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134B1 - 고막이머름용 기와 - Google Patents

고막이머름용 기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134B1
KR101625134B1 KR1020150027943A KR20150027943A KR101625134B1 KR 101625134 B1 KR101625134 B1 KR 101625134B1 KR 1020150027943 A KR1020150027943 A KR 1020150027943A KR 20150027943 A KR20150027943 A KR 20150027943A KR 101625134 B1 KR101625134 B1 KR 101625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resent
parts
eardrum
tub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해동
천득염
Original Assignee
(주)용성제재소
용성종합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용성제재소, 용성종합건설(주) filed Critical (주)용성제재소
Priority to KR1020150027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69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venti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69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ventilating
    • E04B1/7076Air vents f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막이머름을 손쉽게 시공할 수 있으며, 강도도 우수하고 경량인 새로운 구성의 고막이머름용 기와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막이(2)에 고막이머름을 만들기 위한 것으로서, 원형의 단관형상을 갖는 단관부(100)와, 상기 단관부(100)의 내부를 가로지는 단관부(100)와 일체로 형성된 망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막이머름용 기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고막이머름용 기와{Roofing tile}
본 발명은 고막이머름용 기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막이머름을 손쉽게 시공할 수 있으며, 강도도 우수하고 경량인 새로운 구성의 고막이머름용 기와에 관한 것이다.
한옥에 있어서 토대와 하인방 사이를 돌이나 진흙으로 쌓은 벽을 고막이라 하는데, 고막이를 쌓을 때 마루 밑의 통풍을 위하여 고막이에 '고막이머름'이라고 불리우는 구멍을 낸다.
한편, 종래에는 수키와를 서로 마주 보게 배치하고, 그 사이에 철망을 위치시켜서 고막이마름을 만들었다. 그런데 이들 수키와와 철망이 서로 연결성이 없기 때문에 작업자가 수기와와 철망의 배치된 상태가 와해되지 않도록 신경을 써서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쉽지 않은 단점이 있으며, 고막이머름을 만든 후에도 수기와와 철망이 유동되어 고막이머름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0203호(2012.06.20.)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안정된 고막이머름을 손쉽게 시공할 수 있으며, 강도도 우수하고 경량이여서 취급성도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고막이머름용 기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고막이(2)에 고막이머름을 만들기 위한 것으로서,
원형의 단관형상을 갖는 단관부(100)와, 상기 단관부(100)의 내부를 가로지는 단관부(100)와 일체로 형성된 망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막이머름용 기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단관부(100)의 외주면에는 단관부(1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돌기(110)와, 단관부(100)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돌기(120)가 교호로 다수개 이격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단관부(100)와 망부(200)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점토 40∼50중량부, 도석 20~30중량부, 고령토 15∼20중량부, 규조토 10∼15중량부, 마그네슘 5~12중량부를 포함하는 기와조성물로 성형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고막이머름을 형성하기 위한 최초의 제품으로서, 단관부(100)와 망부(200)가 일체로 형성된 간단한 구성을 가지므로 고막이시공시에 손쉽게 고막이머름을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막이시공시간이 단축되어 건축물의 건체적인 공기 단축에 도움이 된다.
또한, 종래 수키와와 철망을 사용하여 고막이머름을 형성하는 경우와 달리 시공 후에 고막이머름이 와해될 우려가 없다.
또, 단관부(100)에 제1, 2돌기(110,120)가 형성되면 시공시에 본 발명이 고막이에 대해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시공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시공 후에는 본 발명과 고막이의 일체성도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강도가 우수하고 경량의 조성을 가지기 때문에, 고막이머름이 손상될 우려가 없고, 물류 또는 작업과정에서 깨질 우려가 적고, 다루기도 편리한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가 시공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시예의 정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관부(100)와, 단관부(100)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망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단관부(100)는 원형의 단관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망부(200)는 단관부(100)의 중앙부에서 단관부(100)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데, 망부(200)에 일정간격으로 통공(20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공(202)이 사각형상으로 되어 가로 및 세로로 배열형성됨에 따라 망부(200)가 격자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와를 성형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단관부(100)와 망부(20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조된다. 즉, 기와 성형재료를 틀에 넣고 형태를 만든 다음, 고온에서 소성하여 제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막이(2)를 시공할 때 단관부(100)가 수평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시공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 고막이머름이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존의 수키와 철망을 사용하여 고막이머름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시공이 상당히 용이하고, 시공된 상태도 견고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과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관부(100) 외주면에 제1, 2돌기(110,120)가 형성된다.
상기 제1돌기(110)는 단관부(100)의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되어, 단관부(100)의 외주면에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이격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돌기(120)는 단관부(100)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1돌기(110) 사이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 2돌기(110,120)는 고막이와 부착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제1돌기(110)는 본 발명이 고막이에 대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2돌기(120)는 본 발명이 고막이에 대해 전후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고막이 시공시에 축조 중인 고막이의 임의 부위에 본 발명을 배치하고 다시 고막이를 축조할 때 본 발명이 유동되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작업을 하기가 편리하다. 또한, 고막이가 완성된 후에는 상기 제1, 2돌기(110,120)에 의해 본 발명과 고막이의 부착성이 향상되므로 고막이머름이 고막이에서 빠지거나 할 우려없이 시공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점토, 도석, 고령토, 규조토 및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기와조성물로 성형된다.
점토(粘土)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40∼50중량부 포함되는데, 점토의 양이 40중량부 미만이면 조성물의 점성이 저하되어 성형성이 나빠지고, 50중량부를 초과하면 소성시 수축율이 높아져서 제품의 변형이 발생될 우려가 커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도석(陶石)은 견운모, 규석, 단백석을 주 광물학적 성분으로 하는 암석으로, 굳기는 1~3, 비중은 2.61~2.74 정도이다. 도석의 견운모의 함량이 높을수록 강도가 크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견운모의 함량이 높을 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도석은 본 발명의 강도증가를 위해 사용되는데,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20~30중량부 포함된다. 도석의 양이 20중량부 미만이면 조성물의 점성이 저하되어 성형성이 저하되고 소성시 수축율이 높아져서 제품의 변형이 유발될 뿐만 아니라 도석에 의한 강도 증가효과가 미미하며, 30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성이 떨어져 작업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고령토(高嶺土)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15∼20 중량부 포함된다. 고령토의 양이 15중량부 미만이면 소성시 수축율이 높아져서 제품의 변형이 발생되고, 20중량부를 초과하면 성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규조토(硅藻土)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10∼15중량부 포함된다.
그리고 마그네슘은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5~12중량부 포함된다. 마그네슘이 함유됨에 따라 본 발명이 경량화되고, 강도도 향상된다. 마그네슘의 함량이 5중량부 미만이면 마그네슘에 의한 경량 및 강도 향상효과가 미미하며, 12중량부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들의 함량이 감소되어 본 발명의 성형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기와 조성물로 성형되는 본 발명은 경량이여서 다루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강도도 높은 장점을 가진다.
2. 고막이 100. 단관부
110. 제1돌기 120. 제2돌기
200. 망부 202. 통공

Claims (3)

  1. 고막이(2)에 고막이머름을 만들기 위한 것으로서,
    원형의 단관형상을 갖는 단관부(100)와, 상기 단관부(100)의 내부를 가로지는 단관부(100)와 일체로 형성된 망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단관부(100)와 망부(200)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점토 40∼50중량부, 도석 20~30중량부, 고령토 15∼20중량부, 규조토 10∼15중량부, 마그네슘 5~12중량부를 포함하는 기와조성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막이머름용 기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관부(100)의 외주면에는 단관부(1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돌기(110)와, 단관부(100)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돌기(120)가 교호로 다수개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막이머름용 기와.
  3. 삭제
KR1020150027943A 2015-02-27 2015-02-27 고막이머름용 기와 KR101625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943A KR101625134B1 (ko) 2015-02-27 2015-02-27 고막이머름용 기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943A KR101625134B1 (ko) 2015-02-27 2015-02-27 고막이머름용 기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134B1 true KR101625134B1 (ko) 2016-05-30

Family

ID=57124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943A KR101625134B1 (ko) 2015-02-27 2015-02-27 고막이머름용 기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1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789B1 (ko) 2013-12-30 2014-07-28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한옥골조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789B1 (ko) 2013-12-30 2014-07-28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한옥골조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7652B2 (en) Building block, building structure and the method of bricking wall using the same
US9187915B2 (en) Method for constructing building made of dried soil and temporary frame used in same
US20210299918A1 (en) Manufactured retaining wall block with improved false joint
JP2014508868A5 (ko)
KR100775631B1 (ko) 조립식 황토벽체
KR20150042183A (ko) 강화 콘크리트 바닥을 구축하기 위한 소결 발포 폴리스티렌 모듈형 요소
KR101625134B1 (ko) 고막이머름용 기와
KR101614722B1 (ko) 피씨 복합화 건축물용 플랫 리브드 슬래브
ITPD20090335A1 (it) Elemento edilizio modulare per la realizzazione di intercapedini in genere, ad esempio vespai, pavimenti e tetti areati
JP6890212B2 (ja) 建築用部材
KR101380391B1 (ko) 단열층을 구비하는 황토벽체 및 그 제조방법
US20140196392A1 (en) Masonry units and structures formed therefrom
US6367209B1 (en) Box lintel
JP2017214719A (ja) 建築板
EP2092133B1 (en) Building block and method of bricking a wall using the same
KR20140001283U (ko) 수직형 추락방망 설치용 링
RU56424U1 (ru) Наружная стена здания (варианты)
KR101171613B1 (ko) 한옥의 벽체 시공 방법
JP4328230B2 (ja) 組積造の耐震性向上施工法
JP6663235B2 (ja) 建築板
JP7139011B2 (ja) 建築板の製造方法
JP3173594U (ja) ブロック
NL2003768C2 (nl)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prefab gevelelement.
JP2014111895A (ja) ブロック
JPH06129071A (ja) タイル乾式施工用押出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