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4091B1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4091B1
KR100234091B1 KR1019970082445A KR19970082445A KR100234091B1 KR 100234091 B1 KR100234091 B1 KR 100234091B1 KR 1019970082445 A KR1019970082445 A KR 1019970082445A KR 19970082445 A KR19970082445 A KR 19970082445A KR 100234091 B1 KR100234091 B1 KR 100234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locking
case
dishwasher
filtration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2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2135A (ko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82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4091B1/ko
Publication of KR19990062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2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4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4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47L15/4204Flat filter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조의 저부면에 함몰형성된 걸름케이스를 갖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걸름케이스의 상부 개구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며 외측연부에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한 걸림돌기를 갖는 여과필터와, 상기 걸름케이스의 개구둘레 영역에 상기 걸림돌기와 맞물려 상기 필터의 상향 이탈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여과필터의 분해 및 조립시 대응하는 부품들의 견고성이 확보되는 식기세척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필터의 분해 및 조립시 대응하는 부품들의 견고성이 확보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싱(1)내에, 세척조(2)와 세척조(2) 하부에 식기세척기를 작동시키는 부하구동부가 마련되어 있다. 세척조(2)내부에는 상하로 나누어 상부 식기바스켓(3)과 하부 식기바스켓(4)이 설치되며, 각 식기바스켓(3,4) 바로 아래에 상부 분사노즐(5)과 하부 분사노즐(6)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분사노즐(3,4)에는 분사구(7,8)가 형성되어 있어, 식기세척행정시 여기서 세척수가 분사되게 된다.
세척조(2) 저부에는 식기세척기를 구동시키는 부하구동부가 마련되어 있다. 부하구동부에는 중앙영역에 세척조(2)의 저부가 함몰되어 형성된 섬프케이스(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섬프케이스(10)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 급수펌프(20)와 배수펌프(30)가 설치되어 있고 급수펌프(20) 주위에는 걸름케이스(40)가 설치되어 있다.
섬프케이스(10)에는 외부로부터의 세척수가 공급되는 도시않은 외부급수관이 결합되어 있으며, 그 유로상에 세척수의 유로를 개폐하는 급수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급수밸브는 도시않은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고 있다. 섬프케이스(10)내부에는 세척수를 걸러주는 여과필터(21,22,23)가 삼중으로 설치되어 있어 세척행정이 진행될 때 여기서 세척수의 큰 찌꺼기를 대부분 걸러주게 된다. 한편, 섬프케이스(10)의 일측에는 급수펌프(20)와 연결되는 세척수유입관(26)이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배수펌프(30)와 연결되는 연결관이 결합되어 있다.
배수펌프(30)은 외관을 형성하는 펌프하우징내부에 도시않은 구동모터와 펌프팬을 수용하고 있으며, 펌프하우징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배수관(35)이 결합되어 있다.
급수펌프(20)는 외관을 형성하는 펌프하우징내부에 도시않은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여 세척수를 급송시키는 펌프팬을 수용하고 있으며, 펌프하우징의 섬프케이스(10)와 마주보는 쪽에는 세척수유입구(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세척수유입관(16)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급수펌프(20)의 펌프하우징의 또 다른 일측에는 급수구(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세척조(2)내로 세척수를 안내하는 급수관(26)이 연결되어 있고 급수관(26)의 말단에는 분사노즐(5,6)이 결합되어 있다. 한편, 펌프하우징에는 별도의 분사토출구(23)가 또 하나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별도의 분사토출구(23)에는 미세찌꺼기를 걸러주는 걸름케이스(40)에 연결되는 연결관(25)이 결합되어 있다.
걸름케이스(40)는 세척조 저부, 급수펌프(20) 주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하단부 일측에는 세척수를 공급 받는 세척수유입구(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급수펌프와 연결되는 연결관(25)이 결합되고, 하단부 타측에는 배수구(45)가 형성되어 있어 여기에 배수펌프(30)와 연결되는 연결관이 결합된다. 그리고, 세척조(2)와의 사이에 미세한 여과필터(5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급수밸브가 개방되면 외부급수관을 통하여 세척수가 유입되어 섬프케이스(10)에 수용된다. 제어부의 제어로 급수밸브가 폐쇄되면, 급수펌프(20)의 작동이 개시되고, 세척수가 섬프케이스(10)로부터 급수펌프(20)로 유입되어 급수관(26)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세척수는 급수관(26)의 말단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하는 분사노즐(5,6)을 통해 세척조(2)내로 분사되고, 식기세척을 마친 세척수는 세척조(2) 하부로 흘러 섬프케이스(10)내로 다시 유입된다. 섬프케이스(10)에서는 그 내부에 설치된 삼중 여과필터(21,22,23)에 의하여 세척을 마친 세척수에 섞여있게 되는 큰 찌꺼기들이 대부분 걸러진다. 걸러진 세척수는 다시 급수펌프(20)에 의해 급수관(26)으로 유입되며, 분사노즐(5,6)을 통해 다시 세척조(2)내로 분사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 때 급수펌프(20)를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의 일부는 급수펌프(20)에 형성된 별도의 분사토출구(23)를 통하여 걸름케이스(40)내로도 유입되게 된다. 걸름케이스(40)내로 유입된 세척수는 걸름케이스(40)와 세척조(2) 사이에 설치된 미세한 여과필터(50)를 통하여 섬프케이스(10)에서 걸러지지않은 미세한 찌꺼기가 걸러지며 세척조(2)내로 유입되며, 따라서, 걸름케이스(40)내에는 미세한 찌꺼기가 모이게 된다. 그리고, 여기서 걸러진 세척수는 다시 섬프케이스(10)내로 유입된다.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역시 제어부의 제어로 배수밸브가 개방되고, 배수펌프(30)의 작동이 개시된다. 그러면 섬프케이스(10)내의 삼중 여과필터(21,22,23)에 의하여 걸러진 세척을 완료한 세척수와, 걸름케이스(40)내의 미세찌꺼기를 포함한 세척수가 각 배수구(15,45)를 통하여 배수펌프(30)로 유입되어 배수관(3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걸름케이스(40)와 세척조(2)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여과필터(5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걸름케이스(40)로부터 분해 및 조립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즉, 여과필터(50)의 중심에는 급수관공(52)이 형성되어 있고, 여과필터(50)의 외측연부에는 여과필터(50)의 일측면에서 수직으로 돌출하여 그 말단부가 일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걸림돌기(5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름케이스(40)의 개구 둘레(42)에는 여과필터(50)의 걸림돌기(53)가 관통 삽입되어 회전에 의해 상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고정되는 걸림홈(43)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여과필터(50)의 걸림돌기(53)는 걸림홈(43)에 의하여 힘을 받는 부위가 취약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청소를 위해서 여러번 분해 및 조립을 반복하게되면 쉽게 부러지는 현상이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과 필터의 분해 및 조립시 대응하는 부품들의 견고성이 확보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식기세척기의 종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부분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 걸름케이스 62 : 걸름케이스의 개구둘레
63 : 걸림턱 64 : 홈
70 : 여과필터 72 : 급수관공
73 : 걸림돌기 74 : 돌출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세척조의 저부면에 함몰형성된 걸름케이스를 갖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걸름케이스의 상부 개구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며 외측 연부에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한 걸림돌기를 갖는 여과필터와, 상기 걸름케이스의 개구둘레 영역에 상기 걸림돌기와 맞물려 상기 필터의 상향 이탈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턱은 상기 여과필터를 판면을 따라 소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서 맞물림되도록 상호 형상 맞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턱은 요철 맞물림을 하도록 여과필터의 판면에 수직 방향으로 어느 일측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부분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부분 횡단면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여과필터(70)와 걸름케이스의 개구둘레(62)를 갖는 것으로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종래의 식기세척기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여과필터(70)는 판상의 필터망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에는 급수관이 통과하는 급수관공(72)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 연부에는 반경 외측 방향으로 걸림돌기(7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돌기(73)는 여과필터(70) 둘레에 적어도 두 개 이상 설치되어 있으며, 각 걸림돌기(73)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필터(70)의 판면에 수직방향으로 일측에 돌출부(7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걸름케이스의 개구의 둘레(62) 영역에 걸림돌기(73)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걸림턱(63)이 여과필터에 걸림돌기(73)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맞추어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턱(63)은 여과필터(70)를 판면을 따라 소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서 걸림돌기(73)와 맞물림되도록 회전방향의 일측은 막혀있고 타측은 열려있는 구조로 형상 맞춤되어 있으며, 걸림턱(63)의 걸림돌기(73)와 접촉하는 일면에는 걸림돌기(73)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74)를 요철 맞물림으로 수용하여 고정하는 홈(6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걸림돌기(73)와 걸림턱(63)이 상호 요철 맞물림하도록 하기 위해 걸림턱(63)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걸림돌기(73)에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걸름케이스(60)의 개구면을 차단하도록 여과필터(70)를 설치할 때 여과필터(70)의 걸림돌기(73)와 걸름케이스의 개구둘레(62)에 형성된 걸림턱(63)이 판면을 따라 소정각도 회전에 의하여 조립 결합될 수 있도록 위치를 맞추어 개구 단부에 접촉시키고, 여과필터(70)를 회전시켜 조립 장착한다. 이 때 걸림돌기(73)와 걸림턱(63)에 상호 요철 맞물림되게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74)와 홈(64)에 의하여 여과필터(70)는 걸름케이스(60)로부터 요동하지 않게되며 여과필터(70)의 걸림돌기(73)와 걸름케이스의 개구둘레(62)에 형성된 걸림턱(63)의 맞물림으로 여과필터(70)는 걸름케이스(60)로부터 상향 이탈되지 않게된다.
이러한 구성의 여과필터(70)가 걸름케이스의 개구둘레(62)에 장착되어 있는 식기세척기의 작동은 상술한 종래의 것과 같으므로 여기서는 그 작동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의해, 여과필터(70)의 외측 연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73)는 걸름케이스의 개구둘레(62)에 형성된 걸림턱(63)에 수용되어 고정될 때 걸림턱(63)에 의하여 힘을 받는 부분에 취약한 구조를 갖지 않으므로 잘 부러지지 않으며, 따라서, 여과필터를 여러번 분해 및 조립을 반복하여도 걸림돌기(73)가 파손될 염려가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걸림턱과 걸림돌기는 여과필터를 판면을 따라 소정각도 회전시킴으로서 맞물림되도록 형상 맞춤되어 있으나, 걸림돌기와 걸림턱은 어떤 방식으로 맞물림되든 걸림돌기가 여과필터의 반경외측방향으로 돌출하여 조립시 부러지기 쉬운 취약한 구조를 갖지않으며, 걸림턱에 의하여 상향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면 충분하다. 그리고, 상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여과필터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걸름케이스의 개구둘레에 걸림턱이 형성된 구조였으나, 여과필터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걸름케이스의 개구둘레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여과필터의 분해 및 조립시 대응하는 부품들의 견고성이 확보되는 식기세척기가 제공된다.

Claims (3)

  1. 세척조의 저부면에 함몰형성된 걸름케이스를 갖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걸름케이스의 상부 개구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며 외측연부에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한 걸림돌기를 갖는 여과필터와,
    상기 걸름케이스의 개구둘레 영역에 상기 걸림돌기와 맞물려 상기 여과필터의 상향 이탈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턱은 상기 여과필터를 판면을 따라 소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서 맞물림되도록 상호 형상 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턱은 요철 맞물림을 하도록 여과필터의 판면에 수직방향으로 어느 일측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19970082445A 1997-12-31 1997-12-31 식기세척기 KR100234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2445A KR100234091B1 (ko) 1997-12-31 1997-12-31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2445A KR100234091B1 (ko) 1997-12-31 1997-12-31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135A KR19990062135A (ko) 1999-07-26
KR100234091B1 true KR100234091B1 (ko) 1999-12-15

Family

ID=19530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2445A KR100234091B1 (ko) 1997-12-31 1997-12-31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40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824Y1 (ko) 2011-11-11 2014-01-13 주식회사 쏠트 코크스 오븐의 상승관에 설치되는 카본 배출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824Y1 (ko) 2011-11-11 2014-01-13 주식회사 쏠트 코크스 오븐의 상승관에 설치되는 카본 배출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135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9172A (en) Washing water filtering apparatus for dish washing machine
KR101332286B1 (ko) 세탁기
KR100339370B1 (ko) 식기세척기의 펌프 시스템
US20050246843A1 (en) Washing machine having drain casing
US20080163904A1 (en) Nozzle Structure of Dish Washer
US7726324B2 (en) Dishwasher
KR20040046954A (ko) 세탁기의 필터 구조
KR100234091B1 (ko) 식기세척기
KR101052964B1 (ko) 식기 세척기의 모터 고정 구조
KR101241871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CN111671376B (zh) 洗鞋装置及洗涤设备
KR100694323B1 (ko) 식기 세척기의 스크린 필터 체결 구조
KR100432227B1 (ko) 배수펌프를 구비한 세탁기
CN108013843B (zh) 过滤装置及洗碗机
KR101309297B1 (ko) 세탁기
KR100232275B1 (ko) 펌프 장치
KR100808260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KR101669282B1 (ko) 식기 세척기
KR100234104B1 (ko) 식기세척기
KR100808261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KR0128905Y1 (ko) 식기 세척기
KR20060106155A (ko) 식기세척기
KR0128907Y1 (ko) 식기 세척기
KR20240002845A (ko) 식기세척기
JPH09313775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