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831B1 - 통화중 가입자로의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비들 - Google Patents

통화중 가입자로의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비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831B1
KR101625831B1 KR1020107027272A KR20107027272A KR101625831B1 KR 101625831 B1 KR101625831 B1 KR 101625831B1 KR 1020107027272 A KR1020107027272 A KR 1020107027272A KR 20107027272 A KR20107027272 A KR 20107027272A KR 101625831 B1 KR101625831 B1 KR 101625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lecommunication
network
reques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5003A (ko
Inventor
쟈크 리테오
스테판 코우롱
진-프랑코이스 레이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10015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Arrangements for recalling a calling subscriber when the wanted subscriber ceases to be bus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통신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제 1 이용자 및 제 2 이용자 사이에 전기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 상기 제 2 이용자와의 전기 통신을 셋업하기 위해 상기 제 1 이용자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전기통신 활동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 1 이용자와 다른 제 3 이용자와의 상기 제 2 이용자의 전기통신 활동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이용자의 상기 전기통신 활동의 검출의 경우, 상기 제 1 이용자와 다른 상기 제 3 이용자와 상기 제 2 이용자의 상기 전기통신 활동의 종료 후에 상기 제 1 이용자 및 상기 제 2 이용자 사이에 전기통신을 셋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통화중 가입자로의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비들{METHOD AND EQUIPMENT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TO A BUSY SUBSCRIBER}
본 발명은 전기통신 관리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 흐름 관리의 경우에서의 전기통신 관리 분야에 관한 것이다.
전기통신은 세계화 및 기업들이 원격 위치들에 있는 사람들과 일할 필요성으로 인해 회사들에게는 결정적인 이슈가 되었다. 작업 흐름 관리(workflow management)는 파일 프로세싱(file processing)을 개선하고 촉진하기 위해 회사들에 의해 이용되고 있다. 실제로, 공통 프로젝트에 대하여 일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통지(notification)들을 송신하여 상기 사람들에게 파일에 관한 업데이트들 또는 변경들을 고지하는데 컴퓨터 프로그램들이 이용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로젝트 상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에 의견의 일치를 보거나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이한 협력자들 사이에서는 직접적인 전기통신들이 필요할 수 있다. 어떻게 해서든 협력자와 접촉 상태에 있는 것은, 특히 상기 협력자가 여러 회사에 의해 고용되어 있는 경우, 어렵고 시간 소모적일 수 있다(협력자가 통화 중이거나, 바쁘거나 또는 휴가 중이거나,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등등...). 그러므로, 기업의 피고용인들에 의해 소비되는 시간 및 파일 프로세싱에서의 지연들은 기업의 세계적 생산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네트워크 통신 회사들은 자동 콜-백(automatic call-back) 시스템들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들은, 대화자가 이미 통화중인 경우, 등록되어 대화자의 호(call)가 종료되자마자 재호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와 같은 시스템들은 대화자가 이미 통화중인 경우에만 효율적이고, 상기 협력자가 예를 들어 자신의 사무실 외부에 있을 경우에는 효율적이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최신 기술의 상술한 결점들을 극복하고 전기통신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제 1 이용자 및 제 2 이용자 사이에 전기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 상기 제 2 이용자와의 전기 통신을 셋업(set-up)하기 위해 상기 제 1 이용자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요청에 따라 전기통신 활동(telecommunication activity)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 1 이용자와 다른 제 3 이용자와의 상기 제 2 이용자의 전기통신 활동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이용자의 상기 전기통신 활동의 검출의 경우, 상기 제 1 이용자와 다른 상기 제 3 이용자와 상기 제 2 이용자의 전기통신 활동의 종료 후에 상기 제 1 이용자 및 상기 제 2 이용자 사이에 전기통신을 셋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이용자로부터의 상기 요청의 수신 이후에 우선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이용자를 통지 상태로 등록하고 상기 제 2 이용자를 모니터링 상태로 등록하는 추가 단계를 포함한다.
유용하게도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제 2 이용자의 전기통신 활동의 검출 이후에:
- 상기 제 1 이용자와의 도래하는 전기통신 셋업에 대한 메시지를 상기 검출된 제 2 이용자로 송신하는 단계, 및
- 상기 제 2 이용자와의 도래하는 전기통신 셋업에 대한 통지를 상기 제 1 이용자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전기통신의 셋업 후에, 상기 전기통신 셋업 요청에 대응하는 상태 데이터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부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전기통신을 셋업하기 전에 상기 제 1 이용자의 통화 가능성(availability)을 검사하는 추가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지 상태로 등록되는 이용자들은 동일한 내부 전기통신 네트워크에 속하는 반면 모니터링 상태로 등록되는 이용자들은 외부 전기통신 네트워크에 속한다.
더욱이 도래하는 전기통신 셋업에 대한 메시지를 모니터링 상태로 등록되는 상기 제 2 검출된 이용자에게 송신하여 고지하는 단계는 음성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안으로, 도래하는 전기통신 셋업에 대한 메시지를 모니터링 상태로 등록되는 상기 제 2 검출된 이용자에게 송신하여 고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이용자의 이용자 장비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텍스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전기통신 셋업에 대응하는 상태 데이터를 수정하는 단계는 프로세싱된 요청들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기록 데이터 저장소(records data repository) 내에 프로세싱된 전기통신 요청 데이터 및 전기통신 셋업 데이터 및 시간을 저장하기 위한 추가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기통신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제 1 이용자 및 제 2 이용자 사이의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비는:
- 제 1 이용자 및 제 2 이용자 사이에 전기통신을 설정하기 위하여 전기통신 요청들을 수신하고 프로세싱하기 위한 요청 검출 서버,
- 전기통신 요청 데이터 저장소에 통지 상태를 갖는 이용자들 및 모니터링 상태를 갖는 이용자들을 등록하기 위한 기록 서버,
- 한편으로는 전기통신 네트워크 내에 전기통신 상태의 이용자들의 아이덴티티(identity)가 상기 제 2 이용자의 아이덴티티와 매칭(matching)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전기통신 활동을 모니터링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검출된 제 2 이용자의 전기통신 활동에 대한 정보를 중재 서버(intervention server)로 그리고 통지 서버(notification server)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기통신 트래픽 분석기로서, 상기 중재 서버는 상기 제 1 이용자와의 도래하는 전기통신 셋업에 대한 메시지를 상기 검출된 제 2 이용자에게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지 서버는 상기 제 2 이용자와의 도래하는 전기통신 셋업에 대한 통지를 상기 제 1 이용자에게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전기통신 트래픽 분석기,
- 상기 검출된 제 2 이용자가 통화 가능할 때 상기 제 1 이용자 및 제 2 이용자 사이에 전기통신을 셋업하도록 적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수단, 및
- 전기통신 요청 데이터 저장소 내의 상기 전기통신 셋업 요청에 대응하는 상태 데이터를 수정하도록 적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기록 서버에 관한 것으로, 기록 서버는:
요청 검출 서버로부터, 제 1 이용자 및 제 2 이용자 사이에 전기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전기통신 요청을 수신하도록 적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수단,
상기 전기통신 요청 데이터 저장소 내에서 정의되는 상기 이용자들의 상태를 등록하도록 적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수단, 및
전기통신 요청 데이터 저장소 내에 전기통신 요청들을 등록하도록 적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수단을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목적은, 한편으로는 전기통신 네트워크 내에 전기통신 상태의 이용자들의 아이덴티티가 상기 제 2 이용자의 아이덴티티와 매칭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전기통신 활동을 모니터링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검출된 제 2 이용자의 전기통신 활동에 대한 정보를 중재 서버로 그리고 통지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기통신 트래픽 분석기에 관한 것이다.
부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전기통신 트래픽 분석기는 내부 전기통신 네트워크 및 외부 전기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전기통신 교환들을 모니터링하도록 적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 전기통신 트래픽 분석기로부터 요구를 수신하고,
- 전기통신에서 중재하고 음성 메시지를 전기통신에 중합(superpose)하고,
- 제 1 이용자 및 제 2 이용자 사이에 전기통신을 셋업하도록 적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수단을 포함하는 중재 서버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서 제 1 이용자 및 제 2 이용자 사이에 전기통신이 더 효율적으로 설정되어 시간 및 파일 프로세싱에서의 지연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전기통신 요청 데이터 저장소 조직의 예를 나타내는 표;
도 4는 기록 데이터 저장소 조직의 예를 나타내는 표.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들 "서버" 또는 "트래픽 분석기"는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부품들을 칭한다. 이는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연관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사용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 프로세서들일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더욱이, 용어 "프로세서"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고,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하드웨어, 네트워크 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및 비휘발성 저장장치를 함축적으로 포함할 수 있지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종래 및/또는 커스텀인 다른 하드웨어도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내부 전기통신 네트워크"는 글로벌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제한된 에어리어(area)를 칭한다. 그와 같은 내부 전기통신 네트워크는 회사의 인트라넷 네트워크일 수 있다. 반대로, 용어 "외부 전기통신 네트워크":는 하나 또는 여러 글로벌 네트워크들 또는 내부 전기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정의되는 제한된 에어리어를 포함하지 않는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의 일부를 칭한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표준(WiMAX, 3G LTE, UMTS, GSM, GPRS, EDGE...) 또는 전송 지원(무선, 광섬유 등)이 무엇이든지 간에 임의의 고정 또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와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이 또한 주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이용자들 사이에 전기 통신들을 셋업하도록 제공된다. 이는 회사 및 다른 회사들 사이의 전기통신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른 회사들로부터의 협력자들과 일하는 회사에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외부 협력자들의 통화 가능성을 검출하기 위해 전기통신 트래픽의 분석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는 복수의 이용자들을 밥, 짐, 또는 앨리스를 포함하는 글로벌 전기통신 네트워크(2)의 일부인 내부 전기통신 네트워크(1)를 나타내고, 이용자들에게는 이용자 전기통신 디바이스들이 설치되어 서로 통신한다. 도 1에서, 이용자 및 이용자의 장비는 모두 같이 표현되는데, 즉, 짐은 자신을 사람뿐만 아니라 자신을 전기통신 네트워크로 링크시키는 연관된 이용자 전기통신 디바이스(고정 또는 모바일 전화, 컴퓨터, PDA 등)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내부 전기통신 네트워크(1)는 외부 통신들을 위해 외부 전기통신 네트워크(4)에 링크된다.
내부 전기통신 네트워크(1)는 예를 들어 회사의 전기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고 반면에 외부 전기통신 네트워크(4)는 글로벌 전기통신 네트워크(2)의 나머지 또는 나머지의 일부에 의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두 이용자들 사이에 전기통신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내부 전기통신 네트워크(1)는 이후에 기재되는 여러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요청 검출 서버(3)는 이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전기통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을 기록 서버(5)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그와 같은 요청은 적어도 전기통신을 요청하는 이용자의 아이덴티티(이름, 전화 번호, IP 주소,...) 및 접속에 필요한 이용자의 아이덴티티를 포함한다. 전기통신 셋업에 필요하다면 또는 실제적인 이유들로 인해 요구되는 경우 추가 정보가 요청에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의 일부로 주제에 대해 논의하려고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 요청이 행해지면, 프로젝트 레퍼런스(project reference)가 접속될 수 있다.
요청 검출 서버(3)에 링크되는 기록 서버(5)는 상기 요청 검출 서버(3)로부터 전기통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이용자들의 상태를 등록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두 상이한 상태, 통지 상태 및 모니터링 상태가 규정된다.
통지 상태는, 전기통신이 셋업될 때를 전기통신 셋업을 요청하는 이용자들에게 통지하기 위해서, 상기 이용자들에게 제공된다.
모니터링 상태는 전기통신 네트워크상에서 통지 상태를 갖는 이용자들의 활동을 모니터링하고 따라서 상기 이용자들의 통화 가능성을 검출하기 위해서 상기 이용자에 의해 접속될 필요가 있는 이용자들에게 제공된다.
상기 기록 서버(5)는 상기 전기통신 요청을 등록하기 위해 전기통신 요청 데이터 저장소(7),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에 전기통신 요청을 송신한다.
전기통신 트래픽 분석기(9)는 전기통신 요청 데이터 저장소(7)에 링크되고, 외부 이용자의 내부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이용자와의 통신 활동을 검출하기 위해서 이용자들, 특히 내부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이용자들 및 외부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이용자들 사이의 전기통신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전기통신 트래픽 분석기(9)는 내부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이용자들과 통신하고 있는 외부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이용자들의 아이덴티티들을 결정하고, 상기 아이덴티티들을 전기통신 요청 데이터 저장소(7) 내에 모니터링 상태로 등록되어 있는 이용자들의 아이덴티티들과 비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기통신 트래픽 분석기(9)는 또한, 모니터링 상태를 가지며 이미 통신 상태에 있는 이용자에게 현재 통신의 종료 시에 새로운 통신이 다른 이용자와 설정하게 됨을 고지하도록 중재 서버(13)에 요구를 송신하고, 통지 상태를 갖는 사용자에게 자신의 요청된 전기통신이 모니터링 상태를 갖는 검출된 이용자와 셋업될 것임을 고지하도록 통지 서버(11)에 요구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중재 서버(13)는 상기 전기통신 트래픽 분석기(9)로부터 요구를 수신하고 모니터링 상태를 갖고 상기 전기통신 트래픽 분석기(9)에 의해 검출되는 사용자에게 전기통신이 통지 상태를 갖는 대응하는 사용자와 셋업될 것임을 고지하도록 구성된다.
그와 같은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현재 대화에 중합된 음성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또는 검출된 사용자 전기통신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텍스트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호와 관련되고 기록 서버(5)에 등록된 추가 정보가 또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중재 서버(13)는 상기 모니터링 사용자의 현재 전기통신의 종료 시에 상기 모니터링 및 통지 사용자들 사이에 전기통신을 셋업할 수 있다.
통지 서버(11)는 상기 트래픽 전기통신 분석기(9)로부터 요구를 수신하고, 통지 상태를 가지며 모니터링 상태를 갖는 상기 검출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를 송신하고 통지 상태를 갖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통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을 더 양호하게 이해하기 위해, 도 1의 도면으로부터 시작하는,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 이제 기술된다.
내부 전기통신 네트워크(1)는 각각 전기통신 디바이스들을 갖는 앨리스 및 짐과 같은 고용인들을 포함하는 회사의 내부 네트워크이다.
일부 프로젝트들에 대해서, 예를 들어 앨리스 및 짐은 외부 협력자 밥과 함께 작업한다. 앨리스는 밥과 연락해야 할 필요가 있고 전화로 그와 통신하고자 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나, 밥은 앨리스의 호출 시도 동안 부재했으므로 참여할 수 없었다. 이 상황에서, 앨리스는 제 2 사용자 밥을 호출하는데 필요한 제 1 사용자를 나타낸다.
그와 같은 상황에 대해서, 본 발명은 심지어 밥이 현재 부재하는 경우라도 앨리스가 밥과 전기통신하도록 하는 선택사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밥과 통화하려는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도 2는 본 방법의 여러 단계들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우선, 앨리스는 자신의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 밥과 통신하게 해달하는 요청을 요청 검출 서버(3)에 송신한다(단계 1). 그리고나서 상기 요청은 기록 서버(5)에 전송되어(단계 2) 전기통신 요청 데이터 저장소(7)에 등록된다(단계 3). 등록 중에, 앨리스의 상태는 "통지"로 셋업되고(통지 상태) 밥의 상태는 "모니터"로 셋업된다(모니터링 상태).
도 3은 전기통신 요청 데이터 저장소(7)의 가능한 조직을 표 형식으로 나타낸다. 상기 표는 전기통신을 필요로 하는 파일 또는 프로젝트의 레퍼런스, 이용자들의 개인 데이터를 구비하는 통지 및 모니터링 상태를 갖는 이용자들의 아이덴티티(전화 번호, IP 주소 등), 전기통신 요청 프로세스의 요청 및 현재 상태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여러 행들을 포함한다. 추가 정보는 회사에 필요하다면 추가될 수 있다.
전기통신 트래픽 분석기(9)는 회사 내부 및 외부에 있는 사람들 사이의 호들을 모니터링하고 전지통신 요청 데이터 저장소(7)에 모니터링 상태를 갖는 사용자들을 식별하기 위해 대화자들의 아이덴티티들을 비교한다(단계 4).
모니터링 상태에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가 검출되는 경우(단계 5), 예를 들어 밥이 짐을 호출하는 경우(또는 짐이 또한 밥을 호출하는 경우), 정보는 통지 서버(11)로 송신된다(단계 6). 그러므로, 짐은 제 1 사용자인 앨리스와 상이한 제 3 사용자이다. 그와 같은 밥의 전기통신 활동을 검출할 때, 밥이 짐과의 자신의 대화를 종료한 후에 앨리스와의 전화 호출에 또한 통화 가능할 수 있음이 추론될 수 있다. 전기통신을 셋업하기 전에, 통지 서버(11)는 앨리스의 통화 가능성을 검사하고 앨리스에게 밥의 현재 통화의 종료 시에 밥과 전기통신이 셋업될 것이라고 통지한다.
앨리스의 통화 가능 상태는 중재 서버(13)에 송신된다.
앨리스가 통화 가능하지 않은 경우, 현재 전기통신 셋업 프로세스는 중단된다. 앨리스 및 밥의 각각의 상태는 전기통신 요청 데이터 저장소(7) 내의 통지 및 모니터링 상태로 수정되지 않은 채로 남고 전기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의 상태는 계속해서 계류중이다. 실제로, 전기통신 트래픽 분석기(9)에 의한 밥의 검출은 앨리스가 더 이상 통화 가능하지 않을 때 발생할 수 있고, 이는 그녀가 밥과 접속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바꾸지 않는다.
앨리스가 통화 가능한 경우, 밥 및 앨리스 사이의 전기통신의 요청은 중재 서버(13)로 송신된다(단계 8).
상기 중재 서버(13)는 밥의 짐과의 전기통신의 종료 시에 앨리스와의 전기통신이 셋업될 것임을 밥에게 고지한다. 이는 예를 들어 밥과 짐 사이의 전기통신 중에 음성 메시지의 중합에 의해, 또는 밥의 전기통신 디바이스 상에 텍스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밥은 짐과의 통신이 종료되면 중재 서버(13)를 통해 자동으로 앨리스와 통신상태에 놓이게 된다(단계 10). 그리고나서 이 요청에 관한 정보는 전기통신 요청 데이터 저장소(7)에서 제거된다(단계 11).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이한 통신들에 관한 정보는 기록 데이터 저장소에 아카이브(archive)들로 저장될 수 있다.
아카이브된 데이터의 조직은 도 4에 도시된다. 전기통신 요청 데이터 저장소(7)에 대해서와 마찬가지로, 기록 데이터 저장소는 전기통신 셋업의 세부사항들을 갖는 여러 열들을 포함하는 표 형식으로 조직된다.
외부 전기통신 네트워크(4)와의 모든 전기통신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내부 전기통신 네트워크(1)에 대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것이 장점임을 주목해야 한다.
실제로, 외주 협력자들은 원칙적으로 한 사람뿐만 아니라 상기 회사의 많은 사람들과도 통신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각각의 외부 협력자들의 각각과 외부 협력자들의 회사 내의 접촉자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다수의 호들을 이용하는 것을 제공한다.
밥이 앨리스와 직접 통화하는 경우(또는 앨리스가 또한 밥과 통화하는 경우), 호출은 전기통신 트래픽 분석기(9)에 의해 검출되고 요청은 또한 전기통신 요청 데이터 저장소(7)로부터 제거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협력자로부터 또는 상기 협력자로의 호출을 검출하고 이용자의 호출의 종료 시에 직접적인 전기통신을 셋업함으로써 원격의 협력자와 통신하도록 하기 위해 음성 메시징에 대한 대안의 해법을 제공한다.
1 : 내부 전기통신 네트워크 2: 글로벌 전기통신 네트워크
4 : 외부 전기통신 네트워크 3 : 요청 검출 서버
5 : 기록 서버 7 : 전기통신 요청 데이터 저장소

Claims (15)

  1. 전기통신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제 1 이용자 및 제 2 이용자 사이에 전기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요청 검출 서버에 의해, 요청 시에 부재중인 상기 제 2 이용자와의 전기통신을 셋업하기 위해 상기 제 1 이용자로부터 상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기록 서버에 의해, 상기 제 1 이용자를 통지 상태로 등록하고 상기 제 2 이용자를 모니터링 상태로 등록하는 단계로서, 상기 통지 상태로 등록되는 이용자들은 동일한 내부 전기통신 네트워크에 속하는 반면 상기 모니터링 상태로 등록되는 이용자들은 외부 전기통신 네트워크에 속하는, 상기 등록 단계, 및
    상기 요청 검출 서버에 의해, 상기 요청에 따라 내부 네트워크 및 외부 네트워크 사이의 전기통신 트래픽(telecommunication traffic)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 1 이용자와 다른 제 3 이용자와의 상기 제 2 이용자의 전기통신 활동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이용자의 상기 전기통신 활동의 검출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수단에 의해, 상기 제 1 이용자와 다른 상기 제 3 이용자와의 상기 제 2 이용자의 상기 전기통신 활동의 종료 후에, 상기 제 1 이용자 및 상기 제 2 이용자 사이에 전기통신을 자동적으로 셋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제 1 이용자 및 제 2 이용자 사이에 전기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이용자의 전기통신 활동의 검출 후에,
    중재 서버에 의해, 상기 제 1 이용자와의 도래하는 전기통신 셋업에 대한 메시지를 상기 검출된 제 2 이용자로 송신하는 단계, 및
    통지 서버에 의해, 상기 제 2 이용자와의 도래하는 전기통신 셋업에 대한 통지를 상기 제 1 이용자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제 1 이용자 및 제 2 이용자 사이에 전기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기통신의 셋업 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수단에 의해, 상기 전기통신 셋업 요청에 대응하는 상태 데이터를 수정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제 1 이용자 및 제 2 이용자 사이에 전기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통신을 셋업하기 전에, 상기 통지 서버에 의해, 상기 제 1 이용자의 통화 가능성(availability)을 검사하는 추가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제 1 이용자 및 제 2 이용자 사이에 전기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6. 삭제
  7.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래하는 전기통신 셋업에 대하여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모니터링 상태로 등록되는 상기 제 2 검출된 이용자에게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중재 서버에 의해, 음성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제 1 이용자 및 제 2 이용자 사이에 전기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8.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래하는 전기통신 셋업에 대하여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모니터링 상태로 등록되는 상기 제 2 검출된 이용자에게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중재 서버에 의해, 상기 제 2 이용자의 이용자 장비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텍스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제 1 이용자 및 제 2 이용자 사이에 전기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9.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통신 셋업 요청에 대응하는 상태 데이터를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수단에 의해, 프로세싱된 요청들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제 1 이용자 및 제 2 이용자 사이에 전기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기록 서버에 의해, 기록 데이터 저장소 내에 프로세싱된 전기통신 요청 데이터 및 전기통신 셋업 날짜 및 시간을 저장하기 위한 추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제 1 이용자 및 제 2 이용자 사이에 전기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11. 전기통신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제 1 이용자 및 제 2 이용자 사이의 전기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장비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용자와 요청 시에 부재중인 상기 제 2 이용자 사이에 전기통신을 설정하기 위하여 전기통신 요청들을 수신하고 프로세싱하기 위한 요청 검출 서버(3),
    전기통신 요청 데이터 저장소(7)에 통지 상태를 갖는 이용자들 및 모니터링 상태를 갖는 이용자들을 등록하기 위한 기록 서버(5)로서, 상기 통지 상태로 등록되는 이용자들은 동일한 내부 전기통신 네트워크에 속하는 반면 상기 모니터링 상태로 등록되는 이용자들은 외부 전기통신 네트워크에 속하는, 상기 기록 서버(5),
    한편으로는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 내에 전기통신의 이용자들의 아이덴티티(identity)가 상기 제 2 이용자의 아이덴티티와 매칭(matching)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내부 네트워크 및 외부 네트워크 사이의 전기통신 트래픽을 분석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검출된 제 2 이용자의 전기통신 활동에 대한 정보를 중재 서버(13)로 및 통지 서버(11)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기통신 트래픽 분석기(9)로서,
    상기 전기통신 트래픽 분석기(9)는 상기 제 1 이용자와 다른 제 3 이용자와의 상기 제 2 이용자의 상기 전기통신 활동을 검출하고,
    상기 중재 서버(13)는 상기 제 1 이용자와의 도래하는 전기통신 셋업에 대한 메시지를 상기 검출된 제 2 이용자에게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지 서버(11)는 상기 제 2 이용자와의 도래하는 전기통신 셋업에 대한 통지를 상기 제 1 이용자에게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전기통신 트래픽 분석기(9),
    상기 검출된 제 2 이용자가 통화 가능할 때, 상기 제 3 이용자와의 상기 제 2 이용자의 상기 전기통신 활동의 종료 후에, 상기 제 1 이용자 및 상기 제 2 이용자 사이에 전기통신을 자동적으로 셋업하도록 적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수단, 및
    상기 전기통신 요청 데이터 저장소(7) 내의 상기 전기통신 셋업 요청에 대응하는 상태 데이터를 수정하도록 적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제 1 이용자 및 제 2 이용자 사이의 전기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장비.
  12. 삭제
  13. 한편으로는 전기통신 네트워크 내에 전기통신의 이용자들의 아이덴티티가 제 2 이용자의 아이덴티티와 매칭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내부 네트워크 및 외부 네트워크 사이의 전기통신 트래픽을 분석하도록 구성되고, 제 1 이용자는 상기 제 2 이용자와의 전기통신 셋업을 요청하고, 상기 제 1 이용자는 통지 상태로 등록되고 상기 제 2 이용자는 모니터링 상태로 등록되고, 상기 통지 상태로 등록된 이용자들은 동일한 내부 전기통신 네트워크에 속하는 반면 상기 모니터링 상태로 등록된 이용자들은 외부 전기통신 네트워크에 속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제 2 이용자의 전기통신 활동에 대한 정보를 중재 서버(13)로 및 통신 서버(11)로 전송하고, 상기 전기통신을 셋업하기 위해 제 1 이용자와 다른 제 3 이용자와의 상기 제 2 이용자의 상기 전기통신 활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이용자가 이용가능한 경우에 상기 제 1 이용자와 상기 제 2 이용자 사이의 전기통신이 자동적으로 셋업되는, 전기통신 트래픽 분석기(9).
  14. 삭제
  15. 제 13 항에 따른 상기 전기통신 트래픽 분석기(9)로부터 요구를 수신하고,
    전기통신에서 중재하고 음성 메시지를 상기 전기통신에 중합하고(superposing),
    제 1 이용자 및 제 2 이용자 사이에 전기통신을 자동적으로 셋업하도록 적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수단을 포함하는, 중재 서버(13).
KR1020107027272A 2008-05-07 2009-04-23 통화중 가입자로의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비들 KR1016258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290437.6A EP2117215B1 (en) 2008-05-07 2008-05-07 Method and equipment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to a busy subscriber
EP08290437.6 2008-05-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003A KR20110015003A (ko) 2011-02-14
KR101625831B1 true KR101625831B1 (ko) 2016-06-13

Family

ID=39847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272A KR101625831B1 (ko) 2008-05-07 2009-04-23 통화중 가입자로의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비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05883B2 (ko)
EP (1) EP2117215B1 (ko)
JP (1) JP5995440B2 (ko)
KR (1) KR101625831B1 (ko)
CN (2) CN101582898A (ko)
WO (1) WO20091357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26791B (zh) * 2016-01-29 2021-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虚拟专用网络vpn业务优化方法和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3382A1 (en) * 2004-12-30 2006-07-13 Telefonaktiebolaget Lm Eri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call completion on busy subscriber (ccbs)- feat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7421A (en) * 1987-12-23 1990-08-07 At&T Bell Laboratories Call waiting arrangement providing options to both a subsequent calling party and to the called party
JPH03106258A (ja) * 1989-09-20 1991-05-02 Fujitsu Ltd 不在時キャンプオン方式
US5008929A (en) * 1990-01-18 1991-04-16 U.S. Intelco Networks, Inc. Billing system for telephone signaling network
JPH04160967A (ja) * 1990-10-25 1992-06-04 Fujitsu Ltd 不在登録キャンプオン方式
US5268957A (en) * 1991-06-24 1993-12-07 Rolm Company Automatic call-back "camp-on" service for communication systems
US5425091A (en) * 1994-02-28 1995-06-13 U S Wes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automatic customer callback service
CA2159383C (en) * 1994-12-22 1999-01-12 Bruce Merrill Bales Automatic call back under control of a telephone terminal
CA2193014C (en) * 1995-12-22 2000-04-25 John C. Martinez Automatic call-back system and method
US5742674A (en) * 1995-12-22 1998-04-21 At&T Corp. Automatic call-back system and method using data indicating best time to call
US5894504A (en) * 1996-10-02 1999-04-13 At&T Advanced call waiting and messaging system
US5995848A (en) * 1997-07-21 1999-11-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System and method of completing calls to busy mobile subscribers 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7088802B2 (en) * 1997-11-03 2006-08-08 Light Elliott D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telephone status over a network
US6035031A (en) * 1997-12-31 2000-03-07 At&T Corp Method and apparatus automatic call-back
CN1147173C (zh) * 1999-05-12 2004-04-21 诺基亚公司 建立连接的方法与系统
US6456842B1 (en) * 1999-09-13 2002-09-24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subscriber-controlled call back on busy in a cellular network
US6735295B1 (en) * 2000-06-27 2004-05-11 Nortel Networks Limited Call waiting messaging
GB2365254B (en) * 2000-07-21 2004-04-14 Orange Personal Comm Serv Ltd Call processing
US6661886B1 (en) * 2000-10-31 2003-12-09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 monitoring of voice mail during active call
DE10150492B4 (de) * 2001-10-16 2006-10-19 T-Mobile Deutschland Gmbh Rückruf bei Nicht-Besetzt per automatisierter Wahlwiederholung in Telekommunikationsnetzen
US7480260B1 (en) * 2004-05-13 2009-01-20 3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presence-based universal camp-on feature in packet-based telephony systems
US7853001B2 (en) * 2005-04-08 2010-12-14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camp-on service
US7769156B2 (en) * 2005-04-27 2010-08-03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verse camp-on feature in a communications environment
CA2609246A1 (en) * 2005-06-01 2006-12-07 Sanyo Electric Co., Ltd. Telepho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elephone
JP4676344B2 (ja) * 2006-01-20 2011-04-27 株式会社ナカヨ通信機 在席状態を通知する電話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3382A1 (en) * 2004-12-30 2006-07-13 Telefonaktiebolaget Lm Eri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call completion on busy subscriber (ccbs)- feat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95440B2 (ja) 2016-09-21
JP2011520369A (ja) 2011-07-14
WO2009135769A1 (en) 2009-11-12
CN105120115A (zh) 2015-12-02
US20100002851A1 (en) 2010-01-07
EP2117215B1 (en) 2017-10-18
KR20110015003A (ko) 2011-02-14
EP2117215A1 (en) 2009-11-11
US8605883B2 (en) 2013-12-10
CN101582898A (zh)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43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eliminating hold time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8457613B2 (en) Automated mobile intelligent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US8190705B2 (en) Communication capability coupons
CN103947129A (zh) 受控的记录的3路呼叫
US79296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quest priority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20110135073A1 (en) Methods to improve fraud detection on conference calling systems by detection of conference moderator password utilization from a non-authorized device
EP2887625A1 (en) Method for real-time reporting and prevention of call abuse
US8559616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stablishment of communication channels in a contact center
US71393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telephony contact
US83914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related contacts
US8635683B2 (en) Method to improve fraud detection on conference calling systems by detecting re-use of conference moderator passwords
US20160080572A1 (en) Call drop intelligent engine
KR101007966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합 중앙집중식 녹취 시스템 및 방법
KR101625831B1 (ko) 통화중 가입자로의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비들
CN108259433B (zh) 一种呼叫排队分发方法、系统及服务器
CN115766942A (zh) 一种客户服务切换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N102546990A (zh) Voip电话准备就绪通知方法和系统
US94449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telephony communications
US20090257572A1 (en) Method for performing a telephone call
CN113206780A (zh) 企业即时通讯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0602301B (zh) 来电处理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322479B1 (ko) 통화 상대방의 고객정보 제공 시스템 및 통화 상대방의 고객정보 제공 방법
CN109246244B (zh) 消息同步的检测方法、装置和系统
EP1718085A2 (en) Method for eliminating hold time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2005341476A (ja) 構内交換機の着信制御方法及び構内交換機並びに着信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