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468B1 -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468B1
KR101625468B1 KR1020140008310A KR20140008310A KR101625468B1 KR 101625468 B1 KR101625468 B1 KR 101625468B1 KR 1020140008310 A KR1020140008310 A KR 1020140008310A KR 20140008310 A KR20140008310 A KR 20140008310A KR 101625468 B1 KR101625468 B1 KR 101625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all
groove
fixed
downstream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8012A (ko
Inventor
연규석
황진용
연재흠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08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468B1/ko
Publication of KR20150088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9/00Water-power plants; Layout, construction or equipment, methods of, or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B9/02Water-w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로 맞닿아 배치되는 수로관 2개의 연결부위의 내측면에 형성된 벽체 홈에 정착되는 양단부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정해진 길이만큼 상기 벽체 홈의 내측벽 부위에서 압박되어 부착강도를 강화하고 미끄럼을 방지하는 반원형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단부 사이의 중앙부는 그 평면을 기준으로 그 세로 방향의 너비가 상기 양단부의 너비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는 신축성이 큰 지수판을 2개의 덮개판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상기 연결부위의 내측면에 형성된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이 형성하는 바닥면에 밀착 고정하여 상기 지수판을 보호하고 자외선을 차단한다.
본 발명은 신축성이 큰 지수판과 이 지수판을 보호하는 2개의 덮개판을 이용하므로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시간도 짧게 소요되며, 이 2개의 덮개판과 지수판을 간단하게 제거하고 재시공할 수 있으므로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Expansion joint device for an aqueduc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신축성이 큰 지수판과 이 지수판을 보호하는 2개의 덮개판을 이용하여 시공할 수 있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로관은 상부가 개방된 형상이며, 발전, 관개, 수도, 농업 등의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수원지로부터 정해진 장소로 물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설치되는 수로교나 수로 등의 수리시설에 이용된다.
예컨대, 특허문헌1에서는 수로관을 이용하는 수로교가 게재되어 있으며, 이 수로교는 물의 이동을 유도하는 수로관들과 이 수로관들의 연결부위의 하부를 받치는 기둥, 및 상기 기둥 위에서 수로관과 수로관을 서로 연결하는 신축이음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허문헌1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통상의 수로교 및 이 수로교에서 수로관과 수로관을 서로 연결하는 신축이음장치가 게재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 게재된 바와 같은 종래의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는 수로교나 수로 등의 수리시설을 구성하는 수로관과 수로관의 연결부위에서 누수를 방지하는 지수기능을 가지도록 수밀성을 나타내고 해당 연결부위에서 외부 환경 변화(예컨대, 온도 변화, 계절 변화 등)에 따른 반복적인 수축과 팽창을 허용하도록 신축성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는 노후되어 수밀성이 저하하게 되면 누수로 인하여 수로관과 수로관의 연결부위에 백화 현상이 발생하고, 수로관의 철근이 노출되거나 수로관 자체의 균열 혹은 파손이 유발된다.
또한, 이처럼 수로관의 철근과 콘크리트가 분리되거나 수로관의 균열 혹은 파손이 발생하면 상기한 신축이음장치를 교체하고 수로관과 수로관의 연결부위를 보수하게 되는데, 이때 특허문헌1에 게재된 종래의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는 수로관과 수로관의 연결부위에서 기존 콘크리트 표면의 손상 부위를 제거한 다음, 노출된 기존 철근의 녹을 제거하고 보수 단면의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한 후, 상기 철근에 방청제를 도포하고, 연이어서 수로관과 수로관의 연결부위의 사이공간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백업재를 설치하고, 거푸집을 가설하여 수로교의 횡방향으로 십자형 단면을 갖는 공간 확보재를 설치한 후, 상기 공간 확보재 상부에 수로교의 표면과 일치하는 높이로 충진용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양생한 다음, 상기 공간 확보재를 제거하고 그 공간 내에 채움재를 충진하고 노출된 채움재의 상면을 씰링재로 덮어 마감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 교체 및 보수된다.
KR 10-0973751 B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맞닿아 배치되는 수로관 2개의 연결부위의 내측면에 형성된 벽체 홈에 정착되는 양단부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정해진 길이만큼 상기 벽체 홈의 내측벽 부위에서 압박되어 부착강도를 강화하고 미끄럼을 방지하는 반원형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단부 사이의 중앙부는 그 평면을 기준으로 그 세로 방향의 너비가 상기 양단부의 너비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는 신축성이 큰 지수판을 2개의 덮개판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상기 연결부위의 내측면에 형성된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이 형성하는 바닥면에 밀착 고정하여 상기 지수판을 보호하고 자외선을 차단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는, 서로 맞닿아 배치되는 수로관 2개의 연결부위의 내측면에 형성된 바닥 홈과 상기 바닥 홈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연장된 벽체 홈에 정착되어 수로관 2개의 연결부위의 내측면에서 누수를 방지하는 지수기능을 나타내는 지수판과;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에서 밀착 고정되어 상기 지수판을 보호하고 자외선을 차단하는 하류 측 덮개판; 및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서 상기 지수판이 신축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하류 측 덮개판의 상부에 겹쳐진 상태로 밀착 고정되어 상기 지수판을 보호하고 자외선을 차단하는 상류 측 덮개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수판은 상기 벽체 홈에 정착되는 양단부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정해진 길이만큼 상기 벽체 홈의 내측벽 부위에서 압박되어 부착강도를 강화하고 미끄럼을 방지하는 반원형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단부 사이의 중앙부는 그 평면을 기준으로 그 세로 방향의 너비가 상기 양단부의 너비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수판은 -40℃∼60℃에서 사용 가능하고, 최대 신장율 120%±10%를 나타내는 고무 재질의 시트(예컨대, 부틸고무<IIR; Isobutylene-Isoprene Rubber>를 압출, 성형하여 제작한 시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류 측 덮개판은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에서 상기 하류 측 덮개판과 상기 지수판을 관통하는 고정 앵커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지수판을 밀착하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류 측 덮개판은 스테인리스 강판 재질이며,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에 정착되도록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연장된 벽체판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류 측 덮개판은 스테인리스 강판 재질이며,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에 정착되도록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형성된 벽체판이 분리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류 측 덮개판은 상기 바닥판과 상기 벽체판의 연결부위가 서로 맞닿은 상태로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에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류 측 덮개판은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서 상기 상류 측 덮개판과 상기 지수판을 관통하는 고정 앵커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지수판을 밀착하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류 측 덮개판은 스테인리스 강판 재질이며,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에 정착되도록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연장된 벽체판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류 측 덮개판은 스테인리스 강판 재질이며,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에 정착되도록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형성된 벽체판이 분리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류 측 덮개판은 상기 바닥판과 상기 벽체판의 연결부위가 서로 맞닿은 상태로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에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의 제1실시예는, 수로관 2개를 서로의 연결부위가 맞닿도록 배치하는 제1과정과; 상기 수로관 2개의 연결부위의 내측면의 바닥부와 벽체부를 따라 정해진 폭과 두께로 깎아내기(chipping)와 갈아내기(grinding) 가공을 하여 바닥 홈과 상기 바닥 홈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연장된 벽체 홈을 형성하는 제2과정;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이 형성하는 바닥면에 누수를 방지하는 지수기능을 나타내는 지수판을 정착하는 제3과정;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에서 상기 지수판을 보호하고 자외선을 차단하는 하류 측 덮개판을 밀착 고정하는 제4과정; 및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서 상기 지수판이 신축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하류 측 덮개판의 상부에 겹쳐진 상태로 상기 지수판을 보호하고 자외선을 차단하는 상류 측 덮개판을 밀착 고정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의 제2실시예는, 다른 수로관과의 연결부위의 내측면의 바닥부와 벽체부를 따라 정해진 폭과 두께로 바닥 홈과 상기 바닥 홈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연장된 벽체 홈이 미리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과 상류 측에 각각 정해진 간격으로 고정 앵커 볼트나 고정 앵커 볼트용 너트가 설치되어 있는 수로관 2개를 서로의 연결부위가 맞닿도록 배치하는 제1과정과; 상기 수로관 2개의 연결부위에 형성된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이 형성하는 바닥면에 그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고정 앵커 볼트가 관통하고 누수를 방지하는 지수기능을 나타내는 지수판을 정착하는 제2과정;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에서 상기 지수판을 보호하고 자외선을 차단하는 하류 측 덮개판과 상기 지수판을 관통하는 상기 고정 앵커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지수판을 밀착하면서 상기 하류 측 덮개판을 고정하는 제3과정; 및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서 상기 지수판이 신축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하류 측 덮개판의 상부에 겹쳐진 상태로 상기 지수판을 보호하고 자외선을 차단하는 상류 측 덮개판과 상기 지수판을 관통하는 상기 고정 앵커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지수판을 밀착하면서 상기 상류 측 덮개판을 고정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신축성이 큰 지수판과 이 지수판을 보호하는 2개의 덮개판을 이용하므로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시간도 짧게 소요되며, 이 2개의 덮개판과 지수판을 간단하게 제거하고 재시공할 수 있으므로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 강판 재질의 덮개판을 사용하므로 내구성이 우수하며, 특히 이 덮개판이 자외선을 차단하여 신축성 있는 지수판의 노화를 방지하고 보호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의 지수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의 하류 측 덮개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의 하류 측 덮개판을 나타낸 다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의 상류 측 덮개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의 상류 측 덮개판을 나타낸 다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을 나타낸 제1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을 나타낸 제2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는 지수판(10)과 하류 측 덮개판(20), 및 상류 측 덮개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수판(10)은 서로 맞닿아 배치되는 수로관(40) 2개의 연결부위의 내측면에 형성된 바닥 홈(41)과 상기 바닥 홈(41)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연장된 벽체 홈(42)에 정착되어 수로관(40) 2개의 연결부위의 내측면에서 누수를 방지하는 지수기능을 나타낸다.
상기 지수판(1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벽체 홈(42)에 정착되는 양단부(11)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정해진 길이만큼 상기 벽체 홈(42)의 내측벽 부위에서 압박되어 부착강도를 강화하고 미끄럼을 방지하는 반원형 돌기(12)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단부(11) 사이의 중앙부(13)는 그 평면을 기준으로 그 세로 방향의 너비(W1)가 상기 양단부(12)의 너비(W2)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수축과 팽창을 반복한다.
상기 지수판(10)의 양단부(11)가 상기 벽체 홈(42)의 내측벽 부위에서 압박되면 그 너비(W2)가 상기 중앙부(13)의 너비(W1)와 같거나 유사하게 줄어들게 되며, 그 결과로 상기 지수판(10)의 부착강도가 강화되고 상기 양단부(11)가 상기 벽체 홈(42)에서 미끄러져 내리지 않고 정착된다.
상기 지수판은 -40℃∼60℃에서 사용 가능하고, 최대 신장율 120%±10%를 나타내는 고무 재질의 시트 형상이며, 예컨대 부틸고무(IIR; Isobutylene-Isoprene Rubber)를 압출, 성형하여 제작한 시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류 측 덮개판(20)은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에서 밀착 고정되어 상기 지수판(10)을 보호하고 자외선을 차단한다.
상기 하류 측 덮개판(20)은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40)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에서 상기 하류 측 덮개판(20)과 상기 지수판(10)을 관통하는 고정 앵커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지수판(10)을 밀착하면서 고정된다.
참고로, 도 2 및 도 3에서는 상기 하류 측 덮개판(20)을 관통하여 너트(미도시)와 결합하는 고정 앵커 볼트(50)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하류 측 덮개판(20)은 스테인리스 강판 재질이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에 정착되도록 바닥판(21)과 상기 바닥판(21)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연장된 벽체판(22)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거나,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21)과 상기 벽체판(22)이 분리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하류 측 덮개판(20)이 상기한 분리형으로 형성되면, 상기 바닥판(21)과 상기 벽체판(22)의 연결부위가 서로 맞닿은 상태로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에 정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시공 현장 상황에 따라서 상기 바닥판(21)의 상부에 상기 벽체판(22)을 겹쳐서 연결부위를 형성하거나, 그 반대로 상기 벽체판(22)의 상부에 상기 바닥판(21)을 겹쳐서 연결부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상류 측 덮개판(30)은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40)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서 상기 지수판(10)이 신축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하류 측 덮개판(20)의 상부에 겹쳐진 상태로 밀착 고정되어 상기 지수판(10)을 보호하고 자외선을 차단한다.
상기 상류 측 덮개판(30)은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40)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서 상기 상류 측 덮개판(30)과 상기 지수판(10)을 관통하는 고정 앵커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지수판(10)을 밀착하면서 고정된다.
참고로, 도 4 및 도 5에서는 상기 상류 측 덮개판(30)을 관통하여 너트(미도시)와 결합하는 고정 앵커 볼트(50)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상류 측 덮개판(30)은 스테인리스 강판 재질이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에 정착되도록 바닥판(31)과 상기 바닥판(31)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연장된 벽체판(32)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거나,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31)과 상기 벽체판(32)이 분리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상류 측 덮개판(30)이 상기한 분리형으로 형성되면, 상기 바닥판(31)과 상기 벽체판(32)의 연결부위가 서로 맞닿은 상태로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에 정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시공 현장 상황에 따라서 상기 바닥판(31)의 상부에 상기 벽체판(32)을 겹쳐서 연결부위를 형성하거나, 그 반대로 상기 벽체판(32)의 상부에 상기 바닥판(31)을 겹쳐서 연결부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는 다음과 같이 시공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S100)을 나타낸 제1실시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시공자는 먼저 다른 수로관(40)과의 연결부위의 내측면에 상기한 바닥 홈(41)과 상기한 벽체 홈(4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수로관(40) 2개를 서로의 연결부위가 맞닿도록 배치한다(S110).
이어서, 상기 수로관(40) 2개의 연결부위의 내측면의 바닥부와 벽체부를 따라 정해진 폭과 두께로 깎아내기(chipping)와 갈아내기(grinding) 가공을 하여 바닥 홈(41)과 상기 바닥 홈(41)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연장된 벽체 홈(42)을 형성한다(S120).
이어서,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이 형성하는 바닥면에 누수를 방지하는 지수기능을 나타내는 지수판(10)을 정착한다(S130).
상기한 S130 과정에서는,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이 형성하는 바닥면 또는 측벽면이 고르지 않으면 상기 지수판(10)을 정착하기 전에 미장 마감재(예컨대,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나 에폭시 수지 퍼티 등)를 사용하여 평탄하게 면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S130 과정에서는, 상기 벽체 홈(42)에 정착되는 양단부(11)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정해진 길이만큼 상기 벽체 홈(42)의 내측벽 부위에서 압박되어 부착강도를 강화하고 미끄럼을 방지하는 반원형 돌기(12)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단부(11) 사이의 중앙부(13)는 그 평면을 기준으로 그 세로 방향의 너비(W1)가 상기 양단부(12)의 너비(W2)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는 지수판(1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S130 과정에서, 상기 지수판(10)의 양단부(11)가 상기 벽체 홈(42)의 내측벽 부위에서 압박되면 그 너비(W2)가 상기 중앙부(13)의 너비(W1)와 같거나 유사하게 줄어들게 되며, 그 결과로 상기 지수판(10)의 부착강도가 강화되고 상기 양단부(11)가 상기 벽체 홈(42)에서 미끄러져 내리지 않고 정착된다.
상기한 S130 과정에서는, -40℃∼60℃에서 사용 가능하고, 최대 신장율 120%±10%를 나타내는 고무 재질의 시트 형상인 지수판(10)을 사용하며, 예컨대 부틸고무(IIR; Isobutylene-Isoprene Rubber)를 압출, 성형하여 제작한 시트 형상인 지수판(1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S130 과정에서는,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이 형성하는 바닥면에 정착되는 상기 지수판(10)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접착제(예컨대, 에폭시 접착제 등)를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40)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 예컨대 도 6의 수로관(40)의 바닥면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에서 상기 지수판(10)을 보호하고 자외선을 차단하는 하류 측 덮개판(20)을 밀착 고정한다(S140).
상기한 S140 과정에서는,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40)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 예컨대 도 6의 수로관(40)의 바닥면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에서 상기 하류 측 덮개판(20)과 상기 지수판(10)을 관통하는 고정 앵커 볼트(50)와 너트(미도시)에 의해 상기 지수판(10)을 밀착하면서 상기 하류 측 덮개판(20)을 고정한다.
상기한 S140 과정에서는, 스테인리스 강판 재질이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에 정착되도록 바닥판(21)과 상기 바닥판(21)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연장된 벽체판(22)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21)과 상기 벽체판(22)이 분리형으로 형성된 하류 측 덮개판(2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S140 과정에서는, 상기한 분리형으로 형성된 하류 측 덮개판(20)을 사용하면, 상기 바닥판(21)과 상기 벽체판(22)의 연결부위가 서로 맞닿은 상태로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에 정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시공 현장 상황에 따라서 상기 바닥판(21)의 상부에 상기 벽체판(22)을 겹쳐서 연결부위를 형성하거나, 그 반대로 상기 벽체판(22)의 상부에 상기 바닥판(21)을 겹쳐서 연결부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마지막으로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40)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 예컨대 도 6의 수로관(40)의 바닥면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서 상기 지수판(10)이 신축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하류 측 덮개판(20)의 상부에 겹쳐진 상태(도 6의 확대도 참조)로 상기 지수판(10)을 보호하고 자외선을 차단하는 상류 측 덮개판(30)을 밀착 고정한다(S150).
상기한 S150 과정에서는,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40)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 예컨대 도 6의 수로관(40)의 바닥면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서 상기 상류 측 덮개판(30)과 상기 지수판(10)을 관통하는 고정 앵커 볼트(50)와 너트(미도시)에 의해 상기 지수판(10)을 밀착하면서 상기 상류 측 덮개판(30)을 고정한다.
상기한 S150 과정에서는, 스테인리스 강판 재질이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에 정착되도록 바닥판(31)과 상기 바닥판(31)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연장된 벽체판(32)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31)과 상기 벽체판(32)이 분리형으로 형성된 상류 측 덮개판(3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S150 과정에서는, 상기한 분리형으로 형성된 상류 측 덮개판(30)을 사용하면, 상기 바닥판(31)과 상기 벽체판(32)의 연결부위가 서로 맞닿은 상태로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에 정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시공 현장 상황에 따라서 상기 바닥판(31)의 상부에 상기 벽체판(32)을 겹쳐서 연결부위를 형성하거나, 그 반대로 상기 벽체판(32)의 상부에 상기 바닥판(31)을 겹쳐서 연결부위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S200)을 나타낸 제2실시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시공자는 먼저 다른 수로관(40)과의 연결부위의 내측면의 바닥부와 벽체부를 따라 정해진 폭과 두께로 바닥 홈(41)과 상기 바닥 홈(41)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연장된 벽체 홈(42)이 미리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40)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 예컨대 도 7의 수로관(40)의 바닥면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과 상류 측에 각각 정해진 간격으로 고정 앵커 볼트(50)나 고정 앵커 볼트용 너트(60)가 설치되어 있는 수로관(40) 2개를 서로의 연결부위가 맞닿도록 배치한다(S210).
참고로, 도 7에서는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40)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 예컨대 도 7의 수로관(40)의 바닥면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과 상류 측에 각각 정해진 간격으로 고정 앵커 볼트용 너트(60)가 설치되어 있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너트(60)에는 고정 앵커 볼트(50)가 체결된다.
참고로, 도 7에 나타낸 실시예와 반대로,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40)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 예컨대 도 7의 수로관(40)의 바닥면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과 상류 측에 각각 정해진 간격으로 고정 앵커 볼트(50)를 설치하고, 이 고정 앵커 볼트(50)에 고정 앵커 볼트용 너트(60)를 체결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수로관(40) 2개의 연결부위에 형성된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이 형성하는 바닥면에 그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고정 앵커 볼트(50)가 관통하고 누수를 방지하는 지수기능을 나타내는 지수판(10)을 정착한다(S220).
참고로, 도 7의 S220 과정에서는 상기 지수판(1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고정 앵커 볼트(50)가 관통하는 구멍이 천공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S220 과정에서는, 상기 벽체 홈(42)에 정착되는 양단부(11)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정해진 길이만큼 상기 벽체 홈(42)의 내측벽 부위에서 압박되어 부착강도를 강화하고 미끄럼을 방지하는 반원형 돌기(12)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단부(11) 사이의 중앙부(13)는 그 평면을 기준으로 그 세로 방향의 너비(W1)가 상기 양단부(12)의 너비(W2)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는 지수판(1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S220 과정에서, 상기 지수판(10)의 양단부(11)가 상기 벽체 홈(42)의 내측벽 부위에서 압박되면 그 너비(W2)가 상기 중앙부(13)의 너비(W1)와 같거나 유사하게 줄어들게 되며, 그 결과로 상기 지수판(10)의 부착강도가 강화되고 상기 양단부(11)가 상기 벽체 홈(42)에서 미끄러져 내리지 않고 정착된다.
상기한 S220 과정에서는, -40℃∼60℃에서 사용 가능하고, 최대 신장율 120%±10%를 나타내는 고무 재질의 시트 형상인 지수판(10)을 사용하며, 예컨대 부틸고무(IIR; Isobutylene-Isoprene Rubber)를 압출, 성형하여 제작한 시트 형상인 지수판(1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S220 과정에서는,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이 형성하는 바닥면에 정착되는 상기 지수판(10)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접착제(예컨대, 에폭시 접착제 등)를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40)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 예컨대 도 7의 수로관(40)의 바닥면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에서 상기 지수판(10)을 보호하고 자외선을 차단하는 하류 측 덮개판(20)과 상기 지수판(10)을 관통하는 상기 고정 앵커 볼트(50)와 너트(60)에 의해 상기 지수판(10)을 밀착하면서 상기 하류 측 덮개판(20)을 고정한다(S230).
상기한 S230 과정에서는,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40)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 예컨대 도 7의 수로관(40)의 바닥면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에서 상기 하류 측 덮개판(20)과 상기 지수판(10)을 관통하는 고정 앵커 볼트(50)와 너트(60)에 의해 상기 지수판(10)을 밀착하면서 상기 하류 측 덮개판(20)을 고정한다.
상기한 S230 과정에서는, 스테인리스 강판 재질이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에 정착되도록 바닥판(21)과 상기 바닥판(21)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연장된 벽체판(22)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21)과 상기 벽체판(22)이 분리형으로 형성된 하류 측 덮개판(2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S230 과정에서는, 상기한 분리형으로 형성된 하류 측 덮개판(20)을 사용하면, 상기 바닥판(21)과 상기 벽체판(22)의 연결부위가 서로 맞닿은 상태로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에 정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시공 현장 상황에 따라서 상기 바닥판(21)의 상부에 상기 벽체판(22)을 겹쳐서 연결부위를 형성하거나, 그 반대로 상기 벽체판(22)의 상부에 상기 바닥판(21)을 겹쳐서 연결부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마지막으로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40)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 예컨대 도 7의 수로관(40)의 바닥면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서 상기 지수판(10)이 신축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하류 측 덮개판(20)의 상부에 겹쳐진 상태(도 7의 확대도 참조)로 상기 지수판(10)을 보호하고 자외선을 차단하는 상류 측 덮개판(30)과 상기 지수판(10)을 관통하는 상기 고정 앵커 볼트(50)와 너트(60)에 의해 상기 지수판(10)을 밀착하면서 상기 상류 측 덮개판(30)을 고정한다(S240).
상기한 S240 과정에서는,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40)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 예컨대 도 7의 수로관(40)의 바닥면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서 상기 상류 측 덮개판(30)과 상기 지수판(10)을 관통하는 고정 앵커 볼트(50)와 너트(60)에 의해 상기 지수판(10)을 밀착하면서 상기 상류 측 덮개판(30)을 고정한다.
상기한 S240 과정에서는, 스테인리스 강판 재질이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에 정착되도록 바닥판(31)과 상기 바닥판(31)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연장된 벽체판(32)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31)과 상기 벽체판(32)이 분리형으로 형성된 상류 측 덮개판(3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S240 과정에서는, 상기한 분리형으로 형성된 상류 측 덮개판(30)을 사용하면, 상기 바닥판(31)과 상기 벽체판(32)의 연결부위가 서로 맞닿은 상태로 상기 바닥 홈(41)과 상기 벽체 홈(42)에 정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시공 현장 상황에 따라서 상기 바닥판(31)의 상부에 상기 벽체판(32)을 겹쳐서 연결부위를 형성하거나, 그 반대로 상기 벽체판(32)의 상부에 상기 바닥판(31)을 겹쳐서 연결부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S100,S200)은 신축성이 큰 지수판(10)과 이 지수판(10)을 보호하는 2개의 덮개판(20,30)을 이용하므로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시간도 짧게 소요되며, 이 2개의 덮개판(20,30)과 지수판(10)을 간단하게 제거하고 재시공할 수 있으므로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S100,S200)은 스테인리스 강판 재질의 덮개판(20,30)을 사용하므로 내구성이 우수하며, 특히 이 덮개판(20,30)이 자외선을 차단하여 신축성 있는 지수판(10)의 노화를 방지하고 보호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 지수판 11: 양단부
12: 반원형 돌기 13: 중앙부
20: 하류 측 덮개판 21: 바닥판
22: 벽체판 30: 상류 측 덮개판
31: 바닥판 32: 벽체판
40: 수로관 41: 바닥 홈
42: 벽체 홈 50: 고정 앵커 볼트
60: 너트

Claims (34)

  1. 서로 맞닿아 배치되는 수로관 2개의 연결부위의 내측면에 형성된 바닥 홈과 상기 바닥 홈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연장된 벽체 홈에 정착되어 수로관 2개의 연결부위의 내측면에서 누수를 방지하는 지수기능을 나타내고, 고무 재질의 시트 형상으로 상기 벽체 홈에 정착되는 양단부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정해진 길이만큼 상기 벽체 홈의 내측벽 부위에서 압박되어 부착강도를 강화하고 미끄럼을 방지하는 반원형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단부 사이의 중앙부는 그 평면을 기준으로 그 세로 방향의 너비가 상기 양단부의 너비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수축과 팽창을 그 세로 방향의 너비(W1)가 상기 양단부의 너비(W2)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고 상기 반원형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는 양단부가 상기 벽체 홈의 내측벽 부위에서 압박되면 상기 양단부의 너비(W2)가 상기 양단부 사이의 중앙부의 너비(W1)와 같거나 유사하게 줄어들게 되면서 상기 벽체 홈의 내측벽 부위에서의 부착강도가 강화되고 상기 양단부가 상기 벽체 홈에서 미끄러져 내리지 않고 정착되는 지수판과;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에서 밀착 고정되어 상기 지수판을 보호하고 자외선을 차단하는 하류 측 덮개판; 및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서 상기 지수판이 신축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하류 측 덮개판의 상부에 겹쳐진 상태로 밀착 고정되어 상기 지수판을 보호하고 자외선을 차단하는 상류 측 덮개판;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판은 -40℃∼60℃에서 사용 가능하고, 최대 신장율 120%±10%를 나타내는 고무 재질의 시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 측 덮개판은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에서 상기 하류 측 덮개판과 상기 지수판을 관통하는 고정 앵커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지수판을 밀착하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 측 덮개판은 스테인리스 강판 재질이며,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에 정착되도록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연장된 벽체판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 측 덮개판은 스테인리스 강판 재질이며,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에 정착되도록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형성된 벽체판이 분리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 측 덮개판은 상기 바닥판과 상기 벽체판의 연결부위가 서로 맞닿은 상태로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에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 측 덮개판은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서 상기 상류 측 덮개판과 상기 지수판을 관통하는 고정 앵커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지수판을 밀착하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 측 덮개판은 스테인리스 강판 재질이며,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에 정착되도록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연장된 벽체판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 측 덮개판은 스테인리스 강판 재질이며,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에 정착되도록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형성된 벽체판이 분리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 측 덮개판은 상기 바닥판과 상기 벽체판의 연결부위가 서로 맞닿은 상태로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에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12. 수로관 2개를 서로의 연결부위가 맞닿도록 배치하는 제1과정과;
    상기 수로관 2개의 연결부위의 내측면의 바닥부와 벽체부를 따라 정해진 폭과 두께로 깎아내기(chipping)와 갈아내기(grinding) 가공을 하여 바닥 홈과 상기 바닥 홈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연장된 벽체 홈을 형성하는 제2과정;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이 형성하는 바닥면에 누수를 방지하는 지수기능을 나타내고 고무 재질의 시트 형상으로 상기 벽체 홈에 정착되는 양단부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정해진 길이만큼 상기 벽체 홈의 내측벽 부위에서 압박되어 부착강도를 강화하고 미끄럼을 방지하는 반원형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단부 사이의 중앙부는 그 평면을 기준으로 그 세로 방향의 너비(W1)가 상기 양단부의 너비(W2)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고 상기 반원형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는 양단부가 상기 벽체 홈의 내측벽 부위에서 압박되면 상기 양단부의 너비(W2)가 상기 양단부 사이의 중앙부의 너비(W1)와 같거나 유사하게 줄어들게 되면서 상기 벽체 홈의 내측벽 부위에서의 부착강도가 강화되고 상기 양단부가 상기 벽체 홈에서 미끄러져 내리지 않고 정착되는 지수판을 정착하는 제3과정;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에서 상기 지수판을 보호하고 자외선을 차단하는 하류 측 덮개판을 밀착 고정하는 제4과정; 및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서 상기 지수판이 신축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하류 측 덮개판의 상부에 겹쳐진 상태로 상기 지수판을 보호하고 자외선을 차단하는 상류 측 덮개판을 밀착 고정하는 제5과정;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에서는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이 형성하는 바닥면 또는 측벽면이 고르지 않으면 상기 지수판을 정착하기 전에 미장 마감재를 사용하여 평탄하게 면 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14. 삭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에서는 -40℃∼60℃에서 사용 가능하고, 최대 신장율 120%±10%를 나타내는 고무 재질의 시트 형상인 지수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에서는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이 형성하는 바닥면에 정착되는 상기 지수판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접착제를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에서는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에서 상기 하류 측 덮개판과 상기 지수판을 관통하는 고정 앵커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지수판을 밀착하면서 상기 하류 측 덮개판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에서는 스테인리스 강판 재질이며,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에 정착되도록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연장된 벽체판이 일체로 형성된 하류 측 덮개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에서는 스테인리스 강판 재질이며,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에 정착되도록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형성된 벽체판이 분리형으로 형성된 하류 측 덮개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에서는 상기 하류 측 덮개판의 상기 바닥판과 상기 벽체판의 연결부위가 서로 맞닿은 상태로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에 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5과정에서는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서 상기 상류 측 덮개판과 상기 지수판을 관통하는 고정 앵커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지수판을 밀착하면서 상기 상류 측 덮개판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5과정에서는 스테인리스 강판 재질이며,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에 정착되도록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연장된 벽체판이 일체로 형성된 상류 측 덮개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2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5과정에서는 스테인리스 강판 재질이며,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에 정착되도록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형성된 벽체판이 분리형으로 형성된 상류 측 덮개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5과정에서는 상기 상류 측 덮개판의 상기 바닥판과 상기 벽체판의 연결부위가 서로 맞닿은 상태로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에 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25. 다른 수로관과의 연결부위의 내측면의 바닥부와 벽체부를 따라 정해진 폭과 두께로 바닥 홈과 상기 바닥 홈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연장된 벽체 홈이 미리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과 상류 측에 각각 정해진 간격으로 고정 앵커 볼트나 고정 앵커 볼트용 너트가 설치되어 있는 수로관 2개를 서로의 연결부위가 맞닿도록 배치하는 제1과정과;
    상기 수로관 2개의 연결부위에 형성된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이 형성하는 바닥면에 그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고정 앵커 볼트가 관통하고 누수를 방지하는 지수기능을 나타내고 고무 재질의 시트 형상으로 상기 벽체 홈에 정착되는 양단부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정해진 길이만큼 상기 벽체 홈의 내측벽 부위에서 압박되어 부착강도를 강화하고 미끄럼을 방지하는 반원형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단부 사이의 중앙부는 그 평면을 기준으로 그 세로 방향의 너비(W1)가 상기 양단부의 너비(W2)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고 상기 반원형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는 양단부가 상기 벽체 홈의 내측벽 부위에서 압박되면 상기 양단부의 너비(W2)가 상기 양단부 사이의 중앙부의 너비(W1)와 같거나 유사하게 줄어들게 되면서 상기 벽체 홈의 내측벽 부위에서의 부착강도가 강화되고 상기 양단부가 상기 벽체 홈에서 미끄러져 내리지 않고 정착되는 지수판을 정착하는 제2과정;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에서 상기 지수판을 보호하고 자외선을 차단하는 하류 측 덮개판과 상기 지수판을 관통하는 상기 고정 앵커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지수판을 밀착하면서 상기 하류 측 덮개판을 고정하는 제3과정; 및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이 형성하는 바닥면 중에서 수로관을 통하는 유수의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서 상기 지수판이 신축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하류 측 덮개판의 상부에 겹쳐진 상태로 상기 지수판을 보호하고 자외선을 차단하는 상류 측 덮개판과 상기 지수판을 관통하는 상기 고정 앵커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지수판을 밀착하면서 상기 상류 측 덮개판을 고정하는 제4과정;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26. 삭제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에서는 -40℃∼60℃에서 사용 가능하고, 최대 신장율 120%±10%를 나타내는 고무 재질의 시트 형상인 지수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에서는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이 형성하는 바닥면에 정착되는 상기 지수판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접착제를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에서는 스테인리스 강판 재질이며,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에 정착되도록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연장된 벽체판이 일체로 형성된 하류 측 덮개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30.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에서는 스테인리스 강판 재질이며,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에 정착되도록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형성된 벽체판이 분리형으로 형성된 하류 측 덮개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에서는 상기 하류 측 덮개판의 상기 바닥판과 상기 벽체판의 연결부위가 서로 맞닿은 상태로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에 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32.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에서는 스테인리스 강판 재질이며,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에 정착되도록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연장된 벽체판이 일체로 형성된 상류 측 덮개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33.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에서는 스테인리스 강판 재질이며,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에 정착되도록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꺾여져 형성된 벽체판이 분리형으로 형성된 상류 측 덮개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에서는 상기 상류 측 덮개판의 상기 바닥판과 상기 벽체판의 연결부위가 서로 맞닿은 상태로 상기 바닥 홈과 상기 벽체 홈에 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KR1020140008310A 2014-01-23 2014-01-23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625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310A KR101625468B1 (ko) 2014-01-23 2014-01-23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310A KR101625468B1 (ko) 2014-01-23 2014-01-23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012A KR20150088012A (ko) 2015-07-31
KR101625468B1 true KR101625468B1 (ko) 2016-05-30

Family

ID=53877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310A KR101625468B1 (ko) 2014-01-23 2014-01-23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4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3163A (ko) 2015-09-16 2017-03-24 임종순 수로관 및 이의 시공방법
CN105421315A (zh) * 2015-12-16 2016-03-23 天津市汇川水利工程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装配式矩形钢筋混凝土节水槽
KR101709237B1 (ko) * 2016-05-20 2017-03-08 주식회사 대건 수로구조물 이음부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로구조물 보수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645Y1 (ko) * 2002-04-17 2002-08-21 주식회사 엠디건설 앵커 와 압착판을 이용한 구조물 이음부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645Y1 (ko) * 2002-04-17 2002-08-21 주식회사 엠디건설 앵커 와 압착판을 이용한 구조물 이음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012A (ko) 2015-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437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신축유동 이음부 및 균열부에 대한누수유도공법
KR101625468B1 (ko) 수로관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77615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보수용 방수장치
KR101186104B1 (ko) 유도배수관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익스펜션 조인트 보수공법
KR101752396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 이음부 및 균열부의 누수 유도 공법
KR101732669B1 (ko) 보강부재, 보강부재를 이용하여 보강된 콘크리트 관로 및 보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관로 보수보강공법
KR101145745B1 (ko) 통형관과 이를 이용한 관로 내면 보수공법
JP2001311387A (ja) 既設管路の補修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補修材並びに管路
KR100909880B1 (ko) 방수시트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수조
KR101112218B1 (ko) 수지형 라이너를 이용한 수로교 보수 공법
CN103857857B (zh) 用预制墙壁部件组装墙壁的方法和墙壁组件
JP6660825B2 (ja) 導水構造および導水構造の施工方法
JP4503489B2 (ja) 既設管の補修構造
JP4567564B2 (ja) 暗渠の耐水圧可撓継手
JP2009085004A (ja) 既設管路の補修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補修材並びに管路
KR101524461B1 (ko) 섬유보강재를 구비한 개거수로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137897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익스펜션 조인트 보수공법
JP4823082B2 (ja) 更生パネル、それを用いた更生方法、および更生された構造物
KR100841696B1 (ko) 화학 수지 라이너의 장착 구조와 이 라이너를 이용한 화학수지 라이닝 프리케스트 콘크리트 암거의 제조 방법과 시공방법
JP6378060B2 (ja) 既設管路の補修方法及び補修部材
JP2011132669A (ja) トンネル補修構造
KR101283556B1 (ko) 농수로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30024B1 (ko) 하수암거를 포함한 시설물용 차수형 신축이음장치
JP2018083386A (ja) 更生管路構造およびライニング用帯状部材
KR100912438B1 (ko) 슬라이딩 앵커가 구비된 농수로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