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590B1 -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590B1
KR101627590B1 KR1020140173677A KR20140173677A KR101627590B1 KR 101627590 B1 KR101627590 B1 KR 101627590B1 KR 1020140173677 A KR1020140173677 A KR 1020140173677A KR 20140173677 A KR20140173677 A KR 20140173677A KR 101627590 B1 KR101627590 B1 KR 101627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hase
data
transmission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8905A (ko
Inventor
티안 탕
쉥후아 니우
레빈 탕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68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06F13/4072Driv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79Receiver details
    • H04L7/0087Preprocessing of received signal for synchronisation, e.g. by code conversion, pulse generation or edg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91Transmitter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04L7/041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using special codes as synchronising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04L7/041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using special codes as synchronising signal
    • H04L7/042Detectors therefor, e.g. correlators, state mach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04L7/06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the synchronisation signals differing from the information signals in amplitude, polarity or frequency or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신호 처리 방법에 따르면,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 상태와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 상태에 따라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위상 변환 처리가 수행될 수 있어, 처리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서 과반수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특정 조건을 충족하게 되며, 이로써 데이터 동기화 신호 상에서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다량의 커플링 크로스토크를 줄이게 되고, 나아가 SSN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게 된다.

Description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SIGNA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 특히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DR(더블 데이터 레이트, double data rate) SDRAM(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은 현재 가장 일반적이고 보편화된 메모리이며, 이하에서는 DDR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DDR은 더블 데이터 레이트 기능을 가지며, DDR은 현재 모든 산업의 전자 디바이스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하드웨어 및 네트워크 기술의 빠른 발전과 함께, 사용자 또한 DDR 칩과 컨트롤러 칩의 캡슐화 및 통합을 점점 더 요구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DDR 칩과 컨트롤러 칩 사이에 데이터를 교환하는 과정에서, 동시 스위칭 잡음(simultaneously switching noise, 약자로 SSN)이 신호 송신 중에 발생되어 DDR 인터페이스의 신뢰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DDR 인터페이스의 신뢰성에 SSN이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 신호들 사이의 통상적으로 유도성인 커플링 크로스토크가 억제되는데, 이는 특히 I/O(입출력) 구동 전류를 줄이고 I/O 양이 불변인 경우 칩의 전원 및 접지 핀을 늘림으로써 구현된다. 이러한 방법은 일부 SSN을 줄일 수 있지만, SSN을 줄이는 효과는 확실치 않다. 나아가, 칩의 전원 및 접지 핀을 늘리게 되면 기판 설계 및 생산이 직접적으로 더 어려워지고; I/O 구동 전류를 줄이게 되면 또한 신호 에지의 레이트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신호 시퀀스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 SSN을 줄이는 효과가 확실치 않고 기판 설계 및 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의 기술적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제1 양상에 따르면, 본 출원은 신호 처리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신호 처리 방법은 신호 송신단에 적용되고: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 상태 및 N개의 전송 대상(to-be-sent) 데이터 신호의 위상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N은 양의 정수인, 위상 상태 결정 단계;
각각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상기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의 결과에 따라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모두 또는 일부에 대해 위상 변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모두와 위상 변환 표시 신호를 신호 수신단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상의 가능한 제1 구현 방식으로서, 상기 결정의 결과에 따라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모두 또는 일부에 대해 위상 변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동기화 신호와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과반수 사이의 위상차가 사전설정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모두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는 단계; 또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상기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사전설정 범위 내에 속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1 양상의 가능한 제2 구현 방식으로서, 상기 결정의 결과에 따라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모두 또는 일부에 대해 위상 변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사전설정 알고리즘에 따라,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사전설정 범위에 속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중 X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고,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상기 사전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중 Y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X는 양의 정수이며 Y는 자연수이다.
제1 양상의 가능한 제3 구현 방식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신호 송신단의 구성 레지스터에 구성 정보를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신호 송신단이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이용된다.
제1 양상의 가능한 제4 구현 방식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신호 송신단과 상기 신호 수신단 사이에 부가되는 신호 표시 라인을 사용하거나 상기 신호 송신단과 상기 신호 수신단 사이의 원래의 신호 라인을 재사용함으로써 상기 위상 변환 표시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 양상에 따르면, 본 출원은 또 다른 신호 처리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신호 처리 방법은 신호 수신단에 적용되며:
신호 송신단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 및 위상 변환 표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송신단이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해 위상 변환 처리를 수행하였음을 상기 위상 변환 표시 신호가 나타내는 경우,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해 위상 복원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2 양상의 가능한 제1 구현 방식으로서,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해 위상 복원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위상 변환 표시 신호의 표시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 신호 모두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는 단계; 또는
상기 위상 변환 표시 신호의 표시 정보에 따라, 상기 신호 송신단에서 극성 반전 처리를 거친 상기 데이터 신호 중 일부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3 양상에 따르면, 본 출원은 신호 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신호 처리 장치는 신호 송신단에 적용되며: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 상태 및 N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상태 결정 모듈로서, N은 양의 정수인, 상태 결정 모듈;
각각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상기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위상차 결정 모듈;
상기 위상차 결정 모듈에 의해 결정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모두 또는 일부에 대해 위상 변환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신호 처리 모듈; 및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모두와 위상 변환 표시 신호를 신호 수신단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신호 전송 모듈
을 포함한다.
제3 양상의 가능한 제1 구현 방식으로서,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상기 데이터 동기화 신호와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과반수 사이의 위상차가 사전설정 범위 내에 속한다고 상기 위상차 결정 모듈이 결정함으로써 획득하는 경우,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모두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위상차 결정 모듈의 결정의 결과에 따라,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상기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사전설정 범위 내에 속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도록 더 구성된다.
제3 양상의 가능한 제2 구현 방식으로서,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사전설정 알고리즘에 따라,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사전설정 범위에 속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중 X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고,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상기 사전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중 Y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도록 더 구성되고, 여기서 X는 양의 정수이며 Y는 자연수이다.
제3 양상의 가능한 제3 구현 방식으로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신호 송신단의 구성 레지스터에 구성 정보를 부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신호 송신단이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이용된다.
제3 양상의 가능한 제4 구현 방식으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신호 송신단과 상기 신호 수신단 사이에 부가되는 신호 표시 라인을 사용하거나 상기 신호 송신단과 상기 신호 수신단 사이의 원래의 신호 라인을 재사용함으로써 상기 위상 변환 표시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제4 양상에 따르면, 본 출원은 또 다른 신호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신호 처리 장치는 신호 수신단에 적용되며:
신호 송신단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 및 위상 변환 표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신호 수신 모듈; 및
상기 신호 송신단이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해 위상 변환 처리를 수행하였음을 상기 위상 변환 표시 신호가 나타내는 경우,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해 위상 복원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복원 처리 모듈
을 포함한다.
제4 양상의 가능한 제1 구현 방식으로서, 상기 복원 처리 모듈은:
상기 위상 변환 표시 신호의 표시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 신호 모두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표시 신호의 표시 정보에 따라, 상기 신호 송신단에서 극성 반전 처리를 거친 상기 데이터 신호 중 일부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도록 더 구성된다.
상기 기술적 해결 수단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 기술에 비교되는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함을 알 수 있다. 신호 처리 방법에 따르면,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 상태와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 상태에 따라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위상 변환 처리가 수행될 수 있어, 처리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서 과반수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특정 조건을 충족하게 되며, 이로써 데이터 동기화 신호 상에서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다량의 커플링 크로스토크를 발생원으로부터 줄이고,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대한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간섭을 줄이며, 나아가 SSN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 및 장치에서는, SSN 발생원으로부터의 SSN의 진폭 값을 줄이도록,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 상태 및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 상태에 따라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위상 변환 처리가 직접적으로 수행됨으로써, 기판 설계의 곤란함을 늘리거나 신호의 통상적인 송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도 SSN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명확해진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술적 해결 수단을 보다 명확히 기술하기 위해, 다음에서는 종래 기술 또는 실시예를 기술하는데 필요한 첨부 도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단지 예시하는 것임이 명백하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별다른 어려움 없이 이러한 첨부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데이터 동기화 신호와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360°의 정수배인 경우 신호 파형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데이터 동기화 신호와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180°의 홀수배인 경우 신호 파형에 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신호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한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한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시스템에 대한 구조 개략도이다.
다음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 수단에 대해 명확하게 전적으로 설명한다. 기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그 일부에 불과함이 명백하다. 특별한 어려움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얻게 되는 모든 다른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러한 신호 처리 장치는 신호 송신단에 적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101):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 상태 및 N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N은 양의 정수이며,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기술되는 복수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는 상이한 송신 경로를 이용하여 동시에 전송될 수 있는 복수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이다.
데이터 동기화 신호 및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가 동시에 전송되는 경우, 이러한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주된 간섭은 SSN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도 2 및 3을 참조한다. 도 2는 데이터 동기화 신호와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360°의 정수배인 경우 신호 파형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데이터 동기화 신호와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180°의 홀수배인 경우 신호 파형에 대한 도면이다. 도 2에서, 회색 라인은 데이터 동기화 신호 라인이고, 흑색 라인은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라인이다. 데이터 동기화 신호 라인 및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는 동일한 위상이며, 2개의 신호 라인은 기본적으로 중첩된다. 데이터 동기화 신호는 기본적으로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의해 간섭받지 않는다. 반면, 도 3에서는 회색 라인이 데이터 동기화 신호 라인이고 흑색 라인이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라인이다. 이러한 경우, 데이터 동기화 신호 라인의 위상은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라인의 위상과 반대이다.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구동 전류가 최대일 때, 즉 도 3에서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흑색 라인이 중간 위치에 있을 때, 데이터 동기화 신호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역방향 구동 전류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고, 스텝/백(step/back)이 형성된다. 세부사항은 도 3에서 원으로 나타낸 위치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이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과 반대이거나 거의 반대일 때, 특히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구동 전류 방향이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구동 전류 방향과 반대이고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구동 전류가 최댓값에 도달할 때,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비교적 강한 간섭을 발생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단계(101)에서는, 신호 송신단이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때,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 상태 및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 상태가 우선 결정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가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대해 발생시키는 간섭을 줄이고자 하는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비교적 강한 간섭을 발생시키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대응하는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102): 각각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를 결정하는 단계.
단계(101)에서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 상태와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 상태가 결정된 이후에, 모든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가 현재 전체적으로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비교적 강한 간섭을 발생시킨다는 것을 알게 되면,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특정 처리가 수행되어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대한 처리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간섭을 크게 줄일 필요가 있다. 위에서 분석된 바와 같이,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가 동일한 위상을 갖는 경우,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는 기본적으로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명확한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반면,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이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과 반대 또는 거의 반대인 경우,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매우 강한 간섭을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에 따라,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 상태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 상태가 동일 위상에 더 가까운지 또는 반대 위상에 더 가까운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103): 결정의 결과에 따라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모두 또는 일부에 대해 위상 변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위상 변환을 수행하는 방식은 상이한 사용자 요구사항에 따라 사전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102)에서 결정의 결과가 제1의 사전설정 조건을 충족할 때 제1의 사전설정 처리를 수행하고; 단계(102)에서 결정의 결과가 제2의 사전설정 조건을 충족할 때 제2의 사전설정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계(104):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모두와 위상 변환 표시 신호를 신호 수신단에 전송하는 단계.
신호 송신단은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관련 처리를 수행하였기 때문에, 이후 신호 수신단에 의해 수신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는 신호 송신단에 의해 처리된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이며 원래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가 아니다. 신호 수신단의 이후 처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해서, 신호 송신단은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수행되는 위상 변환 처리를 나타내는 위상 변환 표시 신호를 신호 수신단에 전송하여, 신호 송신단이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수행하는 처리를 신호 수신단이 인식하고 복원되는 원래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따라 이후 작업을 수행하게 할 필요가 있다.
상기 기술적 해결 수단을 구현하기 위해서, 신호 송신단의 구성 레지스터에 구성 정보가 부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정보는 신호 송신단이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데 이용된다. 또한 신호 송신단과 신호 수신단 사이에 신호 표시 라인이 부가될 수 있고, 또는 신호 송신단과 신호 수신단 사이의 원래의 신호 라인이 재사용된다. 위상 변환 표시 신호는 원래의 신호 라인 또는 신호 표시 라인을 이용함으로써 전달되어, 신호 수신단은 신호 송신단이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신호 송신단이 DDR이고, 신호 수신단은 컨트롤러인 경우, 하나의 핀이 이에 대응하여 DDR과 컨트롤러 사이에 부가될 수 있거나, DM(데이터 마스크) 핀이 재사용되어, DDR이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구현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신호 처리 방법에 따르면,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 상태 및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 상태에 따라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위상 변환 처리가 수행될 수 있어, 처리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서 과반수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특정 조건을 충족하게 되며, 이로써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대한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간섭을 줄이게 되고, 나아가 SSN을 줄이게 된다. 본 방법에 따르면 위상 변환 처리는, SSN 발생원으로부터의 SSN의 진폭 값을 줄이도록,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 상태와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 상태에 따라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직접 수행하며, 따라서 기판 설계의 곤란함을 늘리거나 신호의 통상적인 송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도 SSN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명확해진다.
상기 실시예에서, 단계(103)는 상이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동기화 신호와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과반수 사이의 위상차가 사전설정 범위 내에 속할 때,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모두에 대해 극성 반전이 수행된다. 대안으로서,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사전설정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이러한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이 수행된다. 대안으로서, 사전설정 알고리즘에 따라,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사전설정 범위에 속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중 X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고,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사전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중 Y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며; 여기서 X는 양의 정수이며 Y는 자연수이다.
사전설정 범위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이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과 반대이거나 거의 반대인 경우의 위상차 범위일 수 있다.
SSN에 대한 요건이 엄격하지 않은 시나리오에서는, 데이터 동기화 신호와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과반수 사이의 위상차가 사전설정 범위 내에 속한다면, 이는 모든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서 대부분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가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비교적 강한 SSN 간섭을 발생시킴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모든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 처리를 수행한다면, 모든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서 대부분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가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명확한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게 됨으로써, 시스템에서 SSN을 줄이게 된다.
또한 일부 경우에서는, 사전설정되는 고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신호 송신단이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모든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서, 사전설정 알고리즘에 따라 N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이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과 반대인 조건을 충족하는 N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가 있다고 결정되는 경우, N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중 수 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 처리가 수행되는 것으로 최종 결정하거나, N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중 수 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및 N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서 제외된 수 개의 다른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여기서는, 이러한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가 데이터 동기화 신호와 동일 위상을 가질 수 있음)에 대해 극성 반전 처리가 수행되는 것으로 최종 결정한다. 분명히, 어떤 알고리즘이 이용되는지와는 무관하게, 또는 극성 반전 처리가 최종적으로 수행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이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과 반대인지 여부와는 무관하게, 단지 위상 처리가 수행된 후 모든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중 과반수가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비교적 강한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것이 요구될 뿐이며, 위상 처리가 수행된 후 모든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의해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발생되는 간섭의 값이, 처리가 수행되기 전 모든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의해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발생되는 간섭의 값보다 작게 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될 뿐이다.
SSN에 대한 요건이 비교적 엄격한 시나리오에서는, 모든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단지 몇몇 위상차가 사전설정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에만, 모든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중 단지 수 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만이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비교적 강한 간섭을 발생시킴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사전설정 범위 내에 속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특정적으로 극성 반전이 수행될 수 있어, 시스템에서의 SSN을 줄이게 된다. 분명히, 모든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중 일부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 처리를 수행한 후, 신호 송신단은 극성 반전 처리가 수행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를 기록하고 대응하는 위상 변환 표시 신호를 신호 수신단에 전송하며, 여기서 위상 변환 표시 신호는 신호 송신단에 의해 위상 변환 처리가 수행되는 신호가 어느 것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므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 후, 신호 수신단은 위상 변환 처리를 거친 데이터 신호와 위상 변환 처리를 거치지 않은 데이터 신호를 간편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 처리 방법에 따르면,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 상태와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 상태에 따라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위상 변환 처리가 수행될 수 있어, 처리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서 과반수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특정 조건을 충족하게 되며, 이로써 데이터 동기화 신호 상에서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다량의 커플링 크로스토크를 줄이게 되고, 나아가 SSN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신호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러한 신호 처리 방법은 신호 수신단에 적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처리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401): 신호 송신단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 및 위상 변환 표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위상 변환 표시 신호는 신호 송신단이 데이터 신호에 대해 수행하는 위상 변환 처리를 나타내기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위상 변환 처리는 신호 전달 프로세스에서 SSN을 감소시키기 위해 신호 송신단이 데이터 신호에 대해 수행하는 위상 변환 처리일 수 있다.
신호 수신단이 신호 송신단에 의해 전송되는 위상 변환 표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데이터 신호는 신호 송신단에 의해 수행되는 위상 변환 처리를 거친 데이터 신호이다.
단계(402): 신호 송신단이 데이터 신호에 대해 위상 변환 처리를 수행하였음을 위상 변환 표시 신호가 나타내는 경우, 데이터 신호에 대해 위상 복원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신호 수신단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는 신호 송신단에 의해 수행되는 위상 변환 처리를 거친 데이터 신호이며, 원래의 데이터 신호가 아니다. 그러므로, 이후의 작업이 정확하고 원만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신호 송신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상 변환 표시 신호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 신호에 위상 복원 처리가 먼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신호 수신단은 신호 송신단에 의해 전송되는 위상 변환 표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여기서 위상 변환 표시 신호는 신호 송신단이 데이터 신호에 대해 수행하는 위상 변환 처리를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이러한 위상 변환 처리에 의해, 처리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서 과반수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특정 조건을 충족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데이터 동기화 신호 상에서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다량의 커플링 크로스토크를 줄이게 되고, 나아가 SSN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게 된다. 그러므로, 신호 송신단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 후, 신호 수신단은 신호 송신단이 이전에 데이터 신호에 대해 수행한 처리에 따라 데이터 신호를 원래의 데이터 신호로 복원할 수 있고, 즉 수신된 데이터 신호에 대해 위상 복원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런 식으로, 데이터 신호에 따라 이후 수행되는 통상적인 작업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도, 신호 송신 프로세스에서 SSN이 감소되며, 원래의 데이터 신호 또한 획득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 단계(402)는 상이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상 변환 표시 신호의 표시 정보에 따라 데이터 신호 모두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한다. 대안으로서, 위상 변환 표시 신호의 표시 정보에 따라, 신호 송신단에서 극성 반전 처리를 거친 데이터 신호 중 일부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한다.
신호 송신단에 의해 전송되고 신호 수신단에 의해 수신되는 위상 변환 표시 신호에 따라 신호 수신단이 데이터 신호에 대해 위상 복원 처리를 수행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신호 송신단이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때 모든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였다고 위상 변환 표시 신호가 나타내는 경우, 신호 수신단은 모든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한다. 신호 송신단이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때 데이터 신호 중 단지 일부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였다고 위상 변환 표시 신호가 나타내는 경우, 신호 수신단은 신호 송신단에서 극성 반전 처리를 거친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여, 처리되지 않은 원래의 실제 데이터 신호를 얻게 된다.
이러한 신호 처리 방법에 따르면,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 상태와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 상태에 따라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위상 변환 처리가 수행될 수 있어, 처리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서 과반수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특정 조건을 충족하게 되며, 이로써 데이터 동기화 신호 상에서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다량의 커플링 크로스토크를 줄이게 되고, 나아가 SSN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게 된다.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앞선 실시예는 이러한 방법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복수의 형태로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추가로 장치를 개시한다. 다음의 내용은 특정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이러한 신호 처리 장치는 신호 송신단에 적용되고, 본 발명의 도 1에 도시된 신호 처리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처리 장치(50)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 상태 및 N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상태 결정 모듈(501).
N은 양의 정수이며,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는 상이한 송신 경로를 이용하여 동시에 전송될 수 있는 복수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이다.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이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과 반대이거나 거의 반대일 때, 특히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구동 전류 방향이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구동 전류 방향과 반대이고 구동 전류 값이 최대에 도달할 때,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비교적 강한 간섭을 발생한다. 그러므로, 신호 송신단이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때,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 상태 및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 상태가 우선 결정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가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대해 발생시키는 간섭을 줄이고자 하는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비교적 강한 간섭을 발생시키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대응하는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각각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위상차 결정 모듈(502).
상태 결정 모듈(501)이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 상태와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 상태를 결정한 이후에, 모든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가 현재 전체적으로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비교적 강한 간섭을 발생시킨다는 것을 알게 되면,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특정 처리가 수행되어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대한 처리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간섭을 크게 줄일 필요가 있다.
방법 실시예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가 동일한 위상을 갖는 경우,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는 기본적으로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명확한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반면,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이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과 반대 또는 거의 반대인 경우,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매우 강한 간섭을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에 따라,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 상태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 상태가 동일 위상에 더 가까운지 또는 반대 위상에 더 가까운지를 결정할 수 있다.
위상차 결정 모듈에 의해 결정된 결과에 따라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모두 또는 일부에 대해 위상 변환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신호 처리 모듈(503).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위상 변환을 수행하는 방식은 상이한 사용자 요구사항에 따라 사전구성될 수 있다.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모두와 위상 변환 표시 신호를 신호 수신단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신호 전송 모듈(504).
신호 송신단은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관련 처리를 수행하였기 때문에, 이후 신호 수신단에 의해 수신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는 신호 송신단에 의해 처리된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이며 원래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가 아니다. 신호 수신단에 의해 수행되는 이후 처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해서, 신호 송신단은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수행되는 위상 변환 처리를 나타내는 표시 신호를 신호 수신단에 전송하여, 신호 송신단이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수행하는 처리를 신호 수신단이 인식하고 복원되는 원래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따라 이후 작업을 수행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신호 처리 장치는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 상태 및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 상태에 따라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위상 변환 처리를 수행할 수 있어, 처리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서 과반수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특정 조건을 충족하게 되며, 이로써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대한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간섭을 줄이게 되고, 나아가 SSN을 줄이게 된다. 이러한 장치는 SSN 발생원으로부터의 SSN의 진폭 값을 줄이도록,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 상태와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 상태에 따라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직접 위상 변환 처리를 수행하며, 따라서 기판 설계의 곤란함을 늘리거나 신호의 통상적인 송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도 SSN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명확해진다.
앞선 실시예에서, 신호 처리 모듈(503)이 특별히 실행할 수 있는 동작은 상이한 시나리오 구성의 경우 달라진다. 예를 들어, 한 가지 시나리오로서, 데이터 동기화 신호와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과반수 사이의 위상차가 사전설정 범위 내에 속한다고 위상 결정 모듈(502)이 결정하고 획득할 때, 신호 처리 모듈(503)은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모두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시나리오로서,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사전설정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신호 처리 모듈(503)은 위상 결정 모듈(502)에 의해 결정되는 결과에 따라 이러한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시나리오로서, 신호 처리 모듈(503)은: 사전설정 알고리즘에 따라,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사전설정 범위에 속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중 X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고,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사전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중 Y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X는 양의 정수이며 Y는 자연수이다.
사전설정 범위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이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과 반대이거나 거의 반대인 경우의 위상차 범위일 수 있다.
SSN에 대한 요건이 엄격하지 않은 시나리오에서는, 데이터 동기화 신호와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과반수 사이의 위상차가 사전설정 범위 내에 속한다면, 이는 모든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서 대부분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가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비교적 강한 SSN 간섭을, 즉 SSN을 발생시킴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모든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 처리를 수행한다면, 모든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서 대부분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가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명확한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게 됨으로써, 시스템에서 SSN을 줄이게 된다.
또한 일부 경우에서는, 사전설정되는 고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신호 송신단이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모든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서, 사전설정 알고리즘에 따라 N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이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과 반대인 조건을 충족하는 N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가 있다고 결정되는 경우, N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중 수 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 처리가 수행되는 것으로 최종 결정하거나, N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중 수 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및 N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서 제외된 수 개의 다른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여기서는, 이러한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가 데이터 동기화 신호와 동일 위상을 가질 수 있음)에 대해 극성 반전 처리가 수행되는 것으로 최종 결정한다. 분명히, 어떤 알고리즘이 이용되는지와는 무관하게, 또는 극성 반전 처리가 최종적으로 수행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이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과 반대인지 여부와는 무관하게, 단지 위상 처리가 수행된 후 모든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중 과반수가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비교적 강한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것이 요구될 뿐이며, 위상 처리가 수행된 후 모든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의해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발생되는 간섭의 값이, 처리가 수행되기 전 모든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의해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발생되는 간섭의 값보다 작게 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될 뿐이다.
SSN에 대한 요건이 비교적 엄격한 시나리오에서는, 단지 수 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사전설정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에만, 모든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중 단지 이러한 수 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만이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비교적 강한 간섭을 발생시킴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사전설정 범위 내에 속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특정적으로 극성 반전이 수행될 수 있어, 시스템에서의 SSN을 줄이게 된다.
이러한 신호 처리 장치는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 상태와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 상태에 따라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위상 변환 처리를 수행할 수 있어, 처리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서 과반수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특정 조건을 충족하게 되며, 이로써 데이터 동기화 신호 상에서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다량의 커플링 크로스토크를 줄이게 되고, 나아가 SSN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한 구조 개략도이다. 이러한 신호 처리 장치는 신호 수신단에 적용되며, 본 발명의 도 4에 도시된 신호 처리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처리 장치(60)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송신단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 및 위상 변환 표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신호 수신 모듈(601).
위상 변환 표시 신호는 신호 송신단이 데이터 신호에 대해 수행하는 위상 변환 처리를 나타내기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위상 변환 처리는 신호 전달 프로세스에서 SSN을 감소시키기 위해 신호 송신단이 데이터 신호에 대해 수행하는 위상 변환 처리일 수 있다.
신호 수신단이 신호 송신단에 의해 전송되는 위상 변환 표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데이터 신호는 신호 송신단이 위상 변환 처리를 수행한 데이터 신호이다.
신호 송신단이 데이터 신호에 대해 위상 변환 처리를 수행하였음을 위상 변환 표시 신호가 나타내는 경우, 데이터 신호에 대해 위상 복원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복원 처리 모듈(602).
신호 수신단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는 신호 송신단에 의해 수행되는 위상 변환 처리를 거친 데이터 신호이며, 원래의 데이터 신호가 아니다. 그러므로, 이후의 작업이 정확하고 원만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신호 송신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상 변환 표시 신호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 신호에 위상 복원 처리가 먼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신호 수신단은 신호 송신단에 의해 전송되는 위상 변환 표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여기서 위상 변환 표시 신호는 신호 송신단이 데이터 신호에 대해 수행하는 위상 변환 처리를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이러한 위상 변환 처리가 이용됨으로써, 신호 송신 프로세스에서 발생되는 SSN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신호 송신단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 후, 신호 수신단은 신호 송신단이 이전에 데이터 신호에 대해 수행한 처리에 따라 데이터 신호를 원래의 데이터 신호로 복원할 수 있고, 즉 수신된 데이터 신호에 대해 위상 복원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런 식으로,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따라 이후 수행되는 통상적인 작업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도, 신호 송신 프로세스에서 SSN이 감소되며, 원래의 데이터 신호 또한 획득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 복원 처리 모듈(602)이 특별히 실행할 수 있는 동작은 상이한 시나리오에서 달라진다. 예를 들어, 한 가지 시나리오로서, 복원 처리 모듈(602)은 위상 변환 표시 신호의 표시 정보에 따라 데이터 신호 모두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시나리오로서, 복원 처리 모듈(602)은 위상 변환 표시 신호의 표시 정보에 따라, 신호 송신단에서 극성 반전 처리를 거친 데이터 신호 중 일부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신호 송신단에 의해 전송되고 신호 수신단에 의해 수신되는 위상 변환 표시 정보에 따라 신호 수신단이 데이터 신호에 대해 위상 복원 처리를 수행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신호 송신단이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때 모든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였다고 위상 변환 표시 정보가 나타내는 경우, 신호 수신단은 모든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한다. 신호 송신단이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때 데이터 신호 중 단지 일부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였다고 위상 변환 표시 정보가 나타내는 경우, 신호 수신단은 신호 송신단에서 극성 반전 처리를 거친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여, 처리되지 않은 원래의 실제 데이터 신호를 얻게 된다.
이러한 신호 처리 장치는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 상태와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 상태에 따라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위상 변환 처리를 수행할 수 있어, 처리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서 과반수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특정 조건을 충족하게 되며, 이로써 데이터 동기화 신호 상에서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다량의 커플링 크로스토크를 줄이게 되고, 나아가 SSN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또한 신호 처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러한 신호 처리 시스템은 본 발명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 송신단에 적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 및 본 발명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 수신단에 적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신호 처리 시스템은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 상태와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 상태에 따라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위상 변환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처리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서 과반수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특정 조건을 충족하게 되며, 이로써 데이터 동기화 신호에 대한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간섭을 줄이게 되고, 나아가 SSN을 줄이게 된다. 시스템에서는, SSN 발생원으로부터의 SSN의 진폭 값을 줄이도록,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 상태 및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 상태에 따라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위상 변환 처리가 직접적으로 수행됨으로써, 기판 설계의 곤란함을 늘리거나 신호의 통상적인 송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도 SSN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명확해진다.
신호 송신단에 적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는 DDR에 배치될 수 있고, DDR 버스 컨트롤러를 이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신호 수신단에 적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 또한 컨트롤러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신호 송신단에 적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가 컨트롤러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신호 수신단에 적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는 DDR에 배치될 수 있고, DDR 버스 컨트롤러를 이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DDR이 신호 송신단인 경우, 신호 수신단은 컨트롤러이고; 컨트롤러가 신호 송신단인 경우, 신호 수신단은 DDR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처리 시스템(70)은 DDR(701) 및 컨트롤러(702)를 포함한다. DDR(701) 및 컨트롤러(702)는 버스(703)를 이용하여 연결된다.
컨트롤러는 범용 프로세서일 수 있고, 여기에는 중앙 처리 장치(CPU), 네트워크 프로세서(NP) 등이 포함된다; 또는 컨트롤러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신호 처리 기능을 제공하고 DDR 버스 인터페이스를 갖는 임의의 디바이스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컨트롤러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장치는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에 대응한다. 관련 내용은 방법 실시예에 관한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방법 또는 알고리즘 단계는 직접 하드웨어에 의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ROM), 전기적으로 프로그램가능한 ROM, 전기적으로 삭제가능한 프로그램가능 ROM,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 분야에서 주지된 임의의 여타 형태의 저장 매체에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된 앞선 설명은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규정된 일반 원칙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에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실시예로 국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원칙에 부합하는 최광의의 범위까지 확장될 것이다.

Claims (14)

  1. 신호 송신단에 적용되는 신호 처리 방법으로서,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 상태 및 N개의 전송 대상(to-be-sent) 데이터 신호의 위상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N은 양의 정수인, 위상 상태 결정 단계;
    각각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상기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의 결과에 따라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모두 또는 일부에 대해 위상 변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모두와 위상 변환 표시 신호를 신호 수신단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호 송신단에 적용되는 신호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의 결과에 따라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모두 또는 일부에 대해 위상 변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동기화 신호와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과반수 사이의 위상차가 사전설정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모두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는 단계; 또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상기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사전설정 범위 내에 속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호 송신단에 적용되는 신호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의 결과에 따라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모두 또는 일부에 대해 위상 변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사전설정 알고리즘에 따라,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사전설정 범위에 속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중 X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고,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상기 사전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중 Y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X는 양의 정수이며 Y는 자연수인, 신호 송신단에 적용되는 신호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의 결과에 따라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모두 또는 일부에 대해 위상 변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신호 송신단에 적용되는 신호 처리 방법은 상기 신호 송신단의 구성 레지스터에 구성 정보를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신호 송신단이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이용되는, 신호 송신단에 적용되는 신호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변환 표시 신호를 신호 수신단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송신단과 상기 신호 수신단 사이에 부가되는 신호 표시 라인을 사용하거나 상기 신호 송신단과 상기 신호 수신단 사이의 원래의 신호 라인을 재사용함으로써 상기 위상 변환 표시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송신단에 적용되는 신호 처리 방법.
  6. 신호 수신단에 적용되는 신호 처리 방법으로서,
    신호 송신단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 및 위상 변환 표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송신단이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해 위상 변환 처리를 수행하였음을 상기 위상 변환 표시 신호가 나타내는 경우,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해 위상 복원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호 수신단에 적용되는 신호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해 위상 복원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위상 변환 표시 신호의 표시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 신호 모두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는 단계; 또는
    상기 위상 변환 표시 신호의 표시 정보에 따라, 상기 신호 송신단에서 극성 반전 처리를 거친 상기 데이터 신호 중 일부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호 수신단에 적용되는 신호 처리 방법.
  8. 신호 송신단에 적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로서,
    데이터 동기화 신호의 위상 상태 및 N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위상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상태 결정 모듈로서, N은 양의 정수인, 상태 결정 모듈;
    각각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상기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위상차 결정 모듈;
    상기 위상차 결정 모듈에 의해 결정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모두 또는 일부에 대해 위상 변환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신호 처리 모듈; 및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모두와 위상 변환 표시 신호를 신호 수신단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신호 전송 모듈
    을 포함하는, 신호 송신단에 적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상기 데이터 동기화 신호와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의 과반수 사이의 위상차가 사전설정 범위 내에 속한다고 상기 위상차 결정 모듈이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모두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위상차 결정 모듈의 결정의 결과에 따라,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상기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사전설정 범위 내에 속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도록 더 구성되는, 신호 송신단에 적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사전설정 알고리즘에 따라,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사전설정 범위에 속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중 X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고,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와 데이터 동기화 신호 사이의 위상차가 상기 사전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 중 Y개의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도록 더 구성되고, X는 양의 정수이며 Y는 자연수인, 신호 송신단에 적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신호 송신단의 구성 레지스터에 구성 정보를 부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신호 송신단이 전송 대상 데이터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이용되는, 신호 송신단에 적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모듈은, 상기 신호 송신단과 상기 신호 수신단 사이에 부가되는 신호 표시 라인을 사용하거나 상기 신호 송신단과 상기 신호 수신단 사이의 원래의 신호 라인을 재사용함으로써 상기 위상 변환 표시 신호를 전달하도록 더 구성되는, 신호 송신단에 적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
  13. 신호 수신단에 적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로서,
    신호 송신단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 및 위상 변환 표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신호 수신 모듈; 및
    상기 신호 송신단이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해 위상 변환 처리를 수행하였음을 상기 위상 변환 표시 신호가 나타내는 경우,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해 위상 복원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복원 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신호 수신단에 적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처리 모듈은:
    상기 위상 변환 표시 신호의 표시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 신호 모두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위상 변환 표시 신호의 표시 정보에 따라, 상기 신호 송신단에서 극성 반전 처리를 거친 상기 데이터 신호 중 일부에 대해 극성 반전을 수행하도록 더 구성되는, 신호 수신단에 적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
KR1020140173677A 2013-12-12 2014-12-05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6275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684694.0 2013-12-12
CN201310684694.0A CN104714902B (zh) 2013-12-12 2013-12-12 一种信号处理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905A KR20150068905A (ko) 2015-06-22
KR101627590B1 true KR101627590B1 (ko) 2016-06-07

Family

ID=52396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677A KR101627590B1 (ko) 2013-12-12 2014-12-05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72527B2 (ko)
EP (1) EP2884400A1 (ko)
JP (1) JP6094000B2 (ko)
KR (1) KR101627590B1 (ko)
CN (1) CN104714902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6747A (ja) 2009-03-06 2010-09-16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1620A (ja) * 1992-11-20 1994-06-10 Hitachi Ltd 出力同時変化制御方式
JP3526492B2 (ja) * 1995-09-19 2004-05-17 富士通株式会社 並列処理システム
JP3346999B2 (ja) * 1996-01-08 2002-11-18 株式会社東芝 入出力装置
KR100433239B1 (ko) * 1999-05-18 2004-05-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액정디스플레이의 구동장치 및 방법
US6789224B2 (en) * 2000-01-18 2004-09-07 Advantes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DE10145722A1 (de) * 2001-09-17 2003-04-24 Infineon Technologies Ag Konzept zur sicheren Datenkommunikation zwischen elektronischen Bausteinen
KR20030088325A (ko) * 2002-05-14 2003-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윈도우의 변화를 방지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518603B1 (ko) * 2003-12-13 2005-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비트 프리페치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반전 회로 및데이터 반전 방법
JP3990319B2 (ja) * 2003-06-09 2007-10-10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伝送システム、受信装置、試験装置、及びテストヘッド
US7646649B2 (en) * 2003-11-18 2010-01-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mory device with programmable receivers to improve performance
DE102005011386B4 (de) * 2005-03-11 2013-10-24 Qimonda Ag Schaltungseinheit zur Datenbitinvertierung
KR20070070811A (ko) * 2005-12-29 2007-07-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터 라인 노이즈 제어장치 및 방법
JP4531827B2 (ja) * 2008-04-22 2010-08-25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通信装置
TWI419174B (zh) * 2009-06-08 2013-12-11 Nanya Technology Corp 訊號調整系統與訊號調整方法
US8260992B2 (en) * 2010-04-12 2012-09-04 Advanced Micro Devices, Inc. Reducing simultaneous switching outputs using data bus inversion signaling
JP2012230499A (ja) * 2011-04-25 2012-11-22 Elpida Memory Inc 半導体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搭載したマザーボード
US8706958B2 (en) * 2011-09-01 2014-04-22 Thomas Hein Data mask encoding in data bit inversion scheme
US9122084B2 (en) * 2013-02-20 2015-09-01 Ntt Electronics Corporation Phase modula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6747A (ja) 2009-03-06 2010-09-16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14902A (zh) 2015-06-17
JP2015115961A (ja) 2015-06-22
US9172527B2 (en) 2015-10-27
KR20150068905A (ko) 2015-06-22
JP6094000B2 (ja) 2017-03-15
US20150172041A1 (en) 2015-06-18
EP2884400A1 (en) 2015-06-17
CN104714902B (zh) 2018-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195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erial communication system, method of initialization of communication therefor, and serial communication apparatus
CN104579298B (zh) 触发器和半导体电路
US8405529B2 (en) Using bus inversion to reduce simultaneous signal switching
EP2856692A1 (en) Data interface synchronization
US8653868B2 (en) Low power data recovery
JP2018535580A (ja) テストカバレッジを増大するためのポイントツーポイント相互接続についての自己エラーインジェクション技法
KR101627590B1 (ko)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14106831A (ja) 電子端末装置及び電子連動装置
JP5838817B2 (ja) 送受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8891346B2 (en) Data transmission circuit and data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with reduced jitter
CN112188446B (zh) 一种同步信号发送方法、终端及装置、存储介质
CN108631808B (zh) 用于数字信号传输的装置和方法
US8890726B2 (en) Data interface clock generation
TWI598600B (zh) 用來於一網路系統中進行電纜診斷之方法與裝置
CN107040364B (zh) 一种防止功耗攻击的电路
US9602272B2 (en) Clock and data recovery circuit and system using the same
US8726060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signals in a source-synchronous scheme
KR20150060516A (ko) 인덱싱된 i/o 심볼 통신
JP5103839B2 (ja) 信号伝送回路及び方法
JP2010091450A (ja) プローブカードおよびそ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