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460B1 - 창호용 덧댐 유리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창호용 덧댐 유리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460B1
KR101629460B1 KR1020140086858A KR20140086858A KR101629460B1 KR 101629460 B1 KR101629460 B1 KR 101629460B1 KR 1020140086858 A KR1020140086858 A KR 1020140086858A KR 20140086858 A KR20140086858 A KR 20140086858A KR 101629460 B1 KR101629460 B1 KR 101629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pacer
damper
window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7007A (ko
Inventor
경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영지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영지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영지앤엠
Priority to KR1020140086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460B1/ko
Publication of KR20160007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28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of rubber, plastics or similar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39Working the edges of already assembled units
    • E06B3/67343Filling or covering the edges with synthetic hardenable sub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덧댐 유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면서도 덧댐 유리를 정위치에 정확히 설치 완료할 수 있는 창호용 덧댐 유리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덧댐 유리 시공 방법은, 덧댐 유리, 및 상기 세대 유리와 상기 덧댐 유리 사이에 개재될 스페이서를 준비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덧댐 유리의 일면 상에 상기 스페이서를 부착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세대 유리 전방에 배치된 일정 높이의 셋팅블럭 상에 상기 스페이서가 부착된 덧댐 유리를 안착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셋팅블럭 상에 안착된 덧댐 유리의 좌변 또는 우변과 창틀 사이에 일정 두께의 스틱을 삽입하여, 상기 셋팅블럭 상에 배치된 덧댐 유리의 좌우 이격을 조정하는 제4 단계와; 상기 덧댐 유리를 상기 세대 유리 측으로 가압하며 상기 세대 유리에 부착시키는 제5 단계; 및 상기 덧댐 유리와 상기 세대 유리 사이의 간극층으로 실링제를 주입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호용 덧댐 유리 시공 방법{METHOD FOR MOUNTING A SPLICE WINDOW}
본 발명은 창호용 덧댐 유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기설치되어 있는 창유리에 별도의 또 다른 창유리를 추가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창호용 덧댐 유리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1980년대 이후 시공된 건축물의 경우 건축물에서 가장 큰 에너지소비를 발생시키는 부분은 창호부분이다. 이는 커튼월(curtain wall)이 적용된 건축물뿐만 아니라 개구부를 가지는 창호가 설치되는 건축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따라, 현재 시공되는 건축물의 개구부는 복층 유리가 설치되고 있고, 특히 최근에는 더욱 효율적인 에너지 절감의 요구에 따라 3복층 내지 4복층 구조의 유리가 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오래된 건축물은 2복층 구조의 유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오래된 건축물의 리모델링시, 기존의 2복층 유리를 3복층 또는 4복층 구조로 개조하기 위해서 기존의 2복층 유리에 또 다른 하나의 창유리(즉, 덧댐 유리)를 덧대는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건축물에 기설치되어 있는 복층 유리에 덧댐 유리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그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하고, 이와 동시에 그 설치과정에서 덧댐 유리를 정위치에 정확히 설치해야함이 요구된다. 여기서, 덧댐 유리의 정위치란 대표적으로 덧댐 유리의 4개 모서리부와 창틀 간의 정간 등을 의미한다.
한편, 이와 같은 덧댐 유리 시공시, 기설치된 복층 유리와 덧댐 유리 사이에는 스페이서(Spacer)라 불리는 간극재를 개재시켜 간극층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적으로 스페이서는 창유리의 주연부를 따라 연속되게 이어지는 띠 형태로 부착되는데, 특히 창유리의 코너에서는 그 절곡 부위가 라운딩을 형성하지 않고 정확히 직각으로 절곡된 구조로 밀착되게 시공되어야 한다.
종래 스페이서 시공 방법을 살펴보면, 창유리 코너에서 스페이서의 직각 절곡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스페이서의 단부를 사선 방향으로 절단하여 사선 방향 절단면(이하, '경사면' 이라 함)을 형성한 후, 이렇게 절단 시공된 한 쌍의 스페이서의 각 경사면을 상호 연접시킴으로써 전술한 직각 절곡 구조를 만들어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스페이서 시공 방법에 따르면, 창유리의 매 코너 부위에서 스페이서를 절단한 후, 절단된 한 쌍의 스페이서의 양측 경사면을 다시 정확히 맞춰주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고, 특히 매 코너에서 스페이서를 절단해야 하는 바, 스페이서의 유연재(도 2 참조)에 배리어 필름(도 2 참조)을 부착시킨 상태에서는 스페이서 부착 시공을 수행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즉, 스페이서의 유연재를 창유리에 설치 완료한 후 배리어 필름을 부착해야만 하는 바, 덧댐 유리에 스페이서를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그 시공 시간이 증대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338923호 (2013.12.03.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덧댐 유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면서도 덧댐 유리를 정위치에 정확히 설치 완료할 수 있는 창호용 덧댐 유리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덧댐 유리의 시공을 위해 스페이서를 부착시, 스페이서를 절단 분리하지 않고도 코너에서 수직 절곡 형상을 만들어줄 수 있고, 스페이서에 배리어 필름을 부착한 상태에서 스페이서 설치작업(특히, 코너부위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창호용 덧댐 유리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덧댐 유리 시공 방법은,
덧댐 유리, 및 상기 세대 유리와 상기 덧댐 유리 사이에 개재될 스페이서를 준비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덧댐 유리의 일면 상에 상기 스페이서를 부착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세대 유리 전방에 배치된 일정 높이의 셋팅블럭 상에 상기 스페이서가 부착된 덧댐 유리를 안착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셋팅블럭 상에 안착된 덧댐 유리의 좌변 또는 우변과 창틀 사이에 일정 두께의 스틱을 삽입하여, 상기 셋팅블럭 상에 배치된 덧댐 유리의 좌우 이격을 조정하는 제4 단계와; 상기 덧댐 유리를 상기 세대 유리 측으로 가압하며 상기 세대 유리에 부착시키는 제5 단계; 및 상기 덧댐 유리와 상기 세대 유리 사이의 간극층으로 실링제를 주입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덧댐 유리의 일 모서리 부위를 따라 상기 스페이서의 일 부위를 부착하는 제2-1 단계와; 상기 일 모서리 부위의 코너에 대응하는 상기 스페이서 부위에 한 쌍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절개홈을 형성하는 제2-2 단계와; 상기 한 쌍의 경사면을 상호 연접시킴으로써 상기 스페이서를 상기 코너 부위에서 직각 절곡 구조로 만드는 제2-3 단계; 및 상기 스페이서의 또 다른 부위를 상기 덧댐 유리의 타 모서리 부위를 따라 부착시키는 제2-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덧댐 유리 시공 방법에 의하면, 덧댐 유리 설치 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덧댐 유리를 정위치에 정확히 설치 완료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덧댐 유리의 시공 대상인 창유리가 건축물에 기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덧댐 유리의 시공시 사용되는 스페이서의 일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덧댐 유리 시공 방법의 공정 흐름을 도시한 블록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 부착 공정의 흐름을 도시한 블록 순서도.
도 5는 도 4의 단계 'S22'에 따라 절개홈이 형성된 스페이서를 도시한 일례.
도 6은 도 4에 따라 덧댐 유리에 부착된 스페이서 부위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따라 덧댐 유리에 부착 완료된 스페이서를 나타낸 상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세대유리 전방에 배치된 셋팅블럭을 보여주는 일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덧댐 유리 배치 공정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덧댐 유리 좌우 이격 조정 공정도.
도 11은 단계 S40이 완료된 덧댐 유리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창호용 덧댐 유리 시공 방법에 따라 세대유리에 덧댐 유리가 설치 완료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아래 또는 종단부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또는 상부에" 접촉하여 있거나 간격을 두고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창호용 덧댐 유리의 시공 대상인 창유리, 그리고 이러한 창유리에 덧댐 유리를 시공시 사용되는 스페이서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덧댐 유리의 시공 대상인 창유리가 건축물에 기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창호용 덧댐 유리의 시공 대상인 창유리는 건축물의 개구부에 설치된 창틀(9)에 지지되는 판형 유리로서, 단판유리, 두 개의 단판유리(1,2)를 접합필름(3) 등으로 합착시킨 접합유리(4), 또는 단판유리/접합유리(4)에 또 다른 하나의 창유리(5)를 스페이서(Spacer)(8)와 실링제(예컨대, 실리콘)(7)를 이용하여 상호 간극을 두고 부착시킨 복층유리(6) 등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층유리(6)는 전술한 2복층 구조는 물론 3복층 내지 4복층 구조로도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의 일 실시예에 도시된 세대유리(6)는 접합유리(4)에 또 다른 하나의 창유리(5)를 간극을 두고 부착시킨 복층 유리에 해당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건축물에 기설치되어 본 발명의 덧댐 유리의 시공 대상이 될 수 있는 창유리를 "세대유리(6)"라 칭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덧댐 유리의 시공시 사용되는 스페이서의 일례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덧댐 유리용 스페이서(10)는 유연재(11)와 배리어 필름(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연재(11)는 고무 내지 실리콘 재질의 폼(foam) 형태로 이루어진 부재로서, 기다란 스트립 내지 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분 흡수 기능을 갖는 실리카 성분이 함유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유연재(11)는 요철 형상의 단면을 갖는 기다란 바(bar) 형상으로 구성된다.
배리어 필름(13)은 유연재(11)의 하면에 부착되는 박판으로서, 수분 내지 산소 등이 유연재(11)로 침투하여 덧댐 유리의 간극층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배리어 필름(13)은 저투습/저투산소도 성능이 우수한 금속 재질의 필름 내지 포일(foil)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10)는 점착제(15)와 이형지(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페이서(10)를 창유리에 부착하기 위해 스페이서(10)의 측면에는 점착제(15)가 도포되고, 상기 점착제(15)는 이형지(17)에 의해 보호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덧댐 유리 시공 방법의 공정 흐름을 도시한 블록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덧댐 유리 시공 방법은 덧댐유리 및 스페이서 준비 공정, 스페이서 부착 공정, 덧댐유리 배치 공정, 덧댐유리 좌우 이격 조정 공정, 덧댐 유리 부착 공정, 실링제 주입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1) 덧댐유리 및 스페이서 준비 공정(S10)
본 발명의 덧댐유리 및 스페이서 준비 공정은 전술한 세대유리(6)에 시공할 덧댐 유리(20)와 스페이서(10)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덧댐 유리(20)는 단판유리를 사용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른 구조의 창유리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두 개의 단판유리를 스페이서와 실링제로 결합한 복층유리, 또는 두 개의 단판유리를 접합필름 등으로 합착시킨 접합유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덧댐 유리(20)에는 베젤층이 형성될 수 있다. 베젤층은 덧댐 유리(20)가 시공된 창호의 전면에서 보았을 때 사용자들이 스페이서(10)와 같은 개재물을 볼 수 없도록 형성한 인쇄층에 해당한다. 즉, 세대유리(6)에 본 발명의 덧댐 유리를 시공하게 되면, 세대유리(6)와 덧댐 유리(20) 사이에는 스페이서(10)와 실링제(50) 등의 개재물이 위치하게 되고, 이러한 개재물은 투명한 덧댐 유리의 특성상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개재물에 대응하는 위치에 베젤층을 형성함으로써 이를 외부로부터 시각적으로 차폐할 수 있게 된다.
베젤층은 덧댐 유리(20)의 일면 상에 인쇄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10)가 부착되는 면(즉, 세대유리(6)에 대향하는 면)에 그 주연부를 따라 연속되게 형성된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젤층은 바람직하게는 인쇄층이 유리로부터 쉽게 박리되지 않고 단단히 결합될 수 있도록 무기물질을 사용한 무기인쇄 방식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는 톨루엔, 벤젠, 자일렌 등의 유기용제(organic solvent)에 유기 바인더를 안료로 혼합한 액상재를 인쇄하는 유기인쇄 방식도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인쇄 방식은 용액 도포, 슬릿코팅, 잉크젯 프린팅, 임프린팅, 스크린 인쇄, 스핀코팅, 딥 코팅, 닥터블레이딩 등 용액공정이 가능한 인쇄 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0'의 스페이서(10)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연재(11)에 배리어 필름(13), 점착제(15) 및 이형지(17)가 구비된 부재를 지칭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0'의 스페이서(10)는 보빈 등에 권취되어 있는 롤 형태로 구비되고, 이러한 스페이서 롤은 외부로부터 밀폐되어 있는 수납함 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수납함 내에 격납되어 있는 스페이서 롤은 수납합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준비된 덧댐 유리에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스페이서(10)의 외부 인출을 위해 수납함에 형성된 상기 통공은 차폐문 등을 통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외부 습기로부터 내부가 차단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덧댐유리 및 스페이서 준비 공정(S10)은 세대유리 세정 단계, 보호필름 제거 단계, 덧댐유리 세정 단계, 창유리 검수 단계, 및 접착 테이프 부착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대유리 세정 단계는 세대유리(6)의 전면에 묻어 있는 이물을 비롯하여 특히 세대유리(6)의 주연부를 따라 잔류하고 있는 유화제를 제거하기 위한 공정이다. 세대유리(6)에 남아 있는 특히 유화제를 제거함으로써 덧댐 유리(20)를 더욱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보호필름 제거 단계는 덧댐 유리(20)의 보관, 이송 중에 스크래치 등을 방지하기 위해 전면 및(또는) 후면에 부착되어 있는 보호필름을 덧댐 유리(20)로부터 벗겨내는 작업을 지칭한다.
덧댐유리 세정 단계는 보호필름이 제거된 덧댐 유리(20)에 잔류하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공정으로서 블로어, 세정제 등을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창유리 검수 단계는 보호필름 제거 및 세정이 완료된 덧댐 유리(20)와, 이러한 덧댐 유리(20)가 부착될 세대유리(6)에 남아있는 먼지, 이물 또는 스크래지 여부를 검수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창유리 검수 단계는 덧댐 유리(20) 또는 세대유리(6)에 엘이디 램프(LED Lamp)를 조사하여 그 반사광으로부터 먼지, 이물 또는 스크래지 여부를 검수할 수 있다.
접착 테이프 부착 단계는 덧댐 유리(20)에 스페이서(10)가 부착될 영역 상에 접착 테이프를 부착시키는 공정으로서, 상기 접착 테이프는 양면형 부틸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 테이프 부착 단계를 통해 덧댐 유리(20)의 주연부 상에 양면형 부틸테이프를 구비함으로써 후술할 스페이서 부착 공정(S20)시 해당 스페이서(10)를 덧댐 유리(20) 상에 더욱 견고하게 부착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2) 스페이서 부착 공정(S20)
본 발명의 스페이서 부착 공정(S20)은 덧댐 유리(20)를 세대유리(6)에 부착시키고 이들 사이에 간극층을 형성하는 기능을 하는 스페이서(10)를 덧댐 유리(20)의 일면 상에 부착시키는 단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 부착 공정의 흐름을 도시한 블록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계 'S22'에 따라 절개홈이 형성된 스페이서를 도시한 일례이고, 도 6은 도 4에 따라 덧댐 유리에 부착된 스페이서 부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에 따라 덧댐 유리에 부착 완료된 스페이서를 나타낸 상측면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이서 부착 공정(S20)은 세부적으로 스페이서 부착 단계(S21), 절개홈 형성 단계(S22), 직각 절곡 구조 형성 단계(S23), 및 배리어 필름 부착 단계(S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페이서 부착 단계(S21)는 덧댐 유리(20)의 일 모서리 부위에 스페이서(10)를 부착하는 공정이다. 즉, 덧댐 유리(20)의 4개의 모서리 부위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 부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스페이서(10)를 부착하는 공정인데, 이때 스페이서(10)는 이형지(17)를 제거한 후 노출되는 점착제(15) 도포면이 덧댐 유리(20)의 일면에 접촉되며 부착된다. 만약 덧댐 유리(20)의 일면 상에 전술한 접착 테이프를 부착하였다면, 스페이서(10)의 점착제(15) 도포면은 상기 접착 테이프에 부착됨으로써 덧댐 유리(20)에 부착된다.
절개홈 형성 단계(S22)는 단계 'S21'에서 스페이서(10)를 부착시 해당 모서리 부위의 종단 즉, 코너에 대응하는 스페이서 부위를 소정의 절삭 기구를 이용하여 절삭함으로써 한 쌍의 경사면(19a,19b)으로 이루어진 절개홈(19)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이때, 스페이서(10)의 소정 부위에 절삭 기구를 접근시켜 이를 절삭할 경우, 스페이서(10)를 구성하는 유연재(11)에 대해서만 절삭이 이루어지고, 상기 유연재(11)의 하면 상에 부착되어 있는 배리어 필름(13)에 대해서는 절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절개홈 형성 공정(S22)을 통해 형성된 절개홈(19)은 도 5와 같이 한 쌍의 경사면 (19a,19b)이 대칭 구조를 이루는 '∨'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한편, 절개홈 형성 공정(S22)은 상기 한 쌍의 경사면(19a,19b)이 이루는 사이각이 90°를 이루도록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각 절곡 구조 형성 단계(S23)는 단계 'S22'를 통해 형성된 절개홈(19)의 한 쌍의 경사면(19a,19b)을 상호 연접시킴으로써 스페이서(10)를 해당 코너 부위에서 직각 절곡 구조로 만드는 공정이다.
스페이서(10)는 직각 절곡 구조 형성 단계(S23)를 거침으로써 도 6와 같이 덧댐 유리(20)의 코너 부위에서 그 절곡 부위가 라운딩을 형성하지 않고 정확히 직각으로 절곡된 구조(K1)로 부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덧댐 유리(20)의 일 모서리 부위와 일 코너에 대해 전술한 공정(단계 'S21' 내지 'S23')이 모두 완료되면, 상기 일 모서리 부위에 접하고 있는 또 다른 모서리 부위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연이어 스페이서(10)를 부착한다(S24).
이때 역시, 스페이서(10)는 이형지(17)를 제거한 후 노출되는 점착제(15) 도포면이 덧댐 유리(또는 덧댐 유리 상의 접착 테이프)의 일면에 접촉되며 부착된다.
그리고, 해당 모서리 부위의 종단 즉, 코너에 대응하는 스페이서 부위에 대해 전술한 단계 'S22' 및 단계 'S23' 공정을 또 한번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이 덧댐 유리(20)의 4개의 모서리 부위 모두에 대해 완료되면, 도 7과 같이 덧댐 유리(20)의 일면 상에 그 모서리 부위를 따라 연속되게 부착된 스페이서(10)가 사각 띠 형태로 구비된다.
배리어 필름 부착 단계(S25)는 전술한 단계 'S21' 내지 'S24'를 통해 덧댐 유리(20)의 모든 모서리 부위(즉, 4개 모서리 부위)에 대해 스페이서(10)가 부착 완료되면, 마지막 코너 부위에 부착된 스페이서(10)의 상호 연접 부위에 배리어 필름(13)을 부착하여 그 경계선을 마감하는 공정이다.
즉, 스페이서(10)를 덧댐 유리(20)에 부착시, 스페이서(10)는 최초 부착 코너(이하, 제1 코너)에서 출발하여 3개의 코너에서 순차적으로 직각 절곡 구조를 형성하며 부착된 후, 종국에는 제1 코너 부위로 다시 돌아와 상기 제1 코너에 기부착되어 있는 스페이서(10)의 경사면(19b 또는 19a)과 연접됨으로써 상기 제1 코너에서 직각 절곡 구조하며 사각 띠 형태를 완성하게 된다.
그런데, 이처럼 4개의 코너에 부착되는 스페이서 구조를 살펴보면, 제1 코너를 제외한 나머지 코너에서는 스페이서(10)의 배리어 필름(13)이 상호 절단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는 반면, 제1 코너에 부착되어 있는 스페이서(10)는 그 배리어 필름(13)이 상호 분리된 상태로 있게 되며, 이와 같이 상호 분리되어 있는 배리어 필름(13)의 경계부는 수분 등이 손쉽게 침투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작용하게 된다.
배리어 필름 부착 단계(S24)는 이와 같이 제1 코너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경계부에 추가적으로 별도의 배리어 필름을 부착하여 상기 경계부를 외부로부터 차폐함으로써, 스페이서(10)의 저투습 기능을 보장하기 위한 공정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이서 부착 공정(S20)의 완료 후, 덧댐유리 배치 공정(S30)으로 진입하기 전, 접착 테이프 부착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 테이프 부착 단계는 덧댐 유리(20)를 세대유리(6)에 부착시 상기 세대유리(6)에 접촉되는 스페이서(10) 일면에 접착 테이프를 구비함으로써 덧댐 유리(20)를 세대유리(6)에 더욱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 테이프는 양면형 부틸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덧댐유리 배치 공정(S30)
본 발명의 덧댐유리 배치 공정(S23)은 세대유리(6) 전방에 배치된 셋팅블럭(30) 상에 단계 S20을 통해 스페이서(10)가 모든 모서리 부위에 부착 완료된 덧댐 유리(20)를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세대유리 전방에 배치된 셋팅블럭을 보여주는 일례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덧댐 유리 배치 공정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덧댐유리 배치 공정(S23)은 스페이서(10)의 부착이 완료된 덧댐 유리(20)를 세대유리(6)에 부착하기 위해 그 전방에 배치시키는 단계인데, 이때 세대유리(6)에 부착되는 덧댐 유리(20)는 후술할 실링제 주입 공정을 위해 그 하단 모서리와 하측 창틀(9) 사이에 소정 거리의 이격 공간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세대유리(6)에 부착되는 덧댐 유리(20)는 마찬가지로 후술할 실링제 주입 공정을 위해 그 상단 모서리와 상측 창틀 사이에 소정 거리의 이격 공간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팅블럭(Setting Block)(30)은 이처럼 세대유리(6) 전방에 덧댐 유리(20)를 배치시킬 때, 이후 덧댐 유리(20)의 부착시 요구되는 이격 공간을 만들 수 있도록 안내하는 수단에 해당한다.
셋팅블럭(30)은 그 위에 덧댐 유리(20)를 안착시 덧댐 유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 성질을 갖는 연질 또는 탄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고무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이격 공간의 거리 즉, 덧댐 유리 하단 모서리와 하측 창틀 사이의 간격(도 11, S2)은 셋팅블럭(30)의 높이에 의해 정해지는데, 이때 셋팅블럭(30)의 높이는 덧댐 유리 하단 모서리와 하측 창틀 사이의 간격(S2)이 덧댐 유리 상단 모서리와 상측 창틀 사이의 간격(도 11, S1)과 동일하게 맞춰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셋팅블럭(30)은 약 7㎜의 높이를 갖고 창틀(9)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창틀(9)에 설치되어 있는 세대유리(6)에 그 주연을 따라 창틀바가 설치되어 있다면, 셋팅블럭(30)은 상기 창틀바 상에 배치되고, 실링제 주입 공정을 위해 마련되는 상기 이격 공간은 덧댐 유리의 하단 모서리(또는 상단 모서리)와 하측 창틀바(또는 상측 창틀바) 사이의 공간을 의미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 높이를 갖고 세대유리(6)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셋팅블럭(30) 상에 덧댐 유리(20)를 안착시키면, 덧댐 유리의 하단 모서리와 하측 창틀 사이에는 셋팅블럭(30)에 의해 소정 거리 만큼의 이격(S2)이 마련되고, 이에 의해 덧댐 유리의 상단 모서리와 상측 창틀 사이에도 'S2'와 동일한 거리 만큼의 이격(S1)이 형성되게 된다.
한편, 덧댐유리 배치 공정(S30)은 덧댐 유리(20)를 흡착하여 이의 지지 및 운반을 용이하도록 하는 흡착판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4) 덧댐유리 좌우 이격 조정 공정(S40)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덧댐 유리 좌우 이격 조정 공정도이고, 도 11은 단계 S40이 완료된 덧댐 유리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덧댐 유리 좌우 이격 조정 공정은 단계 'S30'을 통해 셋팅블럭(30) 상에 배치된 덧댐 유리의 좌측 모서리와 좌측 창틀 간의 이격 거리(S4), 그리고 덧댐 유리의 우측 모서리와 우측 창틀 간의 이격 거리(S3)를 조정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덧댐 유리 좌우 이격 조정 공정(S40)은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스틱(40)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대유리(6)에 부착되는 덧댐 유리(20)는 단계 'S30'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실링제 주입 공정을 위해 덧댐 유리(20)의 좌변/우변과 좌측/우측 창틀 사이에 이격 공간이 각각 마련되어야 하고, 이와 같이 덧댐 유리(20)의 양 모서리측에 부여되는 이격 공간(S3,S4)은 상호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스틱(40)은 이처럼 세대유리(6) 전방에 배치된 덧댐 유리(20)의 양 모서리측에 이격 공간을 부여하고, 특히 좌측 모서리와 좌측 창틀 간의 이격 거리(S4), 그리고 우측 모서리와 우측 창틀 간의 이격 거리(S3)를 상호 동일하게 맞출 수 있도록 안내하는 수단에 해당한다.
스틱(40)을 이용하여 이격 공간을 부여하고, 양측 이격 거리(S3,S4)를 맞추는 작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과 같이 덧댐 유리(20)의 좌변과 좌측 창틀 사이에 스틱(40)을 삽입한 후 덧댐 유리(20)의 좌변이 상기 삽입된 스틱(40)에 밀착되도록 그 위치를 조정하면, 덧댐 유리(20)의 좌측 모서리와 좌측 창틀 간의 이격 거리(S4)가 스틱(40)의 두께(T1) 만큼으로 조정되고, 이에 의해 우측 모서리와 우측 창틀 간의 이격 거리(S3)도 이격 거리 'S4'와 동일하게 자동으로 맞춰지게 된다.
이러한 스틱(40)은 이를 이격 공간에 삽입시 덧댐 유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나무 재질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틱(40)은 약 7㎜의 두께(T1)를 갖고 덧댐 유리(20)의 좌변(또는 우변)과 좌측(또는 우측) 창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단계 'S30' 및 'S40'이 모두 완료되면, 도 11과 같이 세대유리(6) 상에 이격 공간이 모두 동일한 간격(S1 내지 S4)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덧댐 유리가 준비되게 된다.
(5) 덧댐 유리 부착 공정(S50)
본 발명의 덧댐 유리 부착 공정(S50)은 전술한 단계들을 통해 세대유리(6) 상에 4개의 동일한 간격을 갖고 배치된 덧댐 유리(20)를 세대유리(6)에 부착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창호용 덧댐 유리 시공 방법에 따라 세대유리에 덧댐 유리가 설치 완료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세대유리(6) 전방에 배치된 덧댐 유리(20)를 세대유리(6) 측으로 가압하면 덧댐 유리(20)에 부착된 스페이서(10)의 점착제(15) 또는 상기 점착제(15)에 부착된 양면형 접착 테이프의 접착력에 의해 덧댐 유리(20)는 세대유리(6) 전방 상에 스페이서(10) 만큼의 간극을 두고 부착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6) 실링제 주입 공정(S60)
본 발명의 실링제 주입 공정(S60)은 덧댐 유리(20)와 세대유리(6) 사이에 형성된 간극층으로 실링제(50)를 주입하여 이를 충진시킴으로써 덧댐 유리(20)가 세대유리(6)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실링제 주입 공정(S60)은 덧댐 유리(20)와 창틀(9)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으로 실링제 주입 기구의 노즐부를 삽입하여 상기 노즐부의 토출구가 간극층으로 향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토출구를 통해 실리제를 분사시켜 상기 간극층으로 주입하도록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실링제(50)는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상기 실리콘 재질은 창틀(9)과 동일한 색상을 갖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창호 미관을 미려하고 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간극층으로 주입된 실링제(50)가 경화되면, 도 12와 같이 세대유리(6) 상에 덧댐 유리(20)가 접합 고정됨으로써 창호용 덧댐 유리의 시공이 완료된다.
한편, 전술한 셋팅블럭(30)은 바람직하게는 덧댐 유리 부착 공정(S50) 후, 또는 실링제 주입 공정(S60) 전에 제거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6: 세대유리 10: 스페이서
11: 유연재 13: 배리어 필름
19: 절개홈 20: 덧댐 유리
30: 셋팅블럭 40: 스틱
50: 실링제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유연재 및 상기 유연재의 하면에 부착되는 금속 재질의 배리어 필름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건축물에 기설치된 창유리(이하, '세대 유리'라 칭함)에 덧댐 유리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덧댐 유리, 및 상기 세대 유리와 상기 덧댐 유리 사이에 개재될 상기 스페이서를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덧댐 유리의 일면 상에 상기 스페이서를 부착하는 제2 단계;
    상기 세대 유리가 설치되는 창틀 상부에 일정 높이의 셋팅블럭을 상기 세대 유리와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 배치하고, 상기 셋팅블럭 상에 상기 스페이서가 부착된 덧댐 유리를 안착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셋팅블럭 상에 안착된 덧댐 유리의 좌변 또는 우변과 창틀 사이에 일정 두께의 스틱을 삽입하여, 상기 셋팅블럭 상에 배치된 덧댐 유리의 좌우 이격을 조정하는 제4 단계;
    상기 덧댐 유리를 상기 세대 유리 측으로 가압하며 상기 세대 유리에 부착시키는 제5 단계; 및
    상기 덧댐 유리와 상기 세대 유리 사이의 간극층으로 실링제를 주입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덧댐 유리의 일 모서리 부위를 따라 상기 스페이서의 일 부위를 부착하는 제2-1 단계;
    상기 일 모서리 부위의 코너에 대응하는 상기 스페이서 부위에 상기 배리어 필름 부위는 남긴 상태에서 상기 유연재 부위만을 절삭하여 한 쌍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절개홈을 형성하는 제2-2 단계;
    상기 한 쌍의 경사면을 상호 연접시킴으로써 상기 스페이서를 상기 코너 부위에서 직각 절곡 구조로 만드는 제2-3 단계; 및
    상기 스페이서의 또 다른 부위를 상기 덧댐 유리의 타 모서리 부위를 따라 부착시키는 제2-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덧댐 유리 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를 통해 조정되는 상기 덧댐 유리의 좌우 이격은 상기 셋팅블럭의 높이와 동일하게 조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덧댐 유리 시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준비되는 상기 덧댐 유리는 적어도 일면의 주연부를 따라 인쇄된 베젤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덧댐 유리 시공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준비되는 스페이서는 롤 형태로 권취되어 수납함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스페이서를 상기 수납함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을 통해 외부로 인출하여 준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덧댐 유리 시공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세대 유리를 세정하는 제1-1단계;
    상기 덧댐 유리에 부착된 보호필름을 제거하는 제1-2단계;
    상기 보호필름이 제거된 덧댐 유리를 세정하는 제1-3단계;
    상기 덧댐 유리 또는 상기 세대 유리에 잔류하는 이물 또는 스크래치 여부를 검수하는 제1-4단계; 및
    상기 덧댐 유리에 상기 스페이서가 부착될 영역 상에 양면형 접착 테이프를 부착하는 제1-5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덧댐 유리 시공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와 상기 제3 단계 사이에,
    상기 스페이서의 일면에 양면형 접착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덧댐 유리 시공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셋팅블럭은 연질 또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스틱은 나무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덧댐 유리 시공 방법.
KR1020140086858A 2014-07-10 2014-07-10 창호용 덧댐 유리 시공 방법 KR101629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858A KR101629460B1 (ko) 2014-07-10 2014-07-10 창호용 덧댐 유리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858A KR101629460B1 (ko) 2014-07-10 2014-07-10 창호용 덧댐 유리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007A KR20160007007A (ko) 2016-01-20
KR101629460B1 true KR101629460B1 (ko) 2016-06-10

Family

ID=55307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858A KR101629460B1 (ko) 2014-07-10 2014-07-10 창호용 덧댐 유리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4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1868B2 (ja) * 1993-04-23 2001-04-25 東洋鋼鈑株式会社 樹脂被覆金属板の製造方法
JP2012148966A (ja) * 2010-12-28 2012-08-09 Asahi Glass Co Ltd スペーサ付きガラス板及び複層ガラス窓の組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1868A (ja) * 1989-11-20 1991-07-11 Canon Inc 画像記憶装置
JPH0679987U (ja) * 1993-04-26 1994-11-08 日本建鐵株式会社 垂れ下がり防止セッティングブロック
KR101182116B1 (ko) * 2008-07-07 2012-09-17 김영록 복층유리용 금속판이 결합된 플라스틱 간봉
KR101338923B1 (ko) 2013-05-27 2013-12-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창호시스템 및 덧댐 창호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1868B2 (ja) * 1993-04-23 2001-04-25 東洋鋼鈑株式会社 樹脂被覆金属板の製造方法
JP2012148966A (ja) * 2010-12-28 2012-08-09 Asahi Glass Co Ltd スペーサ付きガラス板及び複層ガラス窓の組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007A (ko)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09629B (zh) 显示结构、偏光结构及粘贴触控面板于液晶面板的方法
US8349426B2 (en) Sealing tape of soft foam
CA254260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n insulating glass pane
US20070204534A1 (en) Doorframe
US10323448B2 (en) Device comprising a pane and at least one lifting rail, method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JP2018053669A (ja) 外壁の防水構造、外壁パネルおよび外壁パネルの防水施工方法
KR101629460B1 (ko) 창호용 덧댐 유리 시공 방법
RU2352746C2 (ru) Профиль для створного оконного переплета и пластмассовое окно с вклеенным остеклением
US2013033566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N205476208U (zh) 拼接式防火复合板
JP2005061075A (ja) 複層ガラス支持構造及び複層ガラス
CN204009298U (zh) 具有密封结构的液晶模组
KR20210155552A (ko) 폴리카보네이트 유리를 이용한 3중 접합유리 및 3중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JP6319639B2 (ja) サッシ廻りの気密構造
JP6620074B2 (ja) 外壁目地の止水構造
CN215670352U (zh) 中空玻璃
RU2367759C2 (ru) Система профилей
CN215292094U (zh) 一种带排水孔的密闭型隔音窗结构
JP5650931B2 (ja) 連段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013354A (ja) ガラスパネルへのグレージングチャンネルの取付構造
CN215288614U (zh) 一种多层复合式eva复合胶膜
JP6558844B1 (ja) 後付け複層ガラス製造用板ガラス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後付け複層ガラスの製造方法
CN209761264U (zh) 一种可以降低误差的定位排水轨道
CN109914682B (zh) 一种墙体隔断板用不打胶复合板
JP6702815B2 (ja) 外壁目地の止水構造、及び止水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