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080Y1 - 식기세척기의 이물질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이물질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080Y1
KR200215080Y1 KR2019980020150U KR19980020150U KR200215080Y1 KR 200215080 Y1 KR200215080 Y1 KR 200215080Y1 KR 2019980020150 U KR2019980020150 U KR 2019980020150U KR 19980020150 U KR19980020150 U KR 19980020150U KR 200215080 Y1 KR200215080 Y1 KR 2002150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late
dishwasher
foreign matter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1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458U (ko
Inventor
정명화
Original Assignee
윤홍구
동양매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홍구, 동양매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홍구
Priority to KR20199800201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080Y1/ko
Publication of KR200000084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4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0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080Y1/ko

Link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기세척기의 집수조에 사용되는 이물질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의 급수를 집주조에 공급받아 이물질을 걸러 낼 수 있도록 여과판 중앙에 여과주머니를 상부 중앙에 장착한 여과통을 연결하여 걸러낸 급수를 저면의 배수구에 배출하고 일부 여과된 급수를 측부의 순환구를 갖춘 식기세척기로부터 상기 여과판(10) 하부에 여과통(20)의 상부 외측이 중앙에 내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끼움구(51)에 끼워져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끼움구(51) 외주면에 외측으로 길게 일체 형성한 연결구(55) 끝단에 원형으로 얇은 판을 형성한 지지판(56)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구(55)의 좌우측과 지지판(56) 내측으로 형성된 개구를 통해 그물망을 씌워져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도록 하는 여과구(57)가 형성된 원형여과조(50)를 구성하여 여과판에서 걸러내지 못하는 미세한 이물질을 2차로 걸러 내도록 하여 순환구 및 배수구에 미세한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청결한 식기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이물질 여과장치
본 고안은 식기세척기의 집수조에 사용되는 이물질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식기세척기의 집수조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재차 여과시킬 수 있도록 여과통에 원형으로 형성된 여과조를 설치한 식기세척기의 이물질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수돗물을 집수조에 일정한 수위로 채운 후 배출되는 급수를 펌프를 통해 세척조의 상부분사익과 하분분사익에 일정한 수압으로 공급하게 되면 상기 상부분사익과 하분분사익 사이에 놓여진 식기수납부의 식기는 양 분사익에서 분사되는 분사 물줄기를 통해 위, 아래 전면이 세척되도록 한다.
이러한 통상적인 종래 식기세척기의 집수조(1)는 식기의 세척이 보다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부에 여과판(2)을 설치하고, 상기 여과판(2) 중앙에 내부에 여과주머니(4)가 장착된 여과통(3)을 연결하고, 상기 여과통(3)에서 배출되는 급수가 저면에 형성된 순환구(6)를 통해 배출되도록 연결하고, 상기 여과통(3) 저면에 관을 형성하여 식기가 세척될 수 있도록 급수를 배출하는 배수구(5)가 연결된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집수조(1)는 수돗물이 여과주머니(4)와 여과통(3)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여과주머니(4)로 여과되고 여과된 급수는 배수구(5)를 통해 식기가 수납된 세척조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나머지 급수는 순환구(6)로 배출되도록 집수조(1)로 재 유입되면서 이물질이 다시 한번 걸러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식기세척기의 집수조는 순환구로 배출되는 급수의 이물질을 여과판으로만 걸러내기 때문에 미세한 이물질이 순환구에 그대로 배출되며, 또한 이 순환구를 통해 집수조로 되돌아온 미세한 이물질은 여과통을 그대로 통과하여 배수구로 배출됨에 따라 식기에 이물질을 분사하게 되어 청결한 식기 세척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급수의 이물질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도록 여과통 중앙에 별도의 원형여과조를 장착하여 여과판에서 배출되는 미세한 이물질이 원형여과조에 걸러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순환구에 배출되는 급수의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시키고자 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집수조를 부분 확대한 구성도
제 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 집수조의 구성도
제 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통의 사시도
제 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여과조의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60;집수조 2,10;여과판
3,20;여과통 4,21;여과주머니
5,40;배수구 6;30;순환구
22;손잡이 23;지지돌기
24;지지기둥 50;원형여과조
51;끼움구 52;지지요홈구
53;절개구 54;탄지편
55;연결구 56;지지판
57;여과구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에 의한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외부의 수돗물에서 공급되는 급수의 이물질을 걸러내어 식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집수조에 장착하는 이물질 여과장치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 2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에서 공급받은 급수를 일정한 양으로 채우는 집수조(60)는 내부에 공급된 급수가 배출되어 순환하면서 집수조(60) 내부로 재 유입되도록 저면에 관을 형성한 순환구(30)를 연결하고, 상기 집수조(60) 저면에 식기를 수납하는 수납장치에 이물질이 여과된 급수를 분사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구(40)가 연결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집수조(60)는 상부에 원판으로 형성된 여과판(10)을 연결하고, 상기 여과판(10)의 개구 형성된 중앙부에 상부 중앙에 여과주머니(21)를 안착가능한 여과통(20)을 연결하고, 상기 여과통(20) 외주면 상부에는 원형여과조(50)가 조립되어 설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여과통(20)은 상부에 조립이 용이하도록 상승절곡된 손잡이(22)를 형성하고 상부 저면 일정부위에 돌기 형성된 지지돌기(23)가 형성되고 외주면 중앙에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위에서 아래로 길게 뻗어 형성된 다수의 지지기둥(24)을 형성하고 상기 각 지지기둥(24)간에는 이물질이 걸려진 급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며 하단부는 집수조(60)의 배출구(40)와 연결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여과통(20) 외주면 상부에 연결되는 원형여과조(50)는 중앙에 내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끼움구(51)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구(51) 상부면에는 상기 여과통(20) 외측 상부의 지지돌기(23)와 접촉가능하도록 지지요홈구(52)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구(51) 저면에 다수의 절개부(53)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구(53)로 인해 전후진이 가능하여 여과통(20)과 긴밀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하부가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탄지편(54)이 일체 형성되며, 상기 끼움구(51) 외주면에 외측으로 길게 일체 형성한 연결구(55) 끝단에 원형으로 얇은 판을 형성한 지지판(56)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구(55)의 좌우측과 지지판(56) 내측으로 개구 형성되어 그물망을 씌울 수 있도록 하는 여과구(57)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은 외부의 수돗물에서 공급되는 급수의 이물질을 걸러내어 식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집수조에 장착하는 이물질 여과장치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는 외부 수돗물을 집수조로 급수받아 내부 공간에 일정한 수위로 채운 후 세척조내에 식기를 수납하고 있는 식기수납부로 분사 및 공급하여 식기가 세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집수조(60)는 수돗물 유입구에 원형의 여과판(10)으로 이물질을 걸러내고 집수조(60)내부 중앙에 여과통(20) 및 원형여과조(50)를 조립 설치하여 유입된 이물질이 세척조에 배출되지 않고 걸러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좀 더 자세하게는 집수조(60)는 유입되는 수돗물의 이물질을 1차로 걸러내기 위해 원판의 여과판(10)을 상부에 조립하고 여과판(10)에 개구된 중앙에 손잡이(22)가 형성된 여과통(20)을 잡고 조립하게 된다.
이때 여과통(20)은 내부에 1차로 수돗물 이물질을 걸려내기 위해 여과주머니(21)를 장착시켜 아래의 배수구(40)에 직접 이물질이 흘러 들어가지 못하도록 여과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여과통(20)은 내부에 흘러 들어온 이물질 만을 걸러내기 때문에 미세한 이물질은 측부에 형성된 순환구(30)로 배출되고 순환구(30)로 유입된 미세한 이물질은 다시 집수조(60) 내로 유입되어 여과판(10) 및 여과통(20)을 그대로 통과하여 배수구(40)로 배출된다.
여기서 여과통(20)은 측부의 순환구(30)에 미세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원형여과조(50)를 조립하여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원형여과조(50)는 중앙이 개구된 끼움구(51)를 여과통(20) 하단부에서 부터 끼워 삽입하고 상기 끼움구(51) 상단에 형성된 지지요홈구(52)가 여과통(20)에 형성된 지지돌기(23)와 맞닿아 접촉되도록 한다.
이때 원통여과조(50)의 끼움구(51)는 여과통(20)과 연결시 내측 벽면 하단에 다수의 절개구(53)를 통해 분리된 다수의 탄지편(54)이 여과통(20) 삽입시 각각의 전후진 이동하여 벌어 졌다가 조여지게 되어 여과통(20)의 삽입이 긴밀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원통여과조(50)는 외부면 끝단부가 원판으로 형성된 지지판(56) 내측으로 끼움구(51)와 일체로 연결된 각 연결구(55) 사이에는 내부가 개구된 일정 크기의 여과구(57)로부터 여과판(10)에서 배출되는 미세한 이물질이 순환구(30)로 흘러 들어가지 못하도록 여과구(57)가 이물질을 2차로 걸러 낼 수 있도록 함으로서 순환구(30)로 배출되거나 배수구(40)를 통해 여과된 급수로 식기가 세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용하는 본 고안은 집주조내에 공급되는 급수의 미세한 이물질이 순환하면서 식기를 수납하고 있는 식기수납부에 배출되지 않도록 집수조에 조립 설치된 여과판 및 여과통에 원형여과조를 조립 설치하여 여과판에서 걸러내지 못하는 미세한 이물질을 2차로 걸러 내도록 하여 순환구 및 배수구에 미세한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청결한 식기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외부의 급수를 집주조에 공급받아 이물질을 걸러 낼 수 있도록 여과판 중앙에 여과주머니를 상부 중앙에 장착한 여과통을 연결하여 걸러낸 급수를 저면의 배수구에 배출하고 일부 여과된 급수를 측부의 순환구에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판(10) 하부에 여과통(20)의 상부 외측이 중앙에 내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끼움구(51)에 끼워져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끼움구(51) 외주면에 외측으로 길게 일체 형성한 연결구(55) 끝단에 원형으로 얇은 판을 형성한 지지판(56)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구(55)의 좌우측과 지지판(56) 내측으로 형성된 개구를 통해 그물망을 씌워져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도록 하는 여과구(57)가 형성된 원형여과조(50)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식기세척기의 이물질 여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구(51)는 상부면에는 여과통(20) 외측 상부의 지지돌기(23)와 접촉가능하도록 지지요홈구(52)를 형성하고, 저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된 절개구(53)형성으로 분리 형성되어 여과통(20) 접촉시 전후진하여 긴밀하게 연결되는 탄지편(54)가 일체 형성되어 이루어진 식기세척기의 이물질 여과장치.
KR2019980020150U 1998-10-21 1998-10-21 식기세척기의 이물질 여과장치 KR2002150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150U KR200215080Y1 (ko) 1998-10-21 1998-10-21 식기세척기의 이물질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150U KR200215080Y1 (ko) 1998-10-21 1998-10-21 식기세척기의 이물질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458U KR20000008458U (ko) 2000-05-15
KR200215080Y1 true KR200215080Y1 (ko) 2001-03-02

Family

ID=69521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150U KR200215080Y1 (ko) 1998-10-21 1998-10-21 식기세척기의 이물질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0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458U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6782B1 (ko) 필터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KR101582877B1 (ko) 식기세척기
RU2481784C1 (ru)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RU2339292C2 (ru)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US8104489B2 (en) Dishwasher
EP1256307B1 (en) Passageway structure of dishwasher
US5579790A (en) Filter screen with backflush
US20060118146A1 (en) Sump of dish washer
KR200476742Y1 (ko) 싱크대 배수구커버
KR200215080Y1 (ko) 식기세척기의 이물질 여과장치
KR20160100595A (ko) 식기 세척기
KR100934695B1 (ko) 식기 세척기용 필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CN213390386U (zh) 一种卫浴台盆
EP0943285B1 (en) Dishwasher
KR20020063077A (ko) 세척물의 재사용이 가능한 절수용 씽크대
KR100269466B1 (ko) 일체형 펌프를 가진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의 장착구조
KR101960312B1 (ko) 필터하우징과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200196939Y1 (ko) 식기세척기
KR20000002679A (ko) 일체형 펌프를 가진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KR100269472B1 (ko) 일체형 펌프를 가진 식기세척기
JP2566518Y2 (ja) 食器洗浄機用洗浄水濾過装置
KR102358753B1 (ko) 식기세척기
KR20240002875A (ko) 식기세척기
KR100269468B1 (ko) 일체형 펌프를 가진 식기세척기의 유로구조
KR100234091B1 (ko)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