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273B1 - 방송수신장치 및 그의 메모리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수신장치 및 그의 메모리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273B1
KR101627273B1 KR1020090056024A KR20090056024A KR101627273B1 KR 101627273 B1 KR101627273 B1 KR 101627273B1 KR 1020090056024 A KR1020090056024 A KR 1020090056024A KR 20090056024 A KR20090056024 A KR 20090056024A KR 101627273 B1 KR101627273 B1 KR 101627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area
memory
operating system
storage uni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7803A (ko
Inventor
최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6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273B1/ko
Priority to US12/640,057 priority patent/US8806167B2/en
Priority to EP10157425A priority patent/EP2270667A1/en
Publication of KR20100137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223User address space allocation, e.g. contiguous or non contiguous base addressing
    • G06F12/0284Multiple user address space allocation, e.g. using different base addre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 G06F9/5011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s being hardware resources other than CPUs, Servers and Terminals
    • G06F9/5016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s being hardware resources other than CPUs, Servers and Terminals the resource being the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223User address space allocation, e.g. contiguous or non contiguous base addressing
    • G06F12/023Free address spa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2Arrangements for resource management
    • H04H20/426Receiver si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10Providing a specific technical effect
    • G06F2212/1048Scal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방송수신장치 및 그의 메모리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송수신장치는 메모리 중 일부 영역을 복수의 운영체제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1 메모리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메모리 중 제1 메모리 영역으로 설정되지 않은 다른 일부 영역을 제2 메모리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복수의 운영체제 중 어느 하나에서 메모리 영역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 메모리 영역을 제2 메모리 영역 중 적어도 일부로 확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방송수신장치에서 복수의 운영체제를 사용할 수 있다.
TV, 운영체제, 메모리 할당

Description

방송수신장치 및 그의 메모리 관리방법{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managementing memory}
본 발명은 방송수신장치 및 그의 메모리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모리를 적응적으로 할당하여 운영체제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의 메모리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수신장치는 디지털 위성방송을 수신하는 장치로,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디지털방송 또는 아날로그방송 및 각종 외부기기(Video Player, DVD Player Bue-ray Disc Player 등)로부터 입력된 영상 및 음성신호를 TS신호로 변환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한다. 이러한, 방송수신장치의 대표적 예로는 디지털 TV, VOD(Video On Demand) 등의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및 셋탑박스(Set Top Box)를 들 수 있다.
최근 들어, 방송수신장치는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방송수신장치에서는 기본서비스인 방송신호를 재생하는 것 이외에 인터넷 접속, 게임실행 등의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방송수신장치에서는 부가서비스 이용에 따라 문제가 발생하 는 경우, 방송수신장치에서는 단일 운영체제를 사용하므로 기본서비스 또한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방송수신장치에 구비된 메모리의 용량이 매우 제한적이므로 부가서비스를 이용 시 자주 발생하는 메모리 부족으로 인해 방송수신장치의 동작이 정지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수신장치에서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방송수신장치의 기본서비스를 계속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메모리를 적응적으로 할당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의 메모리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관리방법은, 메모리 중 일부를 복수의 운영체제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1 메모리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 중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으로 설정되지 않은 일부를 제2 메모리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운영체제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메모리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2 메모리 영역 중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을 확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메모리 영역을 확장단계는, 복수의 운영체제 중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의 선택을 인식하는 단계, 및 제2 메모리 영역에서 사용되지 않는 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제1 메모리 영역에 추가로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서비스를 종료하는 경우에는, 추가로 할당된 제1 메모리 영역 에 포함된 제2 메모리 영역중 적어도 일부가 제2 메모리 영역에 포함되도록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재설정 단계는, 제2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들 중 선택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록된 데이터를 제1 메모리 영역에 백업한 후, 제1 메모리 영역에 포함된 제2 메모리 영역중 적어도 일부가 제2 메모리 영역에 포함되도록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운영체제는, 제1 운영체제 및 제2 운영체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운영체제는 방송수신장치의 기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되고, 제2 운영체제는 방송수신장치에서 제공되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와는 독립된 메모리를 제3 메모리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운영체제 중 어느 하나에서 메모리를 사용하는 경우, 제3 메모리 영역 중 적어도 일부로 메모리의 영역을 확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운영체제 중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의 선택을 인식하는 단계, 및 제3 메모리에서 사용되지 않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제1 메모리 영역에 추가로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서비스를 종료하는 경우에는, 확장된 제1 메모리 영역에 포함된 제3 메모리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제3 메모리 영역에 포함되도록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는, 복수의 운영체제에서 사용하기 위해 설정된 제1 메모리 영역, 및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으로 설정되지 않은 일부인 제2 메모리 영역을 포함하는 저장부; 및 상기 복수의 운영체제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저장부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2 메모리 영역 중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이 확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운영체제 중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선택받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조작부를 통해 서비스가 선택되면, 제2 메모리 영역에서 사용되지 않는 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제1 메모리 영역에 추가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선택된 서비스를 종료하는 경우에는, 추가로 할당된 제1 메모리 영역에 포함된 제2 메모리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제2 메모리 영역에 포함되도록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2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들 중 선택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록된 데이터를 제1 메모리 영역에 백업한 후, 제1 메모리 영역에 포함된 제2 메모리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제2 메모리 영역에 포함되도록 재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운영체제는, 제1 운영체제 및 제2 운영체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운영체제는 방송수신장치의 기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되고, 제2 운영체제는 방송수신장치에서 제공되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와는 독립되며, 제3 메모리 영역으로 설정된 기록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운영체제 중 어느 하나에서 저장부를 사용하는 경우, 제3 메모리 영역 중 적어도 일부로 저장부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운영체제 중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선택 받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조작부를 통해 서비스가 선택되면, 제3 메모리 영역에서 사용되지 않는 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제1 메모리에 추가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선택된 서비스를 종료하는 경우에는, 확장된 제1 메모리 영역에 포함된 제3 메모리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제3 메모리 영역에 포함되도록 재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수신장치의 기본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운영체제와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운영체제를 구분하여 사용함으로써 부가서비스 제공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기본서비스를 계속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장치에서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필요에 따라서는 운영체제를 위해 할당된 메모리 이외의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메모리를 적응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방송수신장치(100)에서 사용되는 운영체제를 제1 운영체제와 제2 운영체제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한다. 여기서, 제1 운영체제는 방송수신장치(100)의 기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운영체제이고, 제2 운영체제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운영체제이다.
그리고, 기본서비스는, 방송수신장치(100)의 본연의 기능인 선국된 채널에 대응되는 방송신호 혹은 선택된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서비스를 나타내고, 부가서비스는 방송수신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인터넷 접속, 게임재생 등의 부가적인 서비스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송수신장치는, 방송수신부(110), 신호분리부(120), A/V 처리부(130), 오디오출력부(140), GUI생성부(150), 디스플레이(160), 저장부(170), 조작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방송 수신부(110)는 방송국 또는 위성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방송을 수신하여 복조한다.
신호분리부(120)는 방송신호를 영상신호, 오디오신호, 부가정보 신호로 분리한다. 그리고, 신호분리부(120)는 영상신호 및 오디오신호를 A/V 처리부(130)로 전 송한다.
A/V 처리부(130)는 방송수신부(110) 및 저장부(170)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 및 오디오신호에 대해 비디오 디코딩, 비디오 스케일링, 오디오 디코딩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A/V 처리부(130)는 영상신호를 GUI 생성부(150)로 출력하고, 오디오신호를 오디오출력부(140)로 출력한다.
반면, 수신된 영상 및 오디오신호를 저장부(170)에 저장하는 경우, A/V 처리부(130)는 영상과 오디오를 압축된 형태로 저장부(170)에 출력하게 된다.
오디오출력부(140)는 A/V 처리부(13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사운드로 변환하여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출력시키거나, 외부 출력단자(미도시)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로 출력한다.
GUI 생성부(150)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생성한다. 그리고, GUI 생성부(150)는 생성된 GUI를 A/V 처리부(130)에서 출력된 영상에 부가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60)는 GUI가 부가된 영상을 표시한다.
저장부(170)는 방송수신장치(100)에서 운영되는 복수의 운영체제의 사용을 위한 제1 메모리 영역과 방송수신장치(100)의 기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2 메모리 영역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메모리 영역은 기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1 운영체제 및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2 운영체제를 사용하기 위해 기설정된 메모리 영역을 나타내고, 제2 메모리 영역은, 기본서비스 제공 시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기설정된 메모리 영역을 나타낸다.
여기서, 기본서비스의 일 예로는, 방송수신장치(100)의 본연의 기능인 방송신호 혹은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서비스를 들 수 있으며, 제2 메모리 영역은 방송신호 또는 영상신호의 디코딩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70)는 하드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조작부(180)는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키버튼, 키패드 등으로 구현되어, 방송수신장치의 사용자 조작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조작부(180)를 통해 방송수신장치(100)에서 기본서비스를 제공할 지 혹은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지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고, 사용자 선택에 대응되는 기본서비스 수행명령 혹은 부가서비스 수행명령을 후술될 제어부(190)로 전송한다.
또한, 조작부(180)를 통해 방송수신장치(100)에서 제공되고 있는 기본서비스 혹은 부가서비스를 종료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고, 선택된 기본서비스 종료명령 혹은 부가서비스 종료명령을 후술될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제어부(190)는 방송수신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조작부(180)로부터 부가서비스 수행명령이 입력되면,제2메모리 영역을 제1메모리 영역으로 사용가능하도록 가상스왑을 설정한다. 즉, 제어부(190)는 제1메모리 영역을 제2메모리 영역까지 확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70)의 전체용량이 510Mbyte이고, 제1 메모리 영역의 전체 용량이 210Mbyte, 제2메모리 영역의 전체 용량이 300Mbyte로 기설정된 경우를 예로 들면, 조작부(180)로부터 부가서비스 수행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90)는 제2메모리 영역을 제1메모리 영역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1메모리 영역의 전체 용량을 510Mbyte로 설정한다. 이때, 제어부(190)는 제2 메모리 영역의 전체 용량이 아닌 일부 용량을 제1메모리 영역으로 이용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제1카운터 및 제2카운터를 이용하여 제1메모리 영역 혹은 제2메모리 영역이 모두 할당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한다. 여기서, 제1 카운터는 운영체제용 메모리인 제1 메모리 영역이 모두 할당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이용되고, 제2 카운터는 장치메모리인 제2 메모리 영역이 모두 할당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때, 제1메모리 영역이 모두 할당되고, 제2메모리 영역에 여유 공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제어부(190)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메모리 공간을 제2메모리 영역에 할당한다. 그리고, 제1메모리 영역 및 제2메모리 영역이 모두 할당된 것으로 인식되면, 제어부(190)는 메모리 부족 메시지가 디스플레이(160)에 표시되도록 GUI생성부(15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1 기준값이 21, 제2 기준값이 30으로 기설정되고, 카운팅 단위가 1000kbyte로 기설정된 경우를 예로 들면, 제어부(190)는 제1메모리 영역이 1000kbyte 단위로 할당될 때마다 제1카운터를 "1" 증가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제1카운터가 기설정된 제1 기준값이 되면, 제1메모리 영역이 모두 할당된 것으로 인식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90)는 제2메모리 영역이 1000kbyte 단위로 할당될 때마 다 제2카운터를 "1" 증가시키고, 제2카운터가 기설정된 제2기준값이 되면, 제2 메모리 영역이 모두 할당된 것으로 인식한다. 그러면,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160)에 메모리 부족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때, 제1카운터 및 제2카운터를 이용하여 제1 메모리 영역이 모두 할당되고, 제2메모리 영역이 모두 할당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면, 제어부(190)는 부가서비스 제공 시 이용되는 데이터를 제2메모리의 영역에 기록한다. 이를 통해, 제어부(190)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메모리 영역을 제2메모리 영역에 할당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90)는 조작부(180)로부터 부가서비스 종료명령이 입력되면, 제2메모리 영역에 설정된 가상스왑을 해제한다. 즉, 제어부(190)는 제2메모리 영역까지 확장된 제1메모리 영역에서 제2메모리 영역을 다시 회수함으로써 제2메모리 영역에 설정된 가상스왑을 해제한다. 이때, 제어부(190)는 가상스왑을 해제하기 이전에 제2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제1메모리 영역에 백업한 후, 제2메모리와의 가상스왑을 해제한다.
구체적으로, 조작부(180)로부터 부가서비스 종료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90)는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해 제2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들을 제1메모리 영역에 백업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데이터 백업이 완료되면, 510Mbyte로 확장된 제1메모리 영역의 전체 용량을 다시 210Mbyte로 설정하고, 300Mbyte는 다시 제2메모리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제2메모리 영역에 설정된 가상스왑을 해제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조작부(180)로부터 기본서비스 수행명령이 입력되면, 기본서비스가 제공되도록 방송수신부(110), 신호분리부(120), A/V처리부(130), 및 GUI 생성부(15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90)는 방송수신장치(100)의 구성요소 각각을 제어하여 방송신호 혹은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 1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에 제2 저장부(175)가 더 부가되고, 본 제1 저장부(170)는 도 1의 저장부(170)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1에서 설명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제 2저장부(175)는 방송수신장치(100)에서 기설정된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제공되는 제어장치(미도시)에 마련된 저장매체로, 제1 저장부(170)와는 물리적으로 독립하여 위치한다. 제2 저장부(175)는 비휘발성 메모리, 혹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CPU에 구비된 메모리를 들 수 있다.
제어부(190)는 조작부(180)로부터 부가서비스 수행명령이 입력되면, 제1 저장부(170)와 제2 저장부(175)를 가상스왑 설정한다. 즉, 제어부(190)는 제1 저장부(170)의 용량을 제2 저장부(175)까지 확장한다. 이때, 제어부(190)는 제1 저장부와 제2 저장부의 일부를 가상스왑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제1카운터, 제2카운터, 및 제3카운터를 이용하여 제1저장부(170)와 제2 저장부(175)가 모두 할당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한다. 이때, 제1저장부(170)가 모두 할당되고, 제2 저장부(170)가 모두 할당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면, 제어부(190)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메모리 공간을 제2 저장 부(175)에 할당한다.
구체적으로, 제1카운터 및 제2카운터를 이용하여 제1메모리 영역 및 제2메모리 영역이 모두 할당되고, 제3카운터를 이용하여 제2 저장부(170)에 여유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면, 제어부(190)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메모리 영역을 제2 저장부(175)에 할당한다. 즉, 제어부(190)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되는 데이터를 제2 저장부(175)에 기록한다.
그리고, 제1 저장부(170) 및 제2 저장부(175)가 모두 할당된 것으로 인식되면, 제어부(190)는 메모리 부족 메시지가 디스플레이(160)에 표시되도록 GUI생성부(150)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90)에서 제1 내지 제3 카운터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저장부(170)가 모두 할당됐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카운터를 이용하여 제1 메모리 영역 및 제2 메모리 영역이 모두 할당됐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조작부(180)로부터 부가서비스 종료명령이 입력되면, 제2 저장부(175)에 설정된 가상스왑을 해제한다. 제어부(190)에서 제2 저장부(175)와의 가상스왑을 해제하는 동작은 제2메모리 영역에 설정된 가상스왑 설정을 해제하는 동작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먼저, 부가서비스 수행명령이 수신되면(S310:Y), 제어부(190)는 제2메모리와 가상스왑을 설정한다(S320). 여기서, 부가가서비스는 방송수신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인터넷 접속, 게임재생 등의 부가적인 서비스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조작부(180)의 사용자 조작을 통해 부가서비스 수행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190)는 제1메모리 영역의 용량을 제2메모리 영역의 용량까지 확장하는 가상스왑을 설정한다. 즉, 저장부(170)의 전체용량이 510Mbyte이고, 제1메모리 영역의 전체 용량이 210Mbyte, 제2메모리 영역의 전체 용량이 300Mbyte로 기설정된 경우를 예로 들면, 제어부(190)는 제1메모리 영역의 전체 용량을 510Mbyte로 설정한다.
이어, 제어부(190)는 제1메모리 영역이 모두 할당됐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330).
구체적으로, 제1 기준값이 21, 제2 기준값이 30으로 기설정되고, 카운팅 단위가 1000kbyte로 기설정된 경우를 예로 들면, 제어부(190)는 제1메모리 영역이 1000kbyte 단위로 할당될 때마다 운영체제 카운터를 "1" 증가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제1카운터가 기설정된 제1 기준값이 되면, 제1메모리 영역이 모두 할당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때, 검사결과, 제1메모리 영역이 모두 할당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면(S330:N), 제어부(190)는 제1메모리 영역을 할당하여 부가서비스를 제공한다(S335). 즉, 제어부(190)는 부가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데이터를 할당된 제1메모리 영역에 기록한다.
그리고, 검사결과, 제1메모리 영역이 모두 할당된 것으로 인식되면(S330:Y), 제어부(190)는 제2메모리 영역이 모두 할당됐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340).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제2메모리 영역이 1000kbyte 단위로 할당될 때마다 제2카운터를 "1" 증가시키고, 제2카운터가 기설정된 제2 기준값이 되면, 제2메모리 영역이 모두 할당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때, 제2메모리 영역이 모두 할당된 것으로 인식되면(S340:Y), 제어부(190)는 메모리 부족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한다(S345).
그리고, 제2메모리 영역이 모두 할당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면(S340:N), 제어부(190)는 제2메모리 영역을 할당하여 부가서비스를 제공한다(S350). 즉, 제어부(190)는 부가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데이터를 할당된 제2메모리 영역에 기록한다.
이어, 부가서비스 종료명령이 수신되면(S355:Y), 제어부(190)는 제2메모리와의 가상스왑을 해제한다(S360). 즉, 제어부(190)는 S320단계에서 제1 메모리 영역에 포함된 제2 메모리 영역을 제1 메모리 영역으로부터 분리하여 다시 제2 메모리 영역에 포함되도록 재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조작부(180)로부터 부가서비스 종료명령이 입력되면, S350단계에서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해 제2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들을 제1메모리 영역에 백업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데이터 백업이 완료되면, 510Mbyte로 확장된 제1메모리 영역의 전체 용량을 다시 210Mbyte로 설정하고, 300Mbyte는 다시 제2메모리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S320단계에서 제2메모리 영역에 설정된 가상스왑을 해제한다.
그리고, 제2메모리 영역에 설정된 가상스왑을 해제한 이후에, 제어부(190)는 부가서비스를 종료한다(S370).
한편, S310단계에서, 부가서비스가 아닌(S310:N), 기본서비스 수행명령이 수신되면(S380:Y), 제어부(190)는 방송수신장치(100)의 구성요소 각각을 제어하여 방송신호 혹은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한다(S385). 여기서, 기본 서비스는, 방송수신장치(100)의 본연의 기능인 선국된 채널에 대응되는 방송신호 혹은 선택된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서비스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먼저,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310단계 내지 S330단계까지의 동작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S340단계에서 제2메모리 영역이 모두 할당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된 경우(S410:N)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동작은 S340:N단계 내지 S370단계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의 실시예와 상이한 동작을 수행하는 S340:Y단계 이후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S340단계에서 제2메모리 영역이 모두 할당된 것으로 인식되면(S410:Y), 제어부(190)는 제3메모리와의 가상스왑을 설정한다(S420). 즉, 제어부(190)는 제1 저장부(170)의 용량을 제2 저장부(175)의 용량까지 확장한다. 여기서, 제2 저장부(175)의 메모리 영역 중 일부 혹은 전체가 제3 메모리로 기설정된다.
구체적으로, 제1 저장부(170)의 전체용량이 510Mbyte이고, 제2 저장부(175)의 전체용량이 200Mbyte이고, 200Mbyte 전체를 제3메모리 영역으로 기설정된 경우 를 예로들면, 제어부(190)는 제1 저장부(170)의 전체용량을 710Mbyte로 설정하여 제3 메모리와의 가상스왑을 설정한다.
이어, 제어부(190)는 제3 메모리의 영역이 모두 할당됐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430).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제3 메모리의 영역이 1000kbyte 단위로 할당될 때마다 제3카운터를 "1" 증가시키고, 제3카운터가 기설정된 제3기준값이 되면, 제3메모리 영역이 모두 할당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때, 제3메모리 영역이 모두 할당된 것으로 인식되면(S430:Y), 제어부(190)는 메모리 부족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한다(S435).
그리고, 제3메모리 영역이 모두 할당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면(S430:N), 제어부(190)는 제3메모리 영역을 할당하여 부가서비스를 제공한다(S440). 즉, 제어부(190)는 부가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데이터를 할당된 제3 메모리 영역에 기록한다.
이어, 부가서비스 종료명령이 수신되면(S450:Y), 제어부(190)는 제3메모리와의 가상스왑을 해제한다(S460). 즉, 제어부(190)는 S420단계에서 제1 저장부에 포함된 제3 메모리 영역을 제1저장부로부터 분리하여 다시 제3 메모리 영역에 포함되도록 재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조작부(180)로부터 부가서비스 종료명령이 입력되면, S440단계에서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해 제3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들을 제1저장부(170)에 백업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데이터 백업이 완료되면, 710Mbyte로 확장된 제1저장부(170)의 전체 용량을 다시 510Mbyte로 설정하고, 200Mbyte는 다시 제3 메모리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S420단계에서 제3메모리 영역에 설정된 가상스왑을 해제한다.
그리고, 제3메모리 영역에 설정된 가상스왑을 해제한 이후에, 제어부(190)는 부가서비스를 종료한다(S47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에서는, 가상스왑을 해제한 이후에, 제어부(180)는 제2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가 모두 삭제되도록 제2메모리 영역을 초기화할 수 있다.
또한, 부가서비스를 종료한 이후에 기본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해 제2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 위에 덮어써서 기본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카운팅 단위를 kbyte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카운팅 단위로는 byte, page 단위가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1운영체제 및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2 운영체제가 사용되는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방송수신장치에서는 기본서비스 및 복수의 부가서비스가 제공되도록 3개 이상의 운영체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190)에서 제1 저장부(170)와 제3메모리 영역 간의 가상스왑을 설정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 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제어부(190)는 제1 저장부(170)의 일부 영역과 제3 메모리 영역 간의 가상스왑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90)는 제1메모리 영역과 제3메모리 영역 간의 가상스왑, 혹은 제2메모리 영역과 제3 메모리 영역 간의 가상스왑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 저장부(175)의 전체 용량이 제3 메모리로 기설정하는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제2 저장부(175)의 일부가 제3 메모리로 기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90)는 제1 저장부(170)와 제2 저장부(175)의 일부를 가상스왑 설정할 수 있으며, 제1 저장부(170)의 일부와 제2 저장부(175)의 일부를 가상스왑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제1 메모리 영역에 포함된 제2 메모리 영역의 일부를 제1 메모리 영역에서 분리하여 제2 메모리 영역에 포함되도록 재설정하고, 제1 저장부(170)에 포함된 제3 메모리 영역의 일부를 제1저장부(170)에서 분리하여 제2저장부(170)에 포함되도록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방송수신장치 110 : 방송수신부
120 : 신호분리부 130 : A/V 처리부
140 : 오디오 출력부 150 : GUI 생성부
160 : 디스플레이 170 : 저장부
180 : 조작부 190 : 제어부

Claims (19)

  1. 메모리 중 일부를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운영체제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1 메모리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 중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으로 설정되지 않은 일부를 제2 메모리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제2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부가서비스의 선택을 인식하면, 상기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2 메모리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에 포함되도록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을 확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을 확장단계는,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에서 사용되지 않는 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에 추가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관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부가서비스를 종료하는 경우에는, 상기 추가로 할당된 제1 메모리 영역에 포함된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에 포함되도록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관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들 중 상기 선택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에 백업한 후, 제1 메모리 영역에 포함된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에 포함되도록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관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운영체제는 방송수신장치에서 제공되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관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제1 메모리이고,
    상기 제1 메모리와는 독립된 제2 메모리를 제3 메모리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관리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운영체제 또는 제3 운영체제에서 상기 제1 메모리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3 메모리 영역 중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제1 메모리의 영역을 확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관리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운영체제 또는 제3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부가서비스의 선택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메모리에서 사용되지 않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에 추가로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관리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부가서비스를 종료하는 경우에는, 상기 확장된 제1 메모리 영역에 포함된 상기 제3 메모리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3 메모리 영역에 포함되도록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관리방법.
  10.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운영체제에서 사용하기 위해 설정된 제1 메모리 영역, 및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으로 설정되지 않은 일부인 제2 메모리 영역을 포함하는 저장부; 및
    제2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부가서비스의 선택을 인식하면, 상기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2 메모리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에 포함시켜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이 확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부가서비스를 선택받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상기 부가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에서 사용되지 않는 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에 추가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부가서비스를 종료하는 경우에는, 상기 추가로 할당된 제1 메모리 영역에 포함된 상기 제2 메모리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에 포함되도록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들 중 상기 선택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에 백업한 후, 제1 메모리 영역에 포함된 상기 제2 메모리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에 포함되도록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운영체제는 상기 방송수신장치에서 제공되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와는 독립되며, 제3 메모리 영역으로 설정된 기록매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운영체제 또는 제3 운영체제에서 상기 저장부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3 메모리 영역 중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저장부를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운영체제 또는 제3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부가서비스를 선택 받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상기 부가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제3 메모리 영역에서 사용되지 않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에 추가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부가서비스를 종료하는 경우에는, 상기 확장된 제1 메모리 영역에 포함된 상기 제3 메모리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3 메모리 영역에 포함되도록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9.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운영체제의 사용을 위해 설정된 제1 메모리 영역 및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으로 설정되지 않은 일부인 제2 메모리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저장부;
    상기 제1 저장부와 독립하여 위치하는 제2 저장부; 및
    제2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부가서비스의 선택을 인식하면, 상기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2 저장부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에 포함시켜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이 확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송수신장치.
KR1020090056024A 2009-06-23 2009-06-23 방송수신장치 및 그의 메모리 관리방법 KR101627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024A KR101627273B1 (ko) 2009-06-23 2009-06-23 방송수신장치 및 그의 메모리 관리방법
US12/640,057 US8806167B2 (en) 2009-06-23 2009-12-17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emory thereof
EP10157425A EP2270667A1 (en) 2009-06-23 2010-03-23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emory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024A KR101627273B1 (ko) 2009-06-23 2009-06-23 방송수신장치 및 그의 메모리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803A KR20100137803A (ko) 2010-12-31
KR101627273B1 true KR101627273B1 (ko) 2016-06-07

Family

ID=42854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024A KR101627273B1 (ko) 2009-06-23 2009-06-23 방송수신장치 및 그의 메모리 관리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06167B2 (ko)
EP (1) EP2270667A1 (ko)
KR (1) KR1016272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687B1 (ko) * 2011-01-13 2018-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표시 기기
KR102281839B1 (ko) * 2014-05-08 2021-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제공장치
US10555028B2 (en) 2014-05-08 2020-02-04 Lg Electronics Inc. Image providing device
CN104331337B (zh) * 2014-11-25 2018-07-2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系统内存管理方法、系统内存管理装置和终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4484A1 (en) * 2001-05-31 2002-12-05 Akram Abboud Automatic appliance server re-provision/re-purposing method
US20090125699A1 (en) 2007-11-12 2009-05-14 Duncan Beadnell Adjustment of Data Storage Capacity Provided by a Storag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7619B2 (en) * 2000-04-26 2010-01-12 Sony Corporation Scalable filtering table
US7822938B2 (en) * 2004-10-20 2010-10-2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garbage collection based on unmanaged memory allocations
JP2008033392A (ja) * 2006-07-26 2008-02-14 Nec Corp 仮想計算機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方法
US7685396B2 (en) * 2007-03-05 2010-03-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memory allocation
KR101355193B1 (ko) * 2007-12-11 2014-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시간 임베디드 시스템의 메모리 관리 장치 및 메모리할당/해제/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4484A1 (en) * 2001-05-31 2002-12-05 Akram Abboud Automatic appliance server re-provision/re-purposing method
US20090125699A1 (en) 2007-11-12 2009-05-14 Duncan Beadnell Adjustment of Data Storage Capacity Provided by a Storag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803A (ko) 2010-12-31
EP2270667A1 (en) 2011-01-05
US20100325369A1 (en) 2010-12-23
US8806167B2 (en) 201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56112C (zh) 数据管理方法
JP4054479B2 (ja) 携帯視聴システム
JP5662308B2 (ja) 信号喪失をマスキング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CN101018322B (zh) 使用电视信道处理家庭网络中的内容的方法和设备
KR101627273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의 메모리 관리방법
CN104239151A (zh) 一种资源管理方法及系统
KR20080057972A (ko) 프리뷰 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인코딩/디코딩 방법및 장치
JP2006012225A (ja) 情報処理装置
US98073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content
KR101719563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의 메모리 관리방법
EP1953757A1 (en) Digital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memory formatting, a method of memory formatting,digital electronic device having a function of storing and method for storing thereof
JP5506250B2 (ja) ストリーム復号装置及びストリーム復号方法
US718535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as well as recording medium
JP2008278101A (ja) 録画制御装置および録画制御方法
JP2005309606A (ja) データ処理回路およびストリームデータ受信転送方法
KR100684006B1 (ko) 녹화 재생 장치와 컴퓨터 상호간의 데이터 통신 장치 및방법
EP2309373B1 (en) Video recorder and recording setting method
JP2009212610A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方法
JP2003152577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200502265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entry points in a data stream
JP2008182407A (ja) 伝送システム、情報機器、情報伝送方法及び情報伝送プログラム
CN101014109A (zh) 图像处理设备和图像处理方法
US8386703B2 (en) Control system for storage means
JP2021082899A (ja) 受信装置、圧縮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70036315A (ko) 녹화 재생 장치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 백업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