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141B1 -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 - Google Patents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141B1
KR101627141B1 KR1020140140072A KR20140140072A KR101627141B1 KR 101627141 B1 KR101627141 B1 KR 101627141B1 KR 1020140140072 A KR1020140140072 A KR 1020140140072A KR 20140140072 A KR20140140072 A KR 20140140072A KR 101627141 B1 KR101627141 B1 KR 101627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jig
flange
pipe
pipe sub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4943A (ko
Inventor
장혁준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0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141B1/ko
Publication of KR20160044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7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moving work to adjust its position betwee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nding Axle, Rod, Or Tube Structures Coupled By Welding, Adhesion, Or Deposition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로서, 복수의 지그 모듈; 및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가 고정되도록 메인 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 주위를 둘러싸는 링 형상의 결합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베이스 부재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지그 모듈은 상기 관통공에 각각 결합되는 구성을 마련함으로써, 임시부착물의 가용접과정 없이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가 메인 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에 고정되는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하부와 메인 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 사이의 신속한 가용접 처리가 가능해지고 공정관리가 쉬워진다.

Description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Jig for Tack Welding of a Pipe Sub Assembly}
본 발명은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임시부착물의 가용접과정 없이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가 메인 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에 고정되는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를 메인 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에 용접하기 위해서는, 먼저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가 메인 파이프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를 설계된 높이로 고정해야 한다.
이와 같이,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와 같은 분기관을 메인 파이프에 용접할 수 있도록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기술의 일 예로서, 하기의 특허문헌 1에서는 '분기관 용접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30961호(공고일자 2005년 11월 24일)
특허문헌 1은 주관부재와 분지관부재의 안정된 협지를 통해 정밀도 높은 제품의 생산이 가능하고, 생산공정상에서는 이들의 공급 및 배출과 용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생산성이 향상되며, 냉각시간의 확보로 안정된 품질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 분기관 용접장치를 제안하나, 주관부재와 분지관부재가 프레임 구조체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지그 상에 협지 고정되는바 대구경의 주관부재 및 분지관부재는 특허문헌 1의 분기관 용접장치를 이용하여 협지 고정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원자력 발전소의 각종 배관에 사용되는 메인 파이프의 일측에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를 용접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하부 양측에 임시 부착물을 가용접한다. 이때,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하부 양측에 기용접되는 임시 부착물은, 그 하면으로부터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상면까지의 거리가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가 메인 파이프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계된 높이와 같아지게 가용접된다.
그리고, 임시 부착물이 메인 파이프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하부를 메인 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시킨다.
그 후,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하부와 메인 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 사이를 가용접한다.
그 다음에,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 하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임시 부착물을 제거한 후,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하부와 메인 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 사이를 본용접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하부 양측에 임시 부착물을 가용접해야 하고, 임시 부착물의 하면으로부터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상면까지의 거리가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가 메인 파이프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계된 높이와 같아지게 가용접하는 것이 어려우며, 임시 부착물 제거시에는 제거부에 마킹을 실시한 후 그라인딩 해야하고, 특히, 원자력 발전소용 부품들은 용접시마다 비파괴검사를 해야 하는바 절차가 복잡해지고 공정 관리가 어려워지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임시부착물의 가용접과정 없이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가 메인 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에 고정되는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로서, 복수의 지그 모듈; 및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가 고정되도록 메인 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 주위를 둘러싸는 링 형상의 결합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베이스 부재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지그 모듈은 상기 관통공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지그 모듈 각각은, 상기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플랜지부를 지지하는 플랜지 지지부; 및 상기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가 상기 메인 파이프에 고정되는 높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그 모듈의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외측에 제 1 볼트구멍이 형성되고 내측에 제 2 볼트구멍이 형성된 볼트 연결판; 상기 제 2 볼트구멍에 끼워지는 제 2 볼트; 상기 볼트 연결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볼트 연결판의 하부에서 상기 제 2 볼트에 체결되는 제 2 너트; 및 상기 제 1 볼트구멍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제 1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 모듈의 상기 플랜지 지지부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플랜지 지지 브라켓; 상기 플랜지 지지 브라켓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플랜지 지지 브라켓의 하측에 관통된 상기 제 1 볼트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플랜지 지지대; 및 상기 플랜지 지지 브라켓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플랜지 지지 브라켓의 하부에서 상기 제 1 볼트에 체결되는 제 1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지그 모듈은, 상기 제 2 볼트의 일측이 상기 결합 베이스 부재의 상기 관통공에 각각 관통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그 모듈의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상기 제 2 볼트구멍에 끼워진 상기 제 2 볼트의 헤드와 상기 볼트 연결판 사이에서 상기 제 2 볼트에 체결되는 로크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 지지부의 상기 플랜지 지지 브라켓이 상기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상기 플랜지부와 접촉되는 면에는 브라켓 패드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 지지부의 상기 플랜지 지지대가 상기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상기 플랜지부와 접촉되는 면에는 지지대 패드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지그 모듈 각각은, 상기 메인 파이프의 상기 개구부 주위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 2 볼트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접촉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에 의하면, 임시부착물의 가용접과정 없이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가 메인 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에 고정되는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하부와 메인 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 사이의 신속한 가용접 처리가 가능해지고 공정관리가 쉬워지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에 사용된 지그 모듈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에 사용된 결합 베이스 부재가 메인 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 주위에 놓여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를 이용하여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종래의 방법에 따라 메인 파이프의 일측에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를 용접하는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1)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에 사용된 지그 모듈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에 사용된 결합 베이스 부재가 메인 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 주위에 놓여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를 이용하여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메인 파이프(1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11)에 가용접되는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를 설계된 높이로 고정하며,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가 메인 파이프(1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11)에 고정되는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1)는, 복수의 지그 모듈(30); 및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가 고정되도록 메인 파이프(1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11) 주위를 둘러싸는 링 형상의 결합 베이스 부재(40);를 포함한다.
복수의 지그 모듈(30) 각각은, 하단부가 메인 파이프(1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11)에 삽입된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의 플랜지부(21)를 지지하여,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가 메인 파이프(10)의 측면으로부터 설계된 높이로 돌출되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의 플랜지부(21)를 지지하는 플랜지 지지부(310); 및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가 메인 파이프(10)에 고정되는 높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320);를 포함한다.
높낮이 조절부(320)는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가 메인 파이프(10)에 고정되는 높이를 조절하는 부분으로서, 외측에 제 1 볼트구멍(321a)이 형성되고 내측에 제 2 볼트구멍(321b)이 형성된 볼트 연결판(321); 제 2 볼트구멍(321b)에 끼워지는 제 2 볼트(325); 볼트 연결판(321)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볼트 연결판(321)의 하부에서 상기 제 2 볼트(325)에 체결되는 제 2 너트(326); 및 제 1 볼트구멍(321a)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제 1 볼트(322);를 포함한다.
볼트 연결판(321)은 제 1 볼트(322) 및 제 2 볼트(325)가 결합되는 부재로서,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에 인접한 내측(도 1의 좌측)에는 제 2 볼트구멍(321b)이 형성되고, 외측(도 1의 우측)에는 제 1 볼트구멍(321a)이 형성된다.
제 1 볼트(322)는 볼트 연결판(321)의 제 1 볼트구멍(321a)에 하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제 1 볼트구멍(321a)의 내측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게 된다.
이때, 제 1 볼트(322)의 헤드는 볼트 연결판(321)의 하부에 매몰되어 돌출되지 않도록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볼트(325)는 볼트 연결판(321)의 제 2 볼트구멍(321b)에 끼워진다. 이때, 제 2 볼트구멍(321b)의 내측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바, 제 2 볼트구멍(321b)에 끼워진 제 2 볼트(325)는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제 2 너트(326)는 볼트 연결판(321)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볼트 연결판(321)의 하부에서 제 2 볼트(325)에 체결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볼트 연결판(321) 하부에서 제 2 너트(326)를 회전시켜 볼트 연결판(321)이 메인 파이프(1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추가적으로, 제 2 볼트(325)의 헤드와 볼트 연결판(321) 사이에는, 로크너트(327)가 제 2 볼트(325)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제 2 너트(326)를 회전시켜 볼트 연결판(321)이 메인 파이프(1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한 후, 볼트 연결판(321)의 상면에 압착력이 가해지도록 로크너트(327)를 회전시키면, 볼트 연결판(321)에 대한 제 2 볼트(325)의 상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볼트(325)가 끼워지는 제 2 볼트구멍(321b)의 내측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볼트 연결판(321)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제 2 볼트(325)를 회전시켜서 제 2 볼트(325)가 볼트 연결판(321)의 하부로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를 조절해야 한다.
그 후, 작업자가 볼트 연결판(321)의 하면에 압착력이 가해지도록 제 2 너트(326)를 회전시키면, 제 2 볼트(325)가 의도하지 않게 회전되어 볼트 연결판(321)의 높낮이가 임의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 2 너트(326)는 일종의 로크너트의 기능을 하게 된다.
플랜지 지지부(310)는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의 플랜지부(21)를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며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의 하측에 관통된 제 1 볼트(322)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플랜지 지지대(312); 및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의 하부에서 제 1 볼트(322)에 체결되는 제 1 너트(323);를 포함한다.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은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의 플랜지부(21)를 둘러싸는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의 하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높낮이 조절부(320)의 제 1 볼트(322)의 일측(상측)이 관통된다. 이때, 관통공의 내측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바,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은 제 1 볼트(322)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의 내측 하부에는 플랜지 지지대(312)가 배치된다.
플랜지 지지대(312)는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의 내측 하부에서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의 플랜지부(21)의 하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며,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의 하측에 관통된 제 1 볼트(322)의 일단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이 제 1 볼트(322)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 상측의 하면과 플랜지 지지대(312)의 상면 사이의 간격도 변화되게 된다.
제 1 너트(323)는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의 하부에서 제 1 볼트(322)에 체결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의 하부에서 제 1 너트(323)를 회전시켜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 하측의 하면이 볼트 연결판(32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 상측의 하면과 플랜지 지지대(312)의 상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결합 베이스 부재(40)는 복수의 지그 모듈(30)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결합되는 부재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파이프(1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11) 주위를 둘러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링 형상의 결합 베이스 부재(40) 내부의 개구부의 직경은 메인 파이프(10)의 개구부(11)의 직경보다 조금 크게 형성된다.
도 2의 평면도에서 결합 베이스 부재(40)는 원형으로 도시되나, 결합 베이스 부재(40)는 평면상의 링 형상이 아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파이프(1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11) 주위에 밀착될 수 있도록, 측면에서 볼 때에 물결 형상을 이루면서 높낮이가 변화되는 링 형상을 갖는다.
결합 베이스 부재(40)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파이프(1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11)의 직경 변화가 크지 않은 경우는, 다른 크기를 갖는 별도의 결합 베이스 부재(40)를 사용하지 않고 동일한 결합 베이스 부재(40)를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을 갖게 된다.
결합 베이스 부재(40)에는 원주를 따라 적어도 3개 이상의 관통공(41)이 형성되며, 복수의 지그 모듈(30)이 결합 베이스 부재(40)의 관통공(41)에 각각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1)를 구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1)를 이용하여 메인 파이프(1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11)에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를 설계된 높이로 용접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메인 파이프(10)의 개구부(11) 주위를 둘러싸도록, 결합 베이스 부재(40)를 메인 파이프(10)의 외측면에 배치한다.
이때, 결합 베이스 부재(40)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소재로 제조되는바 메인 파이프(10)의 외측면과 충분한 마찰력을 갖게 되므로,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 후, 메인 파이프(10)의 개구부(11)에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의 하부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복수의 지그 모듈(30)의 제 2 볼트(325)의 일측(하측)을 결합 베이스 부재(40)의 관통공(41)에 각각 관통시켜 결합시킨다.
이때, 결합 베이스 부재(40)의 관통공(41)에 관통된 제 2 볼트(325)의 일단부(하단부)는 메인 파이프(10)의 개구부(11) 주위의 외측면에 접촉되게 된다.
이러한 접촉에 의해 메인 파이프(10)의 개구부(11) 주위의 외측면에 손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메인 파이프(10)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제 2 볼트(325)의 일단부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2 볼트(325)의 일단부에는 접촉 지지부재(329)가 고정될 수 있다.
접촉 지지부재(329)는 고무 등과 같이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 탄성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의 내부에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의 플랜지부(21)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 하부의 제 1 너트(323)를 회전시켜서,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 하측의 하면이 볼트 연결판(32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와,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 상측의 하면과 플랜지 지지대(312)의 상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때,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의 플랜지부(21)가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 상측의 하면과 플랜지 지지대(312)의 상면 사이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플랜지부(21)에 손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이 플랜지부(21)와 접촉되는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 상측의 하면에는 브라켓 패드(311a)가 고정될 수 있고, 플랜지 지지대(312)가 플랜지부(21)와 접촉되는 플랜지 지지대(312)의 상면에는 지지대 패드(312a)가 고정될 수 있다.
브라켓 패드(311a)와 지지대 패드(312a)는 고무 등과 같이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 탄성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볼트 연결판(321) 하부에서 제 2 너트(326)를 회전시켜 볼트 연결판(321)이 메인 파이프(1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한다.
이러한 과정 중에, 작업자는 메인 파이프(10)의 측면으로부터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 상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면서 제 2 너트(326)를 회전시켜,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가 메인 파이프(10)의 측면으로부터 설계된 높이로 돌출되도록 조절한다.
지그 모듈(30)의 높이 조절이 완료되면, 볼트 연결판(321)의 상면에 압착력이 가해지도록 로크너트(327)를 회전시켜서 볼트 연결판(321)에 대한 제 2 볼트(325)의 상하 위치를 고정시킨다(제 1 실시예의 경우).
또는, 볼트 연결판(321)의 하면에 압착력이 가해지도록 제 2 너트(326)를 회전시켜서 볼트 연결판(321)에 대한 제 2 볼트(325)의 상하 위치를 고정시킨다(제 2 실시예의 경우).
따라서, 제 2 볼트(325)가 의도하지 않게 회전되어 볼트 연결판(321)의 높낮이 및 지그 모듈(30)의 높낮이가 임의로 변경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복수의 지그 모듈(30) 모두에 대한 높낮이가 조절되어 고정되면,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는 메인 파이프(10)의 측면으로부터 설계된 높이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의 하부와 메인 파이프(1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11) 사이를 가용접하여,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를 메인 파이프(10)의 개구부(11)에 고정한다.
이때, 링 형상의 결합 베이스 부재(40) 내부의 개구부의 직경이 메인 파이프(10)의 개구부(11)의 직경보다 큰바,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의 하부 및 메인 파이프(10)의 개구부(11)가 만나는 부분과 결합 베이스 부재(40)의 내측부 사이에는 충분한 간격이 존재하므로, 이러한 간격 내에서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의 하부와 메인 파이프(10)의 개구부(11) 사이를 가용접할 수 있다.
가용접에 의한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의 고정이 완료되면, 지그 모듈(30)의 제 1 너트(323) 및 제 2 너트(326)를 풀어서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 주위로부터 복수의 지그 모듈(30)을 분리시킨 후, 결합 베이스 부재(40)를 절단하여 메인 파이프(10)의 외측면으로부터 제거한다.
이제, 가용접에 의해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가 메인 파이프(10)의 개구부(11)에 고정된 상태에서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의 하부와 메인 파이프(1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11) 사이를 본용접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는, 임시부착물의 가용접과정 없이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가 메인 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에 고정되는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하부와 메인 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 사이의 신속한 가용접 처리가 가능해지고 공정관리가 쉬워지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
10: 메인 파이프 11: 개구부
20: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 21: 플랜지부
30: 지그 모듈
310: 플랜지 지지부
311: 플랜지 지지 브라켓 311a: 브라켓 패드
312: 플랜지 지지대 312a: 지지대 패드
320: 높낮이 조절부 321: 볼트 연결판
321a: 제 1 볼트구멍 321b: 제 2 볼트구멍
322: 제 1 볼트 323: 제 1 너트
325: 제 2 볼트 326: 제 2 너트
327: 로크너트 329: 접촉 지지부재
40: 결합 베이스 부재 41: 관통공

Claims (7)

  1.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가 메인 파이프(10)의 측면으로부터 설계된 높이로 돌출 고정되도록 상기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의 플랜지(21)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그 모듈(30); 및
    상기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가 고정되도록 메인 파이프(1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11) 주위를 둘러싸면서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 소재의 높낮이가 변화되는 링 형상의 결합 베이스 부재(40);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베이스 부재(40)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관통공(41)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지그 모듈(30)은 상기 관통공(41)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그 모듈(30) 각각은,
    상기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의 플랜지부(21)를 지지하는 플랜지 지지부(310); 및
    상기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가 상기 메인 파이프(10)에 고정되는 높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
  3.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가 메인 파이프(10)의 측면으로부터 설계된 높이로 돌출 고정되도록 상기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의 플랜지(21)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그 모듈(30); 및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가 고정되도록 메인 파이프(1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11) 주위를 둘러싸면서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 소재의 높낮이가 변화되는 링 형상의 결합 베이스 부재(40);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베이스 부재(40)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관통공(41)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지그 모듈(30)은 상기 관통공(41)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복수의 지그 모듈(30) 각각은, 상기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의 플랜지부(21)를 지지하는 플랜지 지지부(310); 및 상기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가 상기 메인 파이프(10)에 고정되는 높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지그 모듈(30)의 상기 높낮이 조절부(320)는, 외측에 제 1 볼트구멍(321a)이 형성되고 내측에 제 2 볼트구멍(321b)이 형성된 볼트 연결판(321); 상기 제 2 볼트구멍(321b)에 끼워지는 제 2 볼트(325); 상기 볼트 연결판(321)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볼트 연결판(321)의 하부에서 상기 제 2 볼트(325)에 체결되는 제 2 너트(326); 및 상기 제 1 볼트구멍(321a)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제 1 볼트(322);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 모듈(30)의 상기 플랜지 지지부(310)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 상기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의 하측에 관통된 상기 제 1 볼트(322)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플랜지 지지대(312); 및 상기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의 하부에서 상기 제 1 볼트(322)에 체결되는 제 1 너트(323);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지그 모듈(30)은, 상기 제 2 볼트(325)의 일측이 상기 결합 베이스 부재(40)의 상기 관통공(41)에 각각 관통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모듈(30)의 상기 높낮이 조절부(320)는,
    상기 제 2 볼트구멍(321b)에 끼워진 상기 제 2 볼트(325)의 헤드와 상기 볼트 연결판(321) 사이에서 상기 제 2 볼트(325)에 체결되는 로크너트(32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지지부(310)의 상기 플랜지 지지 브라켓(311)이 상기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의 상기 플랜지부(21)와 접촉되는 면에는 브라켓 패드(311a)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지지부(310)의 상기 플랜지 지지대(312)가 상기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20)의 상기 플랜지부(21)와 접촉되는 면에는 지지대 패드(312a)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
  7. 제3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그 모듈(30) 각각은,
    상기 메인 파이프(10)의 상기 개구부(11) 주위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 2 볼트(325)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접촉 지지부재(32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
KR1020140140072A 2014-10-16 2014-10-16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 KR101627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072A KR101627141B1 (ko) 2014-10-16 2014-10-16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072A KR101627141B1 (ko) 2014-10-16 2014-10-16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943A KR20160044943A (ko) 2016-04-26
KR101627141B1 true KR101627141B1 (ko) 2016-06-03

Family

ID=55919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072A KR101627141B1 (ko) 2014-10-16 2014-10-16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1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0295A (ja) * 2001-12-05 2003-06-17 Suzukiisamu Shoten:Kk 形鋼等におけるスリーブ管の位置決め装置とその位置決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8075B2 (ja) * 1993-01-06 2003-08-18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磁気テ−プおよびこの磁気テ−プを巻回した磁気テ−プ巻回体並びにこの磁気テ−プ巻回体を装着した磁気テ−プカ−トリッジ
JPH08174282A (ja) * 1994-12-27 1996-07-09 Nittetsu Boshoku Kk 鋼管へのフランジ仮付け溶接装置
KR100530961B1 (ko) 2005-03-29 2005-11-24 청구정밀공업(주) 분기관 용접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0295A (ja) * 2001-12-05 2003-06-17 Suzukiisamu Shoten:Kk 形鋼等におけるスリーブ管の位置決め装置とその位置決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943A (ko) 201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3845B2 (ja) 仕口用溶接支持台
KR20090039416A (ko) 파이프 취부장치
KR101301288B1 (ko) 수평형 가공물고정장치
US20160096246A1 (en) Manufacturing fixture
JP2013119104A (ja) 垂直支持用取付具及びフランジの取付け工法
JP2018122351A (ja) 固定治具、鋼材保持装置、及び鋼材保持方法
US20150084254A1 (en) Aligning Fixture for Box Welding
US20160279723A1 (en) Workpiece fixing jig used in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e
KR101627141B1 (ko) 파이프 서브 어셈블리의 가용접용 지그
KR101708046B1 (ko) 파이프 용접물 고정장치
US6921457B2 (e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positioning jig used for same
CN102818669A (zh) 纽扣拉力的测试装置及测试方法
CN207408089U (zh) 航空发动机叶轮叶盘测试的工装夹具及测试系统
CN211916139U (zh) 一种内球面加工工装
KR20140003772U (ko) 단차 조정 장치
CN109900305B (zh) 一种微波组件固定测试工装
CN217571989U (zh) 一种汽车配件生产定位工装
KR20120055963A (ko) 갑판의 안전 가드용 소켓 구조체 용접 지그 장치
CN204954213U (zh) 一种用于碳化硅薄片的激光切割夹具
JP2010120028A (ja) プレス素材の位置決めゲージ
KR20130141130A (ko) 대형엔진 조립용 위치설정 가이드 장치
KR20130081759A (ko) 다수의 초음파 탐촉자 고정장치
JP2013146744A (ja) ナット溶接治具
KR20130001927U (ko) 링플랜지 용접용 지그장치
KR101793058B1 (ko) 자동 정렬과 고정 기능을 겸비하는 간섭이 제거된 공작물용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