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412B1 - 착용자의 건강상태 확인이 가능한 기저귀 기능을 수행하는 용변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착용자의 건강상태 확인이 가능한 기저귀 기능을 수행하는 용변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412B1
KR102364412B1 KR1020210098238A KR20210098238A KR102364412B1 KR 102364412 B1 KR102364412 B1 KR 102364412B1 KR 1020210098238 A KR1020210098238 A KR 1020210098238A KR 20210098238 A KR20210098238 A KR 20210098238A KR 102364412 B1 KR102364412 B1 KR 102364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unit
toilet
lining
wearer
absorben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경화
주성현
Original Assignee
지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경화 filed Critical 지경화
Priority to KR1020210098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8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radio-opaque material or signalling means for residua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the alarm being a temperature ch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having an electronic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73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for diagnostic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건강상태 확인이 가능한 기저귀 기능을 수행하는 용변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로 유아나 배변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노인 등이 착용하는 기저귀에 감지장치를 부착하고, 이를 통해 배변을 포함한 용변을 감지하여 착용자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착용자의 피부 상에서 배변을 포함한 용변의 외부이탈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방수커버(2); 상기 방수커버(2)의 내측에 부착 구비되어 용변을 흡수 또는 수용하는 안감흡수층(3); 상기 안감흡수층(3)의 내면 상에 띠 형태로 구비되는 감지부(13); 상기 감지부(13)는 안감흡수층(3)의 길이방향으로 한쌍의 띠 형태로 상호간에 이격 형성되어 용변을 감지하는 용변감지부(13a)와, 상기 용변감지부(13a)의 상호 이격된 양단부측에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달감지부(13b)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양측 전달감지부(13b)의 마주하는 양단부는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며, 상기 전달감지부(13b)의 마주하는 양단부를 일부 포함하여 방수커버(2) 상에 관통 형성되는 착탈용 통공부(11); 상기 착탈용 통공부(11)에 의해 착탈용 통공부(11)의 외측으로 안감흡수층(3)의 일부가 노출되며, 상기 착탈용 통공부(11) 내에 삽입위치되어 상기 전달감지부(13b)의 마주하는 양단부 및 안감흡수층(3)을 동시에 접촉 파지하여 용변감지부(13a) 및 전달감지부(13b)를 포함하는 감지부(13) 상에 용변의 접촉상태, 가스 발생상태, 체온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저항감지센서(71), 중량감지센서(72), 가스감지센서(73) 및 체온감지센서(74)를 포함한 감지센서부(70)를 구비하여 착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집게형 센서기(50); 상기 집게형 센서기(50) 내에는 송신부(80)가 구비되어 모바일폰 또는 PC를 포함한 수신부(85)에 정보를 전달하여 수신부(85) 내의 앱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연산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착용자의 건강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용자의 건강상태 확인이 가능한 기저귀 기능을 수행하는 용변 감지장치{Toilet detection device with a function to check the health status of the diaper wearer}
본 발명은 착용자의 건강상태 확인이 가능한 기저귀 기능을 수행하는 용변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유아나 배변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노인 등이 착용하는 기저귀에 감지장치를 부착하고, 이를 통해 배변을 포함한 용변을 감지하여 착용자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착용자의 건강상태 확인이 가능한 기저귀 기능을 수행하는 용변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 고령의 노인은 배변을 위해서 누군가의 도움이 항상 필요한 사회적인 약자로 분류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은 24시간 누군가의 도움을 받아 용변을 해결하기는 쉽지 않다.
배변의 경우, 개인적인 식습관의 차이 등으로 인하여 주기가 불규칙적이고,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유아 또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 고령의 노인 등은 가급적 기저귀를 착용하여 곤란한 상황을 극복한다.
그러나 기저귀를 이용한 배변해결의 경우도,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인체의 피부가 물르거나, 염증을 동반하는 등의 피부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자심감이 결여 등 정신적인 위축감마저 뒤따르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등록특허 제10-1881103호는 스마트 영유아 용변시스템과 관련된 기술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으로서 스마트 영유아 용변시스템은 각종 센서를 통해서 배변의 종류를 판단하고, 기저귀를 교체할 타이밍을 알려주게 된다. 그러나 선행문헌은 기저귀 상에 각종 센서의 부착에 대한 설명만으로 된 것으로 각종 센서의 구체적 부착 또는 결합구조가 제시되어 있지 않다.
다른 선행문헌으로 공개특허 제10-2021-0041531호에서는 스마트 기저귀를 포함한 배변량 측정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 선행문헌에서는 각 센싱을 판단하는 판단부가 기저귀 상에 단순 부착되어 고정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1회용도로 밖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선행문헌으로 공개특허 제10-2021-0034375호에서는 용변감지장치를 용변 접촉부 상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착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용변 접촉부 상에서 용변감지장치가 이탈되면 정확한 용변 감지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881103호 공개특허 제10-2021-0041531호 공개특허 제10-2021-0034375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유아나 배변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노인 등이 착용하는 기저귀에 감지장치를 부착하고, 이를 통해 배변을 포함한 용변을 감지하여 착용자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착용자의 건강상태 확인이 가능한 기저귀 기능을 수행하는 용변 감지장치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피부 상에서 배변을 포함한 용변의 외부이탈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방수커버(2); 상기 방수커버(2)의 내측에 부착 구비되어 용변을 흡수 또는 수용하는 안감흡수층(3); 상기 안감흡수층(3)의 내면 상에 띠 형태로 구비되는 감지부(13); 상기 감지부(13)는 안감흡수층(3)의 길이방향으로 한쌍의 띠 형태로 상호간에 이격 형성되어 용변을 감지하는 용변감지부(13a)와, 상기 용변감지부(13a)의 상호 이격된 양단부측에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달감지부(13b)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양측 전달감지부(13b)의 마주하는 양단부는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며, 상기 전달감지부(13b)의 마주하는 양단부를 일부 포함하여 방수커버(2) 상에 관통 형성되는 착탈용 통공부(11); 상기 착탈용 통공부(11)에 의해 착탈용 통공부(11)의 외측으로 안감흡수층(3)의 일부가 노출되며, 상기 착탈용 통공부(11) 내에 삽입위치되어 상기 전달감지부(13b)의 마주하는 양단부 및 안감흡수층(3)을 동시에 접촉 파지하여 용변감지부(13a) 및 전달감지부(13b)를 포함하는 감지부(13) 상에 용변의 접촉상태, 가스 발생상태, 체온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저항감지센서(71), 중량감지센서(72), 가스감지센서(73) 및 체온감지센서(74)를 포함한 감지센서부(70)를 구비하여 착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집게형 센서기(50); 상기 집게형 센서기(50) 내에는 송신부(80)가 구비되어 모바일폰 또는 PC를 포함한 수신부(85)에 정보를 전달하여 수신부(85) 내의 앱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연산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착용자의 건강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착탈용 통공부(11)는 전달감지부(13b)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측으로 각각 착탈용 통공부(11)의 개방공간이 연장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집게형 센서기(50)는 축핀(59) 상에 지지체(55)와 회전체(51)가 결합되어 축핀(59)을 중심으로 회전체(51)가 회전되어지되, 상기 축핀(59) 상에는 스프링(58)이 끼워져 양측 지지체(55)와 회전체(51) 측으로 각각 연장연결되어 양측 지지체(55)와 회전체(51) 상호간이 축핀(59)을 중심으로 스프링(58)에 의해 상호 탄성작동되고, 상기 축핀(59)을 중심으로 하여 일측편에 회전개방되어 전달감지부(13b)의 마주하는 양단부 및 안감흡수층(3)을 동시에 접촉 파지하도록 지지체(55)와 회전체(51)가 밀착된 상태로 위치되어 있다가 회전개방되는 가압파지측(53)과, 상기 가압파지측(53)을 회전개방시키도록 축핀(59)의 타측편에 지지체(55)와 회전체(51)가 벌어진 상태로 위치되어 있다가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지지체(55)와 회전체(51)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누름조절측(52)으로 형성되며, 상기 누름조절측(52)의 외측 표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미끌림 방지를 위해 요철면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집게형 센서기(50)의 누름조절측(52)에 위치되는 지지체(55)와 회전체(51)의 마주하는 면 상에는 각각 돌부(55a,51a) 및 홈부(55b,51b)가 연속 형성되어 누름조절측(52)의 가압 최대치에서 상호간에 교차삽입되게 함으로써 집게형 센서기(50)의 안정적인 작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집게형 센서기(50)의 가압파지측(53)에 위치되는 지지체(55)와 회전체(51)의 마주하는 면 상에서, 상기 회전체(51)의 면 상에는 전달감지부(13b)에 마주하여 밀착되는 전극부(151)가 양측에 각각 한쌍으로 돌출 구비되고, 상기 지지체(55)의 면 상에는 돌출형태의 상기 전극부(151)에 의해 후방으로 밀림되는 전달감지부(13b), 안감흡수층(3) 및 방수커버(2)을 수용하도록 수용안착홈(155)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자의 건강상태 확인이 가능한 기저귀 기능을 수행하는 용변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아나 배변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노인 등이 착용하는 기저귀에 감지장치를 부착하고, 이를 통해 배변을 포함한 용변을 감지하여 착용자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착용자의 건강상태 확인이 가능한 기저귀 기능을 수행하는 용변 감지장치에 사용되는 기저귀의 사용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기저귀에 감지기를 부착한 상태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감지기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감지기의 누름조절측 사용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감지기의 가압파지측 사용 예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착용자의 건강상태 확인이 가능한 기저귀 기능을 수행하는 용변 감지장치의 센싱, 송수신, 탐지기 및 회로판 실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유아나 배변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노인 등이 착용하는 기저귀에 감지장치를 부착하고, 이를 통해 배변을 포함한 용변을 감지하여 착용자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착용자의 건강상태 확인이 가능한 기저귀 기능을 수행하는 용변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보면 방수커버(2), 흡수층(3), 감지부(13), 착탈용 통공부(11), 집게형 센서기(50), 송신부(80) 및 수신부(8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상기 기저귀는 통상의 기저귀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착용자를 기준으로 하여 외측에 착용자의 피부 상에서 배변을 포함한 용변의 외부이탈을 방지하도록 방수커버(2)가 구비되고, 상기 방수커버(2)의 내측에 용변을 흡수 또는 수용하는 안감흡수층(3)이 부착 구비된다.
이러한 형태를 갖는 기저귀 상에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감지부 형태와는 다른 형태로서 감지부(13)를 구성토록 한다. 이를 위한 상기 감지부(13)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안감흡수층(3)의 내면 상에 띠 형태로 구비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감지부(13)는 안감흡수층(3)의 길이방향으로 한쌍의 띠 형태로 상호간에 이격 형성되어 용변을 감지하는 용변감지부(13a)와, 상기 용변감지부(13a)의 상호 이격된 양단부측에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달감지부(13b)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양측 전달감지부(13b)의 마주하는 양단부는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양측 각각의 감지 기능이 독립적으로 실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감지부(13)는 도 1에서와 같이 주로 띠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구리선 등을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착용자의 착용감이나 제작성 등을 고려하여 통전형 염료로서 프린팅하여 사용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전달감지부(13b)의 마주하는 양단부를 일부 포함하여 방수커버(2) 상에 착탈용 통공부(11)를 관통 형성한다. 상기 착탈용 통공부(11)는 후술되는 집게형 센서기(50)가 삽입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착탈용 통공부(11)에 의해 착탈용 통공부(11)의 외측으로 안감흡수층(3)의 일부가 노출되며, 그 노출된 안감흡수층(3)은 후술되는 집게형 센서기(50)의 가압파지측(53)의 작동을 위해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도 2의 좌측부분에서와 같이 상기 착탈용 통공부(11)는 전달감지부(13b)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측으로 각각 착탈용 통공부(11)의 개방공간이 연장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착탈용 통공부(11) 내에 삽입위치되어 상기 전달감지부(13b)의 마주하는 양단부 및 안감흡수층(3)을 동시에 접촉 파지하여 용변감지부(13a) 및 전달감지부(13b)를 포함하는 감지부(13) 상에 용변의 접촉상태, 가스 발생상태, 체온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저항감지센서(71), 중량감지센서(72), 가스감지센서(73) 및 체온감지센서(74)를 포함한 감지센서부(70)를 구비하여 착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집게형 센서기(50)가 구비된다.
집게형 센서기(50)는 용변의 저항 또는 중량, 가스, 체온 등을 감지하기 위해 저항감지센서(71), 중량감지센서(72), 가스감지센서(73) 및 체온감지센서(74)를 포함한 감지센서부(70) 측으로 전기적 신호를 보내게 되는데, 이때 그 신호를 지속적으로 보내게 되면 집게형 센서기(50) 내에 구비된 배터리(미도시됨)의 수명이 단축되기 때문에 일정 시간을 주기로 하여 간헐적으로 전기적 신호를 송신토록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감지부(13)의 표면에 용변이 접촉되면 감지센서부(70)에서 감지부(13) 상의 전기저항, 인턱턴스 및 정전용량 등의 전기적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함으로써 저항감지센서(71), 중량감지센서(72), 가스감지센서(73) 및 체온감지센서(74)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집게형 센서기(50)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집게형 센서기(50)는 축핀(59) 상에 지지체(55)와 회전체(51)가 결합되어 축핀(59)을 중심으로 회전체(51)가 회전되어지되, 상기 축핀(59) 상에는 스프링(58)이 끼워져 양측 지지체(55)와 회전체(51) 측으로 각각 연장연결되어 양측 지지체(55)와 회전체(51) 상호간이 축핀(59)을 중심으로 스프링(58)에 의해 상호 탄성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축핀(59)을 중심으로 하여 일측편에 회전개방되어 전달감지부(13b)의 마주하는 양단부 및 안감흡수층(3)을 동시에 접촉 파지하도록 지지체(55)와 회전체(51)가 밀착된 상태로 위치되어 있다가 회전개방되는 가압파지측(53)과, 상기 가압파지측(53)을 회전개방시키도록 축핀(59)의 타측편에 지지체(55)와 회전체(51)가 벌어진 상태로 위치되어 있다가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지지체(55)와 회전체(51)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누름조절측(52)으로 형성된다.
이때,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누름조절측(52)의 외측 표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미끌림 방지를 위해 요철면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집게형 센서기(50)의 누름조절측(52)에 위치되는 지지체(55)와 회전체(51)의 마주하는 면 상에는 각각 돌부(55a,51a) 및 홈부(55b,51b)가 연속 형성되어 누름조절측(52)의 가압 최대치에서 상호간에 교차삽입되게 함으로써 집게형 센서기(50)의 안정적인 작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집게형 센서기(50)의 가압파지측(53)에 위치되는 지지체(55)와 회전체(51)의 마주하는 면 상에서, 상기 회전체(51)의 면 상에는 전달감지부(13b)에 마주하여 밀착되는 전극부(151)가 양측에 각각 한쌍으로 돌출 구비되고, 상기 지지체(55)의 면 상에는 돌출형태의 상기 전극부(151)에 의해 후방으로 밀림되는 전달감지부(13b), 안감흡수층(3) 및 방수커버(2)을 수용하도록 수용안착홈(155)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기 집게형 센서기(50) 내에는 도 7에서와 같이 송신부(80)가 구비되어 모바일폰 또는 PC를 포함한 수신부(85)에 정보를 전달하여 수신부(85) 내의 앱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연산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착용자의 건강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송신부(80)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사용가능한데, 그 블루투스의 전기적 실시예는 도 8을 통해서 상세하게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9는 집게형 센서기(50)의 전기적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10은 위 도 8 및 도 9를 적용한 센서기(50)을 나타낸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착용자의 건강상태 확인이 가능한 기저귀 기능을 수행하는 용변 감지장치에 의하면 유아나 배변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노인 등이 착용하는 기저귀에 감지장치를 부착하고, 이를 통해 배변을 포함한 용변을 감지하여 착용자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방수커버 3: 안감흡수층
11: 착탈용 통공부 13: 감지부
13a: 용변감지부 13b: 전달감지부
70: 집게형 센서기 80: 송신부
85: 수신부

Claims (5)

  1. 착용자의 피부 상에서 배변을 포함한 용변의 외부이탈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방수커버(2);
    상기 방수커버(2)의 내측에 부착 구비되어 용변을 흡수 또는 수용하는 안감흡수층(3);
    상기 안감흡수층(3)의 내면 상에 띠 형태로 구비되는 감지부(13); 상기 감지부(13)는 안감흡수층(3)의 길이방향으로 한쌍의 띠 형태로 상호간에 이격 형성되어 용변을 감지하는 용변감지부(13a)와, 상기 용변감지부(13a)의 상호 이격된 양단부측에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달감지부(13b)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양측 전달감지부(13b)의 마주하는 양단부는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며,
    상기 전달감지부(13b)의 마주하는 양단부를 일부 포함하여 방수커버(2) 상에 관통 형성되는 착탈용 통공부(11); 상기 착탈용 통공부(11)에 의해 착탈용 통공부(11)의 외측으로 안감흡수층(3)의 일부가 노출되며,
    상기 착탈용 통공부(11) 내에 삽입위치되어 상기 전달감지부(13b)의 마주하는 양단부 및 안감흡수층(3)을 동시에 접촉 파지하여 용변감지부(13a) 및 전달감지부(13b)를 포함하는 감지부(13) 상에 용변의 접촉상태, 가스 발생상태, 체온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저항감지센서(71), 중량감지센서(72), 가스감지센서(73) 및 체온감지센서(74)를 포함한 감지센서부(70)를 구비하여 착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집게형 센서기(50); 상기 집게형 센서기(50) 내에는 송신부(80)가 구비되어 모바일폰 또는 PC를 포함한 수신부(85)에 정보를 전달하여 수신부(85) 내의 앱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연산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착용자의 건강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착탈용 통공부(11)는 전달감지부(13b)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측으로 각각 착탈용 통공부(11)의 개방공간이 연장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집게형 센서기(50)는 축핀(59) 상에 지지체(55)와 회전체(51)가 결합되어 축핀(59)을 중심으로 회전체(51)가 회전되어지되, 상기 축핀(59) 상에는 스프링(58)이 끼워져 양측 지지체(55)와 회전체(51) 측으로 각각 연장연결되어 양측 지지체(55)와 회전체(51) 상호간이 축핀(59)을 중심으로 스프링(58)에 의해 상호 탄성작동되고, 상기 축핀(59)을 중심으로 하여 일측편에 회전개방되어 전달감지부(13b)의 마주하는 양단부 및 안감흡수층(3)을 동시에 접촉 파지하도록 지지체(55)와 회전체(51)가 밀착된 상태로 위치되어 있다가 회전개방되는 가압파지측(53)과, 상기 가압파지측(53)을 회전개방시키도록 축핀(59)의 타측편에 지지체(55)와 회전체(51)가 벌어진 상태로 위치되어 있다가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지지체(55)와 회전체(51)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누름조절측(52)으로 형성되며, 상기 누름조절측(52)의 외측 표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미끌림 방지를 위해 요철면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집게형 센서기(50)의 누름조절측(52)에 위치되는 지지체(55)와 회전체(51)의 마주하는 면 상에는 각각 돌부(55a,51a) 및 홈부(55b,51b)가 연속 형성되어 누름조절측(52)의 가압 최대치에서 상호간에 교차삽입되게 함으로써 집게형 센서기(50)의 안정적인 작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집게형 센서기(50)의 가압파지측(53)에 위치되는 지지체(55)와 회전체(51)의 마주하는 면 상에서, 상기 회전체(51)의 면 상에는 전달감지부(13b)에 마주하여 밀착되는 전극부(151)가 양측에 각각 한쌍으로 돌출 구비되고, 상기 지지체(55)의 면 상에는 돌출형태의 상기 전극부(151)에 의해 후방으로 밀림되는 전달감지부(13b), 안감흡수층(3) 및 방수커버(2)을 수용하도록 수용안착홈(155)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자의 건강상태 확인이 가능한 기저귀 기능을 수행하는 용변 감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98238A 2021-07-27 2021-07-27 착용자의 건강상태 확인이 가능한 기저귀 기능을 수행하는 용변 감지장치 KR102364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238A KR102364412B1 (ko) 2021-07-27 2021-07-27 착용자의 건강상태 확인이 가능한 기저귀 기능을 수행하는 용변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238A KR102364412B1 (ko) 2021-07-27 2021-07-27 착용자의 건강상태 확인이 가능한 기저귀 기능을 수행하는 용변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4412B1 true KR102364412B1 (ko) 2022-02-16

Family

ID=80474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238A KR102364412B1 (ko) 2021-07-27 2021-07-27 착용자의 건강상태 확인이 가능한 기저귀 기능을 수행하는 용변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41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0285A (ja) * 1994-09-14 1996-03-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監視装置
JP2001293022A (ja) * 2000-04-11 2001-10-23 Figaro Eng Inc 排泄の検出装置
JP3147110U (ja) * 2008-08-25 2008-12-18 賢榮 梁 おむつセンサ装置
KR101881103B1 (ko) 2017-05-22 2018-08-24 주식회사 모닛 스마트 영유아 용변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1014232A1 (en) * 2019-07-22 2021-01-28 Akrami Mohammad Smart system of diaper replacement time alert with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without body contact
KR20210034375A (ko) 2019-09-20 2021-03-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및 용변 감지 장치
KR20210041531A (ko) 2019-10-04 2021-04-15 주식회사 모닛 스마트 기저귀를 포함한 배변량 측정 시스템
KR102263809B1 (ko) * 2021-02-18 2021-06-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및 용변 감지 장치
KR20210079819A (ko) * 2019-12-20 2021-06-30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소변 감지 기저귀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0285A (ja) * 1994-09-14 1996-03-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監視装置
JP2001293022A (ja) * 2000-04-11 2001-10-23 Figaro Eng Inc 排泄の検出装置
JP3147110U (ja) * 2008-08-25 2008-12-18 賢榮 梁 おむつセンサ装置
KR101881103B1 (ko) 2017-05-22 2018-08-24 주식회사 모닛 스마트 영유아 용변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1014232A1 (en) * 2019-07-22 2021-01-28 Akrami Mohammad Smart system of diaper replacement time alert with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without body contact
KR20210034375A (ko) 2019-09-20 2021-03-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및 용변 감지 장치
KR20210041531A (ko) 2019-10-04 2021-04-15 주식회사 모닛 스마트 기저귀를 포함한 배변량 측정 시스템
KR20210079819A (ko) * 2019-12-20 2021-06-30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소변 감지 기저귀
KR102263809B1 (ko) * 2021-02-18 2021-06-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및 용변 감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5833C2 (ru) Предмет личной гигиены с цифровым элементом
CN106510960B (zh) 智能护理耗材及具有其的生理监控装置
CN105164717B (zh) 用于收集和存储与吸收产品的状况有关的数据的处理和装置
JP2015503971A (ja) ヒト糞便用収集器
US20120161960A1 (en) Body fluid absorption object wetting alarm method and apparatus
US11806219B2 (en) Sensor for absorbent article
RU2697541C1 (ru) Соединители и корпус для предмета личной гигиены с цифровым элементом
US11197785B2 (en) Wearable device
US11090001B2 (en) Monitoring device for detecting wetness in a garment
CN201775719U (zh) 状态警示系统
US20220096279A1 (en) Sensor for absorbent article
KR102364412B1 (ko) 착용자의 건강상태 확인이 가능한 기저귀 기능을 수행하는 용변 감지장치
KR102364414B1 (ko) 착용자의 건강상태 확인 기능을 갖는 용변 감지장치를 채택한 기저귀
US20190110730A1 (en) System for monitoring incontinence
WO2021138459A1 (en) Wearable device
KR200321534Y1 (ko) 기저귀용 분뇨 감지기
KR20230153747A (ko) 기저귀 상태 모니터링 장치
CN208818372U (zh) 一种臂带式体温计
KR101625392B1 (ko) 기저귀 컵
AU2018229541B2 (en) System For Monitoring Incontinence
BR102016004009A2 (pt) produto para higiene pessoal com um elemento digital
TWM458208U (zh) 濕度偵測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