해진 접합부가 단위 길이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외측비닐원단을 원통형으로 형성하기 위한 연결부위에 접착필름이 부착된 외측비닐원단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접착필름은, 상기 외측비닐원단연결부에 부착된 후에, 부착된 상기 접착필름에 열압착을 진행하므로 부착된 상기 접착필름이 상기 외측비닐원단연결부에 밀착된다.
상기 내측비닐원단은 평판형 비닐 원단, 원통형 비닐 원단, 산소 차단의 기능이 있는 평판형 비닐 원단, 산소 차단의 기능이 있는 원통형 비닐 원단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의 양측부에는, 각각 내측으로 접혀진 절곡부가 형성되거나,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기 외측비닐원단이 압착되어 형성된 접힘부가 각각 형성 형성된다.
본 발명은 평판형의 외피 비닐 원단을 원통형으로 형성하기 위한 연결부위에 접착용 합성 수지를 도포하거나 접착필름을 공급하여 부착한 후에 열압착과 냉각을 순서대로 진행하며, 따라서 평판형 비닐 및 합성수지 원단을 원통형으로 만들기 위한 연결부위가 완전히 접착되므로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의 포장 효율 및 강도가 개선되며, 외부의 습기 및 빛 등으로부터 내용물을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의 제조 장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의 제조 장치의 실링 및 커팅부의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의 제조 장치에서 접착부재로 접착용 합성수지를 사용할 때의 누름판의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의 제조 장치에서 접착부재로 접착용 합성수지를 사용할 때의 누름판의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의 제조 장치에서 접착부재로 접착필름을 사용할 때의 누름판의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의 제조 장치에서 접착부재로 접착필름을 사용할 때의 누름판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의 제조 장치에서 실링 및 커팅부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의 제조 장치에서 실링 및 커팅부의 하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의 제조 장치에서 제 2압동롤과 텐션장치부 및 실링 및 커팅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의 제조 장치에서 평판형 내측비닐원단을 사용하여 제작되고 단위 길이로 커팅된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의 제조 장치에서 원통형 내측비닐원단을 사용하여 제작되고 단위 길이로 커팅된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의 제조 장치에서 제작되어 자동포장용롤에 감겨진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
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외측비닐원단(101)을 체결하는 제 1와인더(110)와, 내측비닐원단(102)을 체결하는 제 2와인더(120), 외측비닐원단(101)과 내측비닐원단(102)을 이송시키는 이송부(130)와, 외측비닐원단(101)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 1이피씨(EPC,131)와, 내측비닐원단(102)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 2이피씨(132), 외측비닐원단(101)과 내측비닐원단(102)의 사이에 점착 수지를 분사하는 점착수지분사기(133)와, 점착 수지가 분사된 외측비닐원단(101)과 내측비닐원단(102)을 압착하는 제 1압동롤(140), 내측비닐원단(102)이 외측비닐원단(10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원통형을 형성하고 원통형으로 형성된 외측비닐원단(101)의 연결부위와 내측비닐원단(102)의 연결부위를 접착용 합성 수지 혹은 접착 필름과 열압착을 이용해 접착한 후에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냉각시키며 원통형으로 형성된 비닐원단의 양쪽 측면부에 절곡을 형성하는 실링 및 절곡형성부(150), 절곡이 형성된 비닐 원단을 압착하는 제 2압동롤(160), 장치 간의 발생하는 비닐원단의 이동 속도의 차를 조절하기 위해 하부롤러(172)가 상하로 움직이는 텐션장치부(170), 외측비닐원단(101) 및 내측비닐원단(102)을 단위 길이로 절단하고 그 일측부를 실링하는 실링 및 커팅부(180), 제작이 완료된 다층 복합의 원통형 비닐 포대를 체결하는 제 3와인더(190)로 이루어진다.
외측비닐원단(101)은 평판형의 합성수지 및 복합 원단 또는 알루미늄 합지 원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측비닐원단(102)은 평판형의 합성수지 및 라이너 원단인 것이 바람직하며 원통형의 원단도 사용이 가능하다. 원통형의 내측비닐원단(102)을 사용할 때에는 상기 실링 및 절곡형성부(150)에서 내측비닐원단(102)의 원통형 형성과정 및 연결부위의 접착과정이 생략된다.
또한 내측비닐원단(102)은 필요에 따라 산소차단의 기능이 있는 평판형 비닐 원단 혹은 산소차단의 기능이 없는 평판형의 비닐 원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산소차단의 기능이 있는 원통형의 비닐 원단 혹은 산소차단의 기능이 없는 원통형의 비닐 원단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 및 절곡형성부(150)는 내측비닐원단(102)의 실링 및 절곡의 형상의 형성이 진행되는 제 1실링 및 절곡형성부(150-1)와 외측비닐원단(101)의 실링 및 절곡의 형상의 형성이 진행되는 제 2실링 및 절곡형성부(150-2)로 나뉘며, 제 1실링 및 절곡형성부(150-1)와 제 2실링 및 절곡형성부(150-2)의 사이에는, 외측비닐원단(101)의 원통형 연결부에 접착 부재를 공급하기 위한 접착부재공급부(151)와, 접착부재공급부(151)에 연결되어 제 2실링 및 절곡형성부(150-2) 내부의 원통형 비닐 원단의 연결부를 향해 접착부재를 이동시키는 접착부재이동부(152)가 형성된다. 또한 제 1실링 및 절곡형성부(150-1)와 제 2실링 및 절곡형성부(150-2)에는 외측비닐원단(101) 및 내측비닐원단(102)의 용이한 이동을 위한 다수의 실리콘롤러(153)가 각각 형성되고, 평판형의 외측비닐원단(101) 및 내측비닐원단(102)을 원통형으로 형성하기 위한 사이드핀(157)과 사이드가이드롤러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누름부(158)의 끝에 연결된 누름판(156)을 이용해 원통형으로 형성된 비닐원단을 연결부를 눌러준다.
접착부재공급부(151)는, 접착용 합성수지를 분사하는 웰딩압축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접착필름을 공급하는 접착필름공급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웰딩압축기를 사용할 때에는 압축기 분사 노즐이 웰딩압축기에 연결되어 접착부재이동부(152)의 역할을 하며 압축기 분사 노즐을 통해 접착용 합성 수지를 외측비닐원단(101)의 원통형 연결부로 분사하며 분사된 접착용 합성 수지는 외측비닐원단(101)의 원통형 연결부뿐만 아니라 내측의 내측비닐원단(102)의 원통형 연결부까지 유입되어 외측비닐원단(101)과 내측비닐원단(102)이 일체형으로 접착이 가능하다.
접착필름공급롤을 사용할 때에는 접착필름공급롤이 접착부재공급부(151)의 역할을 하고 접착필름공급롤에서 제공되는 접착필름이 접착부재이동부(152)의 이동 경로를 통해 이동되어 원통형 비닐 원단의 연결부로 이어지며 접착부재이동부(152)의 역할을 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은 접착부재공급부(151)에 웰딩압축기를 장착하였을 때에 사용되는 누름판(156)의 형상이고, 도 4는 접착부재공급부(151)에 접착필름공급롤을 사용하였을 때에 사용되는 누름판(156)의 형상이다.
웰딩압출기를 사용할 때의 누름판(156)에는, 누름판(156)의 하측부에 하측홈(156-2)이 형성되며, 형성된 하측홈(156-2)으로 웰딩압출기의 내부에 포함된 접착용 합성수지가 압출기분사노즐을 통해 원통형 비닐 원단의 연결부로 유입되며 원통형 비닐 원단의 연결부의 접착이 진행된다. 또한 누름판(156)에는 바닥면에 형성된 하측홈(156-2)의 형성으로 인해 하측홈(156-2)의 양쪽에 형성되어 원통형 비닐 원단과 맞닿는 접촉면(156-3)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원형홀(156-1)이 형성된다.
접착필름공급롤을 사용할 때의 누름판(156)의 바닥면에는 원통형 비닐 원단으로 공급되는 접착필름을 눌러주는 접촉면(156-3)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원형홀(156-1)이 형성되며, 접착필름을 사용하기 때문에 웰딩압출기를 사용할 때와 같이 하측홈(156-2)이 형성될 필요가 없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제 1실링 및 절곡형성부(150-1)와 제 2실링 및 절곡형성부(150-2)에 형성되는 누름부(158)의 끝에 연결된 누름판(156)은 각각 6개씩이 형성되며, 6개의 누름판(156)중에 앞쪽의 3개의 누름판(156)에는 열선(201)이 연결되어 접촉면(156-3)을 이용해 외측비닐원단(101) 및 내측비닐원단(102)의 원통형 연결부분에 열을 가하는 역할을 하는 열판(156a)이며, 뒤쪽의 3개의 누름판(156)에는 냉각호스(211)가 연결되어 접촉면(156-3)을 이용해 외측비닐원단(101) 및 내측비닐원단(102)의 원통형 연결부분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하는 냉각판(156b)이다. 열판(156a)과 냉각판(156b)의 형상은 동일하지만, 원형홀(156-1)에 연결된 장치에 따라 그 기능을 달리한다. 즉, 누름판(156)의 원형홀(156-1)에 열공급부(200)에 연결되는 열선(201)이 연결될 때에는, 연결된 열선(201)을 통해 누름판(156)에 열이 전달되기 때문에 열판(156a)의 기능을 하며, 누름판(156)의 원형홀(156-1)에 수냉공급부(210)에 연결된 냉각호스(211)가 연결될 때에는, 냉각호스(211)를 통해 누름판(156)이 냉각되기 때문에 냉각판(156b)의 기능을 한다.
열판(156a) 혹은 냉각판(156b)의 기능을 하는 누름판(156)을 통해 원통형 비닐 원단의 연결부를 효과적으로 누르기 위하여, 누름판(156)과 연결되는 제 1연결부(158-1)과 제 2연결부(158-2)는 탄력이 있는 쿠션스프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판(156a) 혹은 냉각판(156b)의 숫자는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원통형으로 형성된 외측비닐원단(101) 및 내측비닐원단(102)의 연결부위는 접착용 합성 수지 혹은 접착필름과 열판(156a)에 전달된 열을 통해 열압착을 진행하므로 접착력이 더욱 높아지며, 열압착이 진행된 후에 열판(156a)의 뒤에 위치한 냉각판(156b)을 통과하며 접착부위의 냉각이 진행되기 때문에 접착용 합성수지 혹은 접착필름을 고체화시키며 완전한 접착이 진행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다수의 절곡형성롤러(155)와, 절곡형성롤러(155)의 일부분을 내측에 수용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154)를 이용하여 원통형 비닐 원단의 양쪽 측면에 M자 형태의 절곡부(305)를 형성하며, 한쌍의 가이드부재(154)의 사이에 장착된 실리콘롤러(153)를 이용해 원통형의 비닐 원단이 이동한다. 절곡형성롤러(155)에는 완충작용을 위한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으며, 형성하고자 하는 M자 절곡부(305)의 크기에 따라 가이드부재(154)를 조정 및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롤러(153)는 열판(156a)에서 전달되는 열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M자 절곡부(305)의 형성이 진행되지 않을 수 있으며, M자 절곡부(305)를 미형성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절곡형성롤러(155)를 이용해 M자 절곡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원통형 비닐 원단의 양쪽 측면에 절곡부(305)가 없는 비닐 포대를 제조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2압동롤(160)을 통과한 다층 복합의 원통형의 비닐 원단이 텐션장치부(170)로 유입되고, 유입된 다층 복합의 원통형의 비닐 원단은 텐션장치부(170)를 거쳐 다층 복합의 원통형 비닐 원단의 일면을 열압착하는 실링부(181)와 단위 길이로 커팅이 진행되는 커팅부(182)로 이루어진 실링 및 커팅부(180)로 이동하게 된다. 텐션장치부(170)에는 3개의 상부롤러(171)와 3개의 하부롤러(172)가 형성되며, 상부롤러(171)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으나, 하부롤러(172)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제 2압동롤(160)에서는 다층 복합의 원통형의 비닐 원단이 연속적으로 유입되지만, 실링 및 커팅부(180)에서는 실링 및 커팅의 진행 시에 다층 복합의 원통형의 비닐 원단이 이동이 잠시 멈추게 된다. 즉, 실링 및 커팅부(180)에서 다층 복합의 원통형 비닐 원단의 이동이 잠시 멈출 때에도 제 2압동롤(160)에서는 다층 복합의 원통형 비닐 원단이 텐션장치부(170)로 연속적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다층 복합의 원통형 비닐 원단이 느슨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다층 복합의 원통형 비닐 원단이 접히거나 구겨질 수 있으며, 다층 복합 비닐 포대의 커팅되는 단위길이가 일정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텐션장치부(170)가 설치되는 것이다. 텐션장치부(170)의 하부롤러(172)는 실링 및 커팅부(180)에서 다층 복합의 원통형 비닐 원단의 이동이 멈췄을 때에 하측으로 이동하며 텐션장치부(170)의 내부에 위치하는 다층 복합의 원통형 비닐 원단의 길이를 증가시키며, 실링 및 커팅부(180)에서 다층 복합의 원통형 비닐 원단의 이동이 다시 진행될 때에 하부롤러(172)를 다시 상측으로 이동시키며 텐션장치부(170)의 내부에 위치하는 다층 복합의 원통형 비닐 원단의 길이의 변화를 조절하는 것이다. 하부롤러(172)의 상하로 이동하는 과정은 계속해서 연속적으로 진행한다.
텐션장치부(170)를 통과한 다층 복합의 원통형 비닐 원단은 실링 및 커팅부(180)로 이동한다. 실링 및 커팅부(180)에서는 필요에 따라 실링과 커팅이 모두 진행될 수도 있으며, 실링만이 진행될 수도 있다. 단위 길이로 절단된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300)의 제조를 위해서는 커팅부(182)를 이용한 다층 복합의 비닐 원단의 단위 길이로의 커팅이 진행되며, 실링부(181)를 이용해 그 일측면이 실링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장치의 밖으로 배출된다. 하지만, 자동포장용롤에 감겨진 다층 복합의 비닐 포대(40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실링부(181)를 이용하여 다층 복합의 비닐 원단을 일정 간격으로 실링을 진행한 후에 제 3와인더(190)로 이동하여 제 3와인더(190)에 체결되어 자동포장용롤에 감겨진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400)가 완성된다. 자동포장용롤에 감겨진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400)는 자동 포장 장치에 장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의 내측비닐원단(102)을 사용하여 제작이 완료되고 단위길이로의 커팅이 완료된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300)는 내측에 내측비닐원단(102)이 위치하고 외측에 외측비닐원단(101)이 위치하며, 양쪽 측면에 M자형 절곡부(305)가 형성되며, 평판형의 외측비닐원단(101)을 원통형으로 형성하기 위한 연결부에 접착용 합성 수지를 혹은 접착필름을 이용하여 접착한 외측비닐원단연결부(301)가 형성된다. 또한 평판형의 내측비닐원단(102)을 원통형으로 형성하기 위해 연결부에 열판(156a)을 이용해 접착한 내측비닐원단 연결부(304)가 형성되고, 커팅이 완료된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300)의 일측면에는 폭의 방향으로 열접합된 접합부(302)와 단위길이로 절단된 절단면(303)이 형성된다.
외측비닐원단연결부(301)에 접착용 합성 수지를 도포할 때에는, 도포된 접착용 합성 수지가 열판(156b)을 통과하며 연화되기 때문에 연화된 접착용 합성 수지가 외측비닐원단(101)의 연결부의 사이의 모든 틈으로 유입되고, 따라서 제2외측비닐원단연결부(301)의 접착력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또한 접착용 합성 수지에 열을 가한 후에 연속적으로 냉각을 진행하여 접착된 상태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외측비닐원단연결부(301)를 접착필름이 이용하여 형성할 때에는, 상기 외측비닐원단(101)을 원통형으로 형성하기 위한 연결부위에 상기 접착필름을 부착하고, 상기 접착필름을 기준으로 양쪽에 배치된 상기 외측비닐원단(101)의 일부를 중첩시킨 후, 열판(156b)으로 상기 접착필름의 상측을 열압착하여 상기 접착필름의 양쪽면이 마주하는 상기 외측비닐원단(101)에 접착되어 상기 외측비닐원단연결부(301)을 형성하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내측비닐원단(102)을 사용하여 제작했을 때에는 내측비닐원단 연결부(304)가 형성되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포장용롤에 감겨진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400)에는 평판형의 외측비닐원단(101)을 원통형으로 형성하기 위한 연결부에는 접착용 합성 수지 혹은 접착필름을 이용한 외측비닐원단연결부(301)가 형성되고, 단위 길이의 간격으로 폭의 방향을 따라 열접합된 접합부(302)가 형성되며, 커팅된 부분이 없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자동포장용롤에 감겨진다. 자동포장용롤에 감겨진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400)도 마찬가지로 접착용 합성수지 및 접착필름에 열을 가한 후에 냉각이 연속적으로 진행되어 강한 접착력을 가진다.
도 11은 절곡부가 미형성된 커팅이 완료된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500)를 나타낸 도면이며, M자형 절곡부(305)의 형성공정을 생략한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300)이다. M자형 절곡부(305)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내측비닐원단(102) 및 외측비닐원단(101)은 원통형의 형상으로 제 2압동롤(160)을 통과하게 되고, 따라서 절곡부가 미형성된 커팅이 완료된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500)의 양측면에는 각각 접힘부(501)가 형성되게 된다.
도 12는 절곡부가 미형성된 자동포장용롤에 감겨진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600)를 나타낸 도면으로, 양측면에는 각각 접힘부(501)가 형성된다.
즉,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는 절곡부(305)의 형성 여부는 필요에 따라 진행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절곡부(305)의 형성이 생략되면, 원통형으로 형성된 내측비닐원단(102)과 외측비닐원단(101)이 제2압동롤(160)을 통과하여 압착되며 접힘부(501)가 형성된다.
본 발명인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1 : 외측비닐원단, 102 : 내측비닐원단, 110 : 제 1와인더,
120 : 제 2와인더, 130 : 이송부, 131 : 제 1이피씨,
132 : 제 2이피씨, 133 : 점착수지분사기, 140 : 제 1압동롤,
150 : 실링 및 절곡형성부, 150-1 : 제 1실링 및 절곡형성부,
150-2 : 제 2실링 및 절곡형성부, 151 : 접착부재공급부,
152 : 접착부재이동부, 153 : 실리콘롤러, 154 : 가이드부재,
155 : 절곡형성롤러, 156 : 누름판, 156a : 열판,
156b : 냉각판, 156-1 : 원형홀, 156-2 : 하측홈,
156-3 : 접촉면, 157 : 사이드핀, 158 : 누름부,
158-1 : 제 1연결부, 158-2 : 제 2연결부, 160 : 제 2압동롤,
170 : 텐션장치부, 171 : 상부롤러, 172 : 하부롤러,
180 : 실링 및 커팅부, 181 : 실링부, 182 : 커팅부,
190 : 제 3와인더, 200 : 열공급부, 201 : 열선,
210 : 수냉공급부, 211 : 냉각호스,
300 : 커팅이 완료된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
301 : 제2외측비닐원단연결부, 302 : 접합부,
303 : 절단면, 304 : 내측비닐원단연결부
305 : 절곡부,
400 : 자동포장용롤에 감겨진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
500 : 절곡부가 미형성된 커팅이 완료된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
501 : 접힘부,
600 : 절곡부가 미형성된 자동포장용롤에 감겨진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

Claims (6)

  1. 삭제
  2. 일정한 길이로 커팅된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에 있어서,
    상기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는 내측비닐원단과 외측비닐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비닐원단은 상기 외측비닐원단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내측비닐원단과 상기 외측비닐원단이 점착수지를 이용해 접착되며, 상부에 개방된 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열접합에 의해 봉해진 접합부가 형성되며, 평판형의 상기 외측비닐원단을 원통형으로 형성하기 위한 연결부위에 접착필름이 부착된 외측비닐원단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외측비닐원단연결부는,
    상기 외측비닐원단을 원통형으로 형성하기 위한 연결부위에 상기 접착필름을 부착하고, 상기 접착필름을 기준으로 양쪽에 배치된 상기 외측비닐원단의 일부를 중첩시킨 후, 열판으로 상기 접착필름의 상측을 열압착하여 상기 접착필름의 양쪽면이 마주하는 상기 외측비닐원단에 접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
  3. 삭제
  4. 일정한 길이로 커팅된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에 있어서,
    상기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는 내측비닐원단과 외측비닐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비닐원단은 상기 외측비닐원단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내측비닐원단과 상기 외측비닐원단이 점착수지를 이용해 접착되며, 상기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의 폭의 방향을 따라 열접합에 의해 봉해진 접합부가 단위 길이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외측비닐원단을 원통형으로 형성하기 위한 연결부위에 접착필름이 부착된 외측비닐원단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외측비닐원단연결부는,
    상기 외측비닐원단을 원통형으로 형성하기 위한 연결부위에 상기 접착필름을 부착하고, 상기 접착필름을 기준으로 양쪽에 배치된 상기 외측비닐원단의 일부를 중첩시킨 후, 열판으로 상기 접착필름의 상측을 열압착하여 상기 접착필름의 양쪽면이 마주하는 상기 외측비닐원단에 접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
  5. 청구항2 또는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내측비닐원단은 평판형 비닐 원단, 원통형 비닐 원단, 산소 차단의 기능이 있는 평판형 비닐 원단, 산소 차단의 기능이 있는 원통형 비닐 원단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
  6. 청구항2 또는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의 양측부에는, 각각 내측으로 접혀진 절곡부가 형성되거나,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기 외측비닐원단이 압착되어 형성된 접힘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
KR1020140057572A 2014-05-14 2014-05-14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 KR101629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572A KR101629685B1 (ko) 2014-05-14 2014-05-14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572A KR101629685B1 (ko) 2014-05-14 2014-05-14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689A KR20150130689A (ko) 2015-11-24
KR101629685B1 true KR101629685B1 (ko) 2016-06-13

Family

ID=54844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572A KR101629685B1 (ko) 2014-05-14 2014-05-14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68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791B1 (ko) * 2006-11-03 2009-07-29 그린포장 주식회사 이중 통포대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182U (ko) * 1999-03-12 1999-06-25 김금태 롤형비닐포장팩
KR100791248B1 (ko) * 2006-02-09 2008-01-04 신일산업 주식회사 다층 알루미늄 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791B1 (ko) * 2006-11-03 2009-07-29 그린포장 주식회사 이중 통포대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689A (ko) 201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1884B1 (ko) 중합체직물로제조된백및이의제조방법
WO2016163487A1 (ja) ジッパーテープ、ジッパーテープ付袋体、および、ジッパーテープ付袋体の製造方法、並びに長尺部材を良好に接合できる長尺部材の接合方法、その装置およびジッパーテープの接合装置
KR101476877B1 (ko) 적층 필름의 단면구조 및 단면처리방법, 및 그 단면처리한 액체 주출 노즐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00834794B1 (ko) 2중 비닐포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10095001A5 (ko)
JPH08504135A (ja) ウエブに糸を熱溶着する方法
KR101598859B1 (ko) 다층 복합 비닐 포대의 제조 장치
JPH04101952A (ja) ウエブ製造装置および積層体製造装置
JP7251832B2 (ja) シート溶着装置
KR101629685B1 (ko) 다층 복합 비닐 및 합성수지 포대
JP3786703B2 (ja) ホース製袋機
JP4418085B2 (ja) 包装体のシール装置
JP2012254602A (ja) 熱接着方法および熱接着装置
US114851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ouches
JP6965140B2 (ja) 複合管
JP5392761B2 (ja) 逆止機能を具えるフレキシブル包装袋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凹凸条形成装置
KR20090011137A (ko) 방습용 지대 제작방법 및 그 장치
CN105173161A (zh) 智能化塑膜成型热封机
JP2016198919A (ja) 長尺部材の接合方法およびその装置、並びにジッパーテープ付袋体の製造方法
KR100837997B1 (ko) 합성수지 필름 봉투 제조방법
KR101077397B1 (ko) 튜브 바디 성형장치
KR20170043971A (ko) 초음파용 라미네이트 튜브 접합장치
KR20150034524A (ko) 방수시트 점융착 제조장치
WO2019207672A1 (ja) シール機構及びシール方法並びに縦型充填包装機
JP2022006597A (ja) 包装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