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053B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053B1
KR101629053B1 KR1020117023518A KR20117023518A KR101629053B1 KR 101629053 B1 KR101629053 B1 KR 101629053B1 KR 1020117023518 A KR1020117023518 A KR 1020117023518A KR 20117023518 A KR20117023518 A KR 20117023518A KR 101629053 B1 KR101629053 B1 KR 101629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lecting member
water collecting
integral
ion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3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747A (ko
Inventor
한스-디에터 플룸
토마스 브린크만
Original Assignee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코오포레이션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코오포레이션 엔.브이. filed Critical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코오포레이션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20001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6Details of the tu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47L15/4204Flat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47L15/4206Tubular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5Arrangements or adaption of recirculation or discharge pumps

Abstract

식기 세척기는 세척 챔버, 상기 세척 챔버의 내외로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물 순환 시스템, 그리고 상기 세척 챔버의 하단부 내의 개구부(14)에 대해서 수밀 방식으로 체결되는 물-수집 집수 부재(12)를 포함한다. 상기 집수 부재는 상기 집수 부재를 수밀 방식으로 상기 개구부(14)에 연결하기 위한 경계부를 구성하는 상부 부분, 그리고 물 수집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부 부분을 포함하는 독립형(self-contained) 몰딩 플라스틱 유닛이며, 상기 상부 부분은 상기 집수 부재를 식기 세척기의 물 유입 도관 및/또는 배수 도관에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일체형 피팅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WASHER}
본원 발명은 세척 챔버, 상기 세척 챔버의 내외로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물 순환 시스템, 그리고 상기 세척 챔버의 하단부 내의 개구부에 대해서 수밀(water-tight) 방식으로 체결되는 물-수집 집수(sump) 부재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부 제조업자들은 집수 부재를 순환 펌프, 배수 펌프 등과 같은 수압(hydraulic) 유닛을 포함하는 미리 조립된 유닛으로 디자인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그에 따라, DE 10 2005 044 622 A1에는, 세척 챔버, 상기 세척 챔버의 내외로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물 순환 시스템, 그리고 상기 세척 챔버의 하단부 내의 개구부에 대해서 수밀 방식으로 체결되는 물-수집 집수 부재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집수 부재는 세척 챔버의 개구부 내에 장착되는 전체적으로 접시-형상의 하부 부분, 그리고 상기 접시-형상의 하부 부분에 대한 덮개를 형성하고, 유입구 개구부의 어레이(array)를 포함하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세척 챔버로부터의 물이 상기 유입구 개구부의 어레이를 통해서 집수 부재 내로 유동할 것이다. 집수 부재의 하부 부분 및 상부 부분에 의해서 둘러싸인 내부 부피에는, 집수 부재 내에 수집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요소, 상부 스프레이 아암과 하부 스프레이 아암 사이에서 순환수를 분배하기 위한 스위칭 밸브를 포함하는 물 안내 시스템, 순환 펌프의 임펠러, 큰 파편 입자들을 분쇄하기 위한 분쇄기 등과 같은 다수의 기계적 또는 전자적 구성요소들이 제공된다.
US 2006/0174916 A1에는, 복수의 유체 도관, 특히 세척 유체 공급 도관, 세척 유체 순환 도관 및 세척 유체 배수 도관이 세척 챔버의 바닥 벽을 따라서 형성된 식기 세척기가 기재되어 있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제조가 용이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세척 챔버, 상기 세척 챔버의 내외로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물 순환 시스템, 그리고 상기 세척 챔버의 하단부 내의 개구부에 대해서 수밀 방식으로 체결되는 물-수집 집수 부재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에서, 본원 발명에 따라서, 상기 목적이 해결되며, 상기 집수 부재는 상기 집수 부재를 수밀 방식으로 상기 개구부에 연결하기 위한 경계부(interface)를 구성하는 상부 부분, 그리고 물 수집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부 부분을 포함하는 독립형(self-contained) 몰딩 플라스틱 유닛이며, 상기 상부 부분은 상기 집수 부재를 식기 세척기의 물 유입 도관 및/또는 배수 도관에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일체형 피팅(integral fitting)을 포함한다.
집수 부재를 독립형 몰딩 플라스틱 유닛으로 디자인함으로써, 상기 집수 부재의 상부 부분은 세척 챔버 내에 제공된 개구부에 대해서 수밀 방식으로 집수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경계부를 구성하며, 상기 상부 부분은 세척 챔버의 내외로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물 순환 시스템에 대해서, 그리고 특히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 유입 도관 및/또는 배수 도관에 대해서 상기 집수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일체형 피팅을 더 포함하고, 집수 부재를 다양한 식기 세척기 모델에 맞추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모듈형 유닛으로 집수 부재를 디자인할 수 있다. 집수 부재의 상부 부분이 상기 집수 부재를 물 유입 도관으로 또는 배수 도관으로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일체형 피팅을 포함하며, 집수 부재의 상부 부분은 바람직하게 식기 세척기의 물 순환 시스템과 집수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다양한 수압 연결부들 모두에 대한 일체형 피팅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 집수 부재의 하부 부분은 집수 부재의 상부 부분의 다양한 버전과 조합될 수 있는 표준 부재로서 디자인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집수 부재와 세척 챔버 사이의 수밀 연결부와 관련된 그리고 집수 부재를 물 공급부 및 배수 도관에 연결하는 피팅과 관련된 맞춤 작업(customizing)을 필요로 하는 집수 부재의 섹션들이 집수 부재의 상부 부분에 일체로 제공된다. 그에 따라, 만약, 예를 들어 2개의 식기 세척기 모델이 제조되어야 한다면, 그리고 그중 하나의 모델이 식기 세척기 모델이 보다 큰 체(sieve) 영역을 수용하기 위한 세척 챔버 바닥의 대형 개구부를 제공하고, 집수 부재의 상부 부분의 두 버전이 제공되며, 이들 중 하나가 집수 부재 하부 부분의 동일한 버전과 조립된다. 그에 따라, 새로운 식기 세척기 모델의 엔지니어링이 크게 용이해지고 그리고 전체적인 제조 비용이 감소된다.
본원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임의 타입의 식기 세척기일 수 있고 즉, 상업용 또는 가정용 식기 세척기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가정용 식기 세척기이다.
집수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되고, 그러한 플라스틱 물질은 단일 물질일 수 있고 또는 2개 이상의 물질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집수 부재가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으며, 단일 제조 작업으로 복잡한 구성요소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한 사출 성형이 특히 바람직하다. 집수 부재의 제조를 위한 특히 바람직한 물질은 폴리프로필렌이며, 이는 알칼리성 고온수에 대한 내성 때문에 특히 적합하다.
그에 따라, 집수 부재 및 임의의 일체형 피팅이 단일의 일체형 부분으로 제조될 수 있는 한편, 집수 부재의 선택된 기하학적 형태로 인해서, 집수 부재의 부분들을 독립된 부재들로서 제조하는 것이 필수적이거나 적어도 바람직할 수 있으며, 상기 독립된 부재들은 추가적인 제조 단계에서 집수 부재에 대해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허청구범위의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특히, 집수 부재 및 특히 집수 부재의 하부 부분은, 순환 펌프, 배수 펌프, 스위칭 요소, 센서 등과 같은 식기 세척기의 전기적 및/또는 수압적 구성요소들을 위한 장착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할 때, 집수 부재의 하부 부분은 상기 구성요소들이 부착되는 표준 구성요소으로서 디자인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식기 세척기 모델이 디자인되어야 할 때, 세척 챔버에 대한 경계부 및 식기 세척기의 물 유입구 또는 배수 도관에 대해서 집수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피팅을 포함하는 집수 부재의 상부 부분 만을 재디자인하면 된다. 그에 따라, 바람직하게, 하부 부분은 순환 펌프의 임펠러를 수용하기 위한 일체형 제 1 하우징 섹션 및/또는 배수 펌프의 임펠러를 수용하기 위한 일체형 제 2 하우징 섹션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집수 부재의 상부 부분은 스프레이 아암 공급 도관을 위한 하나 이상의 일체형 피팅을 포함한다. 특히, 순환수를 하부 스프레이 아암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 1의 일체형 피팅 및 순환수를 상부 스프레이 아암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 2의 일체형 피팅이 제공될 수 있다. 종래의 가정용 식기 세척기에서, 일반적으로 하부 및 상부 바구니가 제공되는 한편, 하부 스프레이 아암이 하부 바구니 아래쪽에 위치되고 그리고 상부 스프레이 아암이 상부 바구니 아래쪽에 위치되며, 중간 스프레이 아암과 같은 추가적인 스프레이 노즐 배열체(arrangement)가 제공되는 실시예에서, 집수 부재의 상부 부분은 임의의 그러한 추가적인 노즐 배열체에 대한 추가적인 일체형 피팅을 포함한다. 또한, 물이 공급되는 하나 이상의 스프레이 아암이 제공되는 실시예에서, 집수 부재가 스프레이 아암들 사이에서 물을 분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의 제조를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일체형 피팅들 중 하나 이상이 상기 피팅에 연결되는 각각의 도관에 대한 스냅-핏(snap-fit) 연결부에 맞춰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냅-핏 연결부는 분리가능한 연결 또는 영구적인 연결에 맞춰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집수 부재의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이, 예를 들어 스냅-핏 연결부에 의해서, 액밀(liquid-tight)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고, 또는 집수 부재의 일체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즉, 용접, 접착 등에 의해서 서로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집수 부재의 상부 부분은 세척 챔버의 하단부 내의 개구부 및 집수 부재의 상부 부분의 상응하는 접촉 영역의 수밀 밀봉을 위해서 구성되는 밀봉부를 포함한다.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집수 부재는 식기 세척기의 하나 이상의 수압 구성요소으로 물을 전달하기 위한 집수 부재와 부분적으로 일체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통합 통로를 포함한다. 물을 식기 세척기의 하나 이상의 수압 구성요소으로 전달할 수 있는 통로를 통합함으로써, 조립체의 무결성(integrity)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즉, 보다 적은 수의 구성요소들이 제조 및 조립될 뿐만 아니라, 제품 안전성도 개선되는데, 이는 물 유입구를 연수(water softening) 장치로 연결하는데 있어서 보다 적은 수의 피팅, 실링 등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바람직하게 집수 부재는 연수 장치, 연수 장치의 재생을 위한 염(salt) 용액을 저장하기 위한 염 탱크, 청정 액체를 세척 챔버 내의 스프레이 노즐로 전달하기 위한 순환 펌프를 포함하는 물 분배 시스템, 폐수 배출구로 집수부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 펌프, 신선한 물을 식기 세척기로 공급하기 위한 메인 유입구 튜브, 식기 세척기 내에서 순환하는 청정 액체로부터 분진 입자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 요소, 집수부의 물-수집 공간 등과 같은 식기 세척기의 다양한 수압 구성요소들을 연결하기 위해서 제공될 수 있는 복수의 일체형 통로를 포함한다. 일체형 통로는 각각의 수압 구성요소 내로 연장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내부에 존재하거나, 또는 일체형 통로들이 각각의 수압 구성요소의 유입구 또는 배출구 개구부의 내외로 연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임의의 일체형 통로가 역류 보호 장치를 구비하여, 일체형 통로를 통해서 유동하는 액체가 특정의 소정 방향을 따라서만 유동하게 할 수 있다.
일체형 통로는 집수 부재의 상부 부분 및/또는 하부 부분 내에 제공되는 채널 및/또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특히, 만약 집수 부재의 상부 부분이 집수 부재의 물-수집 수용부, 이온 교환 물질 탱크 또는 염 탱크와 같은 하부 부분의 용기(vessel) 부분에 대한 커버 부재를 구성한다면, 상기 커버 부분은 커버 부재의 하나의 섹션으로부터 커버 부재의 다른 섹션으로 액체를 통과시키기 위해서 일체형으로 형성된 통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커버 부재 내에 제공되며, 그에 따라 상기 통로를 통해서 유동하는 모든 액체가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게 되고 그리고 집수 부재의 하부 부분의 각각의 섹션 내로 통과하게 된다. 또한, 물이 통과하여 스프레이 노즐로 공급되고 연수제 수지와 같은 연수 물질로 충전된 이온 교환 물질 탱크와 같이 액체가 통과하는 용기 섹션, 또는 재생 염으로 충전되고 이온 교환 물질의 재생을 위한 염 용액을 생성하기 위해서 물이 통과되는 염 탱크를 집수 부재의 하부 부분이 구성하도록 디자인될 때, 상기 일체형 통로는 통로가 내부에 제공되는 각각의 용기 섹션의 바닥에 근접하여 개방된 유입구 또는 배출구 개구부를 구비하고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체형 통로가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 채널을 포함할 때, 이러한 채널은 각각이 용기 섹션의 본질적으로 수직인 측벽의 일체로 형성된 부분이 될 수 있다. 또한, 일체형 통로의 유입구 및/또는 배출구 개구부가 체 구조물을 구비하여, 열 교환 물질과 같은 입자 또는 염 입자를 집수 부재의 특정 섹션에서 유지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식기 세척기의 하나 이상의 수압 구성요소 및 상기 수압 구성요소로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집수 부재의 하나 이상의 일체형 통로가 이하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 이온 교환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연수 장치의 이온 교환 물질 탱크 및 물 유입구로부터 상기 이온 교환 물질 탱크로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 식기 세척기의 메인 유입구 튜브로 연결되는 일체형의 제 1 통로;
- 상기 이온 교환 물질의 재생을 위한 염 용액을 수용하기 위한 연수 장치의 염 탱크 및 물 유입구로부터 상기 염 탱크로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일체형의 제 2 통로로서, 상기 집수 부재의 일체형의 제 2 통로가 바람직하게 식기 세척기의 메인 유입구 튜브에 연결되고 즉, 식기 세척기가 연결되는 수도꼭지와 같은 식기 세척기의 물 유입구로부터 직접 유입되는 신선한 물이 공급되며, 또는 그 대신에, 상기 일체형의 제 2 통로는 식기 세척기 내에 구비된 재생 투여(dosing) 장치로부터 메인 물을 수용하고, 상기 재생 투여 장치는 재생 물을 위한 독립적인 물 저장 탱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장 탱크는 메인 유입구 튜브로부터 물을 수용하고 그리고 상기 일체형의 제 2 통로에 연결되며;
- 이온 교환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연수 장치의 이온 교환 물질 탱크 및 상기 이온 교환 물질 탱크로부터 상기 세척 챔버로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일체형 제 3 통로;
- 이온 교환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연수 장치의 이온 교환 물질 탱크 및 상기 이온 교환 물질 탱크로부터 상기 집수부의 물 수집 공간으로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일체형 제 3 통로;
- 이온 교환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연수 장치의 이온 교환 물질 탱크와 상기 이온 교환 물질의 재생을 위한 염 용액을 수용하기 위한 염 탱크, 및 상기 염 탱크로부터 상기 이온 교환 물질 탱크로 염 용액을 통과시키기 위한 일체형 제 4 통로, 상기 제 4 통로는 바람직하게 이온 교환 물질 탱크의 염 용액을 위한 유입구 개구부에 연결되고, 또는 그 대신에, 이온 교환 물질 탱크의 메인 물을 위한 유입구 개구부에 연결되며, 그리고 추가적으로 상기 제 4 통로가 역류 보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 순환 펌프 그리고 상기 집수부로부터 순환 펌프로 순환수를 통과시키기 위한 일체형 제 5 통로로서, 상기 일체형 제 5 통로는 순환수를 위한 즉, 세척 챔버를 통해서 순환하는 세정 액체를 위한 집수 부재의 배출구 개구부로부터 순환 펌프의 유입구 개구부까지 즉, 그러한 펌프의 흡입측에 정렬되는 순환 펌프의 포트로 연장할 수 있다.
- 순환 펌프 및 물 분배 시스템 및 상기 순환 펌프로부터 상기 물 분배 시스템으로 가압된 순환수를 통과시키기 위한 일체형 제 6 통로로서, 상기 집수 부재의 일체형 제 6 통로는 순환 펌프의 압력측에 위치되는 순환 펌프의 순환수 배출구 개구부로부터 가압된 순환수를 세척 챔버 내에 제공된 스프레이 아암으로 제공하기 위한 순환수 분배 시스템의 유입구 개구부로 연장할 수 있다.
- 배수 펌프 그리고 상기 집수부로부터 상기 배수 펌프로 폐수를 통과시키기 위한 일체형 제 7 통로로서, 상기 일체형 제 7 통로는 바람직하게 집수 부재의 물-수집 하부 영역 내에 정렬된 폐수용 집수 부재의 배출구 개구부로부터 상기 배수 펌프의 흡입측에 정렬된 폐수용 배수 펌프의 유입구 개구부까지 연장할 수 있다.
- 배수 펌프 그리고 배수 튜브 그리고 상기 배수 펌프로부터 상기 배수 튜브로 가압된 폐수를 통과시키기 위한 일체형 제 8 통로로서, 상기 일체형 제 8 통로가 폐수용 배수 펌프의 배출 개구부로부터 즉, 배수 펌프의 압력 측부에 정렬된 펌프 포트로부터 배수 튜브의 폐수를 위한 유입구 개구부까지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 8 통로 및/또는 배수 튜브는 바람직하게 역류 보호 장치를 구비하며; 그리고
- 이온 교환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연수 장치의 이온 교환 물질 탱크 및 순환 펌프, 그리고 물 유입구로부터 상기 이온 교환 물질 탱크로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일체형 제 1 통로 그리고 상기 제 1 통로를 통해서 상기 집수 부재의 물 수집 공간 및 상기 세척 챔버 중 하나 내로 통과하는 물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시키기 위해서 이온 교환 물질 탱크의 상류에서 제 1 통로로부터 분기되는 일체형 제 9 통로.
물 유입구로부터 연수 장치로 물을 통과시키는 일체형 제 1 통로의 경우에, 상기 제 9 통로가, 그러한 물을 연수 장치로 최초로 통과시키는 대신에, 그러한 물의 적어도 일부를 세척 챔버로 또는 집수 부재의 물 수집 공간으로 통과시키는 우회로를 형성한다. 그에 따라, 집수 부재의 일체형 우회로가 일체형 제 1 통로에 형성된 분기 개구부로부터 세척 챔버의 또는 집수 부재의 물 수집 공간의 메인 물을 위한 유입구 개구부까지 연장할 수 있다. 연수 장치로 그리고 우회로를 통해서 통과하는 물의 양을 각각 제어하기 위해서, 밸브 수단이 일체형 제 1 통로 내에, 일체형 제 9 통로 내에 또는 제 9 통로가 제 1 통로로부터 분기하는 지점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밸브 수단은 셋팅 장치 특히, 수동으로 셋팅될 수 있는 셋팅 장치에 의해서 및/또는 국부적인 물 경도(hardness)를 고려하기 위한 식기 세척기의 자동 제어 장치에 의해서 및/또는 식기 세척기의 물 경도 센서에 의해서 특히 전도도 센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물 경도 측정에 따른 자동 제어 장치에 의해서 조정된다.
만약 재생 투여 장치가 채용된다면, 이는 공기 브레이크와 같은 역류 안전 장치를 통해서 메인 유입구 튜브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재생 투여 장치는 상부 부분에서 재생 투여 장치 내의 물 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되는 원호형 섹션을 가지는 물 유입구 튜브를 구비하며, 그에 따라 메인 유입구 튜브로부터 가압되어 제공되는 물이 재생 투여 장치로 유입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재생 투여 장치로부터의 물은 메인 유입구 튜브 내로 역류할 수 없다.
집수 부재가 하나 이상의 일체형 통로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집수 부재의 상부 부분은 바람직하게 전체적으로 편평한 샌드위치-타입의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샌드위치-타입의 구조물은 상부 샌드위치 구성요소 및 하부 샌드위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이들 구성요소들은 그 사이의 중간 공간을 둘러싸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일체형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그에 따라, 상부 및 하부 샌드위치 구성요소는 본질적으로 수평으로 그리고 서로 상하로 정렬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및 하부 샌드위치 구성요소 사이의 중간 공간은 복수의 본질적으로 수직인 수직 벽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집수 부재의 임의의 일체형 통로가 2개의 이웃하고 본질적으로 수직인 수직 벽 섹션들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수직 벽 섹션들은 상기 상부 샌드위치 구성요소 및 하부 샌드위치 구성요소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제공된다. 특히 일체형 통로들이 제공되는 그러한 영역에서 상기 상부 샌드위치 구성요소과 하부 샌드위치 구성요소 사이에 유체 밀봉식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부 및 하부 샌드위치 구성요소가 접착(gluing) 또는 용접에 의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집수 부재는 전자적 또는 전자기계적 장치를 집수 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요소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요소는 플라스틱 물질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 집수 부재의 일체형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그러한 고정 요소는, 예를 들어, 밸브 및 압력 스위치와 같은 유동 제어 장치, 특히 순환수를 가열하기 위한 물 가열 장치, 순환 펌프, 배수 펌프, 및/또는 하나 이상의 센서, 예를 들어 온도 센서, 물의 광학적 혼탁도를 위한 혼탁도 센서, 물 경도 센서, 물 압력 센서, 물 전도도 센서, 물 레벨(준위) 센서 등을 고정하기 위해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기 세척기의 작동 중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액체로 충전되는 집수 부재의 섹션 내에 위치되는 한편, 전기 콘택과 같은 센서의 다른 부분들이 액체로 충전된 섹션의 외부에 위치되는 혼탁도 센서에 대해서 적용되는 경우와 같이, 전자 장치 또는 전자기계 장치의 일부분만이 집수 부재의 각각의 섹션과 액체 접촉하는 상태로 정렬되는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고정 요소는 액체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밀봉부를 통해서 전자적 또는 전자기계적 장치가 연장한다. 순환수를 가열하기 위한 물 가열 장치를 부착하기 위해서 고정 요소가 제공되는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기 상기 고정 요소가 집수 부재 내에, 특히 집수 부재의 물 수집 수용부 내에 제공된다. 그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물 가열 요소가 또한 순환 펌프의 하우징 내부에서 그리고 특히 그러한 펌프의 임펠러가 위치되는 섹션 내에서 각각의 고정 요소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집수 부재의 하부 부분은 이온 교환 물질 탱크 및 염 탱크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집수 부재의 상부 부분은 적어도 상기 물-수집 수용부, 상기 이온 교환 물질 탱크 및/또는 상기 염 탱크의 일부에 걸쳐서 연장한다. 이온 교환 물질 탱크 및/또는 염 탱크는, 집수 부재의 하부 부분의 일체로 형성된 부분으로서, 또는 물 수집 수용부를 포함하는 집수 부재 하부 부분의 섹션과 조립되는 독립된 부재로서, 플라스틱 물질의 적어도 일부분 내에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집수 부재의 물-수집 수용부, 이온 교환 물질 탱크 및 염 탱크가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후속 제조 단계에서 함께 결합되는 부분들일 수 있는 한편, 이들 구성요소들이 또한 예를 들어 플라스틱 물질의 사출 성형에 의해서 형성되는 하나의 일체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또한, 물-수집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커버, 상기 이온 교환 물질 탱크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커버 및/또는 상기 염 탱크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커버를 형성하는 상부 부분이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후속 제조 단계에서 함께 결합되는 부분들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또한, 그러한 커버 구성요소들이 예를 들어 플라스틱 물질의 사출 성형에 의해서 형성되는 하나의 일체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집수 세척 챔버의 하단부 부분 및 커버 부재의 각각의 접촉 영역의 수밀 실링을 위해서 구성되는 실링을 포함함으로써, 커버 부재가 세척 챔버의 하단부 부분 내의 개구부에 대한 집수 부재의 액밀 고정을 위해서 구성된다. 염 탱크가 제공되는 실시예에서, 염 탱크에 대한 커버를 형성하는 커버 부재의 일부가 염 충전 개구부를 구비하고, 그러한 염 충전 개구부를 통해서 이온 교환 물질의 재생을 위한 염 용액을 형성하기 위한 재생 염이 염 탱크 내로 충전될 수 있다. 염 충전 개구부는 바람직하게 수밀 밀폐부, 특히 수밀 스크류 캡을 포함한다.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필터 체가 세척 챔버의 하단부 부분 내의 개구부 내에 제공되며, 그러한 필터 체는 세척 챔버 내에서 세정되는 물품으로부터 분리되고 집수부의 물-수집 수용부를 향해 하향 유동하는 순환수로부터 분진 입자들을 여과하는 역할을 한다. 통상적인 식기 세척기에서와 같이, 바람직하게 필터 체는 제 1의 전체적으로 편평하나 깔대기 형상을 가지는 필터 요소, 그리고 집수부의 물-수집 수용부 내에서 수직으로 정렬되는 제 2의 전체적으로 튜브형의 필터 요소를 포함한다. 집수 부재가 세척 챔버의 하단부 부분 내의 개구부에 체결되었을 때, 바람직하게 집수 부재 커버가 적어도 필터 체의 본질적으로 수평인 편평한 부분의 아래쪽에 정렬된다. 만약 필터 체가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조되고 그리고 식기 세척기가 염 탱크를 포함하는 연수 장치를 포함한다면, 재생 염을 염 충전 개구부 내로 충전하는 동안에 발생할 수 있는 염 용액의 간헐적인 넘침(occasional spill)과 편평한 필터 체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되도록, 염 충전 개구부가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 충전 개구부가 편평한 필터 체와 별도의 통(tub) 바닥 필터 체 내에 제공되는 통상적인 식기 세척기와 대조적으로, 본원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식기 세척기에서는 염 충전 개구부가 바람직하게 집수 부재의 커버 부재 내의 편평한 필터 체의 아래쪽에 위치된다. 집수 부재 및 그에 따른 커버 부재가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되는 경우에, 염 충전 개구부의 영역에서의 의도하지 않은 염 넘침으로 인한 부식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원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통 바닥부가 오스테나이트계 강과 같은 높은 내식성의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조될 필요는 없으나, 내식성이 낮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스틸을 포함하는 물질로도 제조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가 용이한 식기 세척기가 제공된다.
도 1은 식기 세척기의 세척 챔버의 통 바닥에 조립되었을 때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원 발명에 따른 집수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통 바닥 및 지지부를 도시하기 위해서 하부 스프레이 아암을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도 1의 집수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제거되어 도시되었던 필터 요소를 도시한 도 2의 집수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샌드위치-타입 커버 부재의 상부를 제거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의 집수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아래쪽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샌드위치-타입 커버 부재의 상부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집수 부재의 하부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집수 부재의 하부 부분의 사시도로서, 집수 부재의 하부 부분에 장착된 식기 세척기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추가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수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아래쪽에서 본 도면으로서, 도 8의 집수 부재의 상부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아래쪽에서 본 도면으로서, 도 8의 집수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아래쪽에서 도시한 도 8의 집수 부재의 사시도로서, 집수 부재의 하부 부분에 장착된 식기 세척기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집수 부재의 하부 부분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집수 부재를 조립된 상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수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아래쪽에서 본 도 14의 집수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집수 부재의 상부 부분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통상적으로 세척될 물품이 적재되는 2개의 식기 세척기 바구니를 구비하는 특히 가정용 식기 세척기일 수 있는 식기 세척기의 통 바닥(10)이 도시된 도 1에서, 회전가능한 스프레이 아암이 식기 세척기의 세척 챔버 내에 제공되어 청정 액체를 세척되는 물품으로 스프레잉한다. 스테인리스 스틸 부재일 수 있는 통 바닥(10)은 전체적으로 편평하나 중심 주위로 개구부(14)를 가지는 깔대기-형상의 부재이며, 그 아래쪽에는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2로 표시된 집수 부재가 위치된다. 집수 부재(12)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물-수집 수용부를 포함한다. 분진 입자가 집수부의 물 수집 수용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 스테인리스 스틸 부재인 전체적으로 편평하나 깔대기-형상의 필터 요소(16)가 통 바닥(10)의 개구부(14) 내에 위치된다. 추가적으로, 전체적으로 튜브형의 미세 필터(20)가 필터 요소(16)의 중앙 부분에 정렬된다.
스프레이 아암 지지부(18)가 집수 부재(12)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다. 스프레이 아암 지지부(18)는 회전가능한 스프레이 아암을 위한 허브(108) 및 스프레이 아암으로 청정 액체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부 스프레이 아암에 대한 연결부를 제공하는 튜빙 섹션(110)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집수 부재(12)를 약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통 바닥(10) 및 스프레이 아암 지지부(18)를 제거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집수 부재(12)는 하부 부분(22) 및 상부 부분(24)을 포함한다. 집수 부재(12)의 하부 부분(22)이 액체 부피를 수집 또는 유지하기 위한 몇 개의 용기 섹션을 포함하는 반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추가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집수 부재(12)의 상부 부분(24)은 전체적으로 편평한 부재이고, 이는 집수 부재의 하부 부분(22)에 대한 커버 부재를 구성한다. "커버 부재"라고도 지칭되는 집수 부재 상부 부분(24)은 상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6) 및 하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8)을 포함하는 전체적으로 편평한 샌드위치-타입 구조물을 포함한다. 상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6) 및 하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8)는 그 사이의 중간 공간을 둘러싸고, 그러한 중간 공간에는 복수의 일체형 통로가 형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특히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와 유사한 도면이며, 그러나 여기에서 편평한 필터(16) 및 미세 필터(20)가 도시되어 있지 않은데, 이는 집수 부재(12)의 상부 부분(24)의 상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6)을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부 부분(24)의 중앙 부분에는 개구부(30)가 제공되며, 그러한 개구부는 집수 부재(12)의 하부 부분(22)에 제공되는 물 수집 수용부(32)(도 4, 도 6 및 도 7 참조)로의 접근로를 제공한다. 식기 세척기가 조립된 상태에서 미세 필터(20)가 제공되는 물 수집 수용부(32) 내에서, 미세 필터(20)를 둘러싸기 위해서 환형 구성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가열 코일을 포함하는 전기 가열 요소(34)가 제공된다. 상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6)의 상부 측부에는 식기 세척기가 조립된 상태에서 통 바닥(10)의 하부에 대해서 기대어져서 통 바닥(10)과 집수 부재(12) 사이의 유체-밀봉을 제공하는 실링 요소를 위한 수용 홈(36)이 제공되며, 그에 따라 통 바닥에서 수집되고 그리고 통 바닥(10) 내의 개구부(14)를 통해서 유동하는 물이 외측으로 누수되는 것이 방지되고, 물 수집 수용부(32)로 지향된다.
집수 부재의 상부 부분(24)에는 집수 부재(12)의 하부 부분(22) 내에 제공된 염 탱크(56)와 소통하는 염 충전 개구부(38)가 추가로 제공되며, 이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내부 둘레를 따라서, 염 충전 개구부(38)는 염 충전 개구부(38) 내에서 분리가능한 캡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부 또는 리세스와 같은 결합 수단을 구비하고, 그에 따라 그러한 캡은 염 충전 개구부(38) 내로 나사 체결될 수 있고 또는 베이오넷(bayonet) 연결에 의해서 유지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집수 부재(12)는 식기 세척기의 수압 부분들 사이의 다양한 연결부를 제공하고, 이때 도 4는 하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8)을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해서 집수 부재(12)의 상부 부분(24)의 상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6)을 제거하여 도시한 집수 부재(12)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아래쪽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8)의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서로 다른 관점에서 집수 부재(12)의 하부 부분(22)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복수의 통로가 하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8)의 상부 측부와 상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6)의 하부 측부 사이의 중간 공간 내에 형성된다. 그에 따라, 제 1 통로(40)가 하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8)의 제 1 및 제 2 수직 벽(42 및 44)과 상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6)의 하부 측부에 제공된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벽(46 및 48) 사이에 형성된다. 상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6)이 하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8) 상에 배치되었을 때, 상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6)의 제 1 수직 벽(46)이 하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8)의 제 1 수직 벽(42) 상에 놓일 것이다. 그에 따라, 상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6)의 제 2 수직 벽(48)이 하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8)의 제 2 수직 벽(44) 상에 놓일 것이다. 상부 및 하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6 및 28) 사이의 유체-밀봉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서, 이들 구성요소가 접착, 용접 등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조립된 상태에서, 통로(40)는 수직 벽(42, 46)에 의해서 형성된 외측 수직 벽, 수직 벽(44, 48)에 의해서 형성된 내측 수직 벽, 하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8)의 상부 측부에 의해서 제공되는 바닥 벽 그리고 상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6)의 하부 측부에 의해서 제공되는 상부 벽에 의해서 형성되는 곡선형의 폐쇄된 채널이 된다. 식기 세척기의 수압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다른 모든 통로도,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제 1 통로(40)는 물 유입구(50)로부터 하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8) 내의 개구부(52)로 연장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제 1 통로(40)를 통해 유동하는 물이 하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8)을 통해서 집수 부재(12)의 하부 부분(22)의 섹션 내로 통과할 수 있다.
특히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 부재(12)의 하부 부분(22)은 몇 개의 용기 섹션들, 즉 물 수집 수용부(32), 이온 교환 물질 탱크(54) 및 염 탱크(56)를 포함한다. 이온 교환 물질 탱크(54) 내에서,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 채널(58)이 수직 측벽(60 및 62)에 의해서 형성된다. 집수 부재(12)가 조립되었을 때, 수직 채널(58)이 하부 샌드위치 부재(28) 내의 개구부(52) 아래쪽에 배치되고, 그에 따라 제 1 통로(40)와 소통한다. 그 하단부에서, 수직 채널(58)은 수직 측벽(60) 내에 제공된 개구부(64 및 70)에 의해서 이온 교환 물질 탱크(54) 내로 개방된다. 그에 따라, 제 1 통로(40), 개구부(52), 수직 채널(58) 및 개구부(64 및 70)가 물 유입구(50)로부터 이온 교환 물질 탱크(54)로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도관(또한, "제 1 통로"라고도 지칭된다)을 구성한다.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추가적인 수직 벽들이 하부 샌드위치 부재(28)의 상부 측부에 그리고 상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6)의 하부 측부에 제공되며, 그에 따라 제 2 통로(72)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통로는 물 유입구(74)로부터 하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8) 내에 제공된 개구부(76)로 연장한다. 개구부(76)는 염 탱크(56) 내에 제공된 수직 벽 부재(80)에 의해서 형성되는 수직 채널(78)과 소통한다. 수직 채널(78)은 벽 부재(80) 내에 제공된 개구부(82)를 통해서 염 탱크(56) 내로 개방된다. 그에 따라, 제 2 통로(72), 개구부(76), 수직 채널(78) 및 개구부(82)는 물 유입구(74)로부터 염 탱크(56)로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도관(또한, "제 2 통로"라고도 지칭된다)을 구성한다.
제 3 통로(83)가 집수 부재의 상부 부분(24) 내에 제공되고, 그러한 제 3 통로(83)는 하부 샌드위치 부재(28) 내의 개구부(86)로부터 상기 상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6)내에 제공된 배출구 개구부(88)까지 연장하고(도 3 및 도 5 참조), 상기 개구부(86)는 이온 교환 물질 탱크(54)의 위쪽에 위치된다. 개구부(86), 통로(84) 및 배출구 개구부(88)는 이온 교환 물질 탱크(54)로부터 세척 챔버로 또는 집수부의 물 수집 수용부(32) 내로 통과시키기 위한 도관(또한, "제 3 통로"라고도 지칭된다)을 구성한다.
식기 세척기의 작동 중에, 물이 유입구 개구부(50)를 경유하여 그리고 제 1 통로(40)를 통해서 이온 교환 물질 탱크로 공급될 수 있고, 상기 이온 교환 물질 탱크 내에서는 연수제 수지와 같은 이온 교환 물질의 작용에 의해서 물이 연수화되고, 상기 이온 교환 물질 탱크로부터 연수화된 물이 개구부(86)를 통해서 제 3 통로(84)로 유동할 것이고, 제 3 통로를 통해서 연수화된 물이 배출되며, 그에 따라 집수부의 물 수집 수용부(32) 내로 또는 세척 챔버 내로 유동할 것이며, 상기 물 수집 수용부 또는 세척 챔버로부터 연수화된 물이 순환 펌프를 통해서 식기 세척기 내에 위치된 스프레이 아암으로 전달된다.
탱크(54) 내의 이온 교환 물질을 재생하기 위해서, 이온 교환 물질 탱크(54)를 통해서 염 용액을 유동시킬 수 있으며, 그러한 염 용액은 염 탱크(56) 내에 제공되다. 이를 위해서, 상부 및 하부 샌드위치 부재(26 및 28)에 제공된 추가적인 수직 벽들에 의해서, 제 4 통로(90)가 집수 부재(12)의 상부 부분(24) 내에 제공된다. 제 4 통로(90)는 유입구 개구부(92) 및 배출구 개구부(94)를 포함하고, 그러한 유입구 개구부를 통해서 염 컨테이너(56)로부터의 염 용액이 제 4 통로(90)로 유동될 수 있을 것이고, 그리고 상기 배출구 개구부는 이온 교환 물질 탱크(54) 내에 제공된 수직 채널(66)에 연결되고 그리고 개구부(58)를 통해서 이온 교환 물질 탱크(54)의 바닥으로 개방된다. 염 탱크(54)의 개구부(92), 제 4 통로(90), 배출구 개구부(94), 수직 채널(66) 및 개구부(58)는 염 탱크(56)로부터 이온 교환 물질 탱크(54)로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도관(또한, "제 4 통로"라고도 지칭된다)을 구성한다. 그에 따라, 만약 탱크(54) 내의 이온 교환 물질을 재생하고자 한다면, 물 유입구(74) 및 제 2 통로를 통해서 염 탱크(56)로 물을 유동시켜 염 용액을 형성한다. 추가적인 물을 염 탱크(56) 내로 통과시킴으로써, 이미 준비된 염 용액이 염 탱크(56)로부터 이동되고 그리고 제 4 통로를 통해서 이온 교환 물질 탱크(54) 내로 전달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9 통로(146)가 집수 부재(12)의 상부 부분(24) 내에 제공된다. 제 9 통로(146)는 제 1 통로(40)의 측부-개구부(148)로부터 분기되고 그리고 집수 부재의 상부 부분(24)의 상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6) 내에 제공된 개구부(150)까지 연장한다. 제 9 통로(146)에 의해서, 물 유입구(50)로부터 연수 장치로 유동하는 즉 이온 교환 물질 탱크(54)로 유동하는 물의 일부가 집수부로 직접적으로 공급되고 그에 따라 이온 교환 물질 탱크(54)를 우회한다. 이온 교환 물질 탱크(54)로 공급되고 그리고 식기 세척기의 집수부로 직접적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정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 제 9 통로(146)가 제 1 통로(40)로부터 분기하는 지점(148)에 밸브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 통로(96)가 집수 부재(12)의 하부 부분(22) 내에 제공되며, 상기 제 5 통로는 물 수집 수용부(32)의 바닥(98)에 근접한 개구부를 구비하고 제 1의 환형 하우징 섹션(100)까지 연장한다. 제 1 환형 하우징 섹션(100)은 순환 펌프(102)에 제공된 각각의 돌출부와 결합하는 고정부(104)에 의해서 환형 하우징 섹션(100)에 부착될 수 있는 순환 펌프(102)의 임펠러(도 7에 도시됨)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집수 부재(12)의 하부 부분(22)은 환형 하우징 섹션(100)의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 6 통로(106)를 추가로 포함하고, 순환 펌프(102)의 임펠러의 작용에 의해서 물 수집 수용부(32)의 바닥(98)으로부터 인출되는 물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서 집수 부재의 상부 부분(24)의 하부 샌드위치 부재(28) 및 상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6) 모두 내의 개구부(107)를 경유하여 물 분배 시스템으로 전달되고, 상기 물 분배 시스템은 세척 챔버 내에 위치되는 스프레이 아암으로 공급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순환 펌프(102)가 순환수를 도 1에 도시된 스프레이 아암 지지부(18)로 공급하고, 물은 상기 지지부로부터 튜빙 섹션(108)을 통해서 하부 샌드위치 부재(28)로 공급되고 그리고 물은 튜빙 섹션(110)을 통해서 상부 스프레이 아암으로 전달된다.
제 5 통로(96) 그리고 물 수집 수용부(32) 및 환형 하우징 섹션(100)으로의 각각의 개구부가 물을 집수 부재로부터 순환 펌프(102)로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도관(또한, "제 5 통로"라고 지칭한다)을 구성하는 한편, 환형 하우징 섹션(100)의 배출구(106), 개구부(107) 및 스프레이 아암 지지부(18)의 튜빙 섹션(108 및 110)은 물을 순환 펌프(102)로부터 스프레잉 노즐로 통과시키기 위한 도관(또한, "제 6 통로"라고 지칭한다)을 구성한다.
집수 부재(12)의 하부 부분(22)은 물 수집 수용부(32)의 바닥(98)에 근접하여 개방된 제 7 통로(112)를 더 포함한다. 제 7 통로(112)는 배수 펌프(118)의 임펠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 2 환형 하우징 섹션(114)으로 연결되고, 상기 배수 펌프는 제 2의 환형 하우징 섹션(114)에 제공되는 각각의 고정 수단에 의해서 집수 부재의 하부 부분(22)에 장착된다. 상부 섹션 내의 제 2의 환형 하우징 섹션(114)은 배출구(116)를 포함하고, 배수 펌프(118)의 작용에 의해서 물 수집 수용부(32)의 바닥으로부터 인출된 물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서 집수 부재의 상부 부분(24)의 하부 샌드위치 부재(28)에 제공된 개구부(120)까지 상향으로 전달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20)는 제 8 통로(122) 내로 개방되고, 상기 제 8 통로는 하부 샌드위치 부재(28)의 상부 측부 상에 그리고 상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6)의 하부 측부 상에 제공된 대응하는 수직 벽 섹션들에 의해서 제공된다. 제 8 통로(122)는 배출구 개구부(12)까지 연결된다.
제 7 통로(112) 그리고 물 수집 수용부(32) 및 제 2의 환형 하우징 섹션(114)으로의 각각의 개구부가 물을 집수 부재로부터 배수 펌프(118)로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도관(또한, "제 7 통로"라고 지칭한다)을 구성하는 한편, 환형 하우징 섹션(114)의 배출구(116), 개구부(120) 및 제 8 통로(122)는 폐수를 배수 펌프(118)로부터 식기 세척기의 배수 튜브로 통과시키기 위한 도관(또한, "제 8 통로"라고 지칭한다)을 구성한다.
집수 부재(12)를 식기 세척기의 각각의 물 유입구 및 물 배출구 라인에, 예를 들어 신선한 수돗물을 식기 세척기로 공급하기 위한 메인 유입구 튜브, 또는 가정용 배수구로 폐수를 통과시키기 위한 배수 튜브에 연결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 집수 부재(12)가 각각의 플랜지 부분을 구비한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 부재의 상부 부분(24)이 플랜지 요소(126, 128 및 130)를 구비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그러한 플랜지 요소는 하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8)의 일체형 부분으로서 제공될 수 있으나, 그 대신에, 상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6)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때 플랜지 요소(126)는 제 1 통로(40)의 물 유입구 개구부(50)와 소통하고 플랜지 요소(128)는 제 2 통로(72)의 물 유입구 개구부(74)와 소통하고 그리고 플랜지 요소(130)는 제 8 통로(122)의 배출구 개구부(124)와 소통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 부재(12)는 식기 세척기의 부가적인 수압, 전기, 전자 구성요소들이 부착될 수 있는 곳에서 추가적인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 부재 하부 부분(22)이 개구부(132)를 구비할 수 있고, 그러한 개구부는 물 수집 수용부(32)의 벽에 제공되며, 그러한 개구부(132)에 혼탁도 센서(134)가 장착된다. 혼탁도 센서(134)는 고정 요소(136)에 의해서 집수 부재(12)의 하부 부분(22)에서 유지되고, 상기 고정 요소는 물 수집 수용부(32)의 벽의 외부 측부에서 일체로 형성된다. 혼탁도 센서(134)에 의해서, 집수부 내의 물의 품질이 측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식기 세척기 내에서 실행되는 세척 사이클을 조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 부재(12)의 하부 부분(22)은 염 탱크(56)에 인접한 하우징 섹션(138)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섹션(138)은 집수 부재 하부 부분(22)의 외부 측부에 제공된 고정부(140)에서 집수 부재 하부 부분(22)에 부착될 수 있는 리드 스위치의 플로트(float)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 섹션(138)은, 그 하부 섹션에서, 염 탱크(56)를 향하는 개구부(124)를 포함하고, 그에 따라 하우징 섹션(138) 내의 액체 레벨이 항상 염 탱크(56) 내의 액체 레벨에 대응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고정부(140)에 부착되는 리드 스위치는 하우징 섹션(138) 내의 액체 상에서 부유하는 리드 플로트의 위치를 탐지함으로써 염 탱크(56) 내의 충전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집수 부재(12)는 또한 도 7에 도시된 고정부(144)와 같은 추가적인 일체형 고정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그러한 추가적인 고정부는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집수 부재(12)에 부착하기 위해서 또는 식기 세척기 내부에서 집수 부재 자체를 장착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원 명세서에서 제시된 식기 세척기의 집수 부재의 추가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상부 부분(152) 및 하부 부분(154)을 포함하는 집수 부재(15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집수 부재(12)와 유사하게, 집수 부재(150)는 통 바닥(10)에 밀봉식으로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집수 부재 상부 부분(152)은 식기 세척기가 조립된 상태에서 통 바닥(10)의 바닥 측부에 대해서 놓여지는 밀봉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156)을 포함한다.
집수 부재(150)의 상부 부분(152)은 상부 샌드위치 구성요소(158) 및 하부 샌드위치 구성요소(160)을 포함하는 샌드위치 타입의 요소이다.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서도, 집수 부재는 식기 세척기의 개별적인 구성요소들 사이의 수압식 연결을 제공하는 복수의 일체로 형성된 통로를 포함한다. 특히, 집수 부재(150)의 상부 부분(152)은 배수 튜브(도시하지 않음)를 상기 집수 부재의 상부 부분(152) 내에 일체로 형성되는 통로(164)에 연결하기 위한 일체로 형성된 피팅(162)을 포함한다. 통로(164)는, 집수 부재가 조립된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 부재의 하부 부분(154)에 일체로 제공되는 수직 통로(168)에 연결되는 개구부(166)까지 연장된다. 통로(168)는 개구부(170)를 통해서 하우징 섹션(172)으로 개방되고, 상기 하우징 섹션은 집수 부재의 하부 부분(154)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리고 배수 펌프(174)(도 11 참조)의 임펠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집수 부재 상부 부분(152)은 물 유입구 튜브(도시하지 않음)를 집수 부재(150)에 연결하기 위한 일체형 피팅(176)을 추가로 포함하며, 그에 따라 신선한 물을 메인 유입구 튜브로부터 통로(178)로 공급하며, 상기 통로(178)는 집수 부재 상부 부분(152) 내에 일체로 제공되고 그리고 개구부(180)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180)를 통해서 신선한 물이 세척 챔버 내로 또는 집수 부재 하부 부분(154) 내에 제공된 물 수집 수용부(32) 내로 지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 부재 상부 부분(152)은, 식기 세척기가 조립된 상태에서 스프레이 아암 지지부(186)(도 13)가 내부에 장착되는, 배출구 개구부(184)를 추가로 포함한다. 스프레이 아암 지지부(186)는 순환 액체를 하부 스프레이 아암 지지부 공급 도관(188)과 상부 스프레이 아암 공급 도관(190) 사이에서 분배한다. 집수 부재가 조립된 상태에서, 배출구 개구부(184)가 집수 부재(150)의 하부 부분(154) 내에 제공된 수직 통로(192)(도 12)에 연결되며, 그러한 통로(192)는 배출구 개구부(184)를 하우징 섹션(194)에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 섹션은 순환 펌프(196)(도 11)의 임펠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집수 부재들을 비교할 때, 그리고 특히 도 12에 도시된 집수 부재 하부 부분(154)을 도 6에 도시된 집수 부재 하부 부분(22)과 비교할 때, 제 2 실시예의 집수 부재 하부 부분(154)이 제 1 실시예의 집수 부재 하부 부분(22) 내에 전체가 수용되고, 그리고 제 2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가 연수 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그에 따라 이온 교환 물질 탱크(54), 염 탱크(56) 및 그와 관련된 다양한 연결부들이 생략되어 있다는 것만이 상이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집수 부재의 하부 부분이 모듈형 유닛으로 디자인될 수 있고, 이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부가적인 용기 섹션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부가적인 용기 섹션은 이온 교환 물질 탱크(54) 및 염 탱크(56)를 포함하고 그리고 집수 부재 하부 부분(154) 주위에 부착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 부재 하부 부분(22)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2의 집수 부재 하부 부분(154)이 도 6에 도시된 집수 부재 하부 부분(22)의 중심 부분과 동일한 경우에, 유사하게, 그러한 집수 부재 하부 부분은 식기 세척기의 추가적인 요소들을 집수 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고정부들, 예를 들어, 필터 요소(200)(도 13)에 대한 고정부(198), 가열 요소(206)(도 13)에 대한 고정부(204)(도 11)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202), 혼탁도 센서(210)(도 11)에 대한 고정부(208),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센서 요소(214)(도 11)의 고정을 위해서 집수 부재 상부 부분(152)에 일체로 제공되는 고정부(212), 및 커패시터(도시하지 않음)와 같은 간섭형(interference) 필터에 대한 고정부(216) 등을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218로 도시된 집수 부재의 제 3 실시예가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집수 부재(218)는 상부 부분(220) 및 도 1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집수 부재 하부 부분(154)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부분은 세척 통에 대한 경계부를 제공하고 그리고 집수 부재를 식기 세척기의 물 순환 시스템에 연결하기 위한 일체형 피팅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보다 충분히 넓은 표면적을 가지는 전체적으로 깔대기-형상의 집수 섹션을 제공하도록 집수 부재(218) 및 특히 그 상부 부분(220)이 디자인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집수 부재(218)는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것과 동일한 집수 부재 하부 부분(154)을 이용한다. 그에 따라 집수 부재(218)는 집수 부재 상부 부분(220)의 디자인만이 집수 부재(150)와 상이하다.
집수 부재 상부 부분(152)과 유사하게, 집수 부재 상부 부분(220)은 배수 튜브에 대한 일체형 피팅(222)을 포함하고, 상기 피팅(222)은 통로(224)로 연결되며, 상기 통로는 집수 부재 상부 부분(220) 내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리고 집수 부재 하부 부분(154)의 하우징 섹션(172)과 소통한다. 집수 부재 상부 부분(220)은 일체형 통로(228)를 통해서 개구부(230)로 연결되는 일체형 피팅(226)을 더 포함하고, 그에 따라 신선한 공급수를 식기 세척기의 집수부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집수 부재 상부 부분(220)은, 집수 부재가 조립된 상태에서, 집수 부재 하부 부분(154)의 하우징 섹션(194)과 소통하는 수직 통로(192)에 연결되는 배출구 개구부(230)를 더 포함한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집수 부재(218)의 상부 부분(220)은 일체로 형성되는 피팅(234)까지 연장되고 일체로 형성되는 통로(232)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피팅(234)에는 순환수를 스프레이 노즐 배열체로 특히 상부 스프레이 아암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도관(도시하지 않음)이 장착된다. 그에 따라, 스프레이 아암 지지부(18, 186)가 사용되고, 상부 및 하부 스프레이 아암 사이의 순환수 분배를 제공하는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에서는, 하부 스프레이 아암으로만 공급하는 스프레이 아암 지지부가 집수 부재(218)에 장착되어 개구부(230)에 연결될 것이다. 그에 따라,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에서, 하부 및 상부 스프레이 아암 사이에서 순환수를 분배하기 위한 수단이 유사하게 집수 부재로 통합된다.
집수 부재(218)의 모든 추가적인 요소는 다른 두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요소들에 대응할 것이고, 그에 따라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독립형 몰딩된 플라스틱 유닛인 집수 부재를 구비하고, 그 상부 부분은 집수 부재를 세척 챔버 내에 제공된 개구부에 대해서 수밀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경계부를 구성하고, 상기 상부 부분이 집수 부재를 물 순환 시스템에 특히 하나 이상의 물 유입 도관 및/또는 배수 도관에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일체형 피팅을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본원 명세서에서 제시된 개념은 종래 기술에 대비하여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즉, 식기 세척기의 나머지 부분들과의 특히 세척 통 그리고 물 공급 및 물 배수 도관과의 일체형 경계부를 제공하는 집수 부재 상부 부분의 여러 가지 타입과 결합될 수 있는 표준화된 구성요소으로 집수 부재의 하부 부분을 디자인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10 : 통 바닥 12 : 집수 부재
14 : 개구부 16 : 편평한 필터
18 : 스프레이 아암 지지부 20 : 미세 필터
22 : 집수 부재 하부 부분 24 : 집수 부재 상부 부분
26 : 상부 샌드위치 구성요소 28 : 하부 샌드위치 구성요소
30 : 32로의 개구부 32 : 물 수집 수용부
34 : 가열 요소 36 : 수용 홈
38 : 염 충전 개구부 40 : 제 1 통로
42 : 28에서의 수직 벽 44 : 28에서의 수직 벽
46 : 26에서의 수직 벽 48 : 26에서의 수직 벽
50 : 40의 물 유입구 52 : 40에서의 배출구 개구부
54 : 이온 교환 물질 탱크 56 : 염 탱크
58 : 수직 통로 60,62 : 수직 측벽
64 : 배출구 개구부 66 : 수직 채널
68 : 배출구 개구부 70 : 배출구 개구부
72 : 제 2 통로 74 : 물 유입구
76 : 72의 개구부 78 : 수직 채널
80 : 벽 부재 82 : 80 내의 개구부
84 : 제 3 통로 86 : 54의 배출구 개구부
88 : 84에서의 배출구 개구부 90 : 제 4 통로
92 : 90의 유입구 개구부 94 : 90의 배출구 개구부
96 : 제 5 통로 98 : 30의 바닥
100 : 제 1 환형 하우징 섹션 102 : 순환 펌프
104 : 고정부 106 : 제 6 통로
107 : 24 내의 개구부 108 : 상부 스프레이 아암으로의 배출구
110 : 하부 스프레이 아암으로의 배출구 112 : 제 7 통로
114 : 제 2 환형 하우징 섹션 116 : 114의 배출구
118 : 배수 펌프 120 : 122로의 개구부
122 : 제 8 통로 124 : 배출구 개구부
126 : 40의 플랜지 요소 128 : 72의 플랜지 요소
130 : 122의 플랜지 요소 132 : 134의 개구부
134 : 혼탁도 센서 136 : 134에 대한 고정부
138 : 리드 플로트 하우징 140 : 리드 스위치
142 : 138 내의 개구부 144 : 고정부
146 : 제 9 통로 148 : 40으로부터의 분기
150 : 집수 부재 152 : 집수 부재 상부 부분
154 : 집수 부재 하부 부분 156 : 수용 홈
158 : 상부 샌드위치 구성요소 160 : 하부 샌드위치 구성요소
162 : 배수 튜브용 피팅 164 : 통로
166 : 164의 개구부 168 : 수직 통로
170 : 168의 개구부 172 : 하우징 섹션
174 : 드레인 펌프 176 : 물 공급을 위한 피팅
178 : 통로 180 : 배출구 개구부
182 : 물 수집 수용부 184 : 배출구 개구부
186 : 스프레이 아암 지지부 188 : 상부 스프레이 아암 공급 도관
190 : 하부 스프레이 아암 공급 도관 192 : 수직 통로
194 : 하우징 섹션 196 : 순환 펌프
198 : 200에 대한 고정부 200 : 필터
202 : 리세스 204 : 202에 대한 고정부
206 : 가열 요소 208 : 210에 대한 고정부
210 : 혼탁도 센서 212 : 214에 대한 고정부
214 : 압력 센서 216 : 간섭형 필터에 대한 고정부
218 : 집수 부재 220 : 집수 부재 상부 부분
222 : 배수 튜브용 피팅 224 : 통로
226 : 물 공급을 위한 피팅 228 : 통로
230 : 배출구 개구부 232 : 통로
234 : 피팅

Claims (16)

  1. 세척 챔버, 상기 세척 챔버의 내외로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물 순환 시스템, 및 상기 세척 챔버의 하단부 내의 개구부(14)에 대해서 수밀 방식으로 체결되는 물-수집 집수 부재(12)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집수 부재는 상기 집수 부재를 수밀 방식으로 상기 개구부(14)에 연결하기 위한 경계부(interface)를 구성하는 상부 부분 및 물 수집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부 부분을 포함하는 독립형(self-contained) 몰딩 플라스틱 유닛이며, 상기 상부 부분은 상기 집수 부재를 식기 세척기의 물 유입 도관이나, 배수 도관이나, 또는 물 유입 도관 및 배수 도관에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일체형 피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분이 순환 펌프의 임펠러를 수용하기 위한 일체형의 제 1 하우징 섹션이나, 배수 펌프의 임펠러를 수용하기 위한 일체형의 제 2 하우징 섹션이나, 또는 제 1 하우징 섹션 및 제 2 하우징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부재(12)의 상부 부분이 스프레이 아암 공급 도관을 위한 하나 이상의 일체형 피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일체형 피팅이 이 피팅에 연결되는 각각의 도관에 스냅-핏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부재의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이 액밀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부재의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이 집수 부재의 일체형 부분들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부재의 상부 부분(24)이, 상기 집수 부재의 상부 부분과 상기 세척 챔버의 하단부 부분(10)의 대응하는 접촉 영역들을 수밀 밀봉하도록 되어 있는 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부재는 식기 세척기의 하나 이상의 수압 구성요소로 물을 통하게 하기 위해서 집수 부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일체형 통로(40, 72, 90, 84, 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 세척기의 하나 이상의 수압 구성요소 및 상기 수압 구성요소로 물을 통하게 하기 위한 집수 부재의 하나 이상의 일체형 통로는
    - 이온 교환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연수(water softening) 장치의 이온 교환 물질 탱크(54) 및 물 유입구(50)로부터 상기 이온 교환 물질 탱크로 물을 통하게 하기 위한 일체형의 제 1 통로(40, 52, 58, 64, 70);
    - 연수 이온 교환 물질의 재생을 위한 염 용액을 수용하기 위한 연수 장치의 염 탱크(56) 및 물 유입구(74)로부터 상기 염 탱크로 물을 통하게 하기 위한 일체형의 제 2 통로(72, 76, 78, 82);
    - 이온 교환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연수 장치의 이온 교환 물질 탱크(54) 및 상기 이온 교환 물질 탱크로부터 상기 세척 챔버로 물을 통하게 하기 위한 일체형의 제 3 통로(86, 84, 88);
    - 이온 교환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연수 장치의 이온 교환 물질 탱크(54) 및 상기 이온 교환 물질 탱크로부터 상기 집수 부재의 물 수집 공간(32)으로 물을 통하게 하기 위한 일체형의 제 3 통로(86, 84, 88);
    - 이온 교환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연수 장치의 이온 교환 물질 탱크(54)와 상기 이온 교환 물질의 재생을 위한 염 용액을 수용하기 위한 식기 세척기의 연수 장치의 염 탱크(56), 및 상기 염 탱크로부터 상기 이온 교환 물질 탱크로 염 용액을 통하게 하기 위한 일체형의 제 4 통로(92, 90, 94, 66, 58);
    - 순환 펌프(102) 및 상기 집수 부재의 물 수집 공간(32)으로부터 순환 펌프로 순환수를 통하게 하기 위한 일체형의 제 5 통로;
    - 순환 펌프(102)와 물 분배 시스템(18), 및 상기 순환 펌프로부터 상기 물 분배 시스템으로 압축된 순환수를 통하게 하기 위한 일체형의 제 6 통로(106, 107, 108, 110);
    - 배수 펌프(118) 및 상기 물 수집 공간(32)으로부터 상기 배수 펌프로 폐수를 통하게 하기 위한 일체형의 제 7 통로(112);
    - 배수 펌프(118)와 배수 튜브, 및 상기 배수 펌프로부터 상기 배수 튜브로 압축된 폐수를 통하게 하기 위한 일체형의 제 8 통로(116, 120, 122); 그리고
    - 이온 교환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연수 장치의 이온 교환 물질 탱크(54)와 순환 펌프(102), 및 물 유입구로부터 상기 이온 교환 물질 탱크로 물을 통하게 하기 위한 일체형의 제 1 통로(40, 52, 58, 64, 70)와, 상기 제 1 통로를 통해서 상기 집수 부재의 물 수집 공간 및 상기 세척 챔버 중 하나 내로 통하는 물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시키기 위해서 이온 교환 물질 탱크의 상류에서 제 1 통로로부터 분기되는 일체형의 제 9 통로(146, 150)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부재의 상부 부분(24)이, 상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6)와 하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8)를 포함하는 편평한 샌드위치-타입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샌드위치 구성요소와 하부 샌드위치 구성요소는 그 사이의 중간 공간을 둘러싸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일체형의 통로(40, 72, 90, 84, 122)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샌드위치 구성요소와 하부 샌드위치 구성요소 사이의 상기 중간 공간이 2개 이상의 수직 벽 섹션(42, 44, 46, 48)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벽 섹션들은 상기 수직 벽 섹션들 사이에 위치되는 상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6) 및 하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8)의 표면 영역과 함께 상기 하나 이상의 일체형의 통로(40)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6) 및 하부 샌드위치 구성요소(28) 중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에 마련되는 수직 벽 섹션(42, 44, 46, 48)이 접착 또는 용접에 의해서 상기 상부 샌드위치 구성요소 및 하부 샌드위치 구성요소 중 나머지 하나의 구성요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부재가, 식기 세척기의 전기 구성요소를 상기 집수 부재에 장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일체형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부재(12)의 하부 부분(22)이 이온 교환 물질 탱크(54)와 염 탱크(56)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집수 부재(12)의 상부 부분(24)이 상기 물 수집 수용부, 상기 이온 교환 물질 탱크 및 상기 염 탱크 중 하나 이상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챔버의 하단부 부분(10) 내의 개구부(14) 내에 필터 체(16, 2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부재(12)가 알칼리성 고온수에 대해서 내성을 갖는 몰딩가능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117023518A 2009-03-27 2010-03-23 식기 세척기 KR1016290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004439.7 2009-03-27
EP20090004439 EP2233058B1 (en) 2009-03-27 2009-03-27 Dishwash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747A KR20120001747A (ko) 2012-01-04
KR101629053B1 true KR101629053B1 (ko) 2016-06-09

Family

ID=40875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3518A KR101629053B1 (ko) 2009-03-27 2010-03-23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119519B2 (ko)
EP (1) EP2233058B1 (ko)
KR (1) KR101629053B1 (ko)
CN (1) CN102341025B (ko)
AU (1) AU2010227805B2 (ko)
CA (1) CA2750784C (ko)
ES (1) ES2422592T3 (ko)
PL (1) PL2233058T3 (ko)
RU (1) RU2481784C1 (ko)
WO (1) WO201010865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3898A1 (ko) * 2016-08-29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WO2024005315A1 (ko) * 2022-06-30 2024-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233059T3 (pl) 2009-03-27 2015-12-3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 Nv Zmywarka do naczyń
IT1399413B1 (it) * 2010-04-08 2013-04-16 Bitron Spa Macchina lavastoviglie con pozzetto perfezionato
ITTO20120164A1 (it) * 2012-02-24 2013-08-25 Premark Feg Llc Macchina lavastoviglie con vasca migliorata, in particolare del tipo a cappa mobile
ITTO20120892A1 (it) * 2012-10-11 2014-04-12 Bitron Spa Pozzetto, in particolare per una macchina lavastoviglie, e procedimento per la sua fabbricazione.
KR101981679B1 (ko) * 2013-04-25 2019-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센싱 모듈
CN105310622B (zh) * 2014-06-18 2018-07-31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
AU2016218544B2 (en) * 2015-02-13 2020-07-02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Wash system for washing appliance
WO2016186437A1 (en) * 2015-05-20 2016-11-24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18142B1 (ko) * 2015-09-24 2022-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N106551667B (zh) * 2015-09-24 2019-10-25 Lg电子株式会社 洗碗机
EP3366186B1 (en) * 2017-02-27 2022-03-02 Electrolux Professional S.p.A. Dishwashing machine
DE102017124169A1 (de) * 2017-10-17 2019-04-18 Miele & Cie. Kg Sammeltopf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AU2018454240A1 (en) * 2018-12-20 2021-05-27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Flow controller for dishwasher
US11246468B2 (en) * 2019-02-07 2022-02-1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uspension system for a fluid circulation assembly of a dishwasher appliance
US10791905B2 (en) * 2019-02-08 2020-10-0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ethods for determining operation mode of dishwasher appliance fluid circulation system
CN112806936B (zh) * 2021-01-28 2022-01-25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清洗机及清洗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6405A (en) 1977-01-19 1979-03-27 Henry Timmer Unitary dishwasher
US20060060228A1 (en) 2004-09-17 2006-03-23 Lg Electronics Inc. Sump assembly of dishwasher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02065B2 (de) * 1976-01-21 1978-11-09 Bosch-Siemens Hausgeraete Gmbh, 7000 Stuttgart Geschirrspülmaschine
DE3328382C2 (de) 1983-08-05 1985-09-26 Bosch-Siemens Hausgeräte GmbH, 7000 Stuttgart Enthärtungseinrichtung für Geschirrspülmaschinen
DE4142697A1 (de) 1991-12-21 1993-07-01 Miele & Cie Wasserenthaertungseinrichtung fuer haushaltgeraete
IT1256526B (it) * 1992-02-19 1995-12-07 Merloni Elettrodomestici Spa Macchina lavastoviglie con pozzetto di raccolta del liquido di lavaggio fissato al fondo vasca tramite mezzi ad incastro.
DE4214147C2 (de) 1992-04-29 2000-11-09 Miele & Cie Salznachfüllgefäß für den Regeneriersalzbehälter einer mit einer Enthärtungseinrichtung ausgestatteten Geschirrspülmaschine oder Waschmaschine
TW422082U (en) * 1996-07-26 2001-02-11 Sharp Kk Dish washer for washing dishes by rotating a dish basket, and the dish basket therefor
FR2758742B1 (fr) 1997-01-28 1999-04-23 Esswein Sa Adoucisseur a encombrement reduit pour machine electro-domestique
IT1307124B1 (it) 1999-01-29 2001-10-29 T & P Spa Dispositivo per l'asciugatura di stoviglie e macchina lavastoviglieutilizzante tale dispositivo.
JP2001252234A (ja) * 2000-03-09 2001-09-18 Hitachi Ltd 食器洗浄機
US6641058B2 (en) 2000-12-28 2003-11-04 General Electric Company Dishwasher spray arm hub and conduit assembly
KR100457575B1 (ko) * 2002-11-28 2004-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연수장치
SE0301209D0 (sv) 2003-04-25 2003-04-25 Electrolux Home Prod Corp Filter system for a household dishwasher
US7409962B2 (en) 2004-08-31 2008-08-12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pump with integrated inlet/outlet portion
KR100640897B1 (ko) * 2004-10-07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집수장치
US8066821B2 (en) 2005-02-09 2011-11-29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for limiting pressure in a fine filter chamber for a dishwasher
JP2006230498A (ja) * 2005-02-22 2006-09-07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い機
EP1719443A1 (en) 2005-05-04 2006-11-0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Domestic appliance
EP1723888A1 (en) * 2005-05-17 2006-11-22 Bonferraro S.p.A. Dishwasher with automatic alternate water distribution
KR20070113639A (ko) * 2006-05-25 2007-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101270538B1 (ko) * 2006-07-12 2013-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ITTO20070624A1 (it) 2007-09-05 2009-03-06 Bitron Spa Componente per macchina lavastoviglie.
PL2233059T3 (pl) 2009-03-27 2015-12-3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 Nv Zmywarka do naczy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6405A (en) 1977-01-19 1979-03-27 Henry Timmer Unitary dishwasher
US20060060228A1 (en) 2004-09-17 2006-03-23 Lg Electronics Inc. Sump assembly of dishwash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3898A1 (ko) * 2016-08-29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US11109737B2 (en) 2016-08-29 2021-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washer
WO2024005315A1 (ko) * 2022-06-30 2024-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41025B (zh) 2014-04-02
EP2233058B1 (en) 2013-05-08
AU2010227805B2 (en) 2013-09-26
PL2233058T3 (pl) 2013-10-31
RU2481784C1 (ru) 2013-05-20
KR20120001747A (ko) 2012-01-04
ES2422592T3 (es) 2013-09-12
CN102341025A (zh) 2012-02-01
EP2233058A1 (en) 2010-09-29
CA2750784C (en) 2017-03-07
WO2010108654A1 (en) 2010-09-30
US20120017952A1 (en) 2012-01-26
AU2010227805A1 (en) 2011-08-18
CA2750784A1 (en) 2010-09-30
US9119519B2 (en) 2015-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9053B1 (ko) 식기 세척기
US9119520B2 (en) Dishwasher sump member
EP3542621B1 (en) Pet water fountain
CN103732820B (zh) 衣物洗涤机
US8857450B2 (en) Dishwasher and base tray for said dishwasher
CN105852760A (zh) 一种大容量净化水槽
CN114149116B (zh) 净水器
CN102448357B (zh) 洗碗机尤其是家用洗碗机
KR102559038B1 (ko) 식기세척기용 통합 콤포넌트
CN109312519B (zh) 洗衣机的操作方法和实施这种方法的洗衣机
US7896975B2 (en) Sump assembly and dish washer using the same
CN209153328U (zh) 果蔬清洗机
CN217040045U (zh) 洗碗机的进水装置和洗碗机
CN210990108U (zh) 一种自动洗碗机的管路系统
CN217696453U (zh) 上下水模块和清洗设备
CN214549326U (zh) 一种洗碗机的排水结构及其洗碗机
KR200215080Y1 (ko) 식기세척기의 이물질 여과장치
KR100934695B1 (ko) 식기 세척기용 필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CN105852766A (zh) 一种改进型商用净化水槽
KR20210136665A (ko) 식기세척기 및 이에 포함되는 워터 재킷
JP6701915B2 (ja) イオン交換装置
CN114847826A (zh) 上下水模块和清洗设备
CN116763224A (zh) 洗碗机的进水装置和洗碗机
CA2484032A1 (en) Gravity feed brining system and water conditioning systems using the same
CN105852767A (zh) 一种大容量商用净化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