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216B1 - 렌즈 경통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경통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216B1
KR101624216B1 KR1020090044494A KR20090044494A KR101624216B1 KR 101624216 B1 KR101624216 B1 KR 101624216B1 KR 1020090044494 A KR1020090044494 A KR 1020090044494A KR 20090044494 A KR20090044494 A KR 20090044494A KR 101624216 B1 KR101624216 B1 KR 101624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unit
assembly
image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5671A (ko
Inventor
복영수
정재효
김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4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216B1/ko
Publication of KR20100125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렌즈캡 조립체와, 상기 렌즈부와 상기 렌즈캡 조립체 사이에 배치되어 개폐가 가능한 렌즈 보호 조립체와, 상기 렌즈부, 상기 렌즈캡 조립체 및 상기 렌즈 보호 조립체가 장착되는 경통 프레임을 포함하는 렌즈 경통 및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렌즈 경통, 촬상 장치

Description

렌즈 경통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Lens barrel and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는 렌즈 경통과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촬상 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장치로서, 최근 들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그러한 촬상장치는 일반적으로, 렌즈부를 구비한 광학계와, 렌즈부의 일면에 배치되는 촬상 소자와, 촬상 소자로부터 받은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는 화상처리부와, 촬영된 화상을 저장하는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의 촬상 장치의 개략적인 작동은 다음과 같다.
즉, 사용자가 촬영을 하면, 광학계를 투과한 피사체의 영상광이 CCD 등의 촬상 소자에 입사되고, 촬상 소자는 입사된 영상광을 전기적 화상 신호로 변환하고, 화상처리부는 그 화상 신호를 처리하고, 메모리는 촬영된 화상을 저장함으로써 촬영이 수행되게 된다.
한편, 그러한 촬상장치의 렌즈부의 전방에는 렌즈부를 보호하기 위한 렌즈캡 장치가 배치된다.
그러한 렌즈캡 장치는 촬상 장치의 전원 상태가 "on"일 때에 렌즈캡이 열리도록 작동하며, 그렇게 되면 렌즈부로 영상광이 투사될 수 있어 프리뷰 화면이 LC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게 된다. 또한, 촬상장치의 전원 상태가 "off"일 때에는 렌즈캡이 닫혀 렌즈부를 보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렌즈캡 장치로는 렌즈를 완벽하게 보호하기가 어려운데, 이는 렌즈캡이 열려 있는 상태 중에 셔터 버튼을 눌러 촬영하는 순간은 극히 짧은 순간에 지나지 않고, 촬영 순간 이외에는 렌즈캡이 열려 있어 렌즈부가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즉, 그와 같이 렌즈캡이 열려 있는 때에는, 사용자가 부주의로 렌즈를 만지게 되어 렌즈 표면에 지문이 묻게 되거나 이물질이 침투하여 렌즈 표면의 오염이 발생될 수도 있고, 심할 경우 노출된 렌즈에 충격이 가해져 렌즈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렌즈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는 렌즈 경통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렌즈캡 조립체;와, 상기 렌즈부와 상기 렌즈캡 조립체 사이에 배치되어 개폐가 가능한 렌즈 보호 조립체;와, 상기 렌즈부, 상기 렌즈캡 조립체 및 상기 렌즈 보호 조립체가 장착되는 경통 프레임;을 포함하는 렌즈 경통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렌즈 보호 조립체는, 광로를 제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리어는 광이 투과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렌즈 경통과 상기 렌즈 경통으로부터 영상광을 받아 결상시키는 촬상 소자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렌즈 경통은,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렌즈캡 조립체;와, 상기 렌즈부와 상기 렌즈캡 조립체 사이에 배치되어 개폐가 가능한 렌즈 보호 조립체;와, 상기 렌즈부, 상기 렌즈캡 조립체 및 상기 렌즈 보호 조립체가 장착되는 경통 프레임;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렌즈 보호 조립체는, 광로를 제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베이스 와, 상기 베이스에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리어는 광이 투과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렌즈 보호 조립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촬상 장치가 자동 초점(Auto Focus)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 보호 조립체를 열림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촬상 장치가 자동 노출(Auto Exposure)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 보호 조립체를 열림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촬상 장치가 촬영을 수행하는 동안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 보호 조립체를 열림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경통에 의하면, 렌즈부를 충격과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장치의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렌즈 경통의 일부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렌즈 보호 조립체의 개폐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는,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compact digital camera)로서, 렌즈부가 본체부와 일체로 구성된 디지털 카메라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촬상 장치(100)는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로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의 종류 및 형식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는, 렌즈의 착탈이 가능한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single-lens reflex camera), 영상 캠 코더 등의 다양한 종류 및 형식의 촬상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0)는 렌즈부(111) 등이 배치된 렌즈 경통(110), 촬상 소자(121), 앰프 일체형의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 회로(122), A/D 변환기(123), 화상 입력 콘트롤러(124),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125), 압축 처리 회로(126), LCD(Liquid Crystal Display) 드라이버(127), LCD(128), 타이밍 발생기(129), 제어부(131), 조작부(132), 메모리(134), VRAM(Video Random Access Memory)(136), 미디어 콘트롤러(138), 기록 미디어(140), 플래시(150), 보조광 발광 수단(160) 등을 포함하고 있다.
렌즈 경통(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111), 렌즈캡 조립체(112), 렌즈 보호 조립체(113), 경통 프레임(114), 제1 회전부(115), 제2 회전부(116)를 포함한다.
렌즈부(111)는 피사체의 영상광을 투과시켜 촬상 소자(112)까지 도달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경통 프레임(114)에 배치된다.
렌즈부(111)에는 줌 렌즈, 초점 렌즈, 조리개, 셔터 등이 포함되는데, 줌 렌즈는 광축 방향에 전후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초점거리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렌즈로서, 피사체의 크기를 변화하여 촬영한다. 또한, 조리개는, 화상을 촬영할 때에 촬상 소자(121)로 들어오는 광량을 조절하고, 초점 렌즈는, 광축 방향에 전후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피사체의 초점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렌즈캡 조립체(112)는 렌즈부(111)의 전방에 배치되며, 제어부(131)의 제어작용에 따라 개폐 작용을 수행한다.
렌즈캡 조립체(112)는 광로를 개폐하는 렌즈캡(112a)을 구비하고, 광로를 이루는 개구부(112b)를 구비하는데, 렌즈캡(112a)의 개폐작용은 제1 회전부(115)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회전부(115)는 제1 모터(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고, 제1 모터는 제어부(131)의 제어를 받게 된다.
렌즈캡 조립체(112)의 개폐 작용은 제어부(131)의 알고리즘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어, 촬상 장치(100)의 전원이 "on"인 경우에는 렌즈캡 조립체(112)의 렌즈캡(112a)이 개방되고, 촬상 장치(100)의 전원이 "off"인 경우에는 렌즈캡 조립체(112)의 렌즈캡(112a)이 폐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캡 조립체(112)의 개폐 작용은 제1 회전부(115)와 제어부(131)에 의해 이루어지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렌즈캡 조립체에는 수동 스위치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렌즈캡 조 립체의 개폐작용을 조정할 수도 있다.
한편, 렌즈 보호 조립체(113)는 렌즈부(111)와 렌즈캡 조립체(112) 사이에 배치되며, 제어부(131)의 제어작용에 따라 개폐 작용을 수행하는데,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렌즈 보호 조립체(113)의 구성을 설명한다.
렌즈 보호 조립체(113)는, 베이스(113a), 한 쌍의 배리어(113b), 레버 링(113c), 한 쌍의 제1 탄성부재(113d), 한 쌍의 제2 탄성부재(113e)를 포함한다.
베이스(113a)에는 베리어(113b)가 장착되는데, 베이스(113a)는 전방 베이스부(113a_1)와 후방 베이스부(113a_2)로 구성된다.
전방 베이스부(113a_1)와 후방 베이스부(113a_2)에는 각각 개구부(113a_11)(113a_21)가 형성되어 있는데, 개구부(113a_11)(113a_21)로는 영상광이 통과하게 된다.
배리어(113b)는 후방 베이스부(113a_2)에 힌지 구조로 장착된다. 즉, 배리어(113b)는 후방 베이스부(113a_2)에 설치된 힌지축(113a_22)에 장착되고, 힌지축(113a_2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배리어(113b)는 한 쌍이 대칭으로 후방 베이스부(113a_2)에 장착되는데,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져, 영상광이 투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리어(113b)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리어는 광이 투과되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리어(113b)가 후방 베이스부(113a_2)에 장착되나, 본 발 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리어(113b)는 전방 베이스부(113a_1)에 힌지 구조로 장착될 수도 있다.
레버 링(113c)은 전방 베이스부(113a_1)와 후방 베이스부(113a_2) 사이에 배치되며, 회전 작용에 의해 배리어(113b)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레버 링(113c)에는 돌출부(113c_1)와 작용부(113c_2)가 형성되어 있는데, 돌출부(113c_1)는 제2 회전부(116)의 내주에 형성된 기어와 치합함으로써 레버 링(113c)을 회전시키는 작용을 수행하고, 작용부(113c_2)에는 제2 탄성부재(113e)의 일단(113e_1)이 걸리게 된다.
제1 탄성부재(113d)는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데, 일단은 후방 베이스부(113a_2)의 제1 장착핀(113a_23)에 장착되고, 타단은 배리어(113b)의 설치핀(113b_1)에 장착된다.
제2 탄성부재(113e)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데, 중간부는 후방 베이스부(113a_2)의 제2 장착핀(113a_24)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일단(113e_1)은 레버 링(113c)의 작용부(113c_2)에 걸리도록 배치되고, 타단(113e_2)은 배리어(113b)의 작용 단부(113b_2)에 걸리도록 배치된다.
한편, 경통 프레임(11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의 원형 튜브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렌즈 경통(11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경통 프레임(114)의 내부에 렌즈부(111), 제1 회전부(115), 제2 회전부(116) 등을 수용하며, 경통 프레임(114)의 전방에는 렌즈캡 조립체(112), 렌즈 보호 조립체(113)가 장착되게 된다.
제1 회전부(115)는 중공형의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작동 시 렌즈 경통(110) 내부의 제1 모터(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으로써, 렌즈캡 조립체(112)의 렌즈캡(112a)을 개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회전부(116)는 중공형의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작동 시 렌즈 경통(110) 내부의 제2 모터(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렌즈 보호 조립체(113)의 배리어(113b)를 개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회전부(116)의 내주에는 기어가 형성되어 있고 레버 링(113c)의 돌출부(113c_1)는 그 기어에 치합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제2 회전부(116)가 회전하면 레버 링(113c)도 회전하게 된다.
한편, 촬상 소자(121)는 렌즈부(111)를 통과한 영상광이 화상으로 결상되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결상된 화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촬상 소자(121)로는 CCD(charge couple devices) 소자가 이용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소자로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가 이용되어도 되고, 그 밖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해도 된다.
CDS 회로(122)는, 촬상 소자(121)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샘플링 회로의 일종인 CDS 회로와, 잡음을 제거한 후에 전기 신호를 증폭하는 앰프가 일체가 된 회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CDS 회로와 앰프가 일체가 된 회로를 이용하여 CDS 회로(122)를 구성하고 있지만, CDS 회로와 앰프를 별도의 회로로 구성해도 된다.
A/D 변환기(123)는, 촬상 소자(121)에서 생성된 아날로그 전기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화상 입력 콘트롤러(124)는 디지털의 영상 신호를 제어부(131) 등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125)는, 촬상 소자(121)로부터 출력된 촬영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이트 밸런스의 값을 조정하는 회로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125)는, 제어부(131)와 별도의 회로로 구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는 제어부(131)의 일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125)는 전기 회로 자체로 구성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 있다.
압축 처리 회로(126)는, 촬영 화상의 데이터를 적절한 형식으로 압축하는 압축처리를 행한다. 화상의 압축 형식은 가역형식 또는 비가역형식이어도 된다. 적절한 형식의 예로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형식이나 JPEG 2000형식으로 변환해도 된다.
LCD(128)는 표시부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촬영 조작을 행하기 전의 라이브 뷰 표시나, 촬상 장치(100)의 각종 설정 화면이나, 촬영한 화상의 표시 등을 행한다. 화상 데이터나 촬상 장치(100)의 각종 정보의 LCD(128)에의 표시는, LCD 드라이버(127)를 개재하여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로서 LCD(128)를 사용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표시부로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타이밍 발생기(129)는, 촬상 소자(121)에 타이밍 신호를 입력한다. 타이밍 발생기(129)로부터의 타이밍 신호에 의해 셔터 속도가 결정된다. 즉, 타이밍 발생기(129)로부터의 타이밍 신호에 의해 촬상 소자(121)의 구동이 제어되고, 촬상 소자(121)가 구동하는 시간 내에 피사체로부터의 영상광을 입사함으로써, 화상 데이터의 기초가 되는 전기 신호가 생성된다.
제어부(131)는, 촬상 소자(121)나 CDS 회로(122) 등에 대해 신호계의 명령을 행하거나, 조작부(132)의 조작에 대한 조작계의 명령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어부를 하나만 포함하고 있지만, 신호계의 명령과 조작계의 명령을 별도의 제어부에서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131)는 영상 처리 기능도 수행한다. 즉, 촬상 소자(121)로부터 받은 촬영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대표적으로, 제어부(131)는 전송된 촬영 데이터의 감마 보정을 수행된다.
감마 보정이란 인간의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인간의 시각은 베버의 법칙(Weber's law)에 따라 밝기에 대해 비선형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에, 한정된 비트 심도(Bit depth)가 주어졌을 때, 선형적으로 빛의 밝기를 기록하면 포스터리제이션(Posterization)이 발생한다. 따라서, 주어진 비트 심도 하에서 최대한의 화질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비선형 함수를 사용하여 부호화해야 하는데, 이를 수행하는 것을 감마 보정이라 한다.
제어부(131)의 감마 보정은 감마 커브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감마 보정하여 출력하는데, 예를 들어, 12 비트 영상 신호의 입력 휘도 레벨을 8비트 휘도 레벨로 보정하여 출력한다.
조작부(132)는, 촬영 모드 선택부로서의 기능을 포함하고, 촬상 장치(100)의 조작을 행하거나, 촬영시의 각종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부(132)에 배치되는 부재에는, 촬영 조작을 개시하는 셔터 버튼(132a), 전원 버튼(132b), 촬영 모드나 촬영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 및 효과 파라미터의 설정을 행하는 선택 버튼(132c), 줌 작용을 조정하는 줌 버튼(132d) 등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도 1 및 도 2에는, 조작부(132)로 셔터 버튼(132a), 전원 버튼(132b), 선택 버튼(132c), 줌 버튼(132d)이 개시되어 있지만, 그와 같은 버튼들은 예시일 뿐이고, 조작부(132)를 구성하는 더 많은 버튼 및 조작 키가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메모리(134)는, 화상 기억부의 일례로서, 촬영한 화상의 데이터나 작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것이다. 메모리(134)는, 복수의 화상을 기억할 수 있는 만큼의 기억 용량을 갖고 있다. 메모리(134)에의 화상의 판독/기입은 화상입력 콘트롤러(124)에 의해 제어된다.
VRAM(136)은, LCD(128)에 표시하는 내용을 유지하는 것으로, LCD(128)의 해상도나 최대 발색수(發色數)는 VRAM(136)의 용량에 의존한다.
기록 미디어(140)는, 화상 기록부의 일례로서, 촬영한 화상을 기록하는 것이다. 기록 미디어(140)에의 입출력은, 미디어 콘트롤러(138)에 의해 제어된다. 기록 미디어(140)에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카드형의 기억장치인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MMC(multimedia car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플래시(150)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밝게 해주는 것으로, 플래시(150)를 사용하는 플래시 모드에는 자동 플래시 모드, 강제 발광 모드, 발광 금지 모드, 적목 감소 모드, 슬로우 싱크로 모드 등이 있다.
보조광 발광 수단(160)은 광량이 부족하거나 야간 촬영 시에, 촬상 장치(100)가 자동으로 초점을 빠르고 정확하게 잡을 수 있도록 피사체에 보조광을 공급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의 렌즈 보호 조립체(113)가 열리고 닫히는 구체적인 작용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13a_21)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어부(131)가 제2 모터(미도시)를 구동시켜 제2 회전부(11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부(113c_1)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돌출부(113c_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돌출부(113c_1)와 일체로 연결된 레버 링(113c)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레버 링(113c)의 회전력은 작용부(113c_2)를 통하여 제2 탄성부재(113e)로 전달되어, 제2 탄성부재(113e)에 비틀림 하중을 가한다. 비틀림 하중을 받은 제2 탄성부재(113e)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여, 타단(113e_2)은 배리어(113b)의 작용 단부(113b_2)에 하중을 가하게 된다.
즉, 제2 탄성부재(113e)는 배리어(113b)의 작용 단부(113b_2)에 힘을 가하여 배리어(113b)를 회전시키는데, 배리어(113b)는 힌지축(113a_2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이러한 배리어(113b)의 움직임에 의해 개구부(113a_21)가 닫히게 되고, 개구부(113a_21)가 닫힌 모습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배리어(113b)의 닫힘 작동 시 제1 탄성부재(113d)는 인장되어 탄성에 의한 위치 에너지를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제2 탄성부재(113e)의 비틀림에 의한 탄성력이 제1 탄성부재(113d)의 인장에 의한 탄성력보다 크게 구성됨으로써, 배리어(113b)의 폐쇄작용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배리어(113b)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변화하는 작용을 설명한다.
배리어(113b)가 닫힘 상태에서, 제어부(131)가 제2 모터(미도시)를 구동시켜 제2 회전부(11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도 6의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부(113c_1)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돌출부(113c_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돌출부(113c_1)와 일체로 연결된 레버 링(113c)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렇게 되면, 레버 링(113c)의 작용부(113c_2)에 의해 제2 탄성부재(113e)에 가해지는 힘이 해제되고, 배리어(113b)의 작용 단부(113b_2)에 힘이 더 이상 작용하지 않게 된다. 즉, 배리어(113b)에 작용하는 힘은 닫힘 작용 시 인장된 제1 탄성부재(113d)의 인장력만이 존재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제1 탄성부재(113d)의 인장력에 의해 배리어(113b)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렇게 되면 배리어(113b)가 열려 도 5에 도시된 개구부(113a_21)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개구부(113a_21)를 개폐하는 2개의 배리어(113b)의 동작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러한 기술로부터 2개 이상의 배리어가 동작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의 모드 상태가 「렌즈 보호 모드」상태에 있는 경우에, 제어부(131)가 렌즈부(111)를 보호하기 위해 렌즈 보호 조립체(113)를 제어하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100)가 렌즈 보호 모드의 상태에 있을 때, 「렌즈 보호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촬상 장치(100)의 전원을 "on"의 상태로 하고, 촬상 장치(100)의 모드를 「렌즈 보호 모드」상태로 한다(S701 단계).
촬상 장치(100)의 모드의 변경은, 사용자가 직접 조작부(132)를 통하여 촬상 장치(100)의 작동 모드를 「렌즈 보호 모드」로 변경할 수도 있고,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촬상 장치(100) 스스로 「렌즈 보호 모드」로 변경될 수도 있다.
그 다음, 제어부(131)는 렌즈 경통(110)의 제1 모터(미도시)를 구동하여 제1 회전부(115)를 회전시킴으로써, 렌즈캡 조립체(112)의 렌즈캡(112a)을 열림 상태로 전환한다(S702 단계). 이 때, 렌즈캡(112a)이 열림 상태로 되므로, 영상광은 렌즈부(111)를 투사하여 촬상 소자(121)에 결상되고, 제어부(131)는 영상 처리를 통하여 프리뷰(pre-view) 화면을 LCD(128)에 표시하게 된다.
그 다음, 제어부(131)는 렌즈 경통(110)의 제2 모터(미도시)를 구동하여, 제2 회전부(116)를 회전시킴으로써, 렌즈 보호 조립체(113)의 배리어(113b)를 닫힘 상태로 하여, 렌즈부(111)를 보호한다(S703 단계). 이 때에도 영상광은 여전히 렌즈부(111)를 투사하여 촬상 소자(121)에 결상됨으로써 프리뷰 화면이 계속하여 LCD(128)에 표시되는데, 이는 배리어(113b)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즉, 배리어(113b)가 닫힘 상태에도 불구하고 영상광은 계속해서 촬상 소자(121)에 결상되게 된다. 그러나, 그 때의 영상광은 배리어(113b)를 투과하여 촬상 소자(121)에 결상되기 때문에, 영상의 왜곡이 일어날 수가 있다.
그 다음, 제어부(131)는 조작부(132)의 셔터 버튼(132a)의 상태가 S1(반누름 상태)에 있는지 판단하여(S704 단계), S1 상태에 있으면 S705 단계로 이동하고, S1 상태가 아니면 계속하여 셔터 버튼(132a)의 입력 신호를 대기하는 상태에 있도록 한다.
만약, 상기 S704 단계에서 조작부(132)의 셔터 버튼(132a)의 상태가 S1 상태에 있다면, 제어부(131)는 렌즈 경통(110)의 제2 모터(미도시)를 구동하여, 제2 회전부(116)를 회전시킴으로써, 렌즈 보호 조립체(113)의 배리어(113b)를 열림 상태로 한다(S705 단계).
상기 S705 단계에서 배리어(113b)가 열림 상태로 된 후에는, 제어부(131)는 자동 초점 조정(Auto Focus 기능, AF 기능)과 자동 노출 조정(Auto Exposure 기능, AE 기능)을 수행한다(S706 단계). 이 때에는, 배리어(113b)가 열림 상태가 되기 때문에, 영상광은 배리어(113b)를 투과하지 않고 바로 촬상 소자(121)로 결상된다. 그렇게 되면, 배리어(113b)로 인한 영상광의 왜곡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정확하게 자동 초점 조정 및 자동 노출 조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제어부(131)는 조작부(132)의 셔터 버튼(132a)의 상태가 S2(완전 누름 상태)에 있는지 판단하여(S707 단계), S2 상태에 있으면 S708 단계로 이동하고, S2 상태가 아니면 S703 단계와 S704 단계의 사이로 이동한다.
만약, S707 단계에서 조작부(132)의 셔터 버튼(132a)의 상태가 S2 상태에 있다면, 제어부(131)는 정지 화상 또는 동영상을 캡쳐 또는 촬영함으로써, 촬영 작업을 수행한다(S708 단계).
촬영 작업을 종료한 다음에는, 제어부(131)는 렌즈 경통(110)의 제2 모터(미도시)를 구동하여, 제2 회전부(116)를 회전시킴으로써, 렌즈 보호 조립체(113)의 배리어(113b)를 닫힘 상태로 하여 렌즈부(111)를 보호한다(S709).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제어부(131)는 렌즈 보호 조립체(113)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렌즈부(111)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 버튼(132a)의 상태가 S1 상태 또는 S2 상태에 있는 경우에 한정하여, 제어부(131)가 렌즈 보호 조립체(113)를 제어하여 렌즈부(111)의 노출을 수행하게 된다. 즉, 제어부(131)는 렌즈 보호 조립체(113)를 이용하여 렌즈부(111)의 노출 시간을 최소한으로 제한함으로써, 렌즈부(111)를 보호 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사용자의 부주의나 사고로 인한 렌즈부(111)의 오염 및 파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렌즈 경통의 일부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렌즈 보호 조립체의 개폐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가 렌즈 보호 모드의 상태에 있을 때, 렌즈 보호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촬상 장치 110: 렌즈 경통
111: 렌즈부 112: 렌즈캡 조립체
113: 렌즈 보호 조립체 114: 경통 프레임
115: 제1 회전부 116: 제2 회전부
121: 촬상 소자 122: CDS 회로
123: A/D 변환기 124: 화상 입력 콘트롤러
125: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 126: 압축 처리 회로
127: LCD 드라이버 128: LCD
129: 타이밍 발생기 131: 제어부
132: 조작부 134: 메모리
136: VRAM 138: 미디어 콘트롤러
140: 기록 미디어 150: 플래시
160: 보조광 발광 수단

Claims (10)

  1.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렌즈캡 조립체;
    상기 렌즈부와 상기 렌즈캡 조립체 사이에 배치되어 개폐가 가능한 렌즈 보호 조립체; 및
    상기 렌즈부, 상기 렌즈캡 조립체 및 상기 렌즈 보호 조립체가 장착되는 경통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 보호 조립체는, 광로를 제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고 광이 투과되는 소재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를 포함하는 렌즈 경통.
  2. 삭제
  3. 삭제
  4. 렌즈 경통과 상기 렌즈 경통으로부터 영상광을 받아 결상시키는 촬상 소자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렌즈 경통은,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렌즈캡 조립체;
    상기 렌즈부와 상기 렌즈캡 조립체 사이에 배치되어 개폐가 가능한 렌즈 보호 조립체; 및
    상기 렌즈부, 상기 렌즈캡 조립체 및 상기 렌즈 보호 조립체가 장착되는 경통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 보호 조립체는, 광로를 제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고 광이 투과되는 소재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렌즈 보호 조립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가 자동 초점(Auto Focus)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 보호 조립체를 열림 상태로 유지시키는 촬상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가 자동 노출(Auto Exposure)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 보호 조립체를 열림 상태로 유지시키는 촬상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가 촬영을 수행하는 동안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 보호 조립체를 열림 상태로 유지시키는 촬상 장치.
KR1020090044494A 2009-05-21 2009-05-21 렌즈 경통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101624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494A KR101624216B1 (ko) 2009-05-21 2009-05-21 렌즈 경통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494A KR101624216B1 (ko) 2009-05-21 2009-05-21 렌즈 경통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671A KR20100125671A (ko) 2010-12-01
KR101624216B1 true KR101624216B1 (ko) 2016-05-25

Family

ID=43503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494A KR101624216B1 (ko) 2009-05-21 2009-05-21 렌즈 경통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21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9257A (ja) 2002-09-13 2004-04-08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カメラ
JP2004126279A (ja) * 2002-10-03 2004-04-22 Sony Corp 光路開閉装置および光路開閉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JP2007057739A (ja) 2005-08-24 2007-03-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ンズキャップ取付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9257A (ja) 2002-09-13 2004-04-08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カメラ
JP2004126279A (ja) * 2002-10-03 2004-04-22 Sony Corp 光路開閉装置および光路開閉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JP2007057739A (ja) 2005-08-24 2007-03-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ンズキャップ取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671A (ko)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667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ash
JP4359543B2 (ja) 撮像装置
US8937677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7787020B2 (en) Aperture value calculation for a digital camera capable of displaying and/or recording a movie image
KR101608867B1 (ko) 광학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JP2006313250A (ja) レンズ交換式デジタルカメラ
JP5618499B2 (ja) レンズ鏡筒
JP2007096455A (ja) 撮影装置
CN110024371B (zh) 摄影装置及其控制方法
US20090262207A1 (en) Camera system
KR20100092217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157597B2 (ja) 交換レンズ式デジタルカメラ、仮想撮影画像生成方法および仮想撮影画像表示方法
KR101624216B1 (ko) 렌즈 경통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101612445B1 (ko) 렌즈 경통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JP5448391B2 (ja) 撮像装置及び赤目補正方法
JP2008085839A (ja) 撮像装置のエラー通知方法及び撮像装置
KR101406797B1 (ko) 촬상 장치
JP2000092380A (ja) カメラ装置及びその露出制御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5274290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4707300B2 (ja) 撮像装置
JP2010062833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08017104A (ja) デジタルカメラ
KR101446769B1 (ko) 촬상 장치
JP2004159083A (ja) 撮影装置
KR10128891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