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392B1 - 기저귀 컵 - Google Patents

기저귀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392B1
KR101625392B1 KR1020150076317A KR20150076317A KR101625392B1 KR 101625392 B1 KR101625392 B1 KR 101625392B1 KR 1020150076317 A KR1020150076317 A KR 1020150076317A KR 20150076317 A KR20150076317 A KR 20150076317A KR 101625392 B1 KR101625392 B1 KR 101625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user
regions
pressure senso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기
원병희
김종현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76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392B1/ko
Priority to PCT/KR2016/005620 priority patent/WO201619532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 컵은, 사용자의 배설물이 유입되는 개구부 및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둘레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배설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둘레부의 전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와 개구부의 밀착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복수개의 압력감지센서, 상기 압력감지센서의 전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에 따른 압력을 상기 압력감지센서로 전달하는 브라켓과 상기 둘레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신체와 직접 접촉을 하는 접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저귀 컵{Diaper Cup}
본 발명은 배설물 처리장치에서 기저귀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설물 처리장치를 사용자의 둔부에 장착하고 둔부에 접착되어 있는 부위의 압력정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저귀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 노인 등 거동이 불편하거나 하체를 의지대로 움직이기 어려운 사람들은 스스로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없어 항상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주변에 상주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위와 같이 스스로 배설물을 처리할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해 배설물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배설물 처리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는, 사용자의 배설물을 받기 위해 인체에 적합한 기저귀 형상으로 형성되어 환자의 둔부를 감싸는 기저귀컵, 기저귀컵의 배설물을 흡입한 후 오물통에 저장하며 기저귀컵의 세척과 둔부의 세정 및 비데를 위해 세정수와 건조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본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배설물을 받아 이를 흡입하여 처리기 외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사용자 주변에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상주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다.
다만, 현재까지 개발된 종래의 배설물 처리장치들은 배설물의 처리 기능에만 집중하는 경우가 많아 사용자의 신체를 고려하지 않고 설계되며, 밀착여부 또한 불확실 하여 사용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배설물 처리장치는 사용자의 둔부에 장착될 때 배설물이 배설되는 둔부, 또는 성기 주변에 굴곡이 심해 배설물 처리기가 밀착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며, 이에 따라 밀폐되도록 접촉이 되지 않아 배설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사례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배설물 처리장치가 사용자의 둔부에 과도하게 밀착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상해가 입혀지는 경우도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환자 또는 노인등 배설물 처리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생활하는 경우가 많고, 스스로 자세를 바꾸지 못하는 상황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은 상태가 장시간 지속될 경우에는 욕창 등이 발생하게 되므로, 주기적으로 자세를 바꿔 주는 것을 체크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배설물 처리장치 개구부와 사용자의 신체의 밀착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방법뿐 밀착여부를 판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에 대해 연구 및 개발된 바가 없어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42204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사용자가 배설물 처리장치를 둔부에 착용할 시 밀착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저귀 컵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사용자의 보호자가 특정장소에서 직접 둔부를 눈으로 확인하지 않고 별도의 모니터링 장치로 기저귀컵과 둔부와의 밀착 여부를 편리하게 체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저귀 컵은, 사용자의 배설물이 유입되는 개구부 및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둘레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배설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둘레부의 전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와 개구부의 밀착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복수개의 압력감지센서,
상기 압력감지센서의 전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에 따른 압력을 상기 압력감지센서로 전달하는 브라켓과
상기 둘레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신체와 직접 접촉을 하는 접촉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둘레부는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구획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복수개의 압력감지센서가 구비된다.
또한 복수개의 압력감지센서가 구비되는 영역의 압력감지센서는 상기 둘레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압력감지센서가 구비되는 영역의 압력감지센서 중 상기 둘레부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는 압력감지센서는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둘레부는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복수개의 영역의 수와 같은 개수로 구비되어, 각 영역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둘레부는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구획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는 하나 이상의 압력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복수개의 영역의 수와 같은 개수로 구비되어, 각 영역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감지센서의 측정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의 배설물이 유입되는 개구부 및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둘레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배설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둘레부의 전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와 개구부의 밀착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복수개의 압력감지센서, 상기 압력감지센서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압력감지센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개구홀이 형성된 브라켓, 상기 둘레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신체와 직접 접촉을 하고, 후면에 상기 개구홀에 삽입되어 상기 센서와 접촉을 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접촉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둘레부는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구획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복수개의 압력감지센서가 구비된다.
또한 복수개의 압력감지센서가 구비되는 영역의 압력감지센서는 상기 둘레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압력감지센서가 구비되는 영역의 압력감지센서는 상기 둘레부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둘레부는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복수개의 영역의 수와 같은 개수로 구비되어, 각 영역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둘레부는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구획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는 하나 이상의 압력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복수개의 영역의 수와 같은 개수로 구비되어, 각 영역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감지센서의 측정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의 배설물이 유입되는 개구부 및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둘레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배설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의 회전을 측정하는 회전감지센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둘레부의 전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와 개구부의 밀착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복수개의 압력감지센서, 상기 압력감지센서의 전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에 따른 압력을 상기 압력감지센서로 전달하는 브라켓, 상기 둘레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신체와 직접 접촉을 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다.
또한 상기 둘레부의 전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와 개구부의 밀착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복수개의 압력감지센서, 상기 압력감지센서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압력감지센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개구홀이 형성된 브라켓 및 상기 둘레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신체와 직접 접촉을 하고, 후면에 상기 개구홀에 삽입되어 상기 센서와 접촉을 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접촉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압력감지센서의 측정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저귀 컵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기저귀 컵과 사용자의 둔부가 닿는 면에 복수 개의 압력감지센서를 구비한다. 따라서 기저귀컵과 사용자의 둔부의 밀착여부를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다.
둘째, 기저귀 컵과 사용자의 둔부가 닿는 면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각 영역에 브라켓을 구비한다. 따라서 각 영역에서의 기저귀컵과 사용자의 둔부간의 밀착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셋째, 복수 개의 압력감지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와 기저귀컵의 밀착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확보를 할 수 있다. 따라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기저귀컵을 착용한 상태에서 배설물이 새는지를 지속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넷째, 복수 개의 압력감지센서를 통하여 확보되는 데이터를 통하여 보호자 부재간의 간병인이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욕창방지를 위하여 자세를 교정해 주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섯째, 복수 개의 압력감지센서를 통하여 확보되는 데이터를 통하여 환자의 치료 경과 등에 대한 의학적 판단의 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컵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컵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컵에서 복수개의 압력감지센서의 전면에 배치된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따른 기저귀컵의 변형례로서 압력감지센서가 폭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둘레부가 구획되어 있지 않으며 압력감지센서가 하나만 형성됐을 때, 사용자와 접촉부의 밀착여부에 따른 압력을 압력감지센서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둘레부가 구획되어 있지 않으며 압력감지센서가 복수개로 형성됐을 때, 사용자와 접촉부의 밀착여부에 따른 압력을 압력감지센서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5와 같이 둘레부가 구획되어 있지 않으며 압력감지센서가 하나만 형성됐을 때 사용자의 신체와 기저귀컵의 밀착이 어느 일측으로 편중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6과 같이 둘레부가 구획되어 있지 않으며 압력감지센서가 복수개로 형성됐을 때, 사용자의 신체와 기저귀컵의 밀착이 어느 일측으로 편중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따른 기저귀컵에서 둘레부가 구획되어 있을 때 사용자와 접촉부의 밀착여부에 따른 압력을 압력감지센서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따른 기저귀컵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따른 기저귀컵에서 접촉돌기와 개구홀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따른 기저귀 컵에서 둘레부가 구획되어 있을 때 사용자와 접촉부의 밀착여부에 따른 압력을 압력감지센서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컵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컵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컵에서 복수개의 압력감지센서의 전면에 배치된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저귀컵(100)은 사용자의 배설물을 받아 이를 흡입하여 처리기 외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사용자 주변에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상주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기저귀컵(100)은 몸체부(110), 압력감지센서(120), 브라켓(130) 및 접촉부(140)을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인체에 착용되는 기저귀컵(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그리고 인체의 둔부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112) 및 개구부(112)의 둘레를 따라 둘레부(114)가 형성된다.
개구부(112)는 몸체부(110)의 전면에 형성되고, 개구부(112)를 통하여 유입되는 대변 및 소변 등의 배설물은 몸체부(110) 내부의 배설물이 저정되는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기저귀컵(100)은 거동이 불편하거나 의식이 없는 중환자에 착용이 된다. 따라서 개구부(112)는 환자가 누웠을 때 대변 및 소변 등이 효과적으로 유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성별 및 연령 등이 형태의 설계에 반영될 수 있을 것이다.
둘레부(114)는 개구부(112)의 둘레를 따라 후술하는 압력감지센서(120)가 개구부(112)의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는 공간 또는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둔부에 착용되므로, 압력감지센서(120)가 설치되었을 때, 압력감지센서(120)가 사용자의 둔부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둘레부(114)는 복수개의 영역(A1~A6)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구획된 영역(A1~A6)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복수개의 압력감지센서(120)가 구비된다.
영역(A1~A6)의 구분을 위한 기준은 사용자에 밀착여부를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압력감지센서(120)가 구비되는 영역(A1~A6)의 압력감지센서(120)는 둘레의 길이방향(d1)을 따라 복수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부(140)는 기저귀컵(100)의 둘레부(114)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신체와 직접 접촉을 하는데, 실리콘등의 유연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미세한 움직임을 복수개의 브라켓(130)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신체와 직접 맞닿아 있는 접촉부(140)가 브라켓(130)을 통해 압력감지센서(120)에 밀착여부를 전달할 때 어느 일측으로 압력이 몰리지 않고 독립적으로 밀착 여부를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영역(A1~A6)으로 구획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영역(A1~A6) 중 하부영역(A1)에는 상부영역(A6)보다 많은 수의 센서를 구비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기저귀컵(100)을 사용하는 사람은 본인의 의지대로 몸을 가누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누워서 생활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저귀컵(100)을 누워서 사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소변 및 대변은 중력에 의해 하부영역(A1)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기저귀컵(100)의 하부는 빈틈없이 신체와 밀착되어야 하므로 압력감지센서(120)가 더 많이 필요하다.
이와 반대로, 상부영역(A6)은 상대적으로 하부영역(A1)보다 배설물이 유출될 확률이 적기 때문에 압력감지센서(120)가 하부만큼 밀집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브라켓(130)은 압력감지센서(120)의 전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에 따른 압력을 압력감지센서(120)로 전달한다. 브라켓(130)이 압력감지센서(120)에 밀착여부를 전달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여기서 브라켓(130)은 구획된 둘레부(114)의 복수개의 영역의 수와 같은 개수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반드시 같은 개수로 구비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압력감지센서(120)도 본 실시예에 해당하는 개수에 제한을 받지 않아도 됨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따른 기저귀컵의 변형례로서 압력감지센서가 폭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변형례에 있어서, 복수개의 압력감지센서(120)가 구비되는 영역의 압력감지센서(120) 중 둘레부(114)의 하부영역(A1)에 배치되는 압력감지센서(120)는 폭방향(d2)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따른 기저귀컵(100)의 변형례로서 압력감지센서(120)가 폭방향(d2)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부영역(A1)에 센서부가 집중되어 배설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압력감지센서(120)를 폭방향(d2)으로 설계함에 따라 기저귀컵(100)과 신체의 밀착 정도를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압력감지센서(120)가 길이방향(d1)을 따라 배치되어 사용자의 둔부와 기저귀컵(100)의 밀착여부 위치를 폭넓게 측정하는 반면, 본 변형예의 압력감지센서(120)는 폭방향(d2)으로 배치되어 밀착의 강도를 감지하는데 용이하다.
즉, 압력감지센서(120)를 두겹으로 배치하여 사용자의 둔부와 기저귀컵(100)의 밀착강도를 보다 미세하게 파악할 수 있어, 사용자가 과도한 압력에 의한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식물인간 또는 하반신 마비일 경부 미세한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어 사용자의 회복 정도를 파악하는 데도 용이할 수 있다.
물론, 압력감지센서(120)는 본 실시예와 같이 하부영역(A1)에만 구비되지 않아도 됨은 물론이고, 반드시 두 개의 센서가 포개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포개지며 구비되는 압력감지센서(120)의 개수도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컵(100)의 변형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둘레부(114)가 구획됨으로써 신체와 기저귀컵(100)의 밀착정도가 압력감지센서(120)에 전달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7은 둘레부가 구획되어 있지 않으며 압력감지센서가 하나만 형성됐을 때, 사용자와 접촉부의 밀착여부에 따른 압력을 압력감지센서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및 둘레부가 구획되어 있지 않으며 압력감지센서가 하나만 형성됐을 때 사용자의 신체와 기저귀컵의 밀착이 어느 일측으로 편중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 및 도 8은 둘레부가 구획되어 있지 않으며 압력감지센서가 복수개로 형성됐을 때, 사용자와 접촉부의 밀착여부에 따른 압력을 압력감지센서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및 둘레부가 구획되어 있지 않으며 압력감지센서가 복수개로 형성됐을 때, 사용자의 신체와 기저귀컵의 밀착이 어느 일측으로 편중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기저귀컵(100)에 구비된 둘레부(114)는 복수의 영역(A1~A6)으로 구획되어 사용자와 기저귀컵(100)의 밀착여부를 각기 다른 영역별로 체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5 및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신체와 접촉부(140)가 맞닿을 때, 닿지 않는 공간(C)이 생기는데, 이럼에도 불구하고 일체형으로 형성된 브라켓(130)이 압력감지센서(120)에 압력을 전달한다. 즉, 신체와 닿지 않는 면(C)이 생길 수 있지만 압력감지센서(120)에는 압력이 가해져 밀착되어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즉 신체와 기저귀컵(100)의 밀착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여기서, 도 6 및 도 8과 같은 경우에도 도 5 및 도 7에서와 같이 기저귀컵(100)과 신체 사이 어느 한 측이 밀착이 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구체적인 밀착여부가 판단되는 과정을 배설물이 가장 유출 되기 쉬운 하부영역(A1)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접촉부(140) 하부에 구획되지 않은 브라켓(130)이 구비되며, 브라켓(130) 하부에 복수개의 압력감지센서(S1~S3)가 구비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부(140)와 밀착되게 되면 브라켓(130)을 통해 압력감지센서(S1~S3)으로 전달되게 된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신체와 접촉부(140)의 밀착여부가 센서(S2)에 편중되게 되는데, 전술했듯이 접촉부(140)는 실리콘등의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센서(S2) 뿐만 아니라 센서(S1, S3)에도 밀착력이 전달되게 된다.
물론, 센서(S2)에는 센서(S1, S3)보다 강한 밀착력이 전달되게 되고 센서(S1, S3)에는 센서(S2)보다 약한 밀착력이 전달되게 된다. 이에 따라 센서(S1, S3)가 구비된 위치에 있는 접촉부(140)가 밀착이 덜 되어있다는 것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신체 중 어느 한 부분이 접촉부(140)로부터 이격 되어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와 기저귀컵(100) 사이에 밀착력이 발생하여 압력감지센서(S1~S3)에 각기 다른 밀착력이 전달될 때 각각의 압력감지센서(S1~S3)에 압력이 인가되는 시간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를 통하여도 신체와 접촉부의 밀착정보에 대한 보다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신체와 접촉부(140)의 밀착여부에서 사용자의 신체가 센서(S3)측으로 편중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전술했듯이 센서(S3)에는 센서(S2, S1)에 가해지는 압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게 되는데, 여기서 도면에서 볼 수 있듯 사용자의 신체가 좌측으로 편중되어있게 되면 압력감지센서(S1~S3)에 가해지는 압력강도는 S3>S2>S1 순으로 가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각기 다른 압력강도를 활용해 기저귀컵(100)이 사용자의 신체중 어느 측에서 이격 되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따른 기저귀컵에서 둘레부가 구획되어 있을 때 사용자와 접촉부의 밀착여부에 따른 압력을 압력감지센서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인 기저귀컵(100)에서 둘레부(114)가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고, 각 영역에 브라켓(130)이 구비되어 있게되면, 각 영역에서의 신체와 기저귀컵(100)의 밀착여부를 보다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영역(A2)와 제4역역(A4) 각각에 브라켓이 구비된 것으로 설명을 하면, 상기 도5에서와 같이 제2영역(A2)에 입력이 들어오는 경우, 제2영역의 브라켓과 제4영역의 브라켓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제2영역에의 압력인가가 제4영역의 압력센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제4영역은 신체와 떨어져 있음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컵(100)과 그 변형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따른 기저귀컵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따른 기저귀컵에서 접촉돌기와 개구홀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따른 기저귀컵에서 둘레부가 구획되어 있을 때 사용자와 접촉부의 밀착여부에 따른 압력을 압력감지센서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컵(100) 역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나, 둘레부(114)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신체와 직접 접촉을 하고, 후면에 개구홀(230a)에 삽입되어 압력감지센서(120)와 접촉을 하는 접촉돌기(240a)가 형성된 접촉부(240)가 형성된 점이 다르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접촉부(240)에 형성된 접촉돌기(240a)가 브라켓(230)에 형성된 개구홀(230a)을 통해 압력감지센서(120)를 압력 하는 형태로 보다 정확하게 압력할 수 있다.
여기서, 압력감지센서(S1~S3)에 압력이 가해지는 전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며, 접촉부(240)에 형성된 접촉돌기가 보다 더 정확히 압력을 전달할 수 있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압력이 생길 때 압력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체형의 브라켓(230)에 복수의 개구홀(230a)을 형성하여 접촉부(240)의 가해지는 압력을 독립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와 같이 각 영역별 브라켓이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접촉돌기(240a)와 개구홀(230a)의 형태와 개수에는 압력감지센서의 개수에 대응하여 구비된다.
한편, 둘레부(114) 및 브라켓(230)이 구획됨으로써 신체와 기저귀컵(100)의 밀착정도가 압력감지센서(120)에 전달되는 과정은 전술한 제1 실시와 동일하며, 접촉돌기(240a)가 형성되어 보다 정확한 압력이 가능하다는 것이 다른 점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브라켓(230)이 구획되어 있어 발생하는 효과는 도 9를 통해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기저귀컵(100)은 압력감지센서(120)의 측정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다양한 이미지 형태로 밀착여부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3과 같은 형태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상기 이미지를 통하여 각 영역별 압력센서에 측정값은 강, 중, 약 등 색깔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경우 사용자가 환자에 기저귀컵(100)을 착용하는 과정에서 즉각적으로 밀착여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센서를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는 환자의 움직임에 따른 정보를 의사 또는 보호자에게 제공하게 되고, 해당 자료를 통하여 보호자는 보호자 부재 중 간병인이 욕창 방지 등을 위하여 주기적으로 환자의 자세를 바꾸어 주였는 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의료진의 경우 환자의 움직임에 따른 데이터의 확보를 통하여 치료 경과 등 다양한 의료적인 판단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인 기저귀컵(100)은 회전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감지센서는 몸체부(110)에 설치되어 몸체부(110)의 회전을 측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둔부에 착용되는 기저귀컵(100)은 x, y, z축이 아닌 roll, yaw, pitch 축으로 회전한다. 이 원리는 배 및 비행기에서 사용하는 좌표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을 보다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경우 사용자가 기저귀컵(100)을 착용한 상태에서 움직일 때 기저귀컵(100)에 설치된 회전감지센서를 이용해 사용자의 움직임 방향 또는 범위를 파악할 수 있어, 보호자 또는 의사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 기저귀컵 110 : 몸체부
112 : 개구부 114 : 둘레부
120 : 압력감지센서 130 : 브라켓
140 : 접촉부 240a : 접촉돌기
230 : 브라켓 230a : 개구홀
240 : 접촉부
d1 : 길이방향 d2 : 폭방향
A : 영역 S(1~12) : 센서
C : 빈공간

Claims (18)

  1. 사용자의 배설물이 유입되는 개구부 및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둘레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배설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둘레부의 전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와 개구부의 밀착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복수개의 압력감지센서;
    상기 압력감지센서의 전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에 따른 압력을 상기 압력감지센서로 전달하는 브라켓; 및
    상기 둘레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신체와 직접 접촉을 하는 접촉부;
    를 포함하며,
    상기 둘레부는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구획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복수개의 압력감지센서가 구비되는 기저귀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센서의 측정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기저귀컵.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압력감지센서가 구비되는 영역의 압력감지센서는 상기 둘레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는 기저귀컵.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압력감지센서가 구비되는 영역의 압력감지센서 중 상기 둘레부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는 압력감지센서는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는 기저귀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의 회전을 측정하는 회전감지센서;
    를 포함하는 기저귀컵.
  6. 사용자의 배설물이 유입되는 개구부 및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둘레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배설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둘레부의 전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와 개구부의 밀착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복수개의 압력감지센서;
    상기 압력감지센서의 전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에 따른 압력을 상기 압력감지센서로 전달하는 브라켓; 및
    상기 둘레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신체와 직접 접촉을 하는 접촉부;
    를 포함하며,
    상기 둘레부는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복수개의 영역의 수와 같은 개수로 구비되어, 각 영역에 설치되는 기저귀컵.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된 둘레부의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하나 이상의 압력감지센서가 구비되는 기저귀컵.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센서의 측정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기저귀컵.
  9. 사용자의 배설물이 유입되는 개구부 및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둘레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배설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둘레부의 전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와 개구부의 밀착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복수개의 압력감지센서;
    상기 압력감지센서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압력감지센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개구홀이 형성된 브라켓; 및
    상기 둘레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을 하고, 후면에 상기 개구홀에 삽입되어 상기 압력감지센서와 접촉을 하는 접촉돌기가 형성된 접촉부;
    를 포함하는 기저귀컵.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는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구획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복수개의 압력감지센서가 구비되는 기저귀컵.
  11. 제9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압력감지센서가 구비되는 영역의 압력감지센서는 상기 둘레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는 기저귀컵.
  12. 제9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압력감지센서가 구비되는 영역의 압력감지센서는 상기 둘레부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는 기저귀컵.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는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복수개의 영역의 수와 같은 개수로 구비되어, 각 영역에 설치되는 기저귀컵.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는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구획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는 하나 이상의 압력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복수개의 영역의 수와 같은 개수로 구비되어, 각 영역에 설치되는 기저귀컵.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센서의 측정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기저귀컵.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50076317A 2015-05-29 2015-05-29 기저귀 컵 KR101625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317A KR101625392B1 (ko) 2015-05-29 2015-05-29 기저귀 컵
PCT/KR2016/005620 WO2016195326A1 (ko) 2015-05-29 2016-05-27 기저귀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317A KR101625392B1 (ko) 2015-05-29 2015-05-29 기저귀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392B1 true KR101625392B1 (ko) 2016-06-14

Family

ID=56191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317A KR101625392B1 (ko) 2015-05-29 2015-05-29 기저귀 컵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25392B1 (ko)
WO (1) WO201619532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622U (ja) * 1993-06-30 1995-01-27 富雄 岩井 褥創予防と排泄物回収装置
JP2008036018A (ja) * 2006-08-03 2008-02-21 Care Life Japan Kk 使用者装着装置及び自動排泄処理装置
KR100942204B1 (ko) 2009-08-11 2010-02-11 주식회사 큐라코 노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KR20140133308A (ko) * 2013-05-10 2014-11-19 주식회사 큐라코 배설물 처리장치의 기저귀컵 자동 밀착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578B1 (ko) * 2006-05-19 2008-01-24 주식회사 산요테크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0953957B1 (ko) * 2008-05-08 2010-04-21 김정숙 스윙 구조를 갖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이용방법
KR100963598B1 (ko) * 2008-05-08 2010-06-16 김정숙 좌우로 기울어져 움직이는 구조를 갖는 자동 배변 처리장치및 좌우로 기울어진 구조를 갖는 처리장치에서의 자동배변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622U (ja) * 1993-06-30 1995-01-27 富雄 岩井 褥創予防と排泄物回収装置
JP2008036018A (ja) * 2006-08-03 2008-02-21 Care Life Japan Kk 使用者装着装置及び自動排泄処理装置
KR100942204B1 (ko) 2009-08-11 2010-02-11 주식회사 큐라코 노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KR20140133308A (ko) * 2013-05-10 2014-11-19 주식회사 큐라코 배설물 처리장치의 기저귀컵 자동 밀착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5326A1 (ko) 201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5600B2 (ja) 水分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CN106510960B (zh) 智能护理耗材及具有其的生理监控装置
ES2747261T3 (es) Sensores de impedancia para detectar y supervisar humedad en artículos absorbentes
JP6041274B2 (ja) ヒト糞便用収集器
US20040220538A1 (en) Hygienic diaper, sensor pad, and or sensing belt with alert, readout, transmission, paging, software & patient information database recording means for treating & caring for wetness, feces, & disease
TWI528955B (zh) 人用排泄物收集器
IL261969A (en) Wireless system for alert dressing for pressure ulcer
US11806219B2 (en) Sensor for absorbent article
KR101754393B1 (ko) 흡수용품의 교체시기 알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알림 방법
WO2017059831A1 (en) Sensory system for the electronic detection of body fluids in a diaper
JP2023509612A (ja)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
KR20130043794A (ko) 배설물 감지용 기저귀 및 이를 이용한 기저귀 상태 감지 시스템
KR101625392B1 (ko) 기저귀 컵
WO2021113230A1 (en) Sensor for absorbent article
KR101592354B1 (ko) 기저귀컵 모니터링 방법
US10888467B2 (en) Sensor for absorbent article
KR102116665B1 (ko) 휴대용 배변 감시 장치
KR20210078091A (ko) 와상 환자의 동작 및 상태에 대한 통합 분석 기능이 적용된 배설돌봄로봇
KR20110045208A (ko) 팬티 기저귀 및 팬티 기저귀 착용자의 상태점검방법
KR102364414B1 (ko) 착용자의 건강상태 확인 기능을 갖는 용변 감지장치를 채택한 기저귀
KR102364412B1 (ko) 착용자의 건강상태 확인이 가능한 기저귀 기능을 수행하는 용변 감지장치
JP2019030617A (ja) 便座に装着可能な生体計測情報のウレタン密封式のセンサーマットシステム。
KR20190023326A (ko) 배변 알림 기능을 구비한 침대
US20230346609A1 (en) Wetness Pad Assembly, System and Method
KR20140124309A (ko) 욕창방지용 자세 교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