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312B1 - 시멘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시멘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312B1
KR101625312B1 KR1020147014510A KR20147014510A KR101625312B1 KR 101625312 B1 KR101625312 B1 KR 101625312B1 KR 1020147014510 A KR1020147014510 A KR 1020147014510A KR 20147014510 A KR20147014510 A KR 20147014510A KR 101625312 B1 KR101625312 B1 KR 101625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arbon dioxide
furnace
calcination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4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2226A (ko
Inventor
콜린 팩스턴
미카엘 바이힝거
Original Assignee
라파르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파르쥐 filed Critical 라파르쥐
Publication of KR20140072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6Manufacture of hydraulic cements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6Manufacture of hydraulic cements in general
    • C04B7/364Avoiding environmental pollution during cement-manufacturing
    • C04B7/367Avoiding or minimising carbon dioxide emis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6Manufacture of hydraulic cements in general
    • C04B7/43Heat treatment, e.g. precalcining, burning, melting; Cooling
    • C04B7/44Burning; Melting
    • C04B7/4407Treatment or selection of the fuel therefor, e.g. use of hazardous waste as secondary fuel ; Use of particular energy sources, e.g. waste hot gases from other processes
    • C04B7/4423Waste or refuse used as fue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6Manufacture of hydraulic cements in general
    • C04B7/43Heat treatment, e.g. precalcining, burning, melting;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6Manufacture of hydraulic cements in general
    • C04B7/43Heat treatment, e.g. precalcining, burning, melting; Cooling
    • C04B7/434Preheating with addition of fuel, e.g. calci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6Manufacture of hydraulic cements in general
    • C04B7/43Heat treatment, e.g. precalcining, burning, melting; Cooling
    • C04B7/44Burning; Melting
    • C04B7/45Burning; Melting in fluidised beds, e.g. spouted b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5/00Fluidised-bed furnaces; Other furnaces using or treating finely-divided materials in dispersion
    • F27B15/02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5/10Arrangements of air or gas suppl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7/00Rotary-drum furnaces, i.e.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7B7/2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rotary-drum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7/00Rotary-drum furnaces, i.e.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7B7/2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rotary-drum furnaces
    • F27B7/2016Arrangements of preheating devices for the charge
    • F27B7/2025Arrangements of preheating devices for the charge consisting of a single string of cyclones
    • F27B7/2033Arrangements of preheating devices for the charge consisting of a single string of cyclones with means for precalcining the raw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7/00Rotary-drum furnaces, i.e.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7B7/2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rotary-drum furnaces
    • F27B7/36Arrangements of air or gas supply devices
    • F27B7/362Introducing gas into the drum axially or through the wa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10Production of cement, e.g. improving or optimising the production methods; Cement grinding
    • Y02P40/18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urnace Detail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소 및 0 ~ 80 부피% 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며 실질적으로 질소가 없는 가스로 탄소 함유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가열되는 하소로 내에 탄산칼슘 함유 원료를 하소시키고, 하소로 내에서의 연소와 하소에 의해 생성된 가스를 격리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시멘트의 제조 공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시멘트의 제조 방법{METHOD FOR THE PRODUCTION OF CEMENT}
본 발명은 발생된 이산화탄소의 일부가 높아진 이산화탄소 함량을 갖는 가스 스트림에서의 제조 공정과 관련된 다른 가스로부터 분리되는 시멘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멘트의 제조는 상당한 양의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킨다. 이산화탄소는 두 가지 방식으로 발생된다. 시멘트 제조 재료 중 하나는 탄산 칼슘이다. 이 탄산 칼슘은 하소 (calcine) 되도록 가열되고 이산화탄소를 잃어서 산화 칼슘을 형성한다. 시멘트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고온을 발생시키기 위해 탄소 함유 연료를 연소시켜도 이산화탄소가 발생된다. 환경상의 이유로 대기중에 방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산 칼슘을 포함하는 시멘트 제조용 원재료는 시멘트의 주 성분인 클링커 (clinker) 를 제조하도록 처리되는 "원료" 를 형성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혼합, 건조 및 분쇄된다. 예열 단계에서 원료는 하소 온도 바로 이하로 가열된다. 그 후 원료는 추가적인 가열이 발생하는 하소로 (calciner) 에 보내지고, 온도의 상승에 따라 산화 칼슘으로의 탄산 칼슘의 하소가 발생하고 이산화탄소가 방출된다. 하소된 원료는 화로에 보내지고, 여기서 더 높은 온도로 가열되어 클링커가 제조되고 이어서 이 클링커가 분쇄되어 시멘트 가루가 얻어진다.
하소로 및 화로를 위한 열을 제공하기 위한 연료의 연소를 위한 산소원으로서 공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공기에 존재하는 주요 가스는 질소 (약 80 부피%) 및 산소 (약 20 부피%) 이다.
고체 또는 액체인 탄소계 연료의 연소는 이하의 식으로 요약될 수 있다.
C + O2 = CO2
고체 또는 액체 연료의 부피는 관련된 가스의 부피에 비하여 무시할만 하다. 1 부피의 산소는 1 부피의 이산화탄소를 생성한다. 연소에 사용되는 공기에 존재하는 질소는 연소에 관여되지 않는다. 연소 이후에 가스 스트림은 약 80 부피% 의 질소 및 약 20 % 의 이산화탄소를 갖는다. 가스의 전체 부피는 발생되는 열에 의해 증가된다.
고체 또는 액체 탄화수소성 연료가 연소될 때 연료에 존재하는 결합된 수소는 이하의 식에 따라 산소와 결합한다.
4H + O2 = 2H2O
발생된 물은 가스 상태이고 따라서 또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의 가스 희석제로서 존재한다. 1 부피의 산소는 2 부피의 가스 상태의 물을 생성하고, 고체 또는 액체 탄화수소성 연료의 부피는 관련된 가스의 부피에 비하여 무시할만 하다. 따라서 가스 상태의 물은 사용되는 산소의 부피와 비교하여 연소에 의해 형성된 가스의 부피의 증가에 기여한다. 하지만, 가스는 작업의 후반 단계에서의 간단한 냉각에 의해 이산화탄소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온도가 증가함에따라 연소 단계에서 가스의 전체 부피는 증가한다.
하소 공정 및 연료 연소로부터의 결합 가스에서 이산화탄소는 일반적으로 14 ~ 33 부피% 로 존재한다. 가스의 다른 주 성분은 질소이다. 수소와 이산화탄소의 혼합물은 분리될 수 있고 대기로의 방출을 방지하기 위해 이산화탄소를 보관할 수 있지만, 분리를 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에너지는 그럴만한 가치가 있기에는 너무 크다. 공기 중의 질소가 제거되고 결과적으로 얻어진 실질적으로 순수한 산소가 연료를 연소시키는데 사용되면, 질소는 생성되는 이산화탄소의 희석제로서 존재하지 않는다.
시멘트를 제조하는데 요구되는 모든 연료를 연소시키는데 공기 대신 산소가 사용된다면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희석되지 않은 산소와 관련한 연소 공정은 일반적으로 큰 힘에 의해 진행되고 제조 공장 설비에 손상을 입히거나 그 작동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는 매우 높은 온도를 발생한다.
본 발명은 시멘트 제조 공정에서 요구되는 연료의 단지 일부만을 연소시키는데 산소를 사용하고 하소 단계로부터의 가스를 클링커가 발생하는 화로로부터의 가스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시멘트의 제조시에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줄이는 것을 추구한다. 본 공정은 공지된 건식 공정 및 예컨대 습식 공정과 같은 다른 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 하소로를 떠나는 가스의 분리와 함께 하소로에서 산소 (실질적으로 순수한 또는 이산화탄소와의 혼합물의 형태의) 를 사용하면 환경적인 이점이 얻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산소 및 0 ~ 80 부피% 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하고, 그리고 질소가 없는 가스로 탄소 함유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가열되며, 다수의 입구 지점이 존재하는 하소로 내에서의 탄화칼슘 (원료 함유) 의 하소, 및 하소로 내에서의 연소와 하소에 의해 생성된 이산화탄소 가스를 격리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시멘트 제조의 방법을 제공한다.
원료의 흐름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시멘트 제조 방법과 유사하다. 이러한 방법에서 원료는 예열기, 예컨대 사이클론 예열기에서 가열되고, 하소로, 예컨대 포트 (pot) 하소로 안으로 유입된다. 하소로로부터의 원료는 화로에 공급된다. 예열기는 화로 및 하소로로부터 고온의 가스를 받는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하소로로부터의 가스는 높은 비율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하고, 적절한 처리 (예컨대 냉각 및 탈진 (dedusting)) 이후 대기중으로 방출되지 않고 보관 또는 다른 용도에 적절하다.
하소로를 떠나는 이산화탄소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800 ~ 900℃ 이다. 가스는, 예컨대 전력을 발생하도록 스팀 발생기에서 냉각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의 퍼센트를 줄일 수 있는 가스의 진입을 최소화하기 위해, 스팀 발생기 내의 과소압 (underpressure) 이 바람직하게는 회피된다. 스팀 발생기는 바람직하게는 과압 (overpressure) 에서 작동된다. 가스는 대기에 방출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지하, 예컨대 고갈된 유전 또는 가스전 (gas field) 에서 지질적 보관 또는 다른 사용에 앞서 탈진된다.
연료 연소를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가스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부피%, 예컨대 적어도 80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 의 산소를 포함한다. 이 가스에는 질소가 없다. 이는 이산화탄소, 예컨대 하소로를 떠나는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재순환된 이산화탄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산화탄소는 산소 풍부 가스와 별개로 하소로에 유입되거나 또는 이와 혼합될 수 있다. 산소는, 예컨대 하소로로부터 재순환되는 가스와 함께, 일반적으로 하소로의 바닥부에서 유입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실질적으로 연소기 또는 각각의 연소기의 레벨에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유입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및 연료는 또한 각각 하나 이상의 입구 지점에서 유입될 수 있다.
하소로에 다수의 입구 지점이 존재하면 온도의 조절이 용이하게 되는데, 그렇지 않다면 연료 연소용 가스가 높은 비율의 산소를 포함할 때 온도가 너무 높게 상승할 수 있다. 탄산 칼슘의 산화 칼슘 및 이산화탄소로의 하소는 흡열 공정이며, 하나의 또는 다수의 입구에서의 원료의 유입은 따라서 온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연료의 완전 연소를 보장하고 하지만 과잉 산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산소의 양을 제어한다.
하소를 위한 원료는 일반적으로 예열 단계에서 건조된다. 하소로로부터의 하소된 원료는 클링커링을 위해 화로에 공급된다. 화로를 위한 열은 산소 함유 가스, 일반적으로 공기 중에서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제공된다.
예열을 위해 요구되는 열은 일반적으로 화로로부터의 가스에 의해 제공된다. 예열 동안의 최대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조기 하소 및 이산화탄소의 방출을 피하도록 제어된다. 예열기를 떠나는 원료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800℃ 미만, 일반적으로는 약 750℃ 미만이다. 하소 및 화로에 사용되는 연료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잇지만 일반적으로 동일하다. 하소시에 생긴 가스가 예컨대 지하에 보관되거나 처분된다면, 소량의 황 및/또는 산화 질소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료는 황 및/또는 질소 함유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연료는 일반적으로 더 저렴하다. 연료 내의 황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낮다 (6 % 미만). 연료 내의 질소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낮다 (1.5 % 미만). 고순도 이산화탄소가 하소로부터 요구된다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질소 및 황이 없는 연료가 사용된다. 그러면 원료에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이러한 성분이 없다. 원료는 바람직하게는 낮은 함량의 황산 칼슘 및 황철석을 갖는다.
사용되는 연료는 바람직하게는 석탄 또는 석유 코크스 (petcoke) 이다. 폐연료가 사용될 수 있지만 연소의 정밀한 제어가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높은 이산화탄소 함량을 갖는 하소로로부터의 가스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90 부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 예컨대 92 ~ 93 % 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가스 스트림을 제공하는 것을 추구한다.
하소는 일반적으로 예열된 원료를 가스 스트림, 일반적으로 상승 가스 스트림에 유입시킴으로써 달성된다. 가스 스트림은 일반적으로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생성된다. 상승 가스 스트림 내에 원료를 지지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하소로를 떠나는 이산화탄소 함유 가스의 일부는 재순환되어 상승 가스 스트림에 재유입될 수 있다.
원료를 지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가스 스트림의 속도는, 예컨대 원료의 미세도에 달려있다. 본 발명의 공정에 사용되는 원료의 미세도는 변할 수 있으며, 알려진 미세도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은 입자 크기를 갖는 원료가 가스 스트림에 의한 원료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75 미크론 (200 메쉬) 체 상에 10 중량% 의 잔류물을 남기는 원료가 유리하게는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하소로를 통과하는 1 입방미터의 가스 (표준 온도 및 압력에서의 부피) 는 2 ㎏ 의 원료를 지지할 것이다. 가스 스트림이 재순환될 때 연료 연소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가스 상태의 물이 또한 재순환된 가스의 부피에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소로 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비교적 줄어든다.
하소로 내에 원료의 체류 시간은 비교적 짧은, 예컨대 5 ~ 6 초이다. 원료를 운반하는 가스 스트림 내의 높은 농도의 이산화탄소의 존재는 주어진 온도에서 하소에 의해 이산화탄소가 발생되는 속도를 줄일 수 있다. 가스 스트림 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다면 하소로 내에 원료가 존재하는 동안 원료로부터 원하는 레벨의 하소를 보장하기 위해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소로를 통과하는 가스 스트림 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하소로를 통한 원료의 유효 전달 및 원하는 레벨의 하소에 맞게 가능한 낮은 레벨로 유지된다.
하소로를 떠나는 원료의 하소 레벨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60 %, 예컨대 70 ~ 80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 이다. 하소 레벨은 80 중량% 이상으로 제어되고, 원료에 최대 20 부피% 의 잔류 이산화탄소를 남기는, 예컨대 92 ~ 95 % 의 레벨로 제어하여, 하소로를 떠나는 원료에 5 ~ 8 % 의 잔류 이산화탄소를 남기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소로 내의 가스 스트림에 알칼리, 황산염 및 염화물과 같은 물질이 없는 것이 하소로의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알려진 방법에서, 이러한 물질은 존재할 수 있으며, 화로로부터의 가스에서 기인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하소로는 알려진 설계의 것일 수 있는데, 예컨대 포트 하소로일 수 있다. 하소로 안으로의 공기의 누출은 바람직하게는 회피된다. 이는 전체 시멘트 제조 공정에서 압력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을 위한 새로운 하소로가 기존의 하소로와 나란하게 작업하기 위해 개장될 수 있다. 예열기로부터의 원료의 공급은 새로운 하소로와 기존의 하소로 사이에서 나누어진다. 원료의 전체 또는 일부 (예컨대 20 %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 까지) 는 새로운 하소로에 보내진다. 이에 의해 하소 단계로부터의 대기로의 이산화탄소의 전체 방출은 대략 새로운 하소로 및 기존의 하소로로의 원료의 공급에 비례하여 줄어들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은 기존의 서스펜션 예열기 화로 방법에 적합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서 더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시멘트 제조 공정에서 요구되는 연료의 단지 일부만을 연소시키는데 산소를 사용하고 하소 단계로부터의 가스를 클링커가 발생하는 화로로부터의 가스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시멘트의 제조시에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줄일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방법의 개략적인 형태를 나타낸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예열기를 더 상세하게 나타낸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하소로의 구성을 더 상세하게 나타낸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도 2 에 나타낸 예열기와 도 3 에 나타낸 하소로를 포함하는 시멘트 클링커 제조 공장 설비를 나타낸다.
[실시예]
도 1 을 참조하면, 원료는 예열기 (1) 에 공급된다. 예열된 원료는 화살표로 나타낸 것과 같이 예열기 (1) 로부터 하소로 (3) 에 공급된다. 예열기 (1) 로부터의 고온의 가스는 라인 (2) 을 따라 빠져나간다. 하소로 (3) 에서 예비하소된 (precalcined) 원료는 화살표로 나타낸 것과 같이 화로 (4) 에 공급된다. 높은 퍼센트의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가스가 팬 (5) 을 통하여 하소로 (3) 를 떠난다. 라인 (2) 으로부터의 가스는 팬 (6) 을 통해 빠져나가 원료를 제조하기 위한 분쇄기로 간다.
도 2 를 참조하면, 요소 (2, 3, 4, 5 및 6) 는 도 1 과 같다. 원료는 사이클론 (7, 8, 9, 10 및 11) 을 연속적으로 통과하여 그 후 하소로 (3) 안으로 들어간다. 화로 (4) 로부터의 고온의 가스는 상승기 (12) 를 통과하여 사이클론 (11) 으로 흐르고, 사이클론 (11) 으로부터의 고온의 가스는 상승기 (13) 를 통과하여 사이클론 (10) 으로 흐르고, 사이클론 (10) 으로부터의 고온의 가스는 상승기 (14) 를 통과하여 사이클론 (9) 으로 흐르고, 사이클론 (9) 으로부터의 고온의 가스는 상승기 (15) 를 통과하여 사이클론 (7) 및 (8) 으로 흐른다.
새로운 원료가 상승기 (15) 에 공급되고 사이클론 (7) 및 (8) 으로 올려지고, 사이클론 (7) 및 (8) 으로부터의 원료는 상승기 (14) 에 공급되고 고온의 가스에 의해 사이클론 (9) 안으로 올려지고, 사이클론 (9) 으로부터의 원료는 상승기 (13) 에 공급되고 사이클론 (10) 으로 올려지고, 사이클론 (10) 으로부터의 원료는 상승기 (12) 에 공급되고 사이클론 (11) 안으로 올려지고, 원료는 사이클론 (11) 으로부터 하소로 (3) 로 간다.
도 3 을 참조하면, 요소 (1, 2, 3, 4, 및 6) 는 도 1 및 2 와 같다. 하소로 연료는 라인 (13) 을 통하여 하소로 (3) 에 들어간다. 산소가 라인 (14) 을 통하여 주입된다. 재순환된 이산화탄소 함유 가스가 라인 (15) 을 통하여 하소로 (3) 에 공급된다. 가스 및 예비하소된 원료는 하소로 (3) 를 떠나서 사이클론 (16) 에 전달된다. 예비하소된 원료는 사이클론 (16) 으로부터 화로 (4) 에 전달되다. 분리된 이산화탄소 함유 가스는 라인 (17) 을 통하여 사이클론 (16) 을 떠난다. 라인 (17) 내의 가스는 두 개의 스트림으로 분리된다. 라인 (17) 내의 제 1 스트림이 스팀 히터 (18) 에 전달되고 그 후 교환기 팬 (19) 에 전달된다. 교환기 팬 (19) 을 떠나는 가스는 두 개의 스트림으로 갈라진다. 교환기 팬 (19) 으로부터의 제 1 스트림은 라인 (20) 을 따라 떠나간다. 라인 (20) 을 따라 떠나는 이 제 1 스트림은 본 발명에 따른 공정으로부터 생긴 바람직한 이산화탄소 풍부 가스이다. 교환기 팬 (19) 으로부터의 가스의 제 2 스트림이 라인 (21) 을 따라 전달된다. 라인 (17) 으로부터의 제 2 가스 스티림이 라인 (22) 을 따라 라인 (21) 에 전달된다. 라인 (21) 및 (22) 으로부터 결합된 가스 스트림은 재순환 팬 (23) 및 라인 (15) 을 통하여 하소로 (3) 에 전달된다.
도 4 를 참조하면, 도 1, 2, 및 3 의 요소를 포함하는 시멘트 공장 설비가 나타나 있다. 화로 연료는 라인 (24) 을 따라 화로 (4) 에 전달된다. 화로 (4) 에서 제조된 클링커는 클링커 냉각기 (25) 에 전달된다. 폐가스는 라인 (26) 및 (27) 을 따라 클링커 냉각기를 떠난다. 라인 (27) 내의 가스 스트림은 두 개의 스트림으로 나누어진다. 제 1 스트림은 라인 (28) 을 따라 화로 (4) 를 떠나는 가스를 냉각시키는데 사용된다. 예열기에 전달되는 고온의 가스의 온도는 라인 (27) 및 (28) 을 따르는 가스 흐름을 조정함으로써 제어된다. 제 2 스트림 (29) 은 라인 (2) 안으로 전달되고 원료를 제조하는 분쇄기 내의 원재료를 건조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작업 또는 작동을 위한 시멘트 제조 공장 설비,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제조 공장 설비에 의해 제조된 시멘트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으면, 온도는 시멘트의 제조 방법 동안 알려진 방법, 예컨대 열전대 또는 고온계에 의해 측정된 온도이고, 가스 퍼센트는 부피에 대한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나타내지만,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실시예
원료가 분쇄되고 분쇄 원료는 예열기 (1) 의 정상부에 공급된다. 예열기는 일련의 사이클론 (7) ~ (11) 과 연결 덕트 (12, 13, 14 및 15 (상승기)) 를 포함한다. 예열기 (1) 는 화로로부터 고온의 가스를 수용한다. 원료는 가스가 상승기에서 냉각될 때 가열되고 사이클론 (7 ~ 11) 은 원료를 채집하여 다음의 하위 단에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예열기 (1) 를 통과하는 가스는 오직 화로 (4) 에서 나온 것이다. 하소로 (3) 로부터의 가스는 별개의 스트림으로 유지된다.
원료가 예열기 (1) 의 가장 낮은 단을 빠져나갈때 약 750℃ ~ 800℃ 의 온도로 하소로 (3) 에 전달된다. 이 단에서 예비하소 레벨은 온도가 800℃ 미만으로 유지될 때 약 10 % 미만이 될 것이다. 가스가 약 1100℃ 에서 화로 (4) 를 떠날 때, 약 400℃ ~ 500℃ 의 냉각기 배기 가스 (클링커 냉각기로부터의) 가, 온도를 줄이고 낮은 레벨의 예비하소를 유지하기 위해, 가스가 예열기 (1) 에 공급되기 전에 이 지점에서 추가될 수 있다. 예열기 (1) 의 정상부를 떠나는 가스는 약 300℃ 의 온도를 갖고 약 18 부피% 의 이산화탄소 레벨을 갖는다. 이들은 필요하다면 원료 건조 단계를 보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원료는 하소로 (3) 에 들어가고, 부분 냉각 이후에 하소로 출구로부터 재순환된 입구 가스, 및 주입된 산소에 분산된다. 폐가스에 높은 농도의 이산화탄소를 갖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상당한 양의 질소를 함유하는 공기 대신 산소가 하소로 연료의 연소에 사용된다. 하소로 (3) 로의 연료의 흐름은 화로 안정성을 위해 바람직한 일관된 예비하소를 유지하기 위해 일정한 출구 가스 온도를 제공하도록 제어된다.
원료의 예비하소 레벨은 하소로 (3) 내의 어떠한 발생된 어려움을 피하도록 약 92 % 로 제어된다. 예비하소된 원료는 하소로 다음의 사이클론 (16) 내에 수집되고 화로 (4) 에 전달된다. 출구 가스의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질소 함량을 갖는 보통 석탄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하소로 사이클론 (16) 이후, 90 부피%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가스의 일부는 라인 (15) 을 통하여 하소로 입구로 재순환되고 나머지 가스는 하류 처리를 위해 냉각된다. 냉각은 공정에 잘못된 공기의 유입을 최소화하는 것을 돕기 위해 스팀 히터 (18) 를 포함하는 열 교환기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약간의 부압에서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것이 또한 이러한 점에서 도움이된다. 전력은 열 교환기로부터의 스팀을 사용하여 발생될 수 있다. 열 교환기 이후에 일부 가스는 재순환 팬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예비하소로 입구에 재순환되고 나머지는 하류 처리를 위해 전달된다.
화로에 들어가는 원료는 통상의 방식으로 시멘트 클링커를 형성한다. 클링커 냉각기는 화로 (4) 로부터의 제 3 의 공기가 하소로 (3) 를 위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가스의 양과 온도는 통상보다 다소 더 높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알려진 방식으로 작동된다. 클링커 냉각기 (25) 로부터의 일부 가스는 화로 가스가 예열기에 전달되기 전에 이를 냉각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고 나머지는 원료 건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Claims (7)

  1. 산소 및 0 ~ 50 부피% 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며 질소가 없는 가스로 탄소 함유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가열되며, 다수의 입구 지점이 존재하는 하소로 내에서 탄산칼슘 함유 원료를 하소시키고, 하소로 내에서의 연소와 하소에 의해 생성된 이산화탄소 가스를 격리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시멘트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연소는 50 ~ 100 부피% 의 산소를 포함하는 가스에 의해 실행되는 시멘트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는 다수의 지점에서 하소로 안으로 유입되는 시멘트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공급되는 가스는 다수의 지점에서 하소로 안으로 유입되는 시멘트의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되는 가스 내의 산소 및 이산화탄소는 개별적으로 하소로 안으로 유입되는 시멘트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유출 가스는 적어도 90 부피% 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시멘트의 제조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소로 내에서의 하소 레벨은 80 중량% 이상으로 제어되고 원료에 최대 20 부피% 의 잔류 이산화탄소를 남기는 시멘트의 제조 방법.



KR1020147014510A 2006-11-13 2007-10-30 시멘트의 제조 방법 KR1016253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291766.1 2006-11-13
EP06291766.1A EP1923367B1 (en) 2006-11-13 2006-11-13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ement
PCT/IB2007/004257 WO2008059378A2 (en) 2006-11-13 2007-10-30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emen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8830A Division KR20090084838A (ko) 2006-11-13 2007-10-30 시멘트의 제조 공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226A KR20140072226A (ko) 2014-06-12
KR101625312B1 true KR101625312B1 (ko) 2016-05-27

Family

ID=375613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8830A KR20090084838A (ko) 2006-11-13 2007-10-30 시멘트의 제조 공정
KR1020147014510A KR101625312B1 (ko) 2006-11-13 2007-10-30 시멘트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8830A KR20090084838A (ko) 2006-11-13 2007-10-30 시멘트의 제조 공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8252109B2 (ko)
EP (2) EP1923367B1 (ko)
KR (2) KR20090084838A (ko)
CN (1) CN101558021B (ko)
AU (1) AU2007320876B2 (ko)
BR (1) BRPI0718621B1 (ko)
CA (1) CA2669730C (ko)
EG (1) EG26797A (ko)
ES (1) ES2428509T3 (ko)
MA (1) MA30979B1 (ko)
PL (1) PL1923367T3 (ko)
RU (1) RU2466950C2 (ko)
SI (1) SI1923367T1 (ko)
WO (1) WO2008059378A2 (ko)
ZA (1) ZA2009027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4589B1 (fr) 2008-08-01 2010-08-27 Fives Fcb Procede de fabrication de clinker de ciment dans une installation, et installation de fabrication de clinker de ciment en tant que telle
FR2934590B1 (fr) * 2008-08-01 2010-08-13 Fives Fcb Procede de fabrication de clinker de ciment dans une installation, et installation de fabrication de clinker de ciment en tant que telle.
DE102008036088B4 (de) * 2008-08-04 2012-06-28 Thyssenkrupp Polysius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Zementanlage
DE102008053135B3 (de) 2008-10-24 2010-07-01 Polysius Ag Verfahren und Anlage zur Herstellung von Zementklinker
US7976628B2 (en) 2009-06-19 2011-07-12 Savannah River Nuclear Solutions, Llc Carbon dioxide capture from a cement manufacturing process
FR2947542B1 (fr) 2009-07-02 2011-07-29 Fives Fcb Procede de fabrication de clinker de ciment dans une installation et installation de fabrication de clinker de ciment en tant que telle
US8500902B2 (en) 2009-09-04 2013-08-06 Srinivas Kilambi Methods of making cementitious compositions and products made thereby
DE102009041089C5 (de) * 2009-09-10 2013-06-27 Khd Humboldt Wedag Gmbh Verfahren und Anlage zur Herstellung von Zement mit verringerter CO2-Emission
JP5120475B2 (ja) * 2011-03-28 2013-01-16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生石灰の製造設備並びに消石灰の製造設備および製造方法
FR2975094B1 (fr) * 2011-05-12 2013-05-03 Lafarge Sa Procede de decarbonatation
DE102012105977B4 (de) 2012-07-04 2015-11-05 Thyssenkrupp Industrial Solutions Ag Verfahren und Anlage zur Herstellung von Zementklinker aus Zementrohmehl
FR2994176B1 (fr) 2012-07-31 2016-01-08 Lafarge Sa Procede et installation de production de clinker et d'electricite, et procede de modification d'une installation de production de clinker
EP3029004A1 (en) * 2014-12-01 2016-06-08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Oxy-calcination process
NL2014180B1 (en) 2015-01-23 2017-01-05 Dominicus Joannes Maria Beckers Joseph A method for producing glass.
DE102015117960A1 (de) * 2015-10-21 2017-04-27 Heinz Tischmacher Anlage zur Herstellung von CO2-Reichgas
CN105923635B (zh) * 2016-04-26 2019-03-08 石家庄新华能源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超临界态的生产方法和系统
JP2020523280A (ja) * 2017-05-29 2020-08-06 アハラワット, ラヴィ カントAHALAWAT, Ravi Kant セメントの製造方法
DE102018206674A1 (de) * 2018-04-30 2019-10-31 Thyssenkrupp Ag Oxyfuel-Klinkerherstellung ohne Rezirkulation der Vorwärmerabgase
DE102018206673A1 (de) * 2018-04-30 2019-10-31 Thyssenkrupp Ag Oxyfuel-Klinkerherstellung mit spezieller Sauerstoffzugasung
WO2020232091A1 (en) * 2019-05-13 2020-11-19 Carmeuse North America Calciner using recirculated gases
CN110230925B (zh) * 2019-07-30 2024-04-26 北京北科流体科技有限公司 一种三级旋流动态煅烧装置
CN110926916A (zh) * 2019-11-25 2020-03-27 中国葛洲坝集团水泥有限公司 一种水泥生料易烧性试验试体的制备方法
ES2918173T3 (es) * 2019-12-20 2022-07-14 Holcim Technology Ltd Procedimiento de tratamiento de gas de escape
PT3928049T (pt) 2020-05-05 2022-09-19 Thyssenkrupp Ind Solutions Ag Instalação de fabrico de cimento e método para fabrico de clínquer de cimento
US20230365464A1 (en) * 2020-12-17 2023-11-16 Taiheiyo Cement Corporation Cement clinker production system and cement clinker production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6818A (en) 1973-12-14 1976-10-19 Klockner-Humboldt-Deutz Aktiengesellschaft Device for the thermal treatment of fine granular material with burning means with a heat exchanger system
US4066470A (en) 1975-03-10 1978-01-03 Klockner-Humboldt-Deutz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the treatment of finely grained material, particularly for the precalcining of cement
US4913742A (en) 1982-04-16 1990-04-03 Voest-Alpine Aktiengesellschaft Process of making cement clinker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aid process
WO2006113673A2 (en) 2005-04-18 2006-10-26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emission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84840A (en) * 1929-07-23 1930-12-16 Forge Guy S La Process for manufacturing portland cement
GB384060A (en) 1931-11-16 1932-12-01 Hubert Alexander Gill Improvements in processes of and plants for burning cement, lime and like materials
US3607327A (en) * 1969-03-20 1971-09-21 Blocked Iron Corp Methods and composition for the manufacture of portland cement
AU471315B2 (en) * 1972-05-20 1976-04-15 Ishikawajima-Harima Jukogyo K.K. Apparatus for burning materials of cement andthe luce
DE3260374D1 (en) * 1981-10-27 1984-08-16 Voest Alpine Ag Process and installation for the production of cement
AT381694B (de) * 1985-01-11 1986-11-10 Voest Alpine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thermischen behandlung von feinkoernigem gut, insbesondere zum brennen von zementrohmehl
US4916742A (en) * 1986-04-24 1990-04-10 Kolesnikov Viktor M Method of recording and reading audio information signals in digital form,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ame
US4913740A (en) 1987-08-18 1990-04-03 Frederickson Jeffrey W Solution for use in the prevention of smear in the manufacture of printed circuit boards
EP0408979B1 (en) * 1989-07-19 1998-01-21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and system for throwing carbon dioxide into the deep sea
DE4123306C2 (de) * 1991-07-13 2000-05-25 Deutz Ag Anlage zur thermischen Behandlung von mehlförmigen Rohmaterialien
DK174307B1 (da) * 2000-08-24 2002-12-02 Smidth & Co As F L Fremgangsmåde samt anlæg til fremstilling af cementklinker.
ATE368015T1 (de) * 2001-04-13 2007-08-15 Co2 Solution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zementklink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6818A (en) 1973-12-14 1976-10-19 Klockner-Humboldt-Deutz Aktiengesellschaft Device for the thermal treatment of fine granular material with burning means with a heat exchanger system
US4066470A (en) 1975-03-10 1978-01-03 Klockner-Humboldt-Deutz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the treatment of finely grained material, particularly for the precalcining of cement
US4913742A (en) 1982-04-16 1990-04-03 Voest-Alpine Aktiengesellschaft Process of making cement clinker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aid process
WO2006113673A2 (en) 2005-04-18 2006-10-26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emiss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1923367T3 (pl) 2013-12-31
BRPI0718621A2 (pt) 2014-01-07
WO2008059378A3 (en) 2008-10-30
CN101558021A (zh) 2009-10-14
MA30979B1 (fr) 2009-12-01
EP2086903B1 (en) 2020-04-15
EP1923367A1 (en) 2008-05-21
CN101558021B (zh) 2013-06-19
EP1923367B1 (en) 2013-08-28
SI1923367T1 (sl) 2013-11-29
KR20090084838A (ko) 2009-08-05
KR20140072226A (ko) 2014-06-12
WO2008059378A2 (en) 2008-05-22
CA2669730C (en) 2014-10-07
US8252109B2 (en) 2012-08-28
RU2466950C2 (ru) 2012-11-20
EP2086903A2 (en) 2009-08-12
EG26797A (en) 2014-09-15
ZA200902731B (en) 2010-03-31
RU2009122461A (ru) 2010-12-20
BRPI0718621B1 (pt) 2018-10-09
AU2007320876A1 (en) 2008-05-22
AU2007320876B2 (en) 2012-12-13
US20100037804A1 (en) 2010-02-18
ES2428509T3 (es) 2013-11-08
CA2669730A1 (en) 200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312B1 (ko) 시멘트의 제조 방법
US11878950B2 (en) Oxyfuel clinker production with special oxygen addition
AU20092452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CO2 gas in cement production equipment
AU2014354559B9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e of portland cement
CN102112833A (zh) 在设备中制造水泥熟料的方法以及如此制造水泥熟料的设备
US20110113988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cement clinker in a plant, and cement clinker manufacturing plant as such
JP5686798B2 (ja) 設備内でのセメントクリンカ製造方法、およびこのようなセメントクリンカ製造設備
JPH08225347A (ja) 高温バルク材の冷却方法、焼成バルク材の製造方法及び装置
EP3738939A1 (en) Method for calcining raw meal for cement clinker manufacturing
ITMI20120383A1 (it) Procedimento migliorato per la produzione di clinker di cemento e relativo apparato
OA20590A (en) Oxyfuel clinker production with special oxygen addition
Mathai et al. Method for producing cement with separation of CO 2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