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605B1 - 빛샘 방지 및 방수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및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 Google Patents

빛샘 방지 및 방수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및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605B1
KR101625605B1 KR1020140053646A KR20140053646A KR101625605B1 KR 101625605 B1 KR101625605 B1 KR 101625605B1 KR 1020140053646 A KR1020140053646 A KR 1020140053646A KR 20140053646 A KR20140053646 A KR 20140053646A KR 101625605 B1 KR101625605 B1 KR 101625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waterproof
film
polymer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6225A (ko
Inventor
박기호
최원석
Original Assignee
가드넥(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드넥(주) filed Critical 가드넥(주)
Priority to KR1020140053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605B1/ko
Publication of KR20150126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03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release feature on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 성형된 폴리머 발포폼을 구비하여 1차 방수 효과 및 완충 효과를 갖도록 형성되는 완충 필름; 기공율이 1% 내지 50%인 방수 폴리머를 구비하여 2차 방수 효과를 갖도록 형성되는 방수 필름; 및 상기 방수 필름에 인쇄되며 상기 방수 필름과 상기 완충 필름의 사이에 배치되고 유색 물질을 갖는 광차단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차단층은, 방수 폴리머, 유색 안료, 및 산화알루미늄(Al2O3)의 혼합물을 압출 또는 캐스팅 성형하여 생성되는, 빛샘 방지 및 방수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빛샘 방지 및 방수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및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BUFFER TAPE FOR PREVENTING LEAKAGE OF LIGHT AND WATER AND BUFFER TAPE FOR PREVENTING LEAKAGE OF LIGHT}
본 발명은 빛샘 방지 및 방수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서핑 또는 동영상 감상 등을 즐기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가 좀더 편안하게 동영상 등을 감상할 수 있도록,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도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사이즈가 증가함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부착되는 윈도우 패널 등의 사이즈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윈도우 패널은 보통 강화유리 등으로 구성되는데, 그의 사이즈가 증가하게 되면 휴대용 단말기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쉽게 깨지거나 파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윈도우 패널 등의 파손으로 인한 소비자들의 불만도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아울러,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의 파손에 대한 불만과 함께, 휴대용 단말기의 빛샘 현상에 대한 불만도 소비자들의 불만 사항 중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윈도우 패널은 접착 테이프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와 접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디스플레이로부터 출력되는 빛이 접착 테이프를 통해 새어나가 빛샘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빛샘 현상은 휴대용 단말기의 고품질화를 위해 반드시 해결이 요구되는 사항이라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최근에는 수영장 또는 욕실 등에서도 휴대용 단말기를 맘편히 사용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니즈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 등에 방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단말 모듈부 또는 윈도우 패널 접합부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미세 틈새에 대하여 충분한 방수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대상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면서도, 대상물로부터 새어나오는 빛도 차단할 수 있는,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상물에 대한 완충 기능 및 빛샘 방지 기능은 물론, 방수 기능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빛샘 방지 및 방수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과 관련된 빛샘 방지 및 방수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는, 발포 성형된 폴리머 발포폼을 구비하여 1차 방수 효과 및 완충 효과를 갖도록 형성되는 완충 필름; 기공율이 1% 내지 50%인 방수 폴리머를 구비하여 2차 방수 효과를 갖도록 형성되는 방수 필름; 및 상기 방수 필름에 인쇄되며 상기 방수 필름과 상기 완충 필름의 사이에 배치되고 유색 물질을 갖는 광차단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차단층은, 방수 폴리머, 유색 안료, 및 산화알루미늄(Al2O3)의 혼합물을 압출 또는 캐스팅 성형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수 폴리머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수 필름은, 그의 양 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코로나 처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색 물질은, 카본 블랙과 유기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수 필름에 적층되고, 아크릴 계열 수지, 러버 계열 수지, 및 에폭시 계열 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점착성 또는 접착성 고분자 수지를 갖는 부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과 관련된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는, 발포 성형된 폴리머 발포폼을 구비하여 1차 방수 효과 및 완충 효과를 갖도록 형성되는 완충 필름; 및 기공율이 1% 내지 50%인 방수 폴리머를 구비하여 2차 방수 효과를 가지며, 상기 완충 필름에 적층되고, 유색 물질을 갖는 광차단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광차단 필름은, 방수 폴리머, 유색 안료, 및 산화알루미늄(Al2O3)의 혼합물을 압출 또는 캐스팅 성형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머 발포폼은,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및 폴리프로필렌 중 적어도 하나의 발포 성형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차단 필름은, 기재; 및 상기 기재에 인쇄되며, 상기 유색 물질을 함유하는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재는, 상기 방수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수 폴리머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재는, 그의 양 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코로나 처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쇄층은, 상기 완충 필름과 상기 기재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색 물질은, 카본 블랙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쇄층은, 상기 기재에 인쇄되는 제1 인쇄층; 및 상기 제1 인쇄층에 인쇄되는 제2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차단 필름에 적층되고, 점착성 또는 접착성 고분자 수지를 갖는 부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에 의하면, 발포 성형된 폴리머 발포폼의 구성을 통하여, 대상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상물의 파손, 및 충격으로 인한 고장 현상을 상당량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를 휴대용 단말기의 윈도우 패널 등에 부착하는 경우, 완충 필름에 부착 형성되는 광차단 필름의 구성을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새어나오는 빛을 쉽게 차단할 수 있어, 휴대용 단말기의 마감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방수 폴리머의 구성을 통해 대상물의 미세 틈새를 견고하게 실링할 수 있어, 대상물에 대하여 방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100)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100')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100")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100)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100)는, 완충 필름(110), 광차단 필름(120), 및 부착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 필름(110)은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100)에 충격 완화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구성이다. 완충 필름(110)은 폴리머 발포폼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머 발포폼은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및 폴리프로필렌 중 적어도 하나를 발포 성형하여 형성되는 발포 성형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머 발포폼은 발포 성형법에 따라 제조되어서, 그의 내부에 다수의 기공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머 발포폼은 80% 내지 98%의 기공율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폴리머 발포폼은 탄성 변형되면서,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100)의 부착 지점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다시 복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완충 필름(110)은 70㎛ 내지 2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완충 필름(110)은 발포를 위해 요구되는 최소 두께인 70㎛ 이상의 두께를 가지며, 또한 완충 필름(110)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완충 테이프(100)가 부착되는 완제품의 슬림화를 저해할 수 있으므로, 완충 필름(110)은 200㎛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광차단 필름(120)은 빛샘 방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광차단 필름(120)은 기재(121), 및 인쇄층(123)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substrate, 121)는 인쇄층(123)이 인쇄되는 베이스로서, 방수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적인 면에서 볼 때, 기재(121)는 '방수 필름(121)'이라 지칭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기재(121)는 필름 형태의 방수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수 폴리머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축합중합하여 획득되는 포화 폴리에스터로서, 높은 내열성 및 내유성은 물론, 우수한 방수성을 가진다. 또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내화학성, 및 마찰에 의한 내마모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탄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여 그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에 본래의 형상으로 쉽게 복귀되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방수 폴리머는 1% 내지 50%의 기공율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수 폴리머 내의 기공들은 그에 의해 일정 수준의 완충 기능을 제공할 수는 있으나, 방수 폴리머에 과도한 양의 기공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이들 기공을 통해 물이 침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방수 폴리머는 50% 이하의 낮은 기공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기재(121)는 10㎛ 내지 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재(121)의 두께가 10㎛ 미만이면 상술한 기공 등에 의해 방수력이 떨어질 수 있고, 기재(121)의 두께가 50㎛를 초과하면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100)의 전체 두께가 두꺼워져, 완충 테이프(100)가 부착되는 완제품의 슬림화를 저해할 수 있다.
기재(121)는 그의 양 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 코로나 처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코로나 처리란 필름의 표면을 개질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에 의하면 방전처리기를 사용하여 코로나염을 발생시키고 그 사이로 필름 형태의 기재(121)를 통과시켜 표면을 개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처리된 코로나 처리면은 부착력이 증가하여 박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코로나 처리면은 후술하는 부착층(130), 인쇄층(123), 또는 완충 필름(110)과 맞닿게 배치되어 이들과의 부착력을 증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인쇄층(123)은 광차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기능성에 비추어 볼 때, 인쇄층(123)은 '광차단층(123)'이라 지칭될 수도 있다. 인쇄층(123)은 잉크 형태의 유색 물질을 기재(121) 상에 마이크로 그라비아 인쇄(micro gravure printing)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색 물질은 카본 블랙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카본 블랙이란 탄소로 구성되는 흑색의 미세한 분말로서, 이는 광차단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카본 블랙은 상대적으로 투명한 기재(121)에 인쇄됨으로써, 완충 테이프(100)에 빛샘 방지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유기 용매는 카본 블랙이 혼합되어 유색 물질인 카본 잉크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카본 블랙은 유기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 이상으로 혼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본 잉크의 전체 중량 중 카본 블랙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광차단력도 함께 증가하게 되며, 카본 블랙의 함량이 50% 이상일 때 매우 우수한 광차단력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카본 잉크는 방수 폴리머로 구성되는 기재(121) 상에 복수회 인쇄됨으로써 인쇄층(123)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카본 잉크는 열풍에 의한 건조 공정을 동반하는 마이크로 그라비아 인쇄 방식에 의해 인쇄되므로, 복수의 인쇄층(123)은 기재(121) 상에 신속히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차단 필름(120)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카본 잉크를 기재(121) 상에 마이크로 그라비아 인쇄하여 제1 인쇄층(125)을 형성한 후, 제1 인쇄층(125)에 카본 잉크를 다시 마이크로 그라비아 인쇄함으로써 제2 인쇄층(127)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재(121)에 대해 1회 인쇄만이 실시되는 경우, 빛샘 현상을 방지하기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인쇄층(123)이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쇄층(123)은 기재(121) 상에 복수회 인쇄되는 방식으로 형성됨으로써, 빛샘 현상 및 박리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층(123)은 제1 인쇄층(125) 및 제2 인쇄층(127) 이외에도, 제3 인쇄층 이상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기재(121) 상에 인쇄층(123)이 형성되면, 인쇄층(123)은 점착제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완충 필름(11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박리되기 쉬운 인쇄층(123)이 부착층(130)과 직접 맞닿지 않고, 완충 필름(110)과 기재(121)의 사이에 배치되므로, 인쇄층(123)의 박리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인쇄층(123)은 1㎛ 내지 1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인쇄층(123)의 두께가 1㎛ 미만이면 광차단 효율이 떨어지고, 인쇄층(123)의 두께가 10㎛를 초과하면 인쇄층(123)이 완충 필름(110)으로부터 박리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이에 따라, 인쇄층(123)은 상술한 두께로 구성됨으로써 우수한 광차단력 및 부착력을 함께 획득할 수 있다.
부착층(130)은 피부착 대상물에 대한 완충 테이프(100)의 부착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부착층(130)은 점착성 또는 접착성의 고분자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분자 수지는 아크릴 계열 수지, 러버 계열 수지, 및 에폭시 계열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부착층(130)은 10㎛ 내지 1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부착층(130)의 두께가 10㎛ 미만이면 그의 부착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되고, 부착층(130)의 두께가 100㎛를 초과하면 광차단 필름(120)에 대한 박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착층(130)의 두께는 상술한 문제점 및 피부착 대상물의 슬림화 등을 고려하여, 상술한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100)에 의하면, 피부착 대상물에 우수한 완충력을 부여할 수 있음은 물론,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 패널 등에 부착되어서 빛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함께, 광차단 필름(120)의 방수 폴리머에 의해, 피부착 대상물에 대한 상당 수준의 방수력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수 기능에 비추어 볼 때,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100)는 '빛샘 방지 및 방수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100)'라 지칭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100')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10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구성되는 광차단 필름(120')을 포함할 수 있다.
광차단 필름(120')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이외에도, 유색 안료, 및 무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색 안료는 전술한 유색 물질과 같이, 카본 블랙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본 블랙은 전술한 것과 같이, 유기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 이상으로 혼합될 수 있다. 여기서, 카본 블랙은 전술한 것과 같이 그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광차단력도 함께 증가한다. 구체적으로, 카본 블랙은 그의 함량이 유기 용매보다 높을 때 매우 우수한 광차단력을 가진다.
무기물은 완충 필름(110) 및 광차단 필름(120')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소재의 특성상 가요성 또는 탄성이 우수하여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따라, 광차단 필름(120')에는 산화알루미늄(Al2O3)과 같이 굳기가 단단한 무기물이 첨가됨으로써, 광차단 필름(120')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광차단 필름(120')은 상술한 구성들의 혼합물을 압출 또는 캐스팅(注型, casting) 성형 방식을 통해 제조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캐스팅 성형이란 필름 성형법의 일종으로서, 이에 의하면 광차단 필름(120')은 용융 상태의 방수 폴리머, 유색 안료, 및 무기물의 혼합물을 일정한 면을 가진 기판(substrate) 위에 흘려 상압에서 고화시킴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생성되는 광차단 필름(120')은 전술한 것과 같이 1% 내지 50%의 기공율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기공율로 인해, 광차단 필름(120')은 완충 테이프(100')에 대한 방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광차단 필름(120')의 양 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전술한 코로나 처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코로나 처리면은 부착층(130) 또는 완충 필름(110)과 맞닿게 배치되어서 그들과의 부착력을 증강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완충 테이프(100')에 의하면, 광차단 필름(120') 자체가 방수력을 가지므로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인쇄층(123)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재(121) 상에 카본 잉크를 인쇄하는 공정 등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 공정에 대한 번거로움을 상당량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100")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100")는 도 1과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하나의 광차단 필름(120") 만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피부착 지점에 다소 낮은 정도의 광차단력 및 방수력이 요구되는 경우, 완충 필름(110)의 양면 중 하나의 면에만 광차단 필름(120")을 형성함으로써, 제조 편의성 및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외에도,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100")는 피부착 대상물의 특성에 따라 하나의 부착층(130) 만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110: 완충 필름
120: 광차단 필름
130: 부착층

Claims (19)

  1. 발포 성형된 폴리머 발포폼을 구비하여 1차 방수 효과 및 완충 효과를 갖도록 형성되는 완충 필름;
    기공율이 1% 내지 50%인 방수 폴리머를 구비하여 2차 방수 효과를 갖도록 형성되는 방수 필름; 및
    상기 방수 필름에 인쇄되며 상기 방수 필름과 상기 완충 필름의 사이에 배치되고 유색 물질을 갖는 광차단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차단층은, 방수 폴리머, 유색 안료, 및 산화알루미늄(Al2O3)의 혼합물을 압출 또는 캐스팅 성형하여 생성되는, 빛샘 방지 및 방수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폴리머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는, 빛샘 방지 및 방수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필름은,
    그의 양 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코로나 처리면을 포함하는, 빛샘 방지 및 방수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 물질은,
    카본 블랙과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빛샘 방지 및 방수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필름에 적층되고, 아크릴 계열 수지, 러버 계열 수지, 및 에폭시 계열 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점착성 또는 접착성 고분자 수지를 갖는 부착층을 더 포함하는, 빛샘 방지 및 방수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6. 발포 성형된 폴리머 발포폼을 구비하여 1차 방수 효과 및 완충 효과를 갖도록 형성되는 완충 필름; 및
    기공율이 1% 내지 50%인 방수 폴리머를 구비하여 2차 방수 효과를 가지며, 상기 완충 필름에 적층되고, 유색 물질을 갖는 광차단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광차단 필름은, 방수 폴리머, 유색 안료, 및 산화알루미늄(Al2O3)의 혼합물을 압출 또는 캐스팅 성형하여 생성되는,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발포폼은,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및 폴리프로필렌 중 적어도 하나의 발포 성형물을 포함하는,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 필름은,
    기재; 및
    상기 기재에 인쇄되며, 상기 유색 물질을 함유하는 인쇄층을 포함하는,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상기 방수 폴리머를 포함하는,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폴리머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는,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그의 양 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코로나 처리면을 포함하는,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상기 완충 필름과 상기 기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 물질은,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상기 기재에 인쇄되는 제1 인쇄층; 및
    상기 제1 인쇄층에 인쇄되는 제2 인쇄층을 포함하는,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 필름에 적층되고, 점착성 또는 접착성 고분자 수지를 갖는 부착층을 더 포함하는,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40053646A 2014-05-02 2014-05-02 빛샘 방지 및 방수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및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KR101625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646A KR101625605B1 (ko) 2014-05-02 2014-05-02 빛샘 방지 및 방수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및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646A KR101625605B1 (ko) 2014-05-02 2014-05-02 빛샘 방지 및 방수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및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225A KR20150126225A (ko) 2015-11-11
KR101625605B1 true KR101625605B1 (ko) 2016-06-13

Family

ID=54605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646A KR101625605B1 (ko) 2014-05-02 2014-05-02 빛샘 방지 및 방수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및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60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682B1 (ko) 2016-09-06 2017-05-17 (주)피앤씨 디스플레이용 우레탄 리플렉스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55985A (ko) 2016-11-17 2018-05-28 황진상 방수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용 접착 테이프
KR20180055986A (ko) 2016-11-17 2018-05-28 황진상 고무입자를 포함한 폴리우레탄 접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용 접착 테이프
KR20200042977A (ko) 2018-10-16 2020-04-27 (주)트러스 마이크로 에어층을 포함하는 방수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741Y1 (ko) 2003-03-12 2003-05-27 주식회사 마프로 휨 방지 및 방수성을 가진 발포 폴리스티렌 판
JP2007322621A (ja) 2006-05-31 2007-12-13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反射・遮光性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2358B2 (ja) * 2008-12-04 2011-12-21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JP2011252095A (ja) * 2010-06-02 2011-12-15 Nitto Denko Corp 両面粘着テー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741Y1 (ko) 2003-03-12 2003-05-27 주식회사 마프로 휨 방지 및 방수성을 가진 발포 폴리스티렌 판
JP2007322621A (ja) 2006-05-31 2007-12-13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反射・遮光性フィル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682B1 (ko) 2016-09-06 2017-05-17 (주)피앤씨 디스플레이용 우레탄 리플렉스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55985A (ko) 2016-11-17 2018-05-28 황진상 방수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용 접착 테이프
KR20180055986A (ko) 2016-11-17 2018-05-28 황진상 고무입자를 포함한 폴리우레탄 접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용 접착 테이프
KR20200042977A (ko) 2018-10-16 2020-04-27 (주)트러스 마이크로 에어층을 포함하는 방수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225A (ko) 201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605B1 (ko) 빛샘 방지 및 방수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및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TWI682983B (zh) 可攜式電子機器用黏著片材
JP5881391B2 (ja) 防水用両面粘着テープ
TWI643756B (zh) Image display device
CN105058929B (zh) 一种多功能屏幕保护膜
KR20150129994A (ko) 완충, 방열, 및 emi 차단 성능을 가지는 전자 테잎, 완충 및 emi 차단 성능을 가지는 전자 테잎, 및 완충, emi 차단, 및 방수 성능을 가지는 전자 테잎
JP2011512271A5 (ko)
US20170288172A1 (en) Thin Film Packaging Structure, Method For Fabrication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20150060085A (ko) 재작업성이 우수한 양면 코팅 테이프
CN110628355A (zh) 一种双面减粘膜及其制备方法
KR102295036B1 (ko) 박리 라이너 부착 점착 시트
JP2018060081A (ja)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の保護カバー
JP3183062U (ja) 液晶画面用保護シート材の構造
CN108300353B (zh) 一种tpu保护膜及其制备方法
JP6294775B2 (ja) 両面粘着テープおよび両面粘着テープ用基材
KR101469082B1 (ko) 자기복구 기능을 갖는 곡면 디스플레이 사출 전사용 필름
CN204249485U (zh) 一种改良式抗冲击保护膜
KR101587841B1 (ko) 빛샘 방지 및 완충 기능을 갖는 방수 테이프
CN215435434U (zh) 集成盖板、显示模组和显示装置
US20210009860A1 (en) Optically clear adhesiv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display panel
KR20150052074A (ko) 적층판 및 표면보호판
JP2009012199A (ja) Uvオフセット印刷層とuv補強層を有する転写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42542B1 (ko) 모바일 기기 전면부 보호용 복합 필름 및 흑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CN111154417B (zh) 保护膜组件
KR101806355B1 (ko) 방수, 내충격 및 차광을 위한 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